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6026A - 구리 함유 물질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구리 함유 물질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6026A
KR20070096026A KR1020077018693A KR20077018693A KR20070096026A KR 20070096026 A KR20070096026 A KR 20070096026A KR 1020077018693 A KR1020077018693 A KR 1020077018693A KR 20077018693 A KR20077018693 A KR 20077018693A KR 20070096026 A KR20070096026 A KR 20070096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gangue mineral
conversion
separation
ga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9521B1 (ko
Inventor
스티그-에릭 훌트홀름
세포 헤이말라
테무 리타살로
미코 루오날라
Original Assignee
오토텍 오와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텍 오와이제이 filed Critical 오토텍 오와이제이
Publication of KR2007009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02Preliminary treatment
    • C22B15/0004Preliminary treatment without modification of the copper constituent
    • C22B15/0008Preliminary treatment without modification of the copper constituent by we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26Pyrometallurgy
    • C22B15/0028Smelting or converting
    • C22B15/0047Smelting or converting flash smelting or conver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 C22B3/08Sulfuric acid, other sulfurated acids or sal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에서 규산염 등의 불순물 및 맥석 광물을 사실상 완벽하게 제거하는 구리제련 같은 구리 함유 원료의 처리에 관한 발명이다.
구리 함유 원료, 제련

Description

구리 함유 물질의 처리 방법{METHOD FOR THE TREATMENT OF COPPER-BEARING MATERIALS}
본 발명은 재료에서 규산염 등의 불순물 및 맥석 광물을 사실상 완벽하게 제거하는 구리 정광 같은 구리 함유 물질의 처리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리, 니켈 및 귀금속을 선광 (concentration) 및 습식 야금 방법을 사용하여 충분한 칼로리 값 및 고 구리 함량을 가진 황화물의 중간 생성물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WO 특허 출원 2005/007905, 2005/007902 및 2005/007901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용액에서 예컨대 아래의 반응식 (1) 에 따라서 발생한다.
xCu2 ++yCuFeS2->zCuxS+yFeSO4+(y-z)H2SO4 (1)
여기서, 용액 중의 구리는 철 함유 황화 물질을 사용한 전환에 의하여 황화 구리의 형태로 전환된다. 동일한 종류의 철 함유 황화 물질로 일어나는 전환 반응은 예를 들면, 니켈-구리 매트 침출에서뿐만 아니라, 용액으로부터 니켈 및 귀금속을 회수하는대 사용된다.
상술한 WO 특허 출원 2005/007905, 2005/007902 및 2005/007901에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면, 예를 들면 구리 정광의 철 함유량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전환에서 얻어진 구리 정광이 규산염 같은 맥석 광물을 여전히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방법에서는 때때로 몇몇 문제가 발생한다. 만일, 이러한 종류의 철이 고갈된 구리 정광이 구리 제련에 사용되면, 이런 규산염은 슬래그가 희망 온도에서 제련기의 밖으로 나오게하도록 충분히 액체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철의 보충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구리 제련 슬래그의 양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고, 재료에서 규산염 등의 불순물 및 맥석 광물을 사실상 완벽하게 제거하는 구리 정광 같은 구리 함유 원료의 처리를 위한 개선된 방법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황산, 염산 혹은 이와 동등한 산 등의 산 및 산소, 공기 혹은 산소가 풍부한 공기 같은 산소 함유 가스가 있는 상태에서 구리 정광 같은 처리될 구리 함유 물질에 조건들이 적용되고, 상기 주 반응식 (1) 에 따라 황화 철 함유 물질을 사용하는 전환으로 용액에서 얻어진 구리는 황화구리 형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이렇게 생성된 황산 - 황산철 (ferrous sulphate) 용액도 비소, 안티몬, 비스무스, 우라늄, 아연, 니켈 및 코발트 성분 등의 침출된 구리 함유 물질의 불순물을 포함한다. 