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327A - 광디스크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327A
KR20070093327A KR1020070010648A KR20070010648A KR20070093327A KR 20070093327 A KR20070093327 A KR 20070093327A KR 1020070010648 A KR1020070010648 A KR 1020070010648A KR 20070010648 A KR20070010648 A KR 20070010648A KR 20070093327 A KR20070093327 A KR 20070093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trategy
reproduction signal
optical disc
write strate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히사 나카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9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6Recording strategies, e.g. pulse sequen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8Verification, i.e. checking data during or after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디스크 장치,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라이트 스트래티지(strategy)의 설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는 기준이 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기초하여 기록파워를 결정하여 광디스크에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따라, 광디스크에 복수종의 마크를 포함하는 정보를 테스트 기록시키는 테스트 기록수단과, 테스트 기록수단에 의해 광디스크에 테스트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마크 및 스페이스에 따른 2치의 재생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신호 생성수단과, 재생신호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재생신호 판정수단과, 재생신호 판정수단에 의해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변경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광디스크, 기록, 라이트 스트래티지

Description

광디스크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Optical disk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 기록장치에서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 기록장치에서의 기록방법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횡축을 신호길이, 종축을 빈도로 했을 때의 각 신호에서의 이상적인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횡축을 신호길이, 종축을 빈도로 했을 때의 각 신호에서의 라이트 스트래티지가 잘못되어 있거나 기록파워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의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DVD에서의 표준적인 3T~14T의 신호샘플 비를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횡축을 신호길이, 종축을 빈도로 했을 때의 각종 신호분포로부터의 어긋남 양(디비에이션) 및 편차상태(지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mT마크 뒤에 nT스페이스가 오는 신호의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DVD-R 디스크에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기록파워를 바꾸어 기록한 것의 3TS-3TM의 D2C지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β값을 설명하기 위한 RF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0은 스페이스를 개재한 마크로부터 열 유입에 의한 열 간섭효과에 의해 D2C지터가 급격하게 악화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CD-R 디스크에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기록파워를 바꾸어 기록한 것의 3TS-3TM의 D2C지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11의 그래프에 있어서, β=5%에서의 지터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 기록장치에서의 기록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는 특정의 마크 펄스 에지를 규정량(Δ) 움직였을 때, 실측되는 마크 에지의 변화량(dT)으로부터 구해지는 계수(고유 변화량)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인접하는 스페이스를 통과하여 다음의 마크의 열이 영향을 주는 열 간섭효과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CD-R의 8배속 기록에 있어서, 베이스 스트래티지를 (n-0.5)T로 설정하고, 3T마크의 폭을 바꿨을 때에 고유 변화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종래기술의 광디스크 기록장치에서의 기록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디스크, 2: 광디스크 기록장치, 200: 광 픽업, 202: 헤드앰프,
204: 2치화 회로, 206: 디코더, 208: 클록 어긋남 측정부, 210: RAM,
212: 데이터 구별 연산부, 216: 라이트 스트래티지 연산부,
218: 라이트 스트래티지 메모리부, 220: ROM, 222: 콘트롤러,
224: 인코더, 226: 기록펄스 조정부, 228 레이저 구동
본 발명은 광디스크 장치,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라이트 스트래티지(strategy)의 설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인터넷 등이 눈부신 기세로 보급됨으로써,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많은 정보가 활발히 송수신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중, 최근, 정보기록장치의 분야에 있어서, CD-R 등의 추가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나 CD-RW 등의 재기입형 광디스크가 기록매체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레이저 광원으로서의 반도체 레이저의 단파장화, 높은 개구수(Numerical Aperture)를 가지는 고NA 대물렌즈에 의한 스폿직경의 소경화 및 박형 기판의 채용 등에 의해, DVD-R, DVD-RW, DVD-RAM 등의 대용량의 광디스크가 정보기록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CD-R 등에서의 정보의 기록은, PC(Personal Computer) 등으로부터 받은 기록정보를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신호로 변환하여 행해지는데, 사용하는 광디스크를 구성하는 색소 기록층 등의 조성의 차이로부터, 광기록매체의 축열이나 냉각속도의 부족에 기인하는 마크의 형성불량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 에, EFM신호를 그대로 기록하고자 해도 원하는 마크나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기준이 되는 기록파형에 대해, 사용하는 개개의 광디스크에 고유의 기록 파라미터(이하, 이를 라이트 스트래티지라 함.)