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278A - 자립식 승강 스크린 - Google Patents

자립식 승강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278A
KR20070101278A KR1020077016403A KR20077016403A KR20070101278A KR 20070101278 A KR20070101278 A KR 20070101278A KR 1020077016403 A KR1020077016403 A KR 1020077016403A KR 20077016403 A KR20077016403 A KR 20077016403A KR 20070101278 A KR20070101278 A KR 20070101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rm
lower arm
arms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고테라
마사유키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오에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에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에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1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베이스 부재(3A)에 스크린(1)을 감기 위한 권취부재(9)를 부착하고, 스크린(1)의 상단이 연결된 상단 지지부재(4)와 베이스 부재(3A)를, 상부측 암(11)과 하부측 암(13)이 피벗 지지 연결하여 대략 X자 모양으로 구성된 신축식의 링크 기구(5)를 통하여 연결하고, 하부측 암(13)을 상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16)을 하부측 암(13)과 베이스 부재(3A)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부측 암(11)과 하부측 암(13)이 상하방향에서 겹쳐진 수납상태에 있어서 하부측 암(13)을, 그 하면이 개방되어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모양으로 구성하고, 수납상태에서 하부측 암(13)의 내측의 공간(13K)에 가압수단(16)의 적어도 일부가 들어가도록 가압수단(16)을 배치한다.

Description

자립식 승강 스크린{SELF-STANDING LIFTING SCREEN}
본 발명은, 상단 지지부재(上端支持部材)를 손으로 들어 올리거나 전동모터(電動motor) 등의 액추에이터(actuator)를 사용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스크린을 상방을 향하여 신장시키거나, 상단 지지부재를 하방으로 밀어 내리거나 상기 액추에이터의 힘에 의하여 신장시킨 스크린을 케이싱 내에 감아서 수납시켜서 들어 나를 수 있도록 구성한 자립식 승강 스크린(自立式昇降screen)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립식 승강 스크린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크린의 상단(上端)이 연결된 상단 지지부재와 케이싱 내에 구비한 베이스 부재를, 상부측 암과 하부측 암이 피벗 지지(pivot 支持)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신축식의 링크 기구(link 機構)를 좌우 양측으로 가로지른 상태에서 각각 피벗 지지 연결하고, 좌측에 배치된 각통 모양(角筒模樣)의 상부측 암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각통 모양의 하부측 암의 피벗 지지 연결부를 상단 지지부재의 좌우 중심부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하고, 또한 우측에 배치된 상부측 암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하부측 암의 피벗 지지 연결부를 상단 지지부재의 좌우 중심부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하고, 하부측 암을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인 가스 스프링을 하부측 암과 베이스 부재의 사이에 설치하고, 스크린을 케이싱 내의 권취부재에 권취함으로써 상부측 암 및 하부측 암을 케이싱 내에 상하방향에서 겹쳐 포갠 수납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 국제공개 제03/100519호 팸플릿(도5, 도7 참조)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기 특허문헌1에 의하면, 스크린을 권취한 상태에서는 케이싱 내의 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측 암, 하부측 암, 가스 스프링의 3개의 부품이 수납되는 것이기 때문에, 케이싱 전체가 상하방향으로 부피가 크게 되어, 예를 들면 스크린의 운반 시나 스크린을 사용하지 않는 보관 시 등에 불리하다.
또한, 케이스 전체의 중심이 높아지고, 스크린을 세워서 사용하는 사용 시에 있어서 쓰러지는 등의 불리한 점이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이 상기의 상황을 감안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운반이나 보관에 유리하고 또한 쓰러지기 어려운 자립식 승강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크린을 감기 위한 권취부재를 베이스 부재에 부착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단이 연결된 상단 지지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부측 암과 하부측 암이 피벗 지지 연결되어서 대략 X자 모양 또는 대략 다이아몬드형 모양으로 구성된 신축식의 링크 기구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하부측 암을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상기 하부측 암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측 암과 상기 하부측 암이 상하방향에서 겹쳐진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암을, 그 하면이 개방되어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모양 또는 대략 역L자 모양으로 구성하고, 상기 수납상태에서 상기 하부측 암의 내측의 공간에 상기 가압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하도록 상기 가압수단을 배치하여 자립식 승강 스크린을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측 암을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모양 또는 대략 역L자 모양으로 구성함으로써, 수납상태가 된 하부측 암의 내측의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압수단의 배치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어, 그 만큼 케이싱 내의 상하방향의 수납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측 암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방향이 비스듬한 하방이 되도록 상기 가압수단을 앞으로 기울어지는 경사자세로 배치하더라도 좋다.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가스 스프링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상기 신축식의 링크 기구를 대략 X자 모양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 좌우폭 방향 좌측에 배치된 상부측 암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하부측 암의 피벗 지지 연결부를 상기 상단 지지부재의 좌우 중심부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스크린 좌우폭 방향 우측에 배치된 상부측 암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하부측 암의 피벗 지지 연결부를 상기 상단 지지부재의 좌우 중심부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하고, 상기 좌우의 상부측 암 및 상기 좌우의 하부측 암 중에서 적어도 일방에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를 부착하고, 그들 좌우의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스크린의 상기 스크린 좌우폭 방향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상하의 수선 상에서 상대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하더라도 좋다.
