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136A - 차량의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 시야 확대방법 및이러한 시야 확대방법이 적용된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의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 시야 확대방법 및이러한 시야 확대방법이 적용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136A
KR20070092136A KR1020070022233A KR20070022233A KR20070092136A KR 20070092136 A KR20070092136 A KR 20070092136A KR 1020070022233 A KR1020070022233 A KR 1020070022233A KR 20070022233 A KR20070022233 A KR 20070022233A KR 20070092136 A KR20070092136 A KR 20070092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rearview mirror
mirror assembly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753B1 (ko
Inventor
베르나르 뒤루
Original Assignee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프랑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프랑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프랑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7009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60R1/08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using a single wide field mirror or an association of rigidly connected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4Outside rear view mirro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 미러의 시야확대방법과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자동차의 적어도 한쪽 측면에 고정되는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1) 미러의 시야확대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120 내지 135cm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볼록구면미러를 구비한 후사경조립체를 설치하는 단계와, 이러한 방법으로 차량의 세로축에서 돌출되면서 미러의 중심과 운전자의 눈을 연결하는 선분(segment)의 중앙 사이의 거리가 20 내지 40cm인 차량에 후사경 조립체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차량 특히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 시야 확대방법 및 이러한 시야 확대방법이 적용된 차량{Method for Increasing the Field of Vision in the Mirror of a Vehicle Outside Rearview Mirror Assembly, and Vehicle on which said Method is Implemented}
도 1은 아웃사이드 후사경으로 운전자에 의해 볼 수 있는 도로부분을 보여주는 자동차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고, 운전자의 측면에 위치하는 아웃사이드 후사경이 유효규정에 의해 정의되는 해당 도로부분을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 자동차의 운전자 측면에 위치한 아웃사이드 후사경의 미러에서의 시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주지된 법정 도로부분을 가능하게 적용되는 자동차의 프론트도어를 도시한 부분사시도로서, 상기 프론트도어는 운전자의 측면에 위치하면서 후사경 조립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금속 삼각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5는 삼각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후사경 조립체로서, 도 4와는 다른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vehicle) 특히, 자동차(automobile)의 적어도 한쪽에 고정된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 시야확대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적용되는 규정에 따르면,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 시야확대방법은, 차량의 각 측면을 통해 운전자가 수평면까지 자신의 시점을 통해 통과하는 수직면의 뒷부분에 대하여 20미터(m)로부터 폭 4미터 이상 연장되는 수평면 도로부가 충분히 볼 수 있도록 커야한다.
또한, 운전자는 자신의 시점을 통해 통과하는 수직면의 뒷부분에 대하여 4미터로부터 폭 1미터 이상 도로를 보고 출발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의 규정을 만족하기 위한 한가지 해결방안은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의 규격을 확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방안은 비교적 큰 부피와 무게를 가지는 후사경 조립체가 필요하고, 차량의 항력계수가 커지는 단점이 있으며, 진동발생이 심해지고, 펜덜럼(pendulum) 충격테스트를 만족하기 위해 제공되는 접철기구 때문에 가격이 비싸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치수 증가없이 현재의 규정을 만족하는 것이고, 그렇게 하기위해서, 본 발명의 특징은 차량, 특히 자동차의 적어도 한쪽 측면에 고정되는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 미러의 시야를 확대시키기 위한 방법이며, 이 방법은 120 내지 135cm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볼록구면미러를 구비한 후사경 조립체를 설치하는 단계와, 이러한 방법으로 차량의 세로축에서 돌출된 미러의 중심과 운전자의 눈을 연결하는 선분(segment)의 중앙 사이의 거리가 20 내지 40cm인 차량에 후사경 조립체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단계들에 의해, 현재의 규정으로 정의되는 도로의 해당 부분은 통상의 치수를 가지는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에서 완전하게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규정들은 컴팩트하고 비교적 가벼운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에 의해 충족되고, 그에따라 차량의 항력계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며, 진동이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현재의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사각지대(blind spot)를 제거해주고, 그에따라 도로의 교통안전을 향상시킨다.
후사경 조립체는 수직으로 측정된 미러의 중심과 운전자의 눈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앙사이의 거리가 0 내지 40cm가 되도록 차량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다 작은 치수의 후사경 조립체가 사용되고, 그에따라 차량의 차체로부터 보다 작게 돌출되도록 형성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130 내지 135cm의 곡률반경을 가진다.
변형예로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120 내지 125cm의 곡률반경을 가진다.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성형공정을 이용하여 유리 후사경보다 정밀한 치수로 생산할 수 있다.
