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536A - 의학용 튜브 - Google Patents

의학용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536A
KR20070094536A KR1020070025920A KR20070025920A KR20070094536A KR 20070094536 A KR20070094536 A KR 20070094536A KR 1020070025920 A KR1020070025920 A KR 1020070025920A KR 20070025920 A KR20070025920 A KR 20070025920A KR 20070094536 A KR20070094536 A KR 20070094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ain body
lumen
tube por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692B1 (ko
Inventor
가즈히로 아베
도시노부 하야까와
요오스께 사까이
유우야 호시노우찌
Original Assignee
코비디엔 아게
니뽄 셔우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비디엔 아게, 니뽄 셔우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비디엔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9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28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at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proximal part of the catheter, e.g. alterations in lumen shape 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with more than four lum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Strength 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 A61M2025/0081Soft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32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at least one unconventionally shaped lumen, e.g. polygons, ellipsoids, wedges or shapes comprising concave and convex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요 본체부(10) 및 말단부로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조향 가능한 말단부(20)를 가지는 의학용 튜브를 제공한다. 복수의 내강(13, 14)은 주요 본체부의 근접 단부에서 이를 통해 안내 와이어(17a)가 조향 가능한 말단부로부터 제어 장치로 연장하는 안내 와이어 내강을 포함하는 주요 본체부를 통해 연장한다.
주요 본체부, 말단부, 의학용 튜브, 내강, 안내 와이어

Description

의학용 튜브 {MEDICAL TUB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장폐색증용 튜브의 평면도.
도2는 선 A-A를 따라 취한 도1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장폐색증용 튜브의 주요 본체 튜브 및 안내부의 축 방향 단면도.
도4는 도3의 부분 B의 확대 단면도.
도5는 도3의 부분 C의 확대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인장 수단의 단면도.
도7은 선 D-D를 따라 취한 도6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장폐색증용 튜브의 안내부의 절곡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팽창되어 있는 장폐색증용 튜브의 풍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다른 인장 수단을 가지는 장폐색증용 튜브의 평면도.
도11의 (a)는 다른 예에 있어서 인장 수단의 부분 단면도를 포함하는 정면도, 도11의 (b)는 다른 예에 있어서 인장 수단의 정면도.
도12는 다른 예에 있어서 인장 수단에 사용되는 볼의 사시도.
도13의 (a)는 다른 예에 있어서 인장 수단의 부분 단면도를 포함하는 정면도, 도13의 (b)는 다른 예에 있어서 인장 수단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요 본체 튜브부
10a : 제1 분기부
10b : 제2 분기부
10c : 제3 분기부
13 : 흡입 내강
14 : 관개 내강
20 : 안내 튜브부
40 : 연결 튜브
50 : 인장 수단
100 : 장폐색증용 튜브
본 발명은 인체, 특히 의약 처방제 등을 인체에 공급하거나 노폐물 등과 같은 체액을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체강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의학용 튜브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튜브가 인체 내에서 의학용으로 사용된다. 그 중에서, 장폐 색증용 튜브는 창자 막힘증의 진단 또는 처방용으로 사용된다. 장폐색증 튜브는 소장 등과 같은 적절한 부위로 코 또는 입으로 삽입되고 발병 부위 내에서의 감압, 흡입 및 조영제 또는 세척액 등과 같은 의약 처방제의 주입용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장폐색증용 튜브는 소장 등과 같은 발병 부위에 도달하기 이전에 유문륜 및 트라인츠 인대를 통과하여야만 한다. 이들 부위는 절곡되고 그리고/또는 협소하여, 이들을 통해 장폐색증용 튜브를 통과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이들 부위를 통과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의학용 튜브가 제안되어 왔다.
일본 공개 실개평3(1991)-118760호는 팁에 무게 추를 구비한 의학용 튜브를 개시한다. 튜브 팁은 부착된 무게 추 때문에 절곡이 가능하여, 튜브가 굽어진 체강을 부드럽게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일본 특개평5(1993)-345031호는 연질 수지 재료로 제조된 팁을 제외하고는 경질 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튜브 벽을 따라 설치된 조정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팁이 능동적으로 절곡 가능한 의학용 튜브를 개시한다.
참고 문헌 1에 개시된 의학용 튜브는 중력에 기인하여 절곡 가능한 무게 추식 팁부를 이용함으로써 인체 내의 굽어진 강을 통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로의 절곡 방향의 변화 시마다, 대게는 환자의 자세를 바꿈으로써, 통로의 절곡 방향과 매칭시키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된다. 반면에, 일본 특개평5(1993)-345031호에 개시된 의학용 튜브에 있어서, 팁은 조정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방향 전환될 수도 있고, 이는 의학용 튜브가 환자의 체위를 유지한 채로 인체 내의 임의의 굽어진 통로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학용 튜브는 연질 수지 재료로 제조된 팁 및 경질 수지 재료로 제조된 주요 본체를 접합시킴으로써 준비되고, 결과적으로 생산 비용이 높다.