전환에 의하여 얻어진 황화 구리와 함께, 맥석 광물 예를 들면 규산염은 비중의 차이에 근거한 방법 및/혹은 부유 선광 (flotation) 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서 분리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전환에 의해 얻어진 황화 구리 함유 물질의 부유 선광에서, 황화 구리 및 재료를 함유한 황화 구리에서 그와 함께 있는 귀금속이 거품이 나고, 규산염과 같은 맥석 광물은 억제 화학물에 의하여 부유 선광 공정의 잔류물에 들어가도록 부유 선광 공정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 선광 공정은 규산염과 같은 맥석 광물이 거품이 나고 귀금속과 함께 구리 함유 황화물이 억제 화학물에 의하여 부유 선광 공정의 잔류물에 회수되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 어느 방법으로 진행하던지 간에, 광물 전극 (mineral electrode)을 사용하는 전기화학 교류 분광 혹은 특정 전기화학 전위 방법이 부유 선광 공정에서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전환 온도가 170 ~ 260℃, 바람직하게는 200~220℃에서 유지될 때, 전환의 황화 구리 생성물의 철 함유량이 유리하게 감소되며, 맥석 광물의 분리가 개선된다.
구리 함유 물질의 다른 처리 혹은 침출에 사용된 물에 상당량의 불화물 및/또는 염화물이 있다면, 규산염과 같은 맥석 광물뿐만 아니라, 불화물 및/혹은 염화물과 같은 할라이드가, 예를 들면, 전환에서 얻어진 일반적으로 조악한 않은 황화 구리 재료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대부분은 심지어 전환에 의해 얻어진 황화 구리 물질의 물 분리 동안에 분리된다. 이는 조약도 (coarseness) 및 이에 따른, 황화 구리 전환 생성물의 낮은 잔류 습도 및 뛰어난 여과 능력도 때문에 가능하다. 황화 구리 물질 및 할라이드의 분리는 화학물질 및/혹은 전류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환원 상태에서 황화 구리 재료의 세정 및/혹은 여과를 수행함에 의하여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구리 함유 물질 및 많은 국부적인의 물 공급 및 수질 문제에 대해 매우 실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구리 함유 광석외에도 구리 폐기물, 제련기 먼지 및 구리-아연-납 광석을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에 언급한 광석은 황비철광 혹은 황철광 같은 귀금속을 함유하는 광물을 포함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는 본 방법에 따르면 귀금속을 함유한 황화 구리 물질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예를 들면, 해수 같은 염분 함유 물을 공정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전체 공정에서 구리 및 산 균형을 조절하기 위해서 히프 침출 (heap leaching) 같은 다양한 침출 단계의 사용 및 예를 들면, 공정 최적화에서 촉매 및 광물 전극을 사용하여 공정을 조절할 때,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는 얻어지는 공정 파라미터들이 유용하다는 것을 전제한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목적 즉, 맥석 광물 및 황화 구리의 분리를 강화할 수 있다.
전환 후에 바람직하게는 부유 선광에 의해서 수행되는 분리 공정으로부터 얻어지는 SiO2가 풍부한 규산염 함유분에는 여전히 구리 및 다른 값진 성분이 어느 정도 있다. SiO2가 풍부한 분획물에 있는 구리 및 다른 값진 성분은 몇몇 다른 전체 구리 함유 물질 공정에 관한 침출 단계 중에 혹은 상기 분획물을 별도로 침출하여 회수될 수 있다. SiO2 풍부 분획물도 최초 구리 함유 광석의 부유 선광에 되돌려 보내질 수 있다. 또한, 추가 처리 전에 전환 후 분리 단계로부터 얻어진 SiO2 풍부 분획물에 대해 필요하다면, 조악한 황화물의 부분적인 분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환 후 분리 단계, 즉 맥석 광물의 제거로부터 얻어진 맥석 광물 생성물은 예를 들면 침출 혹은 부유 선광과 같은 전기 화학적으로 제어되는 추가 공정에 광물 전극에 의하여 보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이 예를 들면, 구리 제련 공정에 얻어진 슬래그에 적용되면, 슬래그의 구리 성분은 우선 전환에 의해서 황화물 형태로 전환되며, 슬래그의 맥석 광물 함유량, 예를 들면 이산화규소 (SiO2) 함유량은 전환에 의해 얻어진 황화물 생성물의 부유 선광에서 감소된다. 따라서, 이렇게 얻어지는 낮은 SiO2 함유량을 가진 황화 구리 함유 부유 선광 생성물을 황화 구리 원료를 사용하는 제련기에 공급하면, 제련기를 나가는 슬래그의 양은 이 양만큼 감소된다.
