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417B1 - 상흔들림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상흔들림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417B1
KR101605417B1 KR1020090060829A KR20090060829A KR101605417B1 KR 101605417 B1 KR101605417 B1 KR 101605417B1 KR 1020090060829 A KR1020090060829 A KR 1020090060829A KR 20090060829 A KR20090060829 A KR 20090060829A KR 101605417 B1 KR101605417 B1 KR 10160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driving
unit
holding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707A (ko
Inventor
시로노 마사히로
준 고마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5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보정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는 렌즈(L)를 유지하는 유지부(120)와, 유지부(120)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유지부(12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이동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유지부(120)를 지지하는 받침대(110)와, 유지부(120)를 받침대(110)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구동부에 부하를 주는 부하 조정 기구(180)(190)를 구비한다. 이동부는, 유지부(12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130)와, 유지부(12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140)로 이루어지고, 구동부는 제1 이동부(130)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제2 이동부(140)를 구동하는 제2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부하 조정 기구(180)(190)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에 설치되어 각 이동부(130)(140)의 이동에 따라 변위되는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각 구동부에 부하를 준다.

Description

상흔들림 보정 장치{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렌즈 쉬프트 방식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서 촬영된 화상 등의 영상에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촬상 소자인,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의 고화소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화상을 확대하여 표시시키면 미세한 흔들림도 두드러지기 때문에, 소형 디지털 카메라에도 상흔들림 보정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크게 렌즈 쉬프트 방식과 CCD 쉬프트 방식의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렌즈 쉬프트 방식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동경(銅鏡) 안의 일부 렌즈를 손떨림에 따라 구동시켜 상흔들림을 보정한다. 상기 방식은 구동시키는 렌즈가 경량이기 때문에 힘이 약한 액추에이터로도 구성할 수 있는 반면 렌즈 설계가 어려워진다. 반면 CCD 쉬프트 방식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CCD를 손떨림에 따라 구동시켜 상흔들림을 보정한다. 상기 방식은 렌즈 구성에 의하지 않고 촬상 장치만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구동시키는 CCD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강력한 액추 에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어렵고 액추에이터의 소비 전력이 크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렌즈 쉬프트 방식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서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는 상흔들림 보정용 렌즈를 유지한 상태에서 보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에, 렌즈의 광축에 대해 대략 수직인 두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일부인 자석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동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에 설치한 코일에 의해 자석에 전자 구동력을 발생시켜 렌즈의 위치를 보정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단순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해당 유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렌즈의 유지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유지부와 받침대 사이에 볼 부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유지부를 받침대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서는, 볼 부재는 렌즈를 보정하는 보정 범위 내에서는 반드시 구르도록 설치되어 있어, 보정 구동력에 악영향을 주는 슬라이딩 저항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 3에는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유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별개로 형성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유지부와 이동부를 별개로 형성함으로써 렌즈를 각 이동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미국특허 제5835799호 명세서
[특허문헌 2] 미국특허 제6064827호 명세서
[특허문헌 3] 일본특개 평04-18004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유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방향으로만 유지부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모든 이동부가 구동한다. 즉,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이동부의 중량도 피구동 중량에 포함되어 보정 구동 성능이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이동부의 이동 범위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된다는 문제도 존재하였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서는 이동부가 받침대에 대해 이동할 때 이동부는 확실하게 두 방향으로 안내 규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지부를 한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유지부가 다른 방향으로도 살짝 이동하는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여 보정 성능상 문제가 되기 쉽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서는 렌즈의 유지부와 이동부 사이에 보정 방향 및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백러시가 발생하여 보정 성능상 문제가 되었다. 또한,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부의 외형 틀 안에 이동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된다는 문제도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부분은, 보정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신규 및 개량된 상흔들림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유지부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렌즈의 광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상에서 유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이동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유지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이동부에 힘을 가해 유지부를 받침대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구동부에 부하를 주는 부하 조정 기구를 구비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가 제공된다. 이동부는, 유지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와, 유지부를 제1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로 이루어지고, 구동부는, 제1 이동부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제2 이동부를 구동하는 제2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부하 조정 기구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에 각각 설치되어 각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변위되는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각 구동부에 부하를 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부는, 유지부와 독립적으로 설치된 제1 이동부와 제2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다. 유지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제1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제1 이동부 만이 유지부에 작용한다. 한편, 유지부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는 제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제2 이동부 만이 유지부에 작용한다. 이와 같이 유지부와 2개의 이동부를 분리함으로써 유지부를 이동시킬 때의 피구동량을 줄일 수 있어 보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이동부는 각각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각 이동부의 이동 범위를 좁힐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에 의해 유지부를 받침대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유지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에 부하 저항을 가하는 부하 조정 기구를 구비한다. 이로써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가 이동시에 받는 부하 변동의 영향을 줄일 수 있어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부하 조정 기구의 탄성 부재로서 판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판스프링의 일단은 받침대에 고정되고 판스프링의 타단은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판스프링은 렌즈가 중점 위치에 존재하는 초기 위치에서의 복원력이 제로가 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부의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변위된 판스프링에 생기는 복원력을 부하로서 구동부에 주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가 중점 위치에 존재할 때 판스프링이 복원력이 제로인 중립 상태가 되도록 부하 조정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상흔들림 보정에 의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은 구동부가 최대 구동력으로 이동부를 구동했을 때 이동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에 대해 부하를 줄 수도 있다.
