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401A -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위한 부착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위한 부착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401A
KR20070104401A KR1020077018298A KR20077018298A KR20070104401A KR 20070104401 A KR20070104401 A KR 20070104401A KR 1020077018298 A KR1020077018298 A KR 1020077018298A KR 20077018298 A KR20077018298 A KR 20077018298A KR 20070104401 A KR20070104401 A KR 20070104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ipe assembly
connector
housing
fu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지. 파커
프랑코 에이. 시스터니노
알버트 엔. 디에너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04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 파이프 조립체(24)와 연료 하우징(26) 사이에 커넥터(22)가 제공된다. 상기 커넥터(22)는,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24)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있으며 상기 연료 하우징(26)과 결합하는 부분(38)을 갖기 때문에,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24)와 하우징(26) 사이에 물리적 결합을 제공하여,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24)와 상기 연료 하우징(26)이 스냅 결합 될 수 있고 의도치 않은 분리가 억제된다.

Description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위한 부착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ATTACHMENT SYSTEM FOR FUEL PIPE ASSEMBLIES AND METHOD OF ASSEMBLY THEREFOR}
본 정규의 미국 특허 출원은, 2005년 2월 15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652,880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료 파이프 조립체 및 하우징 조립체와 이러한 조립체들을 상호 부착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연료 시스템이, 연료 탱크 및 연료가 통과하여 상기 탱크 내로 분배되는 필러 튜브(filler tube)를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튜브를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필러 튜브의 단부에 있는 탈착가능한 캡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나사산이 형성된(threaded) 연료 캡은 대부분의 내수 차량에서의 연료 시스템에 대한 제 1차적인 밀봉 부재이다. 또한, 제 1차적 차단 밸브(shutoff valve) 또는 제 2차적 보조 차단 구조체로서 연료 시스템을 폐쇄시키기 위해, 가동(movable) 댐퍼 및 고무 시일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나사 결합식 커버가 필요치 않고, 필러 노즐을 끼워넣는 행위가 튜브를 차단하는 스토퍼(stopper)를 이동시킴으로써 튜브의 단부를 충전을 위해 개방시키는, 캡 없는(capless) 급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연료 파이프, 제 1차적 및 제 2차적(만일 제공되는 경우) 차단 부재, 캡 없는 급유 조립체 및/또는 나사 결합식 캡들(집합적으로‘연료 파이프 조립체’로 지칭함)은, 연료 탱크로의 일단부 및 상기 차체의 일부분으로의 타단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차체의 일부분은, 탱크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필러 시스템이 들어가는 차체의 소정 위치에서, 억세스 도어 또는 다른 구조체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는 각종의 수단 및 절차에 의해 차체 또는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연료 파이프 조립체들을 차량 구조에 결합하기 위한 현재 공지된 방법들은 수월치가 못하고 또한 시간 소모적이다. 서로 다른 유형의 연료 파이프 조립체들에 대해 서로 다른 결합 시스템들이 사용되어, 특정 조립체들에 대해서만 고유한 부품들에 대해 설치와 서비스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또한,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하우징 사이에 나사 결합을 제공하는 것과,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고무 또는 폼(foam) 부속품을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에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한 다종다양한 수단들은, 조립 플랜트에 보관해야만 할 서로 다른 부품들의 점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설치를 복잡하게 한다. 서로 다른 차량형 간에 부품의 비-표준화는, 서비스와 수리를 위해 보관하고 취급해야 할 서로 다른 부품들의 점수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조립체들 중 일부에서는, 최초 설치 및 서비스를 위한 분리 모두를 위해 공구가 필요하다. 또한, 견고한 어떤 결합은 최초 조립 중에 그 결합이 곤란하며, 후일 수리가 필요한 경우 분리하기가 훨씬 더 곤란하다.