낮은 SiO2 함량 때문에, 황화 구리 함유 물질의 제련으로부터 얻어지는 슬래그는 여러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 슬래그는, 예를 들면, 유리하게는 입상화되고, 본 발명에 따른 철 함유 황화물과 함께 전환 후 부유 선광에서 얻어진 SiO2 풍부 분획물 및 구리 함유 물질의 제련으로부터의 먼지와 함께 혹은 별도로 침출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SiO2 분과 함께 남은 구리 및 값진 성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되게 만들어지며, 따라서, 구리가 다른 슬래그 처리를 필요로 함이 없이 추가의 공정에 이용될 수 있다. 구리 함유 물질의 제련으로부터 얻어진 슬래그는 건식 야금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전기 노에서 제련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구리 전환에 들어가는 용해성 구리의 잠재적인 부족은 구리 전환 구리 균형을 유리하게 유지하기 위해 추가의 다른 구리 함유 원료를 침출함으로써 채워진다.
구리 제련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처리된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할 때, 제련으로 들어가는 구리의 Cu/Fe/SiO2 비 및 전환에 의해 얻어진 구리 풍부 전환 생성물의 Cu/Fe/SiO2 비는 최종 제련 결과에 대하여 극히 중요하며, 예를 들면, 전기 화학적인 전위를 사용하는 광물 전극 측정 장치를 가지고 본질적으로 다른 구리 함유 원료에 상관없이 전환 및 관련 맥석 광물 분리에서 Cu/Fe/SiO2 비를 바람직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체 공정에 존재하는 황 균형은 광물 전극 측정 장치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서, 서브 콤포넌트는 특히 S2 - 이온, 원소형 황 S0 및 황산염황 SO4 2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할 때, 맥석 광물의 본질적으로 황화 구리가 없는 상이 예를 들면 구리 제련에 공급될 수 있으며, 규산염 같은 맥석 광물의 SiO2 함유 분은 SiO2 함유 분에 남아있는 구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처리될 수 있고, 전체 공정에서 구리 수율은 원 구리 같은 최종 구리 함유 제품에서 최적으로 99%이상으로 극히 높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이 구리 함유 물질의 제련에 적용될 때, 처리되는 재료의 침출, 구리의 황화물로의 전환 및 황화물 전환 생성물로부터 규산염 같은 맥석 광물의 분리 또한 제련과정과 완벽하게 개별적으로, 심지어 떨어진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맥석 광물의 분리와 구리 회수 사이에 전달되는 것은 보통 65~77%의 구리를 함유하는 황화 구리 정광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구리 제련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전환 후 부유 선광에서 구리와 SiO2 분의 수율의 관계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 는 전환 후 부유 선광에서 구리와 SiO2 분의 함유량 비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 에 따르면, 황화 구리 및 가능하게는 다른 값진 성분을 함유한 광석 (1) 이 값진 성분을 함유하는 황화 구리 정광 (3) 을 얻기 위하여 부유 선광 (2) 에 보내진다. 부유 선광으로부터 얻어진 황화 구리 정광은 침출 (4) 에 보내진다. 