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831A - 정보 기록 장치와 비디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장치와 비디오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831A
KR20070105831A KR1020070003863A KR20070003863A KR20070105831A KR 20070105831 A KR20070105831 A KR 20070105831A KR 1020070003863 A KR1020070003863 A KR 1020070003863A KR 20070003863 A KR20070003863 A KR 20070003863A KR 20070105831 A KR20070105831 A KR 20070105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uni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7617B1 (ko
Inventor
히로유끼 마루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10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11B19/041Detection or prevention of read or write e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DVDs belonging to the plus family, i.e. +R, +RW, +V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DVD+RW와 같이 CELL의 번호를 변경하면서 기록해야만 하는 매체에서는,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촬영과 같이 기록과 정지의 간격이 짧은 기록이 반복되면, 매체의 용량에 차지 않아도 CELL의 제한값에 도달하게 되어, 기록 정지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유저는 의도하지 않는 기록 정지를 당한다. 기록 중에 매체의 용량(601, 611, 621)뿐만 아니라, CELL의 잔여 수도 연동하도록 하는 잔량 산출과 표시(600, 610, 620)를 행하도록 한다. 용량의 잔량에 잔여 CELL을 연동시킴으로써 서서히 잔량이 감소하여, 돌연 기록 정지가 일어났다고 느끼게 하지 않을 수 있다.
AV 신호 처리부, 포맷 처리부, 매체 R/W, 잔량 제어부, 시스템 제어부, 마이크, 압축 신장부, 다중/분리부

Description

정보 기록 장치와 비디오 카메라{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VIDEO CAMERA}
도 1은 기록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VOBS의 데이터 구성의 차이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CELL의 제한으로 기록이 정지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잔여 CELL수와 기록 가능 잔여 시간과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잔여 CELL수를 고려하지 않은 잔량 표시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잔여 CELL수를 고려한 잔량 표시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기록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입력부
101 : AV 정보 처리부
102 : 포맷 처리부
104 : 메모리
105 : 전원부
106 : 리더 라이터부
107 : 시스템 제어부
108 : 잔량 제어부
[특허 문헌1] 일본 특개평 11-328937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개 2004-318975호 공보
기술 분야는, 디스크 등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 가능 잔량의 통지에 관한 것이다.
기록 장치에서, 기록 가능 잔량(나머지 촬영 시간 등)을 통지하는 기술이 몇가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1에는, 「입력 화상을 압축하고 있는 현재의 비트 레이트와 기록 매체의 현재의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에 기초하여, 기록 잔량 정보 산출 수단에 의해, 기록 잔량 정보를 산출하고, 표시 수단에 의해, 해당 산출한 기록 잔량 정보를 표시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2에는,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리얼타임 카운터와 기록 가능 잔량 시간의 동기를 취함으로써, 유저에게 있어서 위화감이 없는 카운터 정보의 표시 형태를 제공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최근,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매체로서, 테이프로부터 디스크로의 이행이 진행되고 있다. 디스크는, 랜덤 액세스 가능하기 때문에, 되감기가 불필요하고 덮어쓰기의 염려가 없어, 기록한 정보의 검색이나 재생이 용이하다.
디스크의 대표예로서 DVD를 들 수 있다. DVD에는, 몇개의 규격이 있다. 10만회의 재기입이 가능하다고 하는 DVD-RAM, 이 RAM에 채용되어 있는 비디오 레코딩 규격과 DVD-ROM에서 채용되어 있는 비디오 규격의 양방에 대응한 DVD-RW, 기존의 플레이어와의 호환이 높은 DVD-R이, DVD 포럼에서 책정되어 있다. 또한, DVD+RW 얼라이언스라고 하는 단체에서 DVD+RW나 DVD+R이 책정되어 있다.