기존의 차량 구조(architecture)에 들어맞으며, 캡 있는 시스템이건 캡 없는 시스템이건 간에 서로 다른 유형의 연료 시스템과 작동하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연료 하우징에 결합하는 구조 및 절차를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강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제공하면서도, 공구 없이 그리고 최소의 힘으로, 용이하게 설치가능한 결합 구조를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물론, 그 구성요소와 시스템은 부식성 환경에서 그리고 또한 차량 연료에 노출되는 경우에 적합하게 작동해야만 한다. 상기 시스템이 용이하게 서비스될 수 있고 또한 조립 중 오정렬 또는 변동에 견딜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연료 시스템 하우징 사이에, 안정적이면서도 설치와 서비스가 용이한 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를 한정하는 칼라를 갖는 하우징 및 채널을 한정하는 단부를 갖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 급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단부는 상기 칼라 내에 수용된다.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의 채널에 위치된 커넥터는 상기 칼라의 상기 어버트먼트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연료 하우징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 및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에 의해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로 유지되는 커넥터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의 일부는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 및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데,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 및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어버트먼트를 한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연료 하우징에 차량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을 서로에 관해 정렬하는 단계;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의 일부를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다른 하나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삽입 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편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공하는 단계의 일부 동안에 상기 커넥터가 관련한 위치로 고정되지 않은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와, 상기 커넥터의 스냅 결합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차량 연료 시스템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로서, 공구의 사용 없이, 서로 스냅 결합 될 수 있거나 다르게 결합 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모든 유형의 연료 하우징과 연료 파이프 조립체들을 부착하기 위한 구조로서, 나사(screw) 캡을 갖는 구조 및 캡 없는(capless)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설치가 용이하지만 높은 유지력을 갖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위한 부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그리고 도면을 검토할 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분명하여 질 것이며, 도면에서는 동일한 부분을 지칭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은, 급유 시스템의 연료 하우징과 연료 파이프 조립체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드러내어 보여주는, 도 1에 도시된 급유 시스템 중 일부의 분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급유 시스템 및 커넥터의 분해도로서, 커넥터는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 상에 위치하여 있으며 연료 하우징에 대한 결합을 위해 정렬된 상태이다.
도 4는, 이전의 도면들에 도시된 차량 급유 시스템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연료 파이프 조립체 및 도 5에 도시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 급유 시스템의 일부의 분해도.
도 7은, 도 6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차량 급유 시스템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연료 파이프 조립체 및 커넥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분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차량 급유 시스템 조립체의 확 대된 부분 단면도.
도 10은, 연료 파이프 조립체, 커넥터 그리고 연료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량 급유 시스템을 도해하여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분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라 조립된 차량 급유 시스템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조립된 실시형태의 끝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하우징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연료 하우징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연료 파이프 조립체 단부의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그 적용에 있어 이하의 설명에 제시되거나 도면들에 도해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배열 및 구성의 세부사항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들로 가능하며 각종의 방법으로 실행 또는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구문 및 용어들은 설명을 목적한 것이며 제한으로서 보아서는 안 된다고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갖는다’,‘포함하다’및 그들의 변형형태들은, 추가의 아이템들 및 그 등가물들과 함께, 그 후에 열거되는 아이템들 및 그 등가물들을 아우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도면들, 특히, 도 1을 보다 상세히 참조하면, 차량 급유 시스템(20)이 도시되어 있다. 급유 시스템(20)은, 연료 파이프 조립체(24)와 연료 하우징(26) 사 이에서 그들을 결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22)(도 2 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나사-결합식(screw-on) 캡을 갖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구비한 급유 시스템 및 캡 없는(capless) 급유 시스템 등을 포함하여, 각종의 급유 시스템에 대해서 사용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특정의 연료 파이프 조립체(24) 및 연료 하우징(26)은 단지 도해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커넥터(22)는, 가까이 인접하는 대향 단부(30,32)들 및 외측으로 경사진 스커트(34)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밴드(28)를 갖는 후프형(hoop-like) 구조체이다. 밴드(28)는 하나 이상의 내측으로 경사진 탭(36)을 한정(define)하며, 두 개의 탭(36)들을 도 2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스커트(34)는, 밴드(28)와 연속되지만, 그렇지 않고 상호 분리될 수 있는 복수의 치형부(38)를 갖는다. 도면 중에서 일부의 치형부(38)에만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모든 치형부(38)에 도면부호를 붙인 것은 아니다. 치형부(38)는 밴드(28)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져서, 밴드(28)보다 큰 외측 주연부를 한정(define)한다. 커넥터(22)는 플라스틱, 금속 및 다른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평탄한 시트 재료로부터 기다란 스탬핑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그 후, 상기 스탬핑은 도시된 상기 실질적으로 후프형 구성으로 둥글게 말려 질 수 있다. 치형부(38)가 외측으로 경사지는 배향은 모든 치형부(38)들에서 동일할 수 있으며, 또는 완성된 조립체에서 공차 보상을 참작하기 위해 그 치형부에 웨이브(wave) 구성이 스탬핑 될 수 있다. 치형부(38)의 웨이브 구성을 도 4에서 볼 수 있는데, 도 4에서는 채널(50)의 바닥에 대해 서로 다른 높 이에서 3 개의 치형부(38)를 볼 수 있다.
