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732A - 가스 차단 장치 및 가스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차단 장치 및 가스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732A
KR20070103732A KR1020077009023A KR20077009023A KR20070103732A KR 20070103732 A KR20070103732 A KR 20070103732A KR 1020077009023 A KR1020077009023 A KR 1020077009023A KR 20077009023 A KR20077009023 A KR 20077009023A KR 20070103732 A KR20070103732 A KR 20070103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pressure
return
gas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이치 우에키
시게타다 사자와
카주타카 하마다
미츠오 남바
후지오 호리
사다무 가와시마
이사오 마수다
히사노리 야마시타
카즈타카 아사노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아쓰 가스 호안 교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533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187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5336A external-priority patent/JP4163168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아쓰 가스 호안 교카이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 G01F1/667Arrangements of transducers for ultrasonic flowmeters; Circuits for operating ultrasonic flow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2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3/0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 G01F3/0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3/2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flexible movable walls, e.g. diaphragms, bellows
    • G01F3/2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flexible movable walls, e.g. diaphragms, bellows for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1/00Fail safe
    • F23N2231/18Detecting fluid lea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24With control of flow by a condition or characteristic of a fluid
    • Y10T137/0379By fluid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23Safety cut-off requiring reset
    • Y10T137/7726Responsive to change in rate of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58Pilot or servo controlled
    • Y10T137/7761Electrically actuated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389Programmer or timer
    • Y10T137/86397With independent valve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389Programmer or timer
    • Y10T137/86405Repeating cycle
    • Y10T137/86421Vari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가스 기구의 사용 상황을 감시하는 데에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매체 내의 신호 전반(傳搬)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며,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유량으로 환산하고,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이상 판정 수단(26)으로 판정하는데, 이상 판정시에 차단 수단(27)에 의해 유로(1)를 차단한 경우, 다시 가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복귀 수단(28)으로부터 차단 수단(27)으로 복귀 신호를 출력하여 유로(1)을 열고, 동시에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계시를 개시하며, 소정 시간 경과하면 가스 차단 장치의 하류에 접속되어 있는 가스 기구의 모든 가스 마개가 닫힘 상태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량 연산 수단(25)에 의해 소정 유량 이상 흐르고 있지 않은지를 판정하고, 소정 유량 이상을 검출했을 때 누설 판정 수단(30)으로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차단 수단(27)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유로(1)를 닫는 구성으로 한다.
가스 기구, 가스 마개, 유속 검출, 유량 연산, 이상 판정, 유로, 복귀 신호, 계시, 가스 차단, 누설 판정, 구동 신호

Description

가스 차단 장치 및 가스 차단 방법{GAS BLOCK DEVICE AND GAS BLOCK METHOD}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배관 내를 흐르는 각종 매체, 예를 들어 각종 도시 가스 혹은 LP 가스 등 유량을 검출하고, 그 매체 사용량을 정확하게 계측하여 사용 상황이 안전한지 여부를 감시하는 가스 차단 장치 및 가스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가스 차단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6-160520호 공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9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9에 있어서, 1은 배관이고, 가스 공급원(2)의 근처에 배관 안의 사용 가스를 차단하거나, 열거나 하는 차단 밸브(3)가 부착되어 있다. 4는 가스 스토브 등의 가스 연소 기구이고, 기구 마개(器具栓;5)가 부착되어 있다. 6은 제어 본체로서 차단 밸브(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7은 압력 검지부로서, 차단 밸브(3)의 하류에 부착되어 있다. 8은 기구 마개 개폐 검지부로서, 기구 마개(7)의 개폐에 연동하여 기구 마개 개폐 신호가 출력된다. 9는 사용 가스압 감시 회로이고, 또한 10은 잔류 가스압 검지 회로로서, 기구 마개 개폐 검지부(8)로부터 기구 마개 개폐 신호가 출력되고, 또한 압력 검지부(7)에서 가스압을 검지하면, 사용 가스압 감시 회로(9), 및 잔류 가스압 검지 회로(10)에 출력된다. 11은 기억 회로로서, 사용 가스 압 검지 회로(9) 및 잔류 가스압 검지 회로(10)로부터의 가스압 신호를 기억한다. 12는 차단 밸브 개폐 회로로서, 기억 회로(11)에 사용 가스압 검지 회로(9) 및 잔류 가스압 검지 회로(10)로부터 압력 저하 신호가 입력되면, 저하 상태를 받아 차단 밸브(3)에 폐색(閉塞) 신호를 출력한다. 13은 복귀 버튼이고, 14는 타이머 회로이다. 15는 안전 복귀 회로로서, 기억 회로(11) 및 타이머 회로(1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면, 기억 회로(11), 타이머 회로(12)와 램프 버저 회로(16)로 신호를 보내고 체크중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종래예의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스 스토브 등의 가스 연소 기구(4)의 기구 마개(5)가 열리면, 기구 마개 개폐 검지부(8)로부터 사용 가스압 감시 회로(9)와 잔류 가스압 검지 회로(10)에 기구 마개 개폐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압력 검지부(7)로부터의 가스압 검지 신호가 사용 가스압 감시 회로(9)와 잔류 가스압 검지 회로(10)에 입력된다. 사용 가스압 감시 회로(9)는 입력한 가스압 검지 신호와 기구 마개 개폐 신호를 기억 회로(11)에 출력한다. 이 신호에 의해 기구 마개가 열리면 차단 밸브 개폐 회로(12)로 출력하고, 호스 빠짐 등으로 급격하게 압력이 일정치 이하로 저하되면 출력을 정지한다. 잔류 가스압 검지 회로(10)에서 가스압 검지 신호와 기구 마개 개폐 신호와의 입력 신호는 기억 회로(11)에 출력되고, 이상을 검지한다. 한편, 기구 마개 개폐부(8)의 출력 신호는 각 회로에 출력되고, 기구 마개가 닫히면, 잔류 가스압 검지 회로(10)가 셋트(set)된다. 잔류 가스압 검지 회로(10)는, 기구 마개(5)가 닫히면 잔류 가스압의 검지를 개시하고, 가스압이 일정치보다 저하되면, 기억 회로(11) 및 안전 복귀 회로(15)는 차단 밸브 개 폐 회로(12)와 타이머 회로(14)로 신호를 보내고,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면서 차단 밸브(3)를 일단 열림으로 한다. 타이머 회로(14)에서 설정한 일정 시간(5~15분) 내에 잔류 가스압이 다시 일정치보다 저하되는지를 감시한다. 가스압이 저하된 경우에는 기억 회로(11)에 신호를 보내고, 차단 밸브 개폐 회로(12)를 거쳐 차단 밸브(3)가 록킹된다. 만약 가스압의 저하가 없는 경우에는, 기억 회로(11)를 리셋(reset)한다. 기억 회로(11)는 사용 가스압 감시 회로(9)나 잔류 가스압 검지 회로(10)로부터의 가스압 저하 신호를 기억하고, 차단 밸브 개폐 회로(12)에 출력하여 차단 밸브(3)를 폐색한다. 이와 함께 사용 가스 감시 회로(9)로부터의 신호는, 타이머 회로(14) 및 안전 복귀 회로(15)를 거쳐 램프 버저 회로(16)로 출력하여 버저나 경보 램프가 작동한다. 차단 밸브 개폐 회로(12)는 잔류 가스압 검지 회로(10)로부터의 신호를 받은 기억 회로(1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상 신호가 있으면 차단 밸브(3)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타이머 회로(14)는 기억 회로(11), 안전 복귀 회로(15)나 복귀 버튼(13)을 수신하여 작동하고, 램프 버저 회로(16) 및 안전 복귀 회로(5)에 출력한다. 안전 복귀 회로(15)에서 기억 회로(11) 및 타이머 회로(14)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고, 램프 버저 회로(16)에 신호 출력하여 체크중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복귀 안전의 확인 방법인데, 복귀 버튼(13)을 조작하면 차단 밸브(3)가 일단 열리고 가스를 배관 내로 불러들여 닫는다. 그 후, 일정 시간(약 1~5분간) 내에 잔류 가스압이 저하되는지를 감시한다. 이 사이, 램프가 점멸하여 체크중인 것을 알린다. 이 경우, 가스압이 저하되지 않으면, 체크 종료 후에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중 가스압이 일정치보다 저하된 경우, 차단 밸 브(3)가 닫히고 램프가 점멸하며 버저가 울린다. 즉, 차단 밸브(3)가 열리지 않으므로, 가스를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복귀 버튼을 조작하여 타이머 회로를 동작시키고, 가스압의 변화를 일정치 이하가 되는지 일정 시간 감시하여 누출이 있는지 판정하기 위하여 긴 판정 시간을 요하므로, 복귀시의 누출 판정이나, 또한 누출이 있다고 판정하고 차단하는 데에 긴 시간을 요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 차단 장치가 차단되고 그 후에 복귀시켰을 때, 도시 가스나 LP 가스 등의 사용이 없는지 가스 누설 판정을 신속하게 행하고, 가스 기구의 사용 상태가 안전한지 여부를 감시하는 가스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 차단 장치가 차단되고 그 후에 복귀시켰을 때, 기구의 원래 마개 등이 안전하게 폐지(閉止)되지 않고 미소한 도시 가스나 LP 가스 등이 누출되고 있는지의 가스 누설 판정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행하여, 가스 기구의 사용 상태가 안전한지 여부를 감시하는 가스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 기구의 사용 상황을 감시하는 데에 유속 검출 수단으로 매체 내의 신호 전반(傳搬) 시간을 계측하여 유속을 검출하고,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 연산 수단으로 유량으로 환산하고,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이상 판정 수단으로 판정하는데, 이상 판정시에 차단 수단에 의해 유로를 차단한 경우, 다시 가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복귀 수단으로부터 차단 수단으로 복귀 신호를 출력하여 유로를 열고, 동시에 복귀 계시(計時) 수단에서 계시를 개시하고 소정 기간 경과하면, 가스 차단 장치의 하류에 접속되어 있는 가스 기구의 모든 가스 마개가 닫힘 상태로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량 연산 수단에 의해 소정 유량 이상 흐르고 있지 않은지를 판정하고, 소정 유량 이상을 검출했을 시에 누설 판정 수단에서 누설이라고 판정하여 차단 수단으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유로를 닫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스 기구의 사용 상황을 감시하여 이상한 사용 상태, 예를 들면 이상하게 큰 유량을 검출하여 가스 차단 장치에 의해 유로를 차단한 경우, 다시 가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복귀 수단으로 차단 수단을 구동하고 유로를 열림 상태로 한 후,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혹은 가스 누설 상태인지를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고, 가스 누설 상태이면 즉시 차단할 수 있으며, 가스 누설이 없는 배관 상태인지, 혹은 가스 기구가 정상인 설정 상태로 복귀했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사용 상태를 감시할 수 있어, 누설 상태이지만 누설의 판정에 장시간을 요하지 않고 생(生) 가스의 누설을 조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 기구의 사용 상황을 감시하는 데에 유속 검출 수단으로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여 유속을 검출하고,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 연산 수단으로 유량으로 환산하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이상 판정 수단으로 판정하는데, 이상 판정시에 차단 수단에 의해 유로를 차단한 경우, 다시 가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복귀 수단으로부터 차단 수단으로 복귀 신호를 출력하여 유로를 열고, 동시에 복귀 계시 수단으로 계시를 개시하고 소정 시간 경과하면, 가스 차단 장치의 하류에 접속되어 있는 가스 기구의 모든 가스 마개가 닫힘 상태로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에 의해 소정 압력 이하로 저하되어 있는 것을 누설 판정 수단으로 검출했을 시에, 차단 수단으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유로를 닫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스 기구의 사용 상황을 감시하여 이상한 사용 상태, 예를 들면 이상하게 큰 유량을 검출하여 가스 차단 장치에 의해 유로를 차단한 경우, 다시 가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복귀 수단으로 차단 수단을 구동하고 유로를 열림 상태로 한 후,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혹은 가스 누설 상태인지를, 공급 압력의 저하가 있는지 여부로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고, 가스 누설 상태이면 즉시 차단할 수 있으며, 가스 누설이 없는 배관 상태인지, 혹은 가스 기구가 정상인 설정 상태로 복귀했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사용 상태를 감시할 수 있어, 누설 상태이지만 누설의 판정에 장시간을 요하지 않고 생 가스의 누설을 조기에 방지할 수 있다.