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538A - 이불 - Google Patents

이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538A
KR20070098538A KR1020070027750A KR20070027750A KR20070098538A KR 20070098538 A KR20070098538 A KR 20070098538A KR 1020070027750 A KR1020070027750 A KR 1020070027750A KR 20070027750 A KR20070027750 A KR 20070027750A KR 20070098538 A KR20070098538 A KR 20070098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ton
inner bag
air
main body
du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7407B1 (ko
Inventor
오카모토 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마루하찌마와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하찌마와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하찌마와따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8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15Blankets; Duvet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3Blankets; Duvets having individualized insulation for each of two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3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with inflatabl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몸의 원하는 부분만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어,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불을 제공한다.
백(bag) 형상으로 형성된 이불 본체와, 이 이불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내부 백(12, 13)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내부 백(12, 13)의 적어도 하나에, 상기 내부 백(12, 13)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송풍구(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불 전체의 어떤 부분만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불

Description

이불{Futon mattress}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이불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B-B선 화살표 방향으로 봤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화살표 방향으로 봤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내부 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안솜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개폐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이불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불 2 이불 본체
12 제1 내부 백(일측 내부 백) 13 제2 내부 백(타측 내부 백)
16 안솜 20 송풍구
29 개폐부 34 제1 내부 백
35 제2 내부 백 36 제3 내부 백(L) 길이방향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되어 있는 공기식 이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모(羽毛) 이불보다 가벼우면서 단열성이 우수하고, 또 수용 및 반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불로서 공기식 이불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공기식 이불의 내부에, 온풍 또는 양풍(凉風)을 이송함으로써, 실내의 온도보다 이불을 따뜻하게 하거나, 차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름철에는 이불 내부에 양풍을 이송하고, 겨울철에는 온풍을 이송하는 등 이불 내부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2005-192977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식 이불에서는, 몸 전체를 따뜻하게 하거나 차게 할 수는 있지만, 발, 허리, 어깨 등 몸의 원하는 부분만을 따뜻하게 하거나 하는 등은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몸의 원하는 부분만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어,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불은, 백(bag) 형상으로 형성된 이불 본체와, 이 이불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내부 백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내부 백의 적어도 하나에, 상기 내부 백의 내부에 공기를 넣기 위한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불에 있어서는, 내부 백의 내부에 송풍구로부터 양풍 또는 온풍을 이송한다. 이때, 내부 백은 복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불 전체 중, 양풍 또는 온풍이 이송된 내부 백에 상당하는 부분만의 온도가 변화한다.
이상으로부터, 이불 전체의 어떤 부분만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이불은, 상기 송풍구가, 상기 이불 본체에 형성된 개폐부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불에 있어서는, 개폐부를 통해 송풍구가 출납된다.
이상으로부터, 내부 백에 공기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기를 주입한 후에, 송풍구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이불은, 상기 내부 백이 2개 설치되어 있고, 이들 2개의 내부 백이, 상기 이불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불에 있어서는, 2개의 내부 백이, 이불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 부근이나, 허리, 어깨 등의 원하는 부분에만 공기를 확실히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이불은, 상기 2개의 내부 백 중, 일측 내부 백의 상기 길이방향의 치수가, 상기 이불 본체의 길이 치수의 2/3로 설정되고, 타측 내부 백의 상기 길이방향의 치수가, 상기 이불 본체의 길이 치수의 1/3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불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발 부근이나 허리, 어깨 등의 원하는 부분에만 공기를 확실히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이불은, 상기 복수의 내부 백의 각각의 내부에, 안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불에 있어서는, 복수의 내부 백의 각각의 내부에, 안솜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이불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불(1)은,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이불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이불 본체(2)는, 백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불 본체(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겉쪽 감(3) 및 뒤쪽 감(4)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겉쪽 감(3)과 뒤쪽 감(4)이, 식모 테이프(7)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겉쪽 감(3)은,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측(사용자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식모가공 직물로 이루어져 있다.
뒤쪽 감(4)은, 사용상태에 있어서, 하측(바닥면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솜부(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뒤쪽 감(4)에는, 솜부(8)가 움직이지 않도 록 퀼팅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뒤쪽 감(4) 중의 상측의 직물에는, 직밀도가 성긴, 통풍성이 높은 직물이 사용되어 있고, 하측의 직물에는, 사틴감이 사용되어 있다. 또한, 솜부(8)에는, 얇은 울면이 사용되어 있다.