또한,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는,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의 받침대와 대향하는 쪽 면에 각각 설치되어 렌즈의 광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자계를 발생하는 자석과, 받침대의 자석과 대향하여 설치되는 코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부하 조정 기구의 판스프링은 착자성(着磁性)을 가지고 있으며 판스프링의 타단은 자석에 항상 흡착되도록 한다.
또한, 판스프링은 해당 판스프링의 타단에 자석 쪽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 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돌기부와 자석이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돌기부는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혹은 돌기부는 판스프링의 타단에 볼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정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1∼도 7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의 상태에서 제2 이동부(140) 및 제2 자석(161)을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의 상태에서 제1 이동부(130), 제2 이동부(140), 제1 자석(151) 및 제2 자석(161)을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의 상태로 커버 플레이트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의 셔터 부분에 설치되는 렌즈 쉬프트 방식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는,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110)에 지지되어 렌즈(L)를 유지하는 유지부(120)와, 유지부(12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130)와, 유지부(12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140)와, 제1 이동부(130)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제2 이동부(140)를 구동하는 제2 구동부로 구성된다.
유지부(120)는 렌즈(L)를 유지하는 부재이다. 유지부(1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L)를 내부에 수용하며 렌즈(L)의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렌즈 유지부(120a)와, 렌즈 유지부를 받침대(110) 위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된다. 지지판은 도 1의 부호(120b)(120c)(120d)로 도시한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렌즈(L)의 광축에 대해 수직인 판형 부재이다. 유지부(120)는, 지지판이 3개의 볼 부재에 의해 받침대(110) 위에 3점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렌즈(L)의 광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위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유지부(120)는 후술하는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의 이동에 따라 제1 방향 및 제1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120)의 받침대(110)와 대향하는 면 에는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의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마그넷(128)(129)이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110)의 마그넷(128)(129)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홀 소자(195)(196)가 설치되어 있다. 홀 소자(195)(196)에 의해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의 이동량을 검출함으로써 유지부(120)의 이동량을 파악할 수 있다.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의 제어부(미도시)는 홀 소자(195)(196)에서 검출한 유지부(120)의 이동량 등을 사용하여 상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량을 산출한다. 상기 제어량에 따라 제1 코일(152) 및 제2 코일(162)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를 이동시키고 최종적으로 렌즈(L)의 유지부(120)를 이동시킨다.
