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564A - 벨트 잠금 기구,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구조 및 쇼핑 카트 - Google Patents

벨트 잠금 기구,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구조 및 쇼핑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564A
KR20070091564A KR1020070021628A KR20070021628A KR20070091564A KR 20070091564 A KR20070091564 A KR 20070091564A KR 1020070021628 A KR1020070021628 A KR 1020070021628A KR 20070021628 A KR20070021628 A KR 20070021628A KR 20070091564 A KR20070091564 A KR 20070091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ase plate
head support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미츠 요다
사에 오토모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60270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14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60271A external-priority patent/JP50981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602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968640B2/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4Adaptations for transporting children; Mounting of toys for the children
    • B62B3/1448Lining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4Adaptations for transporting children; Mounting of toys for the children
    • B62B3/1444Transporting devices mounted on the shopping c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4Adaptations for transporting children; Mounting of toys for the children
    • B62B3/1452Safety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벨트의 인출을 잠글 수 있는 벨트 잠금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부재(420)와, 회동 부재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43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벨트 삽입 통과용의 슬릿(411)과, 슬릿에 인접한 고정 마찰부(412, 413)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 부재(420)는 가동(可動) 마찰부(422A)를 가지고 있고, 회동 부재가 탄성 부재(43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가동 마찰부(422A)가 슬릿 및 고정 마찰부(412, 413)에 꽉 눌러진다.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뒤쪽으로부터 슬릿(411)을 통하여 인출된 벨트(380)가 가동 마찰부(422A)와 고정 마찰부(412, 413) 사이에 삽입되어 잠기고, 탄성 부재(43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동 부재(420)를 회동시키고 가동 마찰부(422A)를 슬릿(411) 및 고정 마찰부(412, 413)로부터 이간되도록 이동시키면, 벨트(380)의 잠금이 해제된다.
베이스 플레이트, 연결 봉재, 가설재, 시트 지지 프레임

Description

벨트 잠금 기구,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및 쇼핑 카트{BELT ROCK APPARATUS, HEAD SUPPORT ATTACHING STRUCTURE, SEAT BODY ATTACHING STRUCTURE AND SHOPPING CAR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쇼핑 카트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쇼핑 카트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쇼핑 카트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가드(guard)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차일드 시트의 수용부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드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드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드와 좌석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드와 좌석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가드 내장형의 벨트 잠금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특징을 나타내는 시트 본체 및 헤드 서포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시트 본체의 X부분의 확대도.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헤드 서포트의 Y부분의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특징인 헤드 서포트의 시트 본체로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부착 구조의 Z부분의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특징 부분을 나타내는 카트 본체에 의해 구성된 지지 프레임으로의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와, 시트 본체를 회동시키고 단계적으로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9의 카트 본체에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의 요부(要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지지 프레임에 탑재 배치되는 시트 본체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는 회동 베어링 부재의 사시도.
도 23은 도 19에 나타내는 리클라이닝 로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지지 프레임에 대한 시트 본체 수용부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5는 도 19에 나타내는 우측의 회동 베어링 부재 근방을 후방 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6은 도 19에 나타내는 우측의 회동 베어링 부재 근방의 평면도.
도 27은 시트 본체 수용부의 뒤쪽에 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우측의 회동 베어링 부재 근방을 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8은 시트 본체 수용부의 뒤쪽에 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우측의 회동 베어링 부재 근방을 외측에서 본 사시도.
도 29는 조작 와이어의 부착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쇼핑 카트 100 : 카트 본체
110 : 베이스 프레임 112 : 제 1 연결 봉재(棒材)
114 : 제 1 가설재 115 : 금속 봉부(棒部)
117 : 제 2 가설재 120 : 시트 지지 프레임
123 : 제 2 연결 봉재 130 : 핸들 프레임
134 : 제 3 연결 봉재 135 : 제 3 가로 걸림재
138 : 그립(grip) 300 : 차일드 시트
310 : 시트 본체 311 : 수용부
312 : 커버 350 : 가드
본 발명은 어린이용 시트의 안전벨트를 잠그는 벨트 잠금 기구,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및 쇼핑 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슈퍼마켓이나 대형 양판점 등의 점포 시설에 있어서는, 쇼핑 고객이 구입하는 상품을 반송(搬送)하기 위한 쇼핑 카트가 준비되고, 쇼핑 고객은 쇼핑 카트를 밀면서 점포 시설 내를 이동하고, 쇼핑 바구니에 상품을 넣고 쇼핑을 한다. 이와 같이, 쇼핑 카트에 다수 상품을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쇼핑 바구니를 가지고 이동할 경우에 비하여 쇼핑 고객은 편하게 쇼핑을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를 장비한 쇼핑 카트도 보급되어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에 어린이를 태운 상태에서 쇼핑 카트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어린이가 차일드 시트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일드 시트에 탈락 방지용 가드(guard)를 구비한 쇼핑 카트도 보급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쇼핑 카트의 차일드 시트에는, 탈락 방지용 가드가 차일드 시트에 나사나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를 차일드 시트에 착석시킬 때나 차일드 시트로부터 어린이를 내릴 때에, 어린이의 발 등이 가드에 걸리거나 하여 취급이 불편했었다.
그래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린이를 차일드 시트에 착석시키거나 내리려고 할 때에, 탈락 방지용 가드가 이동하고, 차일드 시트와 탈락 방지용 가드 사이가 확장 개방되도록 한 차일드 시트(50)가 개발되었다. 도 12에 나타낸 차일 드 시트(50)는 시트 본체(51)와, 시트 본체(51)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부착한 가드(52)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 중의 Fr은 전방(前方)을, Up은 위쪽을, W는 가로 폭 방향을 나타낸다.
시트 본체(51)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어린이를 수용하는 수용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53)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53A), 좌석부(53B), 팔걸이 가드부(5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에 둘러싸여 수용 공간(S)이 획성(劃成)되어 있다.
