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113A - 전자 회의 지원 방법 및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회의 지원 방법 및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113A
KR20070101113A KR1020070003314A KR20070003314A KR20070101113A KR 20070101113 A KR20070101113 A KR 20070101113A KR 1020070003314 A KR1020070003314 A KR 1020070003314A KR 20070003314 A KR20070003314 A KR 20070003314A KR 20070101113 A KR20070101113 A KR 2007010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ipant
conference
data
information
mee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297B1 (ko
Inventor
에리코 다마루
모토유키 다카아이
유이치 우에노
히토시 아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 H04M2203/6045Identity confi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 장치는 복수의 회의 실시 공간 내에 있는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참가 상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수단과, 입력된 참가 상태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각 참가자가 회의에 참가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의 정도를 나타내는 불리도를 산출하는 불리도 산출 처리 수단과, 상기 불리도 산출 처리 수단이 구한 각 참가자의 불리도를 출력하는 불리도 출력 처리 수단을 갖는다.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 불리도 산출 처리부, 회의 서버

Description

전자 회의 지원 방법 및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 장치{ELECTRONIC CONFERENCE ASSISTANCE METHOD,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 ELECTRONIC CONFERENC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회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원격 회의의 실시예의 개략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 회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에서의 불리도를 산출하여, 표시하기까지의 호스트 회의 서버에서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IC 카드 리더에서 이송되어 온 IC 카드의 판독 데이터로부터 참가 상태를 추출할 때까지 이용되는 데이터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a)는 참가 상태 데이터, (b)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의 일부, (c)는 회의 설비에 관한 정보의 일부, (d)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의 다른 일부, (e)는 추출한 참가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에서 이송되어 온 촬영 데이터로부터 참가 상태를 추출하기까지 이용되는 데이터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로부터 참가 상태를 추출하기까지 이용되는 데이터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액션으로부터 참가 상태를 추출하기까지 이용되는 데이터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a)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 (b)는 이벤트 로그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8의 (a)는 본 실시예에서의 불리도 표시 정보를 화면 표시할 때의 표시 속성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의 (b)는 본 실시예에서의 불리도 표시 정보를 화면 표시했을 때의 표시 내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서의 불리도 표시 정보를 화면 표시했을 때의 다른 표시 내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의 불리도 표시 정보를 화면 표시했을 때의 다른 표시 내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 : 회의실 4 : 개인 오피스
5 : 외출처 6 : 네트워크
10, 30 : 회의 서버 11, 31 :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
12, 32, 42 : 카메라 13, 53 :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
14 : 상태 데이터 수신부 15 :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
16 : 불리도 정보 생성 처리부 17, 55 : 표시 제어부
18, 56 : 회의 제어부 19 : 불리도 판정 정보 유지부
20 : 불리도 산출 처리부 21 : 랭크 부여 처리부
41 : 정보 단말 장치 50 : 원격지 단말
51 : 휴대 전화
본 발명은 전자 회의 지원 방법 및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표시와 기입이 가능한 대형의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회의 시스템이 있다.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는 통상, 회의실에 있는 회의 참가자 전원으로부터 보이는 위치이고, 또한 기입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 전자 회의 시스템을 이용하면, 회의 참가자가 착석한 채로 회의에 참가하는데 그치지 않고, 회의 참가자가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의 주위에 모여서, 회의 중에 도 출된 아이디어 등을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에 기입하면서 논의를 행한다는 회의 스타일도 가능하게 되었다.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에 기입한 내용은 그대로 화면 이미지로서 보존할 수 있으므로, 회의의 효율화라는 점에서도 전자 회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기업은 늘어나는 경향에 있다.
또한, 회의에의 참가 형태는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를 설치한 회의실에 반드시 전원이 집합할 필요는 없으며, 타거점의 회의실에 설치된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접속하여 원격 회의라는 회의 형태의 실현에 의해 원격지에서라도 참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출장처에 있는 회의 참가 예정자가 휴대하는 퍼스널 컴퓨터(PC)를 전자 회의 시스템에 네트워크 접속함으로써, 그 회의 참가 예정자는 임의의 장소에서라도 전자 회의에 참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를 전자 회의 시스템에 회선 접속함으로써, 음성으로만 회의에의 참가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자 회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착석한 상태에서 논의한다는 종전부터 있는 일반적인 회의 스타일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회의에 참가할 수 있게 되어 왔다.
그런데, 메인이 되는 거점의 장치에, 타거점에 있는 회의 참가자가 사용하는 장치를 네트워크 접속해서 행하는 원격 회의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카메라 등으로 회의실 내, 특히 발언자를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타거점에 송신하고, 타거점에 있는 회의 참가자는 그 영상을 보면서 비춰진 발언자를 향해서 발언을 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회의의 진행 등을 행하는 사회자는 원격지간에서 논의가 행해질 때, 각 거점의 영상을 참조하여, 회의에의 참가자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참가자에 대해서 의견을 구하거나, 발언을 촉구하거나 한다.