[발명의 효과]
하부측 암을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모양 또는 대략 역L자 모양으로 구성함으로써, 수납상태가 된 하부측 암의 내측의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압수단의 배치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어, 그 만큼 케이싱 내의 상하방향의 수납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이나 보관에 유리하게 될 뿐만 아니라, 중심도 하방으로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잘 쓰러지지 않으므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리 등이 불필요하게 되는 자립식 승강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측 암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가압수단의 가압방향이 비스듬한 하방이 되도록 가압수단을 앞으로 기울어지는 경사자세로 배치함으로써, 하부측 암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가압수단을 수평자세로 부착하고 있는 가압방향이 수평방향의 중립인 경우에, 가압수단의 가압방향이 상방측으로 예기지 않게 방향이 변경되어서 하부측 암이 상방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으로서는 가스 스프링이 적합하다.
상기 신축식의 링크 기구를 대략 X자 모양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 좌우폭 방향 좌측에 배치된 상부측 암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하부측 암의 피벗 지지 연결부를 상기 상단 지지부재의 좌우 중심부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스크린 좌우폭 방향 우측에 배치된 상부측 암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하부측 암의 피벗 지지 연결부를 상기 상단 지지부재의 좌우 중심부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하고, 상기 좌우의 상부측 암 및 상기 좌우의 하부측 암 중에서 적어도 일방에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를 부착하고, 그들 좌우의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스크린의 상기 스크린 좌우폭 방향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상하의 수선 상에서 상대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함으로써, 링크 기구를 부드럽고 또한 안정적으로 신축작동을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의 상단위치를 제한하는 제한부재로 할 수 있다. 또, 좌우의 상부측 암 및 상기 좌우의 하부측 암의 양방에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시킴으로써, 좌우의 상부측 암 사이 및 상기 좌우의 하부측 암 사이에 발생하는 전후의 불균형 등에 의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1은, 스크린을 세운 승강 스크린의 정면도이다.
도2는, 스크린을 세운 승강 스크린의 배면도이다.
도3은, 스크린을 세운 승강 스크린에 있어서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4는, 스크린을 권취한 상태의 승강 스크린의 종단면도이다.
도5는, 스크린을 권취한 상태의 승강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6은, 가스 스프링의 설치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7은, 가스 스프링의 설치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8에 있어서, (a)는 케이싱의 저면을 바닥면에 착지시켜서 스크린을 세우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승강 스크린의 측면도, (b)는 케이싱의 배면을 바닥면에 착지시켜서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승강 스크린의 측면도이다.
도9는, 결합지지부재의 설치부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10은, 결합지지부재의 설치부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11은, 결합지지부재의 설치부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상부측 암과 하부측 암의 피벗 지지 연결부에서 절단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13은, 슬라이드 부재를 부착하고 있는 부위에서 절단한 승강 스크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14는, 상하의 양쪽 암에 슬라이드 부재를 부착한 승강 스크린의 배면도이다.
도15는, 상하의 양쪽 암에 슬라이드 부재를 부착한 요부의 배면도이다.