또한, 식모 테이프(7)는, 이불 본체(2)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테이프의 표면에 식모가공이 실시되어 형성된 것이다. 식모 테이프(7)와, 겉쪽 감(3) 및 뒤쪽 감(4)은, 헴(hem) 테이프(9)에 의해 헴 가공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이불(1)에 있어서는, 이불 본체(2)의 내부에, 제1 내부 백(일측 내부 백)(12)과 제2 내부 백(타측 내부 백)(13)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내부 백(12) 및 제2 내부 백(13)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내부 백(12)과 제2 내부 백(13)은, 연결부(17)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 제1 내부 백(12) 및 제2 내부 백(13)은, 그 내부가 서로 연통해 있지 않고, 독립된 내부 백으로 형성, 연결되어 있다.
제1 내부 백(12)과 제2 내부 백(13)이 연결된 상태의 전체의 길이 치수(L3)는, 도 1에 도시하는 이불 본체(2)의 길이방향(L)의 전장(L')(길이 치수)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내부 백(12) 중, 이불 본체(2)의 길이방향(L)을 향하는 길이 치수(L1)는, 전체 치수(L3)의 2/3의 길이로 설정되고 있다. 한편, 제2 내부 백(13) 중, 이불 본체(2)의 길이방향(L)을 향하는 길이 치수(L2)는, 전체 치수(L3)의 1/3의 길이로 설정되고 있다.
즉, 제1 내부 백(12)은, 이불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불 본체(2)의 길이방향의 2/3를 점하고, 제2 내부 백(13)은, 이불 본체(2)의 길이방향의 1/3를 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의 길이방향(L)의 양단에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일변부에는, 각각 송풍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송풍구(20)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의 각각의 내부에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은, 송풍구(20)로부터 소정의 양만 공기를 이송해도, 그들 이송된 공기가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의 바깥쪽으로 새지 않고,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 내에 균일하게 퍼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의 양을 넘으면 그들 공기가 외측에 배출되게 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은, 송풍구(20)로부터 소정의 양만 공기를 이송하면, 내부가 소정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는, 압력이 증대하고, 소정의 압력이 되면, 공기를 바깥쪽으로 배출함으로써, 그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의 직물은, 소정량의 공기 또는 소정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통풍도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의 직물은, 면 사틴으로 이루어져 있고, 직물의 통풍도는, 공기의 배출량이 3∼5 입방㎝/평방㎝ Sec으로 설정된다.
송풍구(20)의 선단부에는, 띠형상의 면 퍼스너(21)가 설치되어 있다. 면 퍼스너(21)는, 송풍구(20)의 바깥둘레에 걸쳐 감게 함으로써, 송풍구(20)로부터의 공기의 유통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의 상측의 면에는, 그물눈 형상의 미끄럼 방지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미끄럼 방지부재(25)에 의해,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의 이불 본체(2)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에는, 그물눈 형상의 안솜(16)(도 2 및 도 3에 도시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에는, 안솜(16)이 움직이지 않도록, 일본식 바인딩부(26)가 설치되어 있다
또, 부호 22는, 끈을 도시하는 것으로, 이들 끈(22)은, 이불 본체(2)의 네 모퉁이에 설치된 루프부에 매어짐으로써,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의 이불 본체(2)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안솜(16)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두께 20㎜의 허니컴(Honey comb) 네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안솜(16)의 그물코 내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부재(24)가 규칙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24)는, 600g/㎡로 3㎝×3㎝ 사이즈의 폴리에스테르 경면을 네트에 넣어, 핫 멜트(hot-melt)로 고정시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불 본체(2)의 길이방향(L)의 양단변에는, 개폐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즉, 식모 테이프(7)가 이불 본체(2)의 둘레방향으로 2개로 나뉘어 있고, 이들 식모 테이프(7)의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그들 서로의 양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포(31)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포(31)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구(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구(30)는, 슬라이드 퍼스너(3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리고, 슬라이드 퍼스너를 열면, 절결구(30)를 통해 송풍구(20)를 이불 본체(2)의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절결구(30)를 통해 이불 본체(2)의 내부로 송풍구(20)를 밀어 넣고, 슬라이드 퍼스너를 닫으면, 송풍구(20)가 이불 본체(2)의 내부에 수용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이불(1)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발 부근만을 따뜻하게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 송풍구(20)는, 모두 이불 본체(2)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제2 내부 백(13) 측의 슬라이드 퍼스너를 열어, 송풍구(20)를 외부로 당겨낸다. 그리고, 송풍구(20)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로부터 제2 내부 백(13)의 내부로 온풍을 이송한다. 이때 제2 내부 백(13)의 직물은, 상기 소정의 통기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를 이송한 즉시 그 공기가 바깥쪽으로 세지 않고, 제2 내부 백(13) 내에 퍼진다. 그리고, 제2 내부 백(13) 내에 균일하게 퍼져, 소정량의 공기 또는 소정의 압력에 달하면, 그 공기가 바깥쪽으로 배출된다. 제2 내부 백(13) 내에 소정량의 온풍을 이송한 후, 송풍구(20)로부터 송풍기를 떼내고, 송풍구(20)의 바깥둘레에 면 퍼스너(21)를 감아, 송풍구(20)의 입구를 닫는다. 이에 의해, 송풍구(20)의 공기의 유통이 규제되어, 제2 내부 백(13)의 내부에 온풍을 남겨둘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입구가 닫혀진 채로의 송풍구(20)를 절결구(30)를 통해 이불 본체(2)의 내부로 밀어 넣어, 슬라이드 퍼스너를 닫는다.