DVD-RW나 DVD+R(이하, +계의 매체라고도 함)은, 최신의 제로 링킹 기술(CD-R 미디어 등에 데이터를 기입할 때, 드라이브에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입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여 기입에 실패하게 되는 「버퍼 언더런 에러」를 회피하여, 안정된 기입을 실현하는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플레이어와의 호환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DVD+RW는, 오서링용의 비디오 규격을 베이스로 하면서 간이이면서 DVD-RAM과 같이 편집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기존의 플레이어에서 재생하기 위해서는, 파이널라이즈를 행할 필요가 있지만, +계의 매체의 경우에는 제품으로부터 취출할 때에 자동적으로 파이널라이즈를 행하기 때문에, 일일이 파이널라이즈를 행한다고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이 DVD+RW의 기본 데이터 구조는, 비디오 규격에 준거하고 있지만 비디오 규격보다도 제한이 많다. VOBS의 제한 등도 있지만, 여기서는 CELL의 제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이용하여 VF(DVD 비디오 포맷) 준거의 데이터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다. 도 2의 (a)는 CELL_ID가 모두 1인 경우이며, 도 2의 (b)는 CELL_ID가 갱신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영상 음성의 데이터 전체를 VOBS(Video OBject Set)(200)로 부른다. 이 VOBS(200)는, 복수의 VOB(Video OBject)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이 참조 부호 201이다. 이 VOB(201)는, 복수의 CELL로 구성되어 있다. 이 CELL이란, 재생할 때에 제어되는 최저한의 데이터의 집합으로서, 영상·음성·네비게이션 정보의 팩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DVD-R에 비디오 규격 준거로 기록을 할 때에는, 원래 CELL_ID의 최대값은 255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 제한을 피하기 위해, 통상 CELL_ID를 모두 1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이 참조 부호 202이다. 즉, 비디오 준거의 구성으로서는, (a)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비디오 규격 준거인 DVD+RW에는 CELL_ID에 대하여 다음의 규정이 있다 「CELL_ID는, 동일한 값이 아니라, 유니크한 값으로 1 내지 254이다. 또한, VOB의 최후를 나타내는 버퍼 셀의 CELL_ID는 255로 할 것」. 즉, 이러한 제한을 갖는 매체에 기록을 하는 경우에는,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ELL_ID를 갱신해 가며 255는 초과하지 않도록 CELL을 생성해야만 한다.
또한, VOB에도 있는 VOB_IDN에 관해서는, 반대로 모두 1로 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DVD-R의 경우에는 참조 부호 202와 같은 구성이 일반적이지만, DVD+RW의 경우에는, 참조 부호 203과 같이 모두 1로 할 필요가 있다.
이 CELL은, 기록 중에 몇십초마다 생성되어 간다. 또한, 이 CELL의 시간은, 내부에서 갖는 버퍼의 크기에 의존한다. 이것은 CELL 내의 네비팩에, CELL의 정보 간(예를 들면 임의의 특정한 시간에 대하여 과거 및 미래에 기록된 정보)을 제휴하기 위한 정보를 전개해 두기 때문에, 버퍼에 전개할 수 있는 크기로 한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CELL의 길이는 이 버퍼의 사이즈보다도 작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제품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면 기록 레이트는 3Mbps의 경우에는 CELL의 시간은 약 60초 정도이다. 또한, 1회의 기록을 씬으로 부르는 것으로 하면 CELL은 재생의 최소 단위이므로, 씬이 작성될 때마다 CELL은 일단 닫혀져야만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3Mbps의 기록 레이트로 10초 정도마다 기록을 계속하는, 즉 10초 정도의 씬을 계속하면, 10초 정도의 CELL이 증가하게 된다. 이들 CELL은 60초가 다 안되었지만, 1개의 CELL이기 때문에 254CELL로 제한된다. 따라서, 254CELL=254씬을 기록하자마자 다음의 기록이 금지되게 된다. 기록기는 규격에 준거하기 때문에 기록을 금지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도 3을 이용하여, 더 설명한다. 기록 레이트는 3Mbps로 하고, CELL의 시간은 약 60초로 한다. 도 3의 (a)는, 253개의 CELL(10초*253씬:10초로 닫혀진 CELL로 구성되어 있음)을 갖는 VOB의 상태로부터 기록을 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상태로부터 기록을 개시하면, 약 60초 후에 CELL이 1개 작성된다. 그러나 그 상태 그대로 해 두면 도 3의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시 CELL_ID=255의 CELL도 작성하게 된다. 또한, 255CELL을 버퍼 셀이라고도 한다. 그 때문에, 255의 CELL을 작성하기 직전에, 혹은 CELL_ID=254의 CELL이 완성되자마자 기록을 정지할 필요가 있다. 도 3의 경우, 약 42분 정도 기록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매체의 용량에 기초하면 잔량은 약 18분 있을 것이다. 즉, 종래의 잔량 표시에서는 18분으로 표 시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기록을 할 수 없는, 기록이 도중에서 정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유저에 대하여, 잔여 기록 시간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록을 할 수 없는, 의도하지 않은 타이밍에서 기록이 정지되게 되는 등의 불편을 끼치게 될지도 모른다. 또한, 돌연히 기록이 금지되므로 중요한 촬영 기회를 놓치게 될지도 모른다.