또한, 회의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파악하면서 행하는 회의를 지원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0-20023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4-11026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5-124160호 공보
단, 착석한 상태에서 논의를 행하는 일반적인 회의 스타일이면, 예를 들면, 촬상 데이터의 해석 등에 의해서, 참가자의 특정, 각 참가자의 상황 등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기입을 행하기 위해서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까지 이동하는 등 회의 중에 장소를 이동하면서 행하는 회의 스타일에서는, 참가자의 참가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는 없다. 사회자가 있는 회의실을 호스트 회의실이라고 호칭하기로 하면, 호스트 회의실에 있는 어느 회의 참가자가 카메라의 촬영 범위 외까지 이동하면, 타거점의 참가자는 그 회의 참가자의 존재나, 또는 발언자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그 회의 참가자를 향해서 발언하는 타이밍을 찾아내는 것이 곤란해져 버린다. 또한, 영상에 비치고 있지 않아도 의논 상대로 하고 싶은 회의 참가자의 이름에 의해 호명 등을 하면, 그 회의 참가자의 존재를 확인하여, 논의를 행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 호명 자체는 논의와는 관계가 없는 발언으로서 회의의 원활한 진행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또한, 호스트 회의실에 없는 참가자(이하, 「원격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정도는 호스트 회의실에 있는 참가자와 비교하면, 호스트 회의실 내의 상황이나 분위기를 영상이나 음성 등의 데이터로밖에 파악할 수 없으므로, 그만큼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에 있지만, 종래에서는, 원격 참가자의 참가 정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사회자가 원격 참가자에 대해서 발언을 구하거나, 부여하거나 할 계기를 만들 수 없는 등, 원격 참가자를 논의에서 방치되어 버리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떨어진 장소에 있는 사람을 포함하는 회의 멤버에 의해서 행해지는 전자 회의의 진행의 원활 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 장치는 복수의 회의 실시 공간 내에 있는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참가 상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수단과, 입력된 참가 상태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각 참가자가 회의에 참가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의 정도를 나타내는 불리도를 산출하는 불리도 산출 처리 수단과, 상기 불리도 산출 처리 수단이 구한 각 참가자의 불리도를 출력하는 불리도 출력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컴퓨터를, 복수의 회의 실시 공간 내에 있는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참가 상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수단, 입력된 참가 상태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각 참가자가 회의에 참가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의 정도를 나타내는 불리도를 산출하는 불리도 산출 처리 수단, 상기 불리도 산출 처리 수단이 구한 각 참가자의 불리도를 출력하는 불리도 출력 처리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전자 회의 지원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상기 불리도 출력 처리 수단은 불리도를 랭크 부여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각 참가자의 불리도를 랭크 구분함으로써, 각 참가자의 불리도의 랭크를 식별 가능하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은 상기 컴퓨터에 입력되는, 각 회의 실시 공간 에 설치된 기기 설치 상황 데이터, 상기 컴퓨터와 상기 회의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회선 품질 데이터, 회의 실시 공간에 설치된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회의 실시 공간의 촬상 데이터, 각 참가자가 휴대하는 참가자 식별 코드 기억 수단으로부터 제 1 센서 수단이 판독한 참가자 식별 코드 데이터, 각 참가자가 휴대하는 참가자 식별 코드 기억 수단으로부터 제 2 센서 수단이 판독한 참가자 식별 코드 데이터 및 참가자 위치 특정 데이터, 회의 실시 공간에 설치된 음성 입력 수단에 의해 수집된 음성 데이터, 또는 참가자가 상기 정보 단말 장치에 입력한 입력 데이터 중 적어도 1개의 데이터를 참가 상태 데이터로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회의 지원 방법은 복수의 회의 실시 공간 내에 각각 있는 1 내지 복수의 참가자가 상기 회의 실시 공간에 설치된 통신 기능 탑재의 정보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행하는 전자 회의를 지원하는 전자 회의 시스템에 포함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시되고,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참가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스텝과, 상기 수집 스텝에 의해 수집된 참가 상태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각 참가자가 회의에 참가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의 정도를 나타내는 불리도를 산출하는 불리도 산출 스텝과, 상기 불리도 산출 처리 스텝에 의해 산출된 각 참가자의 불리도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불리도 출력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회의 실시 공간, 즉 떨어진 장소에 각각 있는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해석함으로써 각 참가자가 회의에 참가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의 정도를 나타내는 불리도를 산출하여,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황을, 회의의 진행 등을 행하는 사회자 등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회자들은 불리도에 관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각 참가자의 참가 상황에 따라 발언의 기회를 부여하는 등 적절한 지시 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전자 회의의 충실화와 진행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회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원격 회의의 실시예의 개략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서는, 회의의 메인 거점이 되는 회의실(1)과, 타거점의 회의실(3)과, 회의 멤버의 자택이나 새틀라이트 오피스(satellite office) 등의 개인 오피스(4)와, 회의 멤버의 외출처(5)를 네트워크(6)를 통하여 접속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회의실이 전자 회의를 실시하기 위한 회의 실시 공간에 해당하지만, 네트워크(6)를 통해서 회의 멤버가 사용하는 정보 기기를 전자 회의 시스템에 접속함으로써, 외출처(5) 등의 임의의 장소도 회의 실시 공간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의의 진행 등을 행하는 사회자가 있기 때문에 회의실(1)에 메인 회의실이라는 위치를 부여한다. 메인이 되는 회의실(1)에는, 회의 서버(10)와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와 카메라(12)가 설치되어 있다.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는 회의실 전체에서 보이는 위치로서 회의 참가자에 의해 기입이 가능한 기기이다. 카메라(12)는 회의실(1) 내를 촬영한다. 회의 서버(10)는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 및 카메라(12)를 접속하여, 각 기기(11, 12)로부터의 입력 등에 따라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의 표시 제어를 행하면서 회의실(1)에서의 회의의 제어를 행하는 동시 에, 시스템 전체에서의 전자 회의의 전체 제어를 행한다. 타거점의 회의실(3)에는, 회의 서버(30)와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31)와 카메라(32)가 설치되어 있다. 회의실(3)에 설치되는 장치는 기본적으로는 회의실(1)과 동일해도 되지만, 사회자가 없기 때문에 회의 서버(30)에는 회의의 전체 제어를 실시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타거점이라고 하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지를 상정하고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메인 회의실(1)과는 다른 회의실이면 반드시 원격지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회의실(2)은 회의실(1)과 동일한 건물 내에 있어도 좋다. 또한, 회의 서버(10, 30)는 전자 회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타거점의 서버나 회의실 내에 설치되는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 등과 접속되어, 각 회의실(1, 3)에서의 회의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으면 되므로, 반드시 회의실(1, 3) 중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개인 오피스(4)에는, 정보 단말 장치(41)와 카메라(42)가 설치된다. 카메라(42)는 상기 회의 멤버를 촬영한다. 정보 단말 장치(41)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 회의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전자 회의 지원 프로그램이 탑재된 퍼스널 컴퓨터(PC)로 실현되어, 회의 서버(10)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외출처(5)에는, 회의 멤버가 사용하는 휴대 전화(51)가 있다.
