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256A -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256A
KR20070106256A KR1020060038907A KR20060038907A KR20070106256A KR 20070106256 A KR20070106256 A KR 20070106256A KR 1020060038907 A KR1020060038907 A KR 1020060038907A KR 20060038907 A KR20060038907 A KR 20060038907A KR 20070106256 A KR20070106256 A KR 20070106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struction
concrete body
concrete structur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8733B1 (ko
Inventor
안승한
Original Assignee
안승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한 filed Critical 안승한
Priority to KR102006003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73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복개 공사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육면체의 콘크리트 본체와;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모서리에 설치된 육각형의 골격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내부에 매설된 것으로서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바로 구성된 트러스 거더;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측면에는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끼움바가 마련되며,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끼움바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끼움홈이 마련된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차량이 지나갈 시 소음이 적고, 녹이 슬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며,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모서리에 설치된 골격프레임에 의해 모서리가 파단되지 않으며, 특히 내부에 매설된 트러스 거더에 의해 우수한 강도를 갖는다.
콘크리트, 복공판, 소음, 복개, 트러스 거더

Description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CONCRETE DEVICE FOR COVERING OPENED ROA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에 매설된 트러스 거더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2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도 9 및 도 10에 보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끼움바 14 : 끼움홈
20 : 금속망체 30 : 트러스 거더
32 : 메인바 34 : 지지바
42 : 돌출부 44 : 삽입부
50 : 삽입공 60 : 미끄럼방지수단
70 : 함몰부 80 : 완충패드
90 : 고리홈 92 : 배수공
100 : 콘크리트 본체 100A : 상면
100B : 저면 200 : 골격프레임
201 : 앵글 300 : 플레이트
301 : 돌기 320 : 거푸집
본 발명은 복개 공사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하되, 모서리에 설치된 골격프레임과 내부에 매설된 트러스 거더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특히 우수한 강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소음이 적고 내구성이 좋은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친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방된 부분은 복개되고 있다. 이러한 복개 공사는 주로 복공판이 이용된다. 도로의 개방된 부분에 먼저 철재 빔을 설치하고, 상기 철재 빔 위에 수십 내지 수백 개의 복공판이 배치되어, 복공판 위로 차량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공판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공판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크기 상판(1)과, 이 상판(1)의 양측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2)과, 상기 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리브판(3), 그리고 상기 리브판(3)의 하부에 고정되는 보강판(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재질로는 강철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상판(1)에는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은 그 재질이 강철로 이루어져, 상판(1)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비가 오는 날의 경우 여전히 미끄럼이 발생하며, 특히 강철의 재료적 특성으로 인하여 충격에 대한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녹이 잘 슬어 내구성이 떨어지며, 강철의 원재료 가격이 높은 이유로 제품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09324호에서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판과, 상기 바닥판과 측면판의 단부에 결합되는 단면판으로 형성된 복공판 프레임; 그리고 상기 복공판 프레임의 바닥판, 측면판 및 단면판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에 채워진 콘크리트 등의 채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과 측면판은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된 복공판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은 복공판의 상면이 콘크리트 등의 채움재로 구성되어 강철보다는 소음이 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제시된 복공판 역시 상면을 제외한 측면, 바닥, 앞뒷면을 구성하는 재질이 금속판임에 따라 소음을 방지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내구성이 떨어지고, 강철의 원재료 가격이 높은 이유로 제품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하되, 모서리에는 프레임을 설치하고 내부에는 트러스 거더를 매설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소음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한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 상호간이 향상된 조립구조로 밀착 조립될 수 있는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면체의 콘크리트 본체와; 상기 콘 크리트 본체의 모서리에 설치된 육각형의 골격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내부에 매설된 것으로서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바로 구성된 트러스 거더;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측면에는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끼움바가 마련되며,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끼움바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끼움홈이 마련된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본체 내부에는 트러스 거더의 위쪽에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가 더 매설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콘크리트 본체의 