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628A -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628A
KR20070101628A KR1020060032854A KR20060032854A KR20070101628A KR 20070101628 A KR20070101628 A KR 20070101628A KR 1020060032854 A KR1020060032854 A KR 1020060032854A KR 20060032854 A KR20060032854 A KR 20060032854A KR 20070101628 A KR20070101628 A KR 20070101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stage
elastic member
housin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4543B1 (ko
Inventor
고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06003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54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테이지를 고정 지지시키는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이미지센서가 평상시에 초기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센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제어부에서 빠르게 초기 위치를 인식하여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스테이지의 이동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적은 에너지로 스테이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카메라, 떨림 보정장치, 탄성부재, 판스프링, 와이어스프링, 스테이지.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 APPARATUS FOR COMPENSATING VIBRATION OF DIGITAL CAMERA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X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Y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X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Y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하우징, 111 : 본체,
112 : 커버, 115 : 지지부재,
120 : Y축스테이지, 121 : 제1마그네트,
122 : 제1코일, 123 : 제1요크,
130 : X축스테이지, 131 : 제2마그네트,
132 : 제2코일, 133 : 제2요크,
140 : Y축탄성부재, 150 : X축탄성부재,
160 : 이미지센서, 210 : 하우징,
211 : 본체, 212 : 커버,
220 : 스테이지, 221 : 제1마그네트,
222 : 제1코일, 223 : 제1요크,
231 : 제2마그네트, 232 : 제2코일,
233 : 제2요크, 240 : 와이어스프링,
250 : 이미지센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테이지를 고정 지지시키는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이미지센서가 평상시에 초기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센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제어부에서 빠르게 초기 위치를 인식하여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스테이지의 이동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적은 에너지로 스테이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122667호(영상 촬영기기의 떨림 보정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이 발명은 이미지 센서를 고정부로부터 X, Y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손떨림 등으로 인한 진동이 카메라에 전달되면 이미지 센서를 진동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손떨림으로 이한 진동량을 보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의 화질의 해상도를 유지하고 소비전력을 줄여서 디지털 카메라의 소형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가 X, Y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놓여 있어서, 제어부는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전에 구동부에 전류를 인가하여 구동력으로 이미지 센서를 초기 위치에 유지시켰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었고, 카메라의 초기 세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X축스테이지와 Y축스테이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X축 샤프트와 Y축 샤프트를 장착하고 이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함으로서,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이동시키는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미지센서가 평상시에 초기위치에 있도록 하여 이미지센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제어부에서 빠르게 초기 위치를 인식하여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스테이지의 이동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적은 에너지로 스테이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이미지센서가 탑재된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진동센서로부터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센서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스테이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지는,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X축스테이지와, 상기 X축스테이지와 평면상에서 직교되는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Y축스테이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X축스테이지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X축방향 구동부와, 상기 Y축스테이지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Y축방향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Y축스테이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Y축탄성부재와, 상기 Y축스테이지에 상기 X축스테이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X축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게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Y축탄성부재는 Y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상기 X축탄성부재는 X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는 상기 스테이지에 평행하며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Y축스테이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Y축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X축스테이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X축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Y축스테이지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X축탄성부재는 직선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X축스테이지와 Y축스테이지를 연결하고, 상기 Y축탄성부재는 굴절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Y축스테이지와 지지부재를 연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테이지에 결합된 와이어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X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Y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떨림 보정장치는, 하우징(110)과, 스테이지(120,130)와, 구동부와, 제어부(미도시)와, 탄성부재(150,160) 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체(111)와 커버(112)가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10)의 중심부에는 상기 스테이지(120,130)에 평행하며 상기 스테이지(120,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지(120,13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고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X축스테이지(130)와, 상기 X축스테이지(130)와 평면상에서 직교되는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Y축스테이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X축스테이지(130)에는 이미지센서(160)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테이지(120,13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X축스테이지(130)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X축방향구동부와, 상기 Y축스테이지(120)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Y축방향구동부로 이루어진다.