가드(52)는 수용부(53)에 들어간 어린이가 차일드 시트(5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 등을 하기 위한 것이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맞닿음부(52A)와, 배맞닿음부(52A)의 하단(下端)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허벅다리 맞닿음부(52B)와, 허벅다리 맞닿음부(52B)의 선단(先端)에 형성된 회전부(52C)로 구성되고, 이 회전부(52C)는 시트 본체(51)의 좌석부(53B) 앞 둘레에 오목하게 설치된 수용부(55)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가드(52)와 등받이부(53A)에 통과시킨 허리 벨트(54)로 어린이의 몸통을 구속하는 루프(loop)를 형성하고, 허리 벨트(54)의 길이를 조절하여 좌석부(53B)에 착석한 어린이가 차일드 시트(50)로부터 탈락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가드(52)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의 인출을 잠그는 벨트 잠금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이 벨트 잠금 기구는 가드의 표면으로 돌출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잠금편(片)이 벨트의 구속을 해제하고, 좌석부(53B)에 착석한 어린이의 몸통 둘레에 감기는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2-22005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2-29424호 공보
그러나, 가드(52)에 내장된 벨트 잠금 기구(6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61∼63), 브래킷(64, 65), 버튼(66)을 지지하는 금속 부재(67), 링크재(68, 69)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화하여 조립 작업도 번잡하게 되고, 또한 복수의 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도 커졌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간소한 구조로 벨트의 인출을 잠글 수 있는 벨트 잠금 기구,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및 쇼핑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가드 내에 배치되고, 가드 외측(外側)으로 연장되는 벨트를 가드 내에서 잠그는 벨트 잠금 기구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부재와,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벨트 삽입 통과용의 슬릿과 슬릿에 인접하여 배치된 고정 마찰부를 가지며, 회동 부재는 가동(可動) 마찰부를 가지고, 회동 부재가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된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 벨트를 삽입하여 잠그며, 회동 부재를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동시킨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의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잠금 기구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고정 마찰부는, 슬릿의 일측에 배치되어 회동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슬릿의 타측에 배치되어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잠금 기구이다.
본 발명은, 가드에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가드 표면에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를 폐색(閉塞)하는 리드(lid)가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부재와, 탄성 부재는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와 리드에 의해 획성된 공간 내에 수납되고, 회동 부재 외면(外面)에 돌출부가 설치되고, 리드에 돌출부를 수용하는 윈도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회동 부재가 회동하여,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의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잠금 기구이다.
본 발명은, 탄성 부재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잠금 기구이다.
본 발명은, 고정 마찰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잠금 기구이다.
본 발명은, 좌석부와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시트 본체와, 좌석부에 착석한 어린이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가드와, 시트 본체에 양단(兩端)이 고정된 벨트와, 가드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벨트를 가드 내에서 잠그는 벨트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벨트 잠금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부재와,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베 이스 플레이트는 벨트 삽입 통과용의 슬릿과 슬릿에 인접하여 배치된 고정 마찰부를 가지고, 회동 부재는 가동 마찰부를 가지고, 회동 부재가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된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 벨트를 삽입하여 잠그며, 회동 부재를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동시킨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의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이다.
본 발명은, 하부(下部)에 복수의 주행 바퀴를 갖는 카트 본체와, 카트 본체에 지지된 차일드 시트를 구비한 쇼핑 카트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는, 좌석부와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시트 본체와, 좌석부에 착석한 어린이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가드와, 시트 본체에 양단이 고정된 벨트와, 가드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벨트를 가드 내에서 잠그는 벨트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벨트 잠금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부재와,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벨트 삽입 통과용의 슬릿과 슬릿에 인접하여 배치된 고정 마찰부를 가지며, 회동 부재는 가동 마찰부를 가지고, 회동 부재가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된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 벨트를 삽입하여 잠그며, 회동 부재를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동시킨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의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고정 마찰부는, 슬릿의 일측에 배치되어 회동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슬릿의 타측에 배치되어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이다.
본 발명은, 가드에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가드 표면에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를 폐색하는 리드가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부재와, 탄성 부재는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와 리드에 의해 획성된 공간 내에 수납되고, 회동 부재 외면에 돌출부가 설치되고, 리드에 돌출부를 수용하는 윈도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회동 부재가 회동하여,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의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이다.
본 발명은, 탄성 부재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이다.
본 발명은, 고정 마찰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이다.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의 헤드 서포트 영역에 헤드 서포트를 부착하는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에 있어서, 헤드 서포트의 바깥 둘레부에 설치된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부와, 차일드 시트의 헤드 서포트 영역에 설치되어 걸어 맞춤 돌기부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구멍과, 헤드 서포트 영역과 헤드 서포트 사이에 삽입된 쿠션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이다.
본 발명은, 헤드 서포트는 연질수지제(製)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이다.
본 발명은, 카트 본체와, 카트 본체에 부착된 주행 바퀴와, 카트 본체에 지지되는 동시에 헤드 서포트 영역을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와, 차일드 시트의 서포트 영역에 부착된 헤드 서포트를 구비하고, 헤드 서포트의 바깥 둘레부에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부가 설치되고, 차일드 시트의 서포트 영역에, 걸어 맞춤 돌기부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구멍이 설치되고, 헤드 서포트 영역과 헤드 서포트 사이에 쿠션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이다.
본 발명은, 헤드 서포트는 연질수지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이다.
본 발명은, 좌석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 본체를 시트 지지 프레임에 부착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에 있어서, 시트 본체의 이면(裏面) 하단부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부재와, 축 부재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1쌍의 베어링 부재와, 시트 본체의 이면으로서 축 부재보다 위쪽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를 구비하고, 각 베어링 부재는 하단부에 오목부를 가지고, 또한 상단부에 홈부를 가지며, 로드 양단부는 각각 コ 형상으로 형성되어 갈고리부를 가지며, 각 베어링 부재는 오목 부분을 시트 지지 프레임에 걸어 맞춰 탑재 배치되고, 로드 양단부의 갈고리부는 베어링 부재의 홈부에 걸어 맞춰지고, 또한 갈고리부와 축 부재 사이에 탄성재가 삽입되고, 시트 본체의 이면에 로드가 맞닿아 시트 본체가 로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이다.