를 정하여 양호한 기록품질을 유지하는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따라서, 시장에 유통되어 자주 사용되는 일반적인 광디스크에 관해서는, 미리 광디스크 장치의 펌웨어에 이미 알고 있는 광디스크에 관한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기억하고, 이를 기록 시에 읽어 들여 설정함으로써 최적의 기록처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광디스크 장치에 광디스크가 삽입되면, 그 광디스크의 고유정보(디스크 ID 등)를 판독하고, 이 ID정보에 기초하여 광디스크의 제조사나 모델을 특정하여 정보를 기입하는 기록동작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는 광디스크 장치의 제조사가 파악하고 있는 이상의 여러가지 광디스크가 유통되고 있으며, 새로운 광디스크의 개발도 고려하면, 시장에 유통하는 모든 광디스크에 대해서 최적의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미리 준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라이트 스트래티지가 펌웨어에 기억되어 있지 않는 미지의 광디스크에 관해서는, 표준적인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나 특성이 가깝다고 판단되는 광디스크의 라이트 스트래티지, 예를 들면 같은 제조사의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사용하여 기록동작을 행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특허공개 2004-355727호 공보) 또는 특허문헌 2(일본특허공개 2005-149580호 공보)에는, 미지의 광디스크에 대해서도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자동설정을 행하는 종래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모두 기준이 되는 라이 트 스트래티지를 베이스로 하여 마크길이, 스페이스길이를 일치시키도록 기록펄스의 에지를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에는 처음에 설정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관한 대응에 대한 기재는 없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3(일본특허공개 2005-50411호 공보)에는,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자동설정의 개념은 다르지만, 처음에 설정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대한 처리가 기재되어 있다. 즉, 이 종래기술에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결정 라이트 스트래티지에서 기록 후, 그 품질을 측정하여 규정값과 비교하고,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록속도를 낮추고 나서 다시 라이트스트래티지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의 종래기술에서는, 가결정 라이트 스트래티지 설정 후에 이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실제의 기록에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문에, 실제의 기록에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금까지의 라이트 스트래티지 설정시간이나 기록영역 등이 쓸데없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제의 기록에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기록속도를 내리기 위해서 데이터의 기입시간이 길어지고 성능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 설정시간의 단축 및 사용기록영역의 삭감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최적의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안이하게 기록속도를 내림으로써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로 하는 기록속도 중에서 사용 가능한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찾음으로써 고속기록이 가 능한 우수한 광디스크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는 기준이 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기초하여 기록파워를 결정하여 광디스크에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따라, 광디스크에 복수종의 마크를 포함하는 정보를 테스트 기록시키는 테스트 기록수단과, 테스트 기록수단에 의해 광디스크에 테스트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마크 및 스페이스에 따른 2치의 재생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신호 생성수단과, 재생신호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재생신호 판정수단과, 재생신호 판정수단에 의해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변경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생신호 판정수단에 의해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기초로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산출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생신호 판정수단은 재생신호 생성수단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의 신호종류별의 샘플 수를 측정하고, 그 샘플수 비가 규정조건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생신호 판정수단은 재생신호 생성수 단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의 소정의 조합의 D2C(Data to Clock)지터를 측정하고, 이 지터값이 규정조건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생신호 판정수단은 재생신호 생성수단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의 신호종류별의 신호길이를 측정하고, 이 신호종류별 평균값과 이론 중심값의 어긋남을 나타내는 디비에이션(deviation)을 구하여, 이 디비에이션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기록장치는 기준이 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기초하여 기록파워를 결정하여 광디스크에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및 이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소정의 마크에 부가를 가한 라이트스트래티지에 따라 정보를 광디스크에 제1 테스트 기록 및 제2 테스트 기록시키는 테스트 기록수단과, 테스트 기록수단에 의해 광디스크에 제1 테스트 기록 및 제2 테스트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마크 및 스페이스에 따른 2치의 제1 테스트 기록 재생신호 및 제2 