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809A -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809A
KR20070093809A KR1020070016968A KR20070016968A KR20070093809A KR 20070093809 A KR20070093809 A KR 20070093809A KR 1020070016968 A KR1020070016968 A KR 1020070016968A KR 20070016968 A KR20070016968 A KR 20070016968A KR 20070093809 A KR20070093809 A KR 20070093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subject
imaging
pers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4066B1 (ko
Inventor
토모히로 이노우에
마사히로 센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40Spoof detection, e.g. liveness detection
    • G06V40/45Detection of the body part being al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6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acquisi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5Environment-dependent, e.g. using captured environment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인 모인(冒認)에 대한 내성이 높은 인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 휴대 전화(1)는, 접사 가능한 접사 모드와 통상 촬영 모드를 전환할 수 있고, 피인증자를 촬상하는 카메라(2)와, 카메라(2)가 접사 모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사부(13)와, 피인증자를 촬상한 때의 카메라(2)의 모드가 접사 모드인 것을 검사부(13)가 검출한 경우에,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인증 장치, 촬상 수단, 통보 수단 , 검출 수단

Description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CERTIFY APPARATUS, CERTIFY METHOD, CERTIFY PROGRAM AND WRITE MEDIUM OF POSSIBILITY COMPUTER READING}
도 1은 한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한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인증 장치) 2 : 카메라(촬상 수단)
10 : 표시부(통보 수단) 13 : 검사부(검출 수단)
14 : 판단부(판단 수단)
본 발명은, 피인증자의 촬상 화상에 의거하여 본인 확인을 행하는 인증 장치 및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휴대 단말의 보급·기능의 강화에 따라, 보안 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자 머니와 같은 금융거래에 직결하는 기능을 탑재하는 경우에는, 보안의 확보는 절대 조건이 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종래의 비밀번호·패스워드라는 보안 대책에 더하여, 보다 보안의 확보가 용이한 생체 인증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에서, 얼굴 인증은, 평소의 생활에서 사람이 극히 보통으로 행하고 있는 식별 방법이고, 정신적인 저항이 적은 것,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의 보급으로 촬상 가능한 장치가 증가하고, 적은 투자로 실현 가능한 것 등으로부터 채용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얼굴 인증을 행하는 휴대 단말을 구비하는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카드 이용자 확인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이용자는, 크레디트 카드를 사용하기 직전에 휴대 전화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자신의 얼굴을 촬상하고, 그 얼굴 사진을 입력한 패스워드와 함께 크레디트 회사에 송신한다. 크레디트 회사에서는 수신한 얼굴 사진과 패스워드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미리 규정된 시간 동안, 이용자에 의한 크레디트 카드의 사용을 허가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5-063342호 공보(2005년 3월 10일 공개)
그런데,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미리 본인, 즉, 본래의 피인증자의 사진을 입수하여 두고, 그 사진을 인증 시스템과 접속된 휴대 전화의 카메라로 촬상하면, 본인이 아닌 인간이라도 인증 스텝을 클리어할 수 있다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한 본인 모인은, 면허증이나 패스포트의 증명 사진, 스냅 사진 등, 본인의 얼굴 사진을 입수할 수 있다면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스냅 사진은, 입수가 용이하다. 또한, 휴대 전화를 인증 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남의 눈에 띄지 않는 장소에서 인증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본인 모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본인 모인에 대한 내성이 높은 인증 장치 및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인증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인증자를 촬상함에 의해 본인 확인을 행하는 인증 장치로서, 접사 가능한 접사 모드와 해당 접사 모드 이외의 비접사 모드를 전환할 수 있고, 피인증자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접사 모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피인증자를 촬상한 때의 상기 촬상 수단의 모드가 접사 모드인 것을 상기 검출 수단이 검출한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인증 방법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인증자를 촬 상함에 의해 본인 확인을 행하는 인증 장치에 의한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인증 장치가 구비하는 촬상 수단에 의해 피인증자를 촬상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서의 상기 촬상 수단이 접사 가능한 접사 모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촬상 수단이 접사 모드인 것을 상기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공정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면허증이나 패스포트의 증명 사진, 스냅 사진 등의 본인(본래의 피인증자)의 사진을 이용하여 본인 모인을 행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진에 있어서의 본인의 상(예를 들면, 얼굴)은 작기 때문에, 그 사진을 촬상 수단에 접근하여 촬상하지 않으면 인증되지 않는다. 