KR20200139345A -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345A
KR20200139345A KR1020190065712A KR20190065712A KR20200139345A KR 20200139345 A KR20200139345 A KR 20200139345A KR 1020190065712 A KR1020190065712 A KR 1020190065712A KR 20190065712 A KR20190065712 A KR 20190065712A KR 20200139345 A KR20200139345 A KR 20200139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content
information
partial
partial media
cli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837B1 (ko
Inventor
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맥스에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맥스에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맥스에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65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837B1/ko
Priority to US16/597,430 priority patent/US11064265B2/en
Publication of KR20200139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for generating or manipulating the scene composition of objects, e.g. MPEG-4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관리 서버로부터 부분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의 영역 정보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역 정보,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펑션 오브젝트(function object) 중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METHOD OF PROCESSING MEDIA CONTENTS}
본 개시는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부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이 미디어 컨텐츠 관련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서버가 미디어 컨텐츠 관련 작업과 관련한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면 서버의 데이터 전송 부하가 높아져 전체 미디어 컨텐츠 시스템의 퍼포먼스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부하를 줄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당업계에 존재한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19-008566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6-302231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관리 서버로부터 부분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의 영역 정보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역 정보,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펑션 오브젝트(function object)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로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접근 가능한 주소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의 상기 컨텐츠 서버에서의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 정보,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조합 또는 합성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조합 또는 합성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될 영역에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또는 상기 펑션 오브젝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중첩시켜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명령(inserting command)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상기 영역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정보에 포함되는 펑션 결정 정보에 대응되는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웹 기반의 언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펑션 오브젝트(function object)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명령(generating command)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역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 연결된 관리 서버가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클라이언트 단말에 연결된 관리 서버가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명령과 관련된 입력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어야할 경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생성에 필요한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의 영역 정보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펑션 오브젝트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에,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이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에,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픽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픽셀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픽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상기 영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압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압축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의 사이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즈 정보에 따라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리사이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펑션 오브젝트 생성 요청이 이루어졌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펑션 오브젝트에는 하나 이상의 사전결정된 웹 오피스 펑션들이 할당되며, 그리고 상기 펑션 오브젝트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인터랙션(interaction)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방법들을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이 개시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프로세서; 저장부;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로부터 부분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고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의 영역 정보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영역 정보,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펑션 오브젝트(function object)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상기 관리 서버는: 프로세서; 저장부; 및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명령과 관련된 입력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어야할 경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생성에 필요한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의 영역 정보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펑션 오브젝트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 및 관리 서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가 영역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일례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이 부분 미디어 컨텐츠와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일례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컨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일례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영역 정보,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웹 브라우저 상에서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 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에,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압축하는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 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 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는 것은, 이미지 전송 방식의 웹 오피스에 있어, 배경 미디어 컨텐츠(예를 들면, 오피스 프로그램의 문서를 표현하는 화면)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예를 들면, 삽입된 이미지, 동영상 또는 웹 기반 언어를 이용하여 생성된 펑션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다만,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는 것은 상술한 이미지 전송방식의 웹 오피스에 관련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100a, 100b, 100c: 100), 관리 서버(200), 컨텐츠 서버(300) 및 통신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존재하거나 또는 도 1에서 도시되는 컴포넌트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100), 관리 서버(200) 및 컨텐츠 서버(300)는 메모리,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관리 서버(200) 또는 컨텐츠 서버(300)와 통신하기 위한 매커니즘을 가지며,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임의의 형태의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PC, 랩탑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단말 및/또는 네트워크 접속성을 갖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에이전트(Agent),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플러그-인(Plug-in)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되는 임의의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 소스 및/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프로세서 및 저장부(메모리 및 영구저장매체)를 포함하여, 임의의 데이터를 처리 및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는 과정에서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 및 컨텐츠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 및 컨텐츠 서버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또는 디지털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관리 