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529A - 양변기 설비 - Google Patents

양변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529A
KR20070097529A KR1020077016715A KR20077016715A KR20070097529A KR 20070097529 A KR20070097529 A KR 20070097529A KR 1020077016715 A KR1020077016715 A KR 1020077016715A KR 20077016715 A KR20077016715 A KR 20077016715A KR 20070097529 A KR20070097529 A KR 20070097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ejector
toilet
trap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시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Publication of KR2007009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6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배수 유로로부터 흡인 배기하는 이젝터를 구비하고, 세정시에 변기에 악취나 오수가 공급되지 않는 위생적인 양변기 설비의 변기 본체(1)의 림(3)에 대하여, 세정 제어 밸브(V1)를 구비한 급수관(10)이 접속되어 있다. 이 급수관(10)의 세정 제어 밸브(V1)보다 상류측으로부터 분기관(11)이 분기되고, U자관(12) 및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통해 이젝터(20)에 접속되어 있다. 이젝터(20)의 물 배출구는 배관(13)을 통해 제2 배수 유로(7)에 접속되어 있다. 이젝터(20)의 스로트부에 마련된 공기 흡인구(20a)에, 부압 전달 유로(2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 부압 전달 유로(21)의 타단은 제1 배수 유로(5)의 상승부의 상단(5a)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양변기 설비{WESTERN-STYLE TOILET FACILITY}
본 발명은, 제1 트랩 및 제2 트랩을 가진 양변기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기 세정시에 제1 트랩 하류의 배수 유로로부터 배기하여 사이펀 배출류를 조기에 형성시키도록 한 양변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변기의 하부에 연속되는 제1 트랩부와, 이 제1 트랩부의 하류측의 제2 트랩부와, 변기 세정시에 제1 트랩부와 제2 트랩부의 사이로부터 배기하여 사이펀 형성을 조기화하기 위한 부압 발생용 아스피레이터를 설치한 양변기 설비가 일본 특허 공개 평10-9625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10-96255호 공보에서는, 제1 트랩부 하류의 배수 유로로부터 아스피레이터에 의해 흡출한 공기가 변기 세정수와 함께 림으로 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악취나 오수 비말이 변기로 유출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10-96255호에서는, 아스피레이터의 부압을 그대로 제1 트랩부 하류의 배수 유로에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대용량의 부압을 제1 트랩부 하류의 배수 유로에 전달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위생적인 양변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젝터의 부압을 축적해 두고, 대용량의 부압을 이용하여 배수 유로로부터 흡인 배기할 수 있는 양변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양변기 설비는, 림 및 변기와, 이 변기에 연속되는 제1 트랩과, 이 제1 트랩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2 트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변기; 및 이 양변기의 세정시에 제1 트랩과 제2 트랩을 연통하는 배수 유로로부터 흡인 배기하는 이젝터를 포함한다. 이 양변기 설비는, 또한 이젝터의 부압을 상기 배수 유로에 전달하는 부압 전달 유로를 포함한다. 이 이젝터는, 그 배수 수류를 상기 제2 트랩 또는 그보다 하류측으로 유출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양변기 설비는, 림 및 변기와, 이 변기에 연속되는 제1 트랩과, 이 제1 트랩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2 트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변기; 및 이 양변기의 세정시에 제1 트랩과 제2 트랩을 연통하는 배수 유로로부터 흡인 배기하는 이젝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 양변기 설비는, 또한 이 이젝터의 부압을 상기 배수 유로에 전달하는 부압 전달 유로와, 이 부압 전달 유로의 도중에 설치된 부압 탱크와, 이 부압 탱크와 상기 배수 유로 사이의 부압 전달 유로에 설치된, 양변기의 세정시에 개방되는 부압 전달 밸브를 포함한다.
도 1a는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설비의 비세정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양변기 설비의 세정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설비에 있어서의 부압 탱크 내를 부압으 로 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b는 도 1a의 양변기 설비에 있어서의 림 세정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양태의 양변기 설비에 있어서는, 이젝터는 제1 트랩과 제2 트랩을 연통하는 배수 유로의 기체를 흡출하여, 이 이젝터의 배출 수류와 함께 제2 트랩 또는 그보다 하류측으로 유출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수 유로의 기체를 흡인함으로써, 조기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 유로의 악취나 오수 비말 등이 제2 트랩 이후에 배출되기 때문에 위생적이다.
