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356A -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356A
KR20200003356A KR1020190168568A KR20190168568A KR20200003356A KR 20200003356 A KR20200003356 A KR 20200003356A KR 1020190168568 A KR1020190168568 A KR 1020190168568A KR 20190168568 A KR20190168568 A KR 20190168568A KR 20200003356 A KR20200003356 A KR 20200003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essage
screen
uni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996B1 (ko
Inventor
김신현
김태호
김홍균
오효민
황용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9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04L51/2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운용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버퍼를 읽어 화면을 압축하여 전송하는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1 전자기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압축된 화면을 반복 전송받고, 상기 제1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전달받아 출력하거나,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 간에 파일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는 이벤트를 입력받는 제2 전자기기 및 상기 제1 전자기기 및 제2 전자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입력된 인증 정보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전자기기 및 제2 전자기기 간의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ER OF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제1 전자기기와 제2 전자기기 간의 파일을 직관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하고, 제1 전자기기의 통신 서비스 운용에 따른 이벤트 발생 알람을 선택적으로 제2 전자기기에서 확인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제1 전자기기의 화면 압축 및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하는,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 많은 산업 및 생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휴대 전자기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전자기기는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 해당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이용하면서 해당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을 통하여 컨텐츠 소비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휴대 전자기기 및 기타 전자기기 중 가장 많은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으로 통신 기능이 있다. 이러한 통신 기능 이용을 위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통화용 전자기기를 구입하고, 통화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타 사용자들과 즉각적이며 편리한 통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통화용 전자기기의 경우 휴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정크기 이하의 표시부를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 통화용 전자기기의 경우 표시부의 크기가 제한적이어서 통신 기능을 운용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 제약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통화용 전자기기의 경우 문자 입력 등의 어려움이 있으며 화면 제어나 특정 컨텐츠 운용 등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최근 컴퓨팅 장치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업무 수행에 이용되는 컴퓨팅 장치의 경우에는 빠른 작업 진행과 업무 확인 등의 목적 및 기타 목적 등을 위하여 다양한 개수의 키버튼을 포함하는 키보드, 사용자 손에 대체적으로 맞도록 제작된 마우스, 대화면 등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상술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빠른 업무 진행 및 기타 컨텐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는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면서 통화용 전자기기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면서 작업을 하는 중에는 통화용 전자기기를 별도의 장소에 거치하거나 보관하게 됨으로 통화용 전자기기에서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바로 확인하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사용자들은 컴퓨팅 장치 작업을 수행하면서도 통화용 전자기기의 특정 이벤트 발생을 관리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으며, 그에 따른 통화용 전자기기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제1 전자기기와 제2 전자기기 간의 파일을 직관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하고, 제1 전자기기의 통신 서비스 운용에 따른 이벤트 발생 알람을 선택적으로 제2 전자기기에서 확인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제1 전자기기의 화면 압축 및 전송을 최적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제1 전자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습득이나 해당 정보 처리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프레임 버퍼를 읽어 화면을 압축하여 전송하는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1 전자기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압축된 화면을 반복 전송받고, 상기 제1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전달받아 출력하거나,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제2 전자기기 간에 파일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는 이벤트를 입력받는 제2 전자기기 및 상기 제1 전자기기 및 제2 전자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입력된 인증 정보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전자기기 및 제2 전자기기 간의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개시는 또한, 제1 전자기기와 제2 전자기기의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과정과, 제1 전자기기의 실행화면을 제2 전자기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전자기기에서 발생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상기 제2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과정 또는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 간에 파일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는 이벤트 및 상기 제1 전자기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전자기기가 수신한 상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여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제2 전자기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사된 파일을 상대 기기로 전달함과 동시에 화면상에 이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1 전자기기가 상기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라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운용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제1 전자기기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프레임 버퍼를 읽어 화면을 압축하는 제어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제2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통신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압축된 화면을 제2 전자기기로 반복 전송하며, 필터링된 통신 관련 이벤트를 상기 제2 전자기기로 전달하며, 상기 통신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2 전자기기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서버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제1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통신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자기기의 실행화면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자기기에서 필터링된 통신 관련 이벤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여 발생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제1 전자기기의 실행화면을 적어도 일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따르면, 본 개시는 제1 전자기기와 제2 전자기기 간에 파일들을 제2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개시는 제1 전자기기의 통신 서비스 운용에 따른 이벤트 발생 알람을 선택적으로 제2 전자기기에서 확인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른 제1 전자기기 제어 및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제1 전자기기의 화면 압축 및 제2 전자기기로의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기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기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중 제1 전자기기 및 제2 전자기기 간 파일 송수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중 제1 전자기기의 메시지 수신 및 통화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른 제2 전자기기의 원격처리를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8A 및 도 8B는 상술한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메시지 수신 및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전송을 위한 프레임 버퍼와 표면 플링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중 네트워크 통신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중 데이터 전송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중 소켓의 출력 스트림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10)은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와,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10)은 제1 전자기기(100)가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제2 전자기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1 전자기기(100)에서 발생하는 특정 이벤트들을 제2 전자기기(2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상기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10)은 제1 전자기기(100)에서 발생하는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수신, 채팅 메시지 수신 등에 따른 특정 이벤트를 제2 전자기기(200)에서 확인 및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10)은 제1 전자기기(100)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2 전자기기(200)에서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벤트를 제1 전자기기(1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제1 전자기기(100)는 제2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신된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 및 그에 따른 결과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기기(200)는 제1 전자기기(100)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나 상태 관련 이벤트 및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출력하거나 처리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제2 전자기기(200)는 제1 전자기기(100)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알람을 트레이 아이콘으로 제공함으로써, 제2 전자기기(200)를 이용한 작업 환경에 별다른 방해 없이 최소한의 알람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400)는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 사이에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특히 네트워크(400)는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 사이에서 본 개시의 이벤트 전달과 수신 및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의 전달과 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400)는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의 전자기기 특성에 따른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네트워크(400)는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가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통신 모듈 기반의 채널 형성을 지원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400)는 예컨대 제1 전자기기(100)와 제2 전자기기(200)의 자동접속을 위해 안드로이드 푸시 서비스를 위한 레스트(rest) 서버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구글에서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인 구글 앱 엔진을 이용하여 자동 접속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제2 전자기기(200)의 요청에 따라 현재 자신과 통신 채널을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기기(100)의 식별 정보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2 전자기기(200)가 제1 전자기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특정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제1 전자기기(100)와 제2 전자기기(200)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40)는 스마트폰에서 가입한 이메일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레스트 서버로 접속 요청을 하고, 상기 이메일과 패스워드가 확인되면 레스트 서버로 IP 주소를 넘긴다. 레스트 서버는 이 수신받은 IP를 안드로이드로 푸시(push)를 보내고, 이 푸시 메시지를 수신받은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은 이를 통해 자동으로 PC에 접속하게 된다. 이 기능을 통해 원거리에 있는 스마트 폰을 조작하지 않고도 자동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들의 통신 채널 형성과, 각 기기들의 고유 정보 관리, 접속 이력 관리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400)는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의 특정 서버 접속, 파일 수신과 전송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400)는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 사이의 통신 채널 지원을 위한 정보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400)는 이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기기(100)의 고유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리스트로 관리할 수 있으며, 제2 전자기기(2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리스트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400)는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들의 연결 해제에 따라 무선 자원을 재분배하거나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100)는 통신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제1 전자기기(100)는 기지국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전자기기(100)는 통신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타 전자기기의 통화 연결 요청 수신, 타 전자기기가 전송한 문자 메시지나 채팅 메시지 수신, 타 전자기기가 전송한 파일 수신 등의 기능 수행에 따른 이벤트를 생성한다.