테스트 기록 재생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신호 생성수단과, 재생신호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한 제1 테스트 기록 재생신호의 D2C디비에이션과 제2 테스트 기록 재생신호의 D2C디비에이션의 차를 산출하고, 이 산출한 차로부터 고유 변화량을 구하는 고유 변화량 산출수단과, 고유 변화량 산출수단에서 산출된 고유 변화량이 규정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고유 변화량 판정수단과, 고유 변화량 판정수단에 의해 판정한 고유 변화량이 규정값을 만족 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변경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변경수단은 상기 재생신호 판정수단에 의해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n+k)T의 k의 값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변경수단은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k의 값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기록장치의 기록방법은 (a) 기준이 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따라 복수종의 마크를 포함하는 정보를 기록하여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관련된 기록품질을 평가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기초로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관련된 기록품질은 재생신호 길이별 분포 비율을 산출하여 평가하거나, 재생신호에서의 각 신호 길이별 분포의 이론 중심값으로부터의 어긋난 양인 디비에이션을 구하여 평가하거나, 재생신호에서의 제1특정 길이의 마크 뒤의 제2특정 길이의 스페이스가 오는 신호의 조합에서 상기 제1특정 길이의 마크 뒤의 후에지와 클록의 어긋난 양의 편차를 산 출하여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a)는 (a1)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따라 상기 광디스크에 복수종의 마크를 포함하는 정보를 테스트 기록하는 단계; (a2) 상기 광디스크에 테스트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마크 및 스페이스에 따른 2치의 재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a3) 상기 생성한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관련된 기록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b)는 (b1) 상기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산출된 가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적용하여 스트래티지에 관련된 기록품질을 재평가하는 단계; 및 (b2) 상기 단계(b1)에서 재평가된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가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b1)에서 재평가된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기록속도 및 기록파워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변경시켜 재평가하는 단계(b3)를 더 포함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b)는 (b4) 상기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단계; (b5) 상기 단계(b4)에서 변경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적용하여 기록품질을 재평가하는 단계; 및 (b6) 상기 단계(b5)에서 재평가된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기초로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결정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 기록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광디스크 기록장치(2)의 기능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광디스크(1)는, 반도체 레이저에 의해 정보의 기록, 재생, 소거(RW 및 RAM만)를 행할 수 있는 광 기록매체로서, 예를 들면 CD-R, CD-RW, DVDㅁR, DVD-RW, DVD-RAM 등이 있다.
광 픽업(200)은 도시하지 않은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레이저 광원이나, 콜리메이터 렌즈, 초점 액추에이터 혹은 트랙킹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대물렌즈, 편광 빔 스플리터, 실린드리컬렌즈 등의 광학부품 및 A, B, C, D의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4분할 혹은 2분할 포토 디텍터(PD) 혹은 기록 재생시의 레이저 출력을 모니터하는 프론트 모니터 다이오드 등을 구비하고 있다.
헤드 앰프(202)는 광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RF신호)을 검출하고, 검출한 반사광으로부터 반사광량을 연산하여, 4분할 PD의 각 영역에의 반사광량의 총합을 나타내는 RF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광 픽업(2)의 조사 레이저의 초점 어긋남을 검출하는 신호인 초점 에러신호(FE)를 비점수차법에 의해 생성하고, 또 광 픽업(2) 의 조사 레이저의 트랙 어긋남을 검출하는 신호인 트랙킹 에러신호(TE)를 푸쉬 풀법에 의해 생성한다.
2치화 회로(204)는 헤드 앰프(202)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성형하여 마크 및 스페이스에 따른 2치의 디지털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신호 생성회로이다. 즉, 2치화 회로(204)는, 헤드 앰프(20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의 3T, 4T, 5T....의 각종 신호를 2치화하여 완전한 사각형파로 고치기 위한 임계값을 항상 조절하고 있다.
클록 어긋남 측정부(208)는 기준이 되는 라이트 스트래티지(이하,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라 칭함)를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정하기 위한 판단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측정부이다. 즉, 클록 어긋남 측정부(208)는 2치화 회로(204)로부터의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각종 신호의 에지와 클록 에지의 어긋남을 측정한다. 클록 어긋남 측정부(208)는 또한, 테스트영역에서 시험하여 기입할 때의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와, 이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α에서 기록했을 때의 마크 펄스 에지를 규정량(ΔT) 움직였을 때에 실측되는 마크 에지의 변화량(dT)을 측정한다.
RAM(210)은 클록 어긋남 측정부(208)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즉, RAM(210)에는, 각종 신호의 클록 어긋남, 신호종류별의 샘플 수 또는 다른 라이트 스트래티지에서 기록된 재생신호의 규정량(ΔT) 움직였을 때에 실측된 마크 에지의 변화량(dT)이 기억된다.