제1 이동부(130)는 유지부(120)를 제1 방향, 예를 들면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제1 이동부(130)는 렌즈(L)의 광축에 대해 수직인 면 위에 설치되고 유지부(120) 위의 2점과 받침대(110) 위의 1점에서 볼 부재로 지지되어 있다. 제1 이동부(130)는 X방향으로는 유지부(120)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X방향에 대해 수직인 Y방향으로는 유지부(120)에 대해 이동 가능, 즉 제1 이동부(130) 단독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30)의 받침대(110)와 대향하는 쪽 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부재를 안내하는 3개의 안내부(134)(135)(136)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134)(135)는, 예를 들면 Y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V자형 홈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이동부(130)를 유지부(120) 위에서 지지하는 볼 부재가 수용된다. 안내부(136)는, 예를 들면 X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V자형 홈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이동부(130)를 받침대(110) 위에서 지지하는 볼 부재가 수용된다. 또한 유지부(120) 및 받침대(110) 위에 안내부(134)(135)(136)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134)(135)(136)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안내부(124)(125)(111)가 형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130)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3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이동부(130)의 받침대(110)와 대향하는 쪽 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제1 자석(151)이 관통공(133)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자석(151)의, 후술하는 제2 자석(161)과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는, 해당 측면을 덮는 대략 L자형의 제1 차폐 부재(132)가 설치된다. 차폐 부재(132)는, 제1 자석(151)과 후술하는 제2 자석(161)이 서로 당기는 인력을 줄이기 위해 설치된다. 이로써 제1 자석(151)과 제2 자석(161)에 의한 인력이 구동부가 발생하는 구동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130)의 표면에는 커버 플레이트(170)에 형성된 제1 가이드공(171)에 삽입 통과되는 제1 가이드 핀(130a)이 설치된다. 제1 가이드 핀(130a)은 제1 가이드공(171)과 함께 구동축 가이드를 구성한다. 제1 가이드 핀(130a)은 제1 이동부(130)가 제1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때 제1 이동부(13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제2 이동부(140)는 유지부(120)를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 방향, 예를 들면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제2 이동부(14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130)와 마찬가지로 렌즈(L)의 광축에 대해 수직인 면 위에 설치되 어, 유지부(120) 위의 2점과 받침대(110) 위의 1점에서 볼 부재로 지지되어 있다. 제2 이동부(140)는 Y방향으로는 유지부(120)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Y방향에 대해 수직인 X방향으로는 유지부(120)에 대해 이동 가능, 즉 제2 이동부(140) 단독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이동부(140)는 렌즈(L)의 중심과 후술하는 밸런스 부재(115)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제1 이동부(130)와 대략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2 이동부(140)의 받침대(110)와 대향하는 쪽 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부재를 안내하는 3개의 안내부(144)(145)(146)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144)(145)는, 예를 들면 X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V자형 홈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이동부(140)를 유지부(120) 위에서 지지하는 볼 부재가 수용된다. 안내부(146)는, 예를 들면 Y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V자형 홈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이동부(140)를 받침대(110) 위에서 지지하는 볼 부재가 수용된다. 더욱이 유지부(120) 및 받침대(110) 위의, 안내부(144)(145)(146)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144)(145)(146)와 동일한 형상의 안내부(126)(127)(112)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이동부(140)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4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동부(140)의 받침대(110)와 대향하는 쪽 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제2 자석(161)이 관통공(143)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자석(161)의, 제1 자석(151)과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는, 해당 측면을 덮는 대략 L자형의 제2 차폐 부재(142)가 설치된다. 차폐 부재(142)는 제1 차폐 부재(132)와 마찬가지로 제1 자석(151)과 제2 자석(161)이 서로 당기는 인력을 줄이기 위해 설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이동부(130)와 제2 이동부(140)는 렌즈(L)의 광축에 대해 수직인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동부(140)의 표면에는 커버 플레이트(170)에 형성된 제2 가이드공(172), 제3 가이드공(173)에 삽입 통과되는 제2 가이드 핀(140a), 제3 가이드 핀(140b)이 설치된다. 제2 가이드 핀(140a), 제3 가이드 핀(140b)은 각각 제2 가이드공(172), 제3 가이드공(173)과 함께 구동축 가이드를 구성한다. 제2 가이드 핀(140a) 및 제3 가이드 핀(140b)은 제2 이동부(140)가 제2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때 제2 이동부(14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제1 구동부는 제1 이동부(130)를 제1 방향인 X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로서, 제1 이동부(130)에 설치되는 제1 자석(151)(도 5 참조)과, 도 4에 도시한 제1 코일(152)로 구성된다. 제1 구동부로서는, 예를 들면 보이스 코일 모터(이하, "VCM" 이라고 한다.)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구동부는 제1 자석(151)이 발생하는 자계 중에서 제1 코일(152)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의해 발생하는 X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제1 이동부(130)를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 코일(152)은 도선을 렌즈(L)의 광축 방향 둘레로 감아서 형성되고, 제1 이동부(130)의 이동 가능 범위에 대응하는 받침대(110) 위에 설치된다.