연료 파이프 조립체(24)는, 상측 컵(40), 제 1차적 차단(shut-off) 밸브(42) 그리고 연료 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이어져서 유체소통적으로 결합되는 연료 파이프(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각종 서로 다른 제 1차적 차단 조립체(42)를 갖는 각종의 연료 파이프 조립체(24)와 함께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연료 파이프 조립체(24)는, 상측 컵(40)의 외면상에 서로 이격 배치된 원주 플랜지(circumferential flange)(46)와 외측 립(lip)(48)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플랜지(46)와 립(48) 사이에 홈(trough) 또는 채널(50)이 한정된다. 그들 사이에 채널(50)을 한정하는 플랜지(46)와 외측 립(48)은, 상측 컵(40)에 대한 단체 구조(monolithic structure)의 일부가 될 수 있거나 또는 상측 컵(40)에 결합되는 어댑터(52)(도 4에 도시됨)의 일부로써 제공될 수 있다. 각종의 어댑터(52)가 서로 다른 유형의 상측 컵(40)에 대한 결합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어댑터(52)를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은 스크류 캡 및 캡 없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많은 종류의 차단 밸브 조립체들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22)는, 립(48)과 플랜지(46) 사이에서, 채널(50)에 수용된다. 채널(50)에는 립(48)에 이웃하여 그루브(54)(도 4에 도시됨)가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28) 상의 탭(36)들은 그루브(54) 안으로 내향 돌출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그루브(54)는 실질적으로 채널(50) 둘레에 연속적이어서, 연료 파이프 조립체(24)에 관련한 커넥터(22)의 회전 정렬이 요구되지 않는다. 커넥터(22)의 임의의 회전 위치를 위해 그루브(54) 내에 탭(36)들이 수용된다.
연료 하우징(26)은, 억세스 인클로저(60) 및 이 인클로저(60)로부터 연장하는 칼라(62)를 포함한다. 칼라(62)는 립(48) 위에 결합하는 충분한 크기로 된다. 칼라(62)는, 그 칼라(62) 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환형 리브(64)와 같은 어버트먼트를 한정한다. 도 4에 도시된 조립체의 단면도에 도해 된 바와 같이, 리브(64)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삼각형이며, 완성된 조립체에서 치형부(38)와 플랜지(46) 사이에 수용된다.
막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커넥터(22)를 연료 파이프 조립체(24) 상에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부(30,32)들 사이를 갈라 놓음으로써 후프형 구조체가 필연적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스커트(30)가 립(48) 위를 슬라이딩하고 따라서 밴드(28)가 립(48) 위를 슬라이딩한다. 밴드(28)는, 탭(38)들이 그루브(54)에 놓인 상태에서, 내측으로 회복되어 채널(50) 안에 자리잡는다. 그 후, 리브(64)가 립(48)과 채널(50)을 지나 운동하는, 칼라(62) 및 상측 컵(40)의 상대적 축방향 운동에 의해 연료 하우징(26)이 결합된다. 치형부(38)들은, 리브(64)가 슬라이딩하여 지나가 플랜지(46)와 접함에 따라서, 내측으로 편향된다. 도 4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도해된 바와 같이, 리브(64)는 단면이 일반적으로 삼각형이며, 플랜지(46)는 리브(64)와 그 플랜지(46)가 서로 대향하여 평면으로 결합하게끔 경사진 상측면(66)을 갖는다. 리브(64) 및 플랜지(46) 상의 대향 표면의 접촉(abutment)은, 연료 파이프 조립체(24)와 연료 하우징(26) 사이의 상대 운동을 제한한다. 리브(64)의 정점(apex)이 통과한 때, 치형부가 바깥으로 튀어오름에 따라, 치형부(38)는 플랜지(46)로부터 반대쪽 측면 상에서 리브(64)와 결합한다.
