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497A - 통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송신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송신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497A
KR20070094497A KR20070025369A KR20070025369A KR20070094497A KR 20070094497 A KR20070094497 A KR 20070094497A KR 20070025369 A KR20070025369 A KR 20070025369A KR 20070025369 A KR20070025369 A KR 20070025369A KR 20070094497 A KR20070094497 A KR 20070094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estination
transmission
data
candidate
candid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2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조 니시까와
가즈유끼 사꼬다
유이찌 모리오까
지히로 후지따
에리까 사이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56Queue scheduling implementing delay-aware scheduling
    • H04L47/562Attaching a time tag to que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52Queue scheduling by attributing bandwidth to queues
    • H04L47/522Dynamic queue service slot or variable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58Changing or combining different scheduling modes, e.g. multimode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1Individual queue per connection or flow, e.g. per V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2Queue service order
    • H04L47/6225Fixed service order, e.g. Round Rob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5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for service slots or service orders
    • H04L47/6255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for service slots or service orders queue load conditions, e.g. longest queue fir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고송신 효율을 실현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통신 장치는, 데이터의 송신처로 되는 복수의 송신처 후보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는 기억부(11)와, 상기 각 기억 영역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적어도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처 후보 중으로부터 1개의 송신처를 선택하는 송신처 선택부(12)와, 상기 송신처 선택부(12)에 의해 선택된 송신처의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만큼 상기 기억 영역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13)를 구비한다.
통신 장치, 유력 송신처 후보, 기억 영역, 송신처 선택부, 송신 신호 생성부, 패킷 축적수, 패킷 사이즈, 송신 대기 시간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송신 제어 프로그램{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CONTROL METHOD THEREOF, AND TRANSMITTING CONTROL PROGRAM}
도 1은 송신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송신처 선택부의 처리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실시예 2에 따른 송신처 선택부의 처리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실시예 3에 따른 송신처 선택부의 처리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실시예 4에 따른 송신처 선택부의 처리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실시예 5에 따른 송신처 선택부의 처리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실시예 6에 따른 송신처 선택부의 처리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Round Robin 알고리즘에 의한 송신처 선택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Max Queue 알고리즘에 의한 송신처 선택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패킷을 연결하여 송신 프레임을 작성하는 처리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패킷을 연결하여 송신 프레임을 작성하는 처리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송신 제어부
11:송신 버퍼
12:송신처 선택부
13:송신 신호 생성부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2-261866호 공보
본 발명은, 송신 신호의 송신처를 송신처 후보로부터 선택하는 통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 및 송신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단말기가 데이터의 송신처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으로서 종래부터, Round Robin 알고리즘이나 Max Queue 알고리즘 등이 있다. Round Robin 알고리즘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송신처 후보(단말기 A 내지 D)를 순번으로서 송신처로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다. Max Queue 알고리즘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송신처 후보에 송신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송신 버퍼 내에서 가장 패킷이 축적되어 있는 송신처 후보를 송신처로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다. 통신 개시 단계에서, 각 단말기는, 이들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송신처를 선택하고, 그 송신처에의 송신 프레임의 작성 처리 등을 행한다.
이러한 송신 프레임의 작성 처리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헤드 부분에 대한 페이로드 부분의 비율을 높게 할 목적으로, 복수의 패킷을 연결하여 단일의 프레임을 작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개의 패킷 사이즈가 작거나, 연결하는 패킷수가 적은 경우, 가령 복수의 패킷을 연결하여도 프리앰블이나 파이헤더 등 송신 프레임의 오버헤드 부분에 비교하여, 페이로드 부분의 비율이 커지지 않는다. 이 결과, 종래의 방식에서는, 복수의 패킷을 연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송신 효율이 거의 높아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Max Queue 알고리즘과 같이 송신처의 선택이 송신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각 송신처의 패킷 축적수에 의존하는 송신처 선택 알고리즘에서는, 이 패킷 축적수가 적어지지 않는 한, 패킷 축적수가 적은 송신처에 송신 기회가 돌아오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각 단말기 간에서 TCP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 빈도가 높은 송신처에의 송신 패킷수가 보다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송신 빈도가 낮은 송신처에의 송신 패킷이 서서히 적어지고, 결과적으로, 이들 송신처와의 통신이 도중에 끊어져 버리는 결과로 된다.