제1 구동부를 구성하는 제1 자석(151)에는 제1 구동부의 구동시에 해당 제1 구동부에 대해 부하 저항을 가하는 제1 부하 조정 기구(180)가 설치된다. 제1 부하 조정 기구(18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부(181)와, 볼 부재(182)와, 고정 부재(184)로 이루어지고, 판스프링부(181)의 일단에 볼 부재(182)가 설치되고 판스프링부(181)의 타단이 고정 부재(184)에 의해 받침대(110)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코일(152)과 받침대(110) 사이에는 자성을 가진 제1 요크(15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자석(151)과 제1 요크(153) 사이에는 자석 인력이 작용한다. 이로써 제1 자석(151)이 설치된 제1 이동부(130)는 받침대(110) 쪽으로 끌어당겨진다.
제2 구동부는 제2 이동부(140)를 제2 방향인 Y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로서, 제2 이동부(140)에 설치되는 제2 자석(161)(도 5 참조)과, 도 4에 도시한 제2 코일(162)로 구성된다. 제2 구동부도 예를 들면 VCM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구동부는 제1 구동부와 마찬가지로 제2 자석(161)이 발생하는 자계 중에서 제2 코일(162)로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발생하는 Y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제2 이동부(14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 코일(162)은 도선을 렌즈(L)의 광축 방향 둘레로 돌려서 형성되고 제2 이동부(140)의 이동 가능 범위에 대응하는 받침대(110) 위에 설치된다.
제2 구동부를 구성하는 제2 자석(161)에는 제2 구동부의 구동시에 해당 제2 구동부에 대해 부하 저항을 가하는 제2 부하 조정 기구(190)가 설치된다. 제2 부하 조정 기구(19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부(191)와, 볼 부재(192)와, 고정 부재(194)로 이루어지고, 판스프링부(191)의 일단에 볼 부재(192)가 설치되고 판스프링부(191)의 타단이 고정 부재(194)에 의해 받침대(110)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부하 조정 기구(190)의 상세에 대해서는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코일(162)과 받침대(110) 사이에는 자성을 가진 제2 요크(163)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자석(161)과 제2 요크(163) 사이에는 자석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2 자석(161)이 설치된 제2 이동부(140)는 받침대(110) 쪽으로 끌어당겨진다.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는 렌즈(L)의 중심과 같은 위치에 그 중심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가 이동됨으로써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유지부(120)가 회전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110)의 제1 이동부(130)와 제2 이동부(140) 사이에 밸런스 부재(115)를 만들어 밸런스 부재(115)의 무게에 의해 움직임의 균형을 잡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기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는 렌즈(L)를 유지하는 유지부(120)를 서로 독립적인 제1 이동부(130)와 제2 이동부(140)에 의해 이동시켜 상흔들림을 보정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동작>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동 부에 의해 제1 이동부(130)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구동부에 의해 제2 이동부를 Y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렌즈(L)를 이동시킨다. 이때 렌즈(L)를 유지하는 유지부(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110)위에 3개의 볼 부재(121)(122)(12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렌즈(L)의 광축에 대해 수직인 XY평면을 이동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130)는 제1 이동부(130)의 안내부(134)(135)와 유지부(120)의 안내부(124)(125)에 수용된 볼 부재(137)(138)에 의해 유지부(120) 위에 지지되고, 제1 이동부(130)의 안내부(136)와 받침대(110)의 안내부(111)에 수용된 볼 부재(139)에 의해 받침대(110) 위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이동부(140)는 제2 이동부(140)의 안내부(144)(145)와 유지부(120)의 안내부(126)(127)에 수용된 볼 부재(147)(148)에 의해 유지부(120) 위에 지지되고, 제2 이동부(140)의 안내부(146)와 받침대(110)의 안내부(112)에 수용된 볼 부재(149)에 의해 받침대(110) 위에 지지되어 있다.
