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081A - 목재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목재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081A
KR20070102081A KR1020060033761A KR20060033761A KR20070102081A KR 20070102081 A KR20070102081 A KR 20070102081A KR 1020060033761 A KR1020060033761 A KR 1020060033761A KR 20060033761 A KR20060033761 A KR 20060033761A KR 20070102081 A KR20070102081 A KR 20070102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unit
horizontal table
wood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주
Original Assignee
(주)뉴-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그린 filed Critical (주)뉴-그린
Priority to KR102006003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2081A/ko
Publication of KR2007010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3/00Band or strap sawing machin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3/00Band or strap sawing machin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13/10Guiding equipment for the band saw blade, e.g. guide rollers, back guides, side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3/00Band or strap sawing machin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13/12Lubricating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band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27B25/02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with feed and pressure rollers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다단의 절단부를 통해 수평테이블로 하나의 목재가 공급시 그 목재의 두께를 서로 다른 다양한 규격 또는 동일한 규격으로 순차적으로 제재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이송부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리턴부를 통해서는 목재의 이송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며, 절단부로 윤활유를 자동 공급하여 절단부에 의한 목재의 제재시 절단부의 표면으로 각종 이물질(예; 송진)이 묻어나면서 초래되는 절단작업의 불량 및, 이에 의해 초래되는 절단부의 파손 또는 톱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목재, 제재기, 리턴부, 이송부, 절단부, 원형톱, 윤활유

Description

목재가공장치{Wood process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목재가공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목재가공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목재 가공부를 확대시킨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헤드부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확대시킨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목재 누름부를 확대시킨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이송부와 리턴부의 배열 상태를 확대시킨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평테이블 20; 이송부
30; 목재가공부 31; 헤드부
32; 회전풀리 33; 제 1 구동부
34; 절단부 35; 높낮이 조절부
35a; 핸들 35b; 승하강봉
35c; 간격표시부 40; 목재누름부
41; 지지프레임 42; 회전아암
43; 제 2 구동부 44; 목재누름쇠
50; 리턴부 20a,50a; 회전축
60; 윤활유 공급부 61; 윤활유 저장부
62,63; 제 1,2 프레임 64; 윤활유 공급천
65; 호스 100; 기어
본 발명은 목재 가공장치(일명 제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를 다양한 규격(약 10∼240mm)에 맞게 순차적으로 제재(製材)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목재 가공장치는 목재를 원하는 규격대로 제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수평테이블에 이송부와 절단부를 포함한 것이다.
즉, 상기 이송부는 수평테이블 위에 목재가 올려질 때, 상기 목재를 절단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절단부는 원형톱(또는 띠톱)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를 설정된 규격대로 제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목재가공장치는 수평테이블에 하나의 절단부만이 구성되는 관계로, 수평테이블 위에서 이송부에 의해 목재 이송이 이루어질 때 그 제재가 1회 로 국한되고, 2회 이상의 재제시에는 1회 제재가 이루어진 목재를 작업자가 다시 수평테이블의 인입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목재가공장치는 목재의 제재가 설정된 특정규격으로만 가능하고, 목재의 제재 규격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절단부의 절단위치를 새롭게 설정해야만 가능한 관계로, 목재를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제재시 그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목재가공장치에 구성되는 절단부의 경우, 목재의 제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표면에 항상 윤활유를 적셔 주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윤활유를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적으로 공급하는 관계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윤활유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절단부의 절단작업이 어렵게 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절단부가 파손또는 톱이 갈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수평테이블에 다단의 절단부를 구성하여, 수평테이블로 하나의 목재가 공급시 그 목재를 서로 다른 규격(약 10∼240mm)으로 동시에 제재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가공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테이블에 목재를 절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이송부는 물론, 절단이 이루어진 목재를 원래의 위치 즉, 수평테이블의 인입측으로 리턴 이송시키는 리턴부를 배열하여, 작업자가 종래에서와 같이 일일이 목재를 이동시키는데 따른 작업상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테이블에 마련되는 다단의 절단부에 각각 윤활유를 자동 공급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절단부에 의한 목재의 제재시 상기 절단부의 표면으로 이물질(예; 송진)이 묻어나면서 초래되는 절단작업의 불량 및, 이에 의해 초래되는 절단부의 파손 또는 톱이 갈라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목재 가공장치는, 목재가 올려지는 수평테이블; 상기 수평테이블에 마련되어 목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동일한 규격 