본 발명은 전술된 상황 하에서 개발되었다. 그 목적은 저가로 생산될 수 있고 인체 내의 굽어진 강 통로를 통해 통과될 수 있는 의학용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의학용 튜브는 주요 본체 튜브의 것보다 작은 외부 튜브 직경을 가지고, 주요 본체 튜브부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에서 주요 본체 튜브부와 단일체로서 형성되는, 안내 튜브부 및 주요 내강을 구비한 주요 본체 튜브부가 설비되고, 안내 튜브부로부터 주요 본체 튜브부로 축 방향을 따라 안내 및 주요 튜브부의 중심 축으로부터 벗어난 반경 방향 위치에 형성되는 조정 와이어 내강을 가지며, 조정 와이어 내강은 그 단부가 안내 튜브부에 부착되는 피삽입 조정 와이어를 가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무게 추가 그 주연부 주위에서 안내 튜브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학용 튜브는 주요 본체 튜브부 및 주요 본체 튜브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안내 튜브부를 가진다. 또한, 안내 튜브의 외경은 주요 본체 튜브의 것보다 작다. 결과적으로, 안내 튜브부의 강성은 주요 본체 튜브부의 것보다 낮아서, 용이하게 절곡 가능하다. 또한, 조정 와이어 내강은 축 방향을 따 라 안내 튜브부로부터 주요 본체 튜브부로 형성되고, 이들 조정 와이어 내강은 안내 튜브 및 주요 본체 튜브부의 중심 축으로부터 벗어나는 반경 방향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조정 와이어 내강을 통해 삽입된 조정 와이어가 인장되는 경우, 그 인장이 중심 축으로부터 벗어나, 조정 와이어의 단부가 부착되는 안내부에 적용되어서 안내 튜브의 능동적인 절곡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인체 내 강으로 삽입된 의학용 튜브가 통로의 곡률 정도에 따라, 조정 와이어에 인장을 가하고 안내 튜브부를 절곡시킴으로써 굽어진 통로를 통해 전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안내 튜브부 및 주요 본체 튜브부는 단일 유닛으로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안내 및 주요 본체 튜브를 별도로 준비하여 이들을 접합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낮은 비용의 생산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의학용 튜브는 안내 튜브부로부터 주요 본체 튜브부로 형성되는 다중 조정 와이어 내강을 가지며, 이들 다중 조정 와이어 내강 중 두 개 이상의 조정 와이어는 피삽입 조정 와이어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다중 조정 와이어는 인장되어 다양한 방향으로의 안내 튜브부의 절곡을 허용한다. 피삽입 와이어를 구비한 조정 와이어 내강의 적절한 개수는 2 개 내지 4 개의 범위이다. 이들은 80 내지 180도의 사이 각도로서 일정 간격으로 안내 및 주요 튜브부의 주연 방향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학용 튜브에는 양호하게는 다중 조정 와이어 내강에 삽입되는 조정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인장 수단이 설비되어서, 조정 와이어의 인장을 허용한다. 이러한 인장 수단은 그 일단부가 안내 튜브부에 연결되는 조정 와 이어를 당기는데 사용되며, 그 결과 조정 와이어는 인장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 튜브부를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인장 수단이 다중 조정 와이어의 인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인장 수단은 다중 조정 와이어 내강에 삽입되는 조정 와이어의 타단부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다중 작동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중 작동 수단을 개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작동 수단에 대응하는 조정 와이어가 인장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 튜브부를 절곡시킨다. 또한, 다중 작동 수단을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다중 조정 와이어는 안내 튜브부의 절곡 방향을 조정시키도록 동시에 인장되고, 그 결과, 안내 튜브부는 다양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인장 수단은 조정 와이어 내강 내에 삽입되고 작동 수단을 가지는 모든 조정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특정 조정 와이어를 작동 상태에 따라 인장시킨다. 예를 들면, 작동 수단은 조이스틱과 같은 조정 레버일 수도 있고, 임의의 원하는 방향으로 이러한 레버를 밀고 절곡시킴으로써 각각의 조정 와이어에 대한 인장 조정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모든 조정 와이어는 하나의 작동 수단으로서 작동 가능하며 안내 튜브부의 절곡 프로세스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순한 예시로서 이후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의학용 튜브의 실시예의 예로서 전체적인 장폐색증용 튜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장폐색증 튜브(100)는 주요 본체 튜브 부(10) 및 안내 튜브부(20)를 가진다. 주요 본체 튜브부는, 예를 들면 6 mm의 외경으로서 250 내지 300 cm의 길이를 가지고, 다중 내강이 축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형성된다.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기단부는 3개의 분기 튜브[제1 분기부(10a), 제2 분기부(10b), 제3 분기부(10c)]로 분기된다. 또한, 연결 튜브(40)의 일단부는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기부 근처 위치로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 튜브(40)의 타단부는 인장 수단(50)에 연결된다.
