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751A -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751A
KR20170054751A KR1020150157300A KR20150157300A KR20170054751A KR 20170054751 A KR20170054751 A KR 20170054751A KR 1020150157300 A KR1020150157300 A KR 1020150157300A KR 20150157300 A KR20150157300 A KR 20150157300A KR 20170054751 A KR20170054751 A KR 20170054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mposite
composite content
content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380B1 (ko
Inventor
강상철
전진수
조익환
송형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3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mage modifying data, e.g. handwritten addenda, highlights 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은,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의 리소스 파일(resource file)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컨텐츠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ID)를 할당하는 단계,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위치 정보, 상기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 상기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컨텐츠 식별자에 의해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이 실행되어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로 구성된 복합 컨텐츠가 로딩되도록 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COMPOSITE CONTENTS PACKAGE}
본 발명은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증강 현실과 같은 환경에서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복수 개의 단일 속성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실행할 수 있는 복합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단일 속성 컨텐츠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데에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복합 컨텐츠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가상 현실 혹은 증강 현실과 같이 가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현된 다양한 컨텐츠가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인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은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 낸 가상 공간으로서,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특징이 있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 현실의 한 분야로서, 사용자가 보는 현실의 객체에 가상의 정보를 합성하여, 가상의 정보를 현실의 일부로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는 기법을 가리킨다.
최근에는 모바일 관련 기술의 발달에 따라, AR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전자 기기들이 상용화되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smartphone) 등과 같이 촬영 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가 촬영하는 실제 객체의 영상에 가상의 정보, 즉 AR 컨텐츠를 오버랩하여 출력하는 기능은 현재 대중화되어 비교적 흔하게 체험할 수 있다.
도 1은 AR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컨텐츠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실 세계로부터 컨텐츠 실행 장치로 특정 객체의 이미지, 예컨대 특정 물건, 사람이나 동물, 혹은 건물이나 장소 등의 이미지가 입력될 때, 컨텐츠 실행 장치가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객체의 이미지 위에 출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3차원 애니메이션, 동영상, 이미지 혹은 오디오 등 다양한 속성을 가질 수 있다.
AR 환경이 주는 이점을 충분히 누리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한 가지 속성의 단일 속성 컨텐츠만을 실행하는 것을 넘어서,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복수 개의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예컨대,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단일 속성 컨텐츠들이 연계되어 실행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다 복잡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문헌 중 특허문헌 1은 AR 환경 하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컨텐츠를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결합된 컨텐츠를 사용자 상황 또는 환경 맥락 정보 등의 일정한 기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 역시 서로 다른 속성의 컨텐츠를 통합하여 실행하는 것에 대한 해결 방안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복수 개의 단일 속성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실행할 수 있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4-0079936 (2014.06.30.공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AR과 같은 환경을 위한 컨텐츠의 생성 및 실행에 있어서, 복수 개의 단일 속성 컨텐츠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데에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은,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의 리소스 파일(resource file)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컨텐츠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ID)를 할당하는 단계,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위치 정보, 상기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 상기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컨텐츠 식별자에 의해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이 실행되어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로 구성된 복합 컨텐츠가 로딩되도록 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는,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의 리소스 파일(resource file)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컨텐츠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컨텐츠 정보 획득부,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를 할당하며,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지정하는 컨텐츠 정보 할당부 및 상기 컨텐츠 위치 정보, 상기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 상기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복합 컨텐츠 식별자에 의해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이 실행되어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로 구성된 복합 컨텐츠가 로딩되도록 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하는 복합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복수 개의 단일 속성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실행할 수 있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속성 컨텐츠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데에서 오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복잡한 동작을 수행하는 복합 컨텐츠를 쉽게 관리 및 실행함으로써 AR 등의 가상 현실 환경이 주는 이점을 충분히 누릴 수 있다.