사실상, 플라스틱 미러의 곡률반경은, 유리제품보다 플라스틱 제품이 제조시의 변형이 더 작기때문에, 유리 미러보다 작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후사경 조립체는 차량으로부터 10cm미만으로 돌출되는 장점도 있다.
따라서, 접철수단(fold-back mean)이 필요 없기 때문에, 비용도 비교적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차량이 금속도어 삼각부로 이루어진 프론트도어를 구비한 경우에, 후사경 조립체는 운전자의 측면 또는 승객의 측면에 위치하는 프론트도어의 삼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를 가진다.
변형예로서, 차량이 투명 쿼터창(quarter pane)을 구비한 프론트도어를 가지는 경우에, 후사경 조립체는 운전자의 측면 또는 승객의 측면에 위치하는 프론트도어의 쿼터창에 고정되는 투명 베이스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2개의 후사경 조립체중 하나는 운전자의 측면에, 다른 하나는 승객의 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차량 특히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이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고, 첨부된 도면에 의거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1)에서, 차량의 각 측면을 통해 운전자가 수평면까지 자신의 시점을 통해 통과하는 수직면의 뒷부분에 대하여 20미터로부터 폭 4미터 이상 연장되는 수평면 도로부(R)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강제규정이 있다는 것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규정은 운전자가 자신의 시점을 통해 통과하는 수직면의 뒷부분에 대하여 4 미터로부터 폭 1미터 이상 도로를 보고 주행가능하게 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도 2에서, 운전자의 측면에서 아웃사이드 후사경으로 분명하게 볼 수 있어야 하는 도로부분이 정의되고, 한편으로는, 자동차의 세로축에 직교하고 1미터의 길이를 가지는 측면AB와, 측면AB에 평행하고 4미터의 길이를 가지는 측면DC와, 자동차의 운전자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놓여진 측면AD와, 측면AB 및 측면DC와 90도가 아닌 다른 각도를 이루는 측면BC로 이루어진 4변형과, 무한대까지 측면DC를 지나 연장되는 폭 4미터의 직사각형으로 정의된다.
도 3은 운전자의 측면에 위치한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에 나타나는 도로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운전자가 도로의 전체부분을 볼 수 있도록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들(1)의 치수는 규정에 의해 정의되고, 120 내지 135cm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볼록 구면 미러(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들은, 자동차의 세로축으로부터 돌출된 조립 체들의 미러 중심과, 운전자의 두 눈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앙 사이의 거리(d1)가 20 내지 40cm가 되도록 자동차에 고정된다.
수직하게 측정된 미러의 중심과 운전자의 눈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앙사이의 거리(d2)는 0 내지 40cm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현재의 아웃사이드 후사경의 사각지대를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적용함으로써 도로의 안전상태가 향상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가 펜덜럼 테스트(pendulum test)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동차에서 10cm 미만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이유로 인해, 일반적으로 이러한 미러들은 유리로 된 경우에는 130 내지 135cm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플라스틱으로 된 경우에는 120 내지 125cm의 곡률반경을 가진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운전자의 측면에 위치한 프론트 도어를 도시한 것으로, 후사경 조립체의 베이스(4)가 고정되는 금속 삼각부(3)로 구성되고, 보이는 도로부분이 주지된 규정에 맞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후사경 조립체의 베이스(4)는 삼각부(3)의 하부에 고정되고, 그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후사경 조립체는 삼각부의 상부에 고정된다.
또한, 승객의 측면에 위치한 프론트도어는 금속 삼각부를 가지고, 그것의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는 운전자의 측면에 위치한 후사경 조립체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세로 중앙 평면에 대한 대칭위치의 뒷부분에 고정된다.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는, 예를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투명 쿼터창이 포함된다. 이런 경우에,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베이스 또한 투명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프론트 도어에 고정되는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는 쿼터창으로서 역할을 하는 투명 베이스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 미러의 시야를 실질적으로 확대되도록 하고, 과도한 사이즈가 되지 않도록 하며, 차량으로부터 10cm이상 돌출되는 통상의 후사경의 단점을 제거하도록 한다.