제1 전자기기(100)는 상기 이벤트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전송하기 위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제2 전자기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기기(100)는 제2 전자기기(20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파일 탐색기에 저장된 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파일을 제2 전자기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자기기(100)는 이동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자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100)의 보다 상세한 구성과 각 구성들의 역할에 대해서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전자기기(2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제1 전자기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1 전자기기(100)가 제공하는 이벤트를 출력 수단, 예를 들면 표시부나 오디오 처리부 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2 전자기기(200)는 제1 전자기기(100)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를 위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전자기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전자기기(200)는 제1 전자기기(100)에 다양한 이벤트를 제공하여 제1 전자기기(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해당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기기(200)는 제1 전자기기(100)와의 지속적인 연결 관계의 유지 및 이벤트 수신과 알람을 위하여 제1 전자기기(100)와 연속적인 통신 채널을 유지하고, 해당 통신 채널 유지 및 통신 채널을 통한 이벤트 수신 알람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트레이 아이콘을 화면 일측에 일정 크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자기기(200)는 PC(Personnel Computer), 노트북, 랩탑 컴퓨터, 슬레이트 PC, 이동형 대화면 전자기기 등 다양한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기기(2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10)은 통신 서비스 기능 특히 통화나 문자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제1 전자기기(100)의 이벤트 관리와 처리를 제2 전자기기(200)를 통하여 수행함으로써, 제2 전자기기(200)를 이용하여 특정 업무나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제1 전자기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확인 및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10)은 미리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필터링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이벤트만 선택적으로 제2 전자기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자기기(200)에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필터링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제1 전자기기(100)와 관련된 이벤트의 알람이나 데이터를 일정 크기 이하로 제한하거나, 트레이 아이콘에 정의된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 분산을 최소화하면서 제1 전자기기(100) 관련 정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기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전자기기(100)는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 제1 전자기기 입력부(120), 제1 전자기기 오디오 처리부(130),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 제1 전자기기 저장부(150), 제1 전자기기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개시의 제1 전자기기(100)는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하여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고, 해당 이벤트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기기(100)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전달을 위하여 와이파이를 통하여 제2 전자기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자기기(100)는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하여 제2 전자기기(2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전자기기(100)가 지원 가능한 사용자 기능 제어를 위한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100)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 기능 제어를 위한 이벤트를 수신하면, 해당 데이터 및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기능 제어는 예컨대, 제1 전자기기(100)의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파일을 복사하여 제2 전자기기(200)의 파일 저장 영역에 붙여넣기 하는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는 제1 전자기기(100)의 통신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채널 형성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을 위해 마련된 무선 기지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기지국을 통하여 타 전자기기로부터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문자 메시지, 채팅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타 전자기기가 제1 전자기기(10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는 통신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2G, 3G, 4G, LTE 등의 각 세대별 통신 방식 지원을 위한 다양한 통신 모듈, TDMA, CDMA, WCDMA, FDMA, OFDMA 등의 통신 방식 지원을 통신 모듈, 유무선 네트웍 기반의 통신 모듈 등 특정 통신 기술이나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타 전자기기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는 제2 전자기기(200)가 작성하여 전달한 수신 거부 메시지,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작성한 메시지, 문자나 채팅 메시지 등을 제1 전자기기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타 전자기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는 제1 전자기기(100)의 네트워크(400)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는 고유 정보를 가지며, 사전 인증된 네트워크(400)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는 네트워크(4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제2 전자기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는 제2 전자기기(2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2 전자기기(200)가 작성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전자기기(100)가 지원하는 특정 기능 제어를 위해 제2 전자기기(200)가 전달한 제어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는 제1 전자기기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 입력부(120)는 제1 전자기기(100) 운용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전자기기 입력부(120)는 버튼키나, 사이드 키, 홈 키 등 특정 키 형태로 형성됨은 물론, 풀 터치스크린 지원을 위해 터치 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터치 맵은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 입력부(120)는 네트워크(400) 접속을 위한 입력 신호, 네트워크(400) 접속 해제를 위한 입력 신호,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를 위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및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는 경우 제1 전자기기(100)는 주변 검색을 통하여 네트워크(400) 접속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1 전자기기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 지원을 위한 명령어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1 전자기기(100)와 관련된 다양한 오디오 신호의 처리와 수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전자기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SPK)와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자기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네트워크(400) 접속 및 접속 해제를 나타내는 안내음,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음, 원격제어 관련 이벤트를 제2 전자기기(200)에 성공적으로 전송함을 나타내기 위한 안내음, 제2 전자기기(200)로부터 원격제어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수신 및 특정 사용자 기능 제어를 위한 이벤트 수신을 알리기 위한 안내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음 등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출력 제한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는 제1 전자기기(100) 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는 터치 기능 지원을 위해 터치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는 네트워크(400) 접속 및 접속 해제를 안내하는 화면, 타 전자기기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수신함을 나타내는 화면,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제2 전자기기(200)로 전달하는 화면, 제1 전자기기(100)에 저장된 파일을 복사하여 제2 전자기기(200)의 파일 저장 영역에 붙여넣기 하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는 제2 전자기기(200)가 전달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화면, 제1 전자기기(100)가 지원 가능한 특정 사용자 기능 수행을 위해 제2 전자기기(200)가 제공한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화면 및 해당 처리에 따른 결과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전달하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는 제2 전자기기(200) 제어에 따라 제1 전자기기(100)와 제2 전자기기(200) 간의 파일 송수신을 위한 파일 탐색기를 실행하는 화면, 제2 전자기기(200)가 제공한 검색어를 기반으로 파일 검색을 수행한 화면, 제2 전자기기(200)로 이벤트 수신을 선택적으로 알리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필터링 옵션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기타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는 본 개시의 원격제어 관리를 위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 저장부(150)는 제1 전자기기(100) 운용에 필요한 또는 전자기기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기기 저장부(150)는 제1 전자기기(100)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 지원 프로그램, 화상 통화 지원 시 화상 통화 지원을 위한 화상 통화 기능 지원 프로그램, 외부 서버 접속을 위한 서버 접속 지원 프로그램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제1 전자기기 저장부(150)는 본 개시의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하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을 저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제1 전자기기(100) 사용자가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1 전자기기 제어부(160)에 로드되어 원격제어 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400) 접속을 제어하는 루틴, 제2 전자기기(200)의 연결 요청 및 제2 전자기기(200)가 입력한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전자기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전송하는 루틴, 제2 전자기기(2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는 루틴, 상기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제2 전자기기(200)가 전달하는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제1 전자기기(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루틴, 본 개시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해제 요청 시 네트워크(400) 접속을 해제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상술한 루틴들을 기반으로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각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전자기기 저장부(150)는 화면 압축 데이터(151) 및 프레임 버퍼(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버퍼(153)는 화면에 나타날 영상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이다. 