그러므로, 커넥터(22)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24)와 연료 하우징(26)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연료 파이프 조립체(24)를 연료 하우징(26)에 용이하게 결합한다. 커넥터(22)와 연료 파이프 조립체(24) 사이, 그리고 커넥터(22)와 연료 하우징(26) 사이의 스냅 결합들은 최소의 힘만이 필요한 상태에서 공구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구성요소들 간의 맞물림 구조들, 그루브(54) 내에서 탭(38)들의 각을 이룬 안착(seating), 그리고 리브(64)에 마주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치형부(38) 때문에, 연료 파이프 조립체(24)와 연료 하우징(26)은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없다.
도 5, 도 6 그리고 도 7은, 차량 급유 시스템(68)(도 7에 도시됨)이 연료 파이프 조립체(72)와 연료 하우징(74) 사이에 커넥터(7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해한다. 커넥터(7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스냅 링(70)의 성격을 가진다. 연료 파이프 조립체(72)는 커넥터(70)가 수용되는 환형의 채널(76)을 한정한다. 연료 파이프 조립체(72)는, 채널(76)과 이격된 원주 플랜지(78)를 추가로 한정한다. 연료 하우징(74)은, 하우징(74)의 벽(84)에 관하여 이격 관계로 있는 어버트먼트(82)를 구비하는, 칼라(80)를 포함한다. 어버트먼트(82)는, 칼라(80)에 있는 환형의 확장부(86)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면이다. 확장부(86)는 직경이 보다 큰 외측 부분과 직경이 보다 작은 내측 부분 사이에 경사면(88)을 갖는다. 커넥터(70)는 채널(76)의 깊이보다 큰 직경(diametrical) 폭으로 된다. 그러므로, 완성된 조립체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70)의 일부분이 채널(76)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어버트먼트(82)에 대해 결합된 다. 플랜지(78)의 말단부는 경사면(88)을 따라 확장부(86)에 대향 접촉한다.
도 5, 도 6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조립 중에, 커넥터(70)가 확장되어 연료 파이프 조립체(72) 상의 환형의 채널(76) 안으로 스냅 결합되며, 또한 커넥터(70)가 그 안에 위치된 상태인 연료 파이프 조립체(72)는 연료 하우징(74) 안으로 삽입된다. 확장부(86)가 커넥터(70)를 지나 슬라이딩함에 따라서, 칼라(80)는 외측으로 편형되고 커넥터(70)는 채널(76) 안으로 가압된다. 각각은 도 7의 단면도에 도해된 서로 자기 체결성을 갖는 본래 위치들로 회복된다. 연료 파이프 조립체(72) 상의 플랜지(78)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72)가 확장부(86)와 접할 때에 연료 하우징(74)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하는 물리적 억제장치(stop)를 제공한다. 급유 시스템(20)의 전술의 제 1 실시형태처럼, 차량 급유 시스템(68)은 최소의 힘으로 또한 공구 없이 서로 스냅 결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조립 후에 급유 시스템(68)의 구성 요소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다.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서로 다른 유형의 연료 파이프 조립체(72)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채널(76)과 플랜지(78)가 한정될 수 있고 어댑터(90)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72)의 상측 컵(92)의 일단부와 결합한다. 필요할 경우에 분리를 촉진하기 위해, 커넥터(70)는, 그 커넥터(70)를 확장시켜 제거하기 위한 공구를 수용하는 함몰부(94,96)를 구비한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커넥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100)(도 8에 도시됨)는 탄성을 가지며 내측으로 연장되는 핑거(104)들을 구비하는 후프형 밴드(102)를 포함한다. 핑거(104)들은 연료 파이프 조립체(112)의 외측 립(108)과 플랜지(110) 사이의 채널(106)에 수용된다. 커넥터(100)는, 연료 하우징(74)에서 어버트먼트(82)와 벽(84) 사이의 공간과 같이, 커넥터(1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연료 하우징의 칼라 안으로 압착(press-fit)되거나 몰딩된다. 이런식으로 연료 하우징에 대해 커넥터(1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연료 파이프 조립체(112)가 연료 하우징에 삽입된다. 