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728A - 이음 채움재 - Google Patents

이음 채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728A
KR20070091728A KR1020060021191A KR20060021191A KR20070091728A KR 20070091728 A KR20070091728 A KR 20070091728A KR 1020060021191 A KR1020060021191 A KR 1020060021191A KR 20060021191 A KR20060021191 A KR 20060021191A KR 20070091728 A KR20070091728 A KR 20070091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wall
filling material
cov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811B1 (ko
Inventor
히로시 이토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2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8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9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4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하고, 더구나 의장성, 지수성(止水性)이 높은 이음부를 형성할 수 있는 이음 채움재를 제공한다.
이음 채움재(1)가 해트 조이너(hat joiner, 10)와 이음 커버(20)로 이루어지고, 해트 조이너(10)는 건물 구체(軀體)측에 고정되는 기판(11)과, 기판(11)으로부터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12)로 이루어진다. 이음 커버(20)는 시공시에 볼록부(12)의 꼭대기면(12c)을 덮는 이음 홈부(21)와, 그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어 시공시에는 외벽판(30B) 표면에 충돌하여 접촉되는 하측 가장자리부(23)를 구비하고, 하측 가장자리부(23)의 이면에는 탄성 지수재(26)가 접착된다.
Figure 112006016059742-PAT00001
이음 채움재, 의장성, 지수성, 구체, 외벽판, 탄성 지수재

Description

이음 채움재{Joint fill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하는 이음 채움재를 사용한 시공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b선에 의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도시하는 이음 채움재를 사용한 시공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하는 이음 채움재를 사용한 시공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상하 접합부 시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종래의 상하 접합부 시공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음 채움재 10: 해트 조이너(hat joiner)
11:기판 12: 볼록부
20: 이음 커버 21: 이음 홈부
23: 하측 가장자리부 26: 탄성 지수재
30A: 외벽판 30B: 외벽판
본 발명은 건물 외벽 부분에 외벽판을 고정시킬 때, 상하에 인접하는 외벽판에 고정되는 이음 채움재에 관한 것이다.
건물 외벽의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천연석조·벽돌조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된, 요업계 등의 외벽판을 건물 외벽 부분에 고정시키는 일이 행하여지고 있다. 외벽판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외벽판의 긴쪽 방향을 가로 방향(수평 방향)으로 하여 구체(軀體)측으로 붙여가는 가로 접착 공법과, 긴쪽 방향을 세로 방향(상하 방향)로 하여 구체측으로 붙여가는 세로 접착공법이 있다. 세로 접착공법에 사용되는 외벽판은 통상적으로, 상하의 단면이 평탄면으로 되고, 좌우의 단부에는 실부(實部)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에 인접하는 외벽판끼리의 접합에 있어서는, 실부를 이용한 합결(合決)접합이 행하여지고, 한편, 상하에 인접하는 외벽판끼리의 접합에 있어서는, 외벽판 단부 사이에 적절한 부재가 개재된다.
도 7은 상기 세로 접착공법에 의해서 고정시킨 외벽판의 상하 접합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상하에 인접하는 외벽판(30A, 30B) 사이에 해트 조이너(40)의 볼록부(42)를 끼운 상태에서, 못(95)을 사용하여 외벽판(30A, 30B)을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시키고, 해트 조이너(40)의 위로부터 실링재(97)를 충전한다. 횡바디 가장자리(91)는 방수종이(93)를 개재하여 기둥 또는 문주(問柱; 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해트 조이너(40)는 횡바디 가장자리(91)로의 고정면이 되는 기판(41)과, 기판(41)의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42)로 이루어지고, 이 해트 조이너(40)를 사용함으로써, 상하 외벽판(30A, 30B) 사이에 소망의 간격이 뚫려진다.