또는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제재하도록 상기 수평테이블상에 다단 배열되는 목재가공부;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목재가공부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내에 마련되는 복수의 회전풀리; 상기 회전풀리를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 상기 복수의 회전풀리에 권취되어 목재를 소정간격으로 제재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되는 목재의 제재 규격이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나타나도록, 상기 헤드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핸들; 상기 핸들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승하강봉; 및, 상기 핸들에 의한 승하강봉의 높낮이 조절시 그 조절간격을 표시하는 간격표시부;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헤드부에는 회전풀리의 표면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윤활유 공급부는 헤드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윤활유 저장부; 상기 윤활유 저장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윤활유 저장부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2 프레임을 감싸면서 상기 회전풀리에 접촉하되, 상기 제 1,2 프레임으로 안내되는 윤활유를 흡수하여 회전풀리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윤활유 공급천; 을 포함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수평테이블에는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의 제재시 그 제재 규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목재를 일정압력으로 누르는 목재누름부가 다단으로 배열 구성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목재누름부는 수평테이블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는 회전아암; 상기 회전아암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 및, 상기 회전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목재의 표면에 접촉되는 목재누름쇠;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수평테이블에는 제재되거나 또는 제재되지 않은 목재를 수평테이블의 인입측으로 리턴시키도록 이송부와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리턴부; 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이송부와 리턴부는 각각 회전축을 가진 컨베이어 벨트 타입으로 구성하되, 상기 이송부와 리턴부에 대한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축은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다단의 기어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목재가공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목재가공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목재 가공부를 확대시킨 개략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헤드부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확대시킨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목재 누름부를 확대시킨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이송부와 리턴부의 배열 상태를 확대시킨 개략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목재가공장치는 수평테이블(10), 이송부(20), 목재가공부(30), 목재누름부(40), 리턴부(50), 그리고 윤활유 공급부(60)가 택일적으로 적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테이블(10)은 제재를 위한 목재가 올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20)는 상기 수평테이블(10)에서 목재를 전진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타입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리턴부(50)와 다단의 기어를 통해 기어 맞물림이 이루어지면서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그 구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목재가공부(30)는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동일한 규격 또는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제재하도록 상기 수평테이블(10)에 다단 배열되는 것으로, 헤드부(31), 회전풀리(32), 제 1 구동부(33), 절단부(34), 높낮이 조절부(35)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31)는 수평테이블(1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 배열된다.
상기 회전풀리(32)는 상기 헤드부(31)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열 된다.
상기 제 1 구동부(33)는 상기 복수의 회전풀리(3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풀리(3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단부(34)는 원형톱(또는 띠톱)으로, 상기 복수의 회전풀리(32)에 권취되어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35)는 상기 절단부(34)에 의해 절단되는 목재의 제재 규격이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나타나도록, 상기 헤드부(31)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헤드부(3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그 구조는 핸들(35a), 승하강봉(35b), 간격표시부(35c)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35a)은 헤드부(31)의 하면에 상기 승하강봉(35b)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승하강봉(35b)은 핸들(35a)의 회전방향에 따라 유동하여 상기 헤드부(31)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간격표시부(35c)는 상기 승하강봉(35b)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봉(35b)의 조절간격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표시부(35b)는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눈금쇠와 눈금자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목재누름부(40)는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의 제재시 그 제재 규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목재를 일정압력으로 누르는 것으로, 이는 상기 수평테이블(10)에서 다단 배열구조를 가진 목재 가공부(30)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되며, 지지프레임(41), 회전아암(42), 제 2 구동부(43), 그리고 목재누름쇠(4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41)은 상기 수평테이블(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아암(42)은 상기 지지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상기 제 2 구동부(43)는 상기 회전아암(42)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를 의미한다.