또한, 정보 관리 서버(7)는 회의 멤버가 되는 각 사용자에 관한 정보,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회의체에 관한 정보, 회의에서 사용하는 회의 자료 등의 전자 데이터 등 전자 회의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 회의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유지 관리한다. 실제로는,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복수의 서버로 실현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정보의 관리에 관해서는 요지가 아니기 때문 에, 편의적으로 1대의 서버로 도시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 회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낸 호스트 회의 서버(10)는 도 1에서 사회자가 참가하고 있는 회의실(1)에 설치된 회의 서버(10)에 상당하는 서버 컴퓨터이다. 원격지 단말(50)은 회의실(1) 이외의 각 회의 실시 공간에 있는 정보 단말 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낸 회의 서버(30), 정보 단말 장치(41) 및 휴대 전화(51)가 이것에 해당한다. 회의 서버(30), 정보 단말 장치(41) 및 휴대 전화(51)는 장치 규모나 사용 환경에 따라서 참가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기의 접속 상태가 달라지지만, 후술하는 처리,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전자 회의 지원 프로그램이 각각 탑재되어 있는 점에서 공통된다. 따라서, 회의 서버(30), 정보 단말 장치(41) 및 휴대 전화(51)에 공통으로 갖는 처리 기능을, 도 2에서는 원격지 단말(50)에 갖게 하여 1대만 나타냈다.
호스트 회의 서버(10)는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13), 상태 데이터 수신부(14),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 불리도 정보 생성 처리부(16), 표시 제어부(17), 회의 제어부(18) 및 불리도 판정 정보 유지부(19)를 갖고 있다.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13)는 호스트 회의 서버(10)에 접속된 각종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참가 상태 데이터를 수집한다. 참가 상태 데이터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단적으로 말하면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파악하는 지표가 될 수 있는 데이터이다.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13)가 회의실(1)에 있는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참가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원격지 단말(50)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원격지에 있는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참가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상태 데이터 수신부(14)는 원격지 단말(50)에서 수집된 참가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는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13) 및 상태 데이터 수신부(14)에 의해 수집된 참가 상태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참가 상태 데이터로부터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추출한다. 불리도 정보 생성 처리부(16)는 불리도 판정 정보 유지부(19)에 설정되어 있는 계산식이나 기준값을 기준으로 하여, 추출된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해석함으로써 각 참가자의 불리도를 구하고, 그 불리도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한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불리도 정보 생성 처리부(16)에 포함되는 불리도 산출 처리부(20)는 각 참가자가 회의에 참가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의 정도를 나타내는 불리도를 산출한다. 또한, 랭크 부여 처리부(21)는 불리도 산출 처리부(20)가 산출한 각 참가자의 불리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할당함으로써 각 참가자에게 랭크를 부여한다. 표시 제어부(17)는 기본적으로는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의 표시 제어를 행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불리도 정보 생성 처리부(16)가 생성한 불리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회의 제어부(18)는 상술한 각 구성 요소(13∼17)의 동작 제어를 행함으로써 호스트 회의 서버(10)에서의 제어 및 원격지 단말(50)의 회의 제어부와 제휴 동작하면서 회의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불리도 판정 정보 유지부(19)는 산출식이나 랭크 부여를 행하는 기준값 등 불리도를 산출하고, 또한 표시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유지한다. 불리도 판정 정보 유지부(19)는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서 갱신 가능하게 각종 정보를 유지한다.
호스트 회의 서버(10)의 상기 각 수단(13∼18)에서의 처리 기능은 호스트 회의 서버(10)를 구축하는 컴퓨터와, 그 컴퓨터 탑재의 CPU에서 동작하는 전자 회의 지원 프로그램과의 협조 동작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불리도 판정 정보 유지부(19)는 HDD 등의 외부 기억 장치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물론, 불리도 판정 정보 유지부(19)는 반드시 호스트 회의 서버(10)에 구비해 둘 필요는 없고, 네트워크 경유로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에 구비해 두고, 필요할 때에 필요한 정보를 판독 및 기입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한편, 원격지 단말(50)은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53), 상태 데이터 송신부(54), 표시 제어부(55) 및 회의 제어부(56)를 갖고 있다.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53)는 원격지 단말(50)에 접속된 각종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참가 상태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태 데이터 송신부(54)는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53)에 의해 수집된 참가 상태 데이터를 호스트 회의 서버(10)에 송신한다. 원격지 단말(50)은 호스트 회의 서버(1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온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 표시된 화면 이미지를 표시 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회의 참가자도 호스트 회의실에 있는 회의 참가자와 동일한 화면 이미지를 참조하면서 회의에 참가하게 되지만, 표시 제어부(17)는 그 다운로드되어 온 화면 이미지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원격지 단말(50)이 회의 서버(30)이면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의 표시 제어를, 정보 단말 장치(41)이면 PC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를 각각 행한다. 또한, 휴대 전화(51)이면 휴대 전화의 디스플레이에의 표시 제어는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와 동일한 레벨에서의 리얼 타임 표시는 현실적으로는 곤란하므로, 정기 적인 정지 화상의 표시 등에 머문다. 회의 제어부(56)는 상술한 각 구성 요소(53∼55)의 동작 제어를 행함으로써 원격지 단말(50)에서의 회의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하는데 있어서 정보 관리 서버(7) 등 불리도 판정 정보 유지부(19)가 유지하는 데이터 이외도 필요에 따라서 액세스하게 되지만, 이들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동작의 설명과 함께 설명한다.
본원에서 전자 회의 시스템이라고 하는 것은, 회의 서버(10, 30)나 정보 단말 장치(41) 등의 컴퓨터나 네트워크 기능이 부여된 정보 단말 기기를 이용하면서 행해지는 회의를 총칭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예를 들면, 전자 회의 시스템으로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후지 제록스사제의 InteractiveWall(등록 상표)에, 후술하는 처리 기능을 일체로 구성해서 실시하기에 적합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겠는데, 우선 전자 회의 시스템을 이용한 회의의 기본적인 흐름에 관하여 설명하고, 그 후에 본 실시예에서 특징적인 불리도에 관련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회의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서인데, 회의에 참가 예정인 각 사용자는 자기 소유의 IC 카드를 도시하지 않은 IC 카드 리더에 판독시키거나 하여, 전자 회의 시스템에 로그인해서 회의에 참가하는 멤버로서 등록한다. 이에 따라, 정보 관리 서버(7)에서 유지 관리되고 있는 사용자 개인, 사용자가 속하는 회의체, 회의실 등 앞으로 실시될 회의에 관련되는 정보가 갱신된다.