서버(200)는 메모리,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400)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i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제시되는 통신 네트워크(400)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임의의 형태의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 및 관리 서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 및 관리 서버(200)는 프로세서(110, 210), 메모리(120, 220), 통신부(130, 230) 및 디스플레이부(14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 2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과 같이 메모리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단말 및 관리 서버(100 및 200)의 컴포넌트들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프로세서(110)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컴포넌트들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의 프로세서(210)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관리 서버(200)의 컴포넌트들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 및 관리 서버(200)는 메모리(120, 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110, 2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제어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메모리 및 저장부는 서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130, 230)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 230)는 관리 서버(200), 컨텐츠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내용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대한 구현 양태에 따라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포함되거나 또는 전술한 컴포넌트들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 및 관리 서버(200)는 디스플레이부(140, 240)를 구비하고 있어서,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과 관련된 신호 및 정보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임의의 형태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가 영역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일례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프로세서(110)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대한 삽입 명령(inserting command) 또는 펑션 오브젝트에 대한 생성 명령(generating command)에 기초하여 영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100).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는 디지털화된 어문, 음악, 사진, 영화 및/또는 미술 등 다중 매체 저작물로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또는 컴퓨터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화되어 정보 기기로 생산, 유통, 소비되는 정보 컨텐츠 객체 또는 광대역 통신망이나 고속 데이터망을 통해 양방향으로 송수신되는 정보 컨텐츠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는 음성, 문자, 그림,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식의 정보가 혼합된 매체, 시스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펑션 오브젝트(function object)는 하나 이상의 사전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펑션(function)이 할당되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가능한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펑션 오브젝트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인터랙션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펑션 오브젝트는 웹 기반 언어를 이용해 생성될 수 있다. 오피스 제품에 관련된 예시에서, 펑션 오브젝트는 오피스 제품에서의 기능 키 또는 기능 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펑션 오브젝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디어 컨텐츠의 유형 및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역 정보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또는 펑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포함(또는 표현)되는 영역을 특정하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인 경우에 영역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가 삽입되는 영역을 특정하는 픽셀 좌표들의 집합일 수 있다. 즉,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가 사각형의 이미지 또는 영상인 경우, 영역 정보는 사각형의 각 꼭지점이 위치하는 픽셀 좌표의 집합일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가 음성인 경우, 영역 정보는 해당 음성이 삽입되는 시점 정보 및 종료되는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펑션 오브젝트인 경우, 영역 정보는 펑션 오브젝트에 대한 생성 명령이 이루어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대한 삽입 명령은, 영역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배경 미디어 상의 특정 영역에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펑션 오브젝트에 대한 생성 명령은, 영역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배경 미디어 상의 특정 위치에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S1100)에서 영역 정보를 생성한 후,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영역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0).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펑션 오브젝트만을 포함하는 경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제외한 영역 정보만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펑션 오브젝트만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210)는 영역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이에 기초하여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펑션 오브젝트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4에서 후술한다.
관리 서버(200)의 프로세서(210)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영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00).
프로세서(210)는 단계(S1300)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컨텐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400).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컨텐츠 서버(300)는 관리 서버(200)와는 별도의 주체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의해 삽입된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저장하고,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전송 요청을 받아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컨텐츠 서버(300)에 전송하는 일례에 관하여는 도 5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압축하여 컨텐츠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의 압축의 일례로, 본 개시를 포함하고 있는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미디어 압축 기술(무손실 압축 또는 손실 압축, 예를 들면 BMP, PNG, MPEG, WMV, JPEG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프로세서(210)는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리사이징하고, 리사이징된 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츠를 리사이징하여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것에 관하여는 도 9에서 후술한다.
프로세서(210)가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압축하는 방법은 본 개시에 포함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컨텐츠 서버(300) 단계(S1400)를 통하여 전송받은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저장하고, 저장된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관련된 제 2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1500).
구체적으로, 제 2 정보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 2 정보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는 도 5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프로세서(210)는 단계(S1500)를 통하여 제 2 정보를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한 후,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영역 정보 및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S1600).
도 3에서는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경우, 관리 서버가 부분 미디어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표현되어야 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만을 저장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클라우드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이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표현하고자 할 경우, 관리 서버가 직접 클라이언트 단말로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관리 서버의 미디어 컨텐츠 전송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고, 관리 서버의 저장 공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이 부분 미디어 컨텐츠와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일례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과 관련된 입력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210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명령과 관련된 입력 정보란, 사용자가 입력 장치(예를 들면, 키보드 또는 마우스)을 통해 입력한 신호(즉, 방향 키 누름/좌 클릭/우 클릭/휠 업 또는 휠 다운 등)에 대응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명령과 관련된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통해 입력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의 프로세서(210)는 단계(S210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한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200).
