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524A -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524A
KR20130121524A KR1020120044795A KR20120044795A KR20130121524A KR 20130121524 A KR20130121524 A KR 20130121524A KR 1020120044795 A KR1020120044795 A KR 1020120044795A KR 20120044795 A KR20120044795 A KR 20120044795A KR 20130121524 A KR20130121524 A KR 2013012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unction
communication service
even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민
김도연
전승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1524A/ko
Priority to AU2013204054A priority patent/AU2013204054B2/en
Priority to US13/871,218 priority patent/US20130288654A1/en
Priority to EP13165593.8A priority patent/EP2658219A3/en
Priority to JP2015508871A priority patent/JP2015520554A/ja
Priority to PCT/KR2013/003625 priority patent/WO2013162322A1/en
Priority to CN2013101516982A priority patent/CN103379227A/zh
Publication of KR2013012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서비스 운용에 관한 것으로, 통신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제1 단말기, 상기 제1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제2 단말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직접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운용에 따른 이벤트 발생 알람 및 이벤트 처리를 별도의 제2 단말기에서 확인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 많은 산업 및 생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 해당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이용하면서 해당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을 통하여 컨텐츠 소비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 및 기타 단말기 중 가장 많은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으로 통신 기능이 있다. 이러한 통신 기능 이용을 위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통화용 단말기를 구입하고, 통화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타 사용자들과 즉각적이며 편리한 통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통화용 단말기의 경우 휴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정크기 이하의 표시부를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 통화용 단말기의 경우 표시부의 크기가 제한적이어서 통신 기능을 운용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 제약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통화용 단말기의 경우 문자 입력 등의 어려움이 있으며 화면 제어나 특정 컨텐츠 운용 등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최근 컴퓨팅 장치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업무 수행에 이용되는 컴퓨팅 장치의 경우에는 빠른 작업 진행과 업무 확인 등의 목적 및 기타 목적 등을 위하여 다양한 개수의 키버튼을 포함하는 키보드, 사용자 손에 대체적으로 맞도록 제작된 마우스, 대화면 등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상술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빠른 업무 진행 및 기타 컨텐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는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면서 통화용 단말기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면서 작업을 하는 중에는 통화용 단말기를 별도의 장소에 거치하거나 보관하게 됨으로 통화용 단말기에서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바로 확인하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사용자들은 컴퓨팅 장치 작업을 수행하면서도 통화용 단말기의 특정 이벤트 발생을 관리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으며, 그에 따른 통화용 단말기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제1 단말기의 관리를 별도의 제2 단말기에서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단말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습득이나 해당 정보 처리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관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제2 단말기에 직접 연결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달하는 전달 과정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와 데이터 전송 제어를 위한 제어 이벤트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라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거나 상기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수행 과정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수신을 알리는 알림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제1 단말기, 상기 제1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제2 단말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직접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특정 이벤트를 제2 단말기에서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신 이벤트, 제1 단말기의 상태 이벤트 등을 통하여 제1 단말기를 통한 통신 기능의 처리를 보다 신속하고 적절한 시점에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기의 통신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제1 단말기의 특정 사용자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제2 단말기에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른 제1 단말기 제어 및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제1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제1 단말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제2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제2 단말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통화 연결 요청 수신에 따른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통화 연결 요청 수신 처리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단말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메시지 수신에 따른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처리를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시스템 운용 과정에서 제공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처리를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시스템 운용 과정에서 제공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통화 로그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를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시스템 운용 과정에서 제공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검색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를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시스템 운용 과정에서 제공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를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도 17의 시스템 운용 과정에서 제공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트레이 아이콘의 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와,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를 연결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제어를 위하여 코어 네트웍(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100)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1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특정 이벤트들을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상기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수신, 채팅 메시지 수신 등에 따른 특정 이벤트를 제2 단말기(200)에서 확인 및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2 단말기(200)에서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벤트를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 및 그에 따른 결과를 제2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나 상태 관련 이벤트 및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출력하거나 처리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알람을 트레이 아이콘으로 제공함으로써, 제2 단말기(200)를 이용한 작업 환경에 별다른 방해 없이 최소한의 알람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 사이에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특히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 사이에서 본 발명의 이벤트 전달과 수신 및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의 전달과 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의 단말기 특성에 따른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가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통신 모듈 기반의 채널 형성을 지원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는 코어 네트웍(400)과 연결되며,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의 링크 연결을 위해서 코어 네트웍(40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 간의 통신 채널 형성 이력을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 간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는 제2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현재 자신과 통신 채널을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제2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특정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웍(4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제어를 위한 신호를 코어 네트웍(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네트웍(40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제어를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코어 네트웍(40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들의 통신 채널 형성과, 각 기기들의 고유 정보 관리, 접속 이력 관리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네트웍(400)은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의 특정 서버 접속, 파일 수신과 전송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코어 네트웍(40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가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 사이의 통신 채널 지원을 위한 정보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코어 네트웍(40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리스트로 관리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리스트를 제2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네트웍(400)은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들의 연결 해제에 따라 무선 자원을 재분배하거나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통신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는 기지국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단말기(100)는 통신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타 단말기의 통화 연결 요청 수신, 타 단말기가 전송한 문자 메시지나 채팅 메시지 수신, 타 단말기가 전송한 파일 수신 등의 기능 수행에 따른 이벤트를 생성한다. 