특허 문헌1은, 가변 비트 레이트에 의한 기록 가능 잔량의 변화를 고려하고 있지만, CELL 등의 상한값 등은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바꿔 말하면, 비트 레이트가 일정하다고 해도, CELL수가 254로 되게 되면 매체의 용량이 남아 있다고 해도 기록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제는, DVD+RW의 CELL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록 영역의 용량과는 별도로, 기록 영역의 구성 단위(예를 들면, CELL에 상당하는 것)에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매체의 기록 영역의 구성 단위의 잔량에 기초하는 기록 가능 잔량의 통지, 또는, 매체의 기록 영역의 구성 단위의 잔량과 기록 영역의 용량에 기초하는 잔량을 병용하여 통지하는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과제, 수단, 효과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의 설명 중에서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결부되어 이 하의 기재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실시 형태의 예를 설명한다. 예로서 DVD+RW에 대응한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DVD가 아니라 BD나 HD-DVD이어도 되고, 카메라가 아니라 거치의 레코더이어도 되며, 그 외에도, 기록 영역의 용량과는 별도로 기록 영역의 구성 단위(CELL에 상당히 하는 것)로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매체에 기록하는 장치나 시스템에 적합하다. 논리적인 기록 영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와 도 3의 설명에서 상술하였다. 보충하면, CELL이란, VF 등으로 규정되어 있고, 재생되는 콘텐츠의 기본 단위이다. 하나의 셀은 정수개의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VOBU)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셀을 하나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 내의 서로 다른 프로그램 체인(PGC)에서 이용할 수 있다. PGC는 관리 정보로서, 셀을 재생 순으로 지정하는 리스트를 갖는다. 제한이란, 반드시 이하를 모두 구비할 필요는 없지만, 구성 단위당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은 가변이지만 한계 용량이 있고, 재생하기 위해서는 구성 단위를 닫히는 것이 요구되어, 단위의 고유 정보(ID)를 개개로 변경해야 하고, 또한, 그 고유 정보를 유한으로밖에 설정할 수 없다고 하는 제한이다. 또한 여기서, 용량이란, 예를 들면 MB의 단위 등으로 표현되는, 매체에 기억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을 나타낸다. 또한, 매체의 기억할 수 있는 용량의 나머지는, 예를 들면, 매체의 물리적(고정된)인 영역인 섹터 어드레스에 의해서 취득하는 방법 등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DVD+RW에 기록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참조 부호 100은, 영상 음성을 입력하는 입력부로서, 렌즈, CCD(Charge Coupled Devices. 촬상 소자라고도 함), 마이크를 포함한다. A/D 변환기에 의해 영상과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한다. 참조 부호 103은,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는 조작부로서, 녹화/정지 버튼이나 줌 버튼 등을 포함한다 참조 부호 101은, AV 정보 처리부이다. 참조 부호 101은, 입력부(100)로부터 취득된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고, 각각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스트림 생성 기능을 포함한다. 영상의 신호 처리나 오디오의 필터 등을 탑재해도 된다. 참조 부호 102는,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포맷을 매체에 맞는 규격에 준거한 정보를 생성하는 포맷 처리부이다. AV 정보 처리부(101)는, 참조 부호 102에서 생성된 정보와 참조 부호 101에서 생성된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영상 음성의 덩어리인 프로그램 스트림을 생성하는 다중 분리 제어 기능도 포함한다.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할 때에는, 다중화된 프로그램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분리한다. 참조 부호 104는, 참조 부호 101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스트림 등을 저장해 두기 위한 버퍼인 메모리이다. 또한, 매체로부터 판독한 정보(기록 개시 위치나 기록 용량)나 장치의 정보(예를 들면, 후술하는 광 픽업의 파워값)를 참조 부호 104에 기억해 두어도 된다. 참조 부호 105는, 비디오 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이다.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해도 되고, 플래그 소켓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해도 된다. 참조 부호 106은, 매체에 읽기 및 쓰기하는 리더 라이터부(R/W부)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DVD+RW에 정보를 읽 기 및 쓰기할 수 있다. 참조 부호 106에는, 광 픽업, 액튜에이터, 매체를 회전시키는 모터, 드라이버가 포함된다. 