장폐색증용 튜브(100)의 안내부(20)는, 예를 들어 장폐색증용 튜브(100)가 코 또는 입으로 삽입되는 경우 체강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어서, 주요 본체 튜브부(10)를 발병 부위로 안내하고,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팁 측(도면에서 좌측)에 설치된다. 풍선(30)은 도면의 좌측에서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주연부에 부착된다. 풍선(30)은 이후 설명될 풍선 내강을 통해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되어, 위(소장, 십이지장 등)로부터 하류측 영역에서 내부 벽과 접촉하게 된다. 부수적으로, 하나 이상(예를 들면, 2개)의 풍선(30)이 장폐색증용 튜브(100)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주연부는 다중 흡인 구멍(11)을 가진다. 또한,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주연부는 풍선(30)의 왼쪽에 관개 측면 구멍(12)을 가진다.
도2는 선 A-A를 따라 취한 도1의 단면도이다. 이는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반경 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부터 다양한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내강인 흡입 내강(13)은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단면의 중심부를 주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흡입 내강(13)은 본 발명의 주요 내강이다. 또한, 풍선에 유체를 공급하는 풍선 내강(15)은 도면에서 흡입 내강(13) 아래에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서 흡입 내강(13)의 상부에는, 체강 내 음압을 방지하도록 체강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관개 내강(14)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개 내강(14)은 또한 조영제 등과 같은 의학 처방제를 인체에 공급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흡입 내강(13)은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흡인 구멍(11)은 흡입 내강(13)에 연결된다. 두 개의 풍선 내강(15)은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축 방향을 따라 흡입 내강(13)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이들은 풍선(30)에 연결된다. 관개 내강(14)도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축 방향을 따라 흡입 내강(13)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관개 측면 구멍(12)은 이러한 관개 내강(14)에 연결된다.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기부로부터 분기하는 3 개의 분기 튜브 중에서, 제1 분기부(10a)는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흡입 내강(13)에 연결되고, 제2 분기부(10b)는 두 개의 풍선 내강(15)에 연결되고, 제3 분기부(10c)는 관개 내강(14)에 연결된다. 제1 분기부(10a)의 단부는 연결부(10d)를 통해 흡입 백(도면에서는 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0e)는 제2 분기부(10b)의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체크 밸브(10f)는 제3 분기부(10c)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체크 밸브(10f)는 유체가 외측으로부터 제3 분기부(10c) 내부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제3 분기부(10c)로부터 외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본체 튜브부(10)는 축을 따라 흡입 내강(13)의 주연부 주위에서 동등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조정 와이어 내강(16a), 제2 조정 와이어 내강(16b) 및 제3 조정 와이어 내강(16c)[이후, 집합적으로 조정 와이어 내강(16)으로 칭함]을 가진다. 이들 조정 와이어 내강(16a, 16b, 16c)은 개별적으로 가요성인 제1 조정 와이어(17a), 제2 조정 와이어(17b) 및 제3 조정 와이어(17c)[이후, 집합적으로 조정 와이어(17)로 칭함]를 가진다.
도3은 주요 본체 튜브부(10) 및 안내부(20)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도1에 도시된 장폐색증용 튜브(100)의 축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안내부(20) 주변(도면에 있어 부분 B)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5는 도3에 도시된 주요 본체 튜브부(10)와 안내부(20) 사이의 접합부 주변(도면에 있어 부분 C)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20)에는 안내 튜브(21) 및 무게 추(22)가 설치된다. 안내 튜브(21)는 내부 통로(21a)를 구비한 긴 튜브이다. 통로(21a)는 안내 튜브(2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팁 개구(21b)를 통해 외측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안내 튜브(21)의 타단부 상에서 주요 본체 튜브부(10) 내측의 흡입 내강(13)에 연결된다. 또한, 안내 튜브(21)의 주연부는 축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중(본 예에서는 6개) 무게 추(22)를 가진다. 무게 추(22)는 천공된 원주형 구멍을 구비한 구형 링 형태이고, 각각의 무게 추(22)는 안내 튜브(21)의 주연부를 덮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들 무게 추(22)의 주연부는 연질 수지로 제조된 커버(23)로 덮여진다. 이들 커버(23)는 각각의 무게 추(22)의 축 방향 운동을 구속하여, 무게 추(22)는 안내 튜브(21)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도2, 도3 및 도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조정 와이어 내강(16a)은 안내 튜브(21)로부터 주요 본체 튜브부(10)로의 축 방향을 따라 주요 본체 튜브 부(10) 및 안내 튜브(21)의 중심 축으로부터 벗어나는 반경 방향 위치에 형성된다. 제1 조정 와이어 내강(16a)의 일단부(도4에 있어서 좌측 단부)는 안내 튜브(21)의 팁 근처에서 폐쇄되고, 타단부는 연결 튜브(40)에 연결된다. 제1 조정 와이어(17a)의 일단부(도4에 있어서 좌측 단부)는 제1 조정 와이어 내강(16a)의 폐쇄 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안내 튜브(21)의 튜브 벽 내측에 부착된다. 부수적으로, 다른 조정 와이어 내강 및 조정 와이어는 제1 조정 와이어 내강(16a) 및 제1 조정 와이어(17a)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튜브(21)는 주요 본체 튜브부(10)와 대략 동축으로 형성된다. 또한, 주요 본체 튜브부(10)에 근접한 안내 튜브(21)의 단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고, 그 외경이 주요 본체 튜브부(10)에 접근하면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주요 본체 튜브부(10)와의 경계에서 주요 본체 튜브부(10)와의 간섭없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퍼진 부분을 포함하는 안내 튜브(21)의 외경은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외경보다 작다. 또한, 안내 튜브(21)의 튜브 벽의 두께는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것보다 얇다. 또한, 안내 튜브(21)를 형성하는 재료는 주요 본체 튜브부(10)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재료이고, 주요 본체 튜브부(10) 및 안내 튜브(21)는 단일 유닛으로 형성된다. 상기 재료는 양호하게는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연질의 열가소성 수지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본체 튜브부(10)는 연결 튜브(40)를 가진다. 이러한 연결 튜브(40)는 제1 조정 와이어 내강(16a), 제2 조정 와이어 내강(16b) 및 제3 조정 와이어 내강(16c)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인장 수단(50)에 연결 된다. 조정 와이어 내강(16) 내측의 조정 와이어(17a, 17b, 17c)는 연결 튜브(40)를 통해 인장 수단(50)에 연결된다.