한편, 통신 상태가 나쁜 단말기에의 송신은, 오류의 발생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이 단말기로부터 ACK 응답이 있을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은, 이러한 오류 발생률이 높은 단말기보다도, 통신 상태가 비교적 좋은 단말기를 송신처로 선택하는 쪽이, 실질적인 통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Round Robin 알고리즘과 같이, 모든 단말기에 대하여 균등하게 송신 기회를 부여하는 알고리즘에서는, 통신 상태가 나쁜 단말기에의 송신 처리에 통신 장치의 통신 리소스를 나누게 되고, 통신 시스템 전체의 실질적인 통신 속도를 저하시키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에는, 통신 상태가 나쁜 송신처에 통신 장치의 리소스를 할당하지 않도록, 송신처의 선택 방법을 절환하고, 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통신 시스템 전체의 통신 속도를 향상하는 패킷 송신 스케줄링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의해서는, 송신 지연이나 지터 등을 낮게 억제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해야만 하는 송신처가 있다. 그러나, Max Queue 알고리즘과 같이 송신 버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처 선택을 행하는 알고리즘이나, Round Robin 알고리즘 등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 송신처에 반드시 송신 기회가 돌아온다고는 할 수 없고, 전술한 송신 지연이나 지터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고송신 효율을 실현하는 통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 및 송신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데이터의 송신처로 되는 복수의 송신처 후보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는 기억부 와, 상기 각 기억 영역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적어도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처 후보 중으로부터 1개의 송신처를 선택하는 송신처 선택부와, 상기 송신처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송신처의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만큼 상기 기억 영역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제어 방법은, 데이터의 송신처로 되는 복수의 송신처 후보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는 기억부로부터, 각 기억 영역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을 검출하고, 적어도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처 후보 중으로부터 1개의 송신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송신처의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만큼 상기 기억 영역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제어 프로그램은, 복수의 송신처 후보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탑재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송신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데이터의 송신처로 되는 복수의 송신처 후보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는 기억부로부터, 각 기억 영역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을 검출하고, 적어도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처 후보 중으로부터 1개의 송신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송신처의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만큼 상기 기억 영역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복수의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가 구비하는 송신 제어부(1)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 제어부(1)는, 복수의 단말기에의 송신 처리를 제어하는 처리부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버퍼(11)와, 송신처 선택부(12)와, 송신 신호 생성부(13)를 구비한다.
송신 버퍼(11)는, 패킷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큐를 송신처마다 갖고 있다. 또한, 송신 버퍼(11)는, 각 큐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처 후보에의 패킷 축적수와, 그 패킷 사이즈와, 이들 패킷이 큐에 저장된 저장 시각과, 그 송신 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 버퍼(11)로부터 각 송신처 후보에의 패킷 축적수와 그 패킷 사이즈와, 이들 패킷의 저장 시각과 송신 레이트에 기초하여, 적절한 송신처를 선택한다. 송신처 선택부(12)는, 복수의 송신처 후보로부터 송신처를 선택하면, 송신 트리거와, 송신 Node 정보를 송신 신호 생성부(13)에 공급한다.
송신 신호 생성부(13)는, 송신처 선택부(12)로부터 송신 트리거와 송신 Node 정보가 공급되면, 송신처 정보에 기초한 송신처 후보의 송신 데이터를 송신 버퍼(11)로부터 판독하고, 송신 프레임을 작성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송신 신호 생성부(13)는, 송신 버퍼(11)로부터 판독하는 데이터의 종류나 통신 속도에 따라서,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를 이용하여 패킷을 연결하여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송신처 선택부(12)에 지시한다. 즉, 송신 신호 생성부(13)는, 패킷을 연결하여 송신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를 유효로 하고, 패킷을 연결하여 송신 프레임을 생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를 무효로 한다.