본 발명은, 각 베어링 부재의 오목부는 전후(前後)로 형성된 1쌍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이다.
본 발명은, 각 베어링 부재의 후단부는 시트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가로 걸림재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이다.
본 발명은, 시트 지지 프레임은 각 베어링 부재에 인접하는 브래킷을 가지 며, 각 베어링 부재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이다.
본 발명은, 시트 본체의 뒤쪽에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이다.
본 발명은, 각 베어링 부재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며, 시트 본체에 조작 레버를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 레버에 로드 양단부에 걸어 맞추는 1쌍의 조작 와이어를 연결하고, 조작 레버에 의해 각 조작 와이어를 구동하여 로드를 회동시키고, 로드의 각 갈고리부를 베어링 부재의 홈부로부터 개방하고, 시트 본체의 경사를 변경한 후, 조작 레버를 되돌려 로드의 각 갈고리부를 원하는 홈부에 걸어 맞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이다.
본 발명은, 각 베어링 부재의 복수의 홈부 중, 최전측(最前側) 홈부의 전측 벽면 및 최후측 홈부의 후측 측벽은, 그 이외의 홈부의 전후측 벽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이다.
본 발명은, 주행 바퀴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시트 지지 프레임을 갖는 카트 본체와, 좌석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차일드 시트의 시트 본체와, 차일드 시트의 시트 본체를 지지 프레임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와를 구비하고, 부착 구조는, 시트 본체의 이면 하단부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부재와, 축 부재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1쌍의 베어링 부재와, 시트 본체의 이면으로서 축 부재보다 위쪽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를 구비하고, 각 베어링 부재는 하단부에 오목부를 가지고, 또한 상단부에 홈부를 가지며, 로드 양단부는 각각 コ 형상으로 형성되어 갈고리부를 가지며, 각 베어링 부재는 오목 부분을 시트 지지 프레임에 걸어 맞춰 탑재 배치되고, 로드 양단부의 갈고리부는 베어링 부재의 홈부에 걸어 맞춰지고, 또한 갈고리부와 축 부재 사이에 탄성재가 삽입되고, 시트 본체의 이면에 로드가 맞닿아 시트 본체가 로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이다.
본 발명은 시트 본체의 뒤쪽에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쇼핑 카트이다.
본 발명은, 각 베어링 부재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며, 시트 본체에 조작 레버를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 레버에 로드 양단부에 걸어 맞추는 1쌍의 조작 와이어를 연결하고, 조작 레버에 의해 각 조작 와이어를 구동하여 로드를 회동시키고, 로드의 각 갈고리부를 베어링 부재의 홈부로부터 개방하고, 시트 본체의 경사를 변경한 후, 조작 레버를 되돌려 로드의 각 갈고리부를 원하는 홈부에 걸어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쇼핑 카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적합하게 가드 사용 시에 있어서의 벨트의 인출을 규제하고, 조절한 벨트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벨트 잠금 기구는 종래의 벨트 잠금 기구와 비교하여, 품질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구성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동시에, 조립도 간단하기 때문에 종래의 복잡한 벨트 잠금 기구와 상이하며, 제조 작업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피재로서 기능하는 헤드 서포트에 직접 시트나 차일드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걸어 맞춤 돌기부를 설치하고, 부착 시에 쿠션재를 삽입하여 헤드 서포트의 걸어 맞춤 돌기부를 시트나 차일드 시트에 설치된 대응하는 걸어 맞춤 구멍에 돌기부가 삽입되어 걸어 맞춰진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헤드 서포트부에 있어서의 기재(基材)가 불필요하게 되고, 분리 작업만으로 헤드 서포트와 쿠션재가 분리된다. 따라서, 헤드 서포트의 제조 비용이나 메인터넌스의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헤드 서포트에 연질 수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오염물을 제거하기 쉽고 청결감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시트 본체의 이면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축 부재의 양단에 베어링 부재가 장착되고, 각 베어링 부재가 시트 지지 프레임에 탑재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시트 본체를 시트 지지 프레임에 부착한다. 그리고, 시트 본체의 이면에 축 부재에 병치하도록 로드를 배치하고, 로드 양단부에 형성한 각 갈고리부를 베어링 부재의 홈부에 걸어 맞추고, 로드를 시트 본체에 맞닿게 하여 시트 본체의 경사를 유지한다. 시트 본체를 시트 지지 프레임에 부착하는 부품이, 축 부재와 1쌍의 베어링 부재와 탄성체이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적고, 시트 본체의 시트 지지 프레임에 대한 부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본체의 중심(重心)을 조금 후방, 예를 들어 좌우의 중심 축 상에서 좌석부와 등받이부의 경계 또는 그 주변으로 되도록 조정하고, 베어링 부재가 시트 지지 프레임과 걸어 맞추는 하측의 오목부를 경사진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상측이 개구할 경우에는, 시트 본체가 시트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시트 지 지 프레임의 좌우 1쌍의 브래킷에 베어링 부재를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나사를 부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부착이나 분리도 용이하다. 더 나아가서는, 시트 본체의 이면에 커버를 장착함으로써, 축 부재나 베어링 부재나 탄성체 등의 부착 부품을 커버에 의해 전부 감출 수 있어, 겉모양도 좋아진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시트 본체의 이면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회동 축 부재의 양단에 회동 베어링 부재가 장착되고, 각 회동 베어링 부재가 시트 지지 프레임에 탑재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시트 본체를 시트 지지 프레임에 부착한다. 그리고, 시트 본체의 이면에 회동 축 부재에 병치하도록 리클라이닝 로드를 배치하고, 리클라이닝 로드 양단부에 형성한 각 갈고리부를 회동 베어링 부재의 홈부에 끼워 맞추고, 리클라이닝 로드를 시트 본체에 맞닿게 하여 시트 본체의 경사를 유지한다. 또한, 리클라이닝 로드의 갈고리부에 조작 와이어가 연결됨으로써, 조작 와이어를 조작 레버로 위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리클라이닝 로드의 갈고리부가 홈부로부터 개방되고, 시트 본체의 경사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클라이닝 기구에 필요한 부품이, 회동 축 부재와 1쌍의 회동 베어링 부재와 탄성체와 임시 조작 와이어와 조작 레버이기 때문에, 적은 부품 개수로 리클라이닝 기구를 실현할 수 있으며, 부착이나 분리도 용이하다. 또한, 회동 베어링 부재의 홈부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리클라이닝 로드의 갈고리부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시트 본체의 이면에 커버를 장착함으로써, 회동 축 부재나 리클라이닝 로드나 1쌍의 조작 와이어를 감출 수 있고, 리클라이닝 기구의 구동부나 회동 부분이 시트 본체와 커버 사이에 배치하여 나타나지 않게 되어, 겉모양도 좋아진다.