도 8a는 상하접합부의 다른 시공예를 도시한다. 이 시공예에서는 중간 물구멍(creasing; d50)을 사이에 끼워 상하 외벽판(30A, 30B)을 고정시킨다. 중간 물구멍(50)은 횡바디 가장자리(91)로의 고정면이 되는 기판(51)과, 기판(51)의 하단에 형성된 단부(52)와, 단부(52)의 하단으로부터 표면측으로 연장되는 물구멍부(53)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물구멍(50)의 단부(52)에 상측 외벽판(30A)의 하단을 적재하고, 물구멍부(53)가 상하 외벽판(30A, 30B) 사이로부터 표면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외벽판(30A, 30B)의 표면으로부터 못(95)을 박아넣어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중간 물구멍(50)에 가까운 예로서, 단부(52)를 없앤 형상의 중간 물구멍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8b는 상하접합부의 또 다른 시공예를 도시한다(특허문헌 1참조). 도 7 및 도 8a에서는 못(95)을 사용하여 외벽판(30A, 30B)을 고정시키고 있으나, 도 8b에 도시하는 시공예에서는 상하 외벽판(30A, 30B) 사이에 고정되는 중간 물구멍(60)이 외벽판(30A, 30B)의 상하단부를 보유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는 고정쇠가 외벽판(30A, 30B) 좌우의 실부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외벽판(30A, 30B)을 건물 구체측에 고정한다. 중간 물구멍(60)은 횡바디 가장자리(91)로의 고정면이 되는 기판(61)과, 기판(61)으로부터 표면측으로 연장되는 수용판(62) 및 물구멍판(64)과, 이들 수용판(62) 및 물구멍판(64)의 선단으로부터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전면판(63, 65)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판(62)과 전면판(63)에서 상측 외벽판(30A)의 하단부를 커버하는 동시에 보유한다. 또한, 물구멍판(64)과 전면판(65)에서 하측 외벽판(30B)의 상단부를 커버한다.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60804호
도 7에 도시한 시공 구조에서는 실링재(97)의 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빗물이 실링재(97)에 침윤하여, 실링재(97)의 박리현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하 외벽판(30A, 30B) 사이에 실링재(97)가 충전되기 때문에, 깊이가 있는 이음 홈을 형성할 수 없고, 이음부의 의장성에 약간 문제가 있었다.
도 8a에 도시한 시공 구조에서는 상하 외벽판(30A, 30B)의 단부간의 간격, 즉 이음폭이 소망의 일정폭이 되도록 외벽판(30A, 30B)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고, 시공에 손이 많이 간다. 또한, 중간 물구멍(50)의 물구멍부(53)가 하측 외벽판(30B)의 상단부 전면(前面)을 커버하고, 수평 방향으로 일직선형인 가지런한 형상의 이음 홈으로는 되지 않고, 물구멍부(53)에 의해서 상하 외벽판(30A, 30B)의 표면 처리가 분단되어 버리는 외관으로 되어 있었다.
도 8b에 도시한 시공 구조에서는 중간 물구멍(60)의 형상이 복잡하고, 또한, 상측 외벽판(30A)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해서 중간 물구멍(60)을 알루미늄 성형품 등으로 할 필요가 있고, 제조 비용이 많이 든다. 게다가, 외벽판(30A)의 하단부 근방을 안정하게 보유하기 위해서, 상측의 전면판(63)은 비교적 큰 폭을 가질 필요가 있고, 그것에 동반하여 하측의 전면판(65)의 폭도 외벽판(30B)의 상단부 전면에 크게 노출되게 되어, 상하 외벽판(30A, 30B)의 표면 처리가 분명하게 분단되어 버리는 외관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하고, 더구나 의장성, 지수성이 높은 이음부를 형성할 수 있는 이음 채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음 채움재는, 표면측으로부터 고정구를 박아넣음으로써 외벽판을 건물 구체측에 고정시키는 외벽 시공에 있어서, 상하에 인접하는 외벽판에 고정되는 이음 채움재로서, 시공시에 하측 외벽판의 표면에서의 상단 근방에 충돌하여 접촉되는 하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하측 가장자리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방 또한 이면측으로 연장되는 이음 홈부를 적어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음 채움재를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 이음 채움재의 하측 가장자리부는 외벽판의 전면에 노출되게 되지만, 이 하측 가장자리부는 도 8a에 도시한 물구멍부(53)와는 달리, 외벽판 표면에 충돌하여 접촉되기 때문에, 작은 폭이라도 충분하게 빗물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이음 채움재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노출된다고는 해도, 그 폭은 대단히 작아, 눈에 띄지 않는다. 또 한, 본 발명에 의한 이음 채움재는 이음 홈부에 의해서, 깊이가 있는 이음 홈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의장성이 높은 이음부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상하 외벽판의 접합부에 빗물이 침입하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음 채움재는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더구나, 도 8b에 도시한 중간 물구멍(60)과 달리 외벽판의 중량을 지지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측 가장자리부의 이면에 탄성 지수재를 접착하면, 하측 가장자리부의 외벽판 표면으로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빗물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음 채움재가 해트 조이너와 이음 커버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해트 