이하에서는, 6개의 실시예로 나누어, 복수의 송신처 후보로부터 최적의 송신처를 선택하는 송신처 선택부(12)의 동작에 주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간결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통신 장치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프레임 내에 복수의 패킷을 다중하여 송신처에 송신하자고 하는 경우(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하고, 1프레임으로써 복수의 패킷을 송신한다), 그 송신처에 대하여 송신할 데이터량이 소정값을 하회하고 있는 상태에서 프레임 송신을 행하면, 데이터의 송신 효율이 원하는 효율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사상이 발생할지 모른다. 이상의 관점으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는, 각 송신처에 대하여 송신할 데이터의 패킷수 또는 큐 내의 데이터량에 따라서, 최적의 임계값을 설정해놓고, 해당 수신처에 대하여 송신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그 값을 상회한 경우에, 상기 송신처를 실제의 데이터 송신 대상으로 하여 선택하자고 하는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송신처 선택부(12)의 처리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제로서, 송신 신호 생성부(13)는, 패킷을 연결하여 송신 프레임의 작성 처리를 행하고, 이것에 따라,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를 유효로 하고 있다. 또한, 송신처 선택부(12)는, 초기 단계에서, 송신 버퍼(11)로부터 송신처 후보의 패킷 축적수와 그 패킷 사이즈를 판독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1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 버퍼(11)로부터 판독한 패킷 축적 수가 임계값 A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임계값 A 이상의 패킷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송신 신호 생성부(13)가 작성하는 송신 프레임에서, 오버헤드 부분에 대한 페이로드 부분의 비율이 충분히 커졌다고 판단된다.
송신처 선택부(12)는, 패킷 축적수가 임계값 A를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 S2로 진행한다. 한편, 송신처 선택부(12)는, 패킷 축적수가 임계값 A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이 송신처 후보를 유력 송신처 후보로 설정하여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 버퍼(11)로부터 판독한 패킷 축적수와 그 패킷 사이즈에 따라서, 그 송신처 후보에 해당하는 송신 버퍼(11)의 큐에 기억되어 있는 버퍼 사이즈를 산출하고, 이 버퍼 사이즈가 임계값 B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임계값 B 이상의 데이터 사이즈의 패킷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송신 신호 생성부(13)가 작성하는 송신 프레임에서, 오버헤드 부분에 대하여 페이로드 부분의 크기가 충분히 커졌다고 판단된다.
송신처 선택부(12)는, 버퍼 사이즈가 임계값 B를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또한, 송신처 선택부(12)는, 버퍼 사이즈가 임계값 B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이 송신처 후보를 유력 송신처 후보로 설정하여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스텝 S1, S2에서 설정된 유력 송신처 후보를, 패킷 축적수 및 버퍼 사이즈에 기초하여 최유력 송신처 후보와 비교하여 스텝 S4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최유력 송신처 후보는,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송신 처 후보이다. 또한, 이 우선 순위는, 패킷 축적수 및 그 패킷 사이즈를 포함시켜 패킷의 저장 시간이나 송신 레이트에 의해 판단된다.
스텝 S4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스텝 S1, S2에서 설정된 유력 송신처 후보를, 스텝 S3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처로서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송신처 선택부(12)는, 이 유력 송신처 후보를 송신처로서 선택하면 스텝 S5로 진행하고, 이 유력 송신처 후보를 송신처로서 선택하지 않으면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스텝 S1, S2에서 설정된 유력 송신처 후보를 최유력 송신처 후보로 설정하여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 버퍼(11)로부터 다른 송신처 후보의 패킷 축적수 및 그 패킷 사이즈를 판독하여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송신처 선택부(12)는, 임계값 A 및 임계값 B에 기초하여, 패킷을 연결하여 송신 프레임을 작성하여도 충분한 송신 효율이 얻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송신처 선택부(12)는, 충분한 송신 효율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판단된 송신처 후보를, 송신처의 선택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따라서, 송신 신호 생성부(13)는, 송신 프레임을 작성하는 경우에 페이로드 부분의 비율을 오버헤드 부분에 대하여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통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하여 간결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송신처에 송신할 데이터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상회한 경우에 프레임 송신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 실시예 1과 서로 다른 점은, 송신처에 대한 데이터량뿐만 아니라, 송신 대기 시간도 가미하여, 데이터의 송신처 후보를 결정하는 점에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송신처 선택부(12)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임계값 A 및 임계값 B에 기초하여 유력 송신처 후보를 설정함과 함께, 송신처 후보마다 송신 버퍼(11)로부터 패킷의 저장 시각을 판독하고, 이 저장 시각에 기초하여 송신처의 선택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패킷의 저장 시각이란, 송신 버퍼(11)에 저장된 시각을 나타낸다.