그래픽 프로세서가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도형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리스트를 변환하여 프레임 버퍼에 기록한다. 프레임 버퍼의 각 기억 단위는 화면의 픽셀에 하나씩 대응하여 화면에 그대로 반영된다. 즉 화면 각 점의 온오프(on/off)나 컬러를 비트맵으로 기억하고 있으며 이 기억장치에 어떤 내용을 써넣으면 그것이 화면에 표시된다. 안드로이드(Android)의 드라이버 및 메모리 관리는 리눅스 커널 계층에서 담당한다. 프레임 버퍼 메모리 역시 이 계층에서 할당한다. 리눅스 커널은 안드로이드가 사용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BPP(Bit Per Pixel) 등의 정보를 읽어와 필요한 만큼의 메모리를 할당한다. 그리고 안드로이드가 실행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눅스 커널이 할당한 메모리 공간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 출력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 상위 계층인 라이브러리 계층은 리눅스 커널 계층에서 할당한 메모리가 아닌 가상의 프레임 버퍼를 할당하여 가진다. 이는 개발자가 개발하는 프로그램에서 임의로 직접 프레임 버퍼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따라서 라이브러리 계층에서 표면(Surface)을 관리하는 라이브러리는 리눅스 커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받아 해당 메모리를 재할당한다.
바로 이 가상의 프레임 버퍼(153)에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1 전자장치 제어부(160)는 프레임 버퍼(153)를 읽어와서 윈도우와 같은 방식으로 JPEG 압축을 실행하여 화면 압축 데이터(151)로 저장한다. 이후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화면 압축 데이터(151)를 반복 전송함으로써 안드로이드의 화면을 제2 전자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전자장치(200)는 제1 전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화면을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의 화면 출력 과정에 대해 잠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모든 이미지는 프레임 버퍼에서 출력된다. 즉, 표면 플링거(surface flinger)가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갖가지 표면들을 합쳐서 프레임 버퍼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이때 표면 플링거는 먼저 컴포져(composer)를 합치는 기능, 2D, 3D Surface를 결합하거나 여러 가지 응용 Surface를 결합하는 기능, Binder IPC Calls에 의하여 버퍼를 전송하는 기능, H/W를 가속하거나 Open GL ES를 사용하는 기능, Page Flip을 위한 더블 버퍼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면 플링거는 각종 표면의 종류, 크기, 위치 등을 고려하여 이들을 합쳐서 RGB 또는 ARGB인 비트맵(Bitmap)으로 바꾸어 프레임 버퍼에 기록(write)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제1 전자기기 제어부(160)는 이 프레임 버퍼(153)를 추출하여 이를 읽어서 윈도우와 같은 방식으로 JPEG 압축을 실행하여 화면 압축 데이터(151)로 저장한다.
제1 전자기기 제어부(160)는 제1 전자기기(100)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과 분배 및 신호 전달과 처리를 지원하는 구성이다. 특히 제1 전자기기 제어부(160)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전자기기 제어부(160)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을 실행시킬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IP 접속 애플리케이션(164) 및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16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P 접속 애플리케이션(164)은 서버와의 접속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제2 전자기기(200)와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유저 권한을 얻어오거나 키 입력관련 드라이버 설치 및 패키지 필터링 옵션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자기기(200)에서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프로그램 가입시 인증정보로서 등록한 이메일과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네트워크 서버로 제1 전자기기(100)에의 접속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전자기기(200)는 상기 이메일과 패스워드가 확인되면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제2 전자기기(200)의 IP 주소를 넘긴다. 네트워크 서버는 이 수신받은 IP 주소를 제1 전자기기(100)의 IP 접속 애플리케이션(164)으로 푸시(Push)를 보내고, 이 푸시 메시지를 수신받은 IP 접속 애플리케이션(164)은 수신받은 IP 주소를 통해 자동으로 제2 전자기기(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IP 접속 애플리케이션(164) 기능을 통해 원거리에 있는 제1 전자기기(100)를 조작하지 않고도 자동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IP 접속 애플리케이션(164)에 의해 제1 전자기기(100)와 제2 전자기기(200)가 성공적으로 연결되면, 화면 해상도 등의 정보들을 세팅 후 제2 전자기기(200)로 화면 압축 데이터(151)를 전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제1 전자기기(100)의 원격제어 기능 활성화에 따라 활성화되고,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가 수신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와 해당 이벤트 수신에 따른 화면을 제2 전자기기(200)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타 전자기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상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해당 메시지를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제2 전자기기(2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제1 전자기기(100)의 모든 알림(Notification) 또는 토스트(Toast)에 대한 이벤트, 즉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제2 전자기기(200)로 전달할 수 있으나, 필터링 옵션을 통해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필터링된 이벤트만 선택적으로 제2 전자기기(200)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전자기기(100)의 애플리케이션 필터 옵션<1000>실행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제1 전자기기(100)에 수신된 문자 수신 이벤트를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제2 전자기기(200)에 알람 등의 형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나머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애플리케이션 등에 관한 정보는 제2 전자기기(200)로 전달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전자기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패키지명을 가져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의 InstalledPackages()함수를 통해 현재 전자장치에 설치된 패키지 정보(Package Info)를 가져올 수 있다. 이때, 가져온 패키지정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애플리케이션의 포지션(지정위치)의 패키지정보에 대해 패키지 네임(packageName)을 호출하면 스트링(String) 형식의 패키지 명을 가져온다. 이렇게 추출한 패키지명을 리스트로 관리하면서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알림만 받아올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타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파일 수신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파일 수신 완료 시, 파일 수신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제2 전자기기(200)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제1 전자기기(100)의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전달한 후 제2 전자기기(200)가 해당 통신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작성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전달하면, 이를 수신하여 전달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기반으로 해당 통신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기기(200)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특정 데이터 수신 및 전달을 지시하는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이벤트 처리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처리부(163)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2 전자기기(2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타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사전 정의된 타 전화번호로 호 전환하도록 제어하거나, 통화 미수락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제1 전자기기(100)에서 발생한 문자 메시지나 채팅 메시지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전달하고, 제2 전자기기(200)로부터 해당 문자 메시지나 채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 메시지를 타 전자기기에게 문자 메시지나 채팅 메시지로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62)은 제1 전자기기(100)의 상태 정보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전자기기(100)에서 발생하는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나 이메일 및 채팅 메시지 등의 수신 상태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근거리 통신 모듈의 운용 상태 정보, 위치 정보 수집 센서의 운용 상태 정보, 통신 기능 관련 상태 정보, 제1 전자기기(100)에서 동작하는 특정 사용자 프로그램 예를 들면 음악 파일 재생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166)은 전자장치의 파일들을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파일 탐색기로서, 네트워크 서버와의 파일 송수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166)은 제1 전자기기(100)의 파일들을 탐색 가능하며, 이미지, 비디오, 뮤직 또는 커스텀 인덱스(확장자)를 등록하여 파일을 더욱 편리하게 탐색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전자기기(100)와 제2 전자기기(200) 간에 송수신하기 위한 파일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파일 송수신용 탐색기의 메인화면<610>을 참조하면,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166)은 각각의 경로에 대해 탐색이 가능하며, 상단에 추가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경로의 상위경로로 이동하거나, 제1 전자기기(100)에서 실제로 파일들이 설치되고 사용되는 최적 경로인 /mnt/sdcard/의 경로로 이동함으로써, 홈 경로로 이동할 수 있으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검색과 사용자가 원하는 확장명 또는 인덱스를 추가시킨 검색이 가능하다.