제1 단말기(100)는 상기 이벤트를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폰북 정보나 통화 로그 또는 특정 파일 등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정보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정보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100)의 보다 상세한 구성과 각 구성들의 역할에 대해서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단말기(20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제1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1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이벤트를 출력 수단 예를 들면 표시부나 오디오 처리부 등을 통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를 위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1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에 다양한 이벤트를 제공하여 제1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해당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와의 지속적인 연결 관계의 유지 및 이벤트 수신과 알람을 위하여 제1 단말기(100)와 연속적인 통신 채널을 유지하고, 해당 통신 채널 유지 및 통신 채널을 통한 이벤트 수신 알람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트레이 아이콘을 화면 일측에 일정 크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단말기(200)는 PC(Personnel Computer), 노트북, 랩탑 컴퓨터, 슬레이트 PC, 이동형 대화면 단말기 등 다양한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2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10)은 통신 서비스 기능 특히 통화나 문자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제1 단말기(100)의 이벤트 관리와 처리를 제2 단말기(200)를 통하여 수행함으로써, 제2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특정 업무나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제1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확인 및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10)은 제2 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제1 단말기(100)와 관련된 이벤트의 알람이나 데이터를 일정 크기 이하로 제한하거나, 트레이 아이콘에 정의된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 분산을 최소화하면서 제1 단말기(100) 관련 정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 무선통신부(110), 제1 단말 입력부(120), 제1 단말 오디오 처리부(130), 제1 단말 표시부(140), 제1 단말 저장부(150), 제1 단말 제어부(160), 제1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17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 무선통신부(110)를 통하여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고, 해당 이벤트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기(100)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전달을 위하여 제1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170)을 통하여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170)을 통하여 제2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단말기(100)가 지원 가능한 사용자 기능 제어를 위한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100)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기능 제어를 위한 이벤트를 수신하면, 해당 데이터 및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단말 무선통신부(110)는 제1 단말기(100)의 통신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채널 형성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무선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을 위해 마련된 무선 기지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기지국을 통하여 타 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문자 메시지, 채팅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타 단말기가 제1 단말기(10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단말 무선통신부(110)는 통신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2G, 3G, 4G 등의 각 세대별 통신 방식 지원을 위한 다양한 통신 모듈, TDMA, CDMA, WCDMA, FDMA, OFDMA 등의 통신 방식 지원을 통신 모듈, 유무선 네트웍 기반의 통신 모듈 등 특정 통신 기술이나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타 단말기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 무선통신부(110)는 제2 단말기(200)가 작성하여 전달한 수신 거부 메시지,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작성한 메시지, 문자나 채팅 메시지 등을 제1 단말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타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 입력부(120)는 제1 단말기(100) 운용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단말 입력부(120)는 버튼키나, 사이드 키, 홈 키 등 특정 키 형태로 형성됨은 물론, 풀 터치스크린 지원을 위해 터치 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터치 맵은 제1 단말 표시부(140)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 입력부(12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을 위한 입력 신호,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 해제를 위한 입력 신호,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를 위한 통신 서비스 관리 앱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및 통신 서비스 관리 앱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서비스 관리 앱을 활성화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주변 검색을 통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1 단말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 지원을 위한 명령어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단말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1 단말기(100)와 관련된 다양한 오디오 신호의 처리와 수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단말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SPK)와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단말 오디오 처리부(13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 및 접속 해제를 나타내는 안내음,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음,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제2 단말기(200)에 성공적으로 전송함을 나타내기 위한 안내음, 제2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수신 및 특정 사용자 기능 제어를 위한 이벤트 수신을 알리기 위한 안내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음 등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출력 제한될 수 있다.
제1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170)은 제1 단말기(100)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이러한 제1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170)은 고유 정보를 가지며, 사전 인증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17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170)은 제2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2 단말기(200)가 작성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특정 기능 제어를 위해 제2 단말기(200)가 전달한 제어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는 제1 단말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단말 표시부(140)는 제1 단말기(100) 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 표시부(140)는 터치 기능 지원을 위해 터치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단말 표시부(14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 및 접속 해제를 안내하는 화면, 타 단말기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수신함을 나타내는 화면,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제2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 표시부(140)는 제2 단말기(200)가 전달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화면, 제1 단말기(100)가 지원 가능한 특정 사용자 기능 수행을 위해 제2 단말기(200)가 제공한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화면 및 해당 처리에 따른 결과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하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표시부(140)는 제2 단말기(200) 제어에 따라 통화 로그를 검색하는 화면, 제2 단말기(200)가 제공한 검색어를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한 화면, 폰북에 새로 기입할 연락처를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해당 폰북에 적용하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기타 제1 단말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를 위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단말 저장부(150)는 제1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또는 단말기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 저장부(150)는 제1 단말기(100)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 지원 프로그램, 화상 통화 지원 시 화상 통화 지원을 위한 화상 통화 기능 지원 프로그램, 외부 서버 접속을 위한 서버 접속 지원 프로그램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제1 단말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하여 제1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151)은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151)은 제1 단말기(100)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1 단말 제어부(160)에 로드되어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이러한 제1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151)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을 제어하는 루틴, 제2 단말기(200)의 연결 요청 및 제2 단말기(200)가 입력한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151)은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를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루틴, 제2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는 루틴, 상기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151)은 제2 단말기(200)가 전달하는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제1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루틴,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해제 요청 시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을 해제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151)은 상술한 루틴들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각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단말 저장부(150)는 폰북 데이터(153), 통화 로그(155)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폰북 데이터(153)는 통화 연결을 위한 타 단말기의 전화번호, 타 단말기 사용자 관련 사진, 이름, 주소, 생일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폰북 데이터(153)는 제2 단말기(200) 제어에 따라 새 연락처 정보가 추가되거나, 기존 연락처 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통화 로그(155)는 제1 단말기(100) 운용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로서, 제2 단말기(200) 요청에 따라 검색 화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통화 로그(155)는 제2 단말기(200) 제어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삭제되거나, 특정 통화 로그의 상세 정보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통화 로그(155)는 제1 단말기(100)가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에 의하여 갱신될 수 있으며, 추가로 사용자의 제1 단말기(100) 제어에 따라 로그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특히 통화 로그(155)는 제2 단말기(200)의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에 따라 로그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제1 단말 제어부(160)는 제1 단말기(100)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과 분배 및 신호 전달과 처리를 지원하는 구성이다. 