이때, 통상의 촬상 모드로는 핀트가 맞지 않기 때문에, 촬상 수단을 접사 모드로 전환하여 사진을 촬상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인증자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은, 접사 모드와 비접사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것이고, 이 촬상 수단의 모드를 검출 수단이 검출한다. 그리고,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를 촬상한 때에, 해당 촬상 수단이 접사 모드라고 검출 수단이 판정하면, 판단 수단은, 촬상 대상이 진짜의 상(예를 들면, 얼굴)이 아니라 사진 등의 의사물(疑似物)일 가능성이 높다고 간주하여,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 때문에, 본인이 아닌 인간이, 촬상 수단을 접사 모드로 하여 본인의 사진을 촬상함으로써 본인 모인을 시도한 때에,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인 모인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를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통보 수단은,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상기 판단 수단이 판단한 후, 소정의 시간 후에 상기 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를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 수단이 접사 가능한 상태에서 피인증자의 얼굴이 촬상된 경우에 인증 결과가 나올 때까지의 시간은, 비접사 모드로 촬상된 경우보다도 짧다. 왜냐하면, 비접사 모드로 촬상된 경우에는, 통상의 인증 처리가 행하여지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접사 가능한 상태에서 피인증자의 얼굴이 촬상된 경우에, 곧바로 인증 실패 결과를 통보하면, 통상의 인증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는 것이, 본인을 가장한 인간에게 알려질(察知) 가능성이 있다. 통상의 인증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는 것을 찰지하면, 그 인간은 확대 사진을 이용하는 등의 대항책을 강구하여 올 우려가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상기 판단 수단이 판단한 경우에, 그 판단 결과는 바로는 통보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통보 수단에 의해 통보된다.
그 때문에, 통상의 인증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 본인을 가장한 인간에게, 통상의 인증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어서, 본인 모인이 재차 행하여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장치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인증 프로그램 및 해당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 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관해 도 1 내지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인증 장치의 한 예로서 휴대 전화(1)를 들어 설명한다. 이 휴대 전화(1)는, 유저의 인증을 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과금(課金) 결제부(11)에 과금 결제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다.
또한, 과금 결제부(11)는, 휴대 전화(1)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의 한 예이고, 그 밖의 어플리케이션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전자메일 송수신용이나 입실(入室) 관리용의 어플리케이션이라도 좋다.
(휴대 전화(1)의 구성)
도 1은 휴대 전화(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1)는, 카메라(2)(촬상 수단), 인증부(3), 데이터베이스(4), 제어부(5), 마이크로폰·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성 입출력부(7), 음성 신호나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8), 과금 결제부(11), 모인 판정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2)는, 피인증자인 유저의 얼굴의 화상(이하, 인증 화상이라고 칭한다)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이다. 카메라(2)는, 예를 들면, CCD 카메라이고, 통상 촬영 모드(비접사 모드)와 접사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유저는, 입력부(9)를 통하여 카메라(2)의 촬영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카메라(2)는, 취득한 인 증 화상을 인증부(3)에 출력한다.
카메라(2)의 촬상 모드의 전환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렌즈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도 좋고, 렌즈의 종류를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카메라(2)는, 유저가 자신의 얼굴을 촬상하기 쉽도록, 휴대 전화(1)의, 입력부(9)나 표시부(10)가 마련되어 있는 면과 같은 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4)에는, 유저의 얼굴을 촬상한 화상(이하, 등록 화상이라고 칭한다)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 등록 화상은, 카메라(2)에 의해 취득된 것이라도 좋고, 다른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것이라도 좋다.