이 상태에서는, 이불 본체(2)의 길이방향(L)의 단부로부터 1/3 길이만큼만 따뜻해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래서, 제2 내부 백(13) 측을 사용자의 발 부근에 배치하고, 제1 내부 백(12) 측을 사용자의 머리쪽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수면시에 사용자의 발 부근만이 따뜻해진다.
한편, 발 부근만 차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2 내부 백(13)에만,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양풍을 이송하면 된다.
또한, 발 부근이나 허리를 따뜻하게 하거나 또는 차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 내부 백(12)에만, 온풍 또는 양풍을 이송하여, 제1 내부 백(12) 측을 사용자의 발 부근에 배치한다.
또, 허리나 어깨를 따뜻하게 하거나 또는 차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 내부 백(12)에만, 온풍 또는 양풍을 이송하여, 제1 내부 백(12) 측을 사용자의 머리쪽에 배치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서의 이불(1)에 의하면, 이불(1) 전체의 소정 부분만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고, 그 때문에, 몸의 원하는 부분만을 용이하게 따뜻하게 하거나 차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이, 이불 본체(2)의 길이방향(L)의 2/3 및 1/3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 부근만 또는 발 부근이나 허리 등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안솜(1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쾌적한 수면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에 안솜(1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이 찌부러지 않고, 항상 소정의 높이 치수를 유지할 수 있어, 내부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이 높이방향으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부에 공기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안솜(16)이 허니컴 그물눈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물코를 통해 공기를 안쪽까지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 중이더라도, 내부 백(12, 13)의 앞쪽(송풍구(20) 측)으로부터 안쪽에 걸쳐 공기를 확실히 이송할 수 있어, 이불 본체(2)의 전면에 걸쳐 내부 백(12, 13)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의 직물이, 소정의 통기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 내에 공기를 균일하게 이송할 수 있어, 이불 본체(2)의 전면에 걸쳐 내부 백(12, 13)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개폐부(2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구(20)를 이불 본체(2)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제1 및 제2 내부 백(12, 13)의 내부에 이송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어, 디자인성을 손상하는 일도 없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기재한 구성 요소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와 상기 제1 실시형태는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여, 여기서는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제2 및 제3 내부 백(34, 35, 36)의 3개의 내부 백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1, 제2 및 제3 내부 백(34, 35, 36)은, 이불 본체(2)의 길이방향(L)에 균등 간격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송풍구(20)는, 이불 본체(2)의 짧은쪽 방향의 일변부로부터 출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하에, 제1, 제2 및 제3 내부 백(34, 35, 36)에 공기를 이송함으로써, 몸의 소정의 부위만의 온도를 확실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깨만의 온도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제1 또는 제3 내부 백(34, 36)에 공기를 이송하고, 이송한 측을 사용자의 머리쪽으로 배치하면 된다. 또한, 허리만이면, 제2 내부 백(35)에 공기를 이송하면 된다. 또, 발과 어깨의 온도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3 내부 백(34, 36)에 공기를 이송하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제2 및 제3 내부 백(34, 35, 36)을 이불 본체(2)의 길이방향(L)에 균등 간격으로 나열하여 배치한다고 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그들 간격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3 내부 백(34, 36)을 각각 이불 본체(2)의 길이 치수의 1/4로 설정하고, 제2 내부 백(35)을 이불 본체(2)의 길이 치수의 1/2로 설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발 부근이나 어깨만의 온도를 확실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 백을 2개 또는 3개 설치한다고 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그들 내부 백의 설치 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 하다.