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166) 실행화면<620>은 카테고리 검색 팝업창(622)을 표시하고, 검색 팝업창(622)은 디폴트 기능인 이미지, 비디오, 뮤직, doc 파일 검색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인덱스를 추가하여 검색할 수 있음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6c를 참조하면, 실행화면<630>은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166)에 의해 이미지 파일이 검색된 결과를 나타내고, 실행화면<640>은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166)에 의해 비디오 파일이 검색된 결과를 나타내며, 실행화면<650>은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166)에 의해 뮤직 파일이 검색된 결과를 나타낸다.
이미지, 비디오, 뮤직에 대한 검색은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해주는 미디어 스토어 API를 사용하여 빠르게 검색하여 썸네일을 추출할 수 있다. 사진, 영상, 음악의 썸네일을 미디어 스토어에서 가져올 때 메모리 에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뷰(View)의 어댑터(adapter)에서 getView()오버라이드 함수가 호출됐을 시 썸네일에 대한 비트맵 정보를 가져오지 않은 파일에 대해서는 백그라운드 쓰레드(thread)를 이용하여 썸네일 추출 작업을 하게 된다. 썸네일 추출시에는 어댑터에서 notifyDataSetChanged()함수를 호출해 추출된 썸네일을 뷰에 뿌리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또한 메모리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해주는 뷰 어댑터의 문제점은 액티비티 상의 어댑터의 특정 포지션(position)이 호출되었을 때 getView() 오버라이드 함수가 한 번 호출되는게 아니라 1~6번등 반복적으로 호출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럴 시에 비트맵 추출 백그라운드 쓰레드를 20개 내지 최대 40~50개까지 쓰레드를 활성화시키게 되면 한 번에 많은 비트맵을 추출해서 뷰에 뿌려주게 되면 메모리 에러가 날 수 있다.
따라서, getView()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getView()호출 시 비트맵을 추출해주는 백그라운드 쓰레드 카운트(count)를 두어서 쓰레드가 15개 이상 만들어지지 않게 하여 15개까지의 비트맵만 추출한 후 카운트를 감소시키게 되면 또 다시 getView() 오버라이드 함수에서 현재 활성화된 포지션의 추출되지 않은 비트맵 추출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메모리 에러를 방지하고 비트맵을 추출해 올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는 내부 탐색기의 파일을 썸네일로 추출시, 비트맵을 추출해주는 백그라운드 쓰레드 카운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 개수의 쓰레드만 추출하여 이를 뷰에 뿌려줌으로써, 현재 활성화된 포지션의 추출되지 않은 비트맵 추출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메모리 에러를 방지하고 비트맵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166)의 실행화면은 제2 전자기기(200)와의 네트워크 연결 유지 시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제2 전자기기(200)로 전달되어,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출력된 제1 전자기기(100)의 파일 검색기 실행화면(520)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522)을 선택 후 롱 클릭하여 제2 전자기기(200)의 실행화면(512)에 드래그 앤 드롭과 같은 제어 이벤트가 수행되면 선택된 파일(522)이 제1 전자기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제2 전자기기(200)로 전달되고, 전달된 파일(522)은 제2 전자기기(200)의 실행화면(512)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제1 전자기기 실행화면(520)의 가로모드 및 세로모드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의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에 따라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제1 전자기기의 실행화면(520)의 창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기기 실행화면(520) 출력 중,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의 화면이 세로모드에서 가로모드로 바뀌면, 자동으로 제2 전자기기의 표시부(240)에 출력된 제1 전자기기의 실행화면(520)도 세로창에서 가로창으로 바뀔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기기의 실행화면(520)은 사용자에 의해 이 수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기기(100)는 제2 전자기기(200)와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1:1로 직접 연결되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제2 전자기기(200)에 해당 이벤트를 전달하고 제2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수신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전자기기(100)를 직접 제어하지 않고 제2 전자기기(200)를 통하여 통신 서비스 관련 기능이나 제1 전자기기(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원격제어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기기(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 전자기기(200)는 제2 전자기기 통신부(270), 제2 전자기기 입력부(220), 제2 전자기기 오디오 처리부(230),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 제2 전자기기 저장부(250) 및 제2 전자기기 제어부(2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개시의 제2 전자기기(200)는 제2 전자기기 통신부(27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해 제1 전자기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기기(200)는 제2 전자기기 통신부(270)를 통하여 제1 전자기기(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수신하며, 해당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제1 전자기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기기(200)는 제2 전자기기 통신부(270)를 통하여 제1 전자기기(100)가 지원하는 특정 전자기기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전달하고, 해당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2 전자기기(200)는 제1 전자기기(100)가 전달하는 이벤트 및 결과 데이터 등을 트레이 아이콘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전자기기(200)는 트레이 아이콘의 규격에 맞도록 이벤트 및 결과 데이터를 조정하고, 조정된 텍스트, 아이콘,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전자기기 통신부(270)는 네트워크(4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궁극적으로 제1 전자기기(100)의 제1 전자기기 무선 통신부(110)와 1:1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자기기 통신부(270)는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특정 메뉴 항목 활성화 시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기기 통신부(270)는 네트워크(400)로부터 네트워크(400)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기기(100)들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2 전자기기 통신부(270)는 특정 제1 전자기기(10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 인증 확인에 따라 제1 전자기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자기기 입력부(220)는 제2 전자기기(200) 운용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전자기기 입력부(22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음성 입력기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하며, 버튼키나, 터치키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전자기기 입력부(220)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맵은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출력되어 입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자기기 입력부(220)는 제2 전자기기(200)를 통하여 수행하게 되는 다양한 업무나 작업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들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제2 전자기기 입력부(220)는 제1 전자기기(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수신하면, 해당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입력된 데이터를 제1 전자기기(100)를 기반으로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이벤트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전자기기 입력부(220)는 제1 전자기기(100)가 지원하는 전자기기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전자기기 입력부(220)가 생성한 입력 신호는 제2 전자기기 제어부(260)에 전달되어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지원을 위한 명령어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전자기기 오디오 처리부(230)는 제2 전자기기(200) 운용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제2 전자기기(200)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수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자기기 오디오 처리부(230)는 제1 전자기기(100)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오디오 신호 및 안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기기 오디오 처리부(230)는 제2 전자기기(200)의 네트워크(400) 접속을 안내하는 안내음, 제1 전자기기(100)와의 통신 연결 완료를 안내하는 안내음,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수신을 안내하는 안내음, 해당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전송을 안내하는 안내음, 기능 제어 이벤트 전송을 안내하는 안내음,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종료를 안내하는 안내음 등을 각 기능 수행 시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음 출력 기능은 사용자 설정 및 설계자의 설계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는 제2 전자기기(200) 운용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는 본 개시의 원격제어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 및 제2 