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841B1 - 에어쿠션 - Google Patents

에어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841B1
KR100613841B1 KR1020040069017A KR20040069017A KR100613841B1 KR 100613841 B1 KR100613841 B1 KR 100613841B1 KR 1020040069017 A KR1020040069017 A KR 1020040069017A KR 20040069017 A KR20040069017 A KR 20040069017A KR 100613841 B1 KR100613841 B1 KR 100613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jection pipe
cushion
air injection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217A (ko
Inventor
함의신
Original Assignee
함의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의신 filed Critical 함의신
Priority to KR1020040069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841B1/ko
Priority to PCT/KR2004/003265 priority patent/WO2005110168A1/en
Publication of KR2006002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3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with inflatable membe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에어주입관; 이 에어주입관에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의 블록킹 튜브; 일측 단부가 상기 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셀;로 이루어진 에어쿠션에 있어서;
상기 각 에어셀이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포켓을 갖되, 이 포켓은 탄성배플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에 관한 것이다.
에어쿠션, 매트리스

Description

에어쿠션 {Air cush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에어쿠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횡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제 1쿠션제가 부가된 상태도
도 5는 제 1쿠션제의 설치상태 확대도 및 쿠션동작상태도
도 6은 에어주입관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도 6의 Ⅱ-Ⅱ선 단면도
도 8은 제 2쿠션제가 부가된 상태도
도 9는 링부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Ⅲ-Ⅲ선 단면도
도 11은 에어셀에 에어를 주입하는 상태도
도 12는 에어셀을 블록킹 한 상태도
도 13은 에어셀이 압축된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에어쿠션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결합상태 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에어쿠션의 구성도로서, 특히 분리형 하우징의 구성도
도 17은 도 16의 Ⅳ-Ⅳ선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실시예의 에어쿠션의 구성도로서, 특히 하우징의 표피구조를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실시예의 에어쿠션의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의 제작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a : 매복홈 3b : 링부
3c : 표지 3d : 속지
10 : 하우징 11 : 탄성배플
12 : 포켓 20 : 제 1쿠션제
21 : 제 2쿠션제 10-1 : 단위포켓
10-2 : 지퍼 10-3 : 가리개
본 발명은 쿠션을 요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에어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곡선을 따르는 자연스러운 서포팅이 가능하면서 경한느낌을 완화시 켜주는 다중쿠션이 가능하며, 부수적으로 구간별로 차별쿠션이 가능한 것에 특징을 갖는 에어쿠션에 관한 것이다.
쿠션을 요하는 제품군은 쇼파, 의자, 매트리스, 시트 등 다양하지만, 이중에서 매트리스와 쇼파 등의 특정제품군은 제품의 특성상 쿠션감도에 비교적 민감한 편이다.
특히, 매트리스는 숙면을 위해 최적의 안락조건을 갖춰야 하는 제품의 특성상 이에 부합하는 스프링 매트리스나 라텍스 매트리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 매트리스는 인체를 받쳐주는 서포팅력은 뛰어난 반면, 안락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라텍스 매트리스는 안락성은 뛰어나나 서포팅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들 매트리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스프링 매트리스와 라텍스 매트리스를 혼합한 믹싱타입을 쓰기도 하지만 믹싱타입은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이동성이 떨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기존 매트리스를 대신하여 에어 매트리스가 보급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에어 매트리스는 단일의 셀(cell)에 에어를 주입시켜 풍선처럼 부풀려진 형태가 연상된다. 이처럼 단순한 에어 매트리스는 출렁임이 심해 안정감이 떨어진다는 점과, 취침자의 움직임에 따른 파동이 심해 옆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2인이 사용하는 더블이나 퀸사이즈 등 대형사이즈의 매트리스로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과, 에어의 충진량에 따라 쿠션력이 매우 강하거나 또는 매우 약한 극단적인 쿠션력만이 발생되므로 안락감이 떨어진다는 점과, 인체를 균형있게 서포팅 해주지 못한다는 문제점 때문에 매트리스가 갖춰야 하는 기본적인 조건에 미달되는 점이 많다.
특히, 우리나라는 온돌문화에 익숙한 침실습성을 고려할 때 소프트한 타입보다는 하드한 타입이 선호되고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셀 내에 많은 양의 에어를 주입하므로써 하드한 상태로 하여 사용하는 예가 많으며, 이렇게 하드한 상태로 사용하다 보니 쿠션력이 떨어지게 되어 취침자가 누웠을 때 에어 매트리스의 표면과 허리사이가 들뜨면서 허리를 전반적으로 서포팅 하지 못하므로써 요통이 유발된다.