측면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돌출부가 마련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삽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 본체는 인접하는 다른 콘크리트 구조체와 양호한 밀착 조립을 위해 와이어를 삽입하여 쪼일 수 있는 와이어 삽입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는 콘크리트 본체에 매설된 트러스 거더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는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으로 양생 제작되어 시공현장으로 보급되며, 예를 들어 규격은 가로 1,000mm ~ 3,000mm, 세로 500mm ~ 1,500mm, 그리고 두께는 100mm ~ 300mm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친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방된 부분은 복개하기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는 콘크리트 본체(100)와,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모서리(M)에 설치된 골격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골격프레임(200)은 콘크리트 본체(100)의 강도 보강, 특히 콘크리트 본체(100)의 모서리(M)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서, 이는 다수의 앵글(201)이 육각형으로 용접, 조립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앵글(201)이 일체로 성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는 일반 콘크리트(모래, 시멘트 등) 또는 폴리머 콘크리트(폴리머, 모래 등)로 구성되거나, 일반적인 콘크리트와 폴리머 콘크리트의 혼합으로 구성될 있으며, 상면(100A)과 저면(100B), 그리고 4개의 측면을 가지는 육면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면(100A)을 형성하는 상층은 강도 면에서 유리한 폴리머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상층 이하는 가격이 저렴한 일반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측면에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끼움바(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끼움바(12)가 형성된 면의 반 대쪽 면에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끼움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바(12)와 끼움홈(14)은 인접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상호 끼움 조립을 위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끼움바(12)는 도 2에서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끼움바(12)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띄엄띄엄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양호한 조립력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측면에는 돌출부(42)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42)가 마련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삽입부(4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42)는 콘크리트 본체(10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콘크리트 본체(100)의 성형 시, 인서트(insert)시켜 마련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 시 상기 돌출부(42)는 콘크리트 또는 철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42)의 끝단은 삽입부(44)로의 삽입이 양호하도록 테이퍼(taper)지거나 라운드(round)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에는 인접하는 다른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보다 더 양호한 밀착 조립을 위해, 와이어(wire)를 삽입하여 쪼일 수 있는 와이어 삽입공(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배열한 다음, 상기 삽입공(50)에 와이어를 관통시켜 끼운 후, 외부에서 장비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당기어 상호 견고한 밀착 조립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공(50)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체(100)의 측면 말단에 위치하여 두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끼움바(12)의 양쪽에 두개의 삽입공(50)과, 이 삽입 공(50)의 양쪽에 두개의 돌출부(42)가 마련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이때, 상기 끼움바(12)와 끼움홈(14), 그리고 돌출부(42)와 삽입부(44) 및 삽입공(50)이 도 2에서는 본체(100) 측면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끼움바(12)와 끼움홈(14), 그리고 돌출부(42)와 삽입부(44) 및 삽입공(50)은 본체(100) 측면의 전면과 후면은 물론 좌측면과 우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콘크리트 본체(100)의 내부에는 트러스 거더(truss girder, 30)가 매설되어 있다. 상기 트러스 거더(30)는 콘크리트 본체(100) 자체의 강도 보강은 물론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이는 본체(100)의 성형 시에 그의 내부에 매설된다.
도 5a 내지 도 3c는 트러스 거더(30)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거더(3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메인바(32)와, 상기 메인바(32)보다 직경은 작고 상기 메인바(32)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바(34)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바(32)와 지지바(34)는 철재 파이프나 철근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트러스 거더(3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스 거더(30)는 메인바(32)와 지지바(34)로 구성되어지되, 메인바(32)의 개수 및 위치 배열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입방체 구조를 갖는다. 트러스 거더(30)는 예를 들어, 그 단면이 삼각형(도 5a), 직사각형(도 5b), 사다리꼴형 등의 다각형, 또는 "X"자형(도 5c)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러스 거더(30)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매설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4개의 트러스 거더(30)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 매설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아울러, 보다 향상된 보강 구조를 갖도록 콘크리트 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트러스 거더(30)와 직각을 이루도록 다수의 철근이 더 매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내부에는 향상된 강도 보강을 위해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20)가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속망체(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00A) 쪽으로, 즉 트러스 거더(30)의 위쪽에 배치되어 매설되는 것이 상면(100A)의 강도 보강을 위해 좋다.