도16은, 상하의 양쪽 암에 슬라이드 부재를 부착한 승강 스크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크린(screen) 2 승강 스크린(昇降 screen)
3 케이싱(casing) 3A 베이스 부재(base 部材)
3a 돌기부(突起部) 3B 전측 상판부(前側 上板部)
3C 단부 캡(端部 cap) 3D 브래킷(bracket)
3E 브래킷 3G 캡부(cap 部)
3K 후면(後面) 3S 개구(開口)
3Y 저면(底面) 4 상단 지지부재(上端支持部材)
5 링크 기구(link 機構) 6 손잡이부
7 손잡이 7A 하면(下面)
7T 돌출부(突出部)(接地部) 8 부착부재(付着部材)
9 파이프(pipe) 10 결합편(結合片)
11 상부측 암(上部側 arm) 12 브래킷
13 하부측 암(下部側 arm) 13A 상판부(上板部)
13B 종판부(縱板部)(上下板部) 13K 공간(空間)
15 연결부재(連結部材) 16, 16 가스 스프링(gas spring)
16A 선단부(先端部)
16B 고정측 기단부(固定側基端部) 17 결합지지부재(結合支持部材)
18 스크루(screw) 19 돌출편(突出片)
20 본체부(本體部) 21 결합편(結合片)
22 결합폴(結合 pawl) 23 코일 스프링(coil spring)
24 돌기(突起) 25, 26 슬라이드 부재(slide 部材)
26A 케이스 본체 26B 연결판부(連結板部)
27A 케이스 본체 27B 연결판부
28 스크루 29 핀
30 돌기부 30A 케이스 본체
30B 연결판부 31A 케이스 본체
31B 연결판부 32 스크루
33 핀 34 탄성체
35 고정부재 36 부재
F 바닥면 H 벽면(壁面)
S 수선(垂線)
도1∼도5에, 스크린(크기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것이 아니더라도 좋다)1을 수납하여 이동 가능한 경량이고 소형(휴대형)의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이하, 승강 스크린이라고 한다)2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도1에 나타낸 승강 스크린2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싱3의 길이방향(스크린 좌우폭 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케이싱3의 길이방향(스크린 좌우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승강 스크린2는, 상기 스크린1을 감아서 수납하기 위한 상기 케이싱3과, 상기 스크린1의 배면(후면) 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스크린1의 상단이 연결된 상단 지지부재4의 좌우 양단부에 상단이 피벗 지지 연결되어서 X자 모양이 된 신축식의 링크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수동으로 스크린1을 세우거나 마는(권취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전동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의 힘을 이용하여 스크린1을 조작하여도 좋다.
상기 상단 지지부재4는, 상기 스크린1 및 링크 기구5가 케이싱3에 대하여 출입(出入)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3에 형성된 개구3S를 닫기 위한 단면 형상이 대략 「ㅅ」자 모양의 뚜껑부재를 겸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 지지부재4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부에 손가락을 넣 어, 즉 상단 지지부재4의 홈에 손가락 끝을 결합시켜서 상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오목부6A가 형성된 손잡이부6이 스크루(screw)로 고정되어 있어, 이 손잡이부6을 쥐고 상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도1∼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1을 상방으로 세운 사용자세와, 도4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3 내에 스크린1을 감아서 수납함과 아울러 링크 기구5의 상부측 암11과 하부측 암13을 상하방향으로 겹쳐 포갠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부6을, 상단 지지부재4를 겸용하는 구성으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도9∼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부재인 상단 지지부재4를 닫음으로써 상기 상단 지지부재4의 결합부에 결합하여 그 폐쇄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측면에서 볼 때에 대략 사다리꼴 모양으로 합성수지로 만든 결합지지부재17 2개를 상기 케이싱3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베이스 부재3A로부터 상방으로 갈고리형으로 케이싱3의 길이방향 대략 전역(全域)에 걸쳐서 돌출하는 전후 한 쌍의 돌기부3a, 3a의 상면 간에 가설(架設)하여 2개의 스크루18, 18로 고정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결합지지부재17을 합성수지로 구성하고 있지만, 나무 또는 금속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 결합지지부재17을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상단 지지부재4의 결합부가, 대략 수평방향에서 서로 마주 향하도록 돌출하는 갈고리형의 한 쌍의 돌출편19, 19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 지지부재17이, 상기 케이싱3에 고정되는 본체부20과, 상기 본체부20에 서로 접근하는 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세로로 긴 모양의 한 쌍의 결합편21, 21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 지지부재4가 폐쇄자세로 자세변경을 함에 따라 상기 돌출편19, 19와 접촉하여 상기 한 쌍의 결합편21, 21을 접근하는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돌출편19, 19가 통과하여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결합편21, 21을 이간하는 쪽으로 복귀시켜서 상기 돌출편19, 19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결합하고 또한, 상기 폐쇄자세로 결합지지 되어 있는 상단 지지부재4가 상방의 개방자세로 자세변경을 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결합편21, 21을 접근하는 측으로 이동시켜서 돌출편19, 19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접근하는 쪽과는 반대측이 되는 단부에 단부 측일수록 끝이 가늘어지는 접촉 조작용으로서 측면에서 볼 때에 산 모양의 결합폴22를 상기 한 쌍의 결합편21, 21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편21, 21이 서로 접근하는 측단의 각각에 코일 스프링23을 결합지지 하기 위한 원형의 돌기2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코일 스프링23을 사용하여 결합편21, 21을 확실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판 스프링 이더라도 좋고, 코일 스프링23이나 판 스프링을 생략하는 대신에, 결합편21, 21 자체를 판 스프링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여기에서는, 결합편21, 21을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결합편21, 21을 접근 및 이간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이동) 하도록 가이드 부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를 사이에 두고 설치하여 실시하더라도 좋다.