상기 구성에 의해, 카트 본체에 차일드 시트를 효율적으로 부착할 수 있고, 리클라이닝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본체에 커버가 장착되기 때문에, 부착 부품이나 리클라이닝 기구의 구동부를 모두 감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본체의 시트 지지 프레임으로의 부착 구조나 차일드 시트의 카트 본체로의 부착 구조에 필요로 되는 부품을 줄일 수 있고, 구조도 간단하다. 또한, 리클라이닝 기구의 구성도 간단하다. 따라서, 시트 본체의 시트 지지 프레임으로의 부착 작업이나 분리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쇼핑 카트 등의 상품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본체의 교환도 용이하게 되고, 쇼핑 카트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부착 구조나 리클라이닝 기구를 내장화할 수 있어, 겉모양이나 편리성도 향상된다.
제 1 실시예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10)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쇼핑 카트(10)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쇼핑 카트(10)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쇼핑 카트(10)의 측면도이다. 도면 중의 Fr은 쇼핑 카트 전방을, Up은 위쪽을, W는 쇼핑 카트의 가로 폭 방향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쇼핑 카트(10)는 카트 본체(100)와 그것에 부착된 주행 바퀴(200)와 카트 본체(100)에 지지된 차일드 시트(300)를 구비하고 있다.
쇼핑 카트(10)를 구성하는 카트 본체(100)는, 복수의 강제(鋼製) 등의 파이프를 접어 구부리고, 그들을 서로 용접에 의해 접합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트 본체(10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고, 주로 차일드 시트(300)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 프레임(120)과, 이 시트 지지 프레임(120)의 후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베이스 프레임(110)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사용자가 쇼핑 카트(10)를 밀 때에 잡는 핸들 프레임(130)을 구비하고 있다.
각 프레임(110, 120, 130)의 상세를 하기에 설명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ハ」 형상으로 서로의 간격이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수평으로 병렬 설치한 1쌍의 직선 형상의 봉재(棒材)(111R, 111L)와, 이들 각 봉재(111R, 111L)의 전단(前端)을 연결하도록 가로폭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한 제 1 연결 봉재(112)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1개의 봉 형상 강재(鋼材)를 접어 구부리고, 1쌍의 봉재(111R, 111L)와 제 1 연결 봉재(112)가 일체로 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1쌍의 봉재(111R, 111L)와 제 1 연결 봉재(112)를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그들을 접합하여 일체물로서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각 봉재(111R, 111L)와 제 1 연결 봉재(112)로 형성되는 코너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彎曲)하여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좌우 봉재(111R, 111L)의 후단(後端)에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 이들 좌우 봉재(111R, 111L)에 제 1 가설재(114)가 가설되어 있다. 이 제 1 가설재(114)는 좌우 봉재(111R, 111L)에 접합되어 있고, 위쪽으로 상승하는 기립부(114R, 114L)와, 각 기립부(114R, 114L)의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가로폭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한 가로부(114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또한 제 1 연결 봉재(112)의 안쪽 둘레면과 제 1 가설재(114)에 걸치도록, 또한 좌우 봉재(111R, 111L)의 선단(先端) 부근의 안쪽 둘레면과 제 1 가설재(114)에 걸치도록, 복수의 금속 봉부(棒部)(11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금속 봉부(115)는 서로 거의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전단 또는 후단이 인접하는 금속 봉의 전단 또는 후단과 연결되어 있도록, 1개의 금속 봉을 전후로 복수회 접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각 금속 봉부(115)는 선단으로부터 중간 부위까지가 후방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높아지도록 경사진 완만 경사부(115A)와, 완만 경사부(115A)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급하게 상향으로 경사진 단차(段差)부(115B)와, 단차부(115B)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한 수평부(115C)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금속 봉부(115) 위에 짐을 탑재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복수의 금속 봉부(115)의 수평부(115C)는 서로 협동하여 쇼핑 바구니(도시 생략)를 탑재 배치하는 대좌(臺座)로서 기능한다. 각 수평부(115C)에 탑재 배치한 쇼핑 바구니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금속 봉부(115)끼리 연결한 후단부가 경사진 후방으로 경사지고, 스토퍼(115S)가 형성되어 있다. 각 금속 봉부(115)의 수평부(115C)는, 상술한 제 1 가설재(114)에 고정되고 아래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각 금속 봉부(115)의 완만 경사부(115A)도, 가로폭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한 제 2 가설재(117)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각 금속 봉부(115)의 강성(剛性)이 높아지고 있다.