인증부(3)는, 카메라(2)에 의해 취득된 인증 화상과, 데이터베이스(4)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화상을 대조하고, 양 화상이 얼마만큼 유사한지에 의거하여, 피인증자가 본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증부(3)에서의 대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해당 유사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에 의해, 피인증자가 본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도 좋다.
인증부(3)는, 제어부(5)로부터 출력된 대조 명령을 수취하면, 상기한 대조 처리를 행하고, 대조 결과를 제어부(5)에 출력한다.
모인 판정부(12)는, 인증 화상이 촬상된 때의 카메라(2)의 촬영 모드에 의거하여 본인 모인이 행하여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모인 판정부(12)는, 검사부(13)와 판단부(14)를 구비하고 있다.
검사부(13)는, 카메라(2)의 촬영 모드를 검사하고, 촬영 모드가 통상 촬영 모드인지 접사 모드인지를 나타내는 촬영 모드 정보를 판단부(14)에 출력한다. 카메라(2)는, 자신의 촬영 모드가 통상 촬영 모드인지 접사 모드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고, 검사부(13)는, 이 플래그의 값을 참조함에 의해 카메라(2)의 촬영 모드를 검사한다.
판단부(14)는, 검사부(13)로부터 촬영 모드 정보를 수취하고, 해당 촬영 모드 정보에 의해 카메라(2)가 통상 촬영 모드인 것이 나타나 있는 경우에, 대조 처리를 명하는 대조 명령을 인증부(3)에 출력하고, 해당 촬영 모드 정보에 의해 카메라(2)가 접사 모드인 것이 나타나 있는 경우에, 촬상 대상이 실물의 얼굴이 아니라고 간주하여,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대조 처리를 허가하지 않는 취지를 나타내는 대조 불허가 명령을 제어부(5)에 출력한다.
과금 결제부(11)는, 피인증자는 본인이라고 인증부(3)가 판단한 경우에, 통신부(8)를 통하여 크레디트 회사가 갖는 서버와 통신을 행하고, 과금 결제를 위한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5)는, 인증부(3)로부터 대조 결과를 나타내는 대조 정보를 수취하고, 이 대조 정보가 인증의 성공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 인증이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정보를 과금 결제부(11)에 출력한다. 또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제어부(5)는, 표시부(10)를 통하여 인증 실패 결과를 통보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5)는, 판단부(14)로부터 대조 불허가 명령을 수취하면, 소정의 시간(이하, 위장 시간이라고 칭한다)을 두고, 인증이 실패한 취지를 표시부(10)를 통하여 통보한다. 이 위장 시간은, 타이머(6)에 의해 계측된다.
위장 시간의 길이는, 인증부(3)에서의 대조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과 거의 같은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대조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더라도, 대조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와 거의 같은 타이밍에서 인증 결과가 통보된다. 그 때문에, 대조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 마치 대조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처럼 위장할 수 있다.
(휴대 전화(1)에서의 처리의 흐름)
다음에, 휴대 전화(1)에서의 처리의 흐름의 한 예에 관해,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휴대 전화(1)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유저(피인증자)에 의해 인증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조작이 입력부(9)를 통하여 행하여지면, 카메라(2)에 의해 유저의 얼굴이 촬상된다(촬상 공정)(S1).
이때, 검사부(13)는, 카메라(2)가 통상 촬영 모드인지 접사 모드인지를 검사하고, 촬영 모드 정보를 판단부(14)에 출력한다(검출 공정)(S2).
이 촬영 모드 정보가 통상 촬영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환언하면, 카메라(2)가 접사 모드가 아닌 경우(S2에서 NO), 판단부(14)는, 모인은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판단하고(판단 공정), 대조 명령을 인증부(3)에 출력한다.