따라서, 상단 지지부재4를 상방의 개방자세로부터 폐쇄자세로 자세변경을 하는 데에 따라, 돌출편19, 19의 하단이 결합폴22, 22에 접촉하여 결합폴22, 22를 그 테이퍼면(taper面)의 안내작용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23의 가압력(탄성력)에 저항하여 접근하는 측으로 이동시켜 결합폴22, 22의 선단을 넘어가고 나서 결합폴22, 22가 코일 스프링23의 가압력에 의하여 초기위치까지 복귀하고,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폴22, 22의 하단에 돌출편19, 19가 결합한 상태가 되어 상단 지지부재4가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이 결합상태로부터, 상단 지지부재4를 들어올려 돌출편19, 19가 결합폴22, 22의 테이퍼면을 밀어 올림으로써 결합폴22, 22를 코일 스프링2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접근하는 측으로 이동시켜서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단 지지부재4를 상방의 개방자세로 세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4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은, 스크린1을 감기 위한 권취부재로서의 원통 모양의 권취 파이프9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있는 스프링을 사용하여 일방향(一方向)으로 회전(권취)하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부착, 지지하기 위한 단면 형상이 대략 L자 모양의 베이스 부재3A와, 이 베이스 부재3A의 전방 상단에 착탈하도록 결합하여 상방으로 원호 모양으로 연장되는 전측 상판부3B와, 이들 베이스 부재3A 및 전측 상판부3B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닫기 위한 좌우 한 쌍의 단부 캡3C, 3C와, 상기 베이스 부재3A의 전면(前面)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에 부착 되고 또한 전방으로 연장하는 단면 형상이 L자인 운반용의 손잡이7로 구성되어 있지만, 도면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 단부 캡3C의 전단부(前端部)에 삽입되어 있는 원형의 캡부3G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밀어내어 떼어냄으로써 단부 캡3C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드라이버(driver)에 의하여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있는 나사를 풀어서 상기 전측 상판부3B를 떼어냄으로써 스크린1의 권취 파이프9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어, 스크린1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케이싱3의 대략 편평한 후면(後面)3K가 바닥면F에 착지(着地)하여 상기 케이싱3의 저면(底面)3Y가 벽면(壁面)H에 접촉하는(간격(틈)이 있는 상태이더라도 좋음) 상하자세로 세운 비사용 자세(非使用姿勢)(도8(b)참조)와 상기 케이싱3의 대략 편평한 저면3Y를 바닥면F에 착지시켜 상기 스크린1을 상방으로 세울 수 있는 수평사용자세(水平使用姿勢)(도8(a) 참조, 도면에서는 케이싱3의 후면3K를 벽면에 접촉시키고 있으나, 간격이 있는 상태이더라도 좋음)로 자세변경을 하도록 상기 케이싱3을 구성하고, 상기 케이싱3의 수평사용자세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전방(前方)으로 돌출하는 상기 손잡이7을, 그 손잡이7의 하면 중에서 전단(前端)에서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부위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착지부(着地部)를 구성하는 돌출부7T의 하면7A(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하면)와 상기 케이싱3의 저면3Y가 바닥면F에 착지하는 상태에서 구비하고 있어, 스크린1을 세운 사용자세로 한 경우에, 특별한 지지다리를 케이싱3의 전후에 배치하지 않아도 스크린1이 쓰러져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착지부로서 겸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손잡이7을 케이싱3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했을 경우를 나타냈지만, 좌우 어느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하거나, 손잡이7을 복수 개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7에 돌출부7T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손잡이7의 하면 전체가 하방으로 돌출하여 바닥면에 손잡이7의 하면 전체가 접촉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고, 또 별도로 형성된 돌출부를 손잡이7에 부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손잡이7의 형상 및 크기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것 이외더라도 좋다. 도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에 상하 치수보다 전후 치수가 큰 케이싱3을, 도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세운 비사용 자세로 해둠으로써 바닥면F에 대한 케이싱3의 설치 스페이스를, 도8(a)에 나타내는 수평사용자세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어 사용면에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이 때에, 손잡이7이 상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즉시 손잡이7을 잡아 다른 장소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손잡이7과 상기 손잡이부6을 케이싱3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의 동일한 장소에 구비함으로써 손잡이7을 쥐고 승강 스크린2를 이동시킨 후에, 손잡이부6을 쥐고 스크린1을 세울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양 손잡이부6, 손잡이7을 다른 위치에 배치하더라도 좋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의 일단(상단)을, 스크린 1의 좌우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구비하는 판자 모양의 결합편10에 고정하고 그 결합편10을 상기 상단 지지부재4에 결합지지 시킴으로써, 스크린1의 상단을 상단 지지부재4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연결하더라도 좋다.