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기구 사용시의 이상을 검출하여 차단 수단으로 유로를 차단한 후, 복귀 수단에 의해 차단 수단을 복귀한 후에 기구 마개를 닫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 등이 없는지, 가스 누설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있어, 차단 후 배관 내의 가스가 빠져 나와 가스압이 저하 상태이고, 복귀했을 때에 가스 차단 장치로부터 가스 기구까지의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는데 있어, 유량이 흐름과 동시에 배관 길이에 따라 누설 판정하는 데에 시간이 다른데, 그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울 때의 유량을 누설이라고 오판정(誤判定)하지 않고 유속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유량치로부터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단시간에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이상한 대유량을 검출하여 합계 유량 차단으로 했을 때, 또한 사용 시간 차단하여 가스 기구의 원래 코크가 확실하게 닫힘 상태가 된 것 등의 차단 요인이 개선된 것을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좋고, 안정성,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기구 사용시의 이상을 검출하여 차단 수단으로 유로를 차단한 후, 복귀 수단에 의해 차단 수단을 복귀한 후에 기구 마개를 닫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 등이 없는지, 가스 누설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차단 후 배관 내의 가스가 빠져 나와 가스압이 저하 상태이고, 복귀했을 때에 가스 차단 장치로부터 가스 기구까지의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기 위하여 유량이 흐름과 동시에 배관 길이에 의해 누설 판정하는 데에 시간이 다른데, 그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면, 하류측의 기구의 코크가 모두 닫혀 있다면 공급압은 폐색 압력으로 안정되는데, 수요가가 서둘러 마개를 열었을 때, 공급 압력이 폐색압으로부터 조정압으로 저하되므로, 마개를 열 때의 유량을 누설이라고 오판정(誤判定)하지 않고 압력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압력치로부터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단시간에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이상한 대유량을 검출하여 합계 유량 차단으로 했을 때, 또한 사용 시간 차단하여 가스 기구의 원래 코크가 확실하게 닫힘 상태가 된 것 등의 차단 요인이 개선된 것을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좋고, 안정성,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9는 종래의 가스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체 내의 신호 전반(傳搬)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에 의해 계시(計時)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면, 상 기 유량 연산 수단에 의해 소정 유량 이상 계측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차단하는 누설 판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스 기구의 이상한 사용 상태를 이상 판정 수단으로 검출하고 차단 수단에 의해 유로를 차단했을 경우,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할 때, 복귀 수단에 의해 차단 수단을 구동하여 유로를 여는데, 차단시에 가스 기구 마개가 닫히기까지 배관 중의 가스가 빠져 가스압이 저하되어 있고, 그 후에 복귀했을 때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울 때 대용량이 흐르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면 유량이 적어지며, 그 동안에 복귀 계시 수단에 의해 계시하고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량에 의한 누설 판정을 연기할 수 있어, 잘못하여 가스 마개를 닫는 것을 잊어버림에 따른 누설이라고 오판정(誤判定)하지 않고, 그 후의 유량이 안정화되었을 때의 유량으로 가스 기구 사용 가능 여부를 신속하게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할 때에 가스 기구의 코크 등이 닫혀 있는지, 각 수요 가택(需要家宅)의 기구와 가스 차단 장치까지의 배관 길이에 의한 누설 판정을 하는데에 장시간 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스 배관 등의 설비상의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누설 감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상기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에 의해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복귀 후,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유량이 소정 유량 이내인지 판정하고 상기 복귀 계시 수단의 판정치를 변경하는 복귀 판정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면 상기 유량 연산 수단에 의해 소정 유량 이상 계측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차단하는 누설 판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스 기구의 이상한 사용 상태를 이상 판정 수단으로 검출하고 차단 수단에 의해 유로를 차단했을 경우,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복귀 수단에 의해 차단 수단을 구동하고 유로를 여는데, 차단시에 가스 기구 마개가 닫히기까지 배관 중의 가스가 빠져 가스압이 저하되어 있고, 그 후에 복귀했을 때 배관 내를 공급압과 같은 가스압에 달하기까지 대용량이 흐르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면 유량이 적어지는데, 각 수요 가택의 가스 차단 장치와 가스 기구의 배관 길이에 따라 큰 유량이 흐르고 있는 시간이 다르지만, 복귀 판정 수단에 의해 소정 유량 이내로 저하되기까지의 시간을 미리 조사하고, 그 시간을 복귀 계시 수단에 설정하며, 이후 그 복귀 계시 수단의 판정 시간으로 계시하여 유속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유량에 의한 누설 판정을 연기할 수 있어, 잘못하여 가스 마개를 닫는 것을 잊어버림에 따른 누설이라고 오판정(誤判定)하지 않고, 그 후의 유량이 안정화되었을 때의 유량으로 가스 기구 사용 가능 여부를 신속하게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할 때에 가스 기구의 코크 등이 닫혀 있는지, 각 수요 가택의 기구와 가스 차단 장치까지의 배관 길이에 의한 누설 판정을 하는데에 장시간 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스 배관 등의 설비상의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누설 감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에 의해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유량 연산 수단의 검출 유량이 소정치 이상인지 판정하는 복귀 유량 판정 수단과, 상기 복귀 유량 판정 수단에서 소정 유량 이상이라고 판정시, 이후 유량치가 소정치까지 증가했는지를 판정하고, 소정 유량 이상에 달했다면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차단하는 누설 판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스 기구의 이상한 사용 상태를 이상 판정 수단으로 검출하고 차단 수단에 의해 유로를 차단했을 경우,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할 때, 복귀 수단에 의해 차단 수단을 구동하여 유로를 여는데, 차단시에 가스 기구 마개가 닫히기까지 배관 중의 가스가 빠져 가스압이 저하되어 있고, 그 후에 복귀했을 때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울 때 대용량이 흐르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면 유량이 적어지며, 그 동안에 복귀 계시 수단에 의해 계시하고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량에 의한 누설 판정을 연기하며, 그 후 복귀 유량 판정 수단으로 유량이 소정치 이내인지를 판정하고 소정 유량 이상인 경우 가스 마개를 닫는 것을 잊어버림에 따른 누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하고, 또한 소정 유량 이상으로 증가하는지를 감시하고 그 후의 유량이 증가하여 소정치에 달했다면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차단 출력을 행하므로, 복귀하고 소정 시간 경과한 후의 미소 유량이 되고, 그 후 기구 마개가 정확하게 닫혀 있지 않은 경우 서서히 유량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복귀 계시 수단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안정 유량으로 가스 기구 마개가 열려 있음에도 사용 가능이라고 오판정(誤判定)하지 않으며, 각 수요 가택의 기구와 가스 차단 장치까지의 배관 길이에 의한 누설 판정을 하는데에 유량 변화의 시간이 다른데, 각 수요 가택의 배관 길이 상태에 적합한 누설 판정을 할 수 있고, 또한 장시간이 걸려 판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스 배관 등의 설비상의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누설 감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에 의해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유량 연 산 수단의 검출 유량이 소정치 이상인지 판정하는 복귀 유량 판정 수단과, 상기 복귀 유량 판정 수단에서 소정 유량 이상이라고 판정시, 이후 유량 변화 구배(勾配)를 구하는 유량 변화 판정 수단과, 상기 유량 변화 판정 수단에서 유량 변화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유량 이상에 달한다고 추정했다면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차단하는 누설 추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스 기구의 이상한 사용 상태를 이상 판정 수단으로 검출하고 차단 수단에 의해 유로를 차단했을 경우,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할 때, 복귀 수단에 의해 차단 수단을 구동하여 유로를 여는데, 차단시에 가스 기구 마개가 닫히기까지 배관 중의 가스가 빠져 가스압이 저하되어 있고, 그 후에 복귀했을 때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울 때 대용량이 흐르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면 유량이 적어지며, 그 동안에 복귀 계시 수단에 의해 계시하고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량에 의한 누설 판정을 연기하며, 그 후 복귀 유량 판정 수단으로 유량이 소정치 이내인지를 판정하고 소정 유량 이상인 경우 가스 마개를 닫는 것을 잊어버림에 따른 누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하여 감시를 계속하며, 또한 유량 변화 판정 수단에서 유량의 증가 변화 구배를 검출하면,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유량 이상으로 증가하는지를 누설 판정 수단으로 추정하고 그 유량치가 소정치에 달했다면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차단 출력을 행하므로, 복귀하고 소정 시간 경과한 후의 미소 유량이 되고, 그 후 기구 마개가 정확하게 닫혀 있지 않은 경우 서서히 유량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복귀 계시 수단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안정 유량으로 가스 기구 마개가 열려 있음에도 사용 가능이라고 오판정(誤判定)하지 않으며, 각 수요 가택의 기구와 가 스 차단 장치까지의 배관 길이에 의한 누설 판정을 하는데에 유량 변화의 시간이 다른데, 각 수요 가택의 배관 길이 상태에 적합한 누설 판정을 단시간에 할 수 있고, 또한 가스 배관 등의 설비상의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누설 감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과, 상기 압력 검출 수단의 검출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인지를 판정하는 압력 판정 수단과,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에 의해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면 상기 압력 판정 수단에 의해 소정 압력 이하를 검출했을 때,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차단하는 누설 판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스 기구의 이상한 사용 상태를 이상 판정 수단으로 검출하고 차단 수단에 의해 유로를 차단했을 경우,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할 때, 복귀 수단에 의해 차단 수단을 구동하여 유로를 여는데, 차단시에 가스 기구 마개가 닫히기까지 배관 중의 가스가 빠져 가스압이 저하되어 있고, 그 후에 복귀했을 때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울 때 대용량이 흐르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면 유량이 적어지며, 압력 은 상승하여 폐색(閉塞)압 레벨이 되는데, 그 사이에 복귀 계시 수단에 의해 계시하고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량에 의한 누설 판정을 연기할 수 있어, 잘못하여 가스 마개를 닫는 것을 잊어버림에 따른 누설이라고 오판정하지 않고, 그 후의 유량이 안정화되었을 때의 유량으로 가스 기구 사용 가능 여부를 신속하게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할 때에 가스 기구의 코크 등이 닫혀 있는지, 각 수요 가택의 기구와 가스 차단 장치까지의 배관 길이에 의한 누설 판정을 하는 데에 장시간 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스 배관 등의 설비상의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누설 감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과,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에 의해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에서 기구 사용중의 상기 압력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압력을 기억하는 압력 기억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면, 상기 압력 검출 수단과 상기 압력 기억 수단의 기억된 압력을 비교하여 소정 압력 이하를 검출했을 때,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차단하는 누설 판정 수단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가스 기구의 이상한 사용 상태를 이상 판정 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차단 수단으로 유로를 차단했을 경우,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복귀 수단에 의해 차단 수단을 구동하고 유로를 여는데, 차단시에 가스 기구 마개가 닫히기까지 배관 중의 가스가 빠져 가스압이 저하되어 있고, 그 후에 복귀했을 때 배관 내를 공급압과 같은 가스압에 달하기까지 대용량이 흐르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면 유량이 작아져 압력 기억 수단의 조정압보다 높은 본래의 폐색압에 달하는데, 각 수요 가택의 가스 차단 장치와 가스 기구의 배관 길이에 따라 큰 유량이 흐르고 있는 시간이 다르지만, 복귀 판정 수단에 의해 소정 유량 이내로 저하되기까지의 시간을 미리 조사하고, 그 시간을 복귀 계시 수단에 설정하며, 이후 그 복귀 계시 수단의 판정 시간으로 계시하여 유속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유량에 의한 누설 오판정을 방지할 수 있어, 잘못하여 가스 마개를 닫는 것을 잊어버림에 따른 누설이라고 오판정하지 않고, 그 후의 압력이 압력 기억 수단에 격납된 기구 사용시의 조정압과 비교하여 가스 기구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신속하게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할 시에 가스 기구의 코크 등이 닫혀 있는지, 각 수요 가택의 기구와 가스 차단 장치까지의 배관 길이에 의한 누설 판정을 하는 데에 장시간 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스 배관 등의 설비상의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누설 감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 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과,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에 의해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기구 정지중의 상기 