데이터 구별 연산부(212)는 클록 어긋남 연산부(208)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각종 신호별로 구별하고, 또한 그 어긋난 양으로부터 D2C(Data to Clock) 지터를 산출하는 부분이다. 즉, 데이터 구별 연산부(212)는, 예를 들면 RAM(210)에 기억된 측정 데이터로부터 각종 신호(DVD의 경우에는 3T~14T의 적어도 대표적인 것)의 샘플수 비에 의해 어긋남을 산출하거나, 각종 신호의 중심의 어긋남(디비에이션)을 산출하거나, 각종 신호의 지터를 산출하거나, 다른 스트래티지에서 기록된 재생신호의 규정량(ΔT) 움직였을 때에 실측된 마크 에지의 변화량(dT)으로부터 상관함수를 산출한다.
또, 이 데이터 구별 연산부(212)는 클록 어긋남 측정부(208)에서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각종 신호에서의 인접 에지의 영향을 산출하는 산출부이다. 즉, 데이터 구별 연산부(212)는 열 간섭효과에 의한 인접 에지의 영향을 산출한다.
라이트 스트래티지 연산부(216)는 데이터 구별 연산부(212)의 산출결과를 기초로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연산을 행하는 연산부이다. 라이트 스트래티지 연산부(216)는 또한, 라이트 스트래티지 메모리부(218)에 연산한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저장하거나, 저장한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판독하거나 한다. 라이트 스트래티지 연산부(216)는 또한, 스트래티지 설계자에 의해 계산된 기준이 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ROM(220)으로부터 판독하고, 최적의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연산하는 데에 사용한다.
라이트 스트래티지 메모리부(218)는 라이트 스트래티지 연산부(216)에서 계산된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또한, ROM(220)은 기준이 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가 기억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예를 들면 광디스크마다 스트래티지 설계자에 의해 계산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등이 기억되어 있다.
디코더(206)는 2치화 회로(204)에서 생성된 2치화 신호를 원하는 형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콘트롤러(222)에 출력하는 회로이다. 콘트롤러(222)는 기록신호를 인코더(224)에 공급하고, 디코더(206)로부터 기록신호를 판독하는 장치이다. 인코더(224)는 콘트롤러(222)로부터의 기록신호를 EFM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기록펄스 조정부(226)에 출력한다.
기록펄스 조정부(226)는 라이트 스트래티지 연산부(216)로부터 라이트 스트래티지 혹은 파라미터를 입력하고, 이에 기초하여 기록펄스 열을 형성하며, 레이저 구동부(228)에 출력한다. 레이저 구동부(228)는 입력한 기록펄스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용의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광 픽업(200) 내의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레이저에 공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디스크 기록장치에서의 라이트 스트래티지 설정처리, 즉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자동적으로 계산하여 설정하는 AWS(Auto Write Strategy)를 계속하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포함한 기록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서의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설정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ROM(22O)에 기억되어 있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이용하여 광디스크(1)의 테스트영역에서 임의의 정보를 기입한다(단계 S100). 다음에 테스트영역에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고, 테스트 정보를 기입하는데 적용한 베이스 스트래티지가 AWS를 실행하는 라이트 스트래티지로서 적절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2). 구체적으로 단계 S102는 판단을 위한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이를 위한 데이 터를 취득한다.
단계 S102의 결과에 의해 AWS를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4). 즉, 단계 S102에서의 평가항목이 규정값을 만족하면 단계 S100의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기초로 가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산출을 행하고(단계 S106),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한다(단계 S108). 그리고, 단계 S108에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한 경우에는 단계 S100으로 되돌아가고, 다시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또,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변경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신호의 마크 폭을 바꿈으로써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다이나믹하게 변경한다.
단계 S102의 판단재료가 되는 파라미터로서는, 재생정보의 각 신호종별에서의 샘플수의 비교, D2C지터(Data to Clock 지터) 또는 디비에이션이 있다. 판단재료가 되는 파라미터의 설명 전에, 우선, 본 발명의 유효성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AWS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한다. AWS의 원리는 마크, 스페이스의 모든 조합에서의 각 신호의 에지와 클록 에지의 어긋남을 일치시키도록 기록펄스의 에지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AWS를 행하는 전제로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서 기록한 것의 각 마크길이, 스페이스길이가 정확하게 측정되어야만 한다. 마크, 스페이스의 종류의 구별은 각 신호길이에 의해 정해진다. 도 3은 횡축에 신호길이를, 종축에 그 빈도를 취한 것이고, 그 신호길이에 의해 3T, 4T, 5T,...로 구별된다.