유지부(120)는 제1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한 제1 이동부(130)의 이동과 함께 X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제1 구동부가 X방향의 구동력을 발생하면 제1 자석(151)을 구비한 제1 이동부(130)가 X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이동부(130)의 안내부(134)(135)와 유지부(120)의 안내부(124)(125)에 수용된 볼 부재(137)(138)는 도 5에 도시한 대략 V자형 홈에 의해 X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이에 반해 제1 이동부(130)의 안내부(136)와 받침대(110)의 안내부(111)에 수용된 볼 부재(139)는 X방향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지 않으며, X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V자형 홈을 따라 서 안내된다. 따라서 XY평면 상을 이동 가능한 유지부(120)는, 유지부(120) 위의 2개의 볼 부재(137)(138)에 의해 제1 이동부(130)와 일체가 되어 제1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안내부(136)를 따라서 X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이동부(140)는 제2 이동부(140)의 안내부(146)와 받침대(110)의 안내부(112)에 수용된 볼 부재(149)가 X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X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반면 제2 이동부(140)의 안내부(144)(145) 및 유지부(120)의 안내부(126)(127)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V자형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지부(120)가 X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제2 이동부(140)는 받침대(110)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으며, 유지부(120)는 제2 이동부(140)의 안내부(126)(127)를 따라서 X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 유지부(120)는 제2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한 제2 이동부(140)의 이동과 함께 Y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제2 구동부가 Y방향의 구동력을 발생하면 제2 자석(161)을 구비한 제2 이동부(140)가 Y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이동부(140)의 안내부(144)(145)와 유지부(120)의 안내부(126)(127)에 수용된 볼 부재(147)(148)는 도 5에 도시한 대략 V자형 홈에 의해 Y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이에 반해 제2 이동부(140)의 안내부(146)와 받침대(110)의 안내부(112)에 수용된 볼 부재(149)는 Y방향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지 않으며, Y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V자형 홈을 따라서 안내된다. 따라서 XY평면 상을 이동할 수 있는 유지부(120)는 유지부(120) 위의 2개의 볼 부재(147)(148)에 의해 제2 이동부(140)와 일체가 되어 제2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안내부(146)를 따라서 Y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이동부(130)는 제1 이동부(130)의 안내부(136)와 받침대(110)의 안내부(111)에 수용된 볼 부재(139)가 Y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Y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반면 제1 이동부(130)의 안내부(134)(135) 및 유지부(120)의 안내부(124)(125)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V자형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지부(120)가 Y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제1 이동부(130)는 받침대(110)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으며, 유지부(120)는 제1 이동부(130)의 안내부(124)(125)를 따라서 Y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지부(120)와 각 이동부(130)(140) 사이에 자기가 구동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구동에 대해서는 자유도를 갖도록 하여 계합하는 관계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동부(130)(140)가 이동하지 않을 때 이동부(130)(140) 자신과 유지부(12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다른 이동부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의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2개의 이동부(130)(140)를 유지부(120)와 별개로 설치함으로써 유지부(120)를 이동시킬 때의 피구동 중량을 줄일 수 있어 렌즈(L)의 보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는 각각 한 방향으로밖에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쪽 이동부가 이동할 때에는 자신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부(120)를 X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일체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각 이동부(130)(140)의 이동 가능한 범위는 작다. 따라서 구동력 발생원인 제1 코일(152) 및 제2 코일(162)을 다른 이동부의 이동에 따른 자신의 이동을 고려하여 크게 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종래와 비교하여 코일의 크기 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상기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에서는 볼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가 해당 볼 부재가 안내부를 따라서 안내됨으로써 이동하고 그에 따라 유지부(120)가 이동된다.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자석(151)과 제1 요크(153)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 인력 및 제2 자석(161)과 제2 요크(163)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 인력에 의해 받침대(110) 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로써 유지부(120)도 받침대(110) 쪽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유지부(120)의 틸트 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가이드 핀(130a)과 제1 가이드공(171), 제2 가이드 핀(140a)과 제2 가이드공(172), 제3 가이드 핀(140b)과 제3 가이드공(173)으로 구성되는 구동축 가이드에 의해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를 이동 방향으로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부하 조정 기구의 구성>
여기에서 구동시의 부하 저항이 작은 구동계에서는 통상 이동 범위에 대한 입력 범위가 작아도 되는 반면, 마이컴의 A/D 검출에 할당되는 입력의 분해 능력이 저하되기 쉽다. 따라서 상흔들림 보정 제어 정밀도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또 전체의 부하 저항이 작은 만큼 마찰 저항에 의한 부하 히스테리시스나 슬라이딩부에서의 걸림 등 작은 부하 변동이 존재하면 그 영향을 크게 받아 상흔들림 보정 제어 정밀도가 악화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부에 부하 조정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제어 악화를 방지한다. 이하, 도 8∼도 11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하 조정 기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하 조정 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하 조정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하 조정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구동부가 정(正)의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하 조정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구동부가 부(負)의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입력 전압과 감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의 부하를 조정하는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와, 제2 구동부의 부하를 조정하는 제2 부하 조정 기구(190)를 구비한다. 제1 부하 조정 기구(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부(181)와, 볼 부재(182)와, 고정 부재(184)로 이루어지고, 제2 부하 조정 기구(190)는 판스프링부(191)와, 볼 부재(192)와, 고정 부재(194)로 이루어진다.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와 제2 부하 조정 기구(190)는 동일 구성이므로 이하,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판스프링부(181)는 그 탄성력에 의해 제1 구동부에 부하를 주는 판형의 탄성 부재이다. 판스프링부(18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볼 부재(182)가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고정 부재(184)에 의해 받침대(110)에 고정되어 있다. 판스프링부(181)는 볼 부재(182)를 통해 접속된 제1 자석(151)의 움직임을 억제함으로써 제1 구동부에 대해 부하를 준다.