특히 제1 단말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단말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의 제1 단말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단말 제어부(160)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전달부(161), 이벤트 처리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처리부(163),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전달부(161)는 제1 단말기(100)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활성화에 따라 활성화되고, 제1 단말 무선통신부(110)가 수신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제2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와 함께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전달부(161)는 해당 이벤트 수신에 따른 화면을 제1 단말기(10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전달부(161)는 상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해당 메시지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전달부(161)는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메시지 수신에 따른 화면 출력 및 안내음 출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전달부(161)는 타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나 채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 메시지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전달부(161)는 타 단말기로부터 특정 파일 수신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파일 완료 시 파일 수신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전달부(161)는 수신 완료된 파일을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벤트 처리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처리부(163)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지원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즉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전달부(161)가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한 후 제2 단말기(200)가 해당 통신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작성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전달하면, 상기 이벤트 처리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처리부(163)는 수신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기반으로 해당 통신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200)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특정 데이터 수신 및 전달을 지시하는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이벤트 처리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처리부(163)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2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벤트 처리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처리부(163)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사전 정의된 타 전화번호로 호 전환하도록 제어하거나, 통화 미수락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처리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처리부(163)는 문자 메시지나 채팅 메시지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하고 제2 단말기(200)로부터 해당 문자 메시지나 채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게 문자 메시지나 채팅 메시지로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부(165)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라 제1 단말기(100)의 특정 단말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부(165)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통화 로그(155) 또는 폰북 데이터(153) 검색을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제1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통화 로그(155) 또는 폰북 데이터(153)를 호출하고 폰북 데이터(153) 출력 화면을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부(165)는 호출된 통화 로그(155) 또는 폰북 데이터(153)를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별도의 표시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부(165)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새 연락처 추가를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면, 제1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폰북 데이터(153)에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새 연락처를 추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부(165)는 새 연락처가 추가 과정 및 새 연락처가 추가된 폰북 데이터(153)를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별도의 정보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부(165)는 폰북 데이터(153) 갱신이 완료되면 갱신 완료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기타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부(165)는 제1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2 단말기(200)의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 및 해당 기능 수행에 따른 결과를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기로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부(165)는 제1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나 이메일 및 채팅 메시지 등의 수신 상태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근거리 통신 모듈의 운용 상태 정보, 위치 정보 수집 센서의 운용 상태 정보, 통신 기능 관련 상태 정보, 제1 단말기(100)에서 동작하는 특정 사용자 프로그램 예를 들면 음악 파일 재생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1:1로 직접 연결되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제2 단말기(200)에 해당 이벤트를 전달하고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수신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를 직접 제어하지 않고 제2 단말기(200)를 통하여 통신 서비스 관련 기능이나 제1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단말기(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단말기(200)는 제2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270), 제2 단말 입력부(220), 제2 단말 오디오 처리부(230), 제2 단말 표시부(240), 제2 단말 저장부(250) 및 제2 단말 제어부(2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 단말기(200)는 제2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270)을 이용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기(200)는 제2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270)을 통하여 제1 단말기(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수신하며, 해당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제1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200)는 제2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270)을 통하여 제1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특정 단말기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전달하고, 해당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가 전달하는 이벤트 및 결과 데이터 등을 트레이 아이콘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단말기(200)는 트레이 아이콘의 규격에 맞도록 이벤트 및 결과 데이터를 조정하고, 조정된 텍스트, 아이콘,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27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궁극적으로 제1 단말기(100)의 제1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170)과 1:1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270)은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특정 메뉴 항목 활성화 시 자동으로 활성화되고 주변 검색을 통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27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로부터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기(100)들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 와이파이 통신모듈(270)은 특정 제1 단말기(10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 인증 확인에 따라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단말 입력부(220)는 제2 단말기(200) 운용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단말 입력부(22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음성 입력기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하며, 버튼키나, 터치키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단말 입력부(220)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맵은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제2 단말 표시부(240)에 출력되어 입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단말 입력부(220)는 제2 단말기(200)를 통하여 수행하게 되는 다양한 업무나 작업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들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제2 단말 입력부(22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수신하면, 해당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입력된 데이터를 제1 단말기(100)를 기반으로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이벤트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단말 입력부(220)는 제1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단말기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단말 입력부(220)가 생성한 입력 신호는 제2 단말 제어부(260)에 전달되어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명령어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단말 오디오 처리부(230)는 제2 단말기(200) 운용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제2 단말기(200)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수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단말 오디오 처리부(230)는 제1 단말기(100)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오디오 신호 및 안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 오디오 처리부(230)는 제2 단말기(200)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을 안내하는 안내음, 제1 단말기(100)와의 통신 연결 완료를 안내하는 안내음,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수신을 안내하는 안내음, 해당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전송을 안내하는 안내음, 기능 제어 이벤트 전송을 안내하는 안내음,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종료를 안내하는 안내음 등을 각 기능 수행 시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음 출력 기능은 사용자 설정 및 설계자의 설계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단말 표시부(240)는 제2 단말기(200) 운용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2 단말 표시부(240)는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 및 제2 단말기(200)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업무나 작업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2 단말 표시부(240)는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운용을 위한 트레이 아이콘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아이콘은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어 제2 단말 표시부(240)의 일측 예를 들면, 우하측 모서리 영역에 일정 크기를 가지며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아이콘은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나 이미지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단말 표시부(240)를 통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단말 저장부(250)는 제2 단말기(200) 운용에 필요한 운영 체제, 제2 단말기(200)가 지원하는 다양한 단말기 기능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 저장부(250)는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제2 단말 저장부(250)는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제2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251)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251)은 제2 단말기(200)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2 단말 제어부(260)에 로드되어 상기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251)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을 