인장 수단(50)은 도1에 도시된 예에서 볼펜과 같은 가늘고 긴 구조를 가진다. 도6은 종축을 포함하는 인장 수단(50)의 축 방향 단면도이고, 도7은 선 D-D를 따라 취한 도6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인장 수단(50)은 로드형 주요 본체(51)를 가진다. 이러한 주요 본체(51)는 주연 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을 가지고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3 개의 통로(52)를 가진다. 또한, 주요 본체(51)의 주연부는 축 방향을 따라 개방하는 슬릿 창(53)을 가진다. 이러한 창(53)은 통로(52)에 연결되도록 대면하는 통로(52)와 동등하게 이격된 3 개의 위치에서 개방하고, 통로(52)의 소정 부분[도6에 있어서는 통로(52)의 좌측 반부]은 외측으로 개방한다. 또한, 창(53)의 폭은 통로(52)의 것보다 좁게 설정된다.
주요 본체(51)는 조정 레버(54)를 가진다. 이러한 조정 레버(54)는 안내부(54a), 연결부(54b) 및 작동부(54c)를 가진다. 안내부(54a)는 통로(52)에 삽입되고 통로(52)를 통해 주요 본체(51)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연결부(54b)는 안내부(54a)로부터 돌출하고 주요 본체(51)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창(53)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작동부(54c)는 연결부(54b)의 돌출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작동부(54c)는 안내부(54a)를 통로(52) 내에서 이동시키면서, 창(53)을 따라 이동하도록 손가락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부수적으로, 3 개의 조정 레버(54)는 주요 본체(51)의 반경 방향으로 동등하게 이격된 상태로 3 개의 통로(52)에 대해 설치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본체(51)의 팁은 캡(55)을 가진다. 캡(55)은 중공의 총알형 구조로서 형성되어, 큰 직경 쪽은 주요 본체(51)의 단부에 연결되고, 개구(55a)는 작은 직경의 다른 쪽에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55a)는 연결 튜브(4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연결 튜브(40)는 조정 와이어(17a, 17b, 17c)를 가지고, 이들 3 개의 조정 와이어(17a, 17b, 17c)는 연결 튜브(40)로부터 캡(55) 내측의 공간을 통해 주요 본체(51)의 통로(52)로 들어간다. 또한, 이들 단부는 3 개의 작동 레버(54)의 안내부(54a)에 부착된다. 따라서, 임의의 작동부(54c)를 도면에서 우측으로 활주시키고 작동 레버(54)에 부착된 조정 와이어(17)를 당김으로써 인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수적으로, 통로(52) 내에 스프링 등과 같은 편향 수단을 설치하여서, 이러한 편향 수단에 의해 조정 레버(54)가 평향되어, 보통은 작동부(54c)가 도6에 있어서 좌측 단부로 위치 설정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상세히 설명된 구성을 가지는 장폐색증용 튜브(100)는 다음과 같이 장 폐쇄증에 대한 처방 또는 진단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먼저, 장폐색증용 튜브(100)는 인체 내로 코 또는 입으로 안내부(20)가 앞서서 삽입된다. 그 결과, 장폐색증용 튜브(100)는 위에 도달하도록 식도를 통과하고, 윤문륜을 통해 위의 통과를 시도한다. 이러한 경우 윤문륜을 통과하기 위해서, 작동자는 작동부(54c)를 도6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레버(54)를 조정함으로써 인장 수단(50)을 조정한다. 그 결과, 조정 레버(54)의 일단부에 연결된 조정 와이어(17)가 당겨져서, 당겨진 조정 와이어(17)에 인장을 가하고, 이러한 인장은 안내 튜브(21)에 전달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주요 본체 튜브부(10) 및 안내 튜브(21)의 중심 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흡입 내강(13)의 주연부 상에 형성된 3 개의 조정 와이어 내강(16a, 16b, 16c)에 의해, 조정 와이어(17)에 가해진 인장은 중심 축으로부터 벗어나는 방식으로 안내 튜브(21)에 전달된다. 따라서, 안내 튜브(21)는 인장된 조정 와이어가 벗어난 쪽으로 수축한다.