상기 X자 모양의 링크 기구5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2∼도4, 도6, 도7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단 지지부재4의 좌우 양단부(그 주변이면 양단부에서 조금 중앙 측으로의 부위이어도 좋다)에 좌우의 각통 모양(원통 모양 등이라도 좋다)이고 금속제(금속과 대략 동등한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면 다른 재료이더라도 좋다)인 상부측 암11, 11의 상단을 브래킷12를 통하여 각각 피벗 지지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3A로부터 상방으로 갈고리형으로 케이싱3의 길이방향 대략 전역에 걸쳐서 돌출하는 전후 한 쌍의 돌기부3a, 3a 사이의 특정의 두 곳(케이싱의 좌우 양단에 가까운 장소)에 고정된 브래킷3E, 3E(베이스 부재3A로 겸용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에, 하면이 개방되어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금속제(금속과 대략 동등한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면 다른 재료이더라도 좋다)인 좌우의 하부측 암13, 13의 하단을 각각 피벗 지지 연결하고, 상기 좌우의 상부측 암11, 11의 하단과 상기 좌우의 하부측 암13, 13의 상단을 동일한 측 상호간을 각각 피벗 지지 연결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X자 모양의 링크 기구5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 지지부재4의 좌우 양단에 가까운 위치에 상부측 암11, 11의 상단을 피벗 지지 연결함으로써, 스크린1의 오르내림을 더 한층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방향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상부측 암11, 11의 상단을 피벗 지지 연결하더라도 좋다. 여기에서는, 하부측 암13, 13을, 편평한 상판부13A와, 이 상판부13A의 폭방향(전후방향) 양단으로부터 바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하판부(종판부)13B, 13B로 이루어지고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모양으로 하고 있지만, 하면 및 전후의 상하면 중의 어느 하나가 개방되어 단면 형상이 대략 L자 모양인 것이라도 좋다. 여기에서는, X자 모양의 링크 기구5를 나타내고 있지만, 4개의 암을 대략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피벗 지지 연결한 것이더라도 좋다. 도6에 나타내는 34는, 하부측 암13, 13의 수납 시에 하부측 암13, 13의 상판부13A, 13A의 하면에 접촉하여 위치제한을 함과 아울러 접촉 시의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체(고무)로서, 이 탄성체34는, 전후 한 쌍의 돌기부3a, 3a 사이에 고정된 후술하는 브래킷3D를 통하여 부착한 고정부재35의 상단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도9에 나타내는 36은, 상부측 암11, 1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로서, 이 수용부재36은, 하부측 암13, 13에 스크루로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좌우의 상부측 암11, 11의 상단을, 상기 상단 지지부재4의 좌우 양단부(그 주변이면 양단부에서 조금 중앙 측으로의 부위이어도 좋다)에 좌우방향에서 볼 때에 중복하지 않도록 전후로 위치를 비켜 놓을 수 있는 상태에서 피벗 지지 연결하고, 상기 좌우의 하부측 암13, 13의 하단을, 상기 케이싱의 좌우 양단에 가까운 장소에 부착한 브래킷3E, 3E(그 주변이면 양단부에서 조금 중앙 측으로의 부위이어도 좋다)에 좌우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전후로 암의 위치를 비켜 놓을 수 있는 상태에서 피벗 지지 연결하고, 상기 좌우의 상부측 암11, 11의 하단과 상기 좌우의 하부측 암13, 13의 상단을 외부에서 삽입 가능한 보강용의 연결부재15, 15를 통하여 동일한 측 상호간을 피벗 지지 연결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상기 링크 기구5를 구성하고 있다.