도 1은 AR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컨텐츠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에 있어,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실행 환경에 대한 예로서 AR 환경을 들도록 하겠지만, 반드시 AR 환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일반적인 가상 현실 환경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도 2의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에 의하면, 비디오 컨텐츠(10)와 이미지 컨텐츠(20),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형태의 입력을 받아들여 특정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이미지 컨텐츠(30) 등의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복수 개의 단일 속성 컨텐츠가 결합된 복합 컨텐츠(40)를 실행하기 위한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예시된 복합 컨텐츠(40)가 실행될 경우, TV를 표현하고 있는 이미지 컨텐츠(20)의 화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비디오 컨텐츠(10)가 실행되며, 이미지 컨텐츠(20) 위의 인터페이스 이미지 컨텐츠(3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비디오 컨텐츠(10)의 채널 혹은 음량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복합 컨텐츠(40)에 의해, 사용자는 다양한 컨텐츠에 기반한 보다 실감나는 컨텐츠를 접할 수 있으며, 컨텐츠를 단순히 수동적으로 열람하는 것을 넘어서 사용자 자신의 필요 혹은 요구를 반영하여 능동적으로 컨텐츠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도 3의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의 리소스 파일(resource file)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컨텐츠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0). 상기 리소스 파일은 단일 속성 컨텐츠의 실질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파일을 말하며, 예를 들어 단일 속성 컨텐츠가 이미지일 경우 원본 이미지 파일, 동영상일 경우 원본 동영상 파일, 웹 문서일 경우 웹에 존재하는 특정 페이지가 될 수 있다. 컨텐츠 위치 정보는 이러한 리소스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주소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위치 정보가 특정 폴더를 가리킬 경우 절대 경로로서 표현될 수 있지만, 상대 경로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정보는 인터넷을 비롯한 네트워크 상의 주소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일 속성 컨텐츠에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ID)를 할당할 수 있다(S120).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는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단일 속성 컨텐츠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는 문자, 숫자, 기호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컨텐츠 그 자체를 식별하기 위한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지정할 수 있다(S130). 복합 컨텐츠 식별자 역시 문자, 숫자, 기호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중 비쥬얼(visual)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가 가상의 3차원 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비쥬얼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 각각에 컨텐츠 배치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S140). 비쥬얼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란 이미지 혹은 동영상 등 시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단일 속성 컨텐츠를 가리킨다. 물론 버튼 등과 같은 이미지를 통해 구현되어, 사용자가 화면에 출력된 해당 이미지를 누르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음악을 재생시키거나,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거나, 특정 웹 페이지를 화면에 출력하는 등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는 이미지 역시 시각을 통해 인식 가능하므로 비쥬얼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배치 정보는 상기 3차원 공간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3차원 위치 정보 및 지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3차원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3차원 좌표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3차원 공간이 3차원 직교 좌표계로 표현될 경우, 컨텐츠 배치 정보는 x좌표, y좌표, z좌표의 값으로 구성된 3차원 위치 정보 및 3차원 오리엔테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복합 컨텐츠의 로딩 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혹은 기 정해진 바에 따라 상기 3차원 공간의 원점이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원점 정보 및 컨텐츠 배치 정보에 근거하여 복합 컨텐츠,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합 컨텐츠 중 비쥬얼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 각각을 배치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복합 컨텐츠의 실행 시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의 복합 컨텐츠의 동작에 관한 정보인 스크립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50).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는 이미지의 경우, 출력된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사용자가 손으로 터치하여 누르면 재생되고 있는 음악 혹은 동영상의 볼륨이 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스크립트 정보는 복합 컨텐츠의 실행 중에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단일 속성 컨텐츠에 대해 기 설정된 입력이 발생할 경우의 복합 컨텐츠의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그 다음으로, 복합 컨텐츠가 실행될 경우의 상기 복수의 단일 컨텐츠 각각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60). 즉, 복합 컨텐츠가 실행될 경우, 경우에 따라서는 복합 컨텐츠에 포함된 단일 속성 컨텐츠 중 특정한 것은 재생시키지 말아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정숙이 요구되는 도서관에 있을 경우, 음악과 같이 청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단일 속성 컨텐츠는 재생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실행 정보는 예컨대, 복합 컨텐츠가 AR 환경에서 실행될 경우 해당 복합 컨텐츠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정해질 수 있다. 복합 컨텐츠의 실행 환경이 AR 환경일 경우, 복합 컨텐츠는 그에 대응하는 객체의 이미지가 입력될 경우 실행될 수 있는데, 이 때 실행 정보는 입력된 객체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정해질 수 있다. 