프로세서(210)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S2300).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펑션 오브젝트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펑션 오브젝트로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인터랙션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펑션 오브젝트에는 하나 이상의 사전결정된 펑션들이 할당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전 결정된 펑션들은, 하나 이상의 사전 결정된 웹 오피스 펑션들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 배경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되는 별개의 미디어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경 미디어 컨텐츠는 이미지, 영상, 음성 또는 이들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자료일 수 있다.
일례로,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에, 배경 미디어 컨텐츠는 관리 서버(200)에 의해 실행되는 웹 오피스 프로그램의 화면을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읽을 수 있는 형태의 이미지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어야하는지 인식하는 것은, 입력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기초하여 인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 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펑션 오브젝트 생성 요청이 이루어졌는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한 모든 유형의 신호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프로세서(110)는 수신한 입력 정보가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유형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즉, 일례로, 입력 정보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는(즉, 우클릭) 신호이고, 우클릭이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여러 입력 유형 중 하나에 포함되는 경우, 펑션 오브젝트 생성 요청이 이루어졌다고 인식할 수 있다.
펑션 오브젝트 생성 요청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플리케이션 및 미디어 컨텐츠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부분 미디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여부 인식에 관한 추가적인 실시예는 도 7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프로세서(210)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어야할 경우,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2400).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정보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의 영역 정보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 정보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어야하는 영역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영역 정보에 관하여는 도 3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란,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펑션 결정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제 2 정보가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경우, 제 2 정보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에 접근 가능한 주소에 관한 정보,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의 컨텐츠 서버에서의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 2 정보가 펑션 결정 정보를 포함할 경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펑션 오브젝트인 경우, 입력 정보가 우 클릭인 경우, 제 2 정보는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라는 정보일 수 있고, 입력 정보가 좌 클릭 또는 단축키인 경우, 제 2 정보는 특정한 웹 오피스 펑션에 대응하는 또 다른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라는 정보일 수 있다. 그러나 제 2 정보는 상술한 몇몇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디어 컨텐츠의 유형,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30)를 통해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2500).
상술한 단계(S2200)부터 단계(S2500)에 의하여, 관리 서버(200)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직접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지 않더라도,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관리 서버(200)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통신하는 클라우드 환경과 같은 상황에서, 관리 서버(200)의 전송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프로세서(11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2600).
프로세서(110)는, 단계(S2600)에서 수신한 제 1 정보에 포함된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2700).
구체적으로, 생성되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이미지, 영상 및 음성일 수 있다.
또한,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일례로, 제 2 정보에 포함된 펑션 결정 정보에 대응되는 펑션 오브젝트일 수 있으며, 상기 펑션 오브젝트는 웹 기반 언어를 이용해 생성될 수 있다.
펑션 오브젝트 생성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프로세서(210)는 영역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이에 기초하여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펑션 오브젝트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단계(S2700)에서 생성된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영역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2800).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체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와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조합 또는 합성된 미디어 컨텐츠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조합 또는 합성함으로써 전체 미디어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으나,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포함시키는 방법은 상술한 조합 또는 합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역 정보,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은,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조합 또는 합성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6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단계(S2800)에서 생성된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900).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는 삽입된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또는 생성 정보만을 제공하고, 미디어 컨텐츠 자체는 관리 서버와 분리된 외부의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도록 하면, 관리 서버의 전송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관리 서버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관리 서버의 전송 부하를 줄여 클라우드 서비스가 원활히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컨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일례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프로세서(110)는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로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710).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정보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접근 가능한 주소에 관한 정보 또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의 컨텐츠 서버에서의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서버(300)는 관리 서버(200)와는 별도의 주체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의해 삽입된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저장하고,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별도로 관리하는 이미지, 영상 및 음성 등을 저장 및 전송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그 외에도 컨텐츠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외의 제 3 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예를 들면, 유튜브, 드롭박스)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하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전송 요청 신호를 보내는 것의 일례는, 컨텐츠 서버(300)에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을 보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300)는 단계(S2710)를 통해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 제 2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2720).
관리 서버(200)와 별도의 주체인 컨텐츠 서버(300)를 둠으로써, 관리 서버(200)의 전송 부하를 컨텐츠 서버(300)와 분담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200)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0)과의 통신을 해야 하는 환경에서, 관리 서버(200)를 통한 서비스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영역 정보,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웹 브라우저 상에서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프로세서(110)는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S2810).
여기서 영역 정보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포함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영역 정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상술한 바 여기서는 생략한다.