침출 (4) 은 황산 (5) 및 산소 (6) 같은 산화제의 존재 하에서, 바랍직하게는 220℃의 온도에서 수행되며, 황화 구리 정광 내의 구리는 침출 (4) 에서 Cu+/Cu++ 이온으로 용해된다. 침출 (4) 후에, 용해된 구리는, 220℃ 의 온도에서, 황화철 (31) 을 포함한 물질의 존재 하에서 반응식 (1) 에 따라서 전환 (7) 을 받게 되어, 황화 구리 생성물, 황산 제1철 (ferrous sulphate) 및 황산이 얻어진다. 이 황산 및 황산 제1철의 용액 또한, 비소, 우라늄, 아연, 니켈 및 코발트 성분 등의 침출된 황산 구리 정광의 불순물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흐름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리 함유 광석 부유 선광 단계 (2) 로부터 얻어진 부유 선광 잔류물 (8) 은 습식 야금 처리 (9) 에 보내지며, 이 처리에서 산소 함유제 (11) 의 존재 하에서 침출이 부유 선광 잔류물에 대해 수행되고, 황산 (10) 으로 얻어진 용액의 추출 및 스트리핑이 이어진다. 불순물을 함유한 전환 (7) 으로부터 발생되어 불순물을 함유하는 철 염-산소 용액 (25) 이 유리하게는 습식 야금 처리 (9) 에 보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처리 (9) 는 폐기물 (28) 에 들어가는 비소 같은 구리 함유 원료 및 우라늄, 아연, 납, 니켈, 및 코발트 등의 다른 생성물에 불순물의 제거 혹은 회수를 위한 베이스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야금 처리 (9) 의 침출 및 추출 단계로부터 얻어진 황산을 포함한 황산 구리 용액 (26, 27) 은 전환 단계 (7) 외에도 침출 단계 (4) 에도 공급될 수 있다.
황산 구리 및 황산을 사용하여 전환 (7) 에서 얻어진 황화 구리 생성물 (12) 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부유 선광 (13) 에 의한 규산염과 같은 맥석 물질의 제거에 보내진다. 부유 선광 (13) 으로부터 얻어진 황산 구리 생성물 (14) 은 원 구리 제조를 위한 플래쉬 제련기 (15) 에 보내진다. 규산염과 같은 맥석 물질을 포함한 부유 선광 (13) 으로부터 얻어진 부유 선광 잔류물 (16) 은 구리 함유 광석 (1) 의 최초 부유 선광 (2) 으로 되돌려 보내진다.
플래쉬 제련기 (15) 로부터 얻어진 원 구리 (33) 는 용융 상태로 애노드 노 (17) 에 보내지고, 또한, 용융원 구리로부터 구리의 전해 정련 (18) 에 적합한 애노드 (anode) 로 주조된다. 황산을 포함하고 전해 정련 (18) 으로부터 얻어진 불순한 황산 구리 용액 (19) 은 황화 구리 정광 침출 (4) 에 되돌려 보내지며, 캐 소드 (cathode) 가 구리로부터 형성되며, 구리의 추가 처리용 원료로서 사용된다. 플래쉬 제련기 먼지 (32) 는 예를 들면, 필요하다면 다른 구리 원료 (34) 또한, 공급될 수 있는 습식 야금 처리 (9) 로 되돌아 갈 수 있다.
플래쉬 제련기 (15) 로부터 얻어진 슬래그 (20) 는 전기로 (21) 에 보내지며, 슬래그 농축되고, 여기서 얻어진 구리 풍부 상 (24) 은 제련기 (15) 에 다시 보내져 재제련된다. 제련기 (15) 로부터의 배출 가스 (22) 는 황산 플랜트 (23) 에 보내지며, 여기서 얻어진 황산은 구리 정광 침출 (4) 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험하기 위해서, 표 1 및 2 에서 제시된 4개의 실험이 우선 수행되었으며, 이 실험에서 황철석 (FeS2) 혹은 황비철석 (FeAsS) 같은 철 함유 황화물의 존재 하에서, 황동광(CuFeS2), 반동광 (Cu5FeS4) 및 다이게나이트 (Cu2 - xS) 같은 구리 함유 구리 광물 및 규산염 및 산화철 같은 맥석 광물을 포함하는 물질에 대해 전환이 수행되었다. 처리되는 물질에서 맥석 광물의 전체 SiO2 함유량은 5.2 중량%이었다.