상기 도서관의 예의 경우, 재생 정보는 입력된 객체의 이미지가 도서관 혹은 도서관 내에 존재하는 사물의 이미지일 때 청각적 속성을 갖는 단일 속성 컨텐츠의 재생을 차단하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170).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은 이전의 단계들을 통해 획득 혹은 설정된 컨텐츠 위치 정보,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 및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컨텐츠 배치 정보, 스크립트 정보 및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통해 구현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연산 장치에 의해 그 내용이 해석될 수 있는 형태의 파일이라면 어떤 것이든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S180). 복합 컨텐츠 패키지는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의 리소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와, 바로 전 단계에서 생성된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결합한 압축 파일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복합 컨텐츠 식별자에 근거하여 복합 컨텐츠 패키지가 실행될 경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의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로 구성된 복합 컨텐츠가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에 있어,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예시를 보면, 복합 컨텐츠 패키지는 ZIP 압축 파일로,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은 XML 파일로 구현되어 있다. 먼저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보면, “MyTv”라는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갖는 복합 컨텐츠(이하 MyTv)가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단일 속성 컨텐츠로는 “TV3DModel”이라는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를 갖는 3D 모델 컨텐츠(이하 TV3DModel), “SoundOfMusic”이라는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를 갖는 비디오 컨텐츠(이하 SoundOfMusic) 및 “VolumnUpBtn”이라는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를 갖는 이미지 컨텐츠(이하 VolumnUpBtn)가 정의되어 있다. TV3DModel 및 VolumnUpBtn은 (0, 0, 0) 및 (0, 0.5, 0)이라는 위치 정보를 각각 가지며, (0, -90, 0) 및 (0, 0, 0)이라는 오리엔테이션 정보를 각각 갖는다. 이들 컨텐츠 배치 정보에 의해, 3차원 공간에서의 TV3DModel 및 VolumnUpBtn의 원점에 대한 위치와 기준 방향에 대한 방향이 정해지게 된다. 또한, TV3DModel, SoundOfMusic 및 VolumnUpBtn은 각각 file:///model/OldTV3DModel.dae, http://hoppin.com/movie/SoundOfMusic.mp4 및 href=file:///image/VolumnUpBtn.png라는 컨텐츠 위치 정보를 각각 갖는다. 상기 컨텐츠 위치 정보를 통해, TV3DModel 및 VolumnUpBtn은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하위 폴더 내에 리소스 파일이 존재하지만, SoundOfMusic은 웹상의 공간에 리소스 파일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더하여, VolumnUpBtn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있을 경우 SoundOfMusic의 볼륨을 증가시킨다는 스크립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은 “MyTV.zip”이라는 이름을 갖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으며, TV3DModel의 리소스 파일인 “OldTV3DModel.dae”가 본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model”이라는 하위 폴더에, VolumnUpBtn의 리소스 파일인 “VolumnUpBtn.png”가 본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image”라는 하위 폴더에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의 각 단계를 통해 도 4의 예시와 같은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함으로써, 단일 속성 컨텐츠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데에서 오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복잡한 동작을 수행하는 복합 컨텐츠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다만, 도 4의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4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 해석되지는 않으며, 도 4의 예시 외에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복합 컨텐츠 패키지가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장치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도 5의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는 편의상 실행 환경으로서 AR 환경을 가정하고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AR 환경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앞서 말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과정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4와 겹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우선 객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210). 다음으로, 획득된 영상이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장치에 미리 저장된 영상과 일치할 경우(S220), 가상의 3차원 공간에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로딩할 수 있다(S230). 여기까지는 보통의 AR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단계인 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대응되는 컨텐츠가 복합 컨텐츠 패키지에 의한 복합 컨텐츠인가를 판단할 수 있다(S240). 만일 상기 대응되는 컨텐츠가 복합 컨텐츠가 아닌 일반적인 단일 컨텐츠인 경우, 일반적인 AR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으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S290). 반면, 상기 대응되는 컨텐츠가 복합 컨텐츠일 경우,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근거로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실행하여 복합 컨텐츠를 로딩할 수 있으며, 복합 컨텐츠 패키지에 포함된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통해 복합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50). 상기 획득된 정보들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면서 살펴본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획득된 정보에 근거하여 가상의 3차원 공간에 복합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S260).