반면, 에어 매트리스를 소프트한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허리가 들뜨는 현상은 없으나 둔부가 지나치게 처지는 이른바 해먹(hammuck)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써 이 역시 요통유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인체곡선을 따르는 자연스러운 서포팅이 가능하면서 경한느낌을 완화시켜주는 다중쿠션이 가능하며, 부수적으로 구간별로 차별적인 쿠션이 가능한 것에 특징을 갖는 에어쿠션을 제공함에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에어주입관; 이 에어주입관에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의 블록킹 튜브; 일측 단부가 상기 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셀;로 이루어진 에어쿠션에 있어서; 상기 각 에어셀이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포켓을 갖되, 이 포켓은 탄성배플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제 1, 2에어주입관;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에 각각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 재질의 제 1, 2블록킹 튜브;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제 1, 2에어셀; 상기 제 1, 2에어셀이 좌우측으로 부터 교호하게 개별 삽입되도록 탄성배플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포켓을 갖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에어주입관; 이 에어주입관에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의 블록킹 튜브; 일측 단부가 상기 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셀;로 이루어진 에어쿠션에 있어서; 상기 각 에어셀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직물지에 의해 사각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여러개의 단위포켓을 지퍼, 벨크로테입, 단추, 후크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제 1, 2에어주입관;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에 각각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 재질의 제 1, 2블록킹 튜브;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제 1, 2에어셀; 상기 제 1, 2에어셀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직물지에 의해 사각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여러개의 단위포켓을 지퍼, 벨크로테입, 단추, 후크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에어주입관; 이 에어주입관에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의 블록킹 튜브; 일측 단부가 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셀은 표지가 직물지로 되고 속지는 합성수지재로 된 복겹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제 1, 2에어주입관;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에 각각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 재질의 제 1, 2블록킹 튜브;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제 1, 2에어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2에어셀은 표지가 직물지로 되고 속지는 합성수지재로 된 복겹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에어쿠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4는 제 1쿠션제가 부가된 상태도이며, 도 5는 제 1쿠션제의 설치상태 확대도 및 쿠션동작상태도이고, 도 6은 에어주입관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8은 제 2쿠션제가 부가된 상태도이며, 도 9는 링부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Ⅲ-Ⅲ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에어셀에 에어를 주입하는 상태도이고, 도 12는 에어셀을 블록킹 한 상태도이며, 도 13은 에어셀이 압축된 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에어쿠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결합상태 횡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에어쿠션의 구성도로서, 특히 분리형 하우징의 구성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Ⅳ-Ⅳ선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실시예의 에어쿠션의 구성도로서, 특히 하우징의 표피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실시예의 에어쿠션의 구성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의 제작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삭제
삭제
제 1실시예의 에어쿠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한다.
일단부에 개폐밸브(v)를 갖는 에어주입관(1)과, 이 에어주입관에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v)를 갖는 가요성의 블록킹 튜브(2)와, 일측 단부가 상기 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셀(3)로 이루어진 에어쿠션으로 부터;
본 발명의 에어쿠션은 상기 에어셀(3)이 개별 삽입되도록 탄성배플(11)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포켓(12)을 갖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배플(elasticity baffle)(11)은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해 주는 역할과, 에어셀(3)이 외력에 의해 변형될 때 그 변형에 동조하여 탄성작용을 발휘함에 따라 에어셀의 쿠션력과 더불어 또 다른 다중 쿠션을 얻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상세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배플(11)은 단겹으로 하거나 복겹(또는 다겹)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복겹인 경우에는 복겹의 배플 사이에 에어백이나 스폰지 등의 제 1쿠션제(20)를 삽입하므로써 탄성배플과 더불어 또 다른 쿠션력의 창출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 1쿠션제(20)는 자신의 쿠션강도(경도) 및 모양, 형상에 따라 다양한 쿠션력을 발휘할 수 있다.
삭제
한편, 상기 에어셀(3)을 매트리스에 적용했을 때를 가정할 때 에어셀의 길이방향이 신체의 신장방향과 교차되게 배열된 것을 기준하여, 에어셀 군(君)을 신체의 어느 부위를 지지하느냐에 따라 수 개의 구간으로 임의구분하고, 구간별로 에어셀(3)의 폭(b)을 달리할 수도 있다.