위한 루틴, 지정된 또는 인증 정보 입력을 통한 특정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251)은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트레이 아이콘 출력 루틴, 트레이 아이콘을 통하여 제1 단말기(100)의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출력을 처리하는 루틴, 제1 단말기(100)가 전송한 이벤트 처리를 위하여 특정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제1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251)은 제2 단말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 제어 이벤트를 제1 단말기(100)에 제공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루틴, 기능 수행에 따른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 제어부(260)는 본 발명의 제2 단말기(200) 운용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과 분배,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전달과 처리 등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단말 제어부(260)는 상기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단말기(200)의 제2 단말 제어부(2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단말 제어부(260)는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운용부(263), 기능 관련 이벤트 운용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는 제1 단말기(100)와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2 단말기(200)의 제2 단말 표시부(240) 일측에 트레이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는 트레이 아이콘 상에 제1 단말기(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출력을 지원함으로써 제2 단말기(200)를 운용하면서 제1 단말기(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는 제1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와 관련된 알람 메시지나 알람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제1 단말기(100)가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트레이 아이콘은 제2 단말 표시부(240)의 화면 일측에 사전 정의된 일정 크기로 한정되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1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의한 업무 분산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는 제1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의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트레이 아이콘을 통하여 텍스트나 특정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으며, 특정 기능 제어 이벤트의 내용 중 적어도 일부 또한 트레이 아이콘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는 기능 제어 이벤트 전송에 따른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트레이 아이콘을 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가 운용하는 트레이 아이콘을 통하여 제1 단말기(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트레이 아이콘에 표시된 특정 아이콘이나 기능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예를 들어 메시지 작성 화면을 호출하거나 수신거부 메시지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는 제1 단말기(100)가 전달하는 상태 정보를 사전 정의된 일정 형태의 아이콘이나 텍스트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는 제1 단말기(100)의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나 이메일 및 채팅 메시지 등의 수신 상태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근거리 통신 모듈의 운용 상태 정보, 위치 정보 수집 센서의 운용 상태 정보, 통신 기능 관련 상태 정보, 제1 단말기(100)에서 동작하는 특정 사용자 프로그램 예를 들면 음악 파일 재생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트레이 아이콘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지원을 통하여 트레이 아이콘 운용부(261)는 제1 단말기(100)의 전원 소모에 의한 갑작스런 단말기 종료 등을 사전 방지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충전 등의 동작 제어를 유도할 수 있다.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운용부(263)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수신하면, 해당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데이터 입력 및 제어 이벤트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운용부(263)는 트레이 아이콘 상에 출력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알림 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이벤트 처리를 위한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 또는 해당 이벤트 처리를 위한 문서 작성기를 자동으로 활성화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운용부(263)는 작성 완료된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 이벤트 발생 시, 이를 제1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의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운용부(263)가 전달하는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라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기(100)는 전달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라 타 단말기의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수신 거부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기능 관련 이벤트 운용부(265)는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운용에 따라 제1 단말기(100)의 특정 단말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기능 관련 이벤트 운용부(265)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1 단말기(100)에서 운용 가능한 단말기 기능들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리스트 중 선택된 제1 단말기(100) 기능 제어를 위한 다양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는 편집기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편집기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에서 운용 가능한 특정 기능 제어에 이용되는 기능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제2 단말기(200)를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와 관련된 별도의 데이터 저장 없이 제1 단말기(100) 관련 기능 활성화에 대한 알람을 이벤트로 수신하고, 이를 출력함으로써 제1 단말기(100) 관리를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 관련 데이터 예를 들면, 통화 로그나 폰북 데이터, 기타 다양한 파일 등을 직접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메모리 할당을 제거할 수 있어 메모리 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형식은 HTTP 기반의 response/request 방식에 따라 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하여 새롭게 API들이 정의될 수 있다. 정의된 각 API들은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에서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저장되고,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활성화에 따라 상술한 각 기능 지원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시스템 및 시스템의 각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통화 연결 요청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은 먼저 601 단계 및 602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는 각각 대기 상태를 유지하거나 각각 사용자 제어에 따른 고유한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는 파일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200)는 문서 작성기를 활성화하고 입력 신호에 따른 문서 작성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603 단계 및 604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는 각각 제1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151) 활성화 및 제2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251) 활성화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에서 상기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시점은 동일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제1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151) 활성화 및 제2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251) 활성화에 따라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는 각각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에 접속을 수행한 경우, 제2 단말기(20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하여 605 단계에서 인증 정보를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는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이 완료되면 606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와의 연결을 위하여 연동할 장치 즉 제1 단말기(100)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인증 정보 표시와 함께 607 단계에서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운용을 위한 대기 상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200)는 608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 검색에 따라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기(200)는 610 단계에서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운용을 위한 대기 상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2 단말기(200)는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은 대기 상태를 유지하지만 다른 기능 예를 들면 이전 수행되었던 문서 작성 기능은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운용에 따라 대기 상태의 제1 단말기(100)는 609 단계에서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611 단계에서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거쳐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과 관련하여 대기 중인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단말기(200)는 612 단계에서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른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는 트레이 아이콘을 통하여 해당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해당하는 텍스트나 메시지를 제2 단말 표시부(240) 중 적어도 한 곳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기(200)는 614 단계에서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른 데이터 작성 및 제어 이벤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작성 및 제어 이벤트 생성은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른 수신 거부 또는 특정 메시지 답장 작성에 따른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기(200)는 616 단계에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한 이후 613 단계에서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과 관련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면 615 단계에서 해당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른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는 수신 거부 메시지 또는 제2 단말기(200)가 작성하여 전송한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 단말기(100)는 609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이전까지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상술한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는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운용에 따라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발생 이전까지 701 화면에서와 같이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예를 들면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703 화면에서와 같이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기(100)가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면, 제2 단말기(200)는 705 화면에서와 같이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안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말기(200)는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하여 트레이 