회의가 개시되면, 사회자는 호스트 회의 서버(10)를 이용하면서 회의를 진행하게 된다. 각 회의 제어부(18, 56)의 제휴 동작에 의해 호스트 회의 서버(10)의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 표시된 화면 이미지는 각 원격지 단말(50)의 각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또한,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 표시되는 화면 이미지가 변경되면, 그 변경된 화면 이미지에 의해서 각 원격지 단말(50)의 각 표시 수단의 표시 내용은 리얼 타임으로 갱신된다.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 표시되는 화면 이미지는 발표자가 준비한 회의 자료 데이터나, 카메라(12)에 의한 촬상 데이터 등이다. 표시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는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 전환하여 표시시키거나, 화면 분할에 의해 동시에 표시되거나 한다. 또한, 회의 참가자의 발언은 각 거점에 있는 마이크로 집음(集音)되어, 스피커에서 음성 출력됨으로써 거점간에서의 회화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각지에서 영상이나 음성을 공유할 수 있어, 원격 회의를 행할 수 있다. 물론, 외출처 등 동화상을 배열 송신할 수 있는 기기가 없는 회의 실시 공간이나, 음성만 들을 수 있는 회의 실시 공간으로부터의 회의의 참가도 있을 수 있으므로, 그 거점에 있는 사용자는 그러한 상태로 회의에 참가하게 된다.
이상이 전자 회의의 기본적인 흐름인데, 이 회의를 행하는 전자 회의 시스템의 동작은 종전부터 있는 기능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각 참가자의 불리도를 산출, 표시하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불리도」라고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고려할 수 있다. 회의에 참가하는 각 사용자는 모두 동일한 환경하에서 회의에 참가할 수 있다 고는 한정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의실 내에서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를 참조할 수 있는 사용자도 있거니와, 외출처로부터 음성만으로 참가하는 사용자도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회의에 참가하고 있는 사용자간에, 회의에 참가하고 있는 상태가 달라진다. 상기 예에 의하면, 회의에의 참가 상태로서, 외출처로부터 휴대 전화를 이용해서 음성만으로 참가하고 있는 사용자는 회의실(1)에 있는 사용자와 비교하면 좋지 않은 환경에서 회의에 참가하고 있는, 즉 불리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각 참가자가 회의에 참가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수치화한 데이터를 「불리도」라고 호칭하기로 했다. 따라서, 외출처에서 참가하고 있는 사용자는 회의실(1)에 있는 사용자보다 「불리도」는 커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칙적으로, 「불리도」를 참가자마다 산출하게 되지만, 호스트 회의 서버(10)에서 「불리도」를 산출할 때에 사용하는 원(元) 데이터로서, 각종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상술한 「참가 상태 데이터」)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참가 상태 데이터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터치 방식의 IC 카드 리더의 판독 데이터」
IC 카드 리더가 회의 참가자가 각각 소유하는 IC 카드를 판독함으로써 수집되는 데이터이다. IC 카드에는, 사용자 ID 등의 개인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이 판독 데이터로부터, 누가, 어느 거점에서 언제 회의에 참가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IC 카드 리더가 좌석마다 배치되어 있으면, 어느 IC 카드 리더에 터치되었는지에 따라서, 사용자의 착석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다.
「무선 방식의 IC 카드 리더의 판독 데이터」
IC 카드 리더(리시버)가 IC 카드가 액티브하게 밀어내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집되는 데이터이다. 이 리시버가 캐치한 데이터로부터, 누가, 언제, 어느 거점의 회의실의 어느 장소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각종 센서에 의한 수집 데이터」
각종 센서에 의해 판독 데이터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무선 방식의 IC 카드 리더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소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광 검출 센서가 IC 카드에 부착된 LED 등의 발광체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ID나 현재 있는 장소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나 테이블 등의 설비에 부착된 LED 등의 발광체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회의 참가자와 각 설비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센서 등으로부터 회의 실시 공간 내의 소음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카메라에 의한 촬상 데이터」
카메라가 회의 실시 공간 내를 촬영함으로써 얻어지는 촬상 데이터이다. 이 촬상 데이터를 안면 인식 처리함으로써 누가 회의실 등의 회의 실시 공간 내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통신 상황 데이터」
도시되어 있지 않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수단이 네트워크를 감시함으로써 수집되는 데이터이다. 이 데이터로부터, 음성 손실의 발생 상황, 데이터의 통신 상황 등 통신처에 정보가 어느 정도 정확하게 전달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서버 등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
예를 들면, 조작 버튼의 누름, 기입 조작, 전자 메일 송신 조작 등을 위해 이루어진 데이터이다. 이 입력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액션을 특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의사 표시를 파악할 수 있다.
정보 취득 처리부(13, 53)는 상술한 정보의 적어도 1개 이상의 데이터를 취득하게 된다. 불리도를 산출할 때에는, 이들 모든 데이터가 필요하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데이터의 종류가 많을수록 산출 결과의 정밀도는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참가 상태 데이터의 출력원이 되는 카메라나 IC 카드 리더 등은 호스트 회의 서버(10) 및 원격지 단말(50)의 각 구성에 의해 달라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능한 범위에서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를 참가 상태 데이터로서 취급하여, 불리도를 산출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의 불리도를 산출하여, 표시하기까지의 호스트 회의 서버(10)에서의 처리를 도 3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스텝 110에서,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13)는 접속된 카메라(12)나 IC 카드 리더(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회의실(1)에 있는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참가 상태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원격지 단말(50)에서도 마찬가지로, 접속된 카메라(12) 등으로부터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53)가 상기 원격지에 있는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참가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상태 데이터 송신부(54)는 그 수집한 데이터를 호스트 회의 서버(10)에 송신한다. 상태 데이터 수신 부(14)는 각 원격지 단말(50)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참가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스텝 120에서,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는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13) 및 상태 데이터 수신부(14)가 수집한 참가 상태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13) 또는 상태 데이터 수신부(14)가 수집한 참가 상태 데이터 및 참가 상태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각 참가자의 참가 상태의 예를 몇가지 나타낸다.