또한, 안내 튜브(21)는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것보다 작은 외경 및 얇은 벽을 가짐으로써, 주요 본체 튜브부(10)보다 강성이 작고 쉽게 절곡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인장은 안내부(20)만 인장된 조정 와이어가 벗어난 쪽으로 절곡하는 것을 허용한다. 안내부(20)는 전술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결과적으로 안내부(20)의 팁은 윤문륜을 향하게 된다. 장폐색증용 튜브(100)는 이러한 상태로 전진하는 것이 허용되어, 장폐색증용 튜브(100)가 윤문륜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전술된 것과 유사한 과정이 트라인츠 인대를 포함하는 굽어진 통로를 통과하기 위해 수행되어, 장폐색증용 튜브(100)가 소장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통로의 굽어진 방향이 변화하면, 인장 수단(50)의 작동자는 조정 레버(54)를 적절하게 작동시킴으로써 장폐색증용 튜브(100)를 통로의 곡률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두 개의 조정 레버(54)가 안내 튜브(51)의 절곡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동시에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개별 조정 레버(54)를 따로 작동시켜서는 불가능한 방향으로 안내부(20)를 절곡시키기 위해 두 개의 조정 레버(54)가 조화를 이루며 작동될 수 있다.
주요 본체 튜브부(10)가 소장 등에 도달하는 경우, 유체는 제2 분기부(10b) 로부터 풍선 내강(15)으로 공급된다. 그 결과, 유체는 풍선 내강(15)을 통해 풍선(30)으로 공급되어, 풍선(30)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하여서 소장 등의 내벽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소장의 연동 운동은 풍선(30)에 전달되고, 이러한 연동 운동의 결과로서 장폐색증용 튜브(100)는 소장 내에서 전진한다. 결국, 장폐색증용 튜브(100)는 원하는 부위에 도달한다.
장폐색증용 튜브(100)가 원하는 부위에 도달하자마자, 제1 분기부(10a)에 연결된 흡입 팩이 작동되고, 흡입 내강(13) 내측의 압력은 음압이 된다. 그 결과, 소장 등의 내용물은 안내 튜브(21)의 팁 개구(21b) 및 흡인 구멍(11)으로부터 흡입 내강(13)으로 빨려들어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빨려들어간 소장 등의 내용물은 흡입 내강(13) 및 제1 분기부(10a)를 통해 흡입 백으로 회수된다. 장폐색증 등은 전술된 시술을 수행함으로써 처리될 수 있다.
도10은 인장 수단(50)과 다른 인장 수단(60)을 가지는 장폐색증용 튜브(10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11의 (a)는 이러한 인장 수단(60)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1의 (b)는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인장 수단(60)에는 조정 스틱(61) 및 홀더(62)가 설비된다. 조정 스틱(61)은 수동 작동부(61a), 일단부에서 작동부(61a)에 연결되는 연결 로드(61b) 및 연결 로드(61b)의 다른 측에 연결되는 볼(61c)을 가진다. 볼(61c)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이고, 3 개의 슬릿(S1, S2, S3)은 동일 간격으로 연결 로드(61b)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도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62)는 구형 공간을 형성하는 구형 내부 벽(62a)을 가진다. 이러한 구형 내부 벽(62a)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 공간은 홀 더(62)의 하부 개구(62c) 및 상부 개구(62b)에서 외측으로 연결된다. 볼(61c)은 이러한 구형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볼(61c)에 연결된 연결 로드(61b) 및 작동부(61a)는 홀더(62)의 상부 개구(62b)로부터 돌출한다.
반면에, 홀더(62)의 하부 개구(62c)로부터, 연결 튜브(40)를 통과하는 3 개의 조정 와이어(17)는 홀더(62) 내측의 구형 공간으로 도입된다. 3 개의 조정 와이어(17)는 그 위치를 볼(61c)의 표면 상에 구속하도록 볼(61c) 상에 형성되는 슬릿(S1, S2, S3) 내에 위치 설정되고, 동시에 3 개의 슬릿(S1, S2, S3)의 합체 지점에서 연결 로드(61b)에 부착된다. 따라서, 작동부(61a)는 조정 스틱(61)을 기울이도록 조정되어서, 볼(61c)이 구형 공간 내측에서 회전하도록 만들어 슬릿(S1, S2, S3) 내에 위치된 조정 와이어(17) 중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조정 와이어를 잡아 당겨 이들을 인장시킨다. 안내부(20)가 전술된 과정의 실행에 의해 하나 또는 두 개의 조정 와이어에 인장을 가함으로써 절곡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의 인장 수단(60)은 단일 조정 스틱(61)을 조정함으로써 3 개의 조정 와이어(17)에 가해지는 인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절곡될 안내부(20)의 방향 및 조정 스틱(61)의 기울임 방향이 조정되는 경우, 단순히 조정 스틱(61)의 기울임을 느낌으로써, 안내부(20)의 절곡 방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양호한 조정성을 달성한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장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도11에 도시된 인장 수단(60)의 조정 스틱이 설치되지 않고, 이는 볼이 손바닥으로 직접 회전되게 하는 인장 수단이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수단(70)은 볼(71) 및 홀더(72)를 가진다. 볼(71)은 전술된 볼(61c)과 유사하게 표면 상에 형성되는 3 개의 슬릿(S1, S2, S3)을 가진다. 