아울러,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상면(100A)에는 미끄럼방지수단(6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방지수단(60)은 홈이나 돌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홈이나 돌기는 상면(100A)에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가로와 세로로 배열되어 격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미끄럼방지수단(60)이 홈으로서 격자 형태로 배열 형성된 것을 모습을 예시하였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와 골격프레임(200)의 양호한 결합력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와 골격프레임(200)은, 콘크리트 본체(100) 내에 매설된 고정구(250)에 의해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골격프레임(200)에서 콘크리트 본체(100) 내측으로 타카 핀 등의 고정구(250)를 박거나, 또는 콘크리트 본체(100)의 성형 시 고정구(250)를 인서트시켜 콘크리트 본체(100)와 골격프레임(200)의 양호한 결합력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도 2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2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상면(100A) 가장자리에는 골격프레임(200), 즉 골격프레임(200)을 구성하는 앵글(201)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운반용 고리(Hook, H)를 끼울 수 있는 고리홈(9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림홈(9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H)를 끼워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이는 콘크리트 본체(100)의 성형 시에 상기 고리홈(90)이 형성될 위치에 스티로폼 등을 배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양생, 경화시킨 후, 상기 스티로폼을 열로 녹여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201)의 'ㄷ'자형의 단면을 갖는 부재(202)를 용접 결합시킴 다음, 콘크리트를 양생, 경화시켜 상기 부재(20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홈(90)은 비가 오는 경우, 여기에 빗물이 고일 수 있는데, 이러한 빗물이 자연 배수되도록,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의 측면에는 배수공(9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공(92)은 고리홈(90)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측면에 부착된 앵글(201)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예시적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에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금속재 플레이트(300)의 상부에 거푸집(32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300)는 상기 미끄럼방지수단(60)이 홈 형태로 구성되도록 상부 돌기(30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320)은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상을 가지되, 그의 측면에는 끼움바(12)와 끼움홈(14), 바람직하게는 돌출부(42) 및 삽입부(44)가 형성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위와 같이 거푸집(320)을 설치한 다음에는 거푸집(320) 내부에 먼저 폴리머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폴리머 콘크리트는 금속망체(20)가 배치된 위치까지 타설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위에 금속망체(20)를 깔고, 상기 금속망체(20) 위에 트러스 거더(30)를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한 다음, 일반 콘크리를 타설, 양생한다. 이때, 콘크리트 입자가 밀집되도록 다짐 고정을 수행하면 더욱 좋다. 이와 같은 제조과정을 거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저면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10은 상기 도 9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저면(100B)에는 함몰부(7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함몰부(70)란 움푹 패인 부분으로, 이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경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함몰부(70)는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에는 6개가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거더(30)는 콘크리트 본체(100) 내에 2개 이상 매설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함몰부(70)는 트러스 거더(30)를 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스 거더(30)가 4개 설치된 경우, 상기 트러스 거더(30)의 사이에 위치되어 E-E선 단면 방향에는 3개로서, 트러스 거더(30)를 피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콘크리트 본체(100)의 규격이 가로 1,990mm, 세로 750mm인 경우, 상기 트러스 거더(30)는 3개가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로의 길이 750mm 이상으로서 대략 1,000mm인 경우 상기 트러스 거더(30)는 4개가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함몰부(70)는 트러스 거더(3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서 E-E선 단면 방향에 볼 때 2개(트러스 거더(30)가 3개인 경우), 또는 3개(트러스 거더(30)가 4개인 경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저면(100B)에는 완충패드(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패드(8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H형, 또는 I형 등의 빔 위에 설치 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충격흡수를 위한 것으로서, 이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 시트나 실리콘,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도 9 및 도 10에 보인 콘크리트 구조체의 예시적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도 9 및 도 10에 보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금속재 플레이트(300)의 상부에 거푸집(320)을 설치한다. 그리고 거푸집(320) 내부에 먼저 폴리머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폴리머 콘크리트는 금속망체(20)가 배치된 위치까지 타설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위에 금속망체(20)를 깔고, 상기 금속망체(20) 위에 트러스 거더(30)를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한 다음, 일반 콘크리를 타설한다. 이때, 콘크리트 입자가 밀집되도록 다짐 고정을 수행하면 더욱 좋다. 다음으로, 함몰부(70)가 형성되도록 사각틀(330)을 매입시킨 다음, 양생한다. 이와 같은 제조과정을 거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저면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 위에 설치 시 움직이지 않도록 저면(100B)에는 스토퍼(85)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85)는 양쪽에 결합되어지되, 골격프레임(200), 즉 앵글(201)에 용접 결합된다. 이러한 스토퍼(85)는, 그 단면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ㄱ'자형 등의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2에서는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스토퍼(85)를 예시하였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차량이 지나갈 시 소음이 적고, 녹이 슬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며,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모서리(M)에 설치된 골격프레임(200)에 의해 모서리(M)가 파단되지 않으며, 특히 내부에 매설된 트러스 거더(30)에 의해 우수한 강도를 갖는다. 또한, 돌출부(42)와 삽입부(44), 특히 와이어 삽입공(50)이 형성되어 우수한 밀착구조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1)