대조 명령을 수취하면, 인증부(3)는, 카메라(2)로부터 출력된 인증 화상과 데이터베이스(4)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화상을 대조하고, 피인증자가 본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 그리고, 인증부(3)는, 그 판정 결과를 제어부(5)에 출력한다.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S4에서 YES), 제어부(5)는, 인증 성공 정보를 과금 결제부(11)에 출력한다.
인증 성공 정보를 수취하면, 과금 결제부(11)는, 과금 결제를 위한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S5).
한편,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S4에서 NO), 제어부(5)는, 인증 실패 결과를 표시부(10)를 통하여 통보한다(S6).
한편, 촬영 모드 정보가 접사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S2에, YES), 판단부(14)는,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대조 불허가 명령을 제어부(5)에 출력한다.
대조 불허가 명령을 수취하면, 제어부(5)는, 타이머(6)를 참조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기다린다(S7).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S7에서 YES), 제어부(5)는, 표시부(10)를 통하여 인증이 실패한 취지를 알린다(S8).
(휴대 전화(1)의 효과)
이상과 같이, 휴대 전화(1)는, 카메라(2)가 접사 모드인 상태에서 피인증자의 얼굴이 촬상된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 때문에, 본인의 얼굴 사진을 접사함에 의해 본인 모인이 행하여진 경우에, 인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인 모인에 의한 잘못 인증이 일어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 다.
또한, 휴대 전화(1)는, 인증 화상 촬영시의 카메라(2)가 접사 모드인지의 여부를, 본인 모인이 행하여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인증 장치에 약간의 변경을 가하는 것만으로 휴대 전화(1)를 실현할 수 있다.
(변경예)
상술한 구성에서는, 위장 시간을 마련하고, 이 위장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인증 실패 결과를 통보하였지만, 위장 시간을 마련하지 않고, 제어부(5)는, 판단부(14)로부터 대조 불허가 명령을 수취하면 곧바로 인증 실패 결과를 통보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5)는, 표시부(10)를 통하여 화상에 의해 인증 결과를 통보하여도 좋고, 스피커(도시 생략)를 통하여 음성에 의해 인증 결과를 통보하여도 좋다.
상술한 구성에서는, 제어부(5)가 타이머(6)를 참조하였지만, 판단부(14)가 타이머(6)를 참조함에 의해, 소정의 시간 후에 대조 불허가 명령을 제어부(5)에 출력하여도 좋다.
또한, 모인 판정부(12)의 기능은, 제어부(5)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는, 카메라(2)는, 접사 모드와 통상 모드(비접사 모드)의 2개의 모드를 갖는 것으로 하였지만, 카메라(2)는 적어도 하나의 접사 모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접사 모드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촬영 모드의 종류나 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인증부(3) 및 데이터베이스(4)를 외부의 장치에 마련하고, 휴대 전 화(1)와 해당 외부의 장치가 통신을 행함으로써, 대조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또한, 과금 결제부(11)에 상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전화(1)와 통신을 행하는 외부의 장치가 갖는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 외부의 장치란, 유저의 인증 결과를 필요로 하는 자가 소유하는 장치이고, 예를 들면, 상품을 판매하는 업자나 크레디트 회사가 소유하는 컴퓨터나 서버이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인증 장치의 한 예로서 휴대 전화(1)를 들었지만, 상기 인증 장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 장치이면 좋고, 카메라를 구비한, PAD(Personal Digital Assistance)나 퍼스널 컴퓨터라도 좋다. 