시트 지지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좌우 각 봉재(111R, 111L)의 후단으로부터 각 봉재(111R, 111L)의 전체 길이의 1/4정도의 거리 전방에 이간된 위치에 하부가 고정되어 있고, 위쪽으로 기립한 제 1 수직 봉재(121R, 121L)와, 각 제 1 수직 봉재(121R, 121L)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진 전방으로 연장한 제 1 경사 봉재(122R, 122L)와, 각 제 1 경사 봉재(122R, 122L)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가로폭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한 제 2 연결 봉재(123)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각 제 1 경사 봉재(122R, 122L)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좁아지도록, 폭 방향 내측으로도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시트 지지 프레임(120)은, 예를 들어 1개의 봉 형상의 강재를 접어 구부리고, 1쌍의 제 1 수직 봉재(121R, 121L), 1쌍의 제 1 경사 봉재(122R, 122L), 제 2 연결 봉재(123)가 일체로 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1쌍의 제 1 수직 봉재(121R, 121L), 1쌍의 제 1 경사 봉재(122R, 122L), 제 2 연결 봉재(123)를 각각 제조하고, 그들을 접합한 일체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각 제 1 수직 봉재(121R, 121L)와 제 1 경사 봉재(122R, 122L)로 형성되는 코너와, 제 1 경사 봉재(122R, 122L)와 제 2 연결 봉재(123)로 형성되는 코너도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핸들 프레임(130)은 베이스 프레임(110) 좌우의 각 봉재(111R, 111L) 후단에 하부가 접합되어 있고, 위쪽으로 기립한 제 2 수직 봉재(131R, 131L)와, 각 제 2 수직 봉재(131R, 131L)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진 전방으로 연장한 제 2 경사 봉재(132R, 132L)와, 각 제 2 경사 봉재(132R, 132L)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진 후방으로 연장한 제 3 경사 봉재(133R, 133L)와, 각 제 3 경사 봉재(133R, 133L)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가로폭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한 제 3 연결 봉재(134)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각 제 2 경사 봉재(132R, 132L) 및 제 3 경사 봉재(133R, 133L)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폭 방향 내측으로도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핸들 프레임(130)도, 예를 들어 1개의 봉 형상의 강재를 접어 구부리고, 1쌍의 제 2 수직 봉재(131R, 131L), 1쌍의 제 2 경사 봉재(132R, 132L), 1쌍의 제 3 경사 봉재(133R, 133L), 제 3 연결 봉재(134)가 일체로 되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1쌍의 제 2 수직 봉재(131R, 131L), 1쌍의 제 2 경사 봉재(132R, 132L), 1쌍의 제 3 경사 봉재(133R, 133L), 제 3 연결 봉재(134)를 각각 제조하고, 그들을 접합한 일체물로서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각 제 2 수직 봉재(131R, 131L)와 제 2 경사 봉재(132R, 132L)로 형성되는 코너와, 제 2 경사 봉재(132R, 132L)와 제 3 경사 봉재(133R, 133L)로 형성되는 코너와, 제 3 경사 봉재(133R, 133L)와 제 3 연결 봉재(134)로 형성되는 코너도,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경사 봉재(132R, 132L)와 제 3 경사 봉재(133R, 133L)로 형성되는 코너는, 시트 지지 프레임(120)에 있어서의 제 1 경사 봉재(122R, 122L)와 제 2 연결 봉재(123)로 형성되는 코너에 근접한 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지지 프레임(120)의 제 2 연결 봉재(123)에 근접한 후방 위치에서, 핸들 프레임(130)의 제 2 경사 봉재(132R, 132L)와 제 3 경사 봉재(133R, 133L)로 형성되는 좌우 코너끼리를 가설하는 것과 같이, 제 3 가로 걸림재(1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3 가로 걸림재(135)는 시트 지지 프레임(120)의 제 2 연결 봉재(123)의 후방에서 제 2 연결 봉재(123)와 거의 평행 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좌우 봉재(111R, 111L)와 제 1 연결 봉재(112)로 형성되는 코너의 하측에는, 각각 주행 바퀴(200, 200)가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핸들 프레임(130)의 각 제 2 수직 봉재(131R, 131L)의 하단부에도 주행 바퀴(200, 200)가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쇼핑 카트(10)는 앞 바퀴 2개와 뒷 바퀴 2개를 구비하는 구조로 되고, 각 바퀴가 전동(轉動)하는 동시에, 각 바퀴가 연직 축 주위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선회(旋回)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트 지지 프레임(120)의 제 2 연결 봉재(123)와, 핸들 프레임(130)의 제 3 가로 걸림재(135) 위에는 차일드 시트(300)의 하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 차일드 시트(300)는 앞 방향 상태로 카트 본체(100)에 장착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300)는 시트 본체(310)와, 시트 본체(310)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한 가드(350)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본체(310)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어린이를 수용하는 수용부(311)와, 이 수용부(311)의 배면(背面)을 덮는 커버(312)로 구성되어 있다. 수용부(311)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311A), 좌석부(311B), 팔걸이 가드부(311C)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에 둘러싸여 수용 공간(S)이 획성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311A)의 어린이의 두부(頭部)가 맞닿는 부위에는, 헤드 서포트(370)가 설치되어 있다.
가드(350)는 수용부(311)에 들어간 어린이가 차일드 시트(30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가드(350)와 등받이부(311A)에 통과시킨 허리 벨트 (380)로 어린이의 몸통을 구속하는 루프를 형성하고, 벨트(380) 길이를 조절하며, 좌석부(311B)에 착석한 어린이가 차일드 시트로부터 탈락하는 동작을 규제한다.
상기 차일드 시트(300)에는 리클라이닝 기구가 내장되어 있으며, 차일드 시트(300) 배면의 커버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레버(390)를 조작함으로써, 차일드 시트 자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쇼핑 카트(10)의 선단부, 즉 베이스 프레임(110)의 제 1 연결 봉재(112)에는 벽 등의 장해물과의 충돌을 완화하기 위해서, 고무 등의 완충 부재(11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핸들 프레임(130)의 금속제 제 3 연결 봉재(134)에는 사용자가 핸들 프레임(130)을 쥐기 쉽게 하기 위해서, 합성 수지제 그립(grip)(138)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쇼핑 카트(10)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동시에, 높이도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쇼핑 카트(10)는 다른 쇼핑 카트(10)의 후방으로부터 전후에 중첩되는 것, 즉 네스팅(nesting)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비(非)사용 시에 다른 쇼핑 카트(10)의 후방으로부터 다른 쇼핑 카트(10)를 근접시키면, 후방의 쇼핑 카트(10)의 전단부, 즉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측 부분이 전방의 쇼핑 카트(10)의 확대 개방된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부 내에 진입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쇼핑 카트(10)를 전후로 네스팅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1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가드(35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시트 본체(310)와 가드(350) 사이를 확대 개방시켰을 때에, 전방으 로 이동시킨 가드(350)를 그 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의 가드(35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맞닿음부(351)와, 배맞닿음부(351)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허벅다리 맞닿음부(352)와, 허벅다리 맞닿음부(352)의 선단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회전부(353)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부(353)에는 축(354)을 끼워 넣는 관통 구멍(353A)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원주 표면 위에 오목부(35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53B)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변형하여 차단하게 할 수 있는 회전 정지 부재(355)가 장착되게 되어 있다.