홀더(72)는 상부에서 개방된 반구형 공간을 형성하는 반구형 내부 벽(72a)을 가진다. 또한, 반구형 내부 벽(72a)은 도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개구(72c)를 가진다. 볼(71)의 하부 반부는 홀더(72)의 반구형 내부 벽(72a)에 의해 형성되는 반구형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상부 반부는 홀더(72)의 상부로부터 노출된다. 조정 와이어(17)는 하부 개구(72c)로부터 반구형 공간 내부로 도입되고 볼(71)의 개별 슬릿(S1, S2, S3) 내에 위치 설정된다. 조정 와이어(17)는 슬릿(S1, S2, S3)의 합체 지점(O)에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인장 수단(70)에 있어서, 볼(71)은 손바닥으로 상부에서 회전하는 것이 허용되어서, 3 개의 조정 와이어의 인장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볼(71)의 회전 방향 및 안내부(20)의 절곡 방향이 조정되는 경우, 단순히 느낌에 의해 볼(71)의 회전을 통해 안내부(20)의 절곡 방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양호한 조정성을 달성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장폐색증용 튜브(100)에 있어서, 동일한 재료가 안내 튜브(21) 및 주요 본체 튜브부(10) 용으로 사용되고, 이들 두 부분은 단일 유닛으로 형성된다. 또한, 안내 튜브(21)의 외경이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외경보다 작고, 안내 튜브(21)를 주요 본체 튜브부(10)보다 더 연질로 하는 것이 허용되어서, 결과적으로 인장 수단(50, 60, 70)이 작동되어, 조정 와이어(17)를 인장하는 경우 안내부(20)만이 절곡 가능하다. 결과 적으로, 낮은 제조 비용으로 안내부(20)가 능동적으로 절곡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장폐색증용 튜브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주요 본체 튜브부(10)의 외경이 A이고, 안내 튜브(21)의 외경인 B인 경우, 비율 A/B은 약 1/2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율에서, 주요 본체 튜브부(10)와 안내 튜브(21) 사이의 강성에 있어서의 차이가 현저해져서, 단지 안내부(20)만이 확실하게 절곡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주요 본체 튜브부(10) 및 안내 튜브(21)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비교적 낮은 경도를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주요 본체 튜브부(10)와 안내 튜브(21) 사이의 강성 차이는 비율 A/B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에도 충분히 커지게 되어, 외경이 지나치게 작아지는 것에 기인하여 안내 튜브(21)의 내구성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안내 튜브(21)의 외주연부를 덮는 다중 무게 추(22)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안내부(20)는 무게 추(22)만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장폐색증용 튜브(100)는 무게 추(22)로서 주로 안내되고, 안내부(20)를 능동적으로 절곡하는 기능은 보조적으로 사용되어, 결과적으로 발병 부위로의 장폐색증용 튜브(100)의 안내는 기존에 비해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튜브(21)의 기단부에서의 외경(D1)은 안내 튜브(21)의 팁부의 외경(D2)보다 작다. 이는 안내 튜브(21)의 기부 부분에서의 절곡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조정 와이어의 미세한 조정에 의해 안내부(20)를 만족스러울 정도로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게 추(22)가 부착되는 안내 튜브(21)의 주연부의 외경(D3)은 안내 튜브(21)의 팁의 외경(D2)보다 작다. 따라서, 무게 추(22)의 외경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강이 매우 좁은 경우, 인체 내 강의 내벽을 때리는 장폐색증용 튜브의 무게 추(22)에 기인한 환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안내 튜브(21)로부터 주요 본체 튜브부(10)로 형성되는 다중 조정 와이어 내강(16a, 16b, 16c)이 존재하고, 개별 조정 와이어(17a, 17b, 17c)가 다중 조정 와이어 내강(16a, 16b, 16c)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안내부는 다중 조정 와이어(17a, 17b, 17c)를 인장시킴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인장 수단(50)은 다중 조정 와이어(17a, 17b, 17c)의 단부가 개별적으로 3 개의 조정 레버에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고, 결과적으로, 3 개의 조정 레버(54)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고 대응하는 조정 와이어를 인장시킴으로써 안내 튜브(21)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인장 수단(60, 70)에 있어서, 모든 조정 와이어(17a, 17b, 17c)의 단부는 단일 조정 수단, 즉 조정 스틱(61) 또는 볼(71)에 연결되고, 안내 튜브(21)의 절곡 방향은 조정 수단의 작동 상태[조정 스틱(61)의 기울임 각도 또는 볼(71)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고 대응하는 조정 와이어를 인장시킴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조정 와이어(17a, 17b, 17c)에 가해지는 인장의 제어는 안내 튜브(21)의 용이한 절곡을 가능하게 하는 단일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가로 생산될 수 있고 인체 내의 굽어진 강 통로를 통해 통과할 수 있는 의학용 튜브가 제공된다.