실험 1~3에서, 구리 함유 물질의 침출로부터 직접 구리 용액이 전환에 보내졌고, 히프 (heap) 침출 후에 구리의 액-액 추출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선광되었다. 실험 4에서, 결합된 침출과 전환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이 실험에서 침출 단계에서 제 1 간격은 0~30 분이며, 전환단계에서 간격은 30~60분이었다.
광물 및 백금 전극을 사용하여 공정 단계들을 모니터링 및 조절하였으며, 예 를 들면, 전환단계에서 전극의 에너지 레벨은 AgCl/Ag에 대하여 +300 ~ +370 mV 로 유지되었다.
Figure 112007058967499-PCT00001
시간의 함수로서 Fe의 함유량
Figure 112007058967499-PCT00002
시간의 함수로서 Cu의 함유량
표 1 및 2에 따르면, 실험 1~3에서 전환 온도는 각각 160, 190 및 220℃이며, 실험 4에서는 전환 온도 및 침출 온도 모두 220℃이었다. 표 1 은 시간의 함수로서 전환 동앙네 고형물에서 철 함유량의 변화를 보여주고, 표 2 는 시간의 함수로서 용액의 구리 함유량을 보여준다. 실험 1~3에서, 남아 있는 고형물에서 SiO2의 함유량은 거의 일정하였으며, 실험 4에서 최종 SiO2 함유량은 거의 두배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실험 3으로부터의 최종 잔류물에 적용되었으며, 이 최종 잔류물은 최종 침전물에 아직 있는 황화 구리 및 값진 금속 성분을 회수하도록 부유 선광되었다. 부유 선광의 결과가 도 2 및 도 2에 나타나있다. 도 2 는 구리 및 SiO2 분의 수율 종속성을 보여주며, 도 3 은 구리 및 SiO2 분의 함유량 비를 보여준다. 도 2 및 도 3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RC 거친 농축 (rough concentrate), SC 스캐빈저 농축 (scanvenger concentrate), CC1 제 1 사이클로부터의 농축, CC2 제 2 사이클로부터의 농축. 물질은 우선 사전 포말 처리되도록 부유 선광이 수행되었고, 그 후 거친 농축에 대해 스캐빈징이 수행되었다. 이렇게 해서, 반복 부유 선광이 결과적으로 얻어진 농축물에 대해 도 단계로 수행되었다.
도 2 에서, 구리 및 SiO2 분의 수율 종속성이 그래프로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x 축은 구리 수율 (중량%) 을 나타내고, y 축은 SiO2 수율 (중량 %) 을 나타낸다. 도 2 에서, 시작점 (공급) 은 각 분획물의 수율이 100 중량% 인 점이다. 이 그래프는 거친 농축 및 스캐빈저 농축을 거친 후 SiO2의 수율이 시작점의 약 40%로 떨어졌으며, 구리 수율은 시점의 약 95%임을 보인다. 두 반복 선광 사이클 (CC2) 후에, 최초 SiO2 수율의 약 10%만이 있으며, 이는 SiO2 함유량의 약 90%가 제거된 것을 의미한다. 한편, 원래 구리 함유량의 약 63%는 아직 존재한다.