볼 부재(182)는, 제1 이동부의 제1 자석(151)과 흡착 접촉되는 자성 부재이 다. 볼 부재(182)는 그 일부가 판스프링부(181)의 일단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가 제1 자석(151)에 항상 자기 흡착되어 제1 자석(151)과 점 접촉되어 있다. 즉, 볼 부재(182)는 판스프링부(181)와 제1 자석(151)을 연결한다. 제1 이동부(130)가 소정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판스프링부(181)는 곡선을 그리면서 제1 이동부(130)의 이동 방향을 향해 휜다. 따라서 제1 이동부(130)과 판스프링부(181)의 이동 궤적이 살짝 다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부하 조정 기구(180)는 제1 구동부에 의한 제1 이동부(1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판스프링부(181)의 복원력을 제1 구동부에 주기 때문에, 판스프링부(181)와 제1 자석(151)을 볼 부재(182)와 같은 대략 구형의 부재로 연결한다. 이로써 판스프링부(181)가 휘면 볼 부재(182)는 제1 자석(151)의 측면을 미끄러지도록 이동하여 판스프링부(181)와 제1 자석(151)의 연결을 유지한다.
또 고정 부재(184)는 판스프링부(181)를 받침대(110)에 고정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면 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하 조정 기구는 판스프링부(181)에 자성 부재인 볼 부재(182)를 설치하여 구성되지만, 착자성을 가진 판스프링부(181)의 일단 쪽을 제1 자석(151) 쪽에 돌출시켜 돌기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때 돌기부를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판스프링부(181)를 제1 자석(151)에 항상 점 접촉시킬 수 있다.
<부하 조정 기구의 작용>
이와 같은 제1 부하 조정 기구(180) 및 제2 부하 조정 기구(190)는, 판스프링부(181)(191)가 변위 되었을 때에 생기는 복원력을 부하 저항으로 하여 제1 구동 부 및 제2 구동부에 부하를 주는 기구이다. 여기에서 종래의 구동부로의 입력 전압에 대한 이동부의 이동량(감도)에 대해서 보면, 도 11의 왼쪽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는 입력 전압 인가 직후에는 거의 움직이지 않고, 소정의 입력 전압을 넘으면 급격하게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이동부를 가벼운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반면 마찰 저항 등의 영향을 받기 쉬워 제어 입력 분해 능력이 저하되어 이동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부하 조정 기구(180) 및 제2 부하 조정 기구(190)는 변형되면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려는 복원력이 발생하는 판스프링부(181)(191)의 성질을 이용하여 이동부에 적절한 부하를 주고 입력 전압과 제어 감도의 분해 능력을 최적화한다. 이하, 도 8, 도 10A 및 도 10B에 기초하여 부하 조정 기구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와 제2 부하 조정 기구(190)는 동일 구성이므로 이하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렌즈(L)가 중점 위치에 존재할 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부(181)는 휘지 않도록 일단이 받침대(110)에 고정되고, 타단의 볼 부재(182)가 제1 자석(151)의 측면에 흡착되어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판스프링부(181)에는 복원력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제1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는 제로이다.