본 처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1 내지 S14까지의 공정이 도 2에 도시한 스텝 S1 내지 S4까지의 공정에 대응하므로, 이들의 처리 공정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송신처 선택부(12)는, 스텝 S12에서 버퍼 사이즈가 임계값 B를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 S15로 진행한다. 또한, 본 처리는, 스텝 S14에서, 유력 송신처 후보를 송신처로서 선택하면, 스텝 S16으로 진행하고, 유력 송신처 후보를 송신처로서 선택하지 않으면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 버퍼(11)로부터 판독한 패킷의 저장 시각과 현재 시각으로부터, 이들의 패킷이 송신 버퍼(11)에 기억되고 나서 송신 신호 생성부(13)에 판독될 때까지의 송신 대기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송신 대기 시간이 임계값 C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임계값 C는, 송신 지연의 최대 허용값으로부터 최소한의 여유를 뺀 시간이다. 여기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 대기 시간이 임계값 C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 S16으로 진행하고, 송신 대기 시간이 임계값 C를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 S17로 진행 한다.
스텝 S16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스텝 S11, S12, S15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킨 유력 송신처 후보를 최유력 송신처 후보로 설정하여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7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 버퍼(11)로부터 다른 송신처 후보의 패킷 축적수 및 그 패킷 사이즈를 판독하여 스텝 S11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처 선택부(12)는, 스텝 S11, S12의 판단 처리에 의해 패킷을 연결하여도 충분한 송신 효율을 실현할 수 없다고 판단된 송신처 후보가, 스텝 S15에서 송신 대기 시간이 임계값 C를 초과하였다면 우선적으로 최유력 송신처 후보로 설정한다.
실시예 1의 처리 공정에서는, 송신처 후보가 적어도 스텝 S1, S2 중 어느 한 조건을 충족시킬 때까지, 송신 데이터가 송신 버퍼(11)의 큐에 대기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 지연의 최대 허용 시간을 초과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처 선택부(12)는, 모든 송신처 후보를, 최대 지연 허용값이 초과하지 않고서 송신처로서 선택함과 함께, 패킷 연결에 의한 송신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간결하게 설명한다. 우선, 송신 대상으로 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서는, 송신 신호를 생성함에서, 어플리케이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지체없이 송신처에 송신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 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서 송신 프레임에 어플리케이션 처리가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적절한 송신처 선택 알고리즘을 선택함으로써 통신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처 선택부(12)의 처리 공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텝 S21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 신호 생성부(13)로부터 지시되는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가 유효할지 무효할지를 판단한다. 송신처 선택부(12)는,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스텝 S22로 진행하고,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가 무효하다고 판단하면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송신 신호 생성부(13)는, 송신처 후보마다 송신하는 데이터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를 유효로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2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Max Queue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송신처 후보로부터 송신처를 선택하여 스텝 S24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Max Queue 알고리즘은, 송신 버퍼(11)의 큐에서 패킷 축적수가 가장 큰 송신처 후보를 송신처로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다.
스텝 S23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Round Robin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송신처 후보로부터 송신처를 선택하고, 스텝 S24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Round Robin 알고리즘은, 송신처 후보에 대하여 순서대로 송신 기회를 부여해 가는 알고리즘이다.
스텝 S24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스텝 S22 또는 스텝 S23에 의한 송신처 의 선택 처리에 의해, 송신처 후보로부터 송신처를 결정한다.
스텝 S25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결정한 송신처에의 송신 신호의 생성을 송신 신호 생성부(13)에 행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송신처 선택부(12)에서는,Max Queue 알고리즘과 Round Robin 알고리즘의 양방의 송신처 선택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이들 2개의 알고리즘으로부터 1개를 선택하여 송신처를 선택한다.
스텝 S21의 처리에 관련하여, 송신 신호 생성부(13)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를 유효로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TCP/I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VoIP 통신 등, 통신 데이터의 최대 지연 시간을 될 수 있는 한 낮게 억제할 필요가 있는 종류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송신 신호 생성부(13)는,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를 무효로 한다. 이에 대하여, 최대 지연 시간에 될 수 있는 한 여유를 갖게 하여도 통신 시스템 전체의 통신 속도를 될 수 있는 한 빠르게 할 필요가 있는 종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Round Robin 알고리즘에서는, 모든 송신처 후보에 송신 기회를 균등하게 부여하므로, Max Queue 알고리즘에 대하여 패킷 연결 기능이 유효로 작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종류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송신 신호 생성부(13)는,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를 유효로 한다.