따라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될 영역은 영역 정보가 표현하는 구역 내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이미지 또는 영상인 경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될 영역은, 영역 정보가 나타내는 픽셀 좌표 내부에 속하는 모든 픽셀일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음성이고 배경 미디어 컨텐츠도 음성인 경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될 영역은 영역 정보가 나타내는 음성 구간 내부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단계(S2810)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될 영역을 결정한 후, 결정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될 영역에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삽입할 수 있다(S2820).
여기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삽입한다는 것은 결정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될 영역에,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표현 또는 재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단계(S2820)에서 삽입된 부분 미디어 컨텐츠와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중첩시켜,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2830).
부분 미디어 컨텐츠와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중첩시키는 것은, 본 개시에서 영역 정보,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에 불과하며,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부분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합성하여 전체 이미지를 직접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관리 서버가 전체 이미지를 합성 및 전송해야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해야하는 환경에서 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 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의 프로세서(210)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S231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10)는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표시되는 영역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포함된 영역이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S2320).
도 8은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에,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의 프로세서(210)는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픽셀을 결정할 수 있다(S2311).
프로세서(210)는 단계(S2311)에서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픽셀을 결정한 후,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픽셀을 인식할 수 있다(S2312).
프로세서(210)는 단계(S2312)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픽셀을 인식한 후,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픽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313).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 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되는 픽셀이 배경 미디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하나라도 대응되는지 여부를 통해, 부분 미디어 컨텐츠 디스플레이 여부의 인식이 가능하다. 부분 미디어 컨텐츠 중 디스플레이 되는 것만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전송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9는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압축하는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의 프로세서(210)는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의 사이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10).
프로세서(210)는 단계(S1410)에서 생성된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의 사이즈 정보에 따라,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리사이징할 수 있다(S1420).
구체적으로,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리사이징하는 것은, 영역 정보에 의해 생성된 사이즈 정보의 크기에 맞게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자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컨텐츠 서버(300)에 업로드하는 과정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리사이징 함으로써, 관리 서버(200)의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업로드에 관한 전송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때,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전송 부하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합성 방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도시되는 컴퓨터(1102)는, 클라이언트 단말(100), 관리 서버(200), 컨텐츠 서버(300) 및 통신 네트워크(4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내용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시져,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 로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저장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서버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서버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 b, 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 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청구범위에서의 방법에 대한 권리범위는, 각 단계들에 기재된 기능 및 특징들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지, 방법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계에서 그 순서의 선후관계를 명시하지 않는 이상, 청구범위에서의 각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A단계 및 B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기재된 청구범위에서, A단계가 B단계 보다 먼저 기재되었다고 하더라도, A단계가 B단계에 선행해야한다는 것으로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관리 서버로부터 부분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의 영역 정보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역 정보,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펑션 오브젝트(function object) 중 하나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로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에 접근 가능한 주소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의 상기 컨텐츠 서버에서의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조합 또는 합성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조합 또는 합성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될 영역에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또는 상기 펑션 오브젝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중첩시켜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명령(inserting command)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상기 영역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정보에 포함되는 펑션 결정 정보에 대응되는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웹 기반의 언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펑션 오브젝트(function object)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명령(generating command)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역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9. 클라이언트 단말에 연결된 관리 서버가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명령과 관련된 입력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어야할 경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생성에 필요한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의 영역 정보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펑션 오브젝트 중 하나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에,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이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에,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픽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픽셀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된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배경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픽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상기 영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압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압축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의 사이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즈 정보에 따라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를 리사이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펑션 오브젝트 생성 요청이 이루어졌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 오브젝트에는 하나 이상의 사전결정된 웹 오피스 펑션들이 할당되며, 그리고 상기 펑션 오브젝트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인터랙션(interaction) 가능한,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7.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로서,