또한, 참조 부호 104에 예를 들면 동화상 정보를 버퍼할 때에, 어느 정도의 용량 또는 시간의 동화상 정보를 모으고 나서, 배치 처리로 매체에 기입(간헐 기록)함으로써 매체 R/W부(106)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참조 부호 108은, 참조 부호 106에서 판독한 정보로부터 잔여 용량을 구하고, 또한, 참조 부호 102로부터는 CELL의 잔여 수를 산출하고 나서 기록 가능 잔량을 산출하는 잔량 제어부이다. 단, 매체로부터 판독한 정보에 한하지 않고, 메모리(104)에 기억, 갱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가능 잔량을 구해도 된다. 참조 부호 109는, 영상의 재생이나 음성의 재생을 행하는 출력부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부라고도 함), 스피커를 포함한다. 참조 부호 102에서 산출한 기록 가능 잔량도 이 출력부의 LCD에 표시된다. 참조 부호 107은, 비디오 카메라 전체를 관리하는 시스템 제어부이다. 각 부를 제어하는 기능(입력 제어 기능, 매체 제어 기능, 출력 제어 기능 등)을 갖는 참조 부호 101과 102와 107과 108은, 소프트웨어가 CPU 등의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개별의 하드웨어에서 실행되어도 된다.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구성예를 다른 표현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이픈 앞의 번호는, 도 1의 각 구성의 번호와 공통이며, 상세한 것은 상술하였다. 참조 부호 100-1은 렌즈, 참조 부호 100-2는 CCD, 참조 부호 100-3은 A/D 변환기, 참조 부호 100-4는 마이크, 참조 부호 100-5는 앰프, 참조 부호 100-6은 A/D 변환기(D/A 변환기)이다. 참조 부호 101-1은 영상 신호 처리부, 참조 부호 101-2는 영 상 압축 신장부, 참조 부호 101-3은 음성 압축 신장부, 참조 부호 101-4는 다중/분리부이다. 참조 부호 109-1은 표시부, 참조 부호 109-2는 스피커이다. 표시부는, 파인더 내의 표시부와, 비디오 카메라의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된 가동식의 표시부로 나누어져 있어도 된다. 메모리(104)를 생략하고 있지만,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되어, 도 7의 각 구성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하여도 된다. 전원부(105)도 생략하고 있지만, 시스템 제어부(107)에 의해 제어되며, 도 7의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도 7은 간단히 하기 위해 반드시 모든 회로선을 표기하고 있지는 않으며, 도 1과 같이 모든 구성이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특히 기록 가능 잔량의 관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저로부터 기록의 지시를 조작부(103)에서 받으면, 시스템 제어부(107)가 입력부(100)로부터 영상(동화상), 음성의 취득을 시작한다. 취득된 영상 신호를, AV 정보 처리부(101)가 카메라의 신호 처리 등을 실시하고,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로 압축하여 비디오 엘리멘터리 스트림으로 한다. 취득된 음성 신호를, 필터 등을 통과시킨 후, AC3(Audio Code number 3)의 압축을 행하여 오디오 엘리멘터리 스트림으로 된다. 또한, 압축(부호화) 형식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MPEG4나 MP3(MPEG Audio Layer-3)이어도 된다.
포맷 처리부(102)에서는, AV 정보 처리부(101)에서 생성된 비디오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오디오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대하여 DVD+RW에 준거한 포맷을 위한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CELL_ID가 관리된다. 그리고, 프로그램 스트림이 생 성되어 메모리(104)에 기입된다. 또한, 이 때의 정보의 관리는, 규격의 정보뿐만 아니라 독자의 관리 파일 등을 사용해도 된다. 특히, DVD+RW의 포맷은 DVD 비디오 규격이 베이스이며, 기본적으로 오서링용의 포맷이다. 즉, 문자나 화상, 음성, 동화상 등의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에 적합한 포맷이다. 리얼타임으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규격의 정보뿐만 아니라, 규격과는 별도의 기록 장치의 관리 파일 등을 이용한 쪽이 나은 경우도 있다. 메모리(104)에 기입된 프로그램 스트림은, 매체 R/W(106)에 의해 기록된다.
잔량 제어부(108)의 처리를 설명한다. 매체 R/W부(106)로부터 기록 후의 디스크의 잔여 용량을 취득한다. 그것으로부터 현재의 기록 레이트에 기초하여 나머지의 기록 시간을 산출(출력)한다. 산출식은 예를 들면 이하이다.
기록 가능 잔량 A=잔여 용량/기록 레이트
구체예로서, 3Mbps의 기록 레이트로 12분 정도 기록한 경우의 기록 가능한 잔여 시간을 계산한다. 카메라에서 사양되는 8㎝ 디스크의 한쪽 면의 용량은 약 1.4GB이지만, 실제로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은 약 1.32GB 정도이다(단 제품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다). 또한, 3Mbps의 기록 레이트로 12분 정도 기록하기 위한 용량은, (12분)*(60초/분)*(3Mbps)/(8바이트/비트)=약 270MB. 따라서 12분 기록한 후의 잔여 용량은, (1.32GB)*(1024MB/GB)-(270MB)=1081MB이다. 따라서, 기록 가능 잔량 A(잔여 기록 시간 A)=(1081MB)*(8바이트/비트)/(3Mbps)/(60초/분)=약 48분.