압력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압력을 기억하는 압력 기억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면, 상기 압력 검출 수단의 출력 신호로부터 압력 변화 구배(勾配)를 구하는 압력 변화 판정 수단과, 상기 유량 변화 판정 수단에서 압력 변화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압력 이하에 달하는지를 추정했다면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차단하는 누설 추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스 기구의 이상한 사용 상태를 이상 판정 수단으로 검출하고 차단 수단에 의해 유로를 차단했을 경우,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할 때, 복귀 수단에 의해 차단 수단을 구동하여 유로를 여는데, 차단시에 가스 기구 마개가 닫히기까지 배관 중의 가스가 빠져 가스압이 저하되어 있고, 그 후에 복귀했을 때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울 때 대용량이 흐르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면 유량이 적어지며, 압력은 상승하여 폐색압 레벨이 되는데, 그 사이에 복귀 계시 수단에 의해 계시하고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량에 의한 누설 오판정을 방지할 수 있어, 만약 가스 마개를 닫는 것을 잊어버려도, 압력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압력이 변화를 감시하고 폐색압 레벨로부터 조정압 레벨로 저하되는 변화를 검출하면 누설이라고 판정할 수 있고, 즉, 압력의 변화로 가스 기구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신속하게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할 때에 가스 기구의 코크 등이 닫혀 있는지, 각 수요 가택의 기구와 가스 차단 장치까지의 배관 길이에 의한 누설 판정을 하는 데에 장시간 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스 배관 등의 설비상의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누설 감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과,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에 의해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기구 사용중의 상기 압력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압력을 기억하는 압력 기억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면,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량이 소정치 이상을 검출했을 때, 혹은 상기 압력 검출 수단과 상기 압력 기억 수단의 기억된 압력을 비교하여 소정 압력 이하를 검출했을 때 중, 어느 하나의 빠른 판정 신호에 의해,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차단하는 누설 판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스 기구의 이상한 사용 상태를 이상 판정 수단으로 검출하고 차단 수단에 의해 유로를 차단했을 경우,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할 때, 복귀 수단에 의해 차단 수단을 구동하여 유로를 여는데, 차단시에 가스 기구 마개가 닫히기까지 배관 중의 가스가 빠져 가스압이 저하되어 있고, 그 후에 복귀했을 때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울 때 대용량이 흐르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면 유량이 적어지며, 폐색압 레벨로 압력은 회복되는데, 복귀 계시 수단에 의해 계시하고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량에 의한 누설 오판정을 방지하고, 그 후 복귀 유량 판정 수단으로 유량이 소정치 이내인지를 판정하고, 소정 유량 이상인 경우 가스 마개를 닫는 것을 잊어버림 등에 따른 누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하여 감시를 계속하며, 또한 병행하여 압력 검출 수단으로 폐색압으로부터 조정 압력으로의 변화를 검출했다면, 누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하고, 누설 판정 수단에서는, 유속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유량 신호가 소정 유량 이상 검출하거나, 혹은 압력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압력 신호가 폐색압으로부터 조정압으로의 변화를 검출하거나, 어느 하나 빠른 쪽에 의해, 복귀해도 기구 마개가 정확하게 닫혀 있지 않은 경우를 검출하고 다시 차단 수단에 의해 가스 공급 정지하므로, 복귀 계시 수단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안정 유량으로 가스 기구 마개가 열려 있음에도 사용 가능이라고 오판정하지 않으며, 각 수요 가택의 기구와 가스 차단 장치까지의 배관 길이에 의한 누설 판정을 하는데에 유량 변화의 시간이 다른데, 각 수요 가택의 배관 길이 상태에 적합한 누설 판정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고, 또한 가스 배관 등의 설비상의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누설 감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나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도 9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번호을 부여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로서, 17은 유속 검출 수단이며, 도시 가스 혹은 LPG 등의 가스 매체의 유로(1)에 대향 설치된 상류측 진동자(18), 하류측 진동자(19) 사이에서 초음파 신호를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발신하고, 그 전반 시간으로부터 사용 가스의 유속을 검출한다. 유속 검출 수단(17)의 일례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즉, 유속 검출 수단(17)은, 전환 수단(20)과, 송신 수단(21)과, 수신 수단(22)과, 반복 수단(23)과, 전반시간 계측수단(24)으로 이루어진다. 송신 수단(21)과 수신 수단(22)은 전환 수단(20)에 접속되고, 전환 수단(20)은 먼저 송신 수단(21)을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하류측 진동자(19)에 접속하고, 다음에는 송신 수단(21)을 하류측 진동자(19)에, 수신 수단(22)을 상류측 진동자(18)에 접속하는 것과 같이, 교대로 송신 수단(21)과 수신 수단(22)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반복 수단(23)은 전환 수단(20)에 의해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한편 하류측 진동자(19)에 송신 수단(21)이 접속되었을 때에,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신된 초음파 신호가 상류측 진동자(18)로부터 유로(1)를 거쳐 하류측 진동자(19)로부터 수신 수단(22)에서 수신되는데, 이 초음파 신호의 송신으로부터 수신까지를 반복하여 행하고, 또한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그 사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행한다.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은, 초음파 신호의 송신으로부터 수신까지의 시간을 계측하여 누적한다.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에 의해 하류측 진동자(19)에 수신 수단(22)이, 상류측 진동자(18)에 송신 수단(21)이 접속되고,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행한다.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은 최초 수신하여 구한 전반 시간과,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에 의해 전환한 후 계측한 신호 전반 시간으로부터 전반 시간차를 구한다.
25는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전반 시간으로부터 사용하고 있는 매체량, 즉, 가스 유량을 환산하여 구한다. 26은 이상 판정 수단으로, 유량 연산 수단(25)에서 구한 가스 사용량으로부터 이상한 사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스토브 등의 사용 기구로 가스를 공급하는 호스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졌을 때, 발생하는 이상한 대유량을 감시하기 위한 합계 유량 차단치나, 기구의 통상 사용하는 최대 사용 시간보다 훨씬 길게 사용된 경우에 대응한 사용 시간의 제한 시간을 규정한 사용 시간 차단 테이블이 이상 판정 수단(26)에 격납되고, 그에 해당하는 이상이 없는지 감시한다. 27은 차단 수단으로서, 이상 판정 수단(26)으로부터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차단 신호가 출력되고 가스 유로(1)를 차단한다. 28은 복귀 수단으로, 이상이라고 판정하여 차단 수단(27)으로 닫은 유로를 열고 다시 가스 매체를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복귀 지시를 행하면, 스위치 등으로 검지하여 차단 수단(27)을 구동하고 유로를 연다. 29는 복귀 계시 수단으로, 복귀 수단(28) 조작 후에 시간 카운트를 행하고, 그 사이의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하고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구한 유량치는 누설 판정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30은 누설 판정 수단으로, 복귀 수단(28)으로 차단 수단(27)을 열림 상태로 한 후,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계시 후에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유속을 검출하고,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구한 유량치가 유량 제로인지 여부, 혹은 소정 유량 이내인지를 판정하고, 유량 제로 혹은 소정 유량 이내가 아닌 경우, 차단 신호를 차단 수단(27)으로 출력한다. 31은 통지 수단으로서, 이상 판정 수단(26)에서 가스의 사용 상태가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차단 수단(27)을 구동한 경우, 차단 상태나 차단 내용을 액정 표시 소자 등에 표시함과 함께, 가스의 안전 감시를 행하고 있는 센터에 전화 회선 등으로 통보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스 차단 장치를 설치한 이후, 가스 기구의 사용 상태를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으로 감시한다. 가스 수요 가택에서 가스 스토브나 급탕기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거나, 혹은 가스 호스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져 이상한 유량이 흐른 경우, 가스 기구의 이상 사용으로서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로부터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환산한 유량치가 이상하게 길게 계속되고 있는지, 혹은 미리 설정한 값보다 이상하게 큰 유량치인지를 이상 판정 수단(26)으로 판정하고, 사용 가스량이 정상 유량 범위인지, 이상한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유속 검출 수단(17)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유로(1;가스 배관) 내에서, 사향(斜向) 설치된 상류측 진동자(18), 및 하류측 진동자(19)의 사이에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환 수단(20)에 의해 상류측 진동자(18)에 송신 수단(21)이 접속되고, 한편 수신 수단(22)에 하류측 진동자(19)가 접속되며,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상류측 진동자(18)로부터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수신한다. 이 동작을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 만큼 행하는, 소위 싱 어라운드(sing-around)계를 구성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누적하고, 그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구한다.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은 하류측 진동자(19)에 송신 수단(21)을 접속하고,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접속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고,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유로(1)를 거쳐 상류측 진동자(18)에 접속된 수신 수단(22)으로 신호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누적하여 구하고, 또한 상류로부터 하류로 초음파 신호를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과, 하류로부터 상류로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으로부터 전반 시간차를 구한다. 다음으로, 유량 연산 수단(25)은 전반 시간 계측 수단(19)으로 구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 V로부터 유량치 Q로 환산한다. 도 1에서 A는 가스 매체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구해진 유량치는, 이상 판정 수단(26)에서 이상 유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차단 신호를 차단 수단(27)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유로(1)를 닫고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차단 내용을 통지 수단(31)으로 표시한다. 차단 요인이 해제되고, 예를 들면 가스 호스가 빠진 것이라면 가스 호스를 다시 접속하는 등의 대응을 행하고,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구동하고 유로를 열림 상태로 한다. 그 후, 가스 기구 사용자, 혹은 가스 사업자가 확실하게 차단 요인을 개선했는지를 유량치로 확인한다. 이상한 대유량으로 인해 차단한 경우(합계 유량 차단), 가스 호스 빠짐 등을 고친 후에, 또 스토브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여 차단한 경우(사용 시간 차단), 가스 기구의 코크를 닫는 등의 개선을 행하기까지 배관 중의 생 가스가 자연적으로 빠진다. 마개를 연 직후에는 차단 밸브 하류측과는 압력차가 있어, 저하된 하류측 배관 내의 가스 압력이 공급압에 달하기까지 대유량이 흐른다. 그 후 압력이 균일해지면,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속치는 제로 혹은 제로 근방의 값이 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 요인을 개선하지 않고 그대로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열림 상태로 하면, 대유량이 흐른 후에 일단은 유량 제로 근방의 유량이 되는데, 배관(1) 하류의 가스 기구 마개가 열려 있으므로, 가스를 다 채우면 점차 유량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차단 직전의 가스 공급 상태의 유량까지 되돌아간다.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연 후에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경과하기까지,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을 누설 판정의 대상으로는 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 이후의 유량치로 누설 판정을 행한다.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계시 이후의,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하고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유량 환산한 가스 유량이 소정 유량 이상 있는지를 누설 판정 수단(29)으로 판정한다. 누설 판정 수단(29)으로 소정 유량 이상의 유량을 검출하면, 가스 누설이라고 판정하여 다시 차단 수단(27)에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가스 공급을 정지한다. 