도2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의 하부측 암13, 13 각각에 전후 한 쌍의 분할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부재25 2개를 부착하고, 그들 좌우의 슬라이드 부재25, 25를 전후방향에서 또한 좌우방향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하의 수선S에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있어, 좌우의 링크 기구5, 5를 부드럽고 또한 안정되게 신축작동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25를 부착함으로써 스크린1의 상단위치를 제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는, 하부측 암13, 13에 슬라이드 부재25, 25를 부착하고 있지만, 상부측 암11, 11에 슬라이드 부재를 부착하여도 좋고, 도13∼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부측 암13, 13 및 상부측 암11, 11의 양방에 슬라이드 부재25, 25, 26, 26을 부착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좌우의 상부측 암11, 11 사이 및 상기 좌우의 하부측 암13, 13 사이에 발생하는 전후의 불균형 등에 의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3 및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방에 위치하는 슬 라이드 부재26을 구성하는 상기 일방의 분할 케이스는, 상기 상부측 암11의 외주의 반 정도보다 조금 좁은 부분을 덮는 대략 ㄷ자 모양의 케이스 본체26A와, 이 케이스 본체26A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결판부26B로 이루어지고, 또 나머지의 분할 케이스는, 상기 상부측 암11의 나머지의 외주의 반 정도보다 조금 좁은 부분을 덮는 대략 ㄷ자 모양의 케이스 본체27A와, 이 케이스 본체27A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결판부27B로 이루어지고, 2개의 케이스 본체26A, 27A를 포갬과 아울러 포개진 연결판부26B, 27B를 한 쌍의 스크루28, 28에 의하여 연결하여 고정하고 있지만, 결합기구나 접착제 등에 의하여 일체화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일방의 케이스 본체26A의 연결판부26B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부에, 양쪽 슬라이드 부재26, 26을 상대회전이 자유롭도록 피벗 지지 연결하기 위한 핀29를 지지시키고 있다. 여기에서는, 핀29를 사용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26, 26의 상대회전을 마찰이 적은 상태로 할 수 있지만, 핀29 이외의 것이라도 좋다. 따라서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핀29를 통하여 회전하도록 피벗 지지 연결된 슬라이드 부재26, 26을 상부측 암11, 11에 슬라이드 하도록 외부에서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크린1을 사용자세로부터 수납자세로 전환할 때에 상부측 암11, 11이 임의의 높이(위치)에서 항상 좌우대칭이 되는 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26, 26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좌우의 링크 기구5, 5를 항상 부드럽고 또한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부측 암11, 11이 수납자세가 되는 수평자세의 상태가 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26, 26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자유상태가 되지만, 상기 슬라이드 부재26, 26이 상부측 암11, 11에 구비된 돌기부30, 30(도14 참조)에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26, 26의 이동이 저지되어, 그 위치(수선S 상)에서 슬라이드 부재26, 26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돌기부30, 30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26, 26의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수납자세로부터 사용자세로 스크린1을 전환하는 경우에, 슬라이드 부재26, 26을 소정의 위치(수선S 상)에 이동시키지 않고 즉시 자세변경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돌기부30, 30을 생략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돌기부30, 30을 고무 등의 탄성재로 구성하고, 폐쇄자세의 상단 지지부재4에 어떠한 원인에서 하중이 가하여졌을 때에, 상부측 암11, 11의 상면에 구비된 돌기부30, 30에 의하여 상단 지지부재4를 수용함으로써 돌기부30, 30이 쿠션재(cushion材)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하방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부재25를 구성하는 상기 일방의 분할 케이스는, 상기 하부측 암13의 외주의 대략 반 정도와 하방의 개구부의 대략 반 정도를 덮는 대략 ㄷ자 모양의 케이스 본체30A와, 이 케이스 본체30A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결판부30B로 이루어지고, 또 나머지의 분할 케이스는, 상기 하부측 암13의 나머지의 외주의 대략 반 정도와 개구부의 대략 반 정도를 덮는 ㄷ자 모양의 케이스 본체31A와, 이 케이스 본체31A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결판부31B로 이루어지고, 2개의 케이스 본체30A, 31A를 포갬과 아울러 포개진 연결판부30B, 31B를 한 쌍의 스크루32, 32에 의하여 연결 고정하고 있지만, 결합기구나 접착제 등에 의하여 일체화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일방의 케이스 본체30A의 연결판부30B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부에, 양쪽 슬라이드 부재25, 25를 상대회전이 자유롭도록 피벗 지지 연결하기 위한 핀33을 지지시키고 있다. 여기에서는, 핀33을 사용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25, 25의 상대회전을 마찰이 적은 상태에서 할 수 있지만, 핀33 이외의 것이라도 좋다. 