Y축방향구동부는,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제1마그네트(121)와, Y축스테이지(120)에 고정되고 수회 권선되어 제1마그네트(121)의 자기장 영역 내에 배치되며 전류가 공급될 때 제1마그네트(121)의 자속을 받아 Y축스테이지(120)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코일(122)과, 제1마그네트(121)로부터 나오는 자속을 제1코일(122)측으로 집중시키고, 제1코일(122)을 지난 자속을 제1마그네트(121)로 회귀시키기 위한 제1요크(123)로 이루어진다.
X축방향구동부는,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제2마그네트(131)와, X축스테이지(130)에 고정되고 수회 권선되어 제2마그네트(131)의 자기장 영역 내에 배치되며 전류가 공급될 때 제2마그네트(131)의 자속을 받아 X축스테이지(130)를 X축 방향으 로 구동시키는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제2코일(132)과, 제2마그네트(131)로부터 나오는 자속을 제2코일(132)측으로 집중시키고, 제2코일(132)을 지난 자속을 제2마그네트(131)로 회귀시키기 위한 제2요크(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진동센서(미도시)로부터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센서(160)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탄성부재(150,160)는, 상기 스테이지(120,130)를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150,160)는,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Y축스테이지(12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Y축탄성부재(140)와, 상기 Y축스테이지(120)에 상기 X축스테이지(13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X축탄성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Y축스테이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115)의 하부에서 상기 Y축탄성부재(14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15)와 연결되고, 상기 X축스테이지(130)는 상기 지지부재(115)의 상부에서 상기 X축탄성부재(150)에 의해 상기 Y축스테이지(120)에 연결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탄성부재(150,160)을 이용하여 상기 스테이지(120,130)를 하우징(110)에 고정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50,1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120,130)가 항상 초기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150,160)만으로 상기 스테이지(120,130)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스테이지(120,130)를 이동시키는데 마찰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아 적은 에너지로 상기 스테 이지(120,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15), X축스테이지(130) 및 Y축스테이지(120)에는 각각 리브를 형성하여 상기 X축스테이지(130)와 Y축스테이지(120)가 상기 지지부재(115)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150,160)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게 장착되도록 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Y축탄성부재(140)는 Y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상기 X축탄성부재(150)는 X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도록 하여 각각의 방향에 따라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X축탄성부재(150)는 직선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X축스테이지(130)와 Y축스테이지(120)를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Y축탄성부재(140)는 굴절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Y축스테이지(120)와 지지부재(115)를 연결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Y축스테이지(120)와 지지부재(115)를 연결하는 상기 Y축탄성부재(140)가 상기 X축스테이지(130)와 Y축스테이지(120)를 연결하는 상기 X축탄성부재(150)보다 길이가 짧기 때문에, Y축탄성부재(140)와 X축탄성부재(150)의 형상을 동일하게 하면, Y축탄성부재(140)의 변형량이 적어 상기 Y축스테이지(120)가 Y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조금 이동하게 되고 또한 Y축스테이지(120)를 이동시키는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Y축탄성부재(140)를 굴절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 로서, 직선형의 판스프링보다 많이 변형되도록 할 수 있어, 상기 Y축스테이지(120)가 X축스테이지(130)의 이동량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고, 또한 Y축탄성부재(140)의 변형량이 크기 때문에 적은 에너지로 Y축스테이지(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위와 같이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알아본다.
디지털카메라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Y축스테이지(120)는 상기 Y축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을 받아서 초기 위치에 있게 되고, X축스테이지(130)도 상기 X축탄성부재(150)의 탄성력을 받아서 초기 위치에 있게 된다.
디지털카메라가 진동하여도 Y축스테이지(120) 및 X축스테이지(130)는 Y축탄성부재(140) 및 X축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이미지센서(160)의 초기 위치를 빠르게 알 수 있다.
한편, 별도의 진동센서가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면, 제어부는 Y축방향구동부 및 X축방향구동부를 구동시켜 이미지센서(160)가 장착된 X축스테이지(130)와 Y축스테이지(120)를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센서(160)에 촬상되는 영상의 떨림을 방지한다.
이 과정은 우선, 제어부로부터 제1코일(12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마그네트(121)로부터 나온 자속이 제1코일(122)을 지나면서 제1코일(122)에는 Y축스테이지(120)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전자력이 발생한다.