도 4의 (a)는 IC 카드 리더로부터 이송되어 온 참가 상태 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참가 상태 데이터는 판독한 IC 카드의 식별 코드 번호, IC 카드를 판독한 IC 카드 리더의 식별 코드 번호, IC 카드 리더의 상태 및 IC 카드 리더가 최신의 판독 일시 정보가 대응되어 구성된다. 도 4의 (b)는 각 사용자가 갖는 IC 카드의 식별 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대응시킨 사용자에 관한 정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c)는 IC 카드 리더의 식별 코드와 상기 IC 카드 리더의 설치 장소를 대응시킨 회의 설비에 관한 정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d)는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사용자명을 대응시킨 사용자에 관한 정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정보는 정보 관리 서버(7)에 등록되어 있다.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는 정보 관리 서버(7)에 등록된 각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수집된 참가 상태 데이터로부터 특정할 수 있는 참가자의 상태를 추출한다. 이 예에서는, 도 4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나카 이치로」가 나카이로부터 1월 12일 15시 32분 24초에 로그인했다는 참가 상태를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된 촬상 데이터로부터 참가 상태를 추출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에는, 촬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촬영된 참가자의 안면 화상을 추출하는 안면 인식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도 5에는,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시켜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 화상과 특징량 데이터가 대응되어 유지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안면 인식 데이터베이스는 정보 관리 서버(7)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도 4의 (d)와 동일한 내용이다.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는 안면 인식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면서 촬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촬영된 참가자를 특정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회의실(1)에서의 각 참가자의 위치를 특정한다. 이와 같이, 촬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의실(1)에는, 누가 있고, 각 참가자가 어디에 있는가라는 참가 상태를 추출할 수 있다.
도 6은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를 감시, 수집하여 얻어진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는 감시 일시와, 그 때의 통신 손실율을 대응시켜서 구성된다.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는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13)가 수집한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어느 원격지간의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의 좋고 나쁨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원격지에 있는 각 참가자의 통신 상태에 착안한 참가 상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손실율이 클 때의 원격지에 있는 참가자의 참가 상태는 통신 품질상 상대적으로 좋지 않으므로 불리도는 상대적으로 커지고, 한편, 통신 손실율이 작을 때의 참가 상태는 통신 품질상 상대적으로 좋으므로 불리도는 상대적으로 작아진다고 고려된 다.
도 7의 (a), (b)는 사용자 액션으로부터 참가자의 참가 상태를 추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도면이다.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는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13)가 수집한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의 기입 조작이나 입력 수단을 사용한 사용자 입력 조작, 또는 상태 데이터 수신부(14)가 수집한 외부 정보 기기와의 회선 접속이나 접속 후의 원격지 단말(50)에서의 사용자 입력 조작을 수집하고, 그들의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발생한 이벤트를 특정한다. 도 7의 (a)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행해지는 이벤트의 이벤트 ID와 이벤트명이 대응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정보 관리 서버(7)에 등록되어 있다.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는 입력된 사용자 액션을 받아들이면, 입력된 사용자 액션을 특정하는 이벤트 ID와,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비교·대조함으로써 그 사용자 액션을 특정하고, 이것을 이벤트 로그 정보로서 기록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액션을 해석함으로써,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의 참가자가 어떠한 액션을 일으켰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b)에 나타낸 이벤트 로그의 예에 의하면, 사용자 ID “012”의 사용자는 휴대 전화(51)를 호스트 회의 서버(1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송신한 후 접속을 해제하고, 한편, 호스트 회의 서버(10)에서는, 사용자 ID “005”의 사용자가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했다는 각 참가자의 이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ID “012”의 참가자는 휴대 전화(51)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회의 서버(10, 30)를 사용하는 참가자보다 설비가 열등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불리도는 상대적 으로 커진다. 또한, 네트워크 경유로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이므로, 통신 품질을 고려하면 호스트 회의 서버(10)를 사용하는 참가자보다 불리도는 상대적으로 커진다고 고려된다.
이상과 같이,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는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13) 또는 상태 데이터 수신부(14)가 수집한 참가 상태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각 참가자의 참가 상태를 추출할 수 있다.
스텝 130에서, 불리도 정보 생성 처리부(16)에서의 불리도 산출 처리부(20)는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에 의해 추출된 각 참가자의 참가 상태에 의거하여 각 참가자의 불리도를 산출한다. 도 8∼도 10은 표시 제어부(17)가 불리도 정보 생성 처리부(16)에 의해 생성된 불리도 정보를 화면 표시했을 때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인데, 산출할 불리도가 어떠한 지표 데이터인지를 파악하기 쉽도록, 간단하게 이 표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태 데이터 취득 처리부(13) 또는 상태 데이터 수신부(14)에 의해 각종 참가 상태 데이터가 수집되므로,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는 참가자 각각에 대해서 복수의 참가 상태를 추출하게 된다. 이 참가 상태를 나타내는 항목을 「속성」이라고 호칭하기로 하면, 각 참가자에 대해서 복수의 속성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8의 (a)에 나타낸 예에서는, 복수의 속성 중에서 속성 1, 4, 6이 사회자에 의해 선택되고, 그 선택된 각 속성값이 참가자마다 대응시켜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b)에 의하면, B씨는 타거점의 “지구 B”에 있기 때문에 불리도 랭크는 “2”이고, 회의에 참가하고 있기 때문에 불리도 랭크 는 “3”이고, 발언하고 나서 그다지 시간이 경과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불리도 랭크는 “2”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이 불리도를 속성마다 상세하게 표시한 예인 것에 대해서, 도 9는 참가자마다 랭크 부여를 하여 표시한 예이다. 즉, 어느 참가자에 대해서 속성 1의 불리도 랭크는 “1”이고, 속성 1의 불리도 랭크는 “3”이라는 식으로 속성값은 속성에 따라서 분산될 가능성이 있지만, 도 9에서는, 각 속성값을 총괄하여 상기 참가자에 대해서 랭크 부여를 하여, 그것을 표시한 예이다. 이 도 9에서는, 참가자를 표 형식으로 배열하여 각 참가자의 불리도 랭크를 표시한 것에 대해서, 도 10은 참가자를 회의 실시 공간마다 그룹으로 나누어 표시한 예이다.
이상의 화면 표시예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불리도 산출 처리부(20)는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에 의해 추출된 각 참가자의 속성별 참가 상태에 의거하여 각 참가자의 속성별 불리도를 산출하고, 각 속성에 대한 불리도를 산출하면, 이들의 속성값으로부터 상기 참가자의 불리도를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불리도가 산출되면, 랭크 부여 처리부(21)는 각 참가자의 속성별 랭크 부여 및 각 참가자의 랭크 부여를 행한다.