도 3 은 구리와 SiO2 분의 함유량 종속성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 x 축은 구리 함유량 (중량%) 을 나타내며, y 축은 SiO2 함유량 (중량%) 을 나타낸다. 부유 선광의 시작점 (공급) 에서 SiO2의 함유량은 5.2중량%이고, 구리 함유량은 61.7 중량%이다. 두 반복 부유 선광 단계 후에, SiO2 함유량은 1.0 중량%로 떨어졌으며, 구리 함유량은 67.5 중량%로 증가되었다.

Claims (14)

  1. 구리 함유 물질을 침출 (4) 하고, 황화 구리 (12) 를 얻기 위하여 황화철을 함유한 물질 (31) 의 존재 하에서 침출 생성물에 대해 전환 (7) 을 수행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환에서 얻어진 황화 구리 (12) 의 추가 처리 전에, 그 황화 구리 (12) 에 대해 맥석 광물 분리 (13)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맥석 광물 분리 (13) 는 부유 선광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 구리의 값진 성분은 맥석 광물 분리 (13) 동안에 맥석 광물로부터 부유 선광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맥석 광물은 맥석 광물 분리 (13) 동안에 상기 황화 구리의 값진 성분으로부터 부유 선광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맥석 광물 분리 (13) 는 비중의 차이에 근거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맥석 광물 분리 (13) 를 개선하기 위해서, 맥석 광물 제거 전에 황화 구리 전환 (7) 이 170~26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맥석 광물 분리 (13) 를 개선하기 위해서, 맥석 광물 제거 전에 황화 구리 전환 (7) 이 바람직하게는 200~22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맥석 광물 분리 (13) 로부터 얻어진 맥석 광물 생성물 (16) 은 전환 (7) 전의 침출 (4) 에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맥석 광물 분리 (13) 로부터 얻어진 맥석 광물 생성물 (16) 은 전환 전의 구리 함유 광석의 선광 (concentration)(2) 에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맥석 광물 분리 (13) 로부터 얻어진 맥석 광물 생성물 (16) 은 예를 들면, 침출 혹은 부유 선광과 같은 광물 전극에 의해서 전기화학적으로 제어되는 추가 처리 공정에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맥석 광물 분리 (13) 로부터 얻어진 황화 구리 생성물 (14) 은 원 구리의 제조를 위한 제련기 (15) 에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물 전극을 가진 전기화학적 전위 측정장치가 맥석 광물 분리 (13) 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류 분광법이 맥석 광물 분리 (13) 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화물 및/또는 불화물 과 같은 할라이드의 분리가 전환 (7) 에서 얻어진 황화 구리 물질 (12) 로부터 물의 분리와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KR1020077018693A 2005-02-14 2006-02-13 구리 함유 물질의 처리 방법 KR100929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50160A FI118648B (fi) 2005-02-14 2005-02-14 Menetelmä kuparipitoisten materiaalien käsittelemiseksi
FI20050160 2005-02-14
PCT/FI2006/000046 WO2006084950A1 (en) 2005-02-14 2006-02-13 Method for the treatment of copper-bearing materi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026A true KR20070096026A (ko) 2007-10-01
KR100929521B1 KR100929521B1 (ko) 2009-12-03

Family

ID=3422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693A KR100929521B1 (ko) 2005-02-14 2006-02-13 구리 함유 물질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811534B2 (ko)
EP (1) EP1848834A4 (ko)
JP (1) JP5663129B2 (ko)
KR (1) KR100929521B1 (ko)
CN (1) CN100469908C (ko)
AU (1) AU2006212146B2 (ko)
BR (1) BRPI0607850B1 (ko)
CA (1) CA2597354C (ko)
EA (1) EA011250B1 (ko)
FI (1) FI118648B (ko)
MX (1) MX2007009600A (ko)
PE (1) PE20061020A1 (ko)
WO (1) WO2006084950A1 (ko)