즉,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열림 상태로 하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는 과도적인 상태를 검출해도 누설이라고 오판정하지 않고,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가스의 흐름이 있는지를 검출하여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는 지를 판정하므로, 단시간에 누설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정상시, 즉, 가스 유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다고 판정하고, 유로(1)를 열어 통상과 같이 가스 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하여 가스 기구 사용시의 이상을 검출하여 차단한 후,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복귀한 이후, 가스 누설이 없는지를 배관 내의 유량 변화의 거동에 좌우되지 않고 유속 검출 수단(17)의 유속 신호로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단시간에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이상한 대유량이라고 오판정하거나, 합계 유량 차단으로 했을 때, 또한 사용 시간 차단하여 가스 기구의 원래 코크가 확실하게 닫힘 상태가 된 등의 차단 요인이 개선된 것을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좋고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 도 3, 도 4 및 도 9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 32는 복귀 판정 수단으로, 복귀 수단(28)을 조작하고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을 계시하는데, 그 사이 배관 내의 가스압을 차단 수단(27)의 상류측과 같은 압력에 달하기까지의 큰 유량이 흐르는데, 각 수요 가택마다 가스 차단 장치와 가스 기구와의 배관 거리가 달라, 배관 내를 같은 압력까지 채우는 데에 요구되는 시간이 다른데, 미리, 설치한 것마다 이 시간을 학습하여 복귀 계시 수단(29)에 설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스 차단 장치를 설치한 이후, 가스 기구의 사용 상태를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으로 감시한다. 가스 수요 가택에서 가스 스토브나 급탕기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거나, 혹은 가스 호스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져 이상한 유량이 흐른 경우, 가스 기구의 이상 사용으로서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로부터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환산한 유량치가 이상하게 길게 계속되고 있는지, 혹은 미리 설정한 값보다 이상하게 큰 유량치인지를 이상 판정 수단(26)으로 판정하고, 사용 가스량이 정상 유량 범위인지, 이상한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유속 검출 수단(17)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유로(1;가스 배관) 내에서, 사향(斜向) 설치된 상류측 진동자(18), 및 하류측 진동자(19)의 사이에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환 수단(20)에 의해 상류측 진동자(18)에 송신 수단(21)이 접속되고, 한편 수신 수단(22)에 하류측 진동자(19)가 접속되며,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상류측 진동자(18)로부터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수신한다. 이 동작을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하는, 소위 싱 어라운드(sing-around)계를 구성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누적하고, 그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구한다.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은 하류측 진동자(19)에 송신 수단(21)을 접속하고,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접속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고,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유로(1)를 거쳐 상류측 진동자(18)에 접 속된 수신 수단(22)으로 신호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누적하여 구하고, 또한 상류로부터 하류로 초음파 신호를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과, 하류로부터 상류로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으로부터 전반 시간차를 구한다. 다음으로, 유량 연산 수단(25)은 전반 시간 계측 수단(19)으로 구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 V로부터 유량치 Q로 환산한다. 도 1에서 A는 가스 매체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구해진 유량치는, 이상 판정 수단(26)에서 이상 유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차단 신호를 차단 수단(27)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유로(1)를 닫고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차단 내용을 통지 수단(31)으로 표시한다. 차단 요인이 해제되고, 예를 들면 가스 호스가 빠진 것이라면 가스 호스를 다시 접속하는 등의 대응을 행하고,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구동하고 유로를 열림 상태로 한다. 그 후, 가스 기구 사용자, 혹은 가스 사업자가 확실하게 차단 요인을 개선했는지를 유량치로 확인한다. 이상한 대유량으로 인해 차단한 경우(합계 유량 차단), 가스 호스 빠짐 등을 고친 후에, 또 스토브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여 차단한 경우(사용 시간 차단), 가스 기구의 코크를 닫는 등의 개선을 행하기까지 배관 중의 생 가스가 자연적으로 빠진다. 마개를 연 직후에는 차단 밸브 하류측과는 압력차가 있어, 저하된 하류측 배관 내의 가스 압력이 공급압에 달하기까지 대유량이 흐른다. 그 후 압력이 균일해지면,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속치는 제로 혹은 제로 근방의 값이 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 요인을 개선하지 않고 그대로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열림 상태로 하면, 대유량이 흐른 후에 일단은 유량 제로 근방의 유량이 되는데, 배관(1) 하류의 가스 기구 마개가 열려 있으므로, 가스를 다 채우면 점차 유량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차단 직전의 가스 공급 상태의 유량까지 되돌아간다.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연 후에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경과하기까지,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을 누설 판정의 대상으로는 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 이후의 유량치로 누설 판정을 행한다. 이때 각 수요 가택마다 가스 차단 장치와 가스 기구의 배관 길이가 다르다. 마개를 연 후에 배관(1) 내를 차단 수단(27)의 상류측 압력과 차가 없어질 때까지 대유량이 흐르는데, 복귀 판정 수단(32)은 각 수요 가택마다 대유량이 흘러 안정화될 때까지의 시간을 미리 가스 차단 장치를 설치할 시에 학습시켜, 복귀 계시 수단(29)의 판정치로서 설정한다.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계시 이후의,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하고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유량 환산한 가스 유량이 소정 유량 이상 있는지를 누설 판정 수단(29)으로 판정한다. 누설 판정 수단(29)으로 소정 유량 이상의 유량을 검출하면, 가스 누설이라고 판정하여 다시 차단 수단(27)에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가스 공급을 정지한다. 즉,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열림 상태로 하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는 과도적인 상태를 검출해도 누설이라고 오판정하지 않고,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가스의 흐름이 있는지를 검출하여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는지를 판정하므로, 단시간에 누설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정상시, 즉, 가스 유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다고 판정하고, 유로(1)를 열어 통상과 같이 가스 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하여 가스 기구 사용시의 이상을 검출하여 차단한 후,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복귀한 이후, 가스 누설이 없는지를 배관 내의 유량 변화의 거동에 좌우되지 않고, 또한 수요 가택마다의 배관 길이 상태에 영향받지 않고 유속 검출 수단(17)의 유속 신호로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단시간에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이상한 대유량이라고 오판정하거나, 합계 유량 차단으로 했을 때, 또한 사용 시간 차단하여 가스 기구의 원래 코크가 확실하게 닫힘 상태가 된 등의 차단 요인이 개선된 것을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좋고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3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 도 2, 도 4 및 도 9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 33은 복귀 유량 판정 수단으로, 복귀 수단(28)을 조작하고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을 계시하는데, 그 사이 배관 내의 가스압을 차단 수단(27)의 상류측과 같은 압력에 달하기까지의 큰 유량이 흐르는데, 각 수요 가택마다 가스 차단 장치와 가스 기구와의 배관 거리가 달라, 배관 내를 같은 압력까지 채우면 일단은 유량 제로 근방의 유량치로 저하되나, 어떠한 요인에 의해 차단 요인이 해제되지 않고 기구 마개가 열린 상태로 복귀되면, 제로 유량이 되지 않고 미소한 유량이 계속해서 흐르는데, 이 유량치가 소정 유량치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스 차단 장치를 설치한 이후, 가스 기구의 사용 상태를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으로 감시한다. 가스 수요 가택에서 가스 스토브나 급탕기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거나, 혹은 가스 호스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져 이상한 유량이 흐른 경우, 가스 기구의 이상 사용으로서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로부터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환산한 유량치가 이상하게 길게 계속되고 있는지, 혹은 미리 설정한 값보다 이상하게 큰 유량치인지를 이상 판정 수단(26)으로 판정하고, 사용 가스량이 정상 유량 범위인지, 이상한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유속 검출 수단(17)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유로(1;가스 배관) 내에서, 사향(斜向) 설치된 상류측 진동자(18), 및 하류측 진동자(19)의 사이에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환 수단(20)에 의해 상류측 진동자(18)에 송신 수단(21)이 접속되고, 한편 수신 수단(22)에 하류측 진동자(19)가 접속되며,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상류측 진동자(18)로부터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수신한다. 이 동작을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하는, 소위 싱 어라운드(sing-around)계를 구성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누적하고, 그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구한다.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은 하류측 진동자(19)에 송신 수단(21)을 접속하고,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접속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고,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유로(1)를 거쳐 상류측 진동자(18)에 접속된 수신 수단(22)으로 신호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누적하여 구하고, 또한 상류로부터 하류로 초음파 신호를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과, 하류로부터 상류로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으로부터 전반 시간차를 구한다. 다음으로, 유량 연산 수단(25)은 전반 시간 계측 수단(19)으로 구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 V로부터 유량치 Q로 환산한다. 도 1에서 A는 가스 매체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구해진 유량치는, 이상 판정 수단(26)에서 이상 유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차단 신호를 차단 수단(27)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유로(1)를 닫고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차단 내용을 통지 수단(31)으로 표시한다. 차단 요인이 해제되고, 예를 들면 가스 호스가 빠진 것이라면 가스 호스를 다시 접속하는 등의 대응을 행하고,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구동하고 유로를 열림 상태로 한다. 그 후, 가스 기구 사용자, 혹은 가스 사업자가 확실하게 차단 요인을 개선했는지를 유량치로 확인한다. 이상한 대유량으로 인해 차단한 경우(합계 유량 차단), 가스 호스 빠짐 등을 고친 후에, 또 스토브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여 차단한 경우(사용 시간 차단), 가스 기구의 코크를 닫는 등의 개선을 행하기까지 배관 중의 생 가스가 자연적으로 빠진다. 마개를 연 직후에는 차단 밸브 하류측과는 압력차가 있어, 저하된 하류측 배관 내의 가스 압력이 공급압에 달하기까지 대유량이 흐른다. 그 후 압력이 균일해지면,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속치는 제로 혹은 제로 근방의 값이 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 요인을 개선하지 않고 그대로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열림 상태로 하면, 대유량이 흐른 후에 일단은 유량 제로 근방의 유량이 되는데, 배관(1) 하류의 가스 기구 마개가 열려 있으므로, 가스를 다 채우면 점차 유량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차단 직전의 가스 공급 상태의 유량까지 되돌아간다.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연 후에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경과하기까지,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을 누설 판정의 대상으로는 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 이후의 유량치로 누설 판정을 행한다. 이때 각 수요 가택마다 가스 차단 장치와 가스 기구의 배관 길이가 다르다. 마개를 연 후에 배관(1) 내를 차단 수단(27)의 상류측 압력과 차가 없어질 때까지 대유량이 흐르는데,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 요인이 해제되지 않고 기구 마개가 열린 채로 복귀된 경우, 대유량이 흐른 후 일단은 유량 제로 근방의 미소 유량으로 안정된다. 복귀 유량 판정 수단(33)은 각 수요 가택마다 대유량이 흐른 후, 미소한 안정 유량이 소정치 이상인지를 판정하고, 소정치 이상이라면 누설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하여, 가스 사용 가능한 복귀 완료라고 판정하지 않고 누설 판정을 계속한다.