이어서 제1 구동부가 제1 이동부(130)를 X축 정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자석(151)도 X축 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판스프링부(181)는, 도 10A에 도시한 바 와 같이, 볼 부재(182)가 제1 자석(151)에 흡착된 상태에서 X축 정방향으로 이동하여 X축 정방향으로 휜 상태가 된다. 이때 판스프링부(181)는 휜 상태에서 원래 상태로 복귀하려고 X축 부(負)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을 부하 저항으로서 제1 구동부에 가한다. 이때 제1 이동부(130)가 중점 위치에서 이격됨으로써 판스프링부(181)에 의해 제1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 저항은 커진다.
한편, 제1 구동부가 제1 이동부(130)를 X축 부(負)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자석(151)도 X축 부(負)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판스프링부(181)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부재(182)가 제1 자석(151)에 흡착된 상태에서 X축 부(負)방향으로 이동하여 X축 부(負)방향으로 휜 상태가 된다. 이때 판스프링부(181)는 휜 상태에서 원래 상태로 복귀하려고 X축 정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을 부하 저항으로서 제1 구동부에 가한다. 이때, 도 10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이동부(130)가 중점 위치에서 이격됨에 따라 판스프링부(181)에 의해 제1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 저항은 커진다.
이와 같이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에 의해 제1 구동부에 부하 저항을 가하면, 도 11의 오른쪽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130)는 입력 전압을 인가하면 매끄럽게 움직이기 시작하여 거의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이동 범위에 대한 입력 범위를 마이컴의 A/D에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어 이동부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의 판스프링부(181)는 제1 구동부가 최대 구동력으로 제1 이동부(130)를 구동했을 때에도 제1 이동부(130)가 이동할 수 있도 록 제1 구동부에 대해 부하를 주도록 구성된다. 즉, 판스프링부(181)에 의한 부하 저항을 제1 구동부의 최대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크기보다 크게 하면 더 큰 구동력이 유지부(120)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므로 소비 전력이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부하 조정 기구(180)는 제1 이동부(130)를 매끄럽게 이동시키기 위해 제1 구동부에 부하를 가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에서는, 렌즈(L)가 중점 위치에 존재할 때에 복원력이 제로가 되도록 판스프링부(181)를 설치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동부(130)가 X축 부(負)방향으로 최대 변위된 위치에서 복원력이 제로가 되도록 판스프링 부재(181)를 설치했다고 하자. 이 때, 제1 이동부(130)의 이동 범위에서의 중점 부근에서 항상 판스프링부(181)의 복원력이 제1 이동부(130)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OIS제어에서는 렌즈(L)를 중점 복귀시키거나 중점 위치에 유지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판스프링부(181)의 복원력에 대항하는 힘을 항상 발생시켜야 하므로 소비 전력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와 같이 렌즈(L)가 중점 위치에 존재할 때, 판스프링부(181)가 복원력이 없는 중립 상태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렌즈(L)가 중점 위치 근방에 위치할 때의 판스프링부(181)의 복원력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렌즈(L)를 중점 복귀시키거나 중점 위치에 유지시킬 때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 제1 부하 조정 기구(180)는 탄성 부재로서 하나의 판스프링부(181) 만을 가지고 있다. 이때, 제1 이동부(130)가 이동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더라 도 제1 이동부(130)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에 부하 저항을 가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개의 탄성 부재를 만드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부하 조정 기구(180)에서는 하나의 판스프링부(181)를 사용하여 상기 기구를 실현하였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L)가 중점 위치에 존재할 때 판스프링부(181)가 중립 상태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이동부(130)가 중립 위치에서 도 10A 또는 도 10B의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하나의 판스프링부(181)만으로 제1 구동부에 부하 저항을 가할 수 있다. 이로써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을 구동하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에 부하 저항을 가하는 부하 조정 기구(180)(190)를 구비한다. 이로써, 제1 이동부(130) 및 제2 이동부(140)가 이동시에 받는 부하 변동의 영향을 줄일 수 있어 상흔들림 보정 장치(100)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1개의 판스프링부(181)(191)에 의해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에 부하 저항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렌즈(L)가 중점 위치에 존재할 때 판스프링부(181)(191)가 중립 상태가 되도록 제1 부하 조정 기구(180) 및 제2 부하 조정 기구(190)를 구성함으로써 상흔들림 보정에 의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 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의 상태에서 제2 이동부 및 제2 자석을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의 상태에서 제1 이동부, 제2 이동부,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을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동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배면도이다.