제1 양태의 양변기 설비는, 변기 세정시에 상기 림 및 이젝터에 급수하는 급수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급수 제어 장치에 의해, 림 및 이젝터에 급수하는 타이밍이 임의로 제어됨으로써, 변기가 신속하면서 효율적으로 세정된다.
제1 양태의 양변기 설비는, 부압 전달 유로의 도중에 설치된 부압 탱크와, 이 부압 탱크와 상기 배수 유로 사이의 부압 전달 유로에 설치된 이 양변기의 세정시에 개방되는 부압 전달 밸브를 구비하여도 좋다.
제1 양태의 양변기 설비 및 제2 양태의 양변기 설비에 있어서는, 부압 전달 유로의 도중에 부압 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부압 탱크와 배수 유로 사이의 부압 전달 유로에 부압 전달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압 전달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젝터에 의해 부압 탱크 내를 부압으로 한 후, 이 부압 전달 밸브가 개방됨으로써, 배수 유로의 기체가 단숨에 흡인 배기되고, 사이펀 작용이 신속하면서 강력 하게 발생한다.
제2 양태의 양변기 설비는, 부압 탱크와 이젝터 사이의 부압 전달 유로에, 공기가 부압 탱크로부터 이젝터에 유출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것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역류 방지 장치를 구비하여도 좋으며, 이에 따라 이젝터로의 통수가 정지되어도 부압 탱크 내에는 부압이 축적된 상태가 된다.
제2 양태의 양변기 설비는, 또한 양변기의 림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과, 이 급수관의 도중에 설치된 세정 제어 밸브와, 이 세정 제어 밸브보다 상류측의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이젝터에 접속된 분기관과, 이 분기관에 설치된 상기 이젝터에의 급수 밸브와, 변기 세정에 앞서서 우선 이젝터 급수 밸브를 소정 시간 개방시켜 부압 탱크 내를 부압으로 하고, 계속해서 상기 세정 제어 밸브 및 부압 전달 밸브를 개방시키는 밸브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제어 장치가, 변기 세정에 앞서서 우선 이젝터 급수 밸브를 소정 시간 개방시켜 부압 탱크 내를 부압으로 하고, 계속해서 세정 제어 밸브 및 부압 전달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배수 유로의 기체를 강력히 흡인 배기하며, 신속하면서 강력하게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설비의 비세정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양변기 설비의 세정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검게 칠한 밸브는 폐쇄 상태의 밸브이며, 흰색 밸브는 개방 상태의 밸브이다.
도기제의 양변기 본체(1)에 있어서 변기(2)의 상부 내주에 림(3)이 설치되어 있다. 변기(2)의 하부에 제1 트랩(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트랩(4)은 제1 배수 유로(5)를 통해 제2 트랩(6)과 연통하고 있다. 이 제1 배수 유로(5)는, 제1 트랩(4)으로부터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상승하는 상승부와, 이 상승부에 연속되며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제2 트랩(6)과 연속되는 하강부로 이루어진다.
제2 트랩(6)은, 제2 배수 유로(7)를 통해 배수구(8)와 연통하고 있다. 이 제2 트랩(6)은, 제1 배수 유로(5)의 관 벽 하부의 최하부(6b)의 하측을 돌아가고, 계속해서 범람용의 최상부(6a)에 이르는 U자형 유로로 이루어진다. 이 제2 트랩(6)의 이 최상부(6a)의 높이는 최하부(6b)보다 약간 높게 되어 있다.
변기 본체(1)의 림(3)에 대하여, 세정 제어 밸브(V1)를 구비한 급수관(10)이 접속되어 있다. 이 급수관(10)의 세정 제어 밸브(V1)보다 상류측으로부터 분기관(11)이 분기되어 있다. 이 분기관(11)은 역 U자 형상으로 상승하는 U자관(12) 및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통해 이젝터(20)에 접속되어 있다. 이젝터(20)의 물 배출구는 배관(13)을 통해 제2 배수 유로(7)에 접속되어 있다. U자관(12)은, 제2 배수 유로(7)의 배수가 급수관(10)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젝터(20)는, 급수관(10)으로부터의 급수가 분기관(11)을 통해 상류단(작동 유체 도입구)에 도입되고, 하류단(배출 수류의 유출구)으로부터의 배출 수류가 제2 배수 유로(7)로 유출하는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젝터(20)의 스로트부에 설치된 공기 흡인구(20a)에 부압 전달 유로(2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 부압 전달 유로(21)의 타단은 제1 배수 유로(5)의 상 단(5a)에 접속되어 있다.