아이콘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레이 아이콘(40)은 제2 단말 표시부(240) 영역의 일부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 아이콘(40)은 801 화면에서와 같이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발생을 안내하는 이벤트 출력 영역(41),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지원 영역(42), 제1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상태 정보 출력 영역(43), 기능 제어 이벤트 지원을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 영역(44)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트레이 아이콘(40)은 803 화면에서와 같이 제2 단말 표시부(240)의 화면 일측 작업 표시줄(241) 상에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을 선택하는 경우 801 화면에 나타낸 특정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장형 아이콘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기본 아이콘(49) 형상으로 작업 표시줄(241)에 제공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에 따라 특정 영역을 포함하는 확장형 아이콘으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에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여 제2 단말기(200)가 이를 수신하면, 805 화면에서와 같이 트레이 아이콘(40)은 이벤트 출력 영역(41)을 포함하는 제1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1)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아이콘(40)은 제2 단말기(200) 사용자가 해당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처리를 위한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807 화면에서와 같이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지원 영역(42)을 포함하는 제2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2)으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지원 영역(42)은 타 단말기에게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메시지 작성 화면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지원 영역(42)을 통하여 타 단말기에 전달할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수신 거부 메시지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아이콘(40)은 제1 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809 화면에서와 같이 상태 정보를 일정 형태의 텍스트나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는 상태 정보 출력 영역(43)을 포함하는 제3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3)으로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3)은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나 이메일 및 채팅 메시지 등의 수신 상태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근거리 통신 모듈의 운용 상태 정보, 위치 정보 수집 센서의 운용 상태 정보, 통신 기능 관련 상태 정보, 제1 단말기(100)에서 동작하는 특정 사용자 프로그램 예를 들면 음악 파일 재생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 아이콘(40)은 기능 제어 이벤트 지원을 위한 제2 단말기(200) 사용자 요청 발생 시 811 화면에서와 같이 기능 제어 이벤트 영역(44)을 포함하는 제4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4)을 출력할 수 있다. 제4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4)은 특정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하여 디폴트로 트레이 아이콘(40)에 포함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트레이 확장형 아이콘(84)은 제1 단말기(100)에 저장된 통화 로그 검색 기능, 폰북 데이터 검색 기능, 폰북 데이터의 항목 삭제 및 생성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메시지 수신에 따른 처리를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운용을 위한 시스템 운용 방법은, 901 단계 및 902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가 각각 대기 상태를 가지거나 해당 단말기가 제공하는 특정 단말기 기능을 수행 중인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제1 단말기(100)는 903 단계에서 제1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151) 활성화 요청이 발생하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을 수행한다. 이후 제1 단말기(100)는 905 단계에서 제2 단말기(200)와의 접속을 위하여 인증 정보를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인증 정보 표시와 함께 제1 단말기(100)는 907 단계에서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 또한 904 단계에서 제2 통신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251) 활성화 요청 발생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 검색을 위한 과정을 906 단계에서 수행하고, 검색된 제1 단말기(100)의 인증 정보 입력을 통하여 908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말기(200)는 복수개의 제1 단말기들이 검색되면 해당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특정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때 특정 단말기 선택을 위하여 단말기 고유 정보 예를 들면 제1 단말기(100)의 전화전호를 식별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단말기(100)가 인증 정보를 표시하면,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있는 경우, 인증 정보 입력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자동으로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기(100)는 통신 기능 지원에 따라 909 단계에서와 같이 타 단말기로부터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E-mail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911 단계에서 해당 메시지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메시지 전달 이후 제1 단말기(100)는 913 단계에서와 같이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는 메시지 수신하면, 912 단계에서 메시지 수신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단말기(200)는 트레이 아이콘을 운용할 수 있으며, 트레이 아이콘 상에 메시지 수신을 지시하는 텍스트나 이미지 등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기(200)는 914 단계에서 메시지 확인 및 답장 작성에 따라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는 916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면, 915 단계에서 해당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른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계속적인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하여 제1 단말기(100)는 909 이전 단계로 복귀하고 제2 단말기(200)는 910 단계 이전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메시지 수신 및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는 타 단말기로부터 SMS, MMS, E-mail 등의 문자나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1001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는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팝업창을 제1 단말 표시부(140)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기(100)는 타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단말기(200)는 1003 화면에서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를 트레이 아이콘(4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말기(200)는 수신된 메시지를 트레이 아이콘(40)에서 정의하는 포맷에 맞도록 변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200)는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 중 일부 내용을 트레이 아이콘(40)에 나타내도록 표시하되 트레이 아이콘(40)의 전체 크기에 맞도록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기 위한 트레이 아이콘(40)은 일시적으로 표시되었다가, 일정 시간 경과 후 해당 트레이 아이콘(40)을 제2 단말 표시부(240)에서 제거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는 메시지 수신을 지속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의 색상이나 모양 중 적어도 일부를 변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을 선택함으로써 제1 단말기(100)가 전달한 메시지의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을 선택하는 경우, 제2 단말기(200)는 메시지 내용을 안내하던 이전 트레이 아이콘(40)을 제2 단말 표시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기(200)는 메시지 내용 전체를 확인할 수 있는 크기로 트레이 아이콘의 형태로 변형하고, 변형된 트레이 아이콘을 제2 단말 표시부(2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은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유지하면서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표시줄(241)의 일정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단말기(100)는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기 위하여 수신된 메시지 관련 팝업창을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된 상태를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단말 표시부(140)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단말기(100)는 타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였다 하더라도 수신된 메시지를 별도로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제2 단말기(200)의 데이터 작성 기능에 따른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앞서 도 9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는 1101 단계 내지 1108 단계를 거치면서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통신 연결을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기(200)는 1110 단계에서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대기 중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는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들 예를 들면 문서 작성, 파일 편집, 동영상 재생, 정지 영상 검색 등의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문자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또는 채팅 메시지 등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답장을 제공하기 위하여 1112 단계에서와 같이 답장의 내용에 해당하는 데이터 기입 및 해당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단말기(200)는 작성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1114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면, 제1 단말기(100)는 1114 단계에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해당하는 특정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는 데이터를 채팅 메시지의 내용으로 기입하고, 해당 채팅 메시지를 제어 이벤트에 따라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이벤트는 해당 채팅 메시지를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채팅 메시지에 대한 답장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또는 제어 이벤트는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이나,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답신으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는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른 메시지 전송 이후 각각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과 관련된 대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과 관련된 대기 상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다른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슬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발생이나 기타 제2 단말기(200)에 의한 제1 단말기(100) 기능 수행을 위한 이벤트 발생 등을 대기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작성과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는 타 단말기와 채팅 서비스 채널을 형성하고, 타 단말기와 채팅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기(100)는 1201 화면에서와 같이 채팅 메시지 송수신 화면을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기(100)는 타 단말기와 채팅 서비스 채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타 단말기로부터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채팅 메시지를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수신된 채팅 메시지를 트레이 아이콘(40)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이 