ZA (1) ZA2007061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621A (ko) * 2012-11-06 2015-07-09 발레 에스.에이. 자력 선별에 의한 구리 정광으로부터의 우라늄 제거 공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6070B (fi) * 2003-07-17 2005-09-15 Outokumpu Oy Menetelmä rikasteiden aikaansaamiseksi
FI116686B (fi) * 2003-07-17 2006-01-31 Outokumpu Oy Menetelmä kuparirikasteiden sulattamiseksi
ES2594439T3 (es) * 2008-12-31 2016-12-20 American Sterilizer Company Dispositivo de circulación y evacuación para cámaras de esterilización y cámaras de limpieza multifuncionales
FI122461B (fi) * 2009-06-30 2012-01-31 Outotec Oyj Menetelmä ja laite emolevyn valmistamiseksi kestokatodille elektrolyyttistä prosessia varten
JP5550933B2 (ja) * 2010-02-04 2014-07-1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高砒素含銅物からの砒素鉱物の分離方法
WO2014138809A1 (en) 2013-03-14 2014-09-18 Orway Mineral Consultants (Wa) Pty Ltd Post- and pre-treatment process for use in a method of removal of radionuclides from copper concentrates
KR101444607B1 (ko) 2013-06-24 2014-09-26 이상기 반도체 폐폴리실리콘슬러지로부터 유가금속 회수방법
KR101399953B1 (ko) * 2013-11-20 2014-05-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복합 구리광 선광방법
PE20211336A1 (es) 2014-01-31 2021-07-26 Goldcorp Inc Proceso para la separacion y recuperacion de sulfuros de metales de una mena o concentrado de sulfuros mixtos
KR101618033B1 (ko) 2015-08-07 2016-05-31 주식회사 광메탈 구리 추출용 슬러지 건조설비
CN108554620A (zh) * 2018-04-28 2018-09-21 武汉科技大学 一种白云石型磁铁矿磁选尾矿中回收氟化钙的方法
CN109055720B (zh) * 2018-09-06 2019-10-25 钢研晟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碱法改性和低温硫化还原的铜渣制备铁粉的方法
CN111330740B (zh) * 2020-03-05 2021-10-15 中南大学 一种提高含镁层状硅酸盐矿物与硫化铜矿物浮选分离效率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9068A (en) * 1930-09-03 1933-12-12 Ici Ltd Recovery of copper minerals or values by froth flotation
US1925391A (en) * 1931-02-28 1933-09-05 Kohlmeyer Ernst Justus Process for the recovery of iron from iron and sulphur carrying metallurgical products, especially ores
DE864918C (de) * 1949-06-04 1953-01-29 Chemical Construction Corp Verfahren zur Gewinnung von Kupfer
USRE28570E (en) * 1971-02-16 1975-10-14 High temperature treatment of materials
CA953924A (en) * 1971-02-19 1974-09-03 Cominco Ltd.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extraction of copper and sulphur from copper-iron sulphides
US3891522A (en) * 1972-02-28 1975-06-24 Cominco Ltd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treating copper-iron sulphides
DE2602849C2 (de) * 1976-01-27 1978-02-02 Klöckner-Humboldt-Deutz AG, 500OKoIn Verfahren zum Laugen und Fällen von Metall aus metallhaltigem Feststoff
JPS53140227A (en) * 1977-05-13 1978-12-07 Kobe Cast Iron Works Centrifugal casting machine
US4256553A (en) * 1980-01-23 1981-03-17 Envirotech Corporation Recovering copper from chalcopyrite concentrate
US5176802A (en) * 1991-07-19 1993-01-05 Willem P. C. Duyvesteyn Treatment of copper sulfide concentrates
BR9206321A (pt) * 1991-08-14 1995-04-11 Henkel Corp Processo para recuperar cobre de um concentrado de calcocita.
