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042A -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042A
KR20070104042A KR1020060036142A KR20060036142A KR20070104042A KR 20070104042 A KR20070104042 A KR 20070104042A KR 1020060036142 A KR1020060036142 A KR 1020060036142A KR 20060036142 A KR20060036142 A KR 20060036142A KR 20070104042 A KR20070104042 A KR 20070104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ver
pressurizing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상철
안상현
공영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4042A/ko
Publication of KR2007010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음식물 국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도록 하고, 별도의 가압수단이 없이도 가압판과 음식물의 밀착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식품용기는 음식물을 담는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입구를 덮는 용기덮개, 음식물의 가압을 위해 용기본체 내에 마련된 가압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압장치는 음식물을 가압하는 가압판, 가압판에 마련된 공기유통부, 가압판의 상부를 덮도록 가압판과 결합된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FOOD PRESSURIZATION DEVICE AND FOOD CONTAINER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도로, 가압장치의 가압동작이 완료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의 A부 상세도로, 가압장치의 가압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가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부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가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용기본체, 2: 용기덮개,
10,20,30: 음식물 가압장치, 11,21,31: 가압판,
12,22,32: 커버, 13,23,33: 손잡이,
14,24,34: 이격공간, 15: 공기유통공,
16,26,36: 밀착부, 25: 제1공기유통공,
27: 제2공기유통공, 28: 개폐장치.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담긴 음식물을 가압하는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김치와 같은 음식물은 공기에 노출상태로 보관하면 쉽게 변질된다. 이는 공기 중 산소에 의해 산화작용이 생기거나 공기와 접촉에 의해 음식물의 표면이 마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음식물과 공기의 접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음식물과 공기의 접촉을 줄이는 방법은 음식물 상부를 커버로 덮어 주거나 음식물을 무거운 물체로 눌러 음식물이 용기 내부의 국물에 잠기게 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널리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하여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식품용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9-35074호(1999년 9월 6일 공개)는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가압할 수 있는 식품용기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 식품용기는 음식물 상부의 가압을 위해 용기 내부에 설치된 가압판과, 용기의 뚜껑을 닫을 때 가압판을 가압하는 가압바를 갖추고 있다. 또 가압판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식품용기는 가압판에 의해 음식물이 가압될 때 음식물의 국물이 가압판의 통공을 통하여 가압판 상부로 올라온다. 따라서 음식물 상부가 국물에 잠긴다.
그러나 이러한 식품용기는 음식물의 국물이 가압판의 상부로 올라오기 때문에 사용자가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 가압판을 분리할 때 음식물 국물이 손에 묻을 수 있어 사용이 불편하였다.
또 이러한 식품용기는 뚜껑을 닫으면 뚜껑에 결합된 가압바가 가압판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가압판과 음식물의 밀착이 유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식품용기의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국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도록 하는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가압수단이 없이도 가압판과 음식물의 밀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압장치는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에 마련된 공기유통부, 상기 가압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가압판과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는 상기 공기유통부와 연통된 이격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유통부는 상기 가압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공기유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유통공은 원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는 음식물과 접촉을 통해 수막을 형성하도록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밀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압판이 그물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압장치는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상기 가압판과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판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이격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가압판에 형성된 제1공기유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격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된 제2공기유통공, 상기 제2공기유통공을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는 음식물을 담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덮는 용기덮개, 음식물의 가압을 위해 상기 용기본체 내에 마련된 가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장치는 음식물을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에 마련된 공기유통부, 상기 가압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가압판과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와, 용기본체(1)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는 용기덮개(2), 그리고 용기본체(1)에 담긴 음식물(F)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장치(1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는 수지재의 사출성형 또는 철판의 드로잉가공 등을 통해 성형된 사각용기이다. 이러한 용기본체(1)의 상부 양측에는 용기본체(1)의 파지(把持)를 위한 손잡이들(3a,3b)이 마련된다. 용기덮개(2)는 용기본체(1)의 상측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의 평판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용기덮개(2)의 테두리에는 용기본체(1) 상단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식품용기는 공간의 점유가 적고 다단 적재가 용이하기 때문에 냉장고 등에서 사용하기에 좋다. 특히 이 식품용기는 용기덮개(2)를 덮어 입구를 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김치와 같이 국물을 포함하는 음식물을 담는데 유용하다. 도 1은 식품용기가 사각형태인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식품용기는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이거나 그 밖의 다각형일 수도 있다.
