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791B1 - 범용 편집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범용 편집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791B1
KR101688791B1 KR1020100131818A KR20100131818A KR101688791B1 KR 101688791 B1 KR101688791 B1 KR 101688791B1 KR 1020100131818 A KR1020100131818 A KR 1020100131818A KR 20100131818 A KR20100131818 A KR 20100131818A KR 101688791 B1 KR101688791 B1 KR 101688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ata
input
gener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311A (ko
Inventor
김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3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791B1/ko
Priority to US13/279,600 priority patent/US20120159524A1/en
Publication of KR2012007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4Object oriented software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 편집기(general editor)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 설정된 소정의 데이터 편집 기능과 관련된 범용 편집기(general editor)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방식과 동일한 데이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연동하여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범용 편집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nad method for supporting general editor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입력신호로 사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입력 수단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고 증대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 내 메뉴 탐색 과정을 거치고 각각의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에 부합되는 데이터 입력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등장함에 따라, 데이터 입력 방식이 중복되는 경우도 발생하며, 동일한 데이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편집기능을 별도로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 방식의 중복은, 이동 단말기의 리소스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탐색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낭비로 인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들의 접근성 및 이용 편의성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단말기에서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구동되던 편집 수단과는 달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범용 편집기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a)기 설정된 소정의 데이터 편집 기능과 관련된 범용 편집기(general editor)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단계; (b)상기 데이터 입력방식과 동일한 데이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연동하여 활성화하는 단계; 및 (c)상기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b)단계는, 상기 데이터 입력 방식과 동일한 데이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그룹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그룹 리스트 중 상기 사용자의 제어 신호로 특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 관련 모듈에 포함된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단계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은, 상기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각 어플리케이션 고유의 기능을 적용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부; 및 기 설정된 소정의 데이터 편집 기능과 관련된 범용 편집기(general editor)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의 입력방식과 동일한 데이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입력 방식과 동일한 데이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그룹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출력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 인가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는 상기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 관련 활성창을 상기 연동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관련 활성창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내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입력 수단으로 범용 편집기를 이용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리소스를 절약하여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구현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범용 편집기의 사용으로 사용자들의 각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 용이성, 이동 단말기 메뉴사용의 편의성 및 탐색시간 단축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범용 편집기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입력신호로 사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입력 수단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메모리(160), 전원공급부(170) 및 제어부(20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무선 인터넷 모듈(112) 및 위치정보 모듈(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A/V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V 입력부(120) 및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의 입력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41) 및 음향 출력 모듈(14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하며,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60)는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거나 A/V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출력부(14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20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일 예로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범용 편집기 기능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범용 편집기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범용 편집기 모듈(210)은 사용자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41) 상에 범용 편집기 기능을 실행시켜 사용자가 텍스트, 음성, 이미지, 화상 등의 입력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범용 편집기 모듈(210)은 A/V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0) 내 기 설정된 다른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연동하여 편집사용하도록 동작한다.
이하, 범용 편집기 모듈(21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범용 편집기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 기능과 관련하여 제어부(200)는 범용 편집기 모듈(210) 및 범용 편집기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그룹(220)을 포함한다.
범용 편집기 모듈(210)은 편집기 동작과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사용자 데이터 입력을 위한 동작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편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며, 편집 툴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범용 편집기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가 사용한 입력 방식에 따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 방식이 텍스트 데이터, 음성 데이터, 화상 데이터인지 여부에 따라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범용 편집기 모듈(210)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211) 및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연동하여 동작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11)는 A/V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 음향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저장 기간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시점부터 범용 편집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입력 데이터가 전달되기까지의 시간으로 제한된 시간동안 저장하도록 설정하거나 사용자의 삭제 제어 신호가 인가될때까지 저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11)에 저장되는 입력 데이터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구동시 입력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범용 편집기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여 단문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하고, 이후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서 이전에 입력했던 데이터를 불러와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연동부(212)는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 그룹(220)에 속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범용 편집기 기능이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211)로부터 텍스트 데이터, 음향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어플리케이션 그룹(22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그룹(220)은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A/V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사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그룹(220)은 단문(SMS)/장문(MMS)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모듈(221),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모듈(222),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223) 및 메모장 어플리케이션 모듈(2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어플리케이션 모듈(221 내지 224)은 범용 편집기 모듈(210)로부터 전달받은 입력 데이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 고유의 기능이나 속성을 적용하여 적합한 데이터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도 범용 편집기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면 어플리케이션 그룹(220)에 포함되어 범용 편집기 모듈(21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범용 편집기 구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가 이동 단말기로 인가된다(S300).