조이너는 건물 구체측으로의 고정면이 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으로부터 표면측으로 돌출하여 시공시에는 상하 외벽판의 단부 사이에 끼워지는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음 커버가, 상기 이음 홈부 및 하측 가장자리부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이음 홈부는 상기 이음 채움재 및 상하 외벽판을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트 조이너 볼록부의 꼭대기면 및 하측 외벽판의 상단면을 적어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는 해트 조이너에 의해서, 상하 외벽판 사이에 용이하게 소망의 간격을 뚫을 수 있어, 이음폭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해트 조이너 및 이음 커버는 모두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음 커버의 이음 홈부는 상기 이음 채움재 및 상하 외 벽판을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음 홈부의 일부가 상기 해트 조이너 볼록부의 꼭대기면에 충돌하여 접촉하는 치수로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가능한 한 깊은 이음 홈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이음 홈부와 해트 조이너 볼록부 사이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음 커버의 이음 홈부는 상기 이음 채움재 및 상하 외벽판을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측 외벽판의 하단면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이음 커버가 또한, 상기 이음 홈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어 시공시에는 상측 외벽판의 표면에 충돌하여 접촉되는 상측 가장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가장자리부의 이면에 탄성 지수재가 접착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외벽판의 접합부 전체를 이음 커버로 덮을 수 있고, 외벽판의 단면이 겉으로 노출되지 않고 바람직한 외관으로 된다. 또, 본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를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는, 하측 가장자리부에 더하여, 이음 커버의 상측 가장자리부도 외벽판의 전면에 노출되게 되지만, 이 상단부는 도 8b에 도시한 전면판(63)과는 달리, 외벽판 단부를 보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작은 폭으로 할 수 있어, 눈에 띄지 않는다.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음 커버의 이음 홈부는 상기 이음 채움재 및 상하 외벽판을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트 조이너 볼록부의 꼭대기면 및 하측 외벽판의 상단면만을 덮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이음 커버가 또한, 상기 이음 홈부의 상단으로부터 이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이며, 시공시에는 상기 해트 조이너 볼록부의 상측의 측면에 포개지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외벽판을 고정시켰을 때, 이음 채움재의 상방에는, 장소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세로 이음이 존재하게 되고, 이 세로 이음을 타고 빗물이 이음 채움재로까지 흘러내려 오는 경우가 있지만, 본 형태의 이음 커버라면, 상기 세로 이음이 깊은 홈으로 되어 있는 경우라도, 흘러내려 온 빗물은 이음 커버 표면을 타고 더욱 흘러내린다. 즉, 이음 채움재 부근에 빗물이 체류하는 일은 없어, 방수성이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트 조이너 및 이음 커버는 각각 1개의 강판 판금 가공에 의해 형성하면, 제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음 홈부의 일부가 건물 구체측으로의 고정면으로 되어 있다. 본 형태의 이음 채움재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형상도 단순하고,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음 채움재를 1개의 강판 판금 가공에 의해 형성하면, 제조가 용이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하는 이음 채움재를 사용한 시공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외벽 시공 구조에서는 외벽판(30A, 30B)이, 표면측으로부터 못(95)을 박아넣음으로써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되어 있고, 상하 외벽판(30A, 30B) 사이에 이음 채움재(1)가 고정되어 있다. 이음 채움재(1)는 도 1에 도시하는 2개의 부재, 즉 해트 조이너(10) 및 이음 커버(20)로 이루어지고, 이 들은 모두 1개의 강판 판금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우선, 해트 조이너(10)는 횡바디 가장자리(91)로의 고정면이 되는 기판(11)과, 기판(11)의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을 표면측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된 볼록부(12)로 이루어진다. 볼록부(12)는 상하의 측면(12a, 12b)과, 상기 상하의 측면(12a, 12b) 끼리를 연결하는 꼭대기면(12c)으로 이루어지고, 상하의 측면(12a, 12b)은 상하에 인접하는 외벽판(30A, 30B)의 단부 사이에 뚫려져야 할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또한,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기판(11)의 상하의 측단부(11a, 11b)는 표면측으로 되꺾여 있다.