따라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 데이터의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송신처 선택 알고리즘을 선택함으로써 송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하여 간결하게 설명한다. Max Queu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송신처 선택을 행함과 함께, 각 송신처 후보와의 사이에서 TCP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 횟수가 적은 송신처 후보에의 송신 기회가 최종적으로 도중에 끊어지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처리에서는, 이러한 통신의 절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신처 후보의 선택에서, 각 송신처 후보의 송신 대기 시간을 선택 요소로서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처 선택부(12)의 처리 공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처리는 도 4의 스텝 S22의 처리 공정에 이하의 공정을 가한 것이다. 따라서, 초기 단계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가 유효한 것을 판단하여 Max Queu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송신처의 선택을 완료한 것으로 하고, 계속하여 이하의 처리 공정을 행한다.
스텝 S31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 버퍼(11)로부터 송신처 후보를 선택하고, 이 송신처 후보에의 송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송신 버퍼(11)의 큐로부터 패킷 저장 시각을 판독한다.
스텝 S32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판독한 패킷 저장 시각으로부터 이들 패킷의 송신 대기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송신처 선택부(12)는, 산출한 송신 대기 시간이 소정의 제한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제한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스텝 S33으로 진행하고, 제한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이 제한값은, 송신 데이터의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른 최대 송신 지연 허용 시간에, 일정한 여유를 뺀 시간이다.
스텝 S33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 대기 시간이 제한값을 초과한 송신처 후보를 송신처에 결정한다. 즉, 송신처 선택부(12)는, Max Queue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된 송신처 후보로부터 이 제한 시간을 초과한 송신처 후보로 송신처를 변경한다.
그런데,Max Queu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송신처 선택을 행함과 함께, 각 송신처 후보와의 사이에서 TCP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 횟수가 적은 송신 후보에의 송신 기회가 최종적으로 도중에 끊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처리에서는, 모든 송신처 후보에 대하여 최대 송신 지연 허용 시간을 초과하지 않고 송신 기회를 할당하므로, 전술한 Max Queue 알고리즘에 의해 통신이 절단되어버릴 우려가 있는 송신처 후보를 없앨 수 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은, 각 송신처 후보에의 재송 횟수에 기초하여, 통신 상태가 나빠서 재송 횟수가 많은 송신처 후보에의 송신 기회를 줄이고, 우선적으로 통신 상태가 좋은 송신처 후보에의 송신 기회를 증가시켜서, 통신 시스템 전체에서의 통신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송신 제어부(1)에서는, 각 송신처에의 송신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송신처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정상 수신하였다는 취지의 ACK가 회신되면, 이 송신처에의 재송 횟수를 0으로 되돌리는 처리를 행한다.
계속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처 선택부(12)의 처리 공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처리는, 도 4의 스텝 S22의 처리 공정에 이하의 공정을 가한 것이다. 따라서, 초기 단계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패킷 연결 지시 플래그가 유효한 것을 판단하여 Max Queue 알고리즘에 의해 송신처를 선택하고, 계속하여 이하의 처리 공정을 행한다.
스텝 S41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송신처 후보에의 송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송신 버퍼(11)로부터 패킷 축적수를 판독한다.
스텝 S42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판독한 패킷 축적수를 분자로 하고, 이 송신처 후보에의 재송 횟수를 분모로 한 평가값을 산출하여 CurrentMax값과 비교한다. 송신처 선택부(12)는, 이 평가값이 CurrentMax값을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 S43으로 진행하고, 이 평가값이 CurrentMax값을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본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CurrentMax값은, 그 초기값이 0이며, 이하에 기재하는 스텝 S43에 의해, 그 값이 갱신된다.
스텝 S43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스텝 S42에서 산출한 평가값을 CurrentMax값에 대입한다.
스텝 S44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이 송신처를 잠정 송신처로 선택하고, 스텝 S41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본 처리 공정을 실행하여 순차적으로 송신처 후보마다 평가해 가, 최종적인 송신처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 처리에서는, 송신처 후보에의 재송 횟수가 많아질수록 그 평가값이 작아지므로, 이 송신처 후보가 송신처로 선택될 가능성이 낮아져 간다. 따라서, 본 처리를 행하는 송신처 선택부(12)는, 통신 상태가 나쁜 송신처 후보에의 재송을 삭감함으로써, 이들의 송신처 후보에 할애되는 통 신 리소스가 감소하므로, 통신 상태가 나쁜 송신처 후보와의 사이에서는 통신 속도가 저하하지만, 통신 시스템 전체에서 실질적인 통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은, 미리 송신 지연이나 통신 속도의 요동을 저감하여 송신해야만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신처 후보를 우선적으로 송신처로 선택하고, 통신 시스템 전체에서의 통신 효율을 도모하는 것이다.