복귀 유량 판정 수단(33)으로 소정의 미소 유량을 검출한 이후,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하고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유량 환산한 가스 유량이 소정 유량 이상까지 증가했는지를 누설 판정 수단(29)으로 판정한다. 배관(1) 내를 차단 수단(27)의 상류 압력과 같은 압력이 되도록 대유량이 흐르고, 그 후에 유량 제로 근방의 유량으로 저하되는데, 하류측에서 기구 마개가 열려 있으면 유량 제로는 되지 않고 제로 근방의 미소 유량이 계속 흐른다. 일정 시간 미소 유량이 안정되게 계속 흐르면 유량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기구 마개가 열려 있을 때의 본래의 유량에 달한다. 누설 판정 수단(29)으로 소정 유량 이상으로 증가한 유량을 검출하면, 가스 누설이라고 판정하여 다시 차단 수단(27)에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가스 공급을 정지한다. 즉,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열림 상태로 하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는 과도적인 상태를 검출해도 누설이라고 오판정하지 않고,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가스의 흐름이 있는지를 검출하여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는지를 판정하므로, 단시간에 누설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정상 시, 즉, 가스 유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다고 판정하고, 유로(1)를 열어 통상과 같이 가스 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하여 가스 기구 사용시의 이상을 검출하여 차단한 후,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복귀한 이후, 가스 누설이 없는지를 배관 내의 유량 변화의 거동에 좌우되지 않고, 또한 수요 가택마다의 배관 길이 상태에 영향받지 않고 유속 검출 수단(17)의 유속 신호로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단시간에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이상한 대유량이라고 오판정하거나, 합계 유량 차단으로 했을 때, 또한 사용 시간 차단하여 가스 기구의 원래 코크가 확실하게 닫힘 상태가 된 등의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던 것을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좋고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4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1, 도 2, 도 3 및 도 9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 34는 유량 변화 판정 수단으로,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을 계시하는데, 그 사이 배관 내의 가스압을 차단 수단(27)의 상류측과 같은 압력에 달하기까지의 큰 유량이 흐르는데, 각 수요 가택마다 가스 차단 장치와 가스 기구와의 배관 거리가 달라, 배관 내를 같은 압력까지 채우면 일단은 유량 제로 근방의 유량치로 저하되나,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 요인이 해제되지 않고 기구 마개가 열린 상태로 복귀되면, 복귀 유량 판정 수단(33)에서 제로 유량이 되지 않고 미소한 유량이 계속해서 흐르는 것을 검출하고, 그 후 유량은 점차 증가하는데, 그 유량의 변화 구배(勾配)가 소정치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35는 누설 추정 수단으로, 유량 변화 판정 수단(34)에서 유량의 증가 구배를 검출하면, 변화 구배로부터 소정 시간 후 누설 유량이 소정치에 달하는지를 판정하고, 소정 유량에 달하면 판정시에 차단 수단(27)에 차단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스 차단 장치를 설치한 이후, 가스 기구의 사용 상태를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으로 감시한다. 가스 수요 가택에서 가스 스토브나 급탕기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거나, 혹은 가스 호스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져 이상한 유량이 흐른 경우, 가스 기구의 이상 사용으로서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로부터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환산한 유량치가 이상하게 길게 계속되고 있는지, 혹은 미리 설정한 값보다 이상하게 큰 유량치인지를 이상 판정 수단(26)으로 판정하고, 사용 가스량이 정상 유량 범위인지, 이상한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유속 검출 수단(17)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유로(1;가스 배관) 내에서, 사향(斜向) 설치된 상류측 진동자(18), 및 하류측 진동자(19)의 사이에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환 수단(20)에 의해 상류측 진동자(18)에 송신 수단(21)이 접속되고, 한편 수신 수단(22)에 하류측 진동자(19)가 접속되며,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상류측 진동자(18)로부터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수신한다. 이 동작을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하는, 소위 싱 어라운드(sing-around)계를 구성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누적하고, 그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구한다.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은 하류측 진동자(19)에 송신 수단(21)을 접속하고,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접속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고,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유로(1)를 거쳐 상류측 진동자(18)에 접속된 수신 수단(22)으로 신호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누적하여 구하고, 또한 상류로부터 하류로 초음파 신호를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과, 하류로부터 상류로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으로부터 전반 시간차를 구한다. 다음으로, 유 량 연산 수단(25)은 전반 시간 계측 수단(19)으로 구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 V로부터 유량치 Q로 환산한다. 도 1에서 A는 가스 매체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구해진 유량치는, 이상 판정 수단(26)에서 이상 유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차단 신호를 차단 수단(27)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유로(1)를 닫고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차단 내용을 통지 수단(31)으로 표시한다. 차단 요인이 해제되고, 예를 들면 가스 호스가 빠진 것이라면 가스 호스를 다시 접속하는 등의 대응을 행하고,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구동하고 유로를 열림 상태로 한다. 그 후, 가스 기구 사용자, 혹은 가스 사업자가 확실하게 차단 요인을 개선했는지를 유량치로 확인한다. 이상한 대유량으로 인해 차단한 경우(합계 유량 차단), 가스 호스 빠짐 등을 고친 후에, 또 스토브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여 차단한 경우(사용 시간 차단), 가스 기구의 코크를 닫는 등의 개선을 행하기까지 배관 중의 생 가스가 자연적으로 빠진다. 마개를 연 직후에는 차단 밸브 하류측과는 압력차가 있어, 저하된 하류측 배관 내의 가스 압력이 공급압에 달하기까지 대유량이 흐른다. 그 후 압력이 균일해지면,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속치는 제로 혹은 제로 근방의 값이 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 요인을 개선하지 않고 그대로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열림 상태로 하면, 대유량이 흐른 후에 일단은 유량 제로 근방의 유량이 된다. 이 미소 유량은 배관 길이에 따라 다른데, 배관 거리가 길면, 채우는 데에 시간이 걸려 계속 시간이 길다. 배관(1) 하류의 가스 기구 마개가 열려 있으므로 가스를 다 채우면, 열려 있는 기구 마개의 2차측과의 압력차 가 증대하고, 점차 유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차단 직전의 가스 공급 상태의 유량까지 되돌아간다.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연 후에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경과하기까지,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을 누설 판정의 대상으로는 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 이후의 유량치로 누설 판정을 행한다. 이때 각 수요 가택마다 가스 차단 장치와 가스 기구의 배관 길이가 다르다. 마개를 연 후에 배관(1) 내를 차단 수단(27)의 상류측 압력과 차가 없어질 때까지 대유량이 흐르는데,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 요인이 해제되지 않고 기구 마개가 열린 채로 복귀된 경우, 대유량이 흐른 후 일단은 유량 제로 근방의 미소 유량으로 안정된다. 복귀 유량 판정 수단(33)은 각 수요 가택마다 대유량이 흐른 후, 미소한 안정 유량이 소정치 이상인지를 판정하고, 소정치 이상이라면 누설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하여, 가스 사용 가능한 복귀 완료라고 판정하지 않고 누설 판정을 계속한다.
유량 변화 판정 수단(34)으로 소정의 미소 유량을 검출한 이후,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하고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유량 환산한 가스 유량이 소정 유량 이상까지 증가했는지를 유량 변화 구배를 검출하여 판정한다. 유량 변화 판정 수단(34)으로 검출한 유량 변화 구배를 누설 추정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내에 누설 유량치에 달하는지를 판정한다. 배관(1) 내를 차단 수단(27)의 상류 압력과 같은 압력이 되도록 대유량이 흐르고, 그 후에 유량 제로 근방의 유량으로 저하되는데, 하류측에서 기구 마개가 열려 있으면 유량 제로는 되지 않고 제로 근방의 미소 유량이 계속 흐른다. 일정 시간 미소 유량이 안정되게 계속 흐르면 유량이 증가하 기 시작하고, 기구 마개가 열려 있을 때의 본래의 유량에 달한다. 누설 추정 수단(35)에서는, 유량 변화 구배로부터 소정 유량 이상으로 소정 시간 후에 증가한다고 판정하면, 가스 누설이라고 판정하여 다시 차단 수단(27)에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가스 공급을 정지한다. 즉,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열림 상태로 하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는 과도적인 상태를 검출해도 누설이라고 오판정하지 않고,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가스의 흐름이 있는지를 검출하여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는지를 판정하므로, 단시간에 누설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정상 시, 즉, 가스 유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다고 판정하고, 유로(1)를 열어 통상과 같이 가스 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하여 가스 기구 사용시의 이상을 검출하여 차단한 후,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복귀한 이후, 가스 누설이 없는지를 배관 내의 유량 변화의 거동에 좌우되지 않고, 또한 수요 가택마다의 배관 길이 상태에 영향받지 않고 유속 검출 수단(17)의 유속 신호로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단시간에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이상한 대유량이라고 오판정하거나, 합계 유량 차단으로 했을 때, 또한 사용 시간 차단하여 가스 기구의 원래 코크가 확실하게 닫힘 상태가 된 등의 차단 요인이 개선된 것을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좋고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5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로서, 17은 유속 검출 수단이고, 도시 가스 혹은 LPG 등의 가스 매체의 유로(1)에 대향 설치된 상류측 진동 자(18), 하류측 진동자(19) 사이에서 초음파 신호를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발신하고, 그 전반 시간으로부터 사용 가스의 유속을 검출한다. 유속 검출 수단(17)의 일례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즉 유속 검출 수단(17)은, 전환 수단(20)과, 송신 수단(21)과, 수신 수단(22)과, 반복 수단(23)과,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이루어진다. 송신 수단(21)과 수신 수단(22)은 전환 수단(20)에 접속되고, 전환 수단(20)은 먼저 송신 수단(21)을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하류측 진동자(19)에 접속하고, 다음에는 송신 수단(21)을 하류측 진동자(19)에, 수신 수단(22)을 상류측 진동자(18)에 접속하는 것과 같이, 교대로 송신 수단(21)과 수신 수단(22)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반복 수단(23)은 전환 수단(20)에 의해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한편 하류측 진동자(19)에 송신 수단(21)을 접속했을 때, 송신 수단(21)로부터 발신된 초음파 신호가 상류측 진동자(18)로부터 유로(1)를 거쳐 하류측 진동자(19)로부터 수신 수단(22)에서 수신되는데, 이 초음파 신호의 송신으로부터 수신까지를 반복하여 행하고, 또한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에서 그 사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행한다.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은 초음파 신호의 송신으로부터 수신까지의 시간을 계측하여 누적한다.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에 의해 하류측 진동자(19)에 수신 수단(22)이, 상류측 진동자(18)에 송신 수단(21)이 접속되고,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행한다.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은 최초 수신하여 구한 전반 시간과,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에 의해 전환한 후 계측한 신호 전반 시간으로부터 전반 시간차를 구한다.
25는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전반 시간으로부터 사용하고 있는 매체량, 즉, 가스 유량을 환산하여 구한다. 26은 이상 판정 수단으로, 유량 연산 수단(25)에서 구한 가스 사용량으로부터 이상한 사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스토브 등의 사용 기구로 가스를 공급하는 호스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졌을 때, 발생하는 이상한 대유량을 감시하기 위한 합계 유량 차단치나, 기구의 통상 사용하는 최대 사용 시간보다 훨씬 길게 사용된 경우에 대응한 사용 시간의 제한 시간을 규정한 사용 시간 차단 테이블이 이상 판정 수단(26)에 격납되고, 그에 해당하는 이상이 없는지 감시한다. 27은 차단 수단으로서, 이상 판정 수단(26)으로부터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차단 신호가 출력되고 가스 유로(1)를 차단한다. 28은 복귀 수단으로, 이상이라고 판정하여 차단 수단(27)으로 닫은 유로를 열고 다시 가스 매체를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복귀 지시를 행하면, 스위치 등으로 검지하여 차단 수단(27)을 구동하고 유로를 연다. 29는 복귀 계시 수단으로, 복귀 수단(28) 조작 후에 시간 카운트를 행하고, 그 사이의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하고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구한 유량치는 누설 판정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130은 압력 검출 수단으로, 배관 내의 압력을 검출한다. 131은 압력 설정 수단으로, 기구 사용 정지시의 배관 내의 압력, 즉 폐색압을 설정한다. 132는 압력 판정 수단으로, 복귀 후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검출한 압력과 압력 설정 수단(131)과의 압력을 비교하고, 복귀 후에 복귀 계시 수단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압력이 폐색압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133은 누설 판정 수단으로, 복귀 수단(28)으로 차단 수단(27)을 열림 상태로 한 후,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계시 후에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압력을 검출하고, 압력 판정 수단(132)으로 판정한 압력이 폐색압 이 상인지를 판정하고, 폐색압 이상이 아닌 경우,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차단 신호를 차단 수단(27)으로 출력한다. 134는 통지 수단으로서, 이상 판정 수단(26)에서 가스의 사용 상태가 이상이라고 판정하여 차단 수단(27)을 구동한 경우, 차단 상태나 차단 내용을 액정 표시 소자 등에 표시함과 함께, 가스의 안전 감시를 행하고 있는 센터에 전화 회선 등으로 통보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스 차단 장치를 설치한 이후, 가스 기구의 사용 상태를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으로 감시한다. 가스 수요 가택에서 가스 스토브나 급탕기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거나, 혹은 가스 호스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져 이상한 유량이 흐른 경우, 가스 기구의 이상 사용으로서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로부터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환산한 유량치가 이상하게 길게 계속되고 있는지, 혹은 미리 설정한 값보다 이상하게 큰 유량치인지를 이상 판정 수단(26)으로 판정하고, 사용 가스량이 정상 유량 범위인지, 이상한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유속 검출 수단(17)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유로(1;가스 배관) 내에서, 사향(斜向) 설치된 상류측 진동자(18), 및 하류측 진동자(19)의 사이에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환 수단(20)에 의해 상류측 진동자(18)에 송신 수단(21)이 접속되고, 한편 수신 수단(22)에 하류측 진동자(19)가 접속되며,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상류측 진동자(18)로부터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수신한다. 이 동작을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하는, 소위 싱 어라운드(sing-around)계를 구성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 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누적하고, 그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구한다.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은 하류측 진동자(19)에 송신 수단(21)을 접속하고,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접속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고,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유로(1)를 거쳐 상류측 진동자(18)에 접속된 수신 수단(22)으로 신호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누적하여 구하고, 또한 상류로부터 하류로 초음파 신호를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과, 하류로부터 상류로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으로부터 전반 시간차를 구한다. 다음으로, 유량 연산 수단(25)은 전반 시간 계측 수단(19)으로 구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 V로부터 유량치 Q로 환산한다. 도 5에서 A는 가스 매체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구해진 유량치는, 이상 판정 수단(26)에서 이상 유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차단 신호를 차단 수단(27)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유로(1)를 닫고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차단 내용을 통지 수단(134)으로 표시한다. 차단 요인이 해제되고, 예를 들면 가스 호스가 빠진 것이라면 가스 호스를 다시 접속하는 등의 대응을 행하고,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구동하고 유로를 열림 상태로 한다. 그 후, 가스 기구 사용자, 혹은 가스 사업자가 확실하게 차단 요인을 개선했는지를 유량치로 확인한다. 이상한 대유량으로 인해 차단한 경우(합계 유량 차단), 가스 호스 빠짐 등을 고친 후 에, 또 스토브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여 차단한 경우(사용 시간 차단), 가스 기구의 코크를 닫는 등의 개선을 행하기까지 배관 중의 생 가스가 자연적으로 빠진다. 마개를 연 직후에는 차단 밸브 하류측과는 압력차가 있어, 저하된 하류측 배관 내의 가스 압력이 공급압에 달하기까지 대유량이 흐른다. 그 후 압력이 균일해지면,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검출한 압력치는 폐색압 근방, 즉 기구를 정지한 상태의 압력치가 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 요인을 개선하지 않고 그대로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열림 상태로 하면, 대유량이 흘러 배관 중의 가스압을 높이고, 일단은 폐색압 근방의 압력이 되는데, 배관(1) 하류의 가스 기구 마개가 열려 있으므로, 가스를 다 채우면 점차 유량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차단 직전의 기구 사용중의 공급 상태의 압력, 즉 조정압까지 되돌아간다.