다음에, 이음 커버(20)는 수직판(21a)과, 그 상하의 단부로부터 표면측으로 연장되는 상판(21c) 및 하판(21b)으로 구성되는 이음 홈부(21)를 구비한다. 상판(21c)과 하판(21b)은 시공시에 상하 외벽판(30A, 30B) 사이에 삽입되기 쉽도록, 또한, 이음폭을 약간 작게 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이음 외관이 얻어지도록, 해트 조이너 볼록부(12)의 상하의 측면(12a, 12b) 끼리의 간격과 비교하여, 약간 작은 폭으로 이격한다. 이음 커버(20)는 또한, 이음 홈부(21)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장자리부(25) 및 하측 가장자리부(23)도 구비한다. 상측 가장자리부(25)와 하측 가장자리부(23)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각각의 측단부(25a, 23a)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이면측으로 되꺾여 있다. 또한, 이들 상측 가장자리부(25) 및 하측 가장자리부(23)의 이면에는, 거의 전체면에 걸쳐, EPDM 고무발포체로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탄성 지수재(26)가 접착되어 있다.
이음 커버(20)의 제조에 있어서는 재료가 되는 강판을, 단면이 ㄷ자 모양이 되도록 굴곡시킴으로써 이음 홈부(21)를 형성하고, 그 상판(21c) 및 하판(21b)의 선단을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상측 가장자리부(25) 및 하측 가장자리부(23)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음 커버(20)의 표면 전체를 소망의 이음 색으로 도장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이음 채움재(1)를 사용한 외벽 시공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하측 외벽판(30B)의 상단면을, 해트 조이너 볼록부(12)의 하측면(12b)에 충돌하여 접촉시키도록 하고, 해트 조이너(10) 하부의 기판(11)의 위에서 외벽판(30B)를 포갠다. 그 상태에서 외벽판(30B)의 표면측으로부터 못(95)을 박아넣어,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한다. 다음에, 상측 외벽판(30A)의 하단면을, 해트 조이너 볼록부(12)의 상측면(12a)에 충돌하여 접촉시키도록 하고, 해트 조이너(10) 상부의 기판(11)의 위로부터 외벽판(30A)을 포개고, 그 상태에서 외벽판(30A)의 표면측으로부터 못(95)을 박아넣어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한다. 해트 조이너 볼록부(12)의 높이는 외벽판(30A, 30B)의 두께보다도 작기 때문에, 이 상태에 있어서, 외벽판(30A, 30B)의 표면은 해트 조이너 볼록부(12)의 꼭대기면(12c)보다도 전면으로 돌출한다. 마지막으로, 이음 커버(20)의 이음 홈부(21)의 수직판(21a)을 볼록부(12)의 꼭대기면(12c)에 충돌하여 접촉시킴과 동시에, 상측 가장자리부(25) 및 하측 가장자리부(23)의 이면을, 각각 상하 외벽판(30A, 30B) 표면에 충돌하여 접촉시키고, 그 상태에서 수직판(21a)에 비스(96)를 밀어넣어 이음 커버(20)를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외벽판(30A, 30B)의 상하 접합부 전체가 이음 커버(20)로 덮이고, 외벽판(30A, 30B)의 단면이 겉으로 노출되지 않고 바람직한 외관으로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하는 이음 채움재를 사용한 시공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본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1A)에서도, 해트 조이너(1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지만, 이음 커버(20A)는 도 1의 것과는 다르다. 즉, 본 형태에 따른 이음 커버(20A)는 도 1에 도시한 상판(21c)이나 상측 가장자리부(25)를 구비하지 않고, 대신에, 이음 홈부(21)의 수직판(21a)의 상단으로부터 이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7)를 구비한다. 이 이음 커버(20A)도 1개의 강판 판금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27)는 수직판(21a)의 상단을 이면측에 수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도, 하측 가장자리부(23)의 이면에는, 거의 전체면에 걸쳐서 탄성 지수재(26)가 접착되어 있다.