아이콘(40)은 이전 송수신된 채팅 메시지 관련 통화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채팅 메시지를 트레이 아이콘(40)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 아이콘(40)은 채팅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채팅 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작성할 수 있는 메시지 작성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트레이 아이콘(40)을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가 수신한 메시지 확인뿐만 아니라 해당 메시지에 대한 답장으로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작성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채팅 메시지와 관련된 데이터, 해당 채팅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제어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수신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라 해당 채팅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1 단말기(100)가 채팅 관련 화면을 출력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제1 단말기(100)가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정보의 화면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 표시부(140)는 별도의 정보 출력 없이,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통화 로그 기능 제어 이벤트 이용에 따른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앞서 도 9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는 1301 단계 내지 1308 단계를 수행하면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기(200)는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에 대해서 대기 중 상태를 1309 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 예를 들어 통화 로그 확인을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지원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통화 로그 확인을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1310 단계에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통화 로그 기능 제어 이벤트는 1311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1 단말기(100)는 통화 로그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라 제1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통화 로그(155)를 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1 단말기(100)는 통화 로그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 결과로서 호출된 통화 로그(155)를 1313 단계에서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1314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가 제공한 통화 로그(155)를 제2 단말 표시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는 수신된 통화 로그(155)를 저장하지 않고, 출력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단말기(200)는 기능 제어 이벤트 생성 및 전달을 통하여 제1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 제어를 위하여 제1 단말기(100)가 지원 가능한 단말기 기능들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통화 로그 관련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는 특정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문서 작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단말 표시부(240)는 문서 작성기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지시하기 위하여 제2 단말 표시부(240) 일측에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은 앞서 설명한 1301 단계 내지 1308 단계를 수행하면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가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제2 단말 표시부(240)의 일정 위치 예를 들면 작업 표시줄(24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 예를 들면 트레이 기본 아이콘(49)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1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목록들을 포함하는 트레이 아이콘을 제2 단말 표시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중 사용자가 통화 로그 확인을 위한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제2 단말기(200)는 통화 로그 확인을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제1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전달받은 통화 로그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라 제1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통화 로그(155)를 호출하고, 해당 통화 로그(155)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의 통화 로그(155) 요청(request)에 따라 통화 로그(155) 응답(response)을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단말기(100)는 1401 화면에서와 같이 통화 로그(155)를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기(100)는 설계 의도에 따라 또는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통화 로그(155)를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하지 않고 통화 로그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하는 기능만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통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로그(155)를 수신하면, 제2 단말기(200)는 1403 화면에서와 같이 통화 로그(155)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정보를 트레이 아이콘(40)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는 통화 로그(155) 정보를 트레이 아이콘(40)의 포맷에 맞도록 조정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말기(200)는 트레이 아이콘(40)이 제1 단말기(100)의 통화 로그(155) 표시 포맷과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기(200)는 트레이 아이콘(40)의 표시 포맷이 제1 단말기(100)의 통화 로그 표시 포맷과 상이한 경우 트레이 아이콘(40)의 표시 포맷에 맞도록 통화 로그 정보들의 표시 형태를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통화 로그를 포함하는 트레이 아이콘(40)을 일정 시간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 동안 출력하고 제2 단말 표시부(240)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와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유지를 나타내기 위해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을 작업 표시줄(241)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 아이콘(40)에 출력되는 통화 로그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이메일을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된 정보를 제1 단말기(100)에 전달하여 타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제2 단말기(200)는 앞서 도 11 등에서 설명한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 처리 기능을 상기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 기능의 결과물을 기반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검색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에 따른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는 앞서 도 9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501 단계 내지 1508 단계를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기(200)는 1509 단계에서와 같이 대기 중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기(2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제2 단말기(200)가 지원 가능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1510 단계에서 검색 기능 제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단말기 기능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목록 화면을 제2 단말 표시부(24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100)의 기능 목록들은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목록 화면에서 검색 기능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제2 단말기(200)는 검색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에 저장된 정보 중 특정 정보 검색을 위해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 기능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고, 1511 단계에서와 같이 제1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검색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 제1 단말기(100)는 1512 단계에서 검색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는 1513 단계에서 검색 결과를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제2 단말기(200)는 1514 단계에서 수신된 검색 결과를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2 단말기(200)는 수신된 검색 결과를 트레이 아이콘(4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검색 기능 제어 이벤트 처리와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1601 화면에서와 같이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수행을 위한 대기 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기 중 상태는 제2 단말기(200)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통신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타 단말기로부터 또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이벤트 수신을 대기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601 화면에서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 표시부(14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전원 절약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는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수행에 따라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을 작업 표시줄(241)에 표시하면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특정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파일 편집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기(200)의 제2 단말 표시부(240)는 1602 화면에서와 같이 파일 편집기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 중 검색 기능을 운용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검색 기능 지원을 위한 트레이 아이콘(40)을 출력하거나 별도의 제1 단말기(100) 기능 제어를 위한 검색창을 트레이 기본 아이콘(49)과 연계되는 영역 또는 별도의 독립된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말기(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의 기능 중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제1 단말기 기능 목록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화면에서 선택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 아이콘(40) 등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기 기능 목록 화면 역시 트레이 아이콘(40)을 통하여 제공되거나 별도의 팝업창이나 메뉴창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을 클릭하는 경우 제1 단말기 기능 목록 화면이 트레이 아이콘(40)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그 중 검색 기능 항목을 선택하면 1602 화면에서와 같이 검색 기능 지원을 위한 트레이 아이콘(40)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트레이 아이콘(40)을 이용하여 특정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검색어 입력이 완료되면, 제2 단말기(200)는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 기능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제1 단말기(100)에 전달한다.