또한, 촬상 수단과 인증 장치의 본체란 일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인증 장치의 본체에 촬상 수단을 분리 가능하게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휴대 전화(1)의 각 블록은, 하드웨어 로직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고, 다음과 같이 CPU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즉, 휴대 전화(1)는, 각 기능을 실현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read only memory),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상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기록 매체)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휴대 전화(1)의 제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실행 형식 프로그램, 중간 코드 프로그램, 소스 프로그램)를 컴퓨터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한 기록 매체를, 휴대 전화(1)에 공급하고, 그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고 실행함에 의해서도, 달성 가능하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계, 플로피(등록상표)디스크/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ROM/MO/MD/DVD/CD-R 등의 광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계, IC 카드(메모리 카드를 포함한다)/광카드 등의 카드 계, 또는 마스크 ROM/EPROM/EEPROM/플래시 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1)를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급하여도 좋다. 이 통신 네트워크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LAN, ISDN, VAN, CATV 통신망, 가상 전용망(virtual private network), 전화 회선망, 이동체 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송 매체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IEEE1394, USB, 전력선 반송, 케이블TV 회선, 전화선, ADSL 회선 등의 유선이라도, IrDA나 리모트컨트롤과 같은 적외선, Bluetooth(등록상표), 802.11 무선, HDR, 휴대 전화망, 위성 회선, 지상파 디지털망 등의 무선이라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전자적인 전송으로 구현화된 반송파 또는 데이터 신호열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된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인증 장치는, 이상과 같이, 접사 가능한 접사 모드와 해당 접사 모드 이외의 비접사 모드를 전환할 수 있고, 피인증자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접사 모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피인증자를 촬상한 때의 상기 촬상 수단의 모드가 접사 모드인 것을 상기 검출 수단이 검출한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인증 방법은, 이상과 같이, 상기 인증 장치가 구비하는 촬상 수단에 의해 피인증자를 촬상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서의 상기 촬상 수단이 접사 가능한 접사 모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촬상 수이 접사 모드인 것을 상기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본인(본래의 피인증자)이 아닌 인간이, 촬상 수단을 접사 가능한 상태로 하여 본인의 사진을 촬상함으로써 본인 모인을 시도한 때에,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어서, 본인 모인에 의한 오(誤)인증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피인증자를 촬상할 때의 촬영 모드에 의거하여, 본인 모인에 의한 잘못 인증이 일어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피인증자의 화상을 기초로 본인 확인 을 행하는 인증 장치에 알맞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피인증자를 촬상함에 의해 본인 확인을 행하는 인증 장치에 있어서,
    접사 가능한 접사 모드와 해당 접사 모드 이외의 비접사 모드를 전환할 수 있고, 피인증자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접사 모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피인증자를 촬상한 때의 상기 촬상 수단의 모드가 접사 모드인 것을 상기 검출 수단이 검출한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상기 판단 수단이 판단한 후, 소정의 시간 후에, 상기 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를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장치.
  3. 피인증자를 촬상함에 의해 본인 확인을 행하는 인증 장치에 의한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 장치가 구비하는 촬상 수단에 의해 피인증자를 촬상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서의 상기 촬상 수단이 접사 가능한 접사 모드인지의 여부 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촬상 수단이 접사 모드인 것을 상기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인증 장치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 각 수단으로서 기능 시키기 위한 인증 프로그램.