상기 이음 채움재(1A)를 사용한 외벽 시공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시공 구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측 외벽판(30B)의 상단면을, 해트 조이너 볼록부(12)의 하측면(12b)에 충돌하여 접촉시키도록 하고, 해트 조이너(10)하부의 기판(11)의 위로부터 외벽판(30B)을 포개고, 그 상태에서 외벽판(30B)의 표면측으로부터 못(95)을 박아넣어,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한다. 다음에, 본 형태에 있어서는, 상측 외벽판(30A)보다 먼저 이음 커버(20)를 장착시킨다. 즉, 이음 커버(20A)의 돌출부(27) 및 수직판(21a)의 이면을 각각 해트 조이 너 볼록부(12)의 상측면(12a) 및 꼭대기면(12c)에 충돌하여 접촉시킴과 동시에, 하측 가장자리부(23)의 이면을 외벽판(30B) 표면에 충돌하여 접촉시킨다. 그 상태에서 수직판(21a)에 비스(96)를 밀어넣어 이음 커버(20A)를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한다. 계속하여, 상측 외벽판(30A)의 하단면을, 이음 커버(20)의 돌출부(27)에 충돌하여 접촉시키도록 하여, 해트 조이너(10)상부의 기판(11)의 위에서 외벽판(30A)을 포개고, 그 상태에서 외벽판(30A)의 표면측으로부터 못(95)을 박아넣어,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 채움재(1A)의 상방으로 세로 이음(92)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세로 이음(92)을 흘러내려 온 빗물은 이음 커버(20A) 표면을 타고 더욱 흘러내리기 때문에, 이음 채움재(1A) 부근에 빗물이 체류하는 일은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1B)에서는 이음 커버(20B)가, 수직판(21a) 및 하판(21b)만으로 이루어지는 이음 홈부(21)와, 하측 가장자리부(23)로 구성되는 단순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도, 하측 가장자리부(23)의 이면에는 거의 전체면에 걸쳐서 탄성 지수재(26)가 접착되어 있다. 시공에 있어서는 이음 커버(20B) 또는 상측 외벽판의 어디든 먼저 고정시켜도 좋아서, 시공의 자유도가 크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하는 이음 채움재를 사용한 시공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이음 채움재(1, 1A, 1B)는 해트 조이너 및 이음 커버와 같은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본 형태에 따른 이음 채움재(1C)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 채움재(1C)는 1개의 강판 판금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횡바디 가장자리(91)로의 고정면이 되는 기판(11)과, 그 하방에 위치하는 이음 홈부(21)와, 이음 홈부(2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장자리부(23)로 이루어진다. 이음 홈부(21)는 기판(11)의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판(21a)과, 수직판(21a)의 하단을 표면측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된 하판(21b)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판(11)과 수직판(21a)은 연속된 1개의 평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판(21b)의 선단을 하방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하측 가장자리부(23)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 가장자리부(23)의 이면에는 거의 전체면에 걸쳐서 탄성 지수재(26)가 접착되어 있다. 기판(11) 및 하측 가장자리부(23)의 측단부(11a, 23a)는 각각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되꺾여 있다.