다음으로 잔여 CELL수에 의해 기록 가능 잔량 A를 보정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잔량 제어부(108)에서 시스템 제어부(107)를 통하여 기록 후의 디스크의 잔여 용량을 취득할 때에, 포맷 처리부(102)로부터 현재 생성되고 있는 CELL의 정보를 취득한다. 포맷 처리부(102)를 구성 단위 정보 취득부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CELL_ID의 정보이지만, 일반적으로는 CELL의 개수와 ID의 값은 동일하게 되므로 ID 번호를 현상의 CELL의 수로 판단할 수 있다. CELL의 최대값은 254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 이후 기록이 가능한 잔여 CELL수는 (254-현재 CELL수)로 산출할 수 있다. 기록할 때마다 CELL의 수가 감소해 가므로 용량보다도 먼저 잔여 CELL수가 0으로 되면 기록을 금지해야만 한다. 그것은, 잔량이 0과 동일한 의미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가능 잔량 A에 CELL의 잔여 수의 비율을 곱함으로써 용량과 잔여 CELL의 양방의 요인을 포함한 잔량 표시를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새잔량 표시는 예를 들면 이하로 한다.
기록 가능 잔량 B=기록 가능 잔량 A*((254-현재의 CELL수)/254)
구체예로서,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3Mbps의 기록 레이트로 12분 정도 기록한 경우에 대하여, 단 특히, 10초마다 기록·정지를 반복하여 12분 정도 기록한 경우의 기록 가능한 잔여 시간을 계산한다. (12분)*(60초/분)/10초=72씬 기록하고 있으므로, CELL수는 72로 된다. 그렇게 하면, 기록 가능 잔량 B(잔여 기록 시간 B)=(48분)*((254-72)/254)=34분.
이와 같이 산출된 잔여 기록 시간 A와 잔여 기록 시간 B를, 출력부(109)에 표시하는 예를 각각 도 5와 도 6에 도시한다. 참조 부호 502, 602는 출력부(109)의 LCD의 화면으로, 입력부(100)의 CCD에서 입력한 영상을 카메라 스루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참조 부호 503, 603은, 기록 모드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STD 모드에서 3Mbps 정도의 기록 레이트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504, 604는, 비디오 카메라에 삽입되어 있는 매체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어, DVD+RW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전원부(105)에 충전된 잔여 전력의 표준을 표시하면 더 좋다.
도 5의 (a)와 도 6의 (a)는, 초기화 직후, 즉 미기록의 상태이다. 도 5의 (b)와 도 6의 (b)는, 10초마다 기록·정지를 반복하여 12분 정도 기록하였을 때의 상태이다. 도 5의 (c)와 도 6의 (c)와 같이, 잔여 CELL수가 없어진 상태이다.
도 5의 (a)와 도 6의 (a)에서는, 참조 부호 501, 6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잔여 기록 시간은 60분이며, 참조 부호 500과 600에서는, 잔여 시간의 표시가 60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참조 부호 501, 601은 디스크의 용량을 이미지화한 것으로, 도 5와 도 6에서는 표시 화면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표시해도 된다.
도 5의 (b)와 도 6의 (b)에서는, 참조 부호 511과 61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의 용량으로서는 60분-12분=48분이 남아 있다. 도 5의 (b)의 참조 부호 510에서는, 그대로 48분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잔여 CELL수에 의해 보정한 잔여 기록 시간 B를, 잔여 시간의 표시로서 채용하고, 참조 부호 610과 같이 34분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 6의 처리와 표시에 의해, 매체의 용량과 잔여 CELL의 감소와 함께, 서서히 잔량 표시의 값이 감소해 간다
도 5의 (c)와 도 6의 (c)에서는, 용량이 참조 부호 521과 62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8분의 상당분이 남아 있지만, 잔여 CELL수가 없는 경우이므로, 도 5의 (c)에서는 참조 부호 520과 같이 나머지 18분으로 표시하고 있지만, 더 이상 기록할 수 없다. 유저에게는, 잔량이 없어진 경우에 이 이상 기록을 할 수 없다는 취지를 예를 들면 메시지(522)와 같이 「더 이상 기록할 수 없습니다」라고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의 (c)에서는 참조 부호 620과 같이 0분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매체의 용량이 가득차게 되는 것보다도 먼저 잔여 CELL이 0으로 되는 상태이어도, 서서히 잔여 시간이 감소해 가므로, 유저는, 나머지 2, 3분 정도로 되면 이제 없어지겠구나라고 의식하는 것이 가능하여, 돌연 기록이 정지한 것처럼 생각하지는 않는다. 또한, 잔량이 없어진 경우란, 완전하게 제로일 필요는 없고, 설정된 소정량 이하 또는 하회한 경우를 가리킨다.