복합 컨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기 설정된 형태의 입력이 복합 컨텐츠에 포함된 특정 단일 속성 컨텐츠에 대해 발생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형태의 입력은 예컨대, 사용자가 비쥬얼 속성을 갖는 특정 단일 속성 컨텐츠를 손으로 누르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 설정된 입력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경우(S270),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실행될 수 있다(S280).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되는 이벤트는 예컨대,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단일 속성 컨텐츠를 손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특정한 웹 페이지가 출력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의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과정의 각 단계를 통해 복잡한 동작을 수행하는 복합 컨텐츠를 쉽게 실행함으로써, AR 등의 가상 현실 환경이 주는 이점을 충분히 누릴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방법에 관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관한 실시예들은 상기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100)는 입력부(110), 컨텐츠 정보 획득부(120), 컨텐츠 정보 할당부(130), 복합 컨텐츠 생성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할 때에 도 1 내지 5와 겹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저작자로부터 일정한 명령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혹은 터치 패드(touch pad)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정보 획득부(120)는 단일 속성 컨텐츠 혹은 복합 컨텐츠에 대한, 기존에 존재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정보 획득부(120)는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의 리소스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컨텐츠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 할당부(130)는 단일 속성 컨텐츠 혹은 복합 컨텐츠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여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정보 할당부(130)는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으며, 복합 컨텐츠에 대해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 할당부(130)는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중 비쥬얼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가 가상의 3차원 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비쥬얼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 각각에 컨텐츠 배치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정보 할당부(130)는 복합 컨텐츠의 실행 중에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단일 속성 컨텐츠에 대해 기 설정된 입력이 발생할 경우의 상기 복합 컨텐츠의 동작에 관한 스크립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 할당부(130)는 대응하는 객체의 이미지가 입력될 경우 실행되는 복합 컨텐츠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복합 컨텐츠가 실행될 경우의 복수의 단일 컨텐츠 각각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복합 컨텐츠 생성부(140)는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합 컨텐츠 생성부(140)는 컨텐츠 위치 정보,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 복합 컨텐츠 식별자, 컨텐츠 배치 정보, 스크립트 정보 및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컨텐츠 정보 획득부(120), 컨텐츠 정보 할당부(130) 및 복합 컨텐츠 생성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나 복합 컨텐츠 패키지에 포함된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의 내용을 저작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으며, 복합 컨텐츠에 포함된 각각의 단일 속성 컨텐츠들을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스피커, 헤드폰 등의 통상적인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장치(200)는 객체 입력부(210), 사용자 입력부(220), 제어부(230) 및 컨텐츠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할 때에 도 1 내지 6과 겹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객체 입력부(210)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장치 외부로부터 객체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일반적인 카메라 혹은 3차원 뎁스 카메라 등의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0)는 복합 컨텐츠를 열람하는 사용자로부터 일정한 명령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과정의 각 단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객체 입력부(210), 사용자 입력부(220) 및 컨텐츠 출력부(240)가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출력부(240)는 다양한 속성의 단일 속성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사용자가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스피커, 헤드폰 등의 통상적인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복수 개의 단일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실행할 수 있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함으로써, 단일 컨텐츠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데에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100: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
110: 입력부
120: 컨텐츠 정보 획득부
130: 컨텐츠 정보 할당부
140: 복합 컨텐츠 생성부
150: 출력부
200: 복합 컨텐츠 패키지 실행 장치
210: 객체 입력부
220: 사용자 입력부
230: 제어부
240: 컨텐츠 출력부

Claims (20)

  1.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의 리소스 파일(resource file)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컨텐츠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ID)를 할당하는 단계;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위치 정보, 상기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 상기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컨텐츠 식별자에 의해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이 실행되어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로 구성된 복합 컨텐츠가 로딩되도록 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중 비쥬얼(visual)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가 가상의 3차원 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비쥬얼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 각각에 컨텐츠 배치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배치 정보가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에 더 포함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배치 정보는 상기 3차원 공간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3차원 위치 정보 및 지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3차원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쥬얼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 각각은 로딩 시 지정되는 위치를 상기 3차원 좌표의 원점으로 하여, 상기 컨텐츠 배치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구성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혹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 패키지는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의 리소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결합한 압축 파일 형태로 생성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단일 속성 컨텐츠에 대해 기 설정된 입력이 발생할 경우의 상기 복합 컨텐츠의 동작에 관한 스크립트 정보를 생성하는 스크립트 정보가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에 더 포함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는 상기 복합 컨텐츠에 대응하는 객체의 이미지가 입력될 경우 실행되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합 컨텐츠가 실행될 경우의 상기 복수의 단일 컨텐츠 각각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실행 정보가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에 더 포함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방법.