시공에 있어서는 우선, 하측 외벽판(30B)을, 못(95)을 사용하여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이음 채움재(1C)의 하측 가장자리부(23)의 이면을, 외벽판(30B) 표면에 충돌하여 접촉시키고, 수직판(21a)에 비스(96)를 밀어넣어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상측 외벽판(30A)을, 하측 외벽판(30B)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뚫도록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이음 채움재(1C)의 기판(11)의 위로부터 포개고, 못(95)을 사용하여 횡바디 가장자리(91)에 고정시킨다. 또, 이음 채움재(1C)의 횡바디 가장자리(91)에의 고정은, 기판(11)에 못을 박아넣음으로써 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가장자리 부(23)에 의해 가까운 수직판(21a)의 위치로 비스(96)를 밀어넣음으로써, 하측 가장자리부(23) 이면의 탄성 지수재(26)가 외벽판(30B)에 대하여 충분히 가압되어, 밀착도가 높아진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이음 채움재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이음 채움재는 상기 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종래의 해트 조이너(40)와 마찬가지로, 해트 조이너 볼록부의 꼭대기면을 곡면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음 홈부의 상판 및 하판을 경사면으로 하거나, 또는, 이음 홈부 전체를 연속된 곡면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해트 조이너 볼록부의 꼭대기면이나 이음 홈부의 수직판에, 미리 비스용의 구멍을 형성해 두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음 채움재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하고, 더구나 의장성 및 지수성이 높은 이음부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9)

  1. 표면측으로부터 고정구를 박아넣음으로써 외벽판을 건물 구체측에 고정시키는 외벽 시공에서, 상하에 인접하는 외벽판 사이에 고정되는 이음 채움재로서,
    시공시에 하측 외벽판의 표면에서의 상단 근방에 충돌하여 접촉되는 하측 가장자리부, 및 상기 하측 가장자리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방 또한 이면측으로 연장되는 이음 홈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채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장자리부의 이면에 탄성 지수재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채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채움재가 해트 조이너와 이음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트 조이너는 건물 구체측으로의 고정면이 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표면측으로 돌출하여 시공시에는 상하 외벽판의 단부 사이에 끼워지는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음 커버는 상기 이음 홈부 및 하측 가장자리부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이음 홈부는, 상기 이음 채움재 및 상하 외벽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해트 조이너 볼록부의 꼭대기면 및 하측 외벽판의 상단면을 적어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채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커버의 이음 홈부는, 상기 이음 채움재 및 상하 외벽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음 홈부의 일부가 상기 해트 조이너 볼록부의 꼭대기면에 충돌하여 접촉하는 치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채움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커버의 이음 홈부는, 상기 이음 채움재 및 상하 외벽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측 외벽판의 하단면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음 커버는 또한 상기 이음 홈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시공시에는 상측 외벽판의 표면에 충돌하여 접촉되는 상측 가장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가장자리부의 이면에 탄성 지수재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채움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커버의 이음 홈부는, 상기 이음 채움재 및 상하 외벽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해트 조이너 볼록부의 꼭대기면 및 하측 외벽판의 상단면만을 덮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음 커버는 또한 상기 이음 홈부의 상단으로부터 이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로서, 시공시에는 상기 해트 조이너 볼록부의 상측 측면에 포개지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채움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트 조이너 및 이음 커버는 각각 1개의 강판 판금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채움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홈부의 일부는 건물 구체측으로의 고정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채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1개의 강판 판금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채움재.