  5. 제 4항에 기재된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016968A 2006-03-15 2007-02-20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74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71852 2006-03-15
JP2006071852A JP4747894B2 (ja) 2006-03-15 2006-03-15 認証装置、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809A true KR20070093809A (ko) 2007-09-19
KR100874066B1 KR100874066B1 (ko) 2008-12-12

Family

ID=3817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968A KR100874066B1 (ko) 2006-03-15 2007-02-20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65528B2 (ko)
EP (1) EP1835433B1 (ko)
JP (1) JP4747894B2 (ko)
KR (1) KR100874066B1 (ko)
CN (1) CN10053871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4712B2 (ja) * 2008-12-24 2012-11-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利用者認証端末、認証システム、利用者認証方法、および利用者認証プログラム
JP2010211296A (ja) * 2009-03-06 2010-09-24 Rohm Co Ltd 個人認証システム
EP2495594A3 (en) * 2009-06-16 2012-11-28 Intel Corporation Camera applications in a handheld device
US9378410B1 (en) 2014-12-15 2016-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cilitating legal approval of digital images
US10764301B2 (en) * 2015-11-17 2020-09-01 Oath Inc. Method and system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visual representation of user location
CN107135348A (zh) * 2016-02-26 2017-09-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拍摄对象的识别方法、装置、移动终端和照相机
CN113095831A (zh) * 2019-12-23 2021-07-09 阿尔派株式会社 电子装置、认证方式的决定方法以及认证方式的决定程序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153A (ja) 2000-03-22 2001-09-28 Toshiba Corp 顔画像認識装置および通行制御装置
US6959874B2 (en) * 2001-02-23 2005-11-01 Bardwell William E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using biometric images and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stored on a magnetic stripe and associated methods
JP2003259166A (ja) * 2002-02-28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KR20030093464A (ko) * 2002-06-03 2003-12-11 (주)아이엠에이테크놀로지 얼굴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보안 인증방법
CN101064005A (zh) * 2003-02-13 2007-10-31 日本电气株式会社 伪装检测装置及伪装检测方法
CN100361160C (zh) * 2003-03-28 2008-01-09 富士通株式会社 摄影装置及个人识别系统
US20040228505A1 (en) * 2003-04-14 2004-11-18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characteristic portion extraction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device
JP2005063342A (ja) 2003-08-20 2005-03-10 Nec Corp カード使用者確認システム、カード使用者確認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317465B2 (ja) * 2004-02-13 2009-08-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顔識別装置、顔識別方法及び顔識別プログラム
JP2005236513A (ja) * 2004-02-18 2005-09-02 Fujinon Corp 撮像装置
JP4245151B2 (ja) * 2004-02-26 2009-03-2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使用制限機能付携帯電話機および該機を使用制限する方法
JP2005310069A (ja) * 2004-04-26 2005-11-04 Fuji Xerox Co Ltd 認証装置、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40151A (ja) 2004-07-29 2006-02-09 Toshiba Corp 顔認証装置、顔認証方法および通行制御装置
JP4548218B2 (ja) * 2005-05-24 2010-09-2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顔認証装置
JP4793179B2 (ja) * 2005-11-14 2011-10-12 オムロン株式会社 認証装置及び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20267A1 (en) 2007-09-20
EP1835433A1 (en) 2007-09-19
EP1835433B1 (en) 2012-11-14
CN101038613A (zh) 2007-09-19
JP2007249589A (ja) 2007-09-27
KR100874066B1 (ko) 2008-12-12
CN100538717C (zh) 2009-09-09
JP4747894B2 (ja) 2011-08-17
US8065528B2 (en)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066B1 (ko)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N109326058B (zh) 基于智慧柜员机的身份核查方法、装置、终端及可读介质
KR100885366B1 (ko)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WO2019042324A1 (zh) 资源转移方法、资金支付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90493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image
KR101624575B1 (ko) 모바일 상거래에서의 사용자 아이덴티티 증명
US114319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hermal data to trigger identification process
Ba et al. ABC: Enabling smartphone authentication with built-in camera
US20130111222A1 (en) Verification of Authenticity and Responsiveness of Biometric Evidence And/Or Other Evidence
CN105095847A (zh) 用于移动终端的虹膜识别方法和装置
US11496471B2 (en) Mobile enrollment using a known biometric
US11544967B2 (en) Image sensor with inside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storage
JP2006319550A (ja) 撮像装置、携帯端末
CN113780212A (zh) 用户身份核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4899552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085289A (ja) 顔認証システムおよび顔認証方法
WO2018179723A1 (ja) 顔認証処理装置、顔認証処理方法及び顔認証処理システム
JP2005196516A (ja) 顔認識によるセキュリティ方法
JP7337094B2 (ja)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20050237397A1 (en) Image capture
JP7260145B2 (ja) 認証装置、認証用端末、認証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539533B1 (ko) 타인의 신분증 불법 촬영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장치
US20240187242A1 (en)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user device and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JP2004312210A (ja) 個人認証方法、個人認証装置及び個人認証システム
KR20240078145A (ko) 금융 거래를 위한 인증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