도 3에서는 각 신호의 분포가 규정의 윈도우 내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윈도 우 내의 평균값은 올바르게 분포의 중심값과 일치한다. 그러나, 기준이 되는 라이트 스트래티지가 잘못되어 있거나, 잘못된 기록파워로 기록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정의 윈도우로부터 분포가 벗어나 버린다. 이러한 경우, 윈도우 내의 평균값과 분포의 중심값은 일치하지 않고, 라이트 스트래티지 자동설정의 전제가 무너져 버린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규정의 윈도우로부터 빠져 나오는 상황이 된 경우, 이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의한 자동설정을 조속히 중지하고,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여 규정의 윈도우에 들어가는 상태로 하고 나서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자동설정을 개시해야만 한다.
이 규정의 윈도우에 들어가 있는지를 자동적으로 판정하기 위해서, 각 분포의 샘플수의 비교를 행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DVD의 경우, 3T~14T의 신호의 샘플수 비는 대체로 도 5와 같은 비율로 되어 있다(물론, 기록하는 데이터에 의해 비율은 변동한다). 따라서, 테스트영역에서 시험하여 기입한 재생신호에서의 각 T윈도우 내의 샘플수를 측정하여, 그 분포비율이 도 5의 값의 ㅁ x%(x는 허용 오차값으로, 예를 들면 3~5)에 들어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또, 각 분포의 샘플수 비에 의한 판단으로서는 도 5에 도시한 평균 데이터가 아니라, 테스트영역에서 시험하여 기입한 베이스 스트래티지의 랜덤 데이터의 신호비율을 ROM(220)에 기억하고, 이를 도 5 대신에 사용해도 된다. 또한, 직접 샘플수의 비교를 하는 것이 아니라, 신호 중의 대표적인 것, 예를 들면 3T, 4T, 5T만의 샘플수를 구하고, 그 비를 계산하고, 이 값이 규정의 범위에 들어가는지의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이 방법이면, 모든 T의 샘플수를 구할 필요가 없으므로 효율적이다.
도 6은 판단 파라미터로서 디비에이션을 선택한 경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과 같이, 각 신호분포의 이론 중심값으로부터의 어긋남 양인 디비에이션을 구하고, 3TM과 같이 이것이 큰 경우는 규정의 윈도우에서 분포가 벗어나 있다고 생각하고,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수정을 행한다. 또한, 단지 디비에이션의 비교뿐만 아니라, 지터를 이용하여 디비에이션 ㅁ 3xσ(σ:지터)가 규정의 윈도우에 들어가는지 조사해도 된다.
다음에 판단 파라미터로서 D2C지터를 선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mT마크 뒤에 nT스페이스가 오는 신호의 조합에 있어서, mT마크 뒤의 후에지와 클록의 어긋남 양의 편차를 가리키는 지수로서, m, n, D2C지터(Data to Clock Jitter)가 있다. 이 지터는 에지의 양측을 고정의 마크, 스페이스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 스트래티지나 기록파워에 따르지 않고 매우 안정된 값을 취한다.
도 8의 그래프는, DVD-R 디스크에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와 기록파워를 바꾸어 기록한 경우의 3TS-3TM의 D2C지터를 측정한 것으로, 횡축이 베타(β)값으로 되어 있다. 이 베타값에 대해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RF신호의 피크(Peak)와 바텀(Bottom)을 나타낸 것으로, 기준이 되는 ref부터 피크까지의 높이를 A1, ref부터 바텀까지의 높이를 A2라고 하면, 베타(β)값은 기록된 RF신호를 이용하여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β(%)={(A1-A2)/(A1+A2)}×100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와 기록파워를 바꾸어 기록한 경우, 통상, 도 8의 그래프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는데, 기록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스를 개재한 마크로부터의 열 유입에 의한 열 간섭효과로 D2C지터가 급격하게 악화된다. 이 악화의 포인트는, 도 11의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스트래티지에 의존하고 있고, 베이스 스트래티지 (n+k)T의 k의 값을 작게 한 쪽이 파워 마진이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 도 11의 그래프는, CD-R 디스크에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기록파워를 바꾸어 기록한 것의 3TS-3TM D2C지터를 측정한 것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지터 악화의 β값이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따라 다른 값을 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서의 β=5%에서의 지터값을 그래프화한 것이다. 도 11에 의해, β=5%에서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따라 지터값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서 기록 후에, 모든(특정의) 조합의D2C지터를 측정하고, 이 지터값이 규정의 조건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자동설정을 중지한다. 그리고, 단계 S10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근본적으로 재평가하고 나서가 아니면 최적의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결정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n+k)T의 k의 값을 작게 하는 방향(스트래티지의 삭감률을 올리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된다.