용기본체(1) 내부의 가압장치(10)는 음식물의 상부를 밀착상태로 덮어 줌으로써 음식물과 공기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이러한 가압장치(10)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의 가압장치(10)는 음식물(F)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판(11)과, 가압판(11)의 상부를 덮도록 가압판(11)과 결합된 커버(12), 그리고 커버(12)의 상부에 결합된 손잡이(13)를 포함한다.
커버(12)는 용기본체(1)의 내부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하고, 가압판(11)은 그 테두리가 커버(12)에 의해 포위된 형태로 커버(12)의 테두리부와 결합 된다. 또 가압판(11)과 커버(12) 사이에는 이격공간(14)이 형성되고, 가압판(11)에는 이격공간(14)과 연통하는 복수의 공기유통공(15)이 형성된다.
공기유통공(15)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판(11)이 음식물(F) 상부를 가압할 때 음식물(F)과 가압판(11) 하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이격공간(14) 쪽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가압판(11) 하면이 음식물(F)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공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서는 공기유통공(15)이 원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커버(12)의 테두리에는 음식물과 접촉을 통해 수막(W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커버(12)의 두께보다 큰 폭의 밀착부(16)가 형성된다. 밀착부(1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면이 음식물(F)의 상면에 밀착되어 수막(W1)을 형성함으로써 이격공간 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 밀착부(16)는 그 외측 둘레와 용기본체(1)의 내면 사이에도 수막(W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외측이 용기본체(1)의 내면과 근접하도록 마련된다. 밀착부(16)의 내측은 가압판(11)의 테두리가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길이 내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커버(1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장치(10)를 가압할 때 가압판(11)의 테두리가 그 내면에 밀착되면서 가압될 수 있도록 둘레에 곡면부(12a)를 구비한다.
가압판(11)은 음식물(F)의 상부를 가압할 수 있는 평판이면 무방하지만, 음식물(F)의 상부에 굴곡이나 돌출부가 존재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약간의 탄성을 구비하는 수지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럴 경우에는 가압판(11)이 음식물(F) 상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약간 변형되면서 밀착되므로 음식물(F)과 가압판(11) 사이의 공기층을 보다 확실이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압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F)의 상면과 가압판(11)의 하면이 밀착된다. 가압판(11)과 음식물(F) 상부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모두 공기유통공(15)을 통하여 이격공간(14) 쪽으로 배출되므로 가압판(11)과 음식물(F) 상부 사이에는 공기층이 없어진다. 특히 김치와 같은 음식물(F)은 국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가압판(11)과 음식물(F) 상부 사이에 수막(W1)이 형성되어 공기와 음식물(F)의 접촉이 차단된다. 즉 음식물(F) 상부가 국물에 잠기므로 음식물과 공기의 접촉이 차단된다.
또 음식물(F)을 가압하는 과정(완전히 밀착되기 전)에서 이격공간(14)의 공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력에 의해 커버(12)의 밀착부(16)와 음식물(F) 사이의 틈을 통해 커버(12)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가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부(16)의 하면과 음식물(F) 사이 및 용기본체(1) 내면과 밀착부(16) 외측 둘레 사이에 수막(W1,W2)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장치(10)의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에도 이격공간(14) 쪽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음식물과 가압장치(10)의 밀착이 유지된다. 즉 가압장치(10)를 눌렀다가 누름을 해제하면, 이격공간(14)의 체적이 작아졌다가 다시 확장되기 때문에 이격공간(14) 내부의 압력이 커버(12) 외측의 압력보다 약간 낮아짐과 동시에, 밀착부(16)와 음식물(F) 사이에 형성되는 수막(W1)에 의해 이격공간(16) 쪽으로 공기유입이 차단되기 때문에 가압장치(10)와 음식물(10) 상부의 밀착이 장기간 유지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음식물(F)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산화작 용에 의한 음식물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기에 의해 음식물 상부가 마르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압장치(10)로 음식물의 상부를 덮은 후에는 가압장치(10)에 외력을 가하지 않고서도 가압판(11)과 음식물의 밀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압장치(10)는 가압판(11)의 상부를 이격 상태로 덮는 커버(12)를 구비하기 때문에 가압장치(10)로 음식물(F)을 누르거나, 가압장치(10)를 용기본체(1) 외측으로 분리할 때 음식물의 국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다. 즉 음식물의 국물이 가압판(11)의 공기유통공(15)을 통하여 이격공간(14)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커버(12) 상부로 국물이 올라오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손과 국물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장치의 제2실시 예이다. 제2실시 예의 가압장치(20)는 가압판(21)과 커버(22)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가압판(21)과 커버(22)는 각각 수지재의 사출성형을 통하여 제조된 후 가열 또는 용융접합 방식을 통하여 일체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가압판(21)에는 이격공간(24)과 연통하는 다수의 제1공기유통공(25)이 형성된다.