전자기기(200)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업무나 작업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는 본 개시의 원격제어 기능 운용을 위한 트레이 아이콘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아이콘은 제1 전자기기(100)와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어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의 일측 예를 들면, 우하측 모서리 영역에 일정 크기를 가지며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아이콘은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나 이미지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를 통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전자기기 저장부(250)는 제2 전자기기(200) 운용에 필요한 운영 체제, 제2 전자기기(200)가 지원하는 다양한 전자기기 기능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기기 저장부(250)는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파일 검색 및 송수신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제2 전자기기 저장부(250)는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제2 전자기기(200)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2 전자기기 제어부(260)에 로드되어 상기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네트워크(400) 접속을 위한 루틴, 지정된 또는 인증 정보 입력을 통한 특정 제1 전자기기(100)와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트레이 아이콘 출력 루틴, 트레이 아이콘을 통하여 제1 전자기기(100)의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출력을 처리하는 루틴, 제1 전자기기(100)가 전송한 이벤트 처리를 위하여 특정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제1 전자기기(100)에 제공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제2 전자기기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 제어 이벤트를 제1 전자기기(100)에 제공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루틴, 기능 수행에 따른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기기(200)는 마우스 입력을 받으면, 상기 마우스가 입력된 해당 좌표를 제1 전자기기(100)로 전송하는 루틴을 포함하고, 키보드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을 제1 전자기기(100)로 전달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에 의해 제1 전자기기(100)와 제2 2전자기기(200) 간에 파일을 전송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기기 제어부(260)는 본 개시의 제2 전자기기(200) 운용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과 분배,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전달과 처리 등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제2 전자기기 제어부(260)는 전자기기 원격제어 프로그램 활성화시,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을 로드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제1 전자기기(10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2 전자기기(200)의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 일측에 트레이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는 트레이 아이콘 상에 제1 전자기기(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출력을 지원함으로써 제2 전자기기(200)를 운용하면서 제1 전자기기(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제1 전자기기(100)가 전송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와 관련된 알람 메시지나 알람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제1 전자기기(100)가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트레이 아이콘은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의 화면 일측에 사전 정의된 일정 크기로 한정되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1 전자기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의한 업무 분산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는 제1 전자기기(100)로 전달되는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의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트레이 아이콘을 통하여 텍스트나 특정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으며, 특정 기능 제어 이벤트의 내용 중 적어도 일부 또한 트레이 아이콘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는 기능 제어 이벤트 전송에 따른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트레이 아이콘을 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가 운용하는 트레이 아이콘을 통하여 제1 전자기기(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트레이 아이콘에 표시된 특정 아이콘이나 기능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예를 들어 메시지 작성 화면을 호출하거나 수신거부 메시지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제1 전자기기(100)가 전달하는 상태 정보를 사전 정의된 일정 형태의 아이콘이나 텍스트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제1 전자기기(100)의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나 이메일 및 채팅 메시지 등의 수신 상태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근거리 통신 모듈의 운용 상태 정보, 위치 정보 수집 센서의 운용 상태 정보, 통신 기능 관련 상태 정보, 제1 전자기기(100)에서 동작하는 특정 사용자 프로그램 예를 들면 음악 파일 재생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트레이 아이콘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지원을 통하여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제1 전자기기(100)의 전원 소모에 의한 갑작스런 전자기기 종료 등을 사전 방지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충전 등의 동작 제어를 유도할 수 있다.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제1 전자기기(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수신하면, 해당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입력 및 제어 이벤트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트레이 아이콘 상에 출력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알림 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이벤트 처리를 위한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 또는 해당 이벤트 처리를 위한 문서 작성기를 자동으로 활성화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작성 완료된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 이벤트 발생 시, 이를 제1 전자기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전자기기(100)는 제2 전자기기(200)의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이 전달하는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라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타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기기(100)는 전달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라 타 전자기기의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수신 거부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은 제1 전자기기(10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운용에 따라 제1 전자기기(100)의 특정 전자기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 애플리케이션(262)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1 전자기기(100)에서 운용 가능한 전자기기 기능들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리스트 중 선택된 제1 전자기기(100) 기능 제어를 위한 다양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는 편집기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편집기를 이용하여 제1 전자기기(100)에서 운용 가능한 특정 기능 제어에 이용되는 기능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제2 전자기기(200)를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기기(200)는 제1 전자기기(100)와 관련된 별도의 데이터 저장 없이 제1 전자기기(100) 관련 기능 활성화에 대한 알람을 이벤트로 수신하고, 이를 출력함으로써 제1 전자기기(100)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자기기(200)가 제1 전자기기(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형식은 HTTP 기반의 response/request 방식에 따라 운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하여 새롭게 API들이 정의될 수 있다. 정의된 각 API들은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에서 전자기기 원격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저장되고,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활성화에 따라 상술한 각 기능 지원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시스템 및 시스템의 각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중 제1 전자기기 및 제2 전자기기 간 파일 송수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전자기기 및 제2 전자기기 간 파일 송수신 기능 지원을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은 먼저 동작 401 및 동작 402에서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는 각각 대기 상태를 유지하거나 각각 사용자 제어에 따른 고유한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1 전자기기(100)는 파일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전자기기(200)는 문서 작성기를 활성화하고 입력신호에 따른 문서 작성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403 및 동작 404에서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는 각각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및 서버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시점은 동일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및 서버 애플리케이션 활성화에 따라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는 각각 네트워크(400)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기기(100)는 네트워크(400)에 접속을 수행한 경우, 제2 전자기기(200)와의 통신연결을 위하여 동작 405에서 인증정보를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는 제2 전자기기(200)가 제1 전자기기(100)와 통신 연결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기기(200)는 네트워크(400) 접속이 완료되면 동작 406에서 제1 전자기기(100)와의 연결을 위하여 연동할 장치 즉 제1 전자기기(100)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100)는 인증 정보 표시와 함께 동작 407에서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운용을 위한 대기 상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전자기기(200)는 동작 408에서 제1 전자기기(100) 검색에 따라 제1 전자기기(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2 전자기기(200)는 동작 409에서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운용을 위한 대기 상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2 전자기기(200)는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은 대기 상태를 유지하지만 다른 기능 예를 들면 이전 수행되었던 문서 작성 기능은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운용에 따라 대기 상태의 제1 전자기기(100)는 동작 410에서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100)의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설명은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앞서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제2 전자기기(200)로 전달되어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출력될 수 있다.