도 2로 되돌아가서, 단계 S106에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기초로 가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산출을 행하면, 이 산출한 가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의해 다시 테스트영역에서 시험하여 기입한다(단계 S110). 그리고, 시험하여 기입한 정보를 재생하고, 그 기록품질을 측정한다(단계 S112). 그 결과,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기록속도 또는 기록파워의 재평가를 행하고(단계 S116), 단계 S10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고 있으면, 가최적 라이트스트래티지를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로서 실제의 정보를 광디스크(1)에 기록한다(단계 S118).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광디스크 기록장치에서의 다른 라이트 스트래티지 설정처리, 즉 고유 변화량에 의한 AWS계속 판단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설정 정밀도를 올리는 방법의 하나로, 각 마크의 변화율을 실측하여 구하는 것이 있다. 고유 변화량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의 마크 펄스 에지를 규정량(ΔT) 움직였을 때, 실측되는 마크 에지의 변화량(dT)으로부터 dT/ΔT로 구해지는 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통상의 경우이면, 이 고유 변화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나,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설정에 따라서는 이상한 값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스페이스를 통과하여 다음의 마크의 열이 열 간섭효과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CD-R의 8배속 기록에 있어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n-0.5)T로 설정하고, 3T 마크 폭을 바꾸어 갈 때, 고유 변화량은 도 16과 같이 바뀐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3T 마크가 너무 길어지면, 후방 마크로부터의 열 간섭의 영향으로 고유 변화량이 이상값을 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내용에 입각하여 도 13으로 되돌아가서 설명하면,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1) 및 베이스 스트래티지의 특정의 마크에 부가를 가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α(2)에서, 광디스크(1)의 테스트영역에서 임의의 정보를 시험하여 기입한다(단계 S200, S202). 다음에, 시험하여 기입한 정보를 재생하여, 각 스트래티지마다의 D2C디비에이션을 구하고, 그 차(dT)를 산출하여 고유 변화량을 구한다(단계 S204). 그 결과, 고유 변화량이 규정조건에서 벗어나는 경우(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여(단계 S210), 단계 S20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규정값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단계 S200에서 설정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기초로 가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산출을 행한다(단계 S208). 또, 단계 S208~단계 S220은, 도 2의 단계 S106~단계 S118과 같은 동작이 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과 같은 기술사상에서의 변형 또는 수정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은 OPC를 행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가 소정의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계산할 수 없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호의 마크 폭을 변경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특히 폭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크의 형상 등을 바꿔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설정시간의 단축을 도모함과 동시에 이를 위한 사용기록영역의 삭감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최적의 라이트 스트래티지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도 안이하게 기록속도를 내림으로써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로 하는 기록속도 중에서 사용 가능한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찾으므로 광디스크에의 기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광디스크 기록장치의 개차를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라이트 스트래티지가 미리 장치 본체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미지의 광디스크에 있어서도 기록품질이 높은 광디스크 기록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16)

  1. 기준이 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기초하여 기록파워를 결정하여 광디스크에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따라 상기 광디스크에 복수종의 마크를 포함하는 정보를 테스트 기록시키는 테스트 기록수단;
    상기 테스트 기록수단에 의해 상기 광디스크에 테스트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마크 및 스페이스에 따른 2치의 재생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신호 생성수단;
    상기 재생신호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재생신호 판정수단; 및
    상기 재생신호 판정수단에 의해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변경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변경수단은 상기 재생신호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기초로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산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신호 판정수단은, 상기 재생신호 생성수단에서 재 생된 재생신호의 신호종류별의 샘플 수를 측정하고, 그 샘플수 비가 규정조건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신호 판정수단은 상기 재생신호 생성수단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의 소정 조합의 D2C(Data to Clock) 지터를 측정하고, 이 지터값이 규정조건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신호 판정수단은 상기 재생신호 생성수단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의 신호종류별의 신호길이를 측정하고, 이 신호종류별 평균값과 이론 중심값의 어긋남을 나타내는 디비에이션을 구하며, 이 디비에이션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
  6. 기준이 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기초하여 기록파워를 결정하여 광디스크에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및 이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의 소정의 마크에 부가를 가한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따라, 정보를 광디스크에 제1 테스트 기록 및 제2 테스트 기록시키는 테스트 기록수단;
    상기 테스트 기록수단에 의해 상기 광디스크에 제1 테스트 기록 및 제2 테스트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마크 및 스페이스에 따른 2치의 제1 테스트 기록 재생신호 및 제2 테스트 기록 재생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신호 생성수단;
    상기 재생신호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한 제1 테스트 기록 재생신호의 D2C디비에이션과 제2 테스트 기록 재생신호의 D2C디비에이션의 차를 산출하고, 이 산출한 차로부터 고유 변화량을 구하는 고유 변화량 산출수단;
    상기 고유 변화량 산출수단에서 산출된 고유 변화량이 규정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고유 변화량 판정수단; 및