스텝 130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불리도 산출 처리부(20)는 불리도 판정 정보 유지부(19)로부터 불리도 계산식을 판독하여,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에 의해 추출된 각 참가자의 참가 상태를, 해당하는 불리도 계산식에 대입하여 각 속성의 불리도를 참가자마다 산출한다. 참가 상태는 수치 데이터나 논리값 등 각종 형식으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불리도 계산식은 대입되는 1 내지 복수의 속성값에 따른 식으로 정의되게 된다. 예를 들면, 평균, 최대, 가중 평균, 또는 논리합이나 논리곱을 구함으로써 각 속성의 불리도가 계산된다. 또한, 불리도 산출 처리부(20)는 각 속성의 불리도를 소정의 계산식에 대입함으로써 각 참가자에 대한 불리도를 산출한다. 불리도 계산식은 커스터마이즈(customize) 화면을 통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스텝 140에서, 랭크 부여 처리부(21)는 불리도 판정 정보 유지부(19)로부터 불리도를 랭크 부여하기 위한 기준값을 판독하여, 그 기준값과 불리도 산출 처리부(20)에 의해 산출된 각 불리도와의 대소 관계를 얻음으로써, 각 불리도를 랭크 구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랭크 1∼3과 랭크 부여 대상으로는 하지 않는 “ex”의 4단계로 랭크 부여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랭크 1을, 불리도가 가장 큰 그룹에 상당하는 랭크로 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불리도가 작아지게 설정한다. 통신 상태를 예로 설명하면, 랭크 1의 참가자는 최악의 통신 상태에서 호스트 회의 서버(1O)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된다. 한편, 랭크 3의 참가자는 쾌적한 통신 상태에서 호스트 회의 서버(10)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된다. 랭크 2의 참가자는 랭크 1과 랭크 3 사이의 통신 상태에서 호스트 회의 서버(10)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된다. 랭크 ex라고 하는 것은 통신 회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랭크 부여의 대상 외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랭크 ex를 랭크 1로 하고, 랭크 1∼3을 각각 랭크 2∼4로 한단계씩 물리도록 랭크를 정의해도 좋다. 참가 상태에 의거하는 각 불리도의 어느 한 랭크에의 할당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준값에 따라서 행하는데, 기준값은 속성마다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설정값을 미리 준비한 커스터마이즈 화면을 통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불리도 산출 및 랭크 구분의 기준의 예를 나타낸다.
「회의 툴 환경」
이는 어떠한 툴을 사용해서 원격 회의에 참가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어느 참가자는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카메라,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음성만, 음성 회의 시스템, 개인 사용 PC+웹 카메라, 휴대형 정보 단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툴의 차이에 의해서, 액세스할 수 있는 정보량의 불리, 임장감(臨場感)의 불리 정도 등에 차이가 생긴다. 또한, 음질이나 화면의 수 등도 정보 손실이라는 점에서 불리도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휴대형 정보 단말 등은 랭크 1, 음성 회의 시스템 또는 개인 사용 PC+웹 카메라는 랭크 2,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카메라,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음성만은 랭크 3, 등과 같이 랭크 부여를 행한다.
「통신 상황」
이는 네트워크와의 통신 상태를 말한다. 상기 예시한 통신 손실율의 값 등에 의해 판단한다. 또한, 통신 단절의 상태는 랭크 ex로 한다.
「참가, 불참가」
이는 회의에 참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말한다. 이것은 IC 카드의 판독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이것은 참가하고 있는 상태는 랭크 3, 참가하지 않은 상태는 랭크 ex등과 같이 랭크 부여를 행한다.
「회의에의 참가 지구」
이는 호스트 회의실, 원격지의 회의실, 개인 오피스, 외출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사회자의 동석 등, 인적 관계 등도 판단 기준으로 한다.
「회의에서의 참가자의 입장」
이는 사회자, 관리자, 의지 결정자 등을 말한다.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로부터의 거리」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는, 기입이 가능하므로,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 가까울수록 회의에의 관여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회의 실시 공간 내에 있는 참가자 수」
참가자가 적으면 소외감이 있어, 회의에의 참가 정도가 낮아지는 경향에 있기 때문에, 불리도가 커진다.
「발언 보류 상태」
이는 소정의 발언 버튼의 누름 등 발언하고 싶은데 대기하고 있는 상태, 직전에 발언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말한다. 발언하고 싶거나, 또는 발언이 기대되고 있는데도 발언하지 않으면, 높은 불리도 랭크가 설정된다.
이 발언 보류 상태에 대해서 설명을 추가한다. 원격 회의에서는, 원격지에 있는 참가자가 발언의 기회를 얻는 것은 호스트 회의실에 있는 참가자와 비교하여 약간 곤란한 상황에 있다. 그래서, 원격지의 회의실(3)에 있는 참가자는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31)에 질문이나 발언의 기회를 얻기 위한 메모를 기입하고, 호스트 회의 서버(10)에 송신하여,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 표시시킨다. 또한,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개인 오피스나 외출처에서는, 전자 메 일 기능을 이용하여 호스트 사회자 앞으로 메일 송신을 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을 감시 대상으로 함으로써, 회의 참가자가 발언 보류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발언 보류 상태가 된 이후의 경과 시간을 참조로 랭크 부여를 행한다.
스텝 150에서, 불리도 정보 생성 처리부(16)가 각 참가자의 랭크 부여 및 각 참가자의 속성별 랭크 부여를 행함으로써 표시 대상으로 하는 불리도 정보를 생성하면, 표시 제어부(17)는 소정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지시된 불리도에 관한 정보를 화면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메뉴 화면으로부터 속성별 불리도를 참조하기 위해 소정의 버튼 조작을 해서 도 8의 (a)에 예시한 서브메뉴를 표시시키고, 그 서브메뉴 중에서 참조하고 싶은 속성을 선택한다. 그 결과, 도 8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지정된 속성의 값 및 그 랭크가 참가자마다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메뉴 화면으로부터 회의 멤버마다 불리도를 참조하기 위해서 소정의 버튼 조작을 하면,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 회의 멤버의 랭크가 표시된다. 또한, 도 10에는, 회의 멤버의 소재 위치를 알도록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각 참가자의 랭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랭크에 따라서 사람의 디자인의 표시 형태를 달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사람의 무늬를 바꾸고 있지만, 색, 사이즈 등 그 밖의 표시 속성을 다르게 해도 좋다.