동작 411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출력된 제1 전자기기(100)의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520)의 적어도 하나의 파일(522)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파일(522)을 제2 전자기기로 복사하여 붙여넣기 위한 파일전송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일전송 이벤트는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출력된 제1 전자기기(100)의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드래그하여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표시된 제2 전자기기의 탐색기 실행화면으로 드롭하는 드래그 앤 드롭일 수 있다.
그러면 제1 전자기기(100)는 동작 412에서 발생된 파일 전송 이벤트에 따라 네트워크(400)를 거쳐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과 관련하여 대기 중인 제2 전자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전자기기(200)는 동작 413에서 전송된 파일 수신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고, 수신된 파일을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출력된 파일 저장 영역(512)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기기(200)는 수신된 파일을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파일 저장 영역(512) 이외에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 중 적어도 한 곳에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작 414에서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출력된 제2 전자기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파일을 제1 전자기기(100)로 복사하여 붙여넣기 위한 파일 전송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일 전송 이벤트는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드래그하여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 출력된 제1 전자기기(100)의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으로 드롭하는 드래그 앤 드롭일 수 있다.
그러면 제2 전자기기(200)는 동작 415에서 파일 전송 이벤트에 따라 네트워크(400)를 거쳐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과 관련하여 대기 중인 제1 전자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전자기기(100)는 동작 416에서 전송된 파일 수신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고, 수신된 파일을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의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전자기기(100)가 화면 압축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제2 전자기기(200)에 전송하기 때문에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에도 제2 전자기기(200)로부터 복사된 파일이 제1 전자기기(100)의 내부 탐색기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붙여넣기 된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중 제1 전자기기의 메시지 수신 및 통화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른 제2 전자기기의 원격처리를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전자기기의 메시지 수신 및 통화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른 제2 전자기기의 원격처리를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은 먼저, 동작 701 및 702 단계에서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가 각각 대기 상태를 가지거나 해당 전자기기가 제공하는 특정 전자기기 기능을 수행 중인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기기(100)는 동작 703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요청이 발생하면 네트워크(400) 접속을 수행한다. 이후 제1 전자기기(100)는 동작 705에서 제2 전자기기(200)와의 접속을 위하여 인증 정보를 제1 전자기기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인증 정보 표시와 함께 제1 전자기기(100)는 동작 707에서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기기(200) 또한 동작 704에서 서버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요청 발생에 따라 네트워크(400)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기기(200)는 제1 전자기기(100) 검색을 위한 과정을 동작 706에서 수행하고, 검색된 제1 전자기기(100)의 인증 정보 입력을 통하여 동작 708에서 제1 전자기기(100)와 네트워크(400)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자기기(200)는 복수개의 제1 전자기기들이 검색되면 해당 전자기기들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특정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때 특정 전자기기 선택을 위하여 전자기기 고유 정보 예를 들면 제1 전자기기(100)의 전화전호를 식별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전자기기(100)가 인증 정보를 표시하면, 사용자가 제1 전자기기(100)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제1 전자기기(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전자기기(200)는 제1 전자기기(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있는 경우, 인증 정보 입력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자동으로 제1 전자기기(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자기기(100)는 통신 기능 지원에 따라 동작 709에서 타 전자기기로부터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E-mail 메시지, 통화연결 요청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전자기기(100)는 동작 710에서 해당 메시지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전자기기(200)는 동작 712에서 메시지 수신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전자기기(200)는 트레이 아이콘을 운용할 수 있으며, 트레이 아이콘 상에 메시지 수신을 지시하는 텍스트나 이미지 등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2 전자기기(200)는 동작 714에서 메시지 확인 및 답장 작성에 따라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는 동작 715에서 제1 전자기기(1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100)는 제2 전자기기(200)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면, 동작 716에서 해당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른 메시지를 타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계속적인 본 개시의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하여 제1 전자기기(100)는 동작 709 이전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는 상술한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전자기기(100)는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운용에 따라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발생 이전까지 801 화면에서와 같이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예를 들면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전자기기(100)는 803 화면에서와 같이 문자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자기기(100)가 문자 수신 메시지를 제2 전자기기(200)에 전송하면, 제2 전자기기(200)는 805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전자기기(100)로부터 수신한 문자 메시지에 대한 안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자기기(200)는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지원을 위하여 트레이 아이콘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레이 아이콘(40)은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 영역의 일부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 아이콘(40)은 901 화면에서와 같이 원격제어 서비스 관련 이벤트 발생을 안내하는 이벤트 출력 영역(41),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지원 영역(42), 제1 전자기기(100)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상태 정보 출력 영역(43), 기능 제어 이벤트 지원을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 영역(44)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트레이 아이콘(40)은 903 화면에서와 같이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의 화면 일측 작업 표시줄(241) 상에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을 선택하는 경우 901 화면에 나타낸 특정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장형 아이콘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기본 아이콘(49) 형상으로 작업 표시줄(241)에 제공된 상태에서 제1 전자기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에 따라 특정 영역을 포함하는 확장형 아이콘으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기기(100)에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또는 파일 전송 이벤트가 발생하여 제2 전자기기(200)가 이를 수신하면, 905 화면에서와 같이 트레이 아이콘(40)은 이벤트 출력 영역(41)을 포함하는 제1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1)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아이콘(40)은 제2 전자기기(200) 사용자가 해당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또는 파일 복사 및 붙여넣기 처리를 위한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907 화면에서와 같이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지원 