US5616168A (en) * 1994-02-28 1997-04-01 Kennecott Utah Copper Corporation Hydrometallurgical processing of impurity streams generated during the pyrometallurgy of copper
AUPM969194A0 (en) * 1994-11-25 1994-12-22 Commonwealth Industrial Gases Limited, The Improvements to copper mineral flotation processes
CN1041946C (zh) * 1995-09-20 1999-02-03 重庆钢铁研究所 硫化铜矿湿法炼铜浸出工艺
TR200201715T2 (tr) * 2000-01-04 2002-10-21 Outokumpu Oyj Süspansiyon reaktöründe blister bakırı üretimi için yöntem
US20040200730A1 (en) * 2003-04-14 2004-10-14 Kyo Jibiki Hydrometallurgical copper recovery process
FI116683B (fi) * 2003-07-17 2006-01-31 Outokumpu Oy Menetelmä jalometalleja sisältävien sulfidimalmien käsittelemiseksi
FI116686B (fi) * 2003-07-17 2006-01-31 Outokumpu Oy Menetelmä kuparirikasteiden sulattamiseksi
FI116070B (fi) * 2003-07-17 2005-09-15 Outokumpu Oy Menetelmä rikasteiden aikaansaamiseks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621A (ko) * 2012-11-06 2015-07-09 발레 에스.에이. 자력 선별에 의한 구리 정광으로부터의 우라늄 제거 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8834A4 (en) 2009-10-14
EP1848834A1 (en) 2007-10-31
BRPI0607850A2 (pt) 2009-06-13
CA2597354C (en) 2014-01-07
FI20050160A0 (fi) 2005-02-14
FI20050160A (fi) 2006-08-15
WO2006084950A1 (en) 2006-08-17
FI118648B (fi) 2008-01-31
JP2008530358A (ja) 2008-08-07
CN100469908C (zh) 2009-03-18
EA200701458A1 (ru) 2008-02-28
ZA200706113B (en) 2008-09-25
MX2007009600A (es) 2007-09-25
EA011250B1 (ru) 2009-02-27
US7811534B2 (en) 2010-10-12
KR100929521B1 (ko) 2009-12-03
PE20061020A1 (es) 2006-11-20
US20080152558A1 (en) 2008-06-26
AU2006212146A1 (en) 2006-08-17
AU2006212146B2 (en) 2011-04-28
CA2597354A1 (en) 2006-08-17
BRPI0607850B1 (pt) 2015-06-09
JP5663129B2 (ja) 2015-02-04
CN101120108A (zh)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521B1 (ko) 구리 함유 물질의 처리 방법
Hait et al. Processing of copper electrorefining anode slime: a review
US8052774B2 (en) Method for concentration of gold in copper sulfide minerals
CN100485059C (zh) 从硫化物精矿中回收金的方法
JP4352823B2 (ja) 硫化銅鉱物を含む銅原料の精錬方法
AU2004202870B2 (en) Method for concentrating precious metals contained in leaching residue discharged from copper hydrometallurgical process
JP2008115429A (ja) 湿式銅製錬法における銀の回収方法
JP2010235999A (ja) 硫化銅鉱物からの金の濃縮方法
JP2008208441A (ja) 塩化物水溶液の溶媒抽出方法
JP4274079B2 (ja) 銅精鉱浸出残渣から金濃縮物の回収方法
JP6994983B2 (ja) ルテニウムの回収方法
Gibas et al. Recovery of cobalt and nickel by atmospheric leaching of flotation sulfide concentrate from Lubin concentrator
EP0061468B1 (en) Recovery of silver from ores and concentrates
Randhawa et al.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of copper refinery anode slime
JP4506660B2 (ja) 湿式銅製錬法における銀の回収方法
JP5181684B2 (ja) 塩化物水溶液の溶媒抽出方法
JP2011058018A (ja) 硫化銅鉱物浸出残渣からの金濃縮物の回収方法
RU2534093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медеэлектролитного шлама
JP2007113084A (ja) 塩化第2銅イオンの還元方法
JPH11124636A (ja) 亜鉛浸出残渣の処理方法
CA1076367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complex lead-zinc concentrates
Biswas et al. Processing of copper dust for tolerable iron containing electroly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