또한, 도 4를 이용하여 잔여 CELL을 고려하지 않은 기록 가능 잔량 A(잔량 A)와 기록 가능 잔량 B(잔량 B)의 거동의 상위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4는, 잔량의 산출 방법의 차이에 의한 CELL과 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축은, 잔여 시간(분)이며, 횡축은, CELL_ID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400은, 용량을 기초로 한 기록 가능 잔량 A이며, 참조 부호 401은, CELL의 잔여 수를 연동한 기록 가능 잔량 B를 나타낸다. 조건은, 직경 8㎝의 DVD+RW에, 3Mbps의 기록 레이트로 10초씩 기록·정지를 반복한 것으로 한다.
잔량 A는, 거의 직선적으로 추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잔량 B는, 잔량 A보다도 빨리 잔량이 감소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빨리 잔량이 감소한다고 하는 것을 바꿔 말하면, 원래 60분을 기록할 수 있다고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일한 용량(예를 들면 150MB) 또는 시간(예를 들면 10분)의 정보를 기록하였 을 때에, 잔량 A에 따르면 10분 감소하여 나머지 50분을 기록할 수 있다고 표시되지만, 잔량 B에 따르면 20분 감소하여 나머지 40분을 기록할 수 있다고 표시되는 것처럼, 감소량이 큰 것을 나타낸다.
잔여 CELL이 충분하지 않은 감소는, 기록과 정지의 간격이 짧은, 바꿔 말하면 토막 촬영을 할수록 현저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방송된 수십분의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은 거치의 레코더보다도, 휴대하여 수초~수분의 씬을 많이 찍는 카메라에 특히 영향이 크다.
또한, 잔량 B의 감소 쪽이 빠른 경우에는, 그 취지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메시지는, 예를 들면, 「촬영 시간을 좀더 길게 하면, 디스크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등과 같은 상태이다. 잔량 B의 감소 쪽이 빠른 경우의 검출 방법으로서는, 조작부(103)에 의한 기록과 그 정지의 조작 지시의 간격이 짧은 것을 시스템 제어부(107)에서 검출하는 방법, 잔량 A와 잔량 B의 비율 또는 차가 소정량 이상으로 큰 것을 검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기록 가능 잔량 B를 이용함으로써, 잔여 CELL이 0으로 되었을 때의 기록 정지 시퀀스를, 용량이 0으로 되었을 때의 종래의 기록 정지 시퀀스에 접속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즉, CELL 규격의 제한에 의한 기록 정지 처리를 잔여 용량이 비게 된 경우의 기록 정지 처리에 넣을 수 있으므로, 새로운 기록 정지 시퀀스를 개발할 필요가 없어, 심플화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기록 가능 잔량 B를, 기록 가능 잔량 A에 CELL의 잔여 수의 비율을 승산하여 얻었다. 그러나, CELL수를 감안한 기록 가능 잔량 B는, 본 산출식에서 얻어지는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록한 각 씬의 평균 시간을 구하고, 이것에 잔여 셀 수를 승산하여 기록 가능 잔량 B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100씬을 찍었을 때의, 각 씬의 평균 시간이 12초이었던 경우, 나머지 154씬*12초/(60초/분)=약 30분으로 된다. 이 경우에도, 용량에 기초한 기록 가능 잔량 A이면, 12초*100씬/(60초/분)=20분밖에 찍고 있지 않으므로, 60분-20분으로 40분을 촬영할 수 있다고 표시되는 것을, 그것보다도 짧은 30분으로 보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는, 기록 가능 잔량 B만을 표시하였다(도 6 참조). 그러나, 기록 가능 잔량 A와 함께, 잔여 CELL을 알 수 있는 정보도 표시하는, 소위 병용시켜도 된다. 병용에 의해서도, 용량이 남아 있지만 잔여 CELL이 없어진 것에 의한 기록 정지까지의 동안에 유저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잔여 CELL을 알 수 있는 정보로서는, 실시예 1이나 2의 기록 가능 잔량 B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잔여 CELL의 수치를 표시하여 카운트다운하거나, 원 그래프나 막대 그래프의 이미지를 표시하여 그 이미지 상에서 변색시키거나 하여 잔여 CELL의 감소를 나타내도 된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는, 1종류의 매체(예: DVD+RW)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기록 장치(예: 비디오 카메라)는, 복수 종류의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각 CELL의 ID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매체나 CELL의 수에 제한이 없는 매체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이 기록 가능 잔량 B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CELL에 제한값이 없는 경우, 실시예의 산출식에서는 기록 가능 잔량 B를 산출할 수 없다. 따라서, 매체 R/W부(106)에서 취득한 매체의 정보에 기초하여, 포맷 처리부에서 삽입된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고, 이 식별에 따라서 기록 가능 잔량 B의 사용/불사용의 모드를 절환해도 된다. 예를 들면, DVD+RW에서는 도 6과 같이 처리하여 표시하고, DVD-RW에서는 도 5와 같이 처리하여 표시한다. 또한, 사용/불사용에 한하지 않고,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기록 가능 잔량의 산출 또는 표시의 모드를 절환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5]
또한, 전원부(105)에 충전된 전력의 잔량이나 독자 관리 파일이 기입되어 있는 영역의 용량의 잔량과 연동시켜도 된다. 전력의 잔량은, 전원부(105)로부터 나머지의 전력을 시스템 제어부(107)에서 취득한다. 용량의 잔량은, 사전에 메모리(104) 등에서 예약한 용량으로부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용량을 빼면 된다.