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연 후에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경과하기까지, 유속 검출 수단(17),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검출한 유량이나 압력을 누설 판정의 대상으로는 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 이후의 압력치로 누설 판정을 행한다.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계시 이후의 압력을 압력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하고, 압력 설정 수단(131)의 설정 압력과 압력 판정 수단(132)으로 비교하여, 소정 압력 이상 있는지 없는지의 판정 신호를 누설 판정 수단(133)으로 판정한다. 압력 설정 수단(131)은 기구 정지시의 폐색압을 설정하고 있다. 누설 판정 수단(133)으로 소정 압력, 폐색압 이하의 압력을 검출하면, 가스 누설이라고 판정하여 다시 차단 수단(27)에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가스 공급을 정지한다. 즉,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열림 상태로 하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 는 과도적인 상태를 검출해도 누설이라고 오판정하지 않고,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가스압이 압력 저하에는 이르지 않으나, 본래의 폐색압이 아니라 폐색압 이하로 내려간 것을 검출하여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는지를 판정하므로, 단시간에 누설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정상 시, 즉 가스 유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다고 판정하고, 유로(1)를 열어 통상과 같이 가스 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하여 가스 기구 사용시의 이상을 검출하여 차단한 후,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복귀한 이후, 가스 누설이 없는지를 배관 내의 압력 변화의 거동에 좌우되지 않고 압력 검출 수단(130)의 압력 신호로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단시간에 판정할 수 있어, 미묘한 가스 누설이 있지만 압력 저하가 되지 않으면 차단하지 않아서 누설이 계속된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배관 중에 가스를 채우는 기간 내의 압력을, 즉 조정압을 누설이라고 오판정 하지 않고, 합계 유량 차단으로 했을 때, 또한 사용 시간 차단하여 가스 기구의 원래 코크가 확실하게 닫힘 상태가 된 등의 차단 요인이 개선된 것을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좋고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6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이다. 도 6에서, 도 5, 도 7, 도 8 및 도 9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35는 압력 기억 수단으로서, 압력 검출 수단(130)에서 기구 사용 중(즉, 유속 검출 수단(17)에서 유량이 제로 근방이 아닌 경우, 기기 유량을 검출하고 있을 때) 압력, 즉 조정압을 검출하여 최대치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일정 기간마다 최대치는 클리어되고, 또 최대치를 검출하여 기억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스 차단 장치를 설치한 이후, 가스 기구의 사용 상태를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으로 감시한다. 가스 수요 가택에서 가스 스토브나 급탕기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거나, 혹은 가스 호스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져 이상한 유량이 흐른 경우, 가스 기구의 이상 사용으로서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로부터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환산한 유량치가 이상하게 길게 계속되고 있는지, 혹은 미리 설정한 값보다 이상하게 큰 유량치인지를 이상 판정 수단(26)으로 판정하고, 사용 가스량이 정상 유량 범위인지, 이상한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유속 검출 수단(17)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유로(1;가스 배관) 내에서, 사향(斜向) 설치된 상류측 진동자(18), 및 하류측 진동자(19)의 사이에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환 수단(20)에 의해 상류측 진동자(18)에 송신 수단(21)이 접속되고, 한편 수신 수단(22)에 하류측 진동자(19)가 접속되며,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상류측 진동자(18)로부터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수신한다. 이 동작을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하는, 소위 싱 어라운드(sing-around)계를 구성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누적하고, 그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구한다.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은 하류측 진동자(19)에 송신 수단(21)을 접속하고,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접속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고,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유로(1)를 거쳐 상류측 진동자(18)에 접속된 수신 수단(22)으로 신호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누적하여 구하고, 또한 상류로부터 하류로 초음파 신호를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과, 하류로부터 상류로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으로부터 전반 시간차를 구한다. 다음으로, 유량 연산 수단(25)은 전반 시간 계측 수단(19)으로 구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 V로부터 유량치 Q로 환산한다. 도 5에서 A는 가스 매체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유속 검출 수단(17)에서 기구 유량을 검출하고 있을 때,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공급 압력, 즉 조정압을 검출하고, 최대치를 압력 기억 수단(135)에 격납한다. 압력 기억 수단(135)에는 과거의 공급 압력의 최대치가 남아 있다.
구해진 유량치는, 이상 판정 수단(26)에서 이상 유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차단 신호를 차단 수단(27)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유로(1)를 닫고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차단 내용을 통지 수단(131)으로 표시한다. 차단 요인이 해제되고, 예를 들면 가스 호스가 빠진 것이라면 가스 호스를 다시 접속하는 등의 대응을 행하고,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구동하고 유로를 열림 상태로 한다. 그 후, 가스 기구 사용자, 혹은 가스 사업자가 확실하게 차단 요인을 개선했는지를 유량치로 확인한다. 이상 한 대유량으로 인해 차단한 경우(합계 유량 차단), 가스 호스 빠짐 등을 고친 후에, 또 스토브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여 차단한 경우(사용 시간 차단), 가스 기구의 코크를 닫는 등의 개선을 행하기까지 배관 중의 생 가스가 자연적으로 빠진다. 마개를 연 직후에는 차단 밸브 하류측과는 압력차가 있어, 저하된 하류측 배관 내의 가스 압력이 공급압에 달하기까지 대유량이 흐른다. 그 후 압력이 균일해지면,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검출한 압력치는 폐색압 근방, 즉 기구를 정지한 상태의 압력치가 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 요인을 개선하지 않고 그대로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열림 상태로 하면, 대유량이 흘러 배관 중의 가스압을 높이고, 일단은 폐색압 근방의 압력이 되는데, 배관(1) 하류의 가스 기구 마개가 열려 있으므로, 가스를 다 채우면 점차 가스 누설량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차단 직전의 기구 사용중의 공급 상태의 압력, 즉 조정압까지 되돌아간다.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연 후에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경과하기까지, 유속 검출 수단(17),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검출한 유량이나 압력을 누설 판정의 대상으로는 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 이후의 압력치로 누설 판정을 행한다.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계시 이후의 압력을 압력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하고, 압력 기억 수단(135)의 격납된 조정압의 최대 압력과 압력 판정 수단(132)으로 비교한다. 조정압 최대치에 소정 압력을 가산하고, 그 값에 대하여 검출한 압력이 높은지 어떤지의 판정 신호를 누설 판정 수단(133)으로 판정한다. 압력 기억 수단(135)은 소정 기간 중의 기구 사용시의 공급압, 즉 조정압의 최대치를 격납하고 있으므로, 확실하게 기구 사용중의 압력을 알 수 있다. 누설 판정 수단(133)에서는 기억한 최대의 조정압 이하의 압력을 검출하면, 가스 누설이라고 판정하여 다시 차단 수단(27)에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가스 공급을 정지한다. 즉,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열림 상태로 하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는 과도적인 상태를 검출해도 누설이라고 오판정하지 않고,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가스압이 압력 저하에는 이르지 않으나, 본래의 폐색압이 아니라 조정압 이하로 내려간 것을 검출하여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는지를 판정하므로, 단시간에 누설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정상 시, 즉, 가스 유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다고 판정하고, 유로(1)를 열어 통상과 같이 가스 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하여 가스 기구 사용시의 이상을 검출하여 차단한 후,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복귀한 이후, 가스 누설이 없는지를 배관 내의 압력 변화의 거동에 좌우되지 않고 압력 검출 수단(130)의 압력 신호로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단시간에 판정할 수 있어, 미묘한 가스 누설이 있지만 압력 저하가 되지 않으면 차단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배관 중에 가스를 채우는 기간 내의 압력을, 즉 조정압을 누설이라고 오판정 하지 않고, 합계 유량 차단으로 했을 때, 또한 사용 시간 차단하여 가스 기구의 원래 코크가 확실하게 닫힘 상태가 된 등의 차단 요인이 개선된 것을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좋고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7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5, 도 6, 도 8 및 도 9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136은 압력 변화 판정 수단으로서, 압력 검출 수단(130)이 검출한 압력으로부터 압력의 변화 구배를 구하고, 압력이 폐색압으로부터 조정압으로 저하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137은 누설 추정 수단으로, 압력 변화 판정 수단(136)에서 부(負)의 소정의 압력 변화 구배를 검출하고, 압력 설정 수단(131)에서 설정된 폐색압 미만이 될 것 같은지를 추정하여, 변화 구배치로부터 폐색압 미만이 된다고 추정하면 차단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스 차단 장치를 설치한 이후, 가스 기구의 사용 상태를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으로 감시한다. 가스 수요 가택에서 가스 스토브나 급탕기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거나, 혹은 가스 호스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져 이상한 유량이 흐른 경우, 가스 기구의 이상 사용으로서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로부터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환산한 유량치가 이상하게 길게 계속되고 있는지, 혹은 미리 설정한 값보다 이상하게 큰 유량치인지를 이상 판정 수단(26)으로 판정하고, 사용 가스량이 정상 유량 범위인지, 이상한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유속 검출 수단(17)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유로(1;가스 배관) 내에서, 사향(斜向) 설치된 상류측 진동자(18), 및 하류측 진동자(19)의 사이에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환 수단(20)에 의해 상류측 진동자(18)에 송신 수단(21)이 접속되고, 한편 수신 수단(22)에 하류측 진동 자(19)가 접속되며,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상류측 진동자(18)로부터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수신한다. 이 동작을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하는, 소위 싱 어라운드(sing-around)계를 구성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누적하고, 그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구한다.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은 하류측 진동자(19)에 송신 수단(21)을 접속하고,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접속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고,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유로(1)를 거쳐 상류측 진동자(18)에 접속된 수신 수단(22)으로 신호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누적하여 구하고, 또한 상류로부터 하류로 초음파 신호를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과, 하류로부터 상류로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으로부터 전반 시간차를 구한다. 다음으로, 유량 연산 수단(25)은 전반 시간 계측 수단(19)으로 구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 V로부터 유량치 Q로 환산한다. 도 5에서 A는 가스 매체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구해진 유량치는, 이상 판정 수단(26)에서 이상 유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차단 신호를 차단 수단(27)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유로(1)를 닫고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차단 내용을 통지 수단(134)으로 표시한다. 차단 요인이 해제되고, 예를 들면 가스 호스가 빠진 것이라면 가스 호스를 다시 접속하는 등의 대응을 행하고, 복귀 수단(28)을 조작하 여 차단 수단(27)을 구동하고 유로를 열림 상태로 한다. 그 후, 가스 기구 사용자, 혹은 가스 사업자가 확실하게 차단 요인을 개선했는지를 유량치로 확인한다. 이상한 대유량으로 인해 차단한 경우(합계 유량 차단), 가스 호스 빠짐 등을 고친 후에, 또 스토브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여 차단한 경우(사용 시간 차단), 가스 기구의 코크를 닫는 등의 개선을 행하기까지 배관 중의 생 가스가 자연적으로 빠진다. 마개를 연 직후에는 차단 밸브 하류측과는 압력차가 있어, 저하된 하류측 배관 내의 가스 압력이 공급압에 달하기까지 대유량이 흐른다. 그 후 압력이 균일해지면,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검출한 압력치는 폐색압 근방, 즉 기구를 정지한 상태의 압력치가 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 요인을 개선하지 않고 그대로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열림 상태로 하면, 대유량이 흘러 배관 중의 가스압을 높이고, 일단은 폐색압 근방의 압력이 되는데, 배관(1) 하류의 가스 기구 마개가 열려 있으므로, 가스를 다 채우면 점차 가스 누설량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차단 직전의 기구 사용중의 공급 상태의 압력, 즉 조정압까지 되돌아간다.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연 후에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경과하기까지, 유속 검출 수단(17),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검출한 유량이나 압력을 누설 판정의 대상으로는 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 이후의 압력치로 누설 판정을 행한다. 복귀 계시 수단(29)으로 소정 시간 계시 이후의 압력을 압력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하고, 압력 변화 판정 수단(136)에서는 압력의 변화 구배를 구한다. 누설되고 있으면, 통상, 폐색압으로부터 조정압 방향으로 압력치의 저하 경향이 된다. 압력 설정 수단(131)은 기구 정지시의 폐색압을 설 정하고 있다. 이 압력의 변화 구배와 변화치를 검출하면, 누설 판정 수단(133)에서 압력의 저하치를 추정한다. 폐색압 이하의 압력으로 소정 시간 후 저하한다고 추정하면, 가스 누설이라고 판정하여 다시 차단 수단(27)에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가스 공급을 정지한다. 즉,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열림 상태로 하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는 과도적인 상태를 검출해도 누설이라고 오판정하지 않고,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가스압이 압력 저하에는 이르지 않으나, 본래의 폐색압이 아니라 폐색압 이하로 내려간 것을 검출하여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는지를 판정하므로, 단시간에 누설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정상 시, 즉, 가스 유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다고 판정하고, 유로(1)를 열어 통상과 같이 가스 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하여 가스 기구 사용시의 이상을 검출하여 차단한 후,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복귀한 이후, 가스 누설이 없는지를 배관 내의 압력 변화의 거동에 좌우되지 않고 압력 검출 수단(130)의 압력 신호로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단시간에 판정할 수 있어, 미묘한 가스 누설이 있지만 압력 저하가 되지 않으면 차단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배관 중에 가스를 채우는 기간 내의 압력을, 즉 조정압을 누설이라고 오판정 하지 않고, 합계 유량 차단으로 했을 때, 또한 사용 시간 차단하여 가스 기구의 원래 코크가 확실하게 닫힘 상태가 된 등의 차단 요인이 개선된 것을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좋고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8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가스 차단 장치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5, 도 6, 도 7 및 도 9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138은 우선 누설 판정 수단으로서, 차단 수단(27)을 복귀 수단(28)의 신호에 의해 복귀하고, 복귀 계시 수단(29)의 시간 경과 후, 유속 검출 수단(17)으로부터의 유량 신호가 소정치 이상이거나, 혹은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검출한 압력이 압력 설정 수단(131)의 폐색압 설정치와 비교하여 저하라고 판정한 신호의 어느 하나 빠른 누설 판정 신호로 차단 수단(27)에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가스 공급 상태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스 차단 장치를 설치한 이후, 가스 기구의 사용 상태를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유량으로 감시한다. 가스 수요 가택에서 가스 스토브나 급탕기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거나, 혹은 가스 호스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져 이상한 유량이 흐른 경우, 가스 기구의 이상 사용으로서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유속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로부터 유량 연산 수단(25)으로 환산한 유량치가 이상하게 길게 계속되고 있는지, 혹은 미리 설정한 값보다 이상하게 큰 유량치인지를 이상 판정 수단(26)으로 판정하고, 사용 가스량이 정상 유량 범위인지, 이상한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유속 검출 수단(17)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유로(1;가스 배관) 내에서, 사향(斜向) 설치된 상류측 진동자(18), 및 하류측 진동자(19)의 사이에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환 수단(20)에 의해 상류 측 진동자(18)에 송신 수단(21)이 접속되고, 한편 수신 수단(22)에 하류측 진동자(19)가 접속되며,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상류측 진동자(18)로부터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수신한다. 이 동작을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하는, 소위 싱 어라운드(sing-around)계를 구성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누적하고, 그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구한다.