KR1020060021191A 2006-03-07 2006-03-07 이음 채움재 KR100833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191A KR100833811B1 (ko) 2006-03-07 2006-03-07 이음 채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191A KR100833811B1 (ko) 2006-03-07 2006-03-07 이음 채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728A true KR20070091728A (ko) 2007-09-12
KR100833811B1 KR100833811B1 (ko) 2008-05-30

Family

ID=3868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191A KR100833811B1 (ko) 2006-03-07 2006-03-07 이음 채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8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4260A (zh) * 2014-11-05 2015-01-28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异型玻璃钢拼缝处的连接结构
KR20160020120A (ko) * 2014-08-13 2016-02-23 주종복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7141619A (ja) * 2016-02-12 2017-08-17 株式会社内藤ハウス 外壁パネル支持構造
JP2020105801A (ja) * 2018-12-27 2020-07-09 旭トステム外装株式会社 外壁パネ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690B1 (ko) 2009-09-23 2012-04-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축 및 리모델링 용이성을 고려한 벽체용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의 마무리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2244A (ja) * 1982-04-17 1983-12-23 株式会社田島順三製作所 カ−テンウオ−ルに於ける方立と無目のジヨイント機構
KR910009561Y1 (ko) * 1989-08-16 1991-12-13 주식회사 삼 아 조립식 건축물의 조이너
JPH06146435A (ja) * 1992-11-16 1994-05-27 Ig Tech Res Inc 縦目地構造
JP3084329B2 (ja) * 1992-12-28 2000-09-04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縦目地構造
KR200185050Y1 (ko) * 1997-11-14 2000-06-15 강경석 천장시공용 조이너
JP2003138722A (ja) * 2001-10-31 2003-05-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ジョイナー及びサイディングボードの目地構造
JP3714325B2 (ja) * 2002-12-26 2005-11-09 ニチハ株式会社 縦張直張外壁施工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スタータ金具並びに中間水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120A (ko) * 2014-08-13 2016-02-23 주종복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4314260A (zh) * 2014-11-05 2015-01-28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异型玻璃钢拼缝处的连接结构
JP2017141619A (ja) * 2016-02-12 2017-08-17 株式会社内藤ハウス 外壁パネル支持構造
JP2020105801A (ja) * 2018-12-27 2020-07-09 旭トステム外装株式会社 外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811B1 (ko) 200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170B2 (en) External wall construction, sealing fixture, external wall panel, and external wall constructing method
CN100436737C (zh) 开口部周围装饰构件及其施工结构和施工方法
KR101043906B1 (ko) 외측 모서리 부재, 이것을 사용한 외측 모서리부 시공 구조, 및 외측 모서리부 시공방법
RU2009145070A (ru) Комплект панелей пола
CN209891664U (zh) 扣接式踢脚线结构
KR100833811B1 (ko) 이음 채움재
RU2007129572A (ru) Панель и система стыковки панелей
US6609342B2 (en) Sealing member and siding boards attachment structure
CN107089123A (zh) 内密封条和使用该内密封条的车用门的密封构造
CA2544930C (en) Joint member
JP2007016428A (ja) サイディング端部用部材
JP6957173B2 (ja) 取付具、取付具と防水材とのセット、壁構造、及び外装材の施工方法
KR20110000268A (ko) 건축용 패널의 시공구조
CN211114549U (zh) 墙面板及包括其的墙面板集成安装总成
JP2007138434A (ja) 壁パネル用シール部材
JP2005068878A (ja) 外装材の接続部の構造
JP3965178B2 (ja) 目地材
JP4033080B2 (ja) 外装材の接続構造
JP4137844B2 (ja) シーリング補助材及び腕木周りのシーリング構造
CN212453454U (zh) 一种建筑物内墙装修用大面积墙面板
JP4038549B2 (ja) パネル用固定具及びパネルの取付構造
JP7098858B2 (ja) 建築板
JP2009097218A (ja) 入隅見切材、入隅構造及び入隅施工方法
RU2331745C2 (ru) Расшивка для швов
CN211114551U (zh) 阴角嵌缝条以及包括其的阴角安装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