그런데, 표시 제어부(17)는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의 표시 제어를 행하 는 수단이기 때문에 불리도에 관한 정보를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 표시하게 된다. 단,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 표시되는 내용은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31) 등 다른 거점의 표시 수단에도 전송되어 표시되므로,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 이외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회자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에 표시하도록 했다. 즉, 불리도에 관한 정보의 표시처는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에서는, 소정의 버튼 조작에 따라서 불리도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도록 했지만, 사회자가 참조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패널 표시 디바이스(11)의 일부분에 상시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발언 보류 상태라는 속성 데이터가 상시 표시되는 대상으로 되어 있던 경우, E씨가 발언 기회를 요구하는 전자 메일을 송신한 것으로 E씨의 발언 보류 상태라는 속성이 랭크 1로 랭크 상승한 것을 사회자는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회자는 E씨로부터의 요구에 신속히 반응하여 발언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출력처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프린터 등의 출력 수단이나 파일 형식으로 보존하는 외부 기억 장치 등에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의 실시 공간이나 네트워크의 상태를 수집함으로써, 회의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를 파악하고, 그 참가 상태에 의거하여 각 참가자의 불리도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이 정보를 참조하는 사회자는 각 참가자의 참가 상황에 따라서 그다지 발언을 하지 않고 있는 참가자에 게 발언을 촉구하거나, 또는 발언하고 싶은 참가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발언의 기회를 부여하거나 하는 등 적절한 지시 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회의의 충실화와 진행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는 회의의 진행역이 되는 사회자에게 최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불리도에 관한 정보를 타거점에 배열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회의 서버(10)에 상태 데이터 수신부(14), 참가자 상태 추출 처리부(15), 불리도 정보 생성 처리부(16) 및 불리도 판정 정보 유지부(19)를 설치했지만, 사회자가 개인 사용하는 PC 등 다른 장치에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 및 기술할 목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는 완전한 형태이거나 개시되어 있는 정확한 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많은 개량과 변형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질적인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어 기술되었고, 이로써 당업자가 의도된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실시예 및 다양한 개량 형태에 대해서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 및 그 동등물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떨어진 장소에 있는 사람을 포함하는 회의 멤버에 의해서 행해지는 전자 회의의 진행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7)

  1. 복수의 회의 실시 공간 내에 있는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접수 수단과,
    수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각 참가자가 회의에 참가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의 정도를 나타내는 불리도를 산출하는 불리도 산출 처리 수단과,
    산출된 불리도를 출력하는 불리도 출력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리도 출력 처리 수단은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서 불리도를 랭크 구분함으로써, 불리도의 랭크를 식별 가능하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수단이 수신하는 정보는 상기 컴퓨터에 입력되는, 각 회의 실시 공간에 설치된 기기 설치 상황 데이터, 상기 컴퓨터와 상기 회의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회선 품질 데이터, 회의 실시 공간에 설치된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회의 실시 공간의 촬상 데이터, 각 참가자가 휴대하는 참가자 식별 코드 기억 수단으로부터 제 1 센서 수단이 판독한 참가자 식별 코드 데이터, 각 참가자가 휴대하는 참 가자 식별 코드 기억 수단으로부터 제 2 센서 수단이 판독한 참가자 식별 코드 데이터 및 참가자 위치 특정 데이터, 회의 실시 공간에 설치된 음성 입력 수단에 의해 수집된 음성 데이터, 또는 참가자가 상기 정보 단말 장치에 입력한 입력 데이터 중 적어도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 장치.
  4. 컴퓨터에,
    복수의 회의 실시 공간 내에 있는 각 참가자의 회의에의 참가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각 참가자가 회의에 참가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의 정도를 나타내는 불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불리도를 출력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불리도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불리도를 랭크 구분함으로써, 불리도의 랭크를 식별 가능하게 출력하는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참가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컴퓨터에 입력되는, 각 회의 실시 공간에 설치된 기기 설치 상황 데이터, 상기 컴퓨터와 상기 회의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회 선 품질 데이터, 회의 실시 공간에 설치된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회의 실시 공간의 촬상 데이터, 각 참가자가 휴대하는 참가자 식별 코드 기억 수단으로부터 제 1 센서 수단이 판독한 참가자 식별 코드 데이터, 각 참가자가 휴대하는 참가자 식별 코드 기억 수단으로부터 제 2 센서 수단이 판독한 참가자 식별 코드 데이터 및 참가자 위치 특정 데이터, 회의 실시 공간에 설치된 음성 입력 수단에 의해 수집된 음성 데이터, 또는 참가자가 상기 정보 단말 장치에 입력한 입력 데이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복수의 회의 실시 공간 내에 각각 있는 1 내지 복수의 참가자가 상기 회의 실시 공간에 설치된 통신 기능 탑재의 정보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행하는 전자 회의를 지원하는 전자 회의 시스템에 포함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시되고,
    복수의 회의 실시 공간 내에 있는 회의 참가자의 참가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각 참가자가 회의에 참가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상황에 있는지의 여부의 정도를 나타내는 불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불리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회의 지원 방법.