따라서, 송신 제어부(1)에는, 다른 송신처 후보보다도 우선적으로 송신할 필요가 있는 우선 송신처 후보를 기억하는 우선 송신처 테이블을 구비한다. 송신처 선택부(12)는, 이 우선 송신처 테이블을 이용하고,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재하는 처리 공정을 행한다.
스텝 S51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우선 송신처 테이블로부터 우선 송신처 후보를 판독한다.
스텝 S52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판독한 우선 송신처 후보에의 송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송신 버퍼(11)의 큐에 패킷이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송신처 선택부(12)는, 패킷이 축적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 S53으로 진행하고, 패킷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 S54로 진행한다.
스텝 S53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우선 송신처 후보를 송신처로 선택한다. 그 후, 송신 신호 생성부(13)는, 선택된 송신처에의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스텝 S54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우선 송신처 테이블로부터 모든 우선 송신처 후보를 판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모든 우선 송신처 후보를 판독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 S55로 진행하고, 모든 우선 송신처 후보를 판독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 S51로 되돌아간다.
스텝 S55에서, 송신처 선택부(12)는, 우선 송신처 후보 이외의 송신처 후보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한 스텝 S21 내지 스텝 S25까지의 처리를 행하고, 송신처를 선택하여 송신 신호 생성부(13)에 선택한 송신처에의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송신처 선택부(12)는, 우선 우선 송신처 후보를 우선하여 송신처로 선택한 후에, 그 밖의 송신처 후보에 대한 송신처의 선택 처리를 개시한다. 따라서, 우선 송신처 테이블에 송신 지연이나 통신 속도의 요동을 저감하고자 하는 송신처 후보가 기억되어 있으면, 송신처 선택부(12)는, 이들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송신처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처 후보 중으로부터 1개의 송신처를 선택함으로써, 적절한 송신처를 선택하므로 송신 효율이 높은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9)

  1. 데이터의 송신처로 되는 복수의 송신처 후보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는 기억부와,
    상기 각 기억 영역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적어도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처 후보 중으로부터 1개의 송신처를 선택하는 송신처 선택부와,
    상기 송신처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송신처의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량만큼 상기 기억 영역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각 기억 영역으로부터 상기 송신처 후보마다의 패킷 축적수 및 그 패킷 사이즈를 검출하고,
    상기 송신처 선택부는, 상기 검출된 상기 패킷 축적수 및 그 패킷 사이즈에 대하여 각각 소정의 임계값을 설정하고, 적어도 1개의 임계값을 초과한 상기 송신처 후보를 유력 송신처 후보로 설정하여, 상기 유력 송신처 후보로부터 상기 송신처를 선택하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복수의 패킷을 연결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각 기억 영역으로부터 상기 송신처 후보마다의 패킷 축적수 및 그 패킷 사이즈 외에, 상기 패킷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고 나서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에 판독될 때까지의 송신 대기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송신 대기 시간에 대하여 소정의 임계값을 설정하고, 그 임계값을 초과한 송신처 후보를 상기 유력 송신처 후보보다도 우선하여 상기 송신처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복수의 패킷을 연결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신처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패킷을 연결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억부 내에서 가장 패킷이 축적되어 있는 송신처 후보를 상기 송신처로 선택하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처 후보로부터 상기 송신처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패킷을 연결하는 것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송신처 후보를 순서대로 상기 송신처로 선택하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처 후보로부터 상기 송신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각 기억 영역으로부터 상기 송신처 후보마다, 패킷 축적수 및 그 패킷 사이즈 및 패킷 송신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송신처 선택부는, 상기 검출된 상기 패킷 축적수 및 그 패킷 사이즈 및 패킷 송신 시간에 대하여 각각 소정의 임계값을 설정하여 적어도 1개의 임계값을 초과한 상기 송신처 후보를 상기 송신처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각 기억 영역으로부터 상기 송신처 후보마다의 패킷 축적수를 검출하고,
    상기 송신처 선택부는, 상기 송신처 후보마다, 상기 검출된 패킷 축적수를 재송 횟수로 나눈 평가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가값이 가장 큰 송신처 후보를 상기 송신처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처 후보 중으로부터 선택된 우선 송신처 후보를 기억하고 있는 우선 송신처 테이블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각 기억 영역으로부터 상기 우선 송신처 후보의 패킷 축적수를 검출하고,
    상기 송신처 선택부는, 상기 검출된 패킷 축적수가 0이 아닌 우선 송신처 후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패킷 축적수가 0이 아니라고 판단된 우선처 후보를 다른 송신처 후보보다도 우선하여 상기 송신처로 선택하고, 상기 패킷 축적수가 0이 아니라고 판단된 우선 송신처 후보가 없으면 상기 다른 송신처 후보 중으로부터 송신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데이터의 송신처로 되는 복수의 송신처 후보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는 기억부로부터, 각 기억 영역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을 검출하고,
    적어도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처 후보 중으로부터 1개의 송신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송신처의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만큼 상기 기억 영역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송신 제어 방법.