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검색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면, 해당 이벤트에 포함된 검색 기능 활성화 이벤트 및 검색어를 추출하고, 제1 단말기(100)의 검색 기능을 활성화고, 추출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제1 단말기(100)는 입력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1603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기능 제어 이벤트가 폰북 데이터(153) 중 특정 폰북 항목을 검색하는 기능을 요구하는 경우, 해당 기능 요구에 따라 폰북 항목을 검색하고 이를 16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100)는 전원 절약을 위하여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제1 단말 표시부(140)의 정보 표시를 억제하고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검색 결과가 수집되면 제1 단말기(100)는 해당 검색 결과인 폰북 항목을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면, 해당 검색 결과를 제2 단말 표시부(2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는 검색 결과를 제2 단말 표시부(240) 전체에 출력할 수도 있으나, 트레이 아이콘(40)을 통하여 한정된 영역 및 한정된 위치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2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별도로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에 의하여 집중 분산이 최소화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화면 출력 등을 통하여 화면 이동이나, 화면 제어를 위한 불필요한 추가 제어 동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와 관련된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는 1701 단계 내지 1708 단계를 통하여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지원을 위한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기(200)는 1709 단계에서와 같이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과 관련한 대기 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폰북 데이터에 새로운 연락처를 추가하거나, 폰북 데이터에 포함된 연락처를 삭제 또는 수정하도록 제어하는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 이벤트를 1710 단계에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단말기(200)는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와 관련된 메뉴 항목 등을 제2 단말 표시부(240) 특히 트레이 기본 아이콘(49) 또는 트레이 기본 아이콘(49) 선택에 따른 트레이 아이콘(40)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기(200)는 새 연락처 작성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폰북 데이터의 정보 삭제나 수정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 이벤트가 생성되면, 제2 단말기(200)는 1711 단계에서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 이벤트를 제1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 이벤트를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면,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폰북 데이터(153)를 호출하고,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 이벤트에 포함된 폰북 항목을 폰북 데이터(153)에 새로 기입하거나, 폰북 데이터(153)에 포함된 특정 정보를 삭제하거나, 수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100)는 1712 단계에서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폰북 데이터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폰북 데이터 갱신이 완료되면, 제1 단말기(100)는 1713 단계에서 갱신 완료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제2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200)는 1714 단계에서 갱신 완료 메시지 수신을 제2 단말 표시부(240)를 통해 알릴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중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와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단말기(200)는 특정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갤러리"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운용 중인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기(200)는 작업 표시줄(241) 일측에 트레이 기본 아이콘(49)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제1 단말기(100)의 폰북 데이터(153)에 새 연락처를 기입하기 위한 기능을 요청받는 경우, 이를 지원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1603 화면에서와 같이 화면 일측에 트레이 아이콘(40)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트레이 아이콘(40)을 이용하여 새 연락처에 이용될 정보들 예를 들면,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새 연락처 생성이 완료되면 제2 단말기(200)는 해당 폰북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능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제1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면, 해당 폰북 데이터 기능 제어 이벤트에 포함된 기능과 새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기능에 따라 새 연락처 정보를 제1 단말 저장부(150)에 저장된 폰북 데이터(153)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기(100)는 1601 화면에서와 같이 폰북 데이터 갱신 화면을 제1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기(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폰북 데이터 갱신 화면 출력을 억제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단말기(100)는 폰북 데이터 갱신이 완료되면, 갱신 완료를 제2 단말기(200)에 안내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200)는 제2 단말 표시부(240)를 통하여 갱신 완료에 대한 안내 메시지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언급한 트레이 아이콘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단말기(200)에 출력되는 트레이 아이콘(40)은 1901 화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실행을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 프로그램 실행 항목, 새 메시지 작성 항목, 관리 기능 실행 항목, 메뉴 항목, 종료 항목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제어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 프로그램 실행 항목을 실행하는 경우 제2 단말기(200)는 19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할 기능 제어 이벤트 예를 들면 연락처 검색과 같은 이벤트를 생성하는 항목, 환경 설정 항목, 연결 끊기 항목, 메시지 프로그램 실행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 항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요약하면, 본 발명은 제2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의 다양한 단말기 기능에 대한 알람을 확인하고, 해당 알람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거나 제1 단말기(100) 기능 제어를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의 배치 위치 등에 관계없이 제2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보다 손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제1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처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가 각각 서버 및 클라이언트 형태로 동작하며,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기능 제어 및 메시지 처리(수신, 송신, 삭제 편집 등)를 수행한다. 메시지 수신 시 제1 단말기(100)는 연동된 제2 단말기(200)를 통하여 메시지의 송신자 이름과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단말기(200)에서 팝업창 등의 형태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트레이 아이콘(40)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단말기(200)는 답장 작성 및 전송 기능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단말기(200)는 답장 작성 및 제공 시 파일 첨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파일 첨부를 위한 다이얼로그 박스에 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에 저장된 정보 접근을 통하여 연락처 검색, 등록, 수정, 통화 로그나 최근 연락처 히스토리, 메시지 검색, 메시지 작성 및 메시지 파일 첨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 수행을 위한 연결 정보를 제외하고 다른 정보들을 저장하지 않게 되어 제1 단말기(100)에 저장된 정보의 중복 저장을 피할 수 있어, 저장 공간의 사용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와의 연결 후, 제1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예를 들면 MAC Address를 저장 관리하여, 추후 제1 단말기(100) 검색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상술한 설명에서는 트레이 아이콘(40)이 일시적으로 제2 단말 표시부(240)에 표시되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트레이 아이콘(40)을 고정된 위치와 크기를 가지며 제2 단말 표시부(24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들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들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들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들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100 : 제1 단말기
200 : 제2 단말기 300 : 무선 액세스 포인트
400 : 코어 네트웍 40 : 트레이 아이콘
49 : 트레이 기본 아이콘

Claims (20)

  1. 통신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제1 단말기;
    상기 제1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제2 단말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직접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연결 요청,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채팅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 수행에 따른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 후, 결과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통화 로그 확인을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통화 로그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특정 정보 검색을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검색 결과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폰북 항목의 등록, 삭제 및 수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폰북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작성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제어를 지시하는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른 메시지 작성 및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와 통신 연결된 상태, 제1 단말기의 단말기 운용 상태, 상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수신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트레이 기본 아이콘을 화면 일측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트레이 기본 아이콘을 작업 표시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표시를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에 해당하는 답장 작성이나 이벤트 처리를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상기 제1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 작성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레이 아이콘을 표시하되, 상기 트레이 기본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과 연계된 영역 또는 독립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 제1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제2 단말기에 직접 연결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달하는 전달 과정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와 데이터 전송 제어를 위한 제어 이벤트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및 제어 이벤트에 따라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거나 상기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수행 과정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수신을 알리는 알림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과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연결 요청,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채팅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연결 요청,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채팅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과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 수행에 따른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기가 수신된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기가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과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통화 로그 확인을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통화 