다음으로, 전환 수단(20)은 하류측 진동자(19)에 송신 수단(21)을 접속하고, 상류측 진동자(18)에 수신 수단(22)을 접속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고, 하류측 진동자(19)를 통해 유로(1)를 거쳐 상류측 진동자(18)에 접속된 수신 수단(22)으로 신호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복 수단(23)에서 설정된 회수만큼 행한다. 송신 수단(21)으로부터 발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 수단(22)이 수신하기까지의 전반 시간을 전반 시간 계측 수단(24)으로 누적하여 구하고, 또한 상류로부터 하류로 초음파 신호를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과, 하류로부터 상류로 발사했을 때의 전반 시간으로부터 전반 시간차를 구한다. 다음으로, 유량 연산 수단(25)은 전반 시간 계측 수단(19)으로 구한 전반 시간, 즉 유속치 V로부터 유량치 Q로 환산한다. 도 5에서 A는 가스 매체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유속 검출 수단(17)에서 기구 유량을 검출하고 있을 때, 압력 검출 수단(130)에서 공급 압력, 즉 조정압을 검출하고, 최대치를 압력 기억 수단(135)에 격납한다. 압력 기억 수단(135)에는 과거의 공급 압력의 최대치가 남아 있다.
구해진 유량치는, 이상 판정 수단(26)에서 이상 유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차 단 신호를 차단 수단(27)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유로(1)를 닫고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차단 내용을 통지 수단(134)으로 표시한다. 차단 요인이 해제되고, 예를 들면 가스 호스가 빠진 것이라면 가스 호스를 다시 접속하는 등의 대응을 행하고,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구동하고 유로를 열림 상태로 한다. 그 후, 가스 기구 사용자, 혹은 가스 사업자가 확실하게 차단 요인을 개선했는지를 유량치로 확인한다. 이상한 대유량으로 인해 차단한 경우(합계 유량 차단), 가스 호스 빠짐 등을 고친 후에, 또 스토브 등의 가스 기구를 이상하게 장시간 사용하여 차단한 경우(사용 시간 차단), 가스 기구의 코크를 닫는 등의 개선을 행하기까지 배관 중의 생 가스가 자연적으로 빠진다. 마개를 연 직후에는 차단 밸브 하류측과는 압력차가 있어, 저하된 하류측 배관 내의 가스 압력이 공급압에 달하기까지 대유량이 흐른다. 그 후 압력이 균일해지면,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검출한 압력치는 폐색압 근방, 즉 기구를 정지한 상태의 압력치가 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 요인을 개선하지 않고 그대로 복귀 수단(28)을 조작하여 차단 수단(27)을 열림 상태로 하면, 대유량이 흘러 배관 중의 가스압을 높이고, 일단은 폐색압 근방의 압력이 되는데, 배관(1) 하류의 가스 기구 마개가 열려 있으므로, 가스를 다 채우면 점차 가스 누설량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차단 직전의 기구 사용중의 공급 상태의 압력, 즉 조정압까지 되돌아간다. 한편 유속 검출 수단(17)으로부터의 유량 신호는 한번 유량이 제로 근방의 소(小)유량까지 저하한 후,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한다.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연 후, 복귀 계시 수단(29)에서 소정 시간 경과하기까지 유 속 검출 수단(17), 압력 검출 수단(130)에서 검출한 유량이나 압력을 누설 판정의 대상으로는 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 이후의 압력치, 혹은 소정 유량 이상의 유량 신호의 어느 하나 빠른 신호로 누설 판정을 행한다. 복귀 계시 수단(29)에서 소정 시간 계시 이후의 압력을 압력 검출 수단(17)으로 검출하고, 압력 기억 수단(135)의 격납된 조정압의 최대 압력과 압력 판정 수단(132)으로 비교한다. 조정압 최대치에 소정 압력을 가산하고, 그 값에 대하여 검출한 압력이 높은지 어떤지의 판정 신호를 누설 판정 수단(133)으로 판정한다. 압력 기억 수단(135)은 소정 기간 중의 기구 사용시의 공급압, 즉 조정압의 최대치를 격납하고 있으므로, 확실하게 기구 사용중의 압력을 알 수 있다. 한편 유속 검출 수단(17)에서 유량 검출을 행하고 있고, 누설 유량치가 점차 소정 유량으로 증가한다. 우선 누설 판정 수단(138)에서는, 기억한 최대의 조정압 이하의 압력을 검출하거나, 혹은 소정 유량 이상이거나의 어느 하나 빠른 신호를 검출하면, 가스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다시 차단 수단(27)에 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가스 공급을 정지한다. 즉, 차단 수단(27)을 구동하여 열림 상태로 하고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우는 과도적인 상태를 검출해도 누설이라고 오판정하지 않고, 압력 검출 수단(130)으로 가스압이 압력 저하에는 이르지 않으나, 본래의 폐색압이 아니라 조정압 이하로 내려간 것을 검출하거나, 일단 배관 내를 가스로 채운 후, 기구 마개가 닫혀 있지 않은 경우에 점차 유량이 증가하므로, 어느 하나 빠른 신호로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는지를 판정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누설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정상 시, 즉, 가스 유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다고 판정하고, 유로(1)를 열어 통상과 같이 가스 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하여 가스 기구 사용시의 이상을 검출하여 차단한 후, 복귀 수단(28)에 의해 차단 수단(27)을 복귀한 이후, 가스 누설이 없는지를 배관 내의 압력 변화의 거동에 좌우되지 않고 압력 검출 수단(130)의 압력 신호로 판정하므로, 다시 가스 기구를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단시간에 판정할 수 있어, 미묘한 가스 누설이 있지만 압력 저하가 되지 않으면 차단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배관 중에 가스를 채우는 기간 내의 압력을, 즉 조정압을 누설이라고 오판정 하지 않고, 합계 유량 차단으로 했을 때, 또한 사용 시간 차단하여 가스 기구의 원래 코크가 확실하게 닫힘 상태가 된 등의 차단 요인이 개선되었는지를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으며, 유속 검출 수단(17)과 압력 검출 수단(130)의 복수로, 누설 판정을 동시에 행하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이 좋고 안전성이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차단 장치는, 막식(膜式), 초음파 센서, 열선(熱線)식 센서, 플루이딕(fluidic) 센서 등을 이용해 배관 내를 흐르는 각종 가스 매체, LP 가스, 도시 가스, 수소 가스의 기체 계측, 또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물 등의 유체를 계측하는 수도 미터 등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04년 10월 20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04-302336) 및 2004년 10월 20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04-302337)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Claims (16)

  1. 매체 내의 신호 전반(傳搬)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매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상기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의 복귀 동작에 기초하여, 계시(計時)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이 소정 시간 경과를 계시하고, 상기 유량 연산 수단이 소정 유량 이상의 유량을 계측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누설 판정 수단을 구비한 가스 차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귀 후에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유량이 소정 유량 이내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복귀 계시 수단의 판정치를 변경하는 복귀 판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가스 차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계시 수단이 소정 시간 경과를 계시했을 때, 상기 유량 연산 수단의 검출 유량이 소정치 이상인지 판정하는 복귀 유량 판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누설 판정 수단은, 상기 복귀 유량 판정 수단에서 소정 유량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시에, 그 이후 유량치가 소정치까지 증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 유량 이상에 달했을 경우에는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가스 차단 장치.
  4.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상기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에 의해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유량 연산 수단의 검출 유량이 소정치 이상인지 판정하는 복귀 유량 판정 수단과,
    상기 복귀 유량 판정 수단에서 소정 유량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때, 이후 유량 변화 구배(勾配)를 구하는 유량 변화 판정 수단과,
    상기 유량 변화 판정 수단에서 유량 변화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유량 이상에 달한다고 추정했다면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누설 추정 수단을 구비한 가스 차단 장치.
  5.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매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상기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과,
    상기 압력 검출 수단의 검출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인지를 판정하는 압력 판정 수단과,
    상기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의 복귀 동작에 기초하여,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 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이 소정 시간 경과를 계시하고, 상기 압력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누설 판정 수단을 구비한 가스 차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기구 사용중에 상기 압력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압력을 기억하는 압력 기억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누설 판정 수단은, 상기 복귀 계시 수단이 상기 소정 시간 경과를 계시하고, 상기 압력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상기 유로 내의 압력이 상기 압력 기억 수단에 격납된 압력 이하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가스 차단 장치.
  7.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매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상기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과,
    상기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과,
    상기 복귀 수단의 복귀 동작에 기초하여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상기 압력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기구 정지중의 유체의 압력을 기억하는 압력 기억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이 소정 시간 경과를 계시했을 때, 상기 압력 검출 수단의 출력 신호로부터 압력 변화 구배를 판정하는 압력 변화 판정 수단과,
    상기 압력 변화 판정 수단에서 압력 변화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압력 이하에 달한다고 추정했을 때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누설 추정 수단을 구비한 가스 차단 장치.