  9. 복수의 송신처 후보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탑재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송신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데이터의 송신처로 되는 복수의 송신처 후보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는 기억부로부터, 각 기억 영역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을 검출하고,
    적어도 상기 검출된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처 후보 중으로부터 1개 의 송신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송신처의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만큼 상기 기억 영역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제어 프로그램.
KR20070025369A 2006-03-16 2007-03-15 통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송신 제어 프로그램 KR200700944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73186 2006-03-16
JP2006073186A JP4396657B2 (ja) 2006-03-16 2006-03-16 通信装置及び送信制御方法及び送信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497A true KR20070094497A (ko) 2007-09-20

Family

ID=3859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5369A KR20070094497A (ko) 2006-03-16 2007-03-15 통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송신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24721B2 (ko)
JP (1) JP4396657B2 (ko)
KR (1) KR20070094497A (ko)
CN (1) CN1010392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544B1 (ko) * 2007-05-07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무선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20090185487A1 (en) * 2008-01-22 2009-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advance link activation
JP5552929B2 (ja) * 2010-07-09 2014-07-16 富士通株式会社 電文送信制御プログラム、通信装置及び電文送信制御方法
JP5618745B2 (ja) * 2010-10-06 2014-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07576B2 (ja) * 2011-09-30 2015-04-30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送信器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WO2014196341A1 (ja) * 2013-06-06 2014-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テンツ中継装置、コンテンツフロー中継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6082330B2 (ja) * 2013-08-19 2017-02-15 株式会社Kddi総合研究所 許容待機時間を考慮して経路毎の集約パケットの収容効率を高める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6082331B2 (ja) * 2013-08-21 2017-02-15 株式会社Kddi総合研究所 許容待機時間を考慮して集約パケットの収容効率を高める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10079804B2 (en) 2014-02-06 2018-09-18 Nec Corporation Packet transmission system, packet transmission apparatus, and packet transmission method
WO2016163043A1 (ja) * 2015-04-10 2016-10-13 株式会社ソリトンシステムズ 電子メール誤送信判定装置、電子メール送信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17163440A (ja) * 2016-03-11 2017-09-14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データ転送方法、及び、データ転送装置
US10524230B1 (en) * 2017-06-21 2019-12-31 Sprint Spectrum L.P. Dynamic paging concatenation method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8241A (ja) * 1989-02-18 1990-08-30 Fujitsu Ltd 高速パケット転送制御方式
JPH0413390A (ja) * 1990-05-02 1992-01-17 Oki Electric Ind Co Ltd 画像パケット多重化装置
JPH082054B2 (ja) * 1990-08-17 1996-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段接続セル転送回路
JPH06197120A (ja) * 1992-12-24 1994-07-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セル多重化回路
JPH0779252A (ja) * 1993-09-08 1995-03-20 Fujitsu Ltd パケット出力制御方式
US5812775A (en) * 1995-07-12 1998-09-22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working buffer management
JP3079072B2 (ja) * 1996-09-25 2000-08-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競合制御回路
JP3196107B2 (ja) * 1997-03-27 2001-08-06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データ交換システム
JPH1117685A (ja) * 1997-06-20 1999-01-22 Oki Electric Ind Co Ltd 帯域管理回路、伝送装置及び伝送システム
US6480477B1 (en) * 1997-10-14 2002-11-12 Innowave Eci Wireless System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data transmission rate of multiples of 100 MBPS in a terminal for a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US6421348B1 (en) * 1998-07-01 2002-07-1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speed network switch bus
JP3206579B2 (ja) * 1999-01-13 2001-09-10 日本電気株式会社 宛名領域検出装置
JP3587352B2 (ja) * 1999-02-04 2004-11-10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通信性能測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ネットワーク通信性能測定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0307582A (ja) * 1999-04-26 2000-11-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固定長パケットスイッチ