핑거(104)들은 립(108)을 지나며 슬라이딩하는 중에 필연적으로 변형된다. 핑거(104)들은 바깥으로 회복되어 커넥터(100)를 연료 파이프 조립체(112)에 대해 고정한다. 전술의 실시형태들처럼, 조립체는, 최소의 힘으로 그리고 공구가 필요없이, 서로 스냅 결합된다. 그러나, 조립이 완료된 후에, 분리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안정된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급유 시스템(118)이 연료 파이프 조립체(122)와 연료 하우징(124) 사이에 커넥터(120)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해한다. 커넥터(120)는, 반경방향 내측 부분들(126)과 반경방향 외측 부분들(128)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환형인, 웨이브 스프링의 성격을 갖는다. 연료 파이프 조립체(122)는 그 조립체(122)의 외측 에지 부근에 채널(130)을 한정하고, 또한 이 채널(130)의 내측에 원주 플랜지(132)를 한정한다. 커넥터(120)의 반경방향 내측 부분(126)들은, 그 반경방향 외측 부분(128)들이 채널(130)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채널(130)안에 수용된다. 하우징(124)은, 경사면(138)과 어버트먼트 면(140)을 포함하는 환형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리브(136)로서의 어버트먼트를 구비하는, 칼라(134)를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조립 중에, 커넥터(120)는 필연적으 로 확장되어서, 연료 파이프 조립체(122)의 단부 위를 슬라이딩하여 환형의 채널(130) 안에 스냅 결합된다. 연료 파이프 조립체(122)는 그 내부에 커넥터(120)가 배치된 상태에서, 연료 하우징(124) 안으로 삽입된다. 경사면(138)은, 반경방향 외측 부분(128)들을 평평하게 하고 또한 채널(130) 안으로 가압하며 및/또는 어버트먼트 면(140)이 반경방향 외측 부분(128)들을 통과할 때까지 필연적으로 칼라(134)를 편향시키면서, 커넥터(120)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128)들과 대면하여 슬라이딩한다. 반경방향 외측 부분(128)들은 바깥으로 회복되어 연료 하우징(124)으로부터 연료 파이프 조립체(122)의 분리에 대항하는 방해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반경방향 내측 부분(126)들이 채널(130) 안에 수용되고, 반경방향 외측 부분(128)들은 어버트먼트 면(140)에 대향하여 결합됨으로써, 연료 파이프 조립체(122)를 연료 하우징(124)에 고정시킨다. 플랜지(132)는 면(138)과 대면하여 연료 파이프 조립체(122)의 연료 하우징(124)에 관한 축방향 운동을 제한한다. 경사면(138)과 동일 평면으로 대면하도록 플랜지(132) 상에 경사진 말단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의 실시형태들처럼, 조립체는 최소의 힘을 요구하고 공구가 필요없이 서로 스냅 결합된다. 그러나, 조립이 완료된 후에, 분리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안정된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커넥터 구조들이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연료 하우징에 스냅 결합식 조립체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연료 하우징에 몰딩되는 레그(152)들로서 커넥터를 갖는, 연료 하우징(150)을 도해한다. 레그(152)의 말단은 후크(154)를 한정한다. 도 14는, 연료 하우징(150)에 대한 결합을 위한 연료 파 이프 조립체(156)를 도해한다. 연료 파이프 조립체(156)는 배리어 플레이트(barrier plate)(158)를 포함하며, 이 배리어 플레이트는, 도 14에 도시된 측면으로부터 그 배리어 플레이트(156)의 반대쪽 측면 상에 후크(154)가 올 때까지 레그(152)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수용 구멍(160)을 한정한다. 이에 따라서, 배리어 플레이트(158)는, 완성된 조립체에서, 후크(154)와 대면하여 연료 하우징(150)과 연료 파이프 조립체(156)의 분리를 방지하는 어버트먼트로서 작용한다. 후크(154)에서 레그(152)의 단부면들은, 수용 구멍(160)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져 있다. 상기 경사면은 수용 구멍(160)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배리어 플레이트(158)와 맞물려서, 수용 구멍(160)으로의 삽입을 위해 레그(152)의 편향을 일으킨다. 레그(152)는 후크(154)가 수용 구멍(160)을 관통한 후에 비편향 위치들로 회복된다. 그러므로, 상기 조립체는 공구에 대한 필요없이 서로 스냅 결합되며, 유지력이 강하기 때문에 분리에 저항한다.