KR1020070003314A 2006-04-11 2007-01-11 전자 회의 지원 방법 및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장치 KR100884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8267A JP2007282072A (ja) 2006-04-11 2006-04-11 電子会議システム、電子会議支援プログラム、電子会議支援方法、電子会議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端末装置
JPJP-P-2006-00108267 2006-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113A true KR20070101113A (ko) 2007-10-16
KR100884297B1 KR100884297B1 (ko) 2009-02-18

Family

ID=3865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314A KR100884297B1 (ko) 2006-04-11 2007-01-11 전자 회의 지원 방법 및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20160B2 (ko)
JP (1) JP2007282072A (ko)
KR (1) KR100884297B1 (ko)
CN (1) CN101055561B (ko)
AU (1) AU2006235871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5847B2 (en) 2007-01-03 2014-03-18 Cisco Technology, Inc. Scalable conference bridge
US8340268B2 (en) 2008-05-14 2012-12-25 Poly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 conferencing session
US20100289867A1 (en) * 2009-05-13 2010-11-18 Poly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Launching a Scheduled Conference Based on the Presence of a Scheduled Participant
CN102742266A (zh) * 2010-02-15 2012-10-17 夏普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终端装置、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控制程序以及记录有该程序的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WO2011145180A1 (ja) * 2010-05-18 2011-11-24 富士通株式会社 ポインタ情報処理装置、ポインタ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会議システム
CN101867770A (zh) * 2010-05-26 2010-10-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获取远端坐席位置信息的方法及远程呈现系统
US9560314B2 (en) 2011-06-14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ractive and shared surfaces
JP5888094B2 (ja) * 2012-04-26 2016-03-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映像通信システム、映像通信方法、および映像通信プログラム
JP6107015B2 (ja) * 2012-09-14 2017-04-05 株式会社リコー 伝送システム、伝送端末、伝送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903074B (zh) * 2012-12-24 2018-10-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交流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4469256B (zh) 2013-09-22 2019-04-23 思科技术公司 沉浸式和交互式的视频会议房间环境
US10291597B2 (en) 2014-08-14 2019-05-14 Cisco Technology, Inc. Sharing resources across multiple devices in online meetings
US10542126B2 (en) 2014-12-22 2020-01-21 Cisco Technology, Inc. Offline virtual participation in an online conference meeting
US9948786B2 (en) 2015-04-17 2018-04-17 Cisco Technology, Inc. Handling conferences using highly-distributed agents
US10291762B2 (en) 2015-12-04 2019-05-14 Cisco Technology, Inc. Docking sta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10574609B2 (en) 2016-06-29 2020-02-25 Cisco Technology, Inc. Chat room access control
US10592867B2 (en) 2016-11-11 2020-03-17 Cisco Technology, Inc. In-meeting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using calendar information and system
US10516707B2 (en) 2016-12-15 2019-12-24 Cisco Technology, Inc. Initiating a conferencing meeting using a conference room device
US10515117B2 (en) 2017-02-14 2019-12-24 Cisco Technology, Inc. Generating and reviewing motion metadata
US9942519B1 (en) 2017-02-21 2018-04-10 Cisco Technology, Inc. Technologies for following participants in a video conference
US10440073B2 (en) 2017-04-11 2019-10-08 Cisco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for proximity based teleconference transfer
US10375125B2 (en) 2017-04-27 2019-08-06 Cisco Technology, Inc. Automatically joining devices to a video conference
US10404481B2 (en) 2017-06-06 2019-09-03 Cisco Technology, Inc. Unauthorized participant detection in multiparty conferencing by comparing a reference hash value received from a key management server with a generated roster hash value
US10375474B2 (en) 2017-06-12 2019-08-06 Cisco Technology, Inc. Hybrid horn microphone
US10477148B2 (en) 2017-06-23 2019-11-12 Cisco Technology, Inc. Speaker anticipation
US10516709B2 (en) 2017-06-29 2019-12-24 Cisco Technology, Inc. Files automatically shared at conference initiation
US10706391B2 (en) 2017-07-13 2020-07-07 Cisco Technology, Inc. Protecting scheduled meeting in physical room
US10091348B1 (en) 2017-07-25 2018-10-02 Cisco Technology, Inc. Predictive model for voice/video over IP calls
US10771621B2 (en) 2017-10-31 2020-09-08 Cisco Technology, Inc. Acoustic echo cancellation based sub band domain active speaker detection for audio and video conferencing applications
JP7342928B2 (ja) * 2021-11-19 2023-09-12 日本電気株式会社 会議支援装置、会議支援方法、会議支援システム、および会議支援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9663A (en) * 1994-09-15 1999-01-12 Intel Corporation Audio control system for video teleconferencing
JP3598460B2 (ja) 1999-01-04 2004-12-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会議室参加情報の自動取得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6584493B1 (en) * 1999-03-02 2003-06-24 Microsoft Corporation Multiparty conferencing and collaboration system utilizing a per-host model 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 structure
EP1146721A4 (en) * 1999-11-24 2005-08-24 Sony Corp COMMUNICATION SYSTEM
US7158534B2 (en) * 2000-11-30 2007-01-02 Imajet Communications, Inc. Unified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a multi-point video conference and interactive broadcast systems
JP2004110268A (ja) 2002-09-17 2004-04-08 Fuji Xerox Co Ltd 質疑応答支援方法および装置
US7139379B2 (en) * 2003-06-19 2006-1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nitoring telephone conferences through a network of computer controlled display terminals, each associated with a telephone station and displaying a user-interactive monitoring page
JP2005124160A (ja) * 2003-09-25 2005-05-12 Fuji Photo Film Co Ltd 会議支援システム、情報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100573491B1 (ko) * 2004-03-04 2006-04-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국제전화 착신지 현지 시각 안내 및 연결 서비스 방법
JP2006094369A (ja) * 2004-09-27 2006-04-06 Nec Corp メッセージ自動通知システムとその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55561B (zh) 2011-09-21
CN101055561A (zh) 2007-10-17
JP2007282072A (ja) 2007-10-25
US7920160B2 (en) 2011-04-05
KR100884297B1 (ko) 2009-02-18
US20070263826A1 (en) 2007-11-15
AU2006235871A1 (en) 2007-10-25
AU2006235871B2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297B1 (ko) 전자 회의 지원 방법 및 전자 회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단말장치
US10057542B2 (en) System for immersive telepresence
US201901909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meeting management using identity database
CN103873811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系统
EP2180703A1 (en) Displaying dynamic caller identity during point-to-point and multipoint audio/videoconference
CN101395590A (zh) 用于在协作会话期间定位专家的方法和装置
US20070266092A1 (en) Conferencing system with automatic identification of speaker
US10454980B1 (en) Real-time meeting attendance reporting
US20170048284A1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567533B2 (en)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the presence status of a registered user on a network
JP2009188809A (ja) 電子会議システム
US201200330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n individual
US20220019472A1 (en) Method of storing electronic data, resource reservation system, and terminal apparatus
US20200036940A1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call service, electronic device therefor, and server therefor
JP2021149827A (ja) 施設予約システム、電子データ提供方法、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データ送信方法、プログラム
EP34660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fere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918524B2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レゼンテーション方法
EP40609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190260705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vering computerized connections between persons and generating computerized introductions
US20220019945A1 (en) Method of providing electronic data, system, and terminal apparatus
JP2014215784A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31316A (ja) 会議支援装置
US2005022886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sting messages to participants of an event
WO2019237085A1 (en) Session-based information exchange
JP2005253006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