이때, 에어셀의 폭을 결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은 에어셀의 폭을 작게 한 상태로 조밀하게 배열하게 되면 인체부위중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허리)이나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둔부)에 대해 세밀한 변형이 가능함에 따라 이러한 구간에 위치하는 에어셀은 그 폭(b)을 작게 해야 할 것이며(도 3의 A,B구간), 세밀한 변형이 필요없는 부분은 에어셀의 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될 것이다.
이러한 에어셀(3)의 폭 변화는 상기 하우징(10)의 포켓(12) 폭과도 관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포켓의 폭(b')도 에어셀의 폭과 동일한 기준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때, 유의할 점은 에어셀(3)과 포켓(12)의 높이(h,h')는 구간에 관계없이 일정해야 한다. 그 이유는 높이가 불규칙하게 되면 에어쿠션 자체의 표면이 울퉁불퉁한 관계로 이질감이 크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상기 에어주입관(1)과 각 에어셀(3)은 일체형이거나 분리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분리형인 경우에는 커넥터(c)를 매개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게 한다. 이는 에어셀을 교체할 때 유용하게 활용된다.
또한, 상기 에어셀(3)의 일측 단부의 하단에는 에어주입관(1)을 매입하기 위한 매복홈(3a)이 형성되어 있어, 에어주입관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에어셀(3)의 타측 단부는 각 에어셀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접어붙여 링부(3b)가 형성되게 하고, 이 링부에는 에어백이나 스폰지 등의 제 2쿠션제(21)를 끼워 넣는다. 이 제 2쿠션제의 역할은 상기한 탄성배플(11), 제 1쿠션제(20)의 역할과 동일하게 다중쿠션을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미 설명부호 30은 에어쿠션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테두리 마감재이다. 이때, 상기 테두리 마감재는 에어셀의 외곽을 구속하기 위한 것이므로 약간의 경도는 있되 너무 딱딱하지도 않아야 한다. 아울러, 하우징(10)과 테두리 마감재(30)의 결속을 위해 하우징에 결속밴드(10a)를 두어 이 결속밴드를 테두리 마감재의 외곽을 둘러 감아 결합하게 된다. 이때, 결속밴드(3c)는 탄성재나 비탄성재를 공히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밴드(10a)는 도 7에서와 같이 에어셀(3)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 1실시예의 에어쿠션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0)의 포켓(12) 내부로 각 에어셀(3)을 개별적으로 삽입한 상태로 부터, 에어주입관(3)의 개폐밸브(2)를 통해 에어를 주입하게 되면 에어주입관과 연통되어 있는 각 에어셀(3)로 에어가 일시에 충진된다.
각 에어셀에 적량의 에어가 충진되면 에어주입관측 개폐밸브를 닫고, 블록킹 튜브(2)의 개폐밸브(v)를 통해 블록킹 튜브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한다. 이때, 블록킹 튜브 내의 에어압이 에어주입관 내의 에어압 보다 큰 상태가 되도록 에어를 충분히 충진시키게 되면 부풀려진 블록킹 튜브(2)에 의해 각 에어셀의 입구가 차단된 상태가 되므로 에어셀 들은 상호 비 연통상태로 있게 된다.
이렇게 에어의 충진작업이 완료되면 매트리스로의 기능이 가능하다. 따라서, 에어쿠션 위에 사용자가 눕게 되면 인체하중을 직접 받게되는 에어셀(3)은 상하방향으로 압축된다. 상하로 압축되는 에어셀(3)은 압축체적만큼 좌우측으로 보상팽창(P)되지만 그 옆에 있는 다른 에어셀에 의해 더 이상 팽창되지 못하게 견제압(-P)에 의해 견제되기 때문에 어느 부위의 에어셀이든 지나치게 함몰되는 현상이 없다.
따라서, 둔부가 처지는 현상이 없으며, 더욱이 에어셀중 둔부와 허리를 받치는 에어셀군은 그 폭(b)을 작게 하고 조밀하게 배치하므로써 둔부와 허리곡선에 준하게 변형되면서 이 부위를 들뜨지 않게 밀착된 상태로 서포팅 해주므로써 취짐시 허리통증을 없애준다.
이때, 에어셀(3) 간에는 견제압(-P)에 의해 에어셀의 변형정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서는 쿠션감도가 딱딱하다는 느낌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에어셀(3)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배플(11), 제 1쿠션제(20), 제 2쿠션제(21), 및 결속밴드(10a)에 의해 2차, 다차(多次) 쿠션력이 제공되므로써 딱딱한 느낌을 없앨 수 있다.