이 전자력에 의해 Y축스테이지(120)는 Y축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을 이기고 Y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여, 디지털카메라장치의 Y축방향 진동에 대하여 Y축방향상에서 진동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Y축상의 떨림을 보상한다.
이 과정에서 제1요크(123)는 제1마그네트(121)의 자속이 효율적으로 제1코일(122)을 지나 다시 제1마그네트(121)로 회귀되도록 하여 구동력을 향상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로부터 제2코일(13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2마그네트(131)로부터 나온 자속이 제2코일(132)을 지나면서 제2코일(132)에는 X축스테이지(130)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전자력이 발생한다.
이 전자력에 의해 X축스테이지(130)는 X축탄성부재(150)의 탄성력을 이기고 X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여, 디지털 카메라장치의 X축방향 진동에 대하여 X축방향상에서 진동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X축상의 떨림을 보상한다.
이 과정에서 제2요크(133)는 제2마그네트(131)의 자속이 효율적으로 제2코일(132)을 지나 다시 제2마그네트(131)로 회귀되도록 하여 구동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Y축방향구동부 및 X축방향구동부의 구동력은 Y축탄성부재(140) 및 X축탄성부재(150)의 탄성 저항력보다 큰 힘이어야 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지(120,130)는 상기 탄성부재(150,160)에 의해서만 연결되기 때문에 이동시 마찰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아 상기 구동부에 필요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미지센서(160)가 디지털 카메라의 진동에 대하여 보정하는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이미지센서(160)에 촬상되는 영상의 떨림이 보상된다.
한편, Y축방향구동부 및 X축방향구동부에 인가된 구동력이 제거되면, Y축스 테이지(120) 및 X축스테이지(130)는 Y축탄성부재(140) 및 X축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X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떨림 보정장치의 Y축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떨림 보정장치는, 하우징(210)과, 스테이지(220)와, 구동부와, 제어부(미도시)와, 탄성부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10)은 본체(211)와 커버(212)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지(220)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고 이미지센서(250)가 탑재되어 있는데,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테이지(220)는 하나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테이지(22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스테이지(220)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X축방향구동부와,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Y축방향구동부로 이루어진다.
Y축방향구동부는, 하우징(210)에 고정되는 제1마그네트(221)와, Y축스테이지(220)에 고정되고 수회 권선되어 제1마그네트(221)의 자기장 영역내에 배치되며 전류가 공급될 때 제1마그네트(221)의 자속을 받아 Y축스테이지(220)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코일(222)과, 제1마그네트(221)로부터 나오는 자속을 제1코일(222)측으로 집중시키고, 제1코일(222)을 지난 자속을 제1마그네트(221)로 회귀시키기 위한 제1요크(223)로 이루어진다.
X축방향구동부는, 하우징(210)에 고정되는 제2마그네트(231)와, X축스테이지(220)에 고정되고 수회 권선되어 제2마그네트(231)의 자기장 영역내에 배치되며 전류가 공급될 때 제2마그네트(231)의 자속을 받아 X축스테이지(220)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제2코일(232)과, 제2마그네트(231)로부터 나오는 자속을 제2코일(232)측으로 집중시키고, 제2코일(232)을 지난 자속을 제2마그네트(231)로 회귀시키기 위한 제2요크(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진동센서로부터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센서(250)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테이지(220)를 상기 하우징(210)에 고정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테이지(220)에 결합된 와이어스프링(2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와이어스프링(240)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테이지(2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스프링(240)을 4개로 하여 상기 스테이지(220)의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 (240)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220)가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210) 내에서 떠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와이어스프링(240)은 상기 스테이지(220)의 하중을 이길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스프링(240)은 상기 스테이지(220) 하부와 하우징(210)을 상호 연결하지 않고, 상기 스테이지(220) 상부와 하우징(210)을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스프링(240)을 여러개 장착하는 경우에는 X축방향과 Y축방향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와이어스프링(240)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을 이용하여 상기 스테이지(220)를 하우징(210)에 고정 지지시킴으로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220)가 항상 초기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만으로 상기 스테이지(220)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스테이지(220)를 이동시키는데 마찰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아 적은 에너지로 상기 스테이지(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스프링(240)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미지센서(250)가 장착된 하나의 스테이지(220)만으로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절감 및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210), X축스테이지(220) 및 Y축스테이지(220)에는 각각 리브를 형성하여 상기 X축스테이지(220)와 Y축스테이지(220)가 상기 하우징(210)에 형성된 리브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위와 같이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알아본다.