따라서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핀33을 통하여 회전하도록 피벗 지지 연결된 슬라이드 부재25, 25를 하부측 암13, 13에 슬라이드 하도록 외부에서 삽입, 고정함으로써 스크린1을 사용자세로부터 수납자세로 전환할 때에, 하부측 암13, 13이 임의의 높이(위치)에서 항상 좌우대칭이 되는 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25, 25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좌우의 링크 기구5, 5를 항상 부드럽고 또한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부측 암13, 13이 수납자세가 되는 수평자세의 상태가 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25, 25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자유상태가 되지만, 상기 슬라이드 부재25, 25가 가스 스프링16, 16의 상단의 대략 ㄷ자 모양의 스토퍼 부재로서의 부착부재8, 8(도면에서는 일방 만을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에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25, 25의 이동이 저지되어, 그 위치(수선S 상)에 슬라이드 부재25, 25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부착부재8, 8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25, 25의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수납자세로부터 사용자세로 스크린1을 전환하는 경우에, 슬라이드 부재25, 25를 소정의 위치(수선S 상)로 이동시키지 않고 즉시 자세변경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부착부재8, 8을 생략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 부착부재8, 8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25, 25의 스토퍼 부재(위치제한부재)를 겸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부재의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다른 부재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스크루를 대신하여 상기 핀29, 33을, 슬라이드 부재25, 25 또는 26, 26의 전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크린1의 전후방향의 상승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스크린2를 세워서 전개시킨 상태로부터 케이싱3 내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단 지지부재4를 쥐고 잡아당김으로써 링크 기구5, 5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상부측 암11, 11 및 하부측 암13, 13이 수평자세가 되도록 쓰러져 가면, 슬라이드 부재25, 25, 26, 26이 상부측 암11, 11 및 하부측 암13, 13의 회전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15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선S를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부측 암11, 11 및 하부측 암13, 13이 슬라이드 부재25, 25, 26, 26에 의하여 동일한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스크린1을 잡아당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스크린2를 수납상태로부터 세우는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부재25, 25, 26, 26이 상부측 암11, 11 및 하부측 암13, 13을 슬라이드(이동)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선S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측 암11, 11 및 하부측 암13, 13이 슬라이드 부재25, 25, 26, 26에 의하여 동일한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스크린1을 세울 수 있다.
도2∼도4,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측 암13, 13을 상방으로 가압(이동시키거나 밀기 위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으로서의 가스 스프링(다른 구성의 것이라도 좋다)16, 16을, 하부측 암13, 13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에 부착한 부착부재8, 8과 상기 전후 한 쌍의 돌기부3a, 3a 사이의 특정의 두 곳(상기 브래킷3E, 3E보다 케이싱의 중앙부에 가까운 장소)에 고정된 브래킷3D, 3D의 사이에 각각 부착하고, 스크린1의 하강이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임의의 높이(위치)에서 스크린1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측 암13, 13의 하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납상태에서 상기 하부측 암13, 13의 내측의 공간13K, 13K에 상기 가스 스프링16, 16이 삽입되어 수평방향 시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암13, 13의 종판부13B, 13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것이 없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가스 스프링16, 16 전체가 하부측 암13, 13의 내측의 공간13K, 13K에 삽입됨으로써 케이싱3 내의 상하방향의 스페이스가 작게 되도록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이 되어 바람직하지만, 가스 스프링16, 16의 일부 만이 하부측 암13, 13의 내측의 공간13K, 13K에 삽입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상기 수납상태에 있어서 가스 스프링16, 16의 가압방향(하부측 암13, 13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이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도록 가스 스프링16, 16을 앞으로 기울어지는 경사자세로 배치하고 있지만, 수평방향으로 배치하 더라도 좋다. 이렇게 가스 스프링16, 16을 앞으로 기울어지는 경사자세로 배치함으로써, 상단 지지부재4를 닫히는 측으로 가압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단 지지부재4가 예기치 않게 상방으로 이동하여 스크린1을 세운다고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가스 스프링16, 16의 고정측 기단부16B를 하부측 암13, 13에 부착하고, 가동측(신축측) 선단부16A를 브래킷3D에 부착하고 있지만, 반대로 부착하여도 좋다. 가압수단으로서 가스 스프링16, 16을 사용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나, 유체압 실린더나 코일 스프링 등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 스프링16, 16 전체가 하부측 암13, 13의 내측의 공간13K, 13K에 삽입됨으로써 케이싱3의 상하방향의 스페이스가 작도록 억제할 수 있고,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4개의 암11, 11, 13, 13과 가스 스프링16, 16을 케이싱3의 뒤쪽 스페이스에 배치하고 케이싱3의 앞측의 스페이스에 스크린1을 감아서 수납했을 때에, 상하 높이를 전후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할 수 있고, 케이싱3의 중심을 낮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치수보다 전후 치수가 큰 안정성이 좋은 케이싱3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7을 착지부로서 이용함으로써 세워진 스크린1이 쓰러지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laims (4)