이때, 이동 단말기가 키버튼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소정의 단축키(예, 문자메시지 기능이 설정된 단축키)에 범용 편집기 기능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해당 키버튼을 통해 구동 신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여 입출력이 동시에 수행되는 이동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되는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소정의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100)는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범용 편집기 모듈(210)을 활성화한다(S301).
범용 편집기 기능과 구동되면, 사용자는 카메라, 마이크와 같은 A/V 입력부 또는 키버튼, 터치패드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한다. 입력되는 데이터는 텍스트, 음성, 화상, 이미지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S302).
이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S303).
다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제어신호에 의해 범용 편집기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나열된 어플리케이션 그룹 리스트가 제공된다. 리스트가 제공되는 형태는 디스플레이부(141)의 일정 영역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 및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S304).
이후, 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선택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활성화된다(S305).
예를 들어, 범용 편집기 기능이 구현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141)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즉시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전 단계(S302)에서 범용 편집기 모듈(210)에 입력된 데이터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입력 데이터로 불러온다(S306).
그리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전 단계(S306)에서 전달된 데이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 고유의 기능이나 속성을 적용하여 적합한 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S307).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를 사용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소정의 단축키를 별도로 구현하거나 또는 기존의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키버튼을 범용 편집기 구현을 위한 키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키패드 방식의 이동 단말기에 설정되는 단문/장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관련된 키버튼(300)을 범용 편집기 구동을 위한 키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a)와 같이,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디스플레이부(141)상의 전면에 범용 편집기 동작을 위한 창(400)이 출력된다.
범용 편집기 창(400)의 상단에는 편집기능 사용과 관련된 편집 툴(tool; 410)이 위치하고, 범용 편집기의 창(410)의 일정 영역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가 출력되는 데이터 출력부(420)가 위치한다.
범용 편집기 툴(410)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 타입에 따라 텍스트 입력과 관련된 아이콘(411), 음성 데이터 입력과 관련된 아이콘(412), 화상 데이터 입력과 관련된 아이콘(413)을 포함한다. 각각의 아이콘 선택에 따라 카메라(121), 마이크(122) 또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구동된다.
사용자의 데이터 입력 후, 도 4의 (b)와 같이 사용자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범용 편집기로부터 연동될 수 있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나열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430)가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430)상에서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자신이 입력한 데이터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입력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리스트(430)는 사용자가 사용한 데이터 입력 방식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한 데이터 입력 방식에 따라 리스트는 변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되는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하여 범용 편집기를 통해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를 일 예로 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출력 장치 이외 입력 장치로도 사용하는 경우이다.
도 5의 (a)와 같이,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디스플레이부상의 전면에 범용 편집기 동작을 위한 창(500)이 출력된다.
범용 편집기 창(50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가 출력되는 데이터 출력부(510)가 위치하고, 하단에는 텍스트 데이터 입력을 위한 가상 키패드(520)가 위치한다.