EP1601157B1 (en) * 1999-08-06 2020-01-15 Godo Kaisha IP Bridge 1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JP3590751B2 (ja) * 2000-02-17 2004-11-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ケット多重化装置
US6859824B1 (en) * 2000-06-30 2005-02-22 Hitachi, Ltd. Storage system connected to a data network with data integrity
JP4691804B2 (ja) 2001-03-02 2011-06-0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伝送装置及び無線伝送方法
US7103350B2 (en) 2001-11-16 2006-09-05 Nortel Networks Limited Scheduler with fairness control and quality of service support
US20030095447A1 (en) 2001-11-20 2003-05-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hared memory controller for display processor
JP3904922B2 (ja) * 2001-12-28 2007-04-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トラヒックシェーパーおよび集線装置
JP3828431B2 (ja) * 2002-01-31 2006-10-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3828444B2 (ja) * 2002-03-26 2006-10-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通信中継装置及びシステム
US7260645B2 (en) * 2002-04-26 2007-08-21 Proficient Networks,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acilitating determination of network path metrics
JP3981819B2 (ja) * 2002-08-08 2007-09-26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的キューイングバッファ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05010766A1 (ja) * 2003-07-24 2005-02-03 Fujitsu Limited データ格納システム
JP4317788B2 (ja) * 2004-05-21 2009-08-19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シェーピング装置、フロー制御方法および通信ノード装置
JP4324054B2 (ja) * 2004-08-25 2009-09-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サービス品質保証方法、サービス品質保証装置、サービス品質保証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395396B2 (en) * 2004-08-30 2008-07-01 Hitachi, Ltd. Storage system and data relocation control device
JP4933861B2 (ja) * 2005-09-22 2012-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制御装置、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管理方法
JP4694350B2 (ja) * 2005-11-08 2011-06-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装置の起動可能なディスクグループ数の管理
JP4749140B2 (ja) * 2005-12-05 2011-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マイグレーション方法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51653A (ja) 2007-09-27
US20070268897A1 (en) 2007-11-22
JP4396657B2 (ja) 2010-01-13
CN101039273A (zh) 2007-09-19
CN101039273B (zh) 2012-01-04
US7924721B2 (en) 201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4497A (ko) 통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송신 제어 프로그램
US200701833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backward congestion notification in network
US6388992B2 (en) Flow control technique for traffic in a high speed packet switching network
US61222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flow control with perceptive parameters
US6408006B1 (en) Adaptive buffering allocation under multiple quality of service
US7496039B2 (en) Delay guarantee path setting system
CN107634912B (zh) 负载均衡方法、装置及设备
US8345657B2 (en) Method and device of transmitting and pars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875739B1 (ko) Ip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패킷 버퍼 관리 장치 및 방법
US7778174B2 (en) Shaper circuit and shaper circuit combination
EP3758409A1 (en) Data traffic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network device
US6721335B1 (en) Segment-controlled process in a link switch connected between nodes in a multiple node network for maintaining burst characteristics of segments of messages
CN1423879A (zh) 一种在ip子网中用于拥塞控制的方法
Abaev et al. Modeling of hysteretic signaling load control in next generation networks
EP1565011A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ink congestion
US20020097734A1 (en) Packet scheduler
US2007015996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reshold values for traffic control in communication networks with admission control
CN113543246B (zh) 网络切换方法及设备
US20040042397A1 (en) Method for active queue management with asymmetric congestion control
EP1193903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81810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operation mode of node in ad hoc network
JP2001111556A (ja) Redによる輻輳回避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2112304A (ja) ハンドオーバ予測通信システム
KR100204476B1 (ko) 에이티엠 망에서의 최적 경로 설정 방법
JP2006074412A (ja) 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