상기 목재누름쇠(44)는 상기 회전아암(4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는 것으로, 이송부(20)를 통해 목재의 이송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절단부(34)에 의한 목재의 제재 규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목재의 표면에 접촉하여 구름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리턴부(50)는 상기 수평테이블(10)의 일측 즉, 상기 수평테이블(10)에 마련되는 이송부(20)와 소정의 단차를 두고 나란하게 배열되며, 제재되거나 또는 제재되지 않은 목재를 작업자가 올려놓을 때 그 목재를 상기 수평테이블(10)의 인입측으로 리턴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20)와 리턴부(50)는 각각 회전축을 가진 컨베이어 벨트 타입으로, 상기 이송부(20)와 리턴부(50)에 대한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축(20a)(50a)은 하나의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다단의 기어(100)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윤활유 공급부(60)는 상기 헤드부(31)내에 구성되며, 이는 복수로 이루어진 회전풀리(32)의 표면으로 윤활유를 공급하여, 상기 회전풀리(32)를 따라 회전하는 절단부(34)와의 마찰은 물론, 상기 절단부(34)에 목재의 송진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윤활유 저장부(61), 제 1,2 프레임(62)(63), 그리고 윤활유 공급천(64)을 포함한다.
상기 윤활유 저장부(61)는 상기 헤드부(31)의 일단에 마련되며, 그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윤활유를 제 1,2 프레임(62)(63)으로 각각 토출시키기 위한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토출부재에 의한 윤활유의 토출상태는 회전풀리(32)가 회전되는 동안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프레임(62)은 상기 윤활유 저장부(61)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윤활유 저장부(61)로부터 배출되는 윤활유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프레임(63)은 상기 윤활유 저장부(61)와 호스(65)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호스(65)를 통해 윤활유를 공급받는다.
상기 윤활유 공급천(64)은 상기 제 1,2 프레임(62)(63)을 감싸면서 상기 회전풀리(32)에 접촉되는 구조로, 상기 제 1,2 프레임(62)(63)으로 흐르는 윤활유를 흡수하고 이를 회전풀리(32)의 표면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목재가공부(30)에 포함된 높낮이 조절부(35)의 간격표시부(35)를 보면서 핸들(35a)을 조작하여 수평테이블(10)에 다단 배열되는 헤드부(31)의 높낮이를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른 높낮이 즉, 계단식으로 조절하여 둔다.
이후, 상기 헤드부(31)의 높낮이 조절과 대응되도록, 목재누름부(40)에 포함되는 제 2 구동부(43)를 통해 회전아암(42)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아암(42)의 일단에 마련되는 목재누름쇠(44)의 높낮이 또한 조절하여 둔다.
즉, 상기 목재누름쇠(44)는 이송부(20)의 위로 목재가 통과될 수 있는 틈새가 마련되는 정도로 간격을 조절하여 둔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수평테이블(10)에 목재를 올린 후 컨베이어 벨트 타입으로 구성되는 이송부(20)를 통해 목재가공부(30)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공급되는 목재는 다단 배열 구조를 가진 목재가공부(30)의 헤드부(31)에 마련되는 절단부(34)를 통과할 때마다 세팅된 규격 즉, 동일한 규격 또는 서로 다른 규격으로 그 제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동일한 규격(두께)으로 제재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1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포함된 헤드부(31)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2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포함된 헤드부(31)의 높이는 1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포함된 헤드부(31)의 높이보다 2배 높게 조절하고, 3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포함된 헤드부(31)의 높이는 1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포함된 헤드부(31)의 높이보다 3배 높게 조절하는 등, 1단 배열의 헤드부(31)에 대하여 N+1(N은 정수)로 그 높이를 증가시킨다.
그러면,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목재가 최초의 1단 목재가공부(30)로 이송시, 상기 이송되는 목재는 먼저 1단 배열의 목재누름부(40)에 포함되는 목재누름쇠(44)에 의해 눌려지면서 1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1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마련된 절단부(34)는 복수로 이루 어진 회전풀리(32)에 의해 회전하고, 이에따라 목재누름쇠(44)에 의해 눌려진 목재의 하측부위(또는 상측부위)는 작업자가 세팅시킨 규격(두께)으로 그 제재가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1차 제재가 이루어진 목재가 2단 배열의 목재누름쇠(44)에 의해 눌려지면서 2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공급되면, 상기 2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포함된 절단부(34) 또한 복수로 이루어진 회전풀리(32)에 의해 회전하면서 작업자가 세팅시킨 규격으로 목재를 2차 제재하게 되며, 이하 3,4,…,N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마련된 절단부(34)에 의한 제재도 동일한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진 하나의 목재가 다단 배열 구조를 가진 절단부(34)를 통과할때마다, 상기 목재의 제재 두께는 동일하게 나타난다.