또 제2실시 예의 가압장치(20)는 이격공간(24)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커버(22)에 형성된 제2공기유통공(27)과, 이 제2공기유통공(27)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장치(28)를 포함한다.
개폐장치(28)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3)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버튼(28a)과, 버튼(28a)의 승강에 따라 제2공기유통공(27)을 개폐하도록 버튼(28a)과 연결된 개폐부재(28b)와, 버튼(28a)의 누름을 해제할 때 개폐부재(28b)가 제2공기유통공(27)을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28b) 및 버튼(28a)을 상승시키는 스프링(28c)을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가 버튼(28a)을 누를 때만 제2공기유통공(27)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가압장치(2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압할 때는 가압장치(20)를 누르면서 개폐장치(28)의 버튼(28a)을 눌러 제2공기유통공(27)을 개방시킨다. 이때는 음식물(F)과 가압판(21) 사이의 공기가 제1공기유통공(25)을 통해 이격공간(24)으로 배출되고, 이격공간(24)의 공기는 제2공기유통공(25)을 통하여 커버(22) 외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가압판(21)과 음식물(F)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가압장치(20)를 눌렀다가 누름을 해제할 때는 버튼(28a)의 누름도 해제하여 제2공기유통공(27)이 폐쇄되도록 한다. 이때 이격공간(24)은 가압판(21)의 탄성변형에 의해 체적이 감소하였다가 다시 확장되므로 이격공간(24) 내부의 압력이 커버(22) 외측의 압력보다 약간 낮아진다. 동시에 커버(22)의 밀착부(26, 도 5참조)와 음식물(F) 사이에는 수막(W1)이 형성되어 이격공간(24) 쪽으로 공기유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분리하지 않는 한 가압장치(20)와 음식물(F) 상부의 밀착이 유지된다.
제2실시 예의 경우 가압장치(20)를 분리할 때는 버튼(28a)을 눌러 제2공기유통공(27)을 개방함으로써 이격공간(24)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 이격공간(24) 내에 존재하는 음식물의 국물을 배출시킬 때에도 같은 방식으로 이격공간(24)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폐장치(28)는 사용자가 버튼(28a)을 누르는 경우에만 제2공기유통공(27)을 개방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폐장치(28)는 음식물을 가압할 때 이격공간(24)의 공기가 커버(22)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가능하다. 예컨대 개폐장치(28)는 이격공간(24)의 공기가 커버(22)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면서도 외부의 공기가 이격공간(24)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통상의 체크밸브(Check Valve)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장치의 제3실시 예이다. 제3실시 예의 가압장치(30)는 음식물 상부를 가압하는 그물이나 망 형태의 가압판(31)과, 이 가압판(31)의 상부를 이격상태로 덮는 커버(32)를 포함한다. 가압판(31)은 테두리가 커버(32)의 밀착부(36) 쪽에 고정된다. 이때 가압판(31)은 음식물(F)을 가압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음식물을 가압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진 금속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장치(30)는 음식물(F)을 가압할 때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가압판(31)이 음식물을 누르기 때문에 음식물 상부의 공기가 가압판(31)과 커버(32) 사이의 이격공간(34)으로 이동하고, 가압판(31)과 음식물(F)은 국물에 잠긴다. 따라서 음식물과 공기의 접촉은 차단된다.
또 음식물의 가압이 이루어지는 과정(완전히 밀착되기 전)에서 이격공간(34)의 공기는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가압력에 의하여 커버(32)의 밀착부(36)와 음 식물 사이의 틈을 통해 커버(12) 외측으로 배출되고, 밀착부(36)의 하면과 음식물(F) 사이에 수막(W1)이 형성되므로 이격공간(34) 쪽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분리하지 않는 한 가압장치(30)와 음식물(F) 상부의 밀착이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압장치는 가압판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기 때문에 가압장치로 음식물을 누르거나 가압장치를 분리할 때 음식물의 국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판과 음식물 사이의 공기가 가압판의 공기유통부를 통하여 가압판과 커버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가압판과 음식물 사이의 공기층을 제거할 수 있어 음식물과 공기의 접촉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산화작용에 의한 음식물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기와 접촉에 의해 음식물이 마르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장치로 음식물을 가압하면, 커버 둘레의 밀착부와 음식물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이격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이격공간의 내부가 저압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가압수단이 없이도 가압판과 음식물의 밀착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Claims (12)

  1.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압하기 위한 음식물 가압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을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에 마련된 공기유통부, 상기 가압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가압판과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상기 공기유통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된 이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통부는 상기 가압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공기유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통공이 원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는 음식물과 접촉을 통해 수막을 형성하도록 상기 커버 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밀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압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이 그물형태이고,
    상기 가압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압장치.