  1. 육면체의 콘크리트 본체(100)와;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모서리(M)에 설치된 육각형의 골격프레임(200)과;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내부에 매설된 것으로서 메인바(32)와 상기 메인바(32)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바(34)로 구성된 트러스 거더(30);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측면에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끼움바(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끼움바(12)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끼움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트러스 거더(30)의 위쪽에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20)가 더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측면에는 돌출부(42)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 부(42)가 마련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삽입부(4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는 인접하는 다른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밀착 조립을 위해 와이어를 삽입하여 쪼일 수 있는 와이어 삽입공(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상면(100A)에는 홈이나 돌기로부터 선택된 미끄럼방지수단(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60)은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홈은 돌기(301)가 형성된 플레이트(300)의 상부에 거푸집(320)을 설치한 다음, 상기 거푸집(320)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와 골격프레임(200)은, 콘크리트 본체(100) 내에 매설된 고정구(250)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에는 골격프레임(200)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운반용 고리(H)를 끼울 수 있는 고리홈(9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측면에는 상기 고리홈(90)과 연통된 배수공(9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저면(100B)에는 함몰부(70)가 형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본체(100)의 저면(100B)에는 완충패드(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KR1020060038907A 2006-04-28 2006-04-28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KR10081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907A KR100818733B1 (ko) 2006-04-28 2006-04-28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907A KR100818733B1 (ko) 2006-04-28 2006-04-28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572U Division KR200420900Y1 (ko) 2006-04-28 2006-04-28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256A true KR20070106256A (ko) 2007-11-01
KR100818733B1 KR100818733B1 (ko) 2008-04-08

Family

ID=3906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907A KR100818733B1 (ko) 2006-04-28 2006-04-28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7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4947A (zh) * 2013-04-25 2013-07-10 中建四局第六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可周转使用的临时道路路基块
KR20170001114A (ko) * 2015-06-25 2017-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바퀴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232B1 (ko) 2008-08-14 2010-10-07 최해곤 다목적 가림블럭
KR101543585B1 (ko) 2014-04-30 2015-08-11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
US20170051506A1 (en) * 2014-04-30 2017-02-23 Seung Han AN Concrete panel for constructing floor of building, shock absorption unit, and floor construction structure for building including same
KR101543587B1 (ko) 2014-10-24 2015-08-11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콘크리트 패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 시공구조
KR102144942B1 (ko) 2018-05-04 2020-08-18 (주)바로건설기술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16321B1 (ko) 2019-10-02 2021-10-25 (주)바로건설기술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지하구조물의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82462B1 (ko) 2019-10-02 2020-11-24 (주)바로건설기술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16319B1 (ko) 2019-10-02 2021-10-25 (주)바로건설기술 유니트바닥판의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3034U (ko) 1973-06-26 1975-03-14
JPS5296525U (ko) 1976-01-19 1977-07-19
JPS605044Y2 (ja) 1980-10-01 1985-02-1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鋼製床版の吊り孔段積受装置
JPS60111906U (ja) 1983-12-30 1985-07-29 株式会社 スリ−ボンド 道路の仮復旧用ブロツク
KR200380677Y1 (ko) 2004-11-24 2005-04-07 오수철 복공판
KR200428509Y1 (ko) 2006-07-25 2006-10-13 이용호 복공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4947A (zh) * 2013-04-25 2013-07-10 中建四局第六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可周转使用的临时道路路基块
CN103194947B (zh) * 2013-04-25 2015-08-19 中建四局第六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可周转使用的临时道路路基块
KR20170001114A (ko) * 2015-06-25 2017-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바퀴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733B1 (ko) 2008-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733B1 (ko)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KR101630235B1 (ko) 안전성이 강화된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0951097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KR100495782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이 패널을 사용한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101344063B1 (ko)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US2016004036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idewalk tiles
KR100935430B1 (ko) 장지간 하이브리드 딥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림 플로어구조물
KR102321338B1 (ko) 터널내 급속설치가 가능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및 시공방법
JP2001295298A (ja) 柱状構造物用基礎とその施工方法
KR100650411B1 (ko)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JP5356780B2 (ja) 構造物及び構造物の施工方法並びに設計方法
KR200420900Y1 (ko)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KR102220544B1 (ko) 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30986B1 (ko) 역류방지형 콘크리트 타설구 및 바이브레이터 근입구가 구비된 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외벽 선시공 공법
KR102386348B1 (ko) 보강공간 확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더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CN205382595U (zh) 钢管混凝土边缘约束叠合整体式剪力墙
JP2821468B2 (ja) セル構造物による補強土構造物
KR1007796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2108237B1 (ko)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그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 및 그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6211731B1 (ja) コンクリート製受圧板及び該受圧板を用いた受圧構造
JP4147090B2 (ja) 地下貯水槽用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CN210262558U (zh) 轻质土道路侧墙结构
CN214459285U (zh) 角锁式预制钢筋混凝土道板
KR100389535B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 및 그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