로그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과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특정 정보 검색을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른 검색 결과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과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폰북 항목의 등록, 삭제 및 수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기능 제어 이벤트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폰북 데이터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와 통신 연결된 상태, 제1 단말기의 단말기 운용 상태, 상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수신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트레이 기본 아이콘을 화면 일측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트레이 기본 아이콘을 작업 표시줄에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 표시를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서비스 관련 이벤트에 해당하는 답장 작성이나 이벤트 처리를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상기 제1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제어 이벤트 작성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레이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트레이 기본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과 연계된 영역 또는 독립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KR1020120044795A 2012-04-27 2012-04-27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30121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95A KR20130121524A (ko) 2012-04-27 2012-04-27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U2013204054A AU2013204054B2 (en) 2012-04-27 2013-04-11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US13/871,218 US20130288654A1 (en) 2012-04-27 2013-04-26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EP13165593.8A EP2658219A3 (en) 2012-04-27 2013-04-26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JP2015508871A JP2015520554A (ja) 2012-04-27 2013-04-26 通信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方法
PCT/KR2013/003625 WO2013162322A1 (en) 2012-04-27 2013-04-26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CN2013101516982A CN103379227A (zh) 2012-04-27 2013-04-27 通信服务管理系统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95A KR20130121524A (ko) 2012-04-27 2012-04-27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524A true KR20130121524A (ko) 2013-11-06

Family

ID=4842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795A KR20130121524A (ko) 2012-04-27 2012-04-27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88654A1 (ko)
EP (1) EP2658219A3 (ko)
JP (1) JP2015520554A (ko)
KR (1) KR20130121524A (ko)
CN (1) CN103379227A (ko)
AU (1) AU2013204054B2 (ko)
WO (1) WO20131623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258A (ko) *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케이티 전용망에서의 이동 단말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1834A (zh) * 2013-10-16 2015-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协同处理无线数据的方法、相应装置及系统
KR20150057416A (ko) * 2013-11-19 2015-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6715562B2 (ja) * 2014-03-27 2020-07-01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端末
US10305966B2 (en) * 2014-05-23 2019-05-28 Anders Edvard Trell System for authorization of access
US10097619B2 (en) * 2014-06-24 2018-10-09 Google Llc Cross-device notifications
KR102220766B1 (ko) * 2014-09-03 2021-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를 구성하는 전자 장치와 방법 및 메시지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방법
CN106293316A (zh) * 2015-06-03 2017-01-04 宏碁股份有限公司 通知交互方法及装置
CN105094900A (zh) * 2015-07-13 2015-1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下载控制程序的方法及装置
CN105872944A (zh) * 2015-10-30 2016-08-17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设备间进行通信的方法及通信装置
TWI599249B (zh) * 2015-12-31 2017-09-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行動裝置、閘道裝置、電子裝置及訊息收發系統
JP6295284B2 (ja) * 2016-02-23 2018-03-14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1039321B2 (en) * 2017-07-05 2021-06-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 slicing
US10861454B2 (en) * 2018-06-12 2020-12-08 Mastercard Asia/Pacific Pte. Ltd Interactive voice-activated bot with visual cue
CN111371819B (zh) * 2018-12-25 2022-03-0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多设备协作处理方法、装置、智能设备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270A (ja) * 1999-04-20 2001-01-12 Denso Corp 携帯電話機
JP2002077438A (ja) * 2000-08-30 2002-03-15 Sony Corp 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407966B1 (ko) * 2001-08-24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를 이용한 휴대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86473A (ja) * 2003-03-19 2004-10-14 Hitachi Maxell Ltd 小型電気機器
JP4155147B2 (ja) * 2003-10-07 2008-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着信通知システム
KR20050042961A (ko) * 2003-11-04 2005-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방법
US8320528B2 (en) * 2004-06-14 2012-11-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message notification
WO2005125029A2 (en) * 2004-06-14 2005-12-29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message notification
KR100735429B1 (ko) * 2005-11-11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방법및 시스템
US7783702B2 (en) * 2005-11-30 2010-08-24 Microsoft Corporation Using a mobile phone to control a personal computer
KR100738566B1 (ko) * 2006-01-27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포니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무선단말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US20070254640A1 (en) * 2006-04-27 2007-11-01 Bliss Stephen J Remote control and viewfinder for mobile camera phone
KR100834622B1 (ko) * 2006-06-2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시스템
US20080003996A1 (en) * 2006-06-30 2008-01-03 Nokia Corporation Controlling mobile messaging remotely
JP2008242827A (ja) * 2007-03-27 2008-10-09 Toshiba Corp 着信対応システム
JP4925940B2 (ja) * 2007-06-26 2012-05-09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マナーモード設定方法、マナーモード設定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8081963B2 (en) * 2008-02-12 2011-12-20 Microsoft Corporation Utiliz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from remote computers
DE102008048468A1 (de) * 2008-09-24 2010-04-08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Verfahren, Telefon, Telekommunikationsanlage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s Energieverbrauchs eines Telefons
US20100138748A1 (en) * 2008-12-03 2010-06-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Access to Remote Computer
US8644304B2 (en) * 2009-01-22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P telephony on a home network device
DK2908540T3 (en) * 2009-04-01 2016-12-19 Oticon As A method for pairing of wireless devices
US20100259464A1 (en) * 2009-04-14 2010-10-14 Jae Young Chang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387257B2 (ja) * 2009-09-15 2014-01-1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86332B1 (ko) * 2010-04-29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그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95810B1 (ko) * 2010-05-07 2017-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605413B1 (en) * 2010-08-13 2018-10-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system comprising the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248562B1 (ko) * 2010-08-25 2013-03-28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258A (ko) *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케이티 전용망에서의 이동 단말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2322A1 (en) 2013-10-31
CN103379227A (zh) 2013-10-30
AU2013204054B2 (en) 2015-08-13
AU2013204054A1 (en) 2013-11-14
US20130288654A1 (en) 2013-10-31
EP2658219A3 (en) 2014-10-29
JP2015520554A (ja) 2015-07-16
EP2658219A2 (en)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1524A (ko)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457632B1 (ko) 프로그램 알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알림 방법
US11082397B2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er of electronic device
US10725649B2 (en) Graphic cod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04518953B (zh) 删除消息的方法、即时通信终端及系统
EP2672682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01151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8566332B (zh) 一种即时通讯信息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20120036441A1 (en) Interface for mobile device and computing device
WO2022017107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4298554A (zh) 管理多任务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CN110716676A (zh) 一种消息提醒的方法和终端
WO2019019952A1 (zh) 文件夹发送方法、发送终端、接收终端以及存储介质
CN104104711A (zh) 阅读历史处理方法和装置
CN104954159A (zh) 一种网络信息统计的方法和装置
EP1783638A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earching for user data in same
CN103472995A (zh) 一种消息展示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2116996B1 (ko)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EP3185515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CA276841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notes in a wireless device
CN114911759A (zh) 一种文件接续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KR101688791B1 (ko) 범용 편집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6681845B (zh) 一种管理通讯消息的方法和装置
US201202145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notes in a wireless device
CN111432355B (zh) 消息发送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