  10.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의 리소스 파일(resource file)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컨텐츠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컨텐츠 정보 획득부;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를 할당하며,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지정하는 컨텐츠 정보 할당부; 및
    상기 컨텐츠 위치 정보, 상기 단일 속성 컨텐츠 식별자, 상기 복합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복합 컨텐츠 식별자에 의해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이 실행되어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로 구성된 복합 컨텐츠가 로딩되도록 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하는 복합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 할당부는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중 비쥬얼(visual)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가 가상의 3차원 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비쥬얼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 각각에 컨텐츠 배치 정보를 할당하며,
    상기 복합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이 상기 컨텐츠 배치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배치 정보는 상기 3차원 공간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3차원 위치 정보 및 지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3차원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쥬얼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 각각은 로딩 시 지정되는 위치를 상기 3차원 좌표의 원점으로 하여, 상기 컨텐츠 배치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구성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혹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 패키지는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의 리소스 파일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을 결합한 압축 파일 형태로 생성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 할당부는
    상기 복합 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복수의 단일 속성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단일 속성 컨텐츠에 대해 기 설정된 입력이 발생할 경우의 상기 복합 컨텐츠의 동작에 관한 스크립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복합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이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는 상기 복합 컨텐츠에 대응하는 객체의 이미지가 입력될 경우 실행되고,
    상기 컨텐츠 정보 할당부는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합 컨텐츠가 실행될 경우의 상기 복수의 단일 컨텐츠 각각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복합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복합 컨텐츠 소스 파일이 상기 실행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복합 컨텐츠 패키지 생성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2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50157300A 2015-11-10 2015-11-10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10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300A KR102210380B1 (ko) 2015-11-10 2015-11-10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300A KR102210380B1 (ko) 2015-11-10 2015-11-10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751A true KR20170054751A (ko) 2017-05-18
KR102210380B1 KR102210380B1 (ko) 2021-02-01

Family

ID=5904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300A KR102210380B1 (ko) 2015-11-10 2015-11-10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772A (ko)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렛시 증강현실 구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103A (ko) * 2006-05-09 2007-11-15 강송규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20120138608A (ko) * 2011-06-14 201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복합 미디어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80854B1 (ko) * 2013-03-21 2014-04-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웹 정보구조에 기반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40079936A (ko) 2012-12-20 201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103A (ko) * 2006-05-09 2007-11-15 강송규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20120138608A (ko) * 2011-06-14 201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복합 미디어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79936A (ko) 2012-12-20 201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380854B1 (ko) * 2013-03-21 2014-04-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웹 정보구조에 기반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772A (ko)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렛시 증강현실 구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380B1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3224B (zh) 三维环境创作和生成
US9838818B2 (en) Immersive 3D sound space for searching audio
KR101298370B1 (ko) 웹 기반 컨텐츠의 렌더링 가속
US11609675B2 (en) Placement of object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11010141B2 (en) Graphical interface to generate instructions to control a representation by an output interface of one or more objects
CN106462324A (zh) 一种用于在虚拟环境内提供交互性的方法和系统
US10567902B2 (en) User interface for user selection of sound objects for rendering
CN102800045A (zh) 一种图像处理的方法及装置
CN109614565A (zh) 网页生成方法与装置
US201303184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3d graphical user interface
JP7351877B2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プロトタイプの提供方法および装置
CN109426513A (zh) 一种视图组件的处理方法及设备
US201402298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783562A1 (en) Watermark embedd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720635B1 (ko) 웹 기반의 3d 영상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이를 운영하는 서버
CN105094331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210380B1 (ko)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354028B2 (en) Multi-depth image generation and viewing
US9615009B1 (en) Dynamically adjusting a light source within a real world scene via a light map visualization manipulation
CN110990006A (zh) 表单管理系统以及表单生成装置
US20190369555A1 (en) Holographic user interface for mobile menu item selection
CN114344898A (zh) 一种游戏中虚拟对象标记的方法和装置
Lu et al. Design of immersive and interactive applic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machine learning
CN107479780A (zh) 一种虚拟场景处理、下载方法及装置、vr设备
CN115174993B (zh) 用于视频制作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