영역(42)을 포함하는 제2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2)으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지원 영역(42)은 타 전자기기에게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메시지 작성 화면 또는 파일을 붙여넣기 할 수 있는 파일 저장 공간영역을 나타내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지원 영역(42)을 통하여 타 전자기기에 전달할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수신 거부 메시지 전송을 제어하고, 제2 전자기기(200)에 파일을 붙여넣기 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아이콘(40)은 제1 전자기기(100)로부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909 화면에서와 같이 상태 정보를 일정 형태의 텍스트나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는 상태 정보 출력 영역(43)을 포함하는 제3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3)으로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3)은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나 이메일 및 채팅 메시지 등의 수신 상태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근거리 통신 모듈의 운용 상태 정보, 위치 정보 수집 센서의 운용 상태 정보, 통신 기능 관련 상태 정보, 제1 전자기기(100)에서 동작하는 특정 사용자 프로그램 예를 들면 음악 파일 재생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 아이콘(40)은 기능 제어 이벤트 지원을 위한 제2 전자기기(200) 사용자 요청 발생 시 911 화면에서와 같이 기능 제어 이벤트 영역(44)을 포함하는 제4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4)을 출력할 수 있다. 제4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4)은 특정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하여 디폴트로 트레이 아이콘(40)에 포함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4)은 제1 전자기기(100)에 저장된 통화 로그 검색 기능, 폰북 데이터 검색 기능, 폰북 데이터의 항목 삭제 및 생성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 전자기기(100)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상태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810)을 포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제2 전자기기(200)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상태에서 포그라운드에서 문서 작성기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애플리케이션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제1 전자기기(100)와 제2 전자기기(200)가 네트워크(400)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제1 전자기기(100)의 실행화면이 화면 압축 데이터(151)로 변환되어, 제2 전자기기(200)에 반복 전송됨으로써, 제2 전자기기 표시부(240)의 문서 작성기 실행화면(840)의 일측에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40)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중 네트워크 통신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전자기기(100)는 주로 안드로이드 자바의 바이트 오더로서 빅엔디안을 이용하고, 제2 전자기기(200)는 윈도우의 인텔계 아키텍쳐로서 리틀 엔디안을 이용한다. 따라서 제1 전자기기(100)와 제2 전자기기(200)의 두 개의 플랫폼 간의 통신에서 바이트 오더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통신방법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바이트 단위로 전송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수신받은 문자열을 Atoi와 같은 함수를 이용하여 다시 숫자로 변경하여 적용함으로써, 바이트 오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중 데이터 전송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화면 전송과 파일 전송 및 이벤트 전송을 동시에 실행한다. 따라서 패킷을 적당한 크기로 줄여서 구분을 짓는데, 이때 하나의 전자장치에서 패킷 하나를 전송한다고 해서 수신측 전자장치가 이를 완벽하게 읽는다는 보장이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패킷을 완벽하게 수신받지 못하면 패킷의 헤더와 내용을 사용할 때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를 위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큰 수신 버퍼를 만들어 놓고 소켓에서 리드(read)를 한다. 리드된 크기가 패킷 헤더의 크기보다 작으면 패킷 헤더 크기가 될 때까지 계속 리드를 한다. 헤더가 완성되면 패킷의 크기를 추출하고, 그 크기가 될 때까지 리드를 반복한다. 패킷이 완성되면 사용을 하고 뒤에 남음 다른 패킷을 수신 버퍼의 앞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로직으로 패킷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 기능 중 소켓의 출력 스트림(Output stream)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전자기기(100) 또는 제2 전자기기(200)가 화면 전송 중에 파일을 전송할 경우에 소켓의 출력 스트림을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동기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파일 센더(file sender) 객체와 스크린 센더(Screen sender) 객체는 패킷 센더(Packet sender) 객체로부터 상속을 받고 라이트(write) 함수를 사용한다. 이때 동기화를 위해 라이트 함수에 동기화(synchronized) 키워드를 사용하지만, 두 개의 전송 쓰레드(thread)는 서로 다른 객체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동기화가 되지 않아 패킷이 손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원격제어를 위한 소켓의 출력 스트림(Output stream) 동기화 방법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역 객체인 Java.Lang.Object.class에 동기화 키워드를 붙여줌으로써, 서로 다른 객체의 동기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전자기기 및 제2 전자기기들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기기들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전자기기들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전자기기들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기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전자기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전자기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100 : 제1 전자기기
200 : 제2 전자기기 400 : 네트워크
40 : 트레이 아이콘 49 : 트레이 기본 아이콘

Claims (30)

  1. 제 2 전자기기에 있어서,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입력부;
    통신부;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제어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전자기기와 연결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된 제 1 메시지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상기 화면 상에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 2 메시지의 사용자 입력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제 2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전자기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메일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와 연결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전자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기기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또는 랩탑 컴퓨터이고, 상기 제 1 전자기기는 휴대 전자기기인 제 2 전자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채팅 서비스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제 2 전자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의 우측 하부 상의 알림 표시 객체 내에 상기 제 1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제 1 메시지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화면의 우측 하부 상의 상기 알림 표시 객체에 입력되는 제 2 전자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와 와이파이를 통해 연결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전자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된 소정의 SMS 메시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 상에 알림이 출력되게,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와 일정한 연결을 확보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전자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음성 통화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음성 통화에 대하여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음성 통화의 알림을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전자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은 알림을 수신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상기 리스트 내에서 선택가능하고,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알림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리스트로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전자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자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전자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 1 전자기기의 상기 배터리 잔량의 표시는 소정의 형태를 갖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 2 전자기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저장된 파일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파일들의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획득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전자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된 파일들의 리스트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입력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선택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전자기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에 있는 상기 제 2 전자기기에 연결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들의 리스트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리스트로부터 알림을 보이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들 중에서 상기 제 1 전자기기의 리스트에 대한 선택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선택된 리스트로부터 알림을 보이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전자기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제 1 메시지를 기초로 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전자기기.