  7.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압하기 위한 음식물 가압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을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상기 가압판과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판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이격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가압판에 형성된 제1공기유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된 제2공기유통공, 상기 제2공기유통공을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압장치.
  9. 음식물을 담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덮는 용기덮개, 음식물의 가압을 위해 상기 용기본체 내에 마련된 가압장치를 갖춘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음식물을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에 마련된 공기유통부, 상기 가압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가압판과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유통부와 연통된 이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통부는 상기 가압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공기유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는 음식물과 접촉을 통해 수막을 형성하도록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밀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식품용기.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이 그물형태이고,
    상기 가압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식품용기.
KR1020060036142A 2006-04-21 2006-04-21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 KR20070104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142A KR20070104042A (ko) 2006-04-21 2006-04-21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142A KR20070104042A (ko) 2006-04-21 2006-04-21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042A true KR20070104042A (ko) 2007-10-25

Family

ID=3881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142A KR20070104042A (ko) 2006-04-21 2006-04-21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404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951B1 (ko) * 2012-11-27 2013-08-19 김성수 발효음식의 맛을 향상토록 하기 위한 누름판
KR101327903B1 (ko) * 2012-01-17 2013-11-13 (주)제이엠비 무폐수 교반 용기
KR200474108Y1 (ko) * 2013-10-10 2014-08-27 임상만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200474353Y1 (ko) * 2012-12-21 2014-09-05 김성수 용기에 담겨진 발효식품과 뚜껑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한 누름을 위한 속뚜껑
KR20150128489A (ko) * 2014-05-09 2015-11-18 동양케미칼주식회사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KR20160139454A (ko) * 2015-05-27 2016-12-07 박다혜 다단 압축식 수납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903B1 (ko) * 2012-01-17 2013-11-13 (주)제이엠비 무폐수 교반 용기
KR101297951B1 (ko) * 2012-11-27 2013-08-19 김성수 발효음식의 맛을 향상토록 하기 위한 누름판
KR200474353Y1 (ko) * 2012-12-21 2014-09-05 김성수 용기에 담겨진 발효식품과 뚜껑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한 누름을 위한 속뚜껑
KR200474108Y1 (ko) * 2013-10-10 2014-08-27 임상만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20150128489A (ko) * 2014-05-09 2015-11-18 동양케미칼주식회사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KR20160139454A (ko) * 2015-05-27 2016-12-07 박다혜 다단 압축식 수납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4042A (ko)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
US8317064B2 (en) Small storage receptacle for food with air influx hole
KR100759487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JP2013512753A (ja) 密閉が容易な真空容器蓋
KR20090051001A (ko) 부패 가능 제품을 위한 진공 생성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CN101454208B (zh) 用于抽空储藏袋的装置和方法
JP2012501920A (ja) 食物真空圧縮パックの真空転換装置
KR100365948B1 (ko) 저장용기
KR101389954B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200472346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TWI507334B (zh) 容器之帽
KR101108079B1 (ko) 진공 유지 및 해지 장치를 구비한 마개
KR102112137B1 (ko) 커피원두 포장체용 컨트롤밸브 캡
KR101187030B1 (ko) 보관용기
KR101753843B1 (ko) 탄성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용기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JP2022541437A (ja) 真空バルブを有する食品真空保管容器用マルチプッシュボタン
KR200406683Y1 (ko) 체적 가변형 밀폐 용기
KR100526358B1 (ko) 용기의 뚜껑
KR200372913Y1 (ko) 진공수단을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130000272A (ko) 액체 화장품용기
KR200469427Y1 (ko) 원터치형 진공수단 및 누름수단을 갖는 김치통
JP6554521B2 (ja) 液体排出容器
JP2551999Y2 (ja) 漬物用具
KR20110115403A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