또한, 내부 백의 나열을 길이방향(L)으로 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짧은쪽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좌우방향 중 어느 한쪽만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불에 의하면, 이불 전체의 어떤 부분만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몸의 원하는 부분만을 용이하게 따뜻하게 하거나 차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백 형상으로 형성된 이불 본체와,
    이 이불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내부 백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내부 백의 적어도 하나에,
    상기 내부 백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가,
    상기 이불 본체에 형성된 개폐부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백이 2개 설치되어 있고,
    이들 2개의 내부 백이, 상기 이불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내부 백 중, 일측 내부 백의 상기 길이방향의 치수가, 상기 이불 본체의 길이 치수의 2/3로 설정되고,
    타측 내부 백의 상기 길이방향의 치수가, 상기 이불 본체의 길이 치수의 1/3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백의 각각의 내부에, 안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KR1020070027750A 2006-03-31 2007-03-21 이불 KR100847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96588 2006-03-31
JP2006096588A JP4714063B2 (ja) 2006-03-31 2006-03-31 布団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538A true KR20070098538A (ko) 2007-10-05
KR100847407B1 KR100847407B1 (ko) 2008-07-18

Family

ID=3867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750A KR100847407B1 (ko) 2006-03-31 2007-03-21 이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14063B2 (ko)
KR (1) KR100847407B1 (ko)
CN (1) CN101044943B (ko)
HK (1) HK1106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0990B2 (en) 2011-12-08 2018-09-11 Alcon Research, Ltd. Optimized pneumatic drive lines
AU2016226093A1 (en) * 2015-03-03 2017-08-03 Cascade Designs, Inc. Inflatable cushioning device
CN107136814B (zh) * 2017-06-19 2023-10-27 湖北省海舍创享健康智能科技有限公司 通过气体调温的床垫加热层
CN114129027B (zh) * 2021-12-11 2023-05-30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头颈部高度及头部夹角的智能旋磁枕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104Y2 (ko) * 1985-07-04 1992-04-06
CN87201818U (zh) * 1987-02-10 1988-02-24 熊映青 凉爽床垫
CN87207956U (zh) * 1987-05-15 1988-03-02 杜振华 防褥疮气动床垫
KR950023362A (ko) * 1994-01-25 1995-08-18 강석재 휴대용 단열 공기요
JP2616893B2 (ja) * 1994-08-19 1997-06-04 裕子 鈴木 エアーコントロール羽毛ふとん
JP3061360B2 (ja) * 1995-12-11 2000-07-10 裕子 鈴木 エアーコントロール敷ふとんカバー
CN1212857A (zh) * 1997-09-30 1999-04-07 夏宁 一种恒温充液床垫及其制作方法
JP2005192977A (ja) * 2004-01-11 2005-07-21 Mitsunori Higuchi 携帯式掛け布団
KR100613841B1 (ko) * 2004-08-31 2006-08-17 함의신 에어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06676A1 (en) 2008-03-20
JP4714063B2 (ja) 2011-06-29
CN101044943B (zh) 2010-06-16
CN101044943A (zh) 2007-10-03
KR100847407B1 (ko) 2008-07-18
JP2007267915A (ja)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059B1 (ko) 착탈식 상부를 구비하는 매트리스
US9167923B1 (en) Pillow having cross-flow mesh inserts
JP2021035542A (ja) 複数の空隙率のポートを有する枕
US8214949B2 (en) Article of bedding
US20110314605A1 (en) Duvet cover and comforter
KR100847407B1 (ko) 이불
US20150082545A1 (en) Bedding article having a cooling insert
US20170295961A1 (en) Vented blanket
US11445696B2 (en) Bed system
JP3061360B2 (ja) エアーコントロール敷ふとんカバー
US20170231407A1 (en) Air multiplier pad
US20150164249A1 (en) Sleeping Bag System with Selectively Adjustable Insulating Baffles
JP2013244274A (ja) 布団
JPH02503640A (ja) 布団、特に掛け布団
JP6420382B2 (ja) 就寝用頭部カバー
JP2695748B2 (ja) 布 団
KR102345411B1 (ko)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 구조체
CN215190729U (zh) 一种羊毛被
JP2005152480A (ja) まくら
JP5633221B2 (ja) ふとん乾燥機
CN209863108U (zh) 袋鼠式子母被
JP2005334087A (ja) エアーコントロール布団及びエアーコントロール布団セット
JP2005287563A (ja) 快適寝布団
CN115721138A (zh) 一种透气型枕头
JPH0521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