  15. 제 2 전자기기를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전자기기와 연결하는 동작;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된 제 1 메시지의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 1 메시지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해 출력하는 동작;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 2 메시지의 사용자 입력을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전자기기와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전자기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메일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와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기기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또는 랩탑 컴퓨터이고, 상기 제 1 전자기기는 휴대 전자기기인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채팅 서비스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화면의 우측 하부 상의 알림 표시 객체 내에 상기 제 1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메시지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화면의 우측 하부 상의 상기 알림 표시 객체에 입력되는 상기 제 2 메시지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전자기기와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와 와이파이를 통해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전자기기와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된 소정의 SMS 메시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면 상에 알림이 출력되도록,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와 일정한 연결을 확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음성 통화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음성 통화에 대하여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음성 통화의 알림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해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해 출력하는 동작이되,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은 알림을 수신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상기 리스트 내에서 선택가능하고,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알림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리스트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전자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화면 상에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전자기기의 상기 배터리 잔량의 표시는 소정의 형태를 갖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저장된 파일들의 리스트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해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파일들의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파일들의 리스트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입력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선택을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에 있는 상기 제 2 전자기기에 연결가능한 복수의 전자기기들의 리스트를 상기 화면 상에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리스트로부터 알림을 보이도록 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들 중에서 상기 제 1 전자기기의 리스트에 대한 선택을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선택된 리스트로부터 알림을 보이도록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제 1 메시지를 기초로 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9. 제 2 전자기기를 운용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제 2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전자기기와 연결하는 동작;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된 제 1 메시지의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 1 메시지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해 출력하는 동작;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 2 메시지의 사용자 입력을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0.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전자기기 및 제 2 전자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전자기기는,
    제 1 통신부;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및
    제 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제 1 제어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기기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제 1 메시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1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기기에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기기로부터 제 2 메시지를 획득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제 2 전자기기는,
    제 2 통신부;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및
    제 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제 2 제어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 1 메시지의 정보를,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표시부의 화면 상에 출력하고,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 2 메시지의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 2 전자기기의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기기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시스템.
KR1020190168568A 2019-12-17 2019-12-17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116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568A KR102116996B1 (ko) 2019-12-17 2019-12-17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568A KR102116996B1 (ko) 2019-12-17 2019-12-17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916A Division KR102058465B1 (ko) 2013-05-22 2013-05-22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356A true KR20200003356A (ko) 2020-01-09
KR102116996B1 KR102116996B1 (ko) 2020-05-29

Family

ID=6915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568A KR102116996B1 (ko) 2019-12-17 2019-12-17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9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640A1 (ko) * 2020-03-05 2021-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20131367A (ko) * 2021-03-20 2022-09-27 주식회사스페이스엘비스 배경이미지를 활용한 온셋 조성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7166A1 (en) * 2004-05-11 2005-11-17 Tu Edgar A Fast scrolling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90070404A1 (en) * 2007-09-12 2009-03-12 Richard James Mazzaferri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by a Remote Machine, Access to Graphical Data Associated with a Resource Provided by a Local Machine
JP2010252005A (ja) * 2009-04-15 2010-11-04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通信プログラム、情報通信方法
US20120028615A1 (en) * 2010-08-02 2012-02-02 Microsoft Corporation Two-way communication of events between a mobile device and remote cli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7166A1 (en) * 2004-05-11 2005-11-17 Tu Edgar A Fast scrolling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90070404A1 (en) * 2007-09-12 2009-03-12 Richard James Mazzaferri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by a Remote Machine, Access to Graphical Data Associated with a Resource Provided by a Local Machine
JP2010252005A (ja) * 2009-04-15 2010-11-04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通信プログラム、情報通信方法
US20120028615A1 (en) * 2010-08-02 2012-02-02 Microsoft Corporation Two-way communication of events between a mobile device and remote cli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640A1 (ko) * 2020-03-05 2021-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899897B2 (en) 2020-03-05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20220131367A (ko) * 2021-03-20 2022-09-27 주식회사스페이스엘비스 배경이미지를 활용한 온셋 조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996B1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5377B2 (en)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192220B1 (en) Real-time sharing during a phone call
CN114629865B (zh) 与动态扩展应用程序交互的即时消息系统
US10852912B2 (en) Image creation app in messaging app
EP4130963A1 (en) Object dragging method and device
US20240111473A1 (en) Distributed display method and terminal for application interface
KR20130121524A (ko)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JP2009533780A (ja) マルチメディアモバイル装置によるノートテイキングのユーザ体験
WO2022143081A1 (zh) 一种数据同步方法和装置
CN106470288B (zh) 移动装置、图像扫描装置和处理作业的方法
KR102116996B1 (ko)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WO2022242281A1 (zh) 文件保存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WO2022100326A1 (zh) 电子设备及其设备间屏幕协同方法和介质
KR102443123B1 (ko) 휴대단말기 제어방법
US201500670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4066992A1 (zh) 一种多设备组网系统、方法及终端设备
KR101824647B1 (ko) 디바이스간 동기화 방법, 유저 디바이스,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WO2024087825A1 (zh) 基于任务处理的提醒方法及电子设备
WO2024104131A1 (zh) 一种多窗口场景下的窗口获焦方法、设备及系统
US20140122646A1 (en) Method for manag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ethod
JP2018005425A (ja) 表示制御方法、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14510909A (zh) 一种基于终端设备的数据选择方法与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