    상기 고유 변화량 판정수단에 의해 판정한 고유 변화량이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변경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변경수단은 상기 재생신호 판정수단에 의해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n+k)T의 k의 값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 변경수단은 상기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k의 값을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
  9. (a) 기준이 되는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따라 복수종의 마크를 포함하는 정보를 기록하여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관련된 기록품질을 평가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기초로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의 기록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관련된 기록품질은 재생신호 길이별 분포 비율을 산출하여 평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의 기록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관련된 기록품질은 재생신호에서의 각 신호 길이별 분포의 이론 중심값으로부터의 어긋난 양인 디비에이션을 구하여 평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의 기록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관련된 기록품질은 재생신호에서의 제1특정 길이의 마크 뒤의 제2특정 길이의 스페이스가 오는 신호의 조합에서 상기 제1특정 길이의 마크 뒤의 후에지와 클록의 어긋난 양의 편차를 산출하여 평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의 기록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a1)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따라 상기 광디스크에 복수종의 마크를 포함하는 정보를 테스트 기록하는 단계;
    (a2) 상기 광디스크에 테스트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마크 및 스페이스에 따른 2치의 재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a3) 상기 생성한 재생신호가 규정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관련된 기록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의 기록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b1) 상기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산출된 가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적용하여 스트래티지에 관련된 기록품질을 재평가하는 단계; 및
    (b2) 상기 단계(b1)에서 재평가된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가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의 기록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1)에서 재평가된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기록속도 및 기록파워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변경시켜 재평가하는 단계(b3)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의 기록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b4) 상기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단계;
    (b5) 상기 단계(b4)에서 변경된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적용하여 기록품질을 재평가하는 단계; 및
    (b6) 상기 단계(b5)에서 재평가된 기록품질이 규정값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기초로 최적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라이트 스트래티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의 기록방법.
KR1020070010648A 2006-03-13 2007-02-01 광디스크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KR200700933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67897 2006-03-13
JP2006067897A JP2007250019A (ja) 2006-03-13 2006-03-13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その記録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327A true KR20070093327A (ko) 2007-09-18

Family

ID=3859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648A KR20070093327A (ko) 2006-03-13 2007-02-01 광디스크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250019A (ko)
KR (1) KR200700933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1900B2 (ja) * 2006-06-19 2010-07-1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50019A (ja) 200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4660B2 (en) Optical disk device and method of recording optical data
US7486604B2 (en) Optical disk device and progra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on and fro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6302332A (ja) 記録再生装置
US7948847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write/reproduce data to/from optical disc
US2007000885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optically recording data
US20090059747A1 (en) Recording condition adjustment method fo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4477544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616244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688590B1 (ko) 광 기록 장치 및 광 기록 장치의 기록 파워 설정 방법
JP2006277800A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KR20070093327A (ko) 광디스크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JP4623658B2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方法
US7489611B2 (en) Optical disc device
JP2006172676A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US20060007819A1 (en) Optical memory device
KR100752667B1 (ko)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기록 방법
KR100790987B1 (ko) 광정보기록장치 및 광정보기록방법
US20090274024A1 (en) Optical-irradiation-power calibr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unit
US20100315914A1 (en) Light irradiation power adjusting method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791460B2 (ja) 記録レーザパワーの制御方法及び記録レーザパワーの制御装置
KR100917483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기록 파워 설정방법
JP4253257B2 (ja) 記録パワー決定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JP4561699B2 (ja) 記録再生装置
JP4597789B2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US20090290462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optical disc, integrated circuit, optical disc device, and optimum recording focus position detec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