반면,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서로 다른 규격(두께)으로 제재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1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포함된 헤드부(31)의 높이를 1차 조절한다.
이때, 2,3,4,…,N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포함된 헤드부(31)의 높이는 1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포함된 헤드부(31)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제재하고 하는 목재의 두께에 맞춰 그 높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둔다.
그러면,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목재가 최초의 1단 목재가공부(30)로 이송시, 상기 이송되는 목재는 먼저 1단 배열의 목재누름쇠(44)를 통해 눌려지면서 1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1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마련된 절단부(34)는 복수로 이루어진 회전풀리(32)에 의해 회전하고, 이에따라 목재누름부(40)에 의해 눌려진 목재의 하측부위(또는 상측부위)는 작업자가 세팅시킨 규격(두께)으로 그 제재가 이루어지고, 이와동시에 2,3,4,…,N단 배열의 목재가공부(30)에 포함된 절단부(34)에서도 작업자가 세팅시킨 규격으로 목재를 제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단 배열 구조를 가진 목재가공부(30)의 절단부(34)를 통해 목재의 제재가 동일한 두께 또는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새로운 두께로 제재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의 목재를 컨베이어 벨트 타입으로 이루어진 리턴부(50)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상기 목재는 다시 수평테이블(10)의 인입측으로 이송되고, 이에따라 수평테이블(10)의 인입측에 위치하는 작업자는 목재를 다단 배열 구조를 가진 목재가공부(30)로 재차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수평테이블(10)의 인입측과 토출측에 각각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위치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목재를 자유롭게 공급 또는 리턴하면서 원하는 두께로 목재를 제재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목재가공부(30)의 헤드부(31)에는 윤활유 공급부(60)로서, 윤활유 저장부(61)와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하나의 회전풀리(32) 상측에 근접되는 제 1 프레임(62), 그리고 상기 윤활유 저장부(61)와 호스(65)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또 다른 하나의 회전풀리(32) 하측에 근접되는 제 2 프레임(63)이 마련되고, 상기 제 1,2 프레임(62)(63)에는 윤활유 공급천(64)이 감싸져 있는 바,
상기 윤활유 공급천(64)은 제 1,2 프레임(62)(63)으로 흐르는 윤활유를 흡수한 후 이를 복수의 회전풀리(32) 표면에 묻힘으로써, 상기 절단부(34)가 목재를 제재할 때, 상기 절단부(34)의 표면에는 목재에서 분출되는 송진이 묻어나지 않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절단부(34)에 의한 목재의 제재는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다단의 절단부를 통해 수평테이블로 하나의 목재가 공급시 그 목재의 두께를 서로 다른 다양한 규격 또는 동일한 규격으로 순차적으로 제재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부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리턴부를 통해 목재의 이송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함은 물론, 절단부로 윤활유를 자동 공급하여 절단부에 의한 목재의 제재시 절단부의 표면으로 각종 이물질(예; 송진)이 묻어나면서 초래되는 절단작업의 불량 및, 이에 의해 초래되는 절단부의 파손또는 톱이갈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1)

  1. 목재가 올려지는 수평테이블;
    상기 수평테이블에 마련되어 목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동일한 규격 또는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제재하도록 상기 수평테이블상에 다단 배열되는 목재가공부;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가공부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내에 마련되는 복수의 회전풀리;
    상기 회전풀리를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
    상기 복수의 회전풀리에 권취되어 목재를 소정간격으로 제재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되는 목재의 제재 규격이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나타나도록, 상기 헤드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핸들;
    상기 핸들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승하강봉; 및,
    상기 핸들에 의한 승하강봉의 높낮이 조절시 그 조절간격을 표시하는 간격표시부;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회전풀리의 표면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공급부는,
    헤드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윤활유 저장부; 및,
    상기 윤활유 저장부에서 토출되는 윤활유를 흡수한 후 이를 회전풀리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윤활유 공급천; 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공급천은 윤활유 저장부로부터 직접 윤활유를 공급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공급천은 윤활유 저장부로부터 호스를 통해 윤활유를 공급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테이블에는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의 제재시 그 제재 규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목재를 일정압력으로 누르는 목재누름부 가 다단으로 배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누름부는,