제 2실시예의 에어쿠션
도 14와 도 15를 참조한다.
제 2실시예의 에어쿠션은 상기한 제 1실시예의 에어쿠션과 거의 유사하나, 다만 특이할 점은 에어주입관, 블록킹 튜브, 에어셀로 이루어진 조합체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하우징(10)의 양쪽에서 상호 교호하게 끼워 넣게끔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이때, 일측의 조합체는 제 1에어주입관(1-1), 제 1블록킹 튜브(2-1), 제 1에어셀(3-1)로 구성되며; 타측의 조합체는 제 2에어주입관(1-2), 제 2블록킹 튜브(2-2), 제 2에어셀(3-2)로 구성된다.
제 3실시예의 에어쿠션
도 16과 도 17을 참조한다.
제 3실시예의 에어쿠션은 하우징이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구성된 것만이 다를 뿐이다. 즉, 하우징(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직물로 된 사각통 형상의 단위포켓(10-1)을 개별적으로 만들어서 이들을 지퍼(10-2)나 재봉 또는 벨크로테입, 단추, 후크 등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분리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퍼(10-2)나 벨크로테입 등은 외부로 노출될 경우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단위포켓(10-1)의 지퍼나 벨크로테입이 설치되는 부위에 이를 가리기 위한 가리개(10-3)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20은 제 1쿠션제이다.
제 4실시예의 에어쿠션
도 18을 참조한다.
제 4실시예의 에어쿠션은 일단부에 개폐밸브(v)를 갖는 에어주입관(1); 이 에어주입관에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v)를 갖는 가요성의 블록킹 튜브(2); 일측 단부가 상기 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셀(3)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셀을 표지(3d)가 직물지로 되고 속지(3c)는 합성수지재로 된 복겹구조로 한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서, 일단부에 개폐밸브(v)를 갖는 제 1, 2에어주입관(1-1,1-2);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에 각각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v)를 갖는 가요성 재질의 제 1, 2블록킹 튜브(2-1,2-2);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제 1, 2에어셀(3-1,3-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2에어셀을 표지(3d)가 직물지로 되고 속지(3c)는 합성수지재로 된 복겹구조로 한 것이다.
제 5실시예의 에어쿠션
도 19를 참조한다.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에어쿠션을 연결할 때의 실시예로서, 세부적인 구성은 상기 제 1실시예와 같되, A 에어쿠션과 B 에어쿠션을 서로 대향되게 한 상태에서 A 에어쿠션측의 링부(3b)와 B 에어쿠션측의 링부(3b')를 상호 엇갈리게 배치하여 이렇게 상호 엇갈려 있는 링부(3b,3b')에 제 1쿠션제(21)를 끼워 넣은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기타
상기한 모든 실시예에서 각 에어셀을 제작함에 있어서 블로우 몰딩(blow molding)을 이용하는 것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블로우 몰딩은 도 20에서와 같이 좌우금형(M1,M2)의 사이로 표면에 에어셀의 원재료(3')가 빙둘러 있는 블로우(B)를 개입시킨 상태에서 이 블로우에 에어를 주입하게 되면 에어의 토출력에 의해 원재료가 좌우금형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만들고자 하는 에어셀이 몰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곡선을 따르는 자연스러운 서포팅이 가능하면서 경한느낌을 완화시켜주는 다중쿠션이 가능하며, 부수적으로 신체부위별로 차별적인 쿠션이 가능한 것에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정정)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에어주입관; 이 에어주입관에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의 블록킹 튜브; 일측 단부가 상기 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셀;로 이루어진 에어쿠션에 있어서;
    상기 각 에어셀이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포켓을 갖되, 이 포켓은 탄성배플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각 포켓 및 에어셀을 임의의 구간으로 구분하되, 특정구간의 포켓과 에어셀의 폭이 다른 구간의 포켓과 에어셀에 비해 크거나 또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2. (삭제)
  3. (정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의 타측 단부를 각 에어셀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접어 붙여 링부를 구성하고, 이 링부에 제 2쿠션제를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쿠션제는 에어백 또는 스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5. (정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에어셀의 일측 단부에 에어주입관이 매입되는 매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과 에어주입관은 커넥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7. (정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배플은 복겹 또는 다겹으로 구성하되, 겹 사이사이에 제 1쿠션제가 개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8.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제 1, 2에어주입관;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에 각각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 재질의 제 1, 2블록킹 튜브;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제 1, 2에어셀;
    상기 제 1, 2에어셀이 좌우측으로 부터 교호하게 개별 삽입되도록 탄성배플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포켓을 갖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에어셀 및 포켓을 임의의 구간으로 구분하되, 특정구간의 에어셀 및 포켓의 폭을 다른 구간의 제 1, 2에어셀 및 포켓에 비해 크거나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배플은 복겹 또는 다겹으로 구성하여, 겹 사이사이에 제 1쿠션제가 개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11.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에어주입관; 이 에어주입관에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의 블록킹 튜브; 일측 단부가 상기 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셀;로 이루어진 에어쿠션에 있어서;