도 1a, 도 1b에서는, 이젝터(20)의 배출수의 방출용 배관(13)은 변기(1)의 대좌부의 전면측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것은 도 1a, 도 1b가 모식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이 배관(7)은 제2 배수 유로(7)의 측면이나, 또는 변기의 스커트부로 덮인 지점 등,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 지점 또는 눈에 띄지 않는 지점에 접속된다. 또한 배관(13)은, 도 2a, 도 2b와 같이, 제2 트랩(6) 내에 방수(放水)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세정 제어 밸브(V1) 및 이젝터 급수 밸브(V2)는, 각각 급수 제어 수단(30)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이 급수 제어 수단(30)은, 본 실시예에서는, 변기 본체(1)의 후측부 상면에 적재된 변기 시트(도시 생략)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변기 설비의 작동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비세정시]
비세정시에는 도 1a와 같이, 세정 제어 밸브(V1) 및 이젝터 급수 밸브(V2)는 폐쇄되어 있다.
[세정시]
도시하지 않는 세정 스위치가 조작되면, 급수 제어 수단(30)이 도 1b와 같이, 세정 제어 밸브(V1) 및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개방한다. 이들 세정 제어 밸브(V1) 및 이젝터 급수 밸브(V2)가 개방되면, 급수관(10)으로부터 세정 제어 밸 브(V1) 및 림(3)을 통해 변기(2) 내에 세정수가 급수되어, 변기(2) 내가 세정되는 동시에, 급수관(10)으로부터, 분기관(11), U자관(12), 이젝터 급수 밸브(V2) 및 이젝터(20)를 통해, 배관(13)의 단부로부터 제2 배수 유로(7) 내로 급수가 배출된다. 이젝터(20) 내에 급수가 흐름으로써, 이젝터(20)의 흡인구(20a)에 부압이 발생하고, 제1 배수 유로(5)의 기체가 흡인 배기된다. 이 흡인 배기된 기체는, 배관(13) 내에서 급수와 혼합된 후, 이 배관(13)을 통과하여 제2 배수 유로(7)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1 배수 유로(5)의 공기가 흡인 배출됨으로써, 제1 트랩(4)에 조기에 강력한 사이펀 배출류가 형성된다. 이 때, 제1 배수 유로(5)로부터 흡인 배출된 공기는 제2 배출 유로(7)에 배출되고, 화장실 내로 전혀 확산되지 않는다. 제1 배수 유로(5)로부터의 흡인 배기에 오수의 비말 등이 동반되어 있어도, 이들은 제2 배수 유로(7)로 배출되고, 변기(2)에는 복귀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위생적이다.
이젝터(20)로의 통수 시작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급수 제어 수단(30)이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폐쇄한다. 그 후는, 통상의 사이펀형 변기와 마찬가지로, 변기(2) 내의 오수가 사이펀 작용에 의해 제2 배출 유로(7)로 배출된다.
[세정 정지]
이젝터 급수 밸브(V2)의 밸브 폐쇄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변기(2) 내의 오수의 거의 모두가 배출되고, 사이펀이 파봉(破封)되며, 그 후 변기(2)의 바닥부에, 림(3)으로부터의 유출수가 서서히 고여서, 저수면이 형성된다. 그래서, 급수 제어 수단(30)이 세정 제어 밸브(V1)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일련의 세정 동작이 종료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급수 제어 수단(30)에 의해 세정시에는 세정 제어 밸브(V1) 및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동시에 개방하였지만, 세정시에, 이젝터 급수 밸브(V2)보다 조금 늦게 세정 제어 밸브(V1)를 개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림(3)으로의 급수에 앞서서 제1 배수 유로(5) 내를 흡인 배기하기 때문에, 사이펀 형성을 더 조기화할 수 있다.