디지털카메라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테이지(220)는 상기 와이어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에 있게 된다.
디지털카메라가 진동하여도 상기 스테이지(220)는 와이어스프링(240)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이미지센서(250)의 초기 위치를 빠르게 알 수 있다.
한편, 별도의 진동센서가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면, 제어부는 Y축방향구동부 및 X축방향구동부를 구동시켜 이미지센서(250)가 장착된 스테이지(220)를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센서(250)에 촬상되는 영상의 떨림을 방지한다.
이 과정은 우선, 제어부로부터 제1코일(22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마그네트(221)로부터 나온 자속이 제1코일(222)을 지나면서 제1코일(222)에는 스테이지(220)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전자력이 발생한다.
이 전자력에 의해 스테이지(220)는 와이어스프링(240)의 탄성력을 이기고 Y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여, 디지털카메라장치의 Y축방향 진동에 대하여 Y축방향상에서 진동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Y축상의 떨림을 보상한다.
이 과정에서 제1요크(223)는 제1마그네트(221)의 자속이 효율적으로 제1코일(222)을 지나 다시 제1마그네트(221)로 회귀되도록 하여 구동력을 향상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로부터 제2코일(23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2마그네트(231)로부터 나온 자속이 제2코일(232)을 지나면서 제2코일(232)에는 스테이지(220)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전자력이 발생한다.
이 전자력에 의해 스테이지(220)는 와이어스프링(240)의 탄성력을 이기고 X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여, 디지털 카메라장치의 X축방향 진동에 대하여 X축방향상에서 진동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X축상의 떨림을 보상한다.
이 과정에서 제2요크(233)는 제2마그네트(231)의 자속이 효율적으로 제2코일(232)을 지나 다시 제2마그네트(231)로 회귀되도록 하여 구동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Y축방향구동부 및 X축방향구동부의 구동력은 와이어스프링(240)으로 이루어진 와이어스프링(240)의 탄성 저항력보다 큰 힘이어야 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지(220)는 상기 와이어스프링(240)에 의해서만 연결되기 때문에 이동시 마찰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아 상기 구동부에 필요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미지센서(250)가 디지털 카메라의 진동에 대하여 보정하는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이미지센서(250)에 촬상되는 영상의 떨림이 보상된다.
한편, Y축방향구동부 및 X축방향구동부에 인가된 구동력이 제거되면, 스테이지(220)는 와이어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인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테이지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면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이미지센서가 평상시에 초기위치에 있도록 하여 이미지센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제어부에서 빠르게 초기 위치를 인식하여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가 탄성부재에 의해서만 지지되기 때문에 스테이지의 이동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적은 에너지로 스테이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상기 Y축스테이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Y축탄성부재와, 상기 Y축스테이지에 상기 X축스테이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X축탄성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X축스테이지에 탑재된 이미지센서가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쉽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스테이지를 탄성부재만으로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탄성부재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가 스테이지의 초기 위치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게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테이지가 양측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동일하게 지지되고 동일한 힘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넷째, Y축탄성부재는 Y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장착하고, X축탄성부재는 X 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장착함으로써,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보다 잘 휘어지고 보다 빨리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다섯째, X축스테이지와 Y축스테이지 사이에 지지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X축스테이지와 Y축스테이지가 이동시 가이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섯째, 상기 X축탄성부재는 직선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Y축탄성부재는 굴절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Y축탄성부재의 변형량을 크게 할 수 있어 상기 Y축스테이지와 X축스테이지의 이동량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Y축탄성부재의 변형량이 크기 때문에 적은 에너지로 Y축스테이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곱째, 탄성부재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테이지에 결합된 와이어스프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이미지센서가 장착된 하나의 스테이지만으로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여덟째, 와이어스프링을 적어도 3개 이상 장착하여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상기 스테이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8)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이미지센서가 탑재된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진동센서로부터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진동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센서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스테이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X축스테이지와, 상기 X축스테이지와 평면상에서 직교되는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Y축스테이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X축스테이지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X축방향 구동부와, 상기 Y축스테이지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Y축방향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Y축스테이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Y축탄성부재와, 상기 Y축스테이지에 상기 X축스테이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X축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Y축탄성부재는 Y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상기 X축탄성부재는 X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는 상기 스테이지에 평행하며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Y축스테이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Y축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X축스테이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X축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Y축스테이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X축탄성부재는 직선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X축스테이지와 Y축스테이지를 연결하고, 상기 Y축탄성부재는 굴절형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Y축스테이지와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테이지에 결합된 와이어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떨림 보정장치.