회전 정지 부재(355)는 단면이 거의 U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353)의 오목부(353B)의 평면에 맞닿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355A)와, 베이스부(355A)의 저면(底面)으로부터 돌출하여 오목부(353B)의 구멍(353C)에 끼워 넣는 볼록부(355B)와, 베이스부(355A)의 둘레부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한 만곡부(355C)와, 만곡부(355C)의 둘레부로부터 연장하고 베이스부(355A)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사부(355D)와, 경사부(355D)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355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정지 부재(355)의 베이스부(355A), 볼록부(355B), 만곡부(355C), 경사부(355D), 돌기부(355E)는 수지에 의해 일체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 정지 부재(355)는 경사부(355D)가 만곡부(355C)를 통하여 베이스부(355A) 측 방향으로, 즉 도시하는 화살표 α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차단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드(350)의 회전부(353)는 시트 본체(310)의 좌석부(311B)의 앞 둘레에 오목하게 설치된 수용부(3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도 6은 시트 본체(310)의 좌석부(311B)의 앞 둘레에 오목하게 설치된 수용부(360)의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수용부(360)는 단면 반원호 형상의 만곡부(361)와 그 양측에 설치된 측벽(362, 362)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만곡부(361)와 측벽(362, 362)으로 획성되는 영역에 가드(350)의 회전부(353)가 수용된다. 수용부(360)의 각 측벽(362, 362)에는 축(354)을 끼워 넣는 관통 구멍(363)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360)의 만곡부(361)에는 등받이부(311A) 근방의 위치에 회전 정지 부재(355)의 돌기부(355E)가 끼워 넣어지는 잠금 홈(365)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만곡부(361)에는 잠금 홈(365)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회전 정지 부재(355)의 돌기부(355E)보다도 폭 넓게 형성된 오목부(367)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용부(360)에 가드(350)의 회전부(353)가 공통의 축(354)에 의해 지지되고, 가드(350)가 요동 가능하게 시트 본체(310)에 지지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10)의 다른 특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드(350)에는 벨트(380)를 잠그는 벨트 잠금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가드(35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가드(350)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드(350)의 배맞닿음부(351)에는 전방에 개방된 잠금 기구 수용 오목부(3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기구 수용 오목부(356)는 그 개구 둘레 형상과 같은 형상의 윤곽을 갖는 리드(357)에 의해 폐색되도 록 되어 있다. 이 잠금 기구 수용 오목부(356)와 리드(357)에 의해 공간(S’)이 획성되고, 이 공간(S’) 내에 벨트 잠금 기구(400)가 내장되어 있다.
잠금 기구 수용 오목부(356)에는 벨트(380)를 삽입 통과하는 삽입 통과 구멍(356A, 356B)이 1쌍, 소정 간격을 두고 개설되어 있으며, 리드(357)에는 벨트 인출용의 세로로 긴 슬릿(357A)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38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기구 수용 오목부(356) 측으로부터 일단(一端)이 한쪽의 삽입 통과 구멍(356A)을 통하여 배맞닿음부(351)의 뒤쪽으로 인출되고, 벨트(380)의 타단(他端)도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삽입 통과 구멍(356B)을 통하여 배맞닿음부(351)의 뒤쪽으로 인출되어 있다. 벨트(380)의 각 단부는 수용부(311)의 등받이부(311A)에 고정되어 있다.
공간(S’) 내에 있어서, 벨트(380)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벨트 잠금 기구(400)를 통하여, 그 일부분이 리드(357)의 슬릿(357A)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고, 슬릿(357A)으로부터 인출된 벨트 부위에는 손잡이(358)가 부착되어 있다. 이 손잡이(358)를 잡고 바깥 방향으로 당기면, 가드(350)와 등받이부(311A) 사이의 벨트(380)가 가드(350) 내에 인입되어, 가드(350)와 등받이부(311A) 사이의 벨트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있다. 가드(350)와 등받이부(311A) 사이의 벨트 길이는 잠금 기구 수용 오목부(356) 내에 수용되어 있는 벨트 잠금 기구(400)에 의해, 조절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벨트 잠금 기구(400)에 의해 벨트(380)가 잠겨 있을 때는, 손잡이(358)를 잡고 당겨도, 가드(350)와 등받이부(311A) 사이의 벨트 길이를 용이하게 짧게 하거나 또는 반대로 그들 사이의 벨트 길이를 용이하게 길게 할 수도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잠금 기구(4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벨트 잠금 기구(40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와, 베이스 플레이트(4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부재(420)와, 회동 부재(420)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43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가로로 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벨트 삽입 통과용으로 세로로 길게 형성된 슬릿(411)과, 이 슬릿(411)에 인접하여 플레이트 표면으로부터 거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팽창 돌출하여 회동 부재(4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12)와, 이 지지부(412)에 대하여 슬릿(411)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위치에서 플레이트 표면으로부터 팽창 돌출하여 슬릿(411)의 둘레로부터 슬릿(411)으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높아지는 경사면(413A)을 갖는 경사부(41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412)와 경사부(413)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4개의 코너에는 리드(357)의 내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연결용 제 1 볼록부(357B)를 수용하는 수용부(4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각 수용부(414)의 반대 측으로부터는 잠금 기구 수용 오목부(356)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부착 구멍(356C)에 끼워 넣는 제 2 볼록부(4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볼록부(357B), 수용부(414), 베이스 플레이트 부착 구멍(356C), 제 2 볼록부(415)에는, 예를 들어 가드(350)의 배맞닿음부(351) 이면으로부터 연통하는 나 사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그들에 나사(도시 생략)를 결합시킴으로써, 벨트 잠금 기구(400)가 잠금 기구 수용 오목부(356)와 리드(357)로 획성된 공간(S’) 내에서 고정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412)에는, 상면과 하면에, 후술하는 회동 부재(420)의 축(42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용부(4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지지부(412)에 인접한 플레이트 표면에는 탄성 부재(430)의 위치를 규제하는 고리 형상으로 돌출한 위치 결정부(416)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 부재(420)는 사각형의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한쪽 세로테두리부(421)의 표면에는 돌출부(421A)가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다른쪽 세로 테두리부(422)의 이면에는 단면 반원 형상의 마찰부(422A)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회동 부재(420)의 상하의 각 가로 테두리부(423, 424)의 안쪽 둘레면에는 회동 부재(420)의 회동 중심으로 되는 1쌍의 축(425)이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동 부재(420)는 그 1쌍의 축(425)이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지지부(412)에 형성된 베어링용부(412A)에 끼워 넣음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부착된다. 회동 부재(420)가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부착되면, 회동 부재(420)의 마찰부(422A)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지지부(412)와 경사부(413) 사이의 공간(P) 내에 배열 설치된다. 또한, 회동 부재(420)의 회동에 의해, 마찰부(422A)가 슬릿(411)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간되도록 공간(P) 내를 이동한다.