이상, 실시예 1 내지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소 구성인 CELL의 제한이 있는 매체에서는 기록 도중에 기록 정지를 할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용량의 잔량에 잔여 CELL을 연동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잔량이 감소하여 돌연 기록 정지가 일어났다고 느끼는 불쾌감이 감소한다. 만일 잔량의 표시가 기록 중에 서서히 0으로 되면, 유저도 당황하지 않고 기록 정지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CELL의 잔여 수가 극단적으로 적게 되어 있던 경우에도 잔량이 그것에 따라서 서서히 감소해 가서, 의도하지 않은 타이밍에서의 기록 정지에 의한 불쾌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CELL의 제한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였지만, 매체의 용량에 빔이 있어도 기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에 관해서는, 세트의 잔여 전력량이나 내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독자 관리 정보 등의 영역의 제한에서도 마찬가지의 것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되며, 이들에 기초하여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독자 관리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기형과 같이 한 번밖에 규격의 정보를 기입할 수 없기 때문에 독자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한 번밖에 기입할 수 없기 때문에, 씬을 기록할 때마다 최신 정보를 갱신해 가야만 한다. 그 때문에 독자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영역을 초기화 시에 규정해 두는 것이다. 이 영역의 잔여 용량이 없어지면 이것도 기록할 수 없는 요인으로 된다.
금회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유저에 대하여, 보다 의지가 되는 기록 가능 잔량을 알릴 수 있다.

Claims (19)

  1.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매체에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의 구성 단위의 정보를 취득하는 구성 단위 정보 취득부와,
    상기 구성 단위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한 구성 단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록 가능 잔량을 출력하는 잔량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제어부는, 상기 구성 단위 외에 매체의 기록 용량에도 기초하여, 상기 제1 기록 가능 잔량을 출력하는 정보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기록 가능 잔량이 소정량을 하회하면, 매체에의 기록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제어부는, 상기 구성 단위의 잔량의 비율에 따라서 상기 제1 기록 가능 잔량을 출력하는 정보 기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제어부는, 기록된 구성 단위당의 기록된 용량 또는 시간에 따라서 상기 제1 기록 가능 잔량을 출력하는 정보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제어부는, 매체의 기록 용량에 기초하는 제2 기록 가능 잔량을 출력하며,
    상기 잔량 제어부에 출력된 상기 제1 기록 가능 잔량과 상기 제2 기록 가능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기록 가능 잔량을, 상기 구성 단위의 미기록의 단위수, 또는, 상기 구성 단위의 잔량의 비율로서 표시하는 정보 기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제어부는, 매체의 기록 용량에 기초하는 제2 기록 가능 잔량을 출력하며,
    상기 잔량 제어부에 출력된 상기 제1 기록 가능 잔량과 상기 제2 기록 가능 잔량의 비율 또는 차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기록 장치의 조작자에 향한 통지를 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동화상의 디지털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매체에의 정보의 기록과 상기 기록의 정지의 지시 조작을 받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지시에 따라서 매체에의 기록 및 정지를 제어하는 매체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체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서 기록의 지시 조작을 받으면,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디지털 정보를 상기 구성 단위 중 제1 구성 단위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제1 구성 단위의 용량을 초과하여 디지털 정보를 기록할 때, 제2 구성 단위로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조작부에서 기록의 정지의 지시 조작을 받으면 상기 제2 구성 단위로의 기록을 정지하고, 상기 조작부에서 기록의 조작 지시를 다시 받으면, 제3 구성 단위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가능 잔량은, 기록 가능 시간인 정보 기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위는, 개별의 식별 정보를 부여받고, 또한, 구성 단위의 수가 제한되어 있는 정보 기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위는, VOB(Video Object)에 포함되는 CELL인 정보 기록 장치.