    프로세서;
    저장부;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로부터 부분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고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의 영역 정보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영역 정보,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배경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전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펑션 오브젝트(function object) 중 하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18. 미디어 컨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관리 서버로서,
    프로세서;
    저장부; 및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명령과 관련된 입력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배경 미디어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어야할 경우, 부분 미디어 컨텐츠 생성에 필요한 제 1 정보 및 배경 미디어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의 영역 정보 및 부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부분 미디어 컨텐츠는,
    부분 미디어 컨텐츠 오브젝트 및 펑션 오브젝트 중 하나를 포함하는,
  19.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65712A 2019-06-04 2019-06-04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 KR10219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12A KR102195837B1 (ko) 2019-06-04 2019-06-04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
US16/597,430 US11064265B2 (en) 2019-06-04 2019-10-09 Method of processing media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12A KR102195837B1 (ko) 2019-06-04 2019-06-04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566A Division KR20200139647A (ko) 2020-10-13 2020-10-13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345A true KR20200139345A (ko) 2020-12-14
KR102195837B1 KR102195837B1 (ko) 2020-12-28

Family

ID=7365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712A KR102195837B1 (ko) 2019-06-04 2019-06-04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64265B2 (ko)
KR (1) KR1021958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231A (ja) 2005-04-20 2006-11-02 Onee:Kk 文書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20070109103A (ko) * 2006-05-09 2007-11-15 강송규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20100066334A (ko) * 2008-12-08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정보와 공간 정보를 결합한 복합 컨텐츠의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9008566A (ja) 2017-06-26 2019-01-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文書変換装置、文書変換プログラム及び文書変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7118B1 (en) * 1999-03-31 2003-07-01 Sony Corporation Image displaying processing method, medium including an image displaying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on, and image displaying processing apparatus
US6826696B1 (en) * 1999-10-12 2004-11-30 Webmd,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ingle sign-on for networked applications
US7600183B2 (en) * 2000-06-16 2009-10-06 Olive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publication through web pages
JP2002092303A (ja) * 2000-07-13 2002-03-29 Fumio Ri 個人情報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利用プログラム
US7095905B1 (en) * 2000-09-08 2006-08-22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rging images to form a panoramic image
US20040078312A1 (en) * 2002-09-13 2004-04-22 Bush Eric F.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rehensive educational and financial services
NZ566291A (en) * 2008-02-27 2008-12-24 Actionthis Ltd Methods and devices for post processing rendered web pages and handling requests of post processed web pages
US20100162411A1 (en) 2008-12-08 2010-06-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hybrid contents generated by combining multimedia information and geospatial information
US9134789B2 (en) * 2009-07-14 2015-09-15 Adobe Systems Incorporated Multi-layer computer application with a transparent portion
US20130111330A1 (en) * 2011-11-01 2013-05-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Accelerated compositing of fixed position elements on an electronic device
KR101344450B1 (ko) 2012-03-23 2013-12-23 주식회사 우리은행 스마트기기를 위한 모바일오피스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280523B2 (en) * 2013-01-23 2016-03-08 Go Daddy Operating Company, LLC System for conversion of website content
US20160198097A1 (en) * 2015-01-05 2016-07-07 GenM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objects into an image or sequence of imag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231A (ja) 2005-04-20 2006-11-02 Onee:Kk 文書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20070109103A (ko) * 2006-05-09 2007-11-15 강송규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20100066334A (ko) * 2008-12-08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정보와 공간 정보를 결합한 복합 컨텐츠의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9008566A (ja) 2017-06-26 2019-01-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文書変換装置、文書変換プログラム及び文書変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64265B2 (en) 2021-07-13
KR102195837B1 (ko) 2020-12-28
US20200389710A1 (en)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98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on of applications in a cloud system
US10735377B2 (en)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2572606B (zh) 带有灵活的远程回放的流播的数字内容
WO2022052773A1 (zh) 多窗口投屏方法及电子设备
KR101473257B1 (ko) 유저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스트림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CN102884529B (zh) 用于社交摘要的可适配布局
US20140086146A1 (en) Limiting data usage of a device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tethering
CN105991682B (zh) 一种数据分享方法及装置
US11810529B2 (en) Screen color gamut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30132859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llaborative editing by plurality of mobile devices
BR112021009629A2 (pt) método de processamento do conteúdo da interface de usuário, sistema, e, mídia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a
WO2022143081A1 (zh) 一种数据同步方法和装置
CN112261421B (zh) 虚拟现实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100326A1 (zh) 电子设备及其设备间屏幕协同方法和介质
KR20200139647A (ko)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
KR102195837B1 (ko)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
JP2015076693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92851B1 (ko)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WO2022068882A1 (zh) 镜像投屏方法、装置及系统
KR20200003356A (ko)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60131827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알파 레벨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12549B1 (en) Techniques for secure screen, audio, microphone and camera recording on computer devices and distribution system therefore
CN115878058A (zh) 信息处理方法及其装置、云终端、云服务器、存储介质
US894986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mobile device for application input
CN110855539B (zh) 设备发现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