이와 같이, 회동 가능하게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지지된 회동 부재(420)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430)가 위치 결정부(416)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부(416)는 회동 부재(420)의 돌출부(421A) 뒤쪽에 대응한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 부재(430)는 회동 부재(420)와 베이스 플레이트(410) 사이에 삽입된다.
탄성 부재(430)는 도시하는 예에서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이며, 이 스프링은 자연 길이보다도 압축한 상태에서 회동 부재(420)와 베이스 플레이트(410)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430)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압축하면 그것에 반발하여 신장(伸張)하는 방향으로 반작용이 생기는 것이면, 탄성 부재(430)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회동 부재(420)는 탄성 부재(430)에 의해 축(425)을 중심으로 하여 돌출부(421A) 측이 외측으로 항상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421A)가 탄성 부재(430)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항상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이 버튼을 누름으로써, 회동 부재(420)가 축(425) 주위로 회동하고, 마찰부(422A)가 슬릿(411)으로부터 멀어지고, 마찰부(422A)와 슬릿(411)의 간격이 확대 개방된다. 또한, 경사부(413)의 경사면(413A)은 마찰부(422A)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그 경사 각도가 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벨트 잠금 기구(40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와, 회동 부재(420)와, 탄성 부재(430)를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4개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414)와 제 2 볼록부(415)를 그들에 끼워 맞추는 제 1 볼록부(357B)와 베이스 플레이트 부착 구멍(356C)에 끼워 맞 추고, 또한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연결시킴으로써, 벨트 잠금 기구(400)는 잠금 기구 수용 오목부(356)와 리드(357)로 획성되는 공간(S’) 내에 고정된다. 또한, 벨트 잠금 기구(400)의 버튼으로서 기능하는 돌출부(421A)가 가드 표면에 나타나도록 리드(357)에는 돌출부용 윈도부(357C)가 개설되어 있다.
공간(S’) 내에 벨트 잠금 기구(400)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동 부재(420)의 돌출부(421A)를 누름으로써, 마찰부(422A)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슬릿(411) 사이에 공극(空隙)이 생기지만, 회동 부재(420)가 탄성 부재(430)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통상 상태에서는, 마찰부(422A)가 슬릿(411) 및 그것에 인접한 지지부(412) 및 경사부(413)의 면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잠금 기구(400) 내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뒤쪽으로부터 슬릿(411)을 통하고 리드(357) 측으로 인출된 벨트(358)는, 마찰부(422A)와 지지부(412) 및 경사부(413)의 면 사이를 통과하여 리드(357)의 슬릿(357A)에 안내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 잠금 기구(400)를 구성함으로써, 회동 부재(420)가 탄성 부재(430)로부터 가압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회동 부재(420)의 마찰부(422A)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슬릿(411)에 근접하고, 즉 마찰부(422A)가 슬릿(411)에 인접한 지지부(412) 및 경사부(413)에 꽉 눌려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 잠금 기구(400) 내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뒤쪽으로부터 슬릿(411)을 통하고 리드(357) 측으로 인출된 벨트(358)는 마찰부(422A)와 슬릿(411)에 인접한 지지부(412) 및 경사부(413)에 견고하게 끼워져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357A)를 잡고 외측으로 잡아당겨도 마찰부(422A)와 슬릿(411)에 인접한 지지부(412) 및 경사부(413)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벨트(380)는 잠겨 있고, 용이하게 외측으로 인출할 수는 없다. 환언하면, 마찰부(422A)가 회동 부재의 동작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가동 마찰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지지부(412) 및 경사부(413)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고정적으로 배열 설치된 고정 마찰부로서 기능하고, 슬릿(411)으로부터 리드(357) 측으로 인출된 벨트(380)는 가동 마찰부가 고정 마찰부에 꽉 눌려짐으로써, 가동 마찰부와 고정 마찰부 사이에 끼워져 잠기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쇼핑 카트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어린이를 차일드 시트(300)에 앉힐 경우를 예로, 본 발명의 구성 부재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드(350)가 등받이부(311A) 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어린이를 차일드 시트(300)의 좌석부(311B)에 앉힐 경우에는, 우선, 가드(350)의 버튼, 즉 회동 부재(420)의 돌출부(422A)를 누르고, 마찰부(422A)를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슬릿(411)으로부터 잡아 당겨, 벨트(380)의 잠금을 해제한다.