  8.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수단과,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수단과,
    상기 유량 연산 수단으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이상 판정 수단에서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매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과,
    상기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과,
    상기 유로를 열기 위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수단 과,
    상기 복귀 수단의 복귀 동작에 기초하여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수단과,
    상기 압력 검출 수단으로 기구 사용중에 검출한 압력을 기억하는 압력 기억 수단과,
    상기 압력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상기 압력이 상기 압력 기억 수단의 격납된 압력 이하인지를 판정하는 압력 판정 수단과,
    상기 복귀 계시 수단이 소정 시간 경과를 계시한 후에, 상기 유속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유량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혹은 상기 압력 검출 수단과 상기 압력 기억 수단의 기억된 압력을 비교하여 소정 압력 이하를 검출했을 때 중, 빨리 출력되는 어느 하나의 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 수단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우선 누설 판정 수단을 구비한 가스 차단 장치.
  9.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공정과,
    상기 유속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공정과,
    상기 유량 연산 공정에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공정과,
    상기 이상 판정 공정에서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매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공정과,
    상기 유로를 열기 위하여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공정과,
    상기 복귀 신호에 기초하여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공정과,
    상기 계시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유량 연산 공정에서 계측된 유량이 소정 유량 이상인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누설 판정 공정을 구비한 가스 차단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복귀 후에 상기 유량 연산 공정에서 계측된 유량이 소정 유량 이내인지를 판정하는 유량 판정 공정과,
    상기 복귀 계시 공정에서 계시되는 상기 소정 시간의 설정을 변경하는 복귀 판정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가스 차단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가 계시되었을 때, 상기 유량 연산 공정에서 계측되는 검출 유량이 소정치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복귀 유량 판정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누설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복귀 유량 판정 공정에서 소정 유량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때, 그 이후 유량치가 소정치까지 증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 유량 이상에 달한 경우에는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가스 차단 방법.
  12.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공정과,
    상기 유속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공정과,
    상기 유량 연산 공정에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공정과,
    상기 이상 판정 공정에서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매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공정과,
    상기 유로를 열기 위하여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공정과,
    상기 복귀 신호에 기초하여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공정과,
    상기 계시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유량 연산 공정에서 계측된 검출 유량이 소정치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복귀 유량 판정 공정과,
    상기 복귀 유량 판정 공정에서 소정 유량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이후의 유량 변화 구배를 구하는 유량 변화 판정 공정과,
    상기 유량 변화 판정 공정에서 판정된 유량 변화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유량 이상에 달한다고 추정했다면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누설 추정 수단을 구비한 가스 차단 장치.
  13.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공정과,
    상기 유속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공정과,
    상기 유량 연산 공정에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 정 공정과,
    상기 이상 판정 공정에서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매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공정과,
    상기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공정과,
    상기 압력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인지를 판정하는 압력 판정 공정과,
    상기 유로를 열기 위한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공정과,
    상기 복귀 공정의 복귀 동작에 기초하여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공정과,
    상기 계시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압력 판정 공정에 의해 상기 검출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누설 판정 공정을 구비한 가스 차단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기구 사용중에 상기 압력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압력을 압력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압력 기억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누설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압력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상기 유로 내의 압력이, 상기 압력 기억 수단에 격납된 압력 이하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가스 차단 방법.
  15.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공정과,
    상기 유속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공정과,
    상기 유량 연산 공정에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공정과,
    상기 이상 판정 공정에서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매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공정과,
    상기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1 압력 검출 공정과,
    상기 유로를 열기 위하여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공정과,
    상기 복귀 공정의 복귀 동작에 기초하여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공정과,
    기구 정지중의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2 압력 검출 공정과,
    상기 제2 압력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압력을 압력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압력 기억 공정과,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제1 압력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압력 변화 구배를 판정하는 압력 변화 판정 공정과,
    상기 압력 변화 판정 공정에서의 압력 변화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압력 이하에 달한다고 추정했을 때 누설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누설 추정 공정을 구비한 가스 차단 방법.
  16. 매체 내의 신호 전반 시간을 계측하고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검출 공정과,
    상기 유속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유속으로부터 유량으로 환산하는 유량 연산 공정과,
    상기 유량 연산 공정에서 구한 사용 유량이 정상치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 공정과,
    상기 이상 판정 공정에서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매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 공정과,
    상기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1 압력 검출 공정과,
    상기 유로를 열기 위하여 복귀 신호를 출력하는 복귀 공정과,
    상기 복귀 공정의 복귀 동작에 기초하여 계시를 개시하는 복귀 계시 공정과,
    기구 정지중의 유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2 압력 검출 공정과,
    상기 제2 압력 검출 공정에서 기구 사용중에 검출한 압력을 압력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압력 기억 공정과,
    상기 제1 압력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압력이, 상기 압력 기억 수단의 격납된 압력 이하인지를 판정하는 압력 판정 공정과,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유속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유량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혹은 상기 제1 압력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압력과 상기 압력 기억 공정에서 기억된 압력을 비교하여 소정 압력 이하를 검출했을 때 중 어느 하나 빠른 때에 상기 유로를 차단하는 우선 누설 판정 공정을 구비한 가스 차단 방법.
KR1020077009023A 2004-10-20 2005-10-20 가스 차단 장치 및 가스 차단 방법 KR200701037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5336 2004-10-20
JPJP-P-2004-00305337 2004-10-20
JP2004305337A JP2006118763A (ja) 2004-10-20 2004-10-20 ガス遮断装置
JP2004305336A JP4163168B2 (ja) 2004-10-20 2004-10-20 ガス遮断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732A true KR20070103732A (ko) 2007-10-24

Family

ID=3620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023A KR20070103732A (ko) 2004-10-20 2005-10-20 가스 차단 장치 및 가스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66999B2 (ko)
EP (1) EP1803998B1 (ko)
KR (1) KR20070103732A (ko)
WO (1) WO2006043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5821A (ko) * 2007-08-06 2010-07-05 파나소닉 주식회사 유량 계측 장치, 통신 시스템, 유량 계측 방법, 유량 계측 프로그램, 유체 공급 시스템 및 가스 기구 감시 장치
JP2009216472A (ja) * 2008-03-07 2009-09-24 Panasonic Corp 流量計測装置
CN101960267B (zh) * 2008-03-07 2012-07-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气量计及气量计系统
JP5104704B2 (ja) * 2008-10-08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ス遮断装置
DE102008058736B3 (de) * 2008-11-24 2010-08-05 Technische Universität Clausthal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asnetzes
JP5540500B2 (ja) * 2008-12-19 2014-07-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ス遮断装置
JP5293152B2 (ja) * 2008-12-19 2013-09-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ス遮断装置
US20110271880A1 (en) * 2010-05-04 2011-11-10 Carrier Corporation Redundant Modulating Furnace Gas Valve Closure System and Method
US9010360B1 (en) * 2014-01-25 2015-04-21 Drexel University Flow control/shut-off valve assembly
EP3730905A1 (en) 2014-08-14 2020-10-28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fluid flow monitoring and leak detection
EP3180593A4 (en) 2014-08-14 2018-05-09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Devices and system for channeling and automatic monitoring of fluid flow in fluid distribution systems
JP7337012B2 (ja) * 2020-03-17 2023-09-0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液圧システム
FR3140426A1 (fr) * 2022-09-29 2024-04-05 Sagemcom Energy & Telecom Sas Surveillance et optimisation de la consommation de gaz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0520A (en) 1980-05-12 1981-12-10 Nippon Gas Giken Kk Gas accident preventing device
EP0264856B1 (en) * 1986-10-20 1994-03-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as shutoff apparatus
JPS63203167A (ja) 1987-02-19 1988-08-23 高圧ガス保安協会 学習機能付ガス遮断装置
EP0328031B1 (en) * 1988-02-10 1994-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as shutoff apparatus
DE68919101T2 (de) * 1988-03-17 1995-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asabschaltungsvorrichtung.
JPH0518607Y2 (ko) * 1989-05-22 1993-05-18
JPH035055A (ja) 1989-05-30 1991-01-10 Aisin Seiki Co Ltd リングギヤーとフライホイール一体形の製造方法
JPH07109380B2 (ja) * 1991-03-14 1995-11-22 工業技術院長 ガス漏洩検知装置
DE69313230T2 (de) * 1992-10-05 1998-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von Abnormalitäten in einer Anlage zur Gasversorgung
JP3668980B2 (ja) 1994-03-01 2005-07-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ガス遮断装置
US5515883A (en) * 1994-06-30 1996-05-14 Bouzaglou; David Waste line stoppage detector and automatic water shutoff system
US5979493A (en) * 1996-08-02 1999-11-09 Gary A. Isaacson, Jr. Flood control device
JP3105433B2 (ja) * 1995-10-17 2000-10-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配管漏洩検知装置
JP3221552B2 (ja) 1996-08-08 2001-10-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ガス遮断制御装置及びガス遮断制御方法
US6705340B1 (en) * 1997-02-21 2004-03-16 Mcgill James C. Emergency gas and electricity shutoff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US6164319A (en) * 1997-04-04 2000-12-26 Cochran; David J. Automatic shut-off device for a pipe
JPH10288337A (ja) 1997-04-16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遮断装置
US5893388A (en) * 1998-01-22 1999-04-13 Luker; John Waterflow monitoring device
US5971011A (en) * 1998-02-21 1999-10-26 Price; Stephen Jeffrey Water shut-off valve and leak detection system
US6026838A (en) * 1998-04-02 2000-02-22 Proteus Industries, Inc. Method for detecting opening in fluid flow passageway and shutting off flow in response thereto
US5950667A (en) * 1998-04-02 1999-09-14 Proteus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detecting opening in fluid flow passageway and shutting off flow in response thereto
US6105607A (en) * 1998-06-15 2000-08-22 Caise; Robert F. Microprocessor controled water shut-off device
CN1190654C (zh) 1998-09-11 2005-02-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气体泄漏探测系统
US6216727B1 (en) * 1999-03-08 2001-04-17 Flologic, Inc. Water flow sensing device
US6209576B1 (en) * 1999-08-05 2001-04-03 Dan Davis Automatic fluid flow shut-off device
JP2001336740A (ja) 2000-05-29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遮断装置
US6237618B1 (en) * 2000-07-06 2001-05-29 Nicholas D. Kush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nwanted flow of water through a water supply line
US6513542B1 (en) * 2000-08-08 2003-02-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Liquid supply or drain pipe equipped with a leakage detector
US7114516B2 (en) * 2002-10-15 2006-10-03 Takasago Engineering Co., Ltd. Leak-detecting check valve, and leak-detection alarm system that uses said check valve
US7306008B2 (en) * 2004-04-05 2007-12-11 Tornay Paul G Water leak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s and methods
KR20100120670A (ko) * 2008-02-26 2010-11-16 파나소닉 주식회사 가스 차단 장치 및 경보기 대응 시스템 미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3998A4 (en) 2011-05-04
EP1803998A1 (en) 2007-07-04
US8166999B2 (en) 2012-05-01
EP1803998B1 (en) 2016-08-24
US20080115840A1 (en) 2008-05-22
WO2006043630A1 (ja)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3732A (ko) 가스 차단 장치 및 가스 차단 방법
CN100587336C (zh) 燃气切断装置和燃气切断方法
JP2004125609A (ja) ガス遮断装置
JP2020076573A (ja) ガスメータ
KR101073239B1 (ko) 가스 차단 장치
JP4449513B2 (ja) ガス遮断装置
JP2006118763A (ja) ガス遮断装置
JP4612105B2 (ja) 復帰安全確認方法および電子式ガスメータ
JP2004093147A (ja) 超音波流量計測装置
JP4199905B2 (ja) ガス遮断装置
JP4580506B2 (ja) ガス遮断装置
JP4592268B2 (ja) メータ装置
JP2001336739A (ja) ガス遮断装置
JP4582060B2 (ja) ガス遮断装置
JP4935576B2 (ja) ガス遮断装置
JP4538134B2 (ja) ガス遮断装置
JP4534262B2 (ja) ガス遮断装置
JP4449424B2 (ja) ガス遮断装置
JP4294834B2 (ja) ガス遮断装置
JP2001336740A (ja) ガス遮断装置
JP7113303B2 (ja) ガス遮断装置
JP2005257446A (ja) 復帰安全確認方法および電子式ガスメータ
JP2023149980A (ja) ガス遮断装置
JP2002122457A (ja) ガス遮断装置
JP2005308468A (ja) 復帰安全確認方法および電子式ガスメ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