반대로, 세정 제어 밸브(V1)보다 조금 늦게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개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우선 세정 제어 밸브(V1)를 개방하고, 림 세정을 행한다. 이 세정수는 변기(2)에 공급되어 변기(2)의 헤드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제1 트랩(4)으로부터 범람하여 제2 트랩(6)에 공급되어 제2 트랩(6)을 봉수(封水)한다. 계속해서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제1 배수 유로(5) 내가 흡인 배기되고, 사이펀이 형성된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제2 트랩(6)의 관 벽의 최하부(6b)가 이 제2 트랩(6) 내의 봉수에 약간 침지되도록 범람측 최상부(둑부)(6a)보다 약간 아래에 하고 있지만, 이 최하부(6b)는 최상부(6a)보다 약간 높게 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1 배수 유로(5)가 흡인 배기되었을 때에, 제2 트랩(6) 내의 물도 제1 트랩(4)측에 흡입되고, 이에 따라 최하부(6b)가 제2 트랩(6)의 봉수에 침지되며, 제1 배수 유로(5)와 제2 배출 유로(7)가 격절된다.
도 2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설비에 있어서의 부압 탱크 내를 부압으로 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양변기 설비에 있어서의 림 세정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설비는, 부압 전달 유로(21)의 도중에 부압 탱크(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압 탱크(40)와 제1 배수 유로(5) 사이의 부압 전달 유로(21)에 부압 전달 밸브(V3)가 설치되고, 부압 탱크(40)와 이젝터(20) 사이의 부압 전달 유로(21)에는, 유체가 부압 탱크(40)로부터 이젝터(20)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이것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역류 방지 수단으로서의 체크 밸브(V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젝터(20)의 배출수용 배관(13)이, 그 방출수를 제2 트랩(6) 내의 봉수에 주입하도록 제2 트랩(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세정 제어 밸브(V1) 및 이젝터 급수 밸브(V2)에 추가로, 부압 전달 밸브(V3)도 전기 배선에 의해 밸브 제어 수단(30A)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설비의 그 외의 구성은, 도 1a 및 도 1b의 양변기 설비와 마찬가지이며, 도 1a 및 도 1b와 동일한 부호는 도 1a 및 도 1b와 동일한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변기 설비의 작동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비세정시]
비세정시에는, 세정 제어 밸브(V1), 이젝터 급수 밸브(V2) 및 부압 전달 밸브(V3)가 폐쇄되어 있다.
[세정시]
1. 부압 탱크 내에의 부압 축적
변기 사용자에 의해 세정 스위치가 조작되면, 도 2a와 같이, 밸브 제어 수단(30A)이 우선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부압 탱크(40) 내의 공기가 이젝터(20)에 흡인되고, 부압 탱크(40) 내가 부압으로 된다. 또한, 체크 밸브(V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젝터(20)로의 통수가 정지되어도, 부압 탱크(40) 내에는 부압이 축적된 상태로 된다.
2. 변기 세정
이어서, 도 2b와 같이, 밸브 제어 수단(30A)이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폐쇄하는 동시에, 세정 제어 밸브(V1) 및 부압 전달 밸브(V3)를 개방한다. 이 세정 제어 밸브(V1)의 개방에 의해, 급수관(10)으로부터 림(3)을 통해 변기(2)에 급수되어, 림 세정이 행해진다. 또한, 부압 전달 밸브(V3)의 개방에 의해, 제1 배수 유로(5)의 공기가 부압 탱크(40) 내에 흡인되고, 사이펀 작용이 신속하면서 강력하게 발생한다. 또한, 부압 전달 밸브(V3)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폐쇄되어, 오수가 부압 탱크(40) 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사이펀 배출류에 의해, 변기(2) 내의 오수가 제2 배출 유로(7)에 배출된다. 곧, 변기(2) 내의 오수의 대부분이 배출되고, 제1 트랩(4)의 사이펀이 브레이크된다. 그 후, 림(3)으로부터의 물에 의해 변기(2)의 바닥부에 물이 서서히 고인다.