Claims (16)

  1. 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의학용 튜브이며,
    주요 내강 및 안내 튜브부를 구비한 주요 본체 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튜브부는 상기 주요 본체 튜브의 것보다 작은 외부 튜브 직경을 가지고 상기 주요 본체 튜브부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재료이며, 상기 주요 본체 튜브부 및 상기 안내 튜브부는 상기 주요 본체 튜브부와 단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의학용 튜브는 상기 안내 및 주요 본체 튜브부의 중심 축으로부터 변위된 반경 방향 위치에 놓여지는 조정 와이어 내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와이어 내강은 안내 튜브부로부터 상기 주요 본체 튜브부로 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조정 와이어가 조정 와이어 내강 내에 삽입되고,
    상기 조정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안내 튜브부에 부착되는 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의학용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튜브부는 상기 안내 튜브부 주위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무게 추를 포함하는 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의학용 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와이어에 인장을 가하도록 배열되는 인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 장치는 상기 조정 와이어 내강 내에 삽입되는 상기 조정 와이어에 연결되는 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의학용 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조정 와이어 내강 내에 삽입되는 상기 조정 와이어에 인장을 가하도록 배열되는 다중 인장 장치를 더 포함하는 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의학용 튜브.
  5. 조향 가능한 말단부 및 주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본체 튜브부는 말단부의 말단 단부로부터 주요 본체 튜브부의 근접 단부로 연장하는 중심 내강을 포함하는 상기 주요 본체부의 길이부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내강 및 개별 조정 와이어가 통과하는 조정 와이어 내강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와이어는 상기 조향 가능한 말단부에 부착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주요 본체부의 상기 근접 단부에서 인장 장치에 부착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조향 가능한 말단부 및 상기 주요 본체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장폐색증용 튜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가능한 말단부는 상기 중심 내강 주위에 위치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무게 추를 포함하는 장폐색증용 튜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가능한 말단부는 상기 중심 내강 주위에 위치 설정되는 복수의 무게 추를 포함하는 장폐색증용 튜브.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무게 추는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는 장폐색증용 튜브.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본체부의 말단 단부를 향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팽창 가능한 풍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 가능한 풍선은 상기 주요 본체부를 통과하는 내강에 연결되는 장폐색증용 튜브.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본체부는 상기 주요 본체부의 말단 단부에서 종결하는 관개 내강을 포함하는 장폐색증용 튜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본체부는 상기 주요 본체부의 길이부를 따라 분포되는 흡인 구멍에 연결되는 흡입 내강을 포함하는 장폐색증용 튜브.
  12. 제5항에 있어서, 단일 인장 장치가 각각의 조정 와이어에 부착되는 장폐색증용 튜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인장 장치는 이동 가능한 조이스틱과 합체하는 장폐색증용 튜브.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와이어는 개별 인장 장치에 부착되는 장폐색증용 튜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장치는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장폐색증용 튜브.
  16. 제5항에 있어서, 조향 가능한 말단부는 상기 주요 본체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장폐색증용 튜브.
KR1020070025920A 2006-03-17 2007-03-16 의학용 튜브 KR100940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75184 2006-03-17
JP2006075184A JP2007244757A (ja) 2006-03-17 2006-03-17 医療用チュー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536A true KR20070094536A (ko) 2007-09-20
KR100940692B1 KR100940692B1 (ko) 2010-02-08

Family

ID=3794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920A KR100940692B1 (ko) 2006-03-17 2007-03-16 의학용 튜브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70219529A1 (ko)
EP (1) EP1834663B1 (ko)
JP (1) JP2007244757A (ko)
KR (1) KR100940692B1 (ko)
CN (1) CN101036820A (ko)
AT (1) ATE409506T1 (ko)
AU (1) AU2007200981B2 (ko)
BR (1) BRPI0700741A (ko)
CA (1) CA2582119C (ko)
DE (1) DE602007000146D1 (ko)
ES (1) ES2316105T3 (ko)
IL (1) IL181376A0 (ko)
MX (1) MX20070030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47B1 (ko) * 2011-01-31 2012-01-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카테터 가이드 및 이들을 구비하는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유니트
WO2012105744A1 (ko) * 2011-01-31 2012-08-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카테터 가이드 및 이들을 구비하는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유니트
KR101528418B1 (ko) * 2014-02-05 2015-06-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내 삽입용 도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0648B2 (en) 2007-12-28 2010-08-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ontrolling movement of distal portion of medical device
US8048024B2 (en) 2008-03-17 2011-11-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ering mechanism
US8048025B2 (en) 2008-07-07 2011-11-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ulti-plane motion control mechanism