    상기 각 에어셀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직물지에 의해 사각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여러개의 단위포켓을 지퍼, 벨크로테입, 단추, 후크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12.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제 1, 2에어주입관;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에 각각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 재질의 제 1, 2블록킹 튜브;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제 1, 2에어셀; 및
    상기 제 1, 2에어셀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직물지에 의해 사각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여러개의 단위포켓을 지퍼, 벨크로테입, 단추, 후크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포켓의 사이사이에는 에어백이나 스폰지로 된 제 1쿠션제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14.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에어주입관; 이 에어주입관에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의 블록킹 튜브; 일측 단부가 상기 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셀은 표지가 직물지로 되고 속지는 합성수지재로 된 복겹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15.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제 1, 2에어주입관;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에 각각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 재질의 제 1, 2블록킹 튜브; 상기 제 1, 2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제 1, 2에어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2에어셀은 표지가 직물지로 되고 속지는 합성수지재로 된 복겹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16.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에어주입관; 이 에어주입관에 내장되며, 일단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가요성의 블록킹 튜브; 일측 단부가 상기 에어주입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셀;로 이루어진 에어쿠션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을 한 쌍으로 하여 상호 대향되게 배치하되, 일측 에어쿠션과 타측 에어쿠션의 대응측에 링부를 상호 교호하게 엇갈려 배치하고, 이 엇갈린 링부에 제 1쿠션제를 끼워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KR1020040069017A 2004-05-19 2004-08-31 에어쿠션 KR100613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017A KR100613841B1 (ko) 2004-08-31 2004-08-31 에어쿠션
PCT/KR2004/003265 WO2005110168A1 (en) 2004-05-19 2004-12-13 Air cush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017A KR100613841B1 (ko) 2004-08-31 2004-08-31 에어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217A KR20060020217A (ko) 2006-03-06
KR100613841B1 true KR100613841B1 (ko) 2006-08-17

Family

ID=3712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017A KR100613841B1 (ko) 2004-05-19 2004-08-31 에어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4063B2 (ja) * 2006-03-31 2011-06-29 株式会社丸八真綿 布団
KR200477752Y1 (ko) * 2014-11-06 2015-07-16 박현경 쿠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312U (ko) * 1986-11-03 1988-07-22 김만수 공기 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312U (ko) * 1986-11-03 1988-07-22 김만수 공기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217A (ko)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11164A (en) Pillow
EP2185038B1 (en) Improved cushioning apparatus
US4924541A (en) Bed pad, an automobile seat pad, a pillow or a similar cushionlike item
US4139920A (en) Polymorphic support systems
CA2561262C (en) Body support, comfort device
US4688283A (en) Mattress which conforms to body profile
US20010013147A1 (en) Multiple module mattress system
WO2009048209A1 (en) A mattress
WO2008064561A1 (fr) Matelas de bulles d'air et lit de bulles d'air
US11324335B2 (en) Inflatable product with breathable user interface
CN109124162B (zh) 软硬度可调的床垫
CN201022564Y (zh) 多气囊式充气枕
KR100613841B1 (ko) 에어쿠션
CN206314883U (zh) 一种坐垫
CN209769793U (zh) 软硬度可调的床垫
KR20050110796A (ko) 에어매트
CN201015503Y (zh) 气垫床垫
CN217365170U (zh) 一种多层组合床垫
CN2421905Y (zh) 充气床垫
EP0757899B1 (en) Mattress with adjustment of the firmness
CN218605885U (zh) 可调整软硬度的床垫
CN217959465U (zh) 一种柔软度和厚度可调整的床垫结构
CN219047898U (zh) 一种舒适耐磨的透气沙发
CN218942688U (zh) 一种软硬可调节床垫
AU759509B2 (en) Lumbar support and comfort feel adjus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