3. 정지
그래서, 밸브 제어 수단(30A)이 세정 제어 밸브(V1)를 폐쇄하고, 세정이 종료한다. 림(3) 내에 남아 있던 물이 변기(2) 내에 유입되어 충분한 저수면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배수 유로(5)로부터 부압 탱크(40)에 흡출된 공기는, 다음번의 변기 세정시의 부압 탱크 내부압 축적 공정에서 제2 트랩(6)측으로 배출된다. 제1 배수 유로(5)로부터의 공기에 동반한 비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림 세정시에 도 2b와 같이, 세정 제어 밸브(V1)와 부압 전달 밸브(V3)를 동시에 개방하였지만, 부압 전달 밸브(V3)를 약간 빠르게 개방하여 트랩(4) 내를 조기에 흡인하여 사이펀 형성을 빠르게 하여도 좋다. 반대로 세정 제어 밸브(V1)를 빠르게 개방하여 림 세정, 헤드 상승을 행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림 세정시에, 역류 방지를 위해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폐쇄하였지만, 개방한 생태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받아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개방시켜 이젝터(20)의 기동을 행하고 있지만, 인체 검지 센서나 착좌 센서에 의해 사용자를 검지하면 밸브(2)를 개방시켜 이젝터(20)를 기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1a 및 도 1b에서는 세정 제어 밸브(V1) 및 이젝터 급수 밸브(V2)의 개폐를 위해 급수 제어 수단(30)을 설치하였지만, 플래시 밸브 및 세정 제어 밸브(V1) 및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일체화하고, 플래시 밸브의 조작에 의해 세정 제어 밸브(V1) 및 이젝터 급수 밸브(V2)가 기계적으로 소정 시간 개방하는 밸브 장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제2 트랩은 플래퍼 밸브라도 좋다.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체크 밸브(V4)를 생략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변기 세정에 있어서, 우선 이젝터 급수 밸브(V2)를 개방하고, 이젝터(20)의 흡인력에 의해 부압 탱크(40) 내를 부압으로 한다. 계속해서, 부압 전달 밸브(V3) 및 세정 제어 밸브(V1)를 개방하고, 제1 배수 유로(5) 내에 물을 흘리는 동시에 제1 배수 유로(5) 내의 공기를 부압 탱크(40)에 흡인시켜 사이펀 배출류를 발생시킨다.

Claims (6)

  1. 림 및 변기와,
    상기 변기에 연속되는 제1 트랩과,
    상기 제1 트랩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2 트랩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양변기; 및
    상기 양변기의 세정시에 상기 제1 트랩과 제2 트랩을 연통하는 배수 유로로부터 흡인 배기하는 이젝터를 포함하는 양변기 설비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의 부압을 상기 배수 유로에 전달하는 부압 전달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그 배수 수류를 상기 제2 트랩 또는 그보다 하류측으로 유출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변기 세정시에 상기 림 및 이젝터에 급수하는 급수 제어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전달 유로의 도중에 부압 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압 탱크와 상기 배수 유로 사이의 부압 전달 유로에, 상기 양변기의 세정시에 개방되는 부압 전달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설비.
  4. 림 및 변기와,
    상기 변기에 연속되는 제1 트랩과,
    상기 제1 트랩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2 트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변기; 및
    상기 양변기의 세정시에 상기 제1 트랩과 제2 트랩을 연통하는 배수 유로로부터 흡인 배기하는 이젝터를 포함하는 양변기 설비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의 부압을 상기 배수 유로에 전달하는 부압 전달 유로와,
    상기 부압 전달 유로의 도중에 설치된 부압 탱크와,
    상기 부압 탱크와 상기 배수 유로 사이의 부압 전달 유로에 설치된, 상기 양변기의 세정시에 개방되는 부압 전달 밸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설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탱크와 상기 이젝터 사이의 부압 전달 유로에, 공기가 부압 탱크로부터 이젝터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이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역류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설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의 림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도중에 설치된 세정 제어 밸브와,
    상기 세정 제어 밸브보다 상류측의 급수관으로부터 분기하고, 상기 이젝터에 접속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설치된 상기 이젝터로의 급수 밸브와,
    변기 세정에 앞서서 우선 상기 이젝터 급수 밸브를 소정 시간 개방시켜 부압 탱크 내를 부압으로 하고, 계속해서 상기 세정 제어 밸브 및 부압 전달 밸브를 개방시키는 밸브 제어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설비.