Claims (10)

  1. 차량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고정되며, 120 내지 135cm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볼록 구면 미로(2)를 구비하는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1)에 있어서,
    차량의 세로축에서 돌출되면서, 미러(2)의 중심과 운전자의 두 눈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앙 사이의 거리가 20 내지 4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 조립체(1)는, 수직하게 측정되면서 미러(2)의 중심과, 운전자의 두 눈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앙 사이의 거리가 0 내지 40cm인 거리에서 차량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대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2)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130 내지 135cm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대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2)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고, 120 내지 125cm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대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 조립체(1)는, 차량으로부터 10cm미만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대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도어 삼각부(3)을 가지는 프론트 도어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상기 후사경 조립체(1)는 운전자의 측면 또는 승객의 측면에 위치한 상기 프론트 도어의 삼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대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 쿼터창을 가지는 프론트 도어로 구비하는 차량에서, 상기 후사경 조립체(1)는 운전자의 측면 또는 승객의 측면에 위치한 상기 프론트 도어의 쿼터창에 고정되는 투명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대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론트 도어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 조립체(1)는 프론트 도 어 쿼터창 역할을 하는 투명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대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측면 및 승객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후사경 조립체들(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대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차량 특히, 자동차.
KR1020070022233A 2006-03-07 2007-03-06 차량의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 시야 확대방법 및이러한 시야 확대방법이 적용된 차량 KR101002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2030 2006-03-07
FR0602030A FR2898311A1 (fr) 2006-03-07 2006-03-07 Procede pour augmenter le champ de vision dans le miroir d'un retroviseur exterieur de vehicule, et vehicule sur lequel ce procede est mis en oeuv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136A true KR20070092136A (ko) 2007-09-12
KR101002753B1 KR101002753B1 (ko) 2010-12-21

Family

ID=3739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233A KR101002753B1 (ko) 2006-03-07 2007-03-06 차량의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 시야 확대방법 및이러한 시야 확대방법이 적용된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832473B1 (ko)
KR (1) KR101002753B1 (ko)
CN (1) CN100497045C (ko)
AT (1) ATE528171T1 (ko)
AU (1) AU2007200868A1 (ko)
FR (1) FR2898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150017A1 (it) * 2015-01-15 2016-07-15 Rastrelli Siriano Specchietto retrovisore articolato ad ampia visibilita' retrospettiva
CN112287460B (zh) * 2020-10-30 2024-05-07 的卢技术有限公司 一种外后视镜镜片位置快速设定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0739A (en) * 1970-01-19 1971-10-05 Carl G Seashore Rear vision mirror system
JPS6255239A (ja) * 1985-09-04 1987-03-10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ミラ−取付構造
US4834521A (en) * 1987-05-04 1989-05-30 Dubs Philip M Convex vehicle replacement mirror
IT1284803B1 (it) * 1996-09-19 1998-05-22 Fiat Auto Spa Sistema di copertura di parte del telaio della portiera di un autoveicolo
CN1191822A (zh) * 1997-02-19 1998-09-02 不列特斯基科有限公司 车辆外部后视镜
JPH11115632A (ja) * 1997-10-15 1999-04-27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サイドミラー
ES2189615B1 (es) * 2001-01-05 2004-10-16 Fico Mirrors, S.A. Elemento de ventana para puertas laterales de vehicul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2473A1 (fr) 2007-09-12
EP1832473B1 (fr) 2011-10-12
CN101032936A (zh) 2007-09-12
FR2898311A1 (fr) 2007-09-14
KR101002753B1 (ko) 2010-12-21
ATE528171T1 (de) 2011-10-15
CN100497045C (zh) 2009-06-10
AU2007200868A1 (en) 200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5294A (en) Wide-angle side-mirror device
EP1356988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rear of vehicle
US20170269362A1 (en) Head-up display apparatus
US7954886B2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EP2565083B1 (en) Rear under mirror
US7001032B2 (en) Automotive rear view mirror
KR101002753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후사경 조립체의 미러 시야 확대방법 및이러한 시야 확대방법이 적용된 차량
KR101827575B1 (ko) 사각지대가 제거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JP2004101829A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US9290126B2 (en) Exterior rearview mirror
US20050243450A1 (en) Exterior mirror assembly with permanent attachment
KR200248494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200239140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CN211684931U (zh) 右侧肓区影像系统
KR20032201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CN208665067U (zh) 一种汽车后视镜
JP5700304B2 (ja) 前方方向確認ドアミラー
JP3028088B2 (ja) 広角サイドミラー装置
KR200391567Y1 (ko) 자동차용 변곡면 인사이드 미러
KR100510268B1 (ko) 사각 방지용 사이드 미러
KR200391565Y1 (ko) 승용차용 변곡면 사이드 미러
JP2009126470A (ja) 車のためのミラー
JP5578461B1 (ja) 前方視認用補助ミラー
KR100552436B1 (ko) 자동차용 뒷유리의 후방시야 확보구조
JP3019361U (ja) 反射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