도 6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의 상태에 커버 플레이트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부하 조정 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동 실시형태에 관한 부하 조정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하 조정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구동부가 정의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하 조정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구동부가 부의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입력 전압과 감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상흔들림 보정 장치
110: 받침대
120: 유지부
130: 제1 이동부
140: 제2 이동부
150: 제1 구동부
151: 제1 자석
152: 제1 코일
161: 제2 자석
162: 제2 코일
170: 커버 플레이트
180: 제1 부하 조정 기구
181,191: 판스프링부
182,192: 볼 부재
184,194: 고정 부재
190 제2: 부하 조정 기구
L: 렌즈

Claims (8)

  1.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부,
    상기 유지부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상에서 상기 유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유지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이동부에 힘을 가해 상기 유지부를 상기 받침대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
    상기 구동부에 부하를 주는 부하 조정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유지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와, 상기 유지부를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이동부를 구동하는 제2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하 조정 기구는,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변위되는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각 구동부에 부하를 주고
    상기 부하 조정 기구의 탄성 부재는 판스프링으로서,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2 이동부의 상기 받침대와 대향하는 쪽 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해 평행한 자계를 발생하는 자석,
    상기 받침대의 상기 자석과 대향하여 설치되는 코일,
    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하 조정 기구의 판스프링은 착자성(着磁性)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자석에 항상 흡착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렌즈가 중점 위치에 존재하는 초기 위치에서의 복원력이 제로가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변위된 상기 판스프링에 생기는 복원력을 부하로서 상기 구동부에 부여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구동부가 최대 구동력으로 상기 이동부를 구동했을 때 상기 이동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대해 부하를 주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해당 판스프링의 타단에 상기 자석 쪽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자석이 접촉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반구형인 상흔들림 보정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에 볼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20090060829A 2008-11-14 2009-07-03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1605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2514A JP5208691B2 (ja) 2008-11-14 2008-11-14 像ぶれ補正装置
JPJP-P-2008-292514 2008-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707A KR20100054707A (ko) 2010-05-25
KR101605417B1 true KR101605417B1 (ko) 2016-03-22

Family

ID=4227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829A KR101605417B1 (ko) 2008-11-14 2009-07-03 상흔들림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208691B2 (ko)
KR (1) KR101605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9143B2 (ja) 2010-07-16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
JP2013140252A (ja) * 2012-01-04 2013-07-18 Nikon Corp ブレ補正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WO2020188589A1 (en) 2019-03-16 2020-09-24 Tvs Motor Company Limited Footrest assembly for a two-wheeled vehicle
WO2020243854A1 (zh) * 2019-06-01 2020-12-1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透镜模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8852A (ja) * 2006-09-20 2008-04-03 Sony Corp 像ぶれ補正装置およ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3299B2 (ja) * 1998-12-28 2010-02-10 Hoya株式会社 像振れ補正機構
JP3896745B2 (ja) * 1999-12-17 2007-03-22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駆動装置
JP2008058391A (ja) * 2006-08-29 2008-03-13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撮像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8852A (ja) * 2006-09-20 2008-04-03 Sony Corp 像ぶれ補正装置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17671A (ja) 2010-05-27
KR20100054707A (ko) 2010-05-25
JP5208691B2 (ja)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816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US7742075B2 (en) Lens driving device, image stabilizing unit,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8730595B2 (en) Optical image stabilizer and lens driving apparatus
JP5175492B2 (ja) 撮像装置
US8582205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436017B2 (en) Image stabilizing apparatus that corrects image blur caused by hand shake,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US20080292296A1 (en) Vibration compensation for image capturing device
US10247954B2 (en) Stage apparatus having shake-correction function
US20160041403A1 (en) Retention mechanism, driving apparatus, and blur correction apparatus
US20200310079A1 (en) Camera module
KR101605417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JP5483988B2 (ja) 像振れ補正装置
JP5192998B2 (ja) ブレ補正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JP202254178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035791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2597176B1 (ko)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605418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JP4769701B2 (ja) 像ぶれ補正装置
JP6564007B2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
JP2014035477A (ja) 像ぶれ補正装置および光学機器
KR20230070710A (ko)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3067965A (zh) 控制器集成电路及包括其的致动器和相机模块
JP2009237227A (ja) 像振れ補正装置
JP2012181373A (ja) 保持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5227941A (ja) ブレ補正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