사용자가 가상 키패드(52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을 완료하면, 도 5의 (b)와 같이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범용 편집기로부터 연동될 수 있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나열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530)가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에 출력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530)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c)와 같이 범용 편집기 동작을 위한 창(500)이 출력되었던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은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구동된 다른 어플리케이션 동작과 관련된 창(540)으로 전환된다.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범용 편집기를 통해 입력한 데이터를 불러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입력데이터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하고 싶은 경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530)상에서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어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기능에 따라 편집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상기 도 5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범용 편집기 기능을 활성화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범용 편집기와 연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중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 동작과 관련된 창(550)으로 전환되고, 사용자는 범용 편집기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 5 또는 상기 도 6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재사용할 수 있다. 범용 편집기 모듈(210)의 데이터 저장부(211)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하여 범용 편집기 입력창(510)에 출력되고, 사용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용 편집기와 연동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 동작과 관련된 창(560)으로 전환되고, 사용자는 기존에 범용 편집기를 통해 입력했던 데이터를 재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텍스트, 음향,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편집기의 일관성으로 기존의 어플리케이션별로 독립된 데이터 입력방식을 일괄적으로 통합할 수 있어 사용의 용이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범용 편집기 기반의 데이터 파일 네이밍(data file naming)을 통하여 파일 분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기 설정된 소정의 데이터 편집 기능과 관련된 범용 편집기(general editor)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단계;
    (b)상기 데이터 입력방식과 동일한 데이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연동하여 활성화하는 단계; 및
    (c)상기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데이터 입력 방식과 동일한 데이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그룹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그룹 리스트 중 상기 사용자의 제어 신호로 특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 관련 모듈에 포함된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각 어플리케이션 고유의 기능을 적용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6.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부; 및
    기 설정된 소정의 데이터 편집 기능과 관련된 범용 편집기(general editor)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의 입력방식과 동일한 데이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입력 방식과 동일한 데이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그룹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출력하도록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 인가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는 상기 범용 편집기 어플리케이션 관련 활성창을 상기 연동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관련 활성창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00131818A 2010-12-21 2010-12-21 범용 편집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8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18A KR101688791B1 (ko) 2010-12-21 2010-12-21 범용 편집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3/279,600 US20120159524A1 (en) 2010-12-21 2011-10-24 User equipment having a general edi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18A KR101688791B1 (ko) 2010-12-21 2010-12-21 범용 편집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311A KR20120070311A (ko) 2012-06-29
KR101688791B1 true KR101688791B1 (ko) 2016-12-26

Family

ID=4623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818A KR101688791B1 (ko) 2010-12-21 2010-12-21 범용 편집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59524A1 (ko)
KR (1) KR101688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3753A (zh) * 2016-08-16 2017-01-04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编辑器的开发方法和装置,编辑方法及编辑器
US11138251B2 (en) 2018-01-12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to customize and view permissions, features, notifications, and updates from a cluster of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7188A (en) * 1994-05-31 1996-11-19 Future Labs, Inc. Method to provide for virtual screen overlay
US7617450B2 (en) * 2004-09-30 2009-11-1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reating, inserting, and reusing document parts in an electronic document
TW200744357A (en) * 2006-05-22 2007-12-01 Chien-Chiang Peng Fast opening system for application function
US20080299960A1 (en) * 2007-06-01 2008-12-04 Kendall Gregory Lockhar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ssage transmissions on a mobile device
US20110087739A1 (en) * 2009-10-12 2011-04-14 Microsoft Corporation Routing User Data Entries to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311A (ko) 2012-06-29
US20120159524A1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4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대화 보관함 검색방법
EP19568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CN103124283B (zh) 可协同复数个行动装置进行协同编辑的电子装置与方法
CN107037949A (zh) 一种分屏显示方法及装置
KR101799894B1 (ko) 원격 협조 방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397002B1 (ko)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20130121524A (ko) 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4298554A (zh) 管理多任务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JP200728017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5652671A (zh) 智能设备工作模式的设置方法和装置
CN105072246A (zh) 信息同步方法、装置及终端
CN106991005A (zh) 操作系统的切换方法及装置
WO2023185817A1 (zh) 多设备协作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5892805A (zh) 即时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CN100474867C (zh) 处理移动通信终端警告消息的设备和方法
KR10147442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 모터 제어 방법
JP2006338406A (ja) 通信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映像表示システム、通信端末制御方法、情報処理方法、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688791B1 (ko) 범용 편집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8234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272539B (zh) 类标改变消息系统和方法
CN106126488A (zh) 信息存储方法及装置
CN108735212A (zh) 语音控制方法及装置
CN105045508A (zh) 系统模式的设置装置及方法
CN105516335B (zh) 移动终端应用的方法及装置
CN114647623A (zh) 文件夹处理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