KR1020077016715A 2004-12-22 2005-12-13 양변기 설비 KR200700975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71467 2004-12-22
JPJP-P-2004-00371467 2004-12-22
JP2005199063A JP4736574B2 (ja) 2004-12-22 2005-07-07 洋風便器設備
JPJP-P-2005-00199063 2005-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529A true KR20070097529A (ko) 2007-10-04

Family

ID=3660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715A KR20070097529A (ko) 2004-12-22 2005-12-13 양변기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94282B2 (ko)
EP (1) EP1832688A1 (ko)
JP (1) JP4736574B2 (ko)
KR (1) KR20070097529A (ko)
WO (1) WO20060680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941B1 (ko) * 2007-09-21 2014-10-14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변기 배수로의 흡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5403A1 (ja) * 2005-08-01 2007-02-08 Inax Corporation 便器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4846536B2 (ja) * 2005-11-23 2011-12-28 パディリャ リーバス ドナート スチームバス
JP4994089B2 (ja) * 2007-04-04 2012-08-08 株式会社Lixil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US20100251471A1 (en) * 2009-04-07 2010-10-07 Cadavid Gonzalez Jorge Anibal Gravity fed toilet device of mega low water comsumption
CN201512849U (zh) * 2009-09-24 2010-06-23 山东华腾环保科技有限公司 真空辅助便器
CA2779877A1 (en) * 2009-11-06 2011-05-12 Lixil Corporation Flush tank device and flush toilet
WO2017132175A1 (en) 2016-01-25 2017-08-03 Kohler Co. Line pressure-driven, tankless, siphonic toilet
US11299877B2 (en) 2019-02-28 2022-04-12 Kohler Co. Fluid connector for toile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111A (en) * 1897-01-12 Closet-operating tank and valve
US614648A (en) * 1898-11-22 Cistern for water-closets
US255485A (en) * 1882-03-28 James e
US3234565A (en) * 1963-03-20 1966-02-15 Armitage Ware Ltd Flushing cistern and watercloset suite of the double trap type
US5487193A (en) * 1992-04-17 1996-01-30 Fluidmaster, Inc. Enhanced operation toilet
JP3216846B2 (ja) * 1993-08-12 2001-10-09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式便器
US5579542A (en) * 1995-02-23 1996-12-03 Eljer Manufacturing, Inc. Toilet with water saving, vacuum-assisted flush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JPH1096255A (ja) * 1996-07-29 1998-04-14 Inax Corp 便器洗浄装置
JP4411757B2 (ja) * 2000-08-22 2010-02-10 Toto株式会社 水洗便器の洗浄方法及び水洗便器
US7207073B1 (en) * 2001-10-18 2007-04-24 The American Team Vacuum assisted toi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941B1 (ko) * 2007-09-21 2014-10-14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변기 배수로의 흡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94282B2 (en) 2009-09-29
US20070250998A1 (en) 2007-11-01
EP1832688A1 (en) 2007-09-12
JP2006200355A (ja) 2006-08-03
JP4736574B2 (ja) 2011-07-27
WO2006068006A1 (ja)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7529A (ko) 양변기 설비
JP4793019B2 (ja) 便器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1410346B1 (ko) 수세식 대변기
US8142572B2 (en) Lavatory pan washing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JP4697083B2 (ja) 便器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4517978B2 (ja) 便器洗浄装置
JPH08277568A (ja) 水洗トイレ及びトイレ水洗方法
KR20080106174A (ko) 변기 세정 장치
RU2458210C2 (ru) Всасывающее воздух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ренажного канала туалета
JP4517975B2 (ja) 便器洗浄装置
JP2006112056A (ja) 便器装置
JP2007224518A (ja) 便器排水路の排気装置
JP4411757B2 (ja) 水洗便器の洗浄方法及び水洗便器
JP5242073B2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及び吸気装置の吸気方法
JP2008240401A (ja) 洋風水洗式便器
JP2004143717A (ja) 水洗便器及び排水ソケット
JP2008156879A (ja) 便器装置
JP4517976B2 (ja) 便器洗浄装置
JP4345662B2 (ja) 洋風便器設備
WO2007015405A1 (ja) 便器洗浄装置及び吸気装置
JP2007046308A (ja) 便器洗浄装置
WO2007072779A1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JP3630292B2 (ja) サイホンジェット式水洗便器
JP2001279793A (ja) 水洗便器の洗浄水吐出方法
JP2606035B2 (ja) 大便器用フラッシュバルブ及びサイホン式洋風便器の自動予備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