본 발명은, 각종의 스냅 결합식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임의의 구성의 연료 파이프 조립체가 임의적 설계의 차량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조립은 공구에 대한 필요성이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다. 그러나, 일단 결합되면, 그 결합은 안정적이며,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방지된다.
전술한 바의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규정된 발명은 언급되었거나 본문 및/또는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개별 특징들 중의 둘 이상의 모든 대안의 조합으로 확장된다. 이들 서로 다른 조합들 모두가 본 발명의 각종의 대안의 태양을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 을 실시하기에 알려진 최적의 형태를 설명하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게끔 만든다. 청구범위는 종래 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한도까지 대안의 실시형태들을 포함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각종의 특징들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 및 하우징 조립체와 이러한 조립체들을 상호 부착하는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연료 시스템 하우징 사이에 안정적이면서도, 설치 및 서비스가 용이한 결합을 제공하는 점에 있어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23)

  1. 차량 급유 시스템으로서,
    어버트먼트(abutment)를 한정하는 칼라(collar)를 갖는 하우징;
    채널을 한정하는 단부를 갖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로서, 상기 단부는 상기 칼라에 수용되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 및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의 상기 채널에 배치되고, 상기 칼라에 있는 상기 어버트먼트와 결합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 급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후프형이며, 또한 상기 채널에 위치되는 밴드 및 상기 어버트먼트와 결합하는 외측으로 경사진 스커트(skirt)를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그 바닥(base)에 그루브를 한정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그루브에 배치되는 내측으로 경사진 탭들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치형부들(teeth)을 포함하는, 차량 급유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는 원주 플랜지를 한정하며,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스커트 사이에 구속되는 리브(rib)인, 차량 급유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밴드를 지나 슬라이딩하기 위한, 상기 밴드를 지나 슬라이딩하기 위해 상기 치형부들을 내측으로 편향시키는 크기 및 윤곽(configuration)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조립을 위해 자신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편향가능한, 차량 급유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차량 급유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환형의 웨이브 스프링이고, 또한 상기 채널에 위치되는 반경방향 내측 부분들과 상기 어버트먼트와 결합하는 반경방향 외측 부분들 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 개의 핑거를 갖는 밴드인, 차량 급유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스냅 링인, 차량 급유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는, 상기 연료 하우징의 일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연료 하우징에 대해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의 축방향 삽입을 제한하는 플랜지를 한정하는, 차량 급유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 및 상기 연료 하우징에 탈착 가능한 별개의 부분품인, 차량 급유 시스템.
  14.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연료 하우징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에 의해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로 유지되는 커넥터로서, 그 커넥터의 일부분이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하우징 중의 다른 하나는 어버트먼트를 한정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일부분은 상기 어버트먼트에 대해 결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연료 하우징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는 채널을 한정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채널에 위치되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일부분은 상기 밴드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연료 하우징에 한정되는 실질적으로 환형의 리브를 포함하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연료 하우징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환형의 웨이브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브 스프링은 반경방향 내측 부분들과 반경방향 외측 부분들을 가지고,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는 채널을 한정하고, 상기 웨이브 스프링의 상기 반경방향 내측 부분들은 상기 채널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웨이브 스프링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 부분들은 상기 채널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어버트먼트와 결합하고,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연료 하우징에서 한정되는 실질적으로 환형의 리브인,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연료 하우징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스냅 링인,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연료 하우징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핑거들을 갖는 후프형 구조체인,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연료 하우징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하우징은 말단부에 후크를 갖는 레그를 한정하고, 또한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는 수용 구멍을 한정하는 배리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수용 구멍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연료 하우징과 마주하는 상기 배리어 패널의 표면과 결합하는,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연료 하우징을 갖는 차량 급유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
  20. 연료 하우징에 차량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을 서로에 관해 정렬하는 단계;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의 일부를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다른 하나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삽입 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편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 중에 상기 커넥터가 관련한 위치로 고정되지 않은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와, 상기 커넥터의 스냅 결합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하우징에 차량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결합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에 관한 위치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를 확장시키고, 상기 확장된 커넥터를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에 한정된 채널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하우징에 차량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결합하는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와 일체로 된 복수의 레그로서 상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다른 하나에 있는 수용 구멍 안으로 상기 레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하우징에 차량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결합하는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하나 위에서 상기 커넥터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단계 후에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을 상대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커넥터와, 상기 연료 파이프 조립체와 상기 연료 하우징 중의 다른 하나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하우징에 차량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결합하는 방법.