    수평테이블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는 회전아암;
    상기 회전아암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 및,
    상기 회전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목재의 표면에 접촉되는 목재누름쇠;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테이블에는 제재되거나 또는 제재되지 않은 목재를 수평테이블의 인입측으로 리턴시키도록 이송부와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리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와 리턴부는 각각 회전축을 가진 컨베이어 벨트 타입으로 구성하되, 상기 이송부와 리턴부에 대한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축은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다단의 기어를 통해 상호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
KR1020060033761A 2006-04-13 2006-04-13 목재가공장치 KR20070102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761A KR20070102081A (ko) 2006-04-13 2006-04-13 목재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761A KR20070102081A (ko) 2006-04-13 2006-04-13 목재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081A true KR20070102081A (ko) 2007-10-18

Family

ID=3881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761A KR20070102081A (ko) 2006-04-13 2006-04-13 목재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208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3601A (zh) * 2011-10-21 2012-02-08 王国强 多片锯的切片装置
CN102380893A (zh) * 2011-10-21 2012-03-21 王国强 用于模压板的自动多片锯
WO2013012229A2 (ko) * 2011-07-15 2013-01-24 Choi Moon Seok 목재가공장치
CN103831894A (zh) * 2014-02-21 2014-06-04 泰山石膏股份有限公司 石膏板分段可调精确裁切机
CN108427389A (zh) * 2018-04-11 2018-08-21 浙江工业大学 基于工业互联网的皮革优化排样与多机协调裁断方法
CN111496945A (zh) * 2020-04-24 2020-08-07 南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脑裁板锯的控制系统及工作方法
WO2021212958A1 (zh) * 2020-04-24 2021-10-28 南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脑裁板锯、控制系统及工作方法
KR102462221B1 (ko) 2022-06-08 2022-11-01 연해림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판재 가공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229A2 (ko) * 2011-07-15 2013-01-24 Choi Moon Seok 목재가공장치
WO2013012229A3 (ko) * 2011-07-15 2013-04-11 Choi Moon Seok 목재가공장치
CN102343601A (zh) * 2011-10-21 2012-02-08 王国强 多片锯的切片装置
CN102380893A (zh) * 2011-10-21 2012-03-21 王国强 用于模压板的自动多片锯
CN103831894A (zh) * 2014-02-21 2014-06-04 泰山石膏股份有限公司 石膏板分段可调精确裁切机
CN108427389A (zh) * 2018-04-11 2018-08-21 浙江工业大学 基于工业互联网的皮革优化排样与多机协调裁断方法
CN111496945A (zh) * 2020-04-24 2020-08-07 南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脑裁板锯的控制系统及工作方法
WO2021212959A1 (zh) * 2020-04-24 2021-10-28 南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脑裁板锯的控制系统及工作方法
WO2021212958A1 (zh) * 2020-04-24 2021-10-28 南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脑裁板锯、控制系统及工作方法
CN111496945B (zh) * 2020-04-24 2023-10-03 南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脑裁板锯的控制系统及工作方法
KR102462221B1 (ko) 2022-06-08 2022-11-01 연해림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판재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2081A (ko) 목재가공장치
KR101417608B1 (ko)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CN108247754A (zh) 一种家具用木板切割打磨生产线
CN105415509A (zh) 硅锭开方机及硅锭开方切割方法
KR100618588B1 (ko) 파이프 회전장치
WO2017073222A1 (ja) 帯鋸盤
US20070267006A1 (en) Wire Saw Machine
US20080060208A1 (en) Panel Cutting Device
KR101384989B1 (ko) 목재 수직 절단장치
KR102026937B1 (ko) 자동 목재 재단 시스템
KR200389713Y1 (ko) 파이프 회전장치
US2353239A (en) Lumber handling table
CN207309638U (zh) 一种自动往复行走砂带机工作台
US5638878A (en) Log debarking apparatus
CN107020677B (zh) 一种全自动木材旋切设备
CN103286827B (zh) 纵向刨切机
KR200455545Y1 (ko) 목판가공장치
KR100663397B1 (ko) 라미네이팅 자동화 장치
CN208713010U (zh) 板材加工立锯
US254202A (en) Circular sawing machine
KR20110035458A (ko) 원형톱날을 이용한 초고속 수평절단장치
CN112677258A (zh) 一种条木连续接长、定尺锯切装置及接长、定尺锯切方法
KR200458793Y1 (ko) 목재 가공장치
US1759835A (en) Material-feeding apparatus
CN109109106A (zh) 一种自动原竹锯断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