  1. 스크린(screen)을 감기 위한 권취부재(卷取部材)를 베이스 부재(base 部材)에 부착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단(上端)이 연결된 상단 지지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부측 암과 하부측 암이 피벗 지지(pivot 支持) 연결되어서 대략 X자 모양 또는 대략 다이아몬드형 모양으로 구성된 신축식(伸縮式)의 링크 기구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하부측 암을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상기 하부측 암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측 암과 상기 하부측 암이 상하방향에서 겹쳐진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암을, 그 하면이 개방되어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모양 또는 대략 역L자 모양으로 구성하고,
    상기 수납상태에서 상기 하부측 암의 내측의 공간에 상기 가압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압수단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승강 스크린(自立式昇降screen).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암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방향이 비 스듬한 하방이 되도록 상기 가압수단을 앞으로 기울어지는 경사자세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자립식 승강 스크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가스 스프링(gas spring)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승강 스크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식의 링크 기구를 대략 X자 모양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 좌우폭 방향 좌측에 배치된 상부측 암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하부측 암의 피벗 지지 연결부를 상기 상단 지지부재의 좌우 중심부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스크린 좌우폭 방향 우측에 배치된 상부측 암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 하부측 암의 피벗 지지 연결부를 상기 상단 지지부재의 좌우 중심부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하고,
    상기 좌우의 상부측 암 및 상기 좌우의 하부측 암 중의 적어도 일방에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를 부착하고,
    그들 좌우의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스크린의 상기 스크린 좌우폭 방향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상하의 수선(垂線) 상에서 상대회전이 자유롭도 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자립식 승강 스크린.
KR1020077016403A 2005-02-10 2006-02-06 자립식 승강 스크린 KR20070101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33749 2005-02-10
JPJP-P-2005-00033749 2005-02-10
JP2005267048A JP4581935B2 (ja) 2005-02-10 2005-09-14 自立式昇降スクリーン
JPJP-P-2005-00267048 2005-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278A true KR20070101278A (ko) 2007-10-16

Family

ID=3679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403A KR20070101278A (ko) 2005-02-10 2006-02-06 자립식 승강 스크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50174A1 (ko)
JP (1) JP4581935B2 (ko)
KR (1) KR20070101278A (ko)
TW (1) TW200643600A (ko)
WO (1) WO2006085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63948A3 (en) * 2007-05-09 2011-11-23 Bright Supply Corporation Retractable frame of projection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848U (ja) * 1992-05-29 1993-12-2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スライドアップスクリーン
JPH063746A (ja) * 1992-06-22 1994-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昇降スクリーン装置
JP3411515B2 (ja) * 1998-08-20 2003-06-03 泉株式会社 可搬式スクリーン
JP4141864B2 (ja) * 2002-05-23 2008-08-27 株式会社オーエス 自立式手動昇降スクリ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51756A (ja) 2006-09-21
TW200643600A (en) 2006-12-16
EP1850174A1 (en) 2007-10-31
WO2006085504A1 (ja) 2006-08-17
JP4581935B2 (ja)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521B1 (ko)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WO2011059058A1 (ja) 天板付き家具
KR20110016908A (ko)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신축 지주 및 조작도구
JP2021507146A (ja) 展開可能な装置、特に踏み台
JP5694750B2 (ja) 作業台及び作業台用ブリッジ足場板
KR20070101278A (ko) 자립식 승강 스크린
JP5713447B2 (ja) 物品積載装置
KR20070103739A (ko) 자립식 승강 스크린
KR102473307B1 (ko) 상판 접이식 책상
JP4068133B2 (ja) 可搬式スクリーン装置
KR102349796B1 (ko) 체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블
JP5568107B2 (ja) 避難器具
JP3582031B2 (ja) 折畳みテーブル
JP2006081810A (ja) スクリーン付家具
JP6080623B2 (ja) 可搬式作業台
JP2014125130A (ja) 車両用昇降装置におけるプラットホームの延長装置
JP2012121335A (ja) スライド式拡張ハウス
JP2024063968A (ja) 昇降台車
JP2004171959A (ja) 昇降家具の操作スイッチ装置
JP2003275034A (ja) 折り畳みテーブル
JP6905439B2 (ja) 什器
JP2001070062A (ja) 昇降ユニット
JP3601433B2 (ja) 車両用リフトテーブル
JP3083590U (ja) 折畳みカウンター
JP2000118650A (ja) 設置物の移動用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