KR1020077018298A 2005-02-15 2006-02-13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위한 부착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KR200701044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288005P 2005-02-15 2005-02-15
US60/652,880 2005-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401A true KR20070104401A (ko) 2007-10-25

Family

ID=3691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298A KR20070104401A (ko) 2005-02-15 2006-02-13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위한 부착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29046A1 (ko)
EP (1) EP1848914A2 (ko)
JP (1) JP2008531360A (ko)
KR (1) KR20070104401A (ko)
WO (1) WO200608767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1583A1 (de) 2007-10-17 2009-05-20 Dongbu Hitek Co., Ltd. CMOS-Bildsenso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5717A1 (de) * 2007-11-13 2009-02-26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Kraftstofftank mit einem Einfüllrohr und einem Einfüllstutzenkopf
EP2799273B1 (de) * 2013-05-02 2015-07-01 MAGNA STEYR Fuel Systems GesmbH Tanksystem
US11014441B2 (en) 2016-01-15 2021-05-25 Stant Usa Corp. Closure assembly for fuel-tank filler neck
DE102017121690A1 (de) * 2017-09-19 2019-03-21 HELLA GmbH & Co. KGaA Tankverschlus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936914U1 (de) * 1979-06-06 1980-11-06 Armaturenfabrik Hermann Voss Gmbh + Co, 5272 Wipperfuerth Verbindungsvorrichtung fuer druckleitungen
DE8536760U1 (ko) * 1985-12-31 1989-04-20 Johannes Schaefer Vorm. Stettiner Schraubenwerke Gmbh & Co Kg, 6303 Hungen, De
US5927761A (en) * 1995-03-20 1999-07-27 Proprietary Technology, Inc. Means of coupling of non-threaded conne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1583A1 (de) 2007-10-17 2009-05-20 Dongbu Hitek Co., Ltd. CMOS-Bildsenso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87671A2 (en) 2006-08-24
US20080129046A1 (en) 2008-06-05
EP1848914A2 (en) 2007-10-31
WO2006087671A3 (en) 2007-03-01
JP2008531360A (ja)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7955B2 (en) Filler pipe assembly
US6318764B1 (en) Detachable rapid-action coupling device
US7997307B2 (en) Fill nozzle positioning apparatus
US9447906B2 (en) Self-locking push-to-connect insert
JP3575438B2 (ja) プラグイン結合型の結合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結合装置を有するプラグイン結合
EP3402689B1 (en) Closure assembly for fuel-tank filler neck
KR20060052254A (ko) 일방향 밸브 조립체와, 금속 및 플라스틱 연료 탱크 상의필러 튜브의 설치 방법
US8042788B2 (en) Valve device for fuel tank
US20090014679A1 (en) Plastic aerosol valve and method of assembly, mounting and retention
US9377144B2 (en) Release tool for quick connector
KR20070104401A (ko) 연료 파이프 조립체를 위한 부착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WO2016031726A1 (ja) 弁ケースの取付構造
CN108131177B (zh) 合成树脂制罩的排放螺母安装构造
MXPA04006174A (es) Conjunto de valvula de una via para un cuello de llenado y metodo de instalar un cuello de llenado.
US7040669B2 (en) Fuel feeding pipe
US11674626B2 (en) Quick connector with an indicator
MXPA01007293A (es) Ensamble para asegurar un dispensador.
CN111448138B (zh) 燃料箱连通系统
JP6455192B2 (ja) タンクの注入筒取付構造
EP2966332B1 (en) Drain valve for a pressurised fluid tank and pressurised fluid tank comprising the same
JPH09504592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CN117703900A (zh) 紧固夹
GB2578464A (en) Seal assembly for pressurised fue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