KR1020060032854A 2006-04-11 2006-04-11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KR100774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854A KR100774543B1 (ko) 2006-04-11 2006-04-11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854A KR100774543B1 (ko) 2006-04-11 2006-04-11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628A true KR20070101628A (ko) 2007-10-17
KR100774543B1 KR100774543B1 (ko) 2007-11-08

Family

ID=3881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854A KR100774543B1 (ko) 2006-04-11 2006-04-11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5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117A2 (ko) * 2010-06-16 2011-12-22 (주)하이소닉 소형 손떨림 보정 카메라모듈
KR101246578B1 (ko) * 2011-08-25 2013-03-25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장치
US9071743B2 (en) 2012-06-29 2015-06-30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function of shaking compensation
JP2015135479A (ja) * 2013-12-19 2015-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326B1 (ko) * 1997-12-16 2000-04-15 윤종용 회전판 힌지 구조
JP3431020B2 (ja) 2001-03-28 2003-07-28 ミノルタ株式会社 固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手振れ補正可能な撮像装置
JP4627640B2 (ja) * 2004-07-09 2011-02-09 Hoya株式会社 ステージ装置及びこのステージ装置を利用した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4584787B2 (ja) 2004-07-26 2010-11-24 Hoya株式会社 ステージ装置及びこのステージ装置を利用した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117A2 (ko) * 2010-06-16 2011-12-22 (주)하이소닉 소형 손떨림 보정 카메라모듈
WO2011159117A3 (ko) * 2010-06-16 2012-02-16 (주)하이소닉 소형 손떨림 보정 카메라모듈
US8676048B2 (en) 2010-06-16 2014-03-18 Hysonic. Co., Ltd. Small-sized camera module for correcting hand-shake
KR101246578B1 (ko) * 2011-08-25 2013-03-25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장치
US9071743B2 (en) 2012-06-29 2015-06-30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function of shaking compensation
US9860432B2 (en) 2012-06-29 2018-01-0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function of shaking compensation
US10412284B2 (en) 2012-06-29 2019-09-1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function of shaking compensation
US11029491B2 (en) 2012-06-29 2021-06-0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magnet interacting with both coil for performing focusing function and coil for performing shake compensation function
US11391917B2 (en) 2012-06-29 2022-07-19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magnet interacting with both coil for performing focusing function and coil for performing shake compensation function
US11714265B2 (en) 2012-06-29 2023-08-01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magnet interacting with both coil for performing focusing function and coil for performing shake compensation function
JP2015135479A (ja) * 2013-12-19 2015-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543B1 (ko)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3742A (en) Image vibration reduction device
JP6231045B2 (ja) 傾斜防止電磁モー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るレンズ装置
JP5003008B2 (ja) 手振れ補正装置、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WO2016031756A1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525816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US8494353B2 (en) Image stabilizer
US20110109968A1 (en) Image stabilization mechanism for camera module
WO2006046350A1 (ja) 撮像装置
JP5961083B2 (ja) 位置検出装置
KR100774543B1 (ko) 디지털 카메라의 떨림 보정장치
US9500877B2 (en) Lens driving unit, and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4074828A (ja) 像振れ補正装置、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8015498A (ja) 光学装置
JP2008090008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605417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JP3916628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20210041947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JP5239856B2 (ja) ブレ補正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4527051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4191073A (ja) 位置検出装置
JPH086089A (ja) 振れ防止装置
JP2008225259A (ja) レンズ装置
JP4949089B2 (ja) レンズ装置
JP2014035477A (ja) 像ぶれ補正装置および光学機器
US11448357B2 (en) Stage driv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stage driving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