  13.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매체에의 정보의 기록과 상기 기록의 정지를 제어하는 매체 제어부와,
    매체에의 기록 가능 잔량을 출력하는 잔량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잔량 제어부에 의한 기록 가능 잔량의 출력은, 동일한 용량의 정보를 기록한 경우에, 매체 제어부에 의해 제1 간격으로 기록 및 정지하였을 때의 상기 기록 가능 잔량의 감소량보다도, 상기 제1 간격보다 짧은 제2 간격으로 복수회 기록 및 정지하였을 때의 상기 기록 가능 잔량의 감소량이 큰 정보 기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매체에의 정보의 기록과 상기 기록의 정지와의 간격이 소정의 간격보다 짧을 때, 상기 기록 장치의 조작자에 향한 통지를 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광학상을 영상 신호로 입력하는 광학 소자와,
    음성을 음성 신호로 입력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16.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매체의 종별의 정보를 취득하는 매체 제어부와,
    상기 매체 제어부에서 취득한 종별의 정보에 따라, 매체의 기록 가능 잔량의 모드를 절환하는 잔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제어부는, 매체의 기록 영역의 구성 단위에 기초하는 기록 가능 잔량을 출력하는 모드와, 상기 구성 단위에 기초하지 않는 기록 가능 잔량을 출력하는 모드를 절환하는 정보 기록 장치.
  18. 동화상을 기록하는 비디오 카메라로서,
    동화상 정보를 입력하는 촬상부와,
    DVD+RW 또는 DVD+R에 정보를 읽기 및 쓰기하는 리드 라이트부와,
    상기 리드 라이트부에서 취득한 DVD+RW 또는 DVD+R의 CELL수에 기초하여, 기록 가능 잔량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
  19.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화상 음성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매체를 탑재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화상 음성 정보를 매체에 읽기 및 쓰기하는 매체 제어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화상 음성 정보의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충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매체의 용량과, 매체의 기억 영역의 구성 단위의 양 및 상기 기억부의 관리 정보의 기억 용량 및 상기 전원부의 충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기억 가능 잔량을 출력하는 잔량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KR1020070003863A 2006-04-27 2007-01-12 정보 기록 장치와 비디오 카메라 KR100847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2871A JP2007294052A (ja) 2006-04-27 2006-04-27 情報記録装置
JPJP-P-2006-00122871 2006-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831A true KR20070105831A (ko) 2007-10-31
KR100847617B1 KR100847617B1 (ko) 2008-07-21

Family

ID=3864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863A KR100847617B1 (ko) 2006-04-27 2007-01-12 정보 기록 장치와 비디오 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53683A1 (ko)
JP (1) JP2007294052A (ko)
KR (1) KR100847617B1 (ko)
CN (1) CN1010641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3294B1 (en) * 2009-01-27 2018-07-11 Nec Corporation Delivery system, delivery method, server device, program and client device
JP5279925B2 (ja) * 2012-02-24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8937A (ja) 1998-05-08 1999-11-30 Sony Corp 信号記録装置及び方法
KR100636108B1 (ko) * 1999-10-27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 매체의 기록가능한 용량/시간 측정 방법,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01351327A (ja) * 2000-06-06 2001-12-21 Funai Electric Co Ltd 記録再生装置
JP4223800B2 (ja) * 2002-12-20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4103890B2 (ja) * 2004-12-28 2008-06-1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617B1 (ko) 2008-07-21
CN101064176A (zh) 2007-10-31
JP2007294052A (ja) 2007-11-08
US20070253683A1 (en)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7205B2 (ja) 複数記録面対応の情報記録装置及び複数記録面対応の情報記録方法
KR100787014B1 (ko)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및 방법
EP1605697B1 (en) Recording control apparatus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KR100847617B1 (ko) 정보 기록 장치와 비디오 카메라
JP4533249B2 (ja) デジタル音声映像情報の記録装置
JP4333716B2 (ja) 情報記録装置
KR101220019B1 (ko) 광 디스크 기록 장치 및 방법과 카메라 일체형 디스크 기록장치
JP2006323953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3938649B2 (ja) Dvdビデオシナリオ再生装置
JPH1127630A (ja) アングル情報再生装置
US20030210616A1 (en) Method for managing play lists in a rewritable storage medium
JP2003022604A (ja)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4192660B2 (ja) ディスク記録装置
JP4596074B2 (ja) 情報記録装置
KR100920655B1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스틸 픽처 관리방법
JP2008016130A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09005B1 (ko) Dvd+rw 및 dvd+r을 포함하는 dvd-비디오 호환 가능 디스크들 상에서의 슬라이드 쇼 생성
KR100209431B1 (ko) 디브이디 시스템의 카메라 위치 선택 방법
JP4466021B2 (ja) 情報記録装置
KR20050118693A (ko) Hdd로부터 광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고속 보관을 위한방법,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JP2005328176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CA2550691A1 (en)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record medium, record medium containing information, and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a record medium
JP2006309824A (ja) 再生装置
KR19980030585A (ko) 디브이디 시스템의 재생 방법
JP2005102317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