US8834357B2 (en) * 2008-11-12 2014-09-1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ering mechanism
CN103357106B (zh) * 2012-04-06 2017-05-10 周军德 一种肠道治疗管
CN103211568B (zh) * 2013-04-02 2015-01-07 张玉峰 胃镜检查用辅助气囊套管
US9937322B2 (en) * 2015-04-23 2018-04-10 Medtronic, Inc. Assemblies and methods for deflectable shaft catheters
WO2016199305A1 (ja) * 2015-06-12 2016-12-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可撓管挿入装置
CN109414529B (zh) * 2016-08-04 2021-04-20 株式会社钟化 抽吸导管及抽吸导管的制造方法
WO2018232190A1 (en) * 2017-06-14 2018-12-20 The University Of Vermont And State Agricultural College Peritoneal dialysis (pd) catheter weighted anchor
CN109498883B (zh) * 2019-01-11 2021-08-24 鲁施菲尔 一种肛肠护理装置
JP6569137B1 (ja) * 2019-05-15 2019-09-04 株式会社朋友メディカル コネクタを用いたドレナージ装置
US11685322B2 (en) * 2020-09-04 2023-06-27 Caterpillar Inc. Wiring harness assembly having 3-dimensional sleeve guide, and method of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8304A (en) * 1971-06-15 1974-01-29 Olympus Optical Co Endoscope
US5083549A (en) * 1989-02-06 1992-01-28 Candela Laser Corporation Endoscope with tapered shaft
EP0420997B1 (de) * 1989-09-29 1994-05-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ungsanordnung für ein Sperrwandler-Schaltnetzteil
JPH05345031A (ja) * 1992-06-16 1993-12-27 Tougou Medeikitsuto Kk カテーテル
JPH0810334A (ja) * 1994-06-29 1996-01-16 Ado Polymer:Kk 医療用カテーテル
JPH08155033A (ja) * 1994-12-05 1996-06-18 Nippon Zeon Co Ltd 腸管用カテーテル
JPH0928665A (ja) * 1995-07-21 1997-02-04 Terumo Corp カテーテル
KR100199112B1 (ko) * 1997-05-09 1999-06-15 서평원 디지탈 무선통신시스템의 정보비트열 전송방법
US6066090A (en) * 1997-06-19 2000-05-23 Yoon; Inbae Branched endoscope system
US5938588A (en) * 1997-06-25 1999-08-17 Circon Corporation Superelastic control wire sheath for flexible endoscope
US6527979B2 (en) * 1999-08-27 2003-03-04 Corazon Technologies, Inc. Catheter system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calcified vascular occlusions
US6659981B2 (en) * 2000-12-08 2003-12-09 Medtronic, Inc. Medical device delivery catheter with distal locator
US20030208219A1 (en) * 2001-05-18 2003-11-06 Aznoian Harold M. Steerable biliary catheter
JP2004329314A (ja) * 2003-04-30 2004-11-25 Nippon Zeon Co Ltd 胆管用ドレナージカテーテル
US6926711B2 (en) * 2003-07-30 2005-08-09 Cryocor, Inc. Articulating catheter for cryoablation with reduced diameter section
JP4220339B2 (ja) * 2003-09-11 2009-02-0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US20060270975A1 (en) * 2005-05-31 2006-11-30 Prorhythm, Inc. Steerable cathe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47B1 (ko) * 2011-01-31 2012-01-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카테터 가이드 및 이들을 구비하는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유니트
WO2012105744A1 (ko) * 2011-01-31 2012-08-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카테터 가이드 및 이들을 구비하는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유니트
US9833593B2 (en) 2011-01-31 2017-12-05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Catheter for treating ectopic pregnancy, catheter guide, and catheter unit for treating ectopic pregnancy, including the catheter and the catheter guide
KR101528418B1 (ko) * 2014-02-05 2015-06-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내 삽입용 도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44757A (ja) 2007-09-27
CN101036820A (zh) 2007-09-19
MX2007003097A (es) 2008-11-14
AU2007200981A1 (en) 2007-10-04
DE602007000146D1 (de) 2008-11-13
CA2582119C (en) 2011-02-15
CA2582119A1 (en) 2007-09-17
ES2316105T3 (es) 2009-04-01
EP1834663B1 (en) 2008-10-01
ATE409506T1 (de) 2008-10-15
KR100940692B1 (ko) 2010-02-08
US20070219529A1 (en) 2007-09-20
BRPI0700741A (pt) 2007-11-13
IL181376A0 (en) 2007-07-04
EP1834663A1 (en) 2007-09-19
AU2007200981B2 (en)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692B1 (ko) 의학용 튜브
JP4912705B2 (ja) 医療用チューブ組立体
EP2421594B1 (en) Apparatus for advancing a device from one body lumen to another
JP5091229B2 (ja) 経管腔的外科手術システム
EP1559362B1 (en) Endoscope apparatus
JP5007374B2 (ja) 可撓性器具用の連接型シース
JP6585166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
US6764441B2 (en) Peristaltically self-propelled endoscopic device
US20080051802A1 (en) Medical instrument
JP2009513308A (ja) 操舵可能なカテーテルデバイスおよびカテーテルデバイスを関節運動させる方法
US20120226103A1 (en) Steerable Catheter
WO2000032119A1 (en) A medical device comprising an evertable sleeve
CN113286542A (zh) 用于医疗器械的插入单元及其插管系统
JP2011087647A (ja) 処置用オーバーチューブ及び処置システム
KR20040062641A (ko) 선단부 방향 제어 및 위치 유지 기구를 구비한 기관내관
EP4057884B1 (en) Steerable guide with partial sleeve
US20090234281A1 (en) Fluid feeder and balloon catheter
JP6650310B2 (ja) 挿入機器
CN116328152A (zh) 一种球囊导管
JP2599217B2 (ja) 内視鏡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