버튼을 누르면서, 가드(350)를 전방(前方)으로 누르고, 가드(350)가 회전축(354) 주위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가드(350)의 회전부(353) 자체에 축(354) 주위로 회전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 때, 수용부(360)의 오목부(367) 내에 들어가 있던 회전 정지 부재(355)의 돌기부(355E)가 오목부(367)의 벽면에 닿고, 또한 회전부(353)가 회전하려고 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함으로써 회전 정지 부재(355)의 돌기부(355E)가 축(354) 측을 향하여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 정지 부재(355)가 차단하게 되고, 또한 가드(350)를 앞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회전부(353)가 회전한다. 회전부(353)의 회전에 따라 가드(350)가 회동하고, 가드(350)의 배맞닿음부(351)의 이동에 따라 가드(350)의 리드(357)의 슬릿(357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있던 벨트(380)가 가드(350) 내부에 인입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가드(350)와 등받이부(311A) 사이의 벨트 길이가 연장되게 된다.
회전부(353)의 회전에 따라, 회전 정지 부재(355)의 돌기부(355E)는 시트 본체(310) 수용부(360)의 만곡부(361)를 슬라이딩한다. 또한, 회전부(353)가 회전하고, 회전 정지 부재(355)의 돌기부(355E)가 잠금 홈(365) 위에 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355E)가 잠금 홈(365)에 끼워 넣어진다.
돌기부(355E)가 잠금 홈(365)에 들어간 상태가 되면, 가드(350)가 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그 자세가 유지된다. 즉, 가드(3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시트 본체(310)와 가드(350) 사이를 확대 개방시켰을 때에, 돌기부(355E)가 잠금 홈(365)에 들어간 상태에서 잠기게 되고, 전방으로 이동시킨 가드(350)는 그 위치에서 자세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시트 본체(310)와 가드(350) 사이가 확대 개방된 상태에서, 어린이를 차일드 시트(300)의 좌석부(311B)에 앉힌다.
다음으로, 어린이를 보호하는 가드(350)를 원하는 사용 위치에 설정할 경우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석부(311B)에 어린이를 앉히면, 도 11에 나타내는 가드(350)를 상기 조작 과 반대로, 등받이부(311A)로 기울도록 가드(350)에 힘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가드(350)의 회전부(353) 자체에 축(354) 주위로 회전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 때, 수용부(360)의 잠금 홈(365)에 들어 있던 회전 정지 부재(355)의 돌기부(355E)가 잠금 홈(365)의 벽면에 닿고, 또한 회전부(353)가 회전하려고 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함으로써, 회전 정지 부재(355)의 돌기부(355E)가 축(354) 측을 향하여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 정지 부재(355)가 차단하게 되고, 또한 가드(350)를 등받이부(311A) 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회전부(353)가 회전한다.
회전부(353)의 회전에 따라, 회전 정지 부재(355)의 돌기부(355E)는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360)의 만곡부(361)를 슬라이딩한다. 또한, 회전부(353)가 회전하고, 회전 정지 부재(355)의 돌기부(355E)가 오목부(367) 위에 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355E)가 오목부(367)에 들어간다.
그리고, 예를 들어 가드(350)의 배맞닿음부(351)를 어린이의 복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가드(350)의 버튼을 누르고, 벨트(380)의 잠금을 해제한다. 벨트(380)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손잡이(358)를 잡고 바깥쪽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것에 의해, 가드(350)와 등받이부(311A) 사이의 벨트(380)를 가드(350) 내에 인입하는 동시에, 리드(357)의 슬릿(357A)으로부터 인출한다.
그 후, 가드(350)와 등받이부(311A) 사이의 벨트 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조절하면, 손잡이(358)를 잡아당기는 것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버튼의 누름도 해제한다. 버튼의 누름 동작을 정지시키면, 회동 부재(420)에 탄성 부재(430)의 가압력 이 작용하고, 회동 부재(420)의 마찰부(422A)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슬릿(411)에 근접한다.
즉, 마찰부(422A)(가동 마찰부)가 상기 슬릿(411)에 인접한 지지부(412) 및 경사부(413)(고정 마찰부)에 꽉 눌러진다. 이것에 의해, 벨트 잠금 기구(400) 내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뒤쪽으로부터 슬릿(411)을 통하고 리드(357) 측에 인출된 벨트(358)는 마찰부(422A)(가동 마찰부)와 슬릿(411)에 인접한 지지부(412) 및 경사부(413)(고정 마찰부)에 견고하게 끼워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손잡이(357A)를 잡고 외측으로 잡아당겨도, 벨트(380)는 마찰부(422A)(가동 마찰부)와 슬릿(411)에 인접한 지지부(412) 및 경사부(413)(고정 마찰부)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잠겨 있고, 용이하게 외측으로 인출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벨트(380)를 잠금으로써 어린이를 차일드 시트(300)에 착석시키는 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잠금 기구(400)에서는, 간소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가드(350) 사용 시에 있어서의 벨트(380)의 인출을 규제하고, 조절한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벨트 잠금 기구(400)는, 도 13에 나타내는 종래의 벨트 잠금 기구(60)와 비교하여, 품질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구성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벨트 잠금 기구(400)는 조립도 간단하기 때문에, 도 13에 나타내는 복잡한 벨트 잠금 기구(60)와 상이하고, 제조 작업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벨트 잠금 기구가 적용되는 쇼핑 카트의 구조는 상기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가드 회전 잠금 기구가 리클라이닝 기구를 구비한 차일드 시트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리클라이닝 기구의 유무(有無)를 묻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차일드 시트(300)의 수용부(311)를 덮는 커버(312)도 임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벨트 잠금 기구는 쇼핑 카트에 장비(裝備)한 차일드 시트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벨트 잠금 기구는 유모차의 시트와 그것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가드에 적용할 수 있고, 자동차에 탑재하여 탑승한 어린이가 앉는 차일드 시트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에서 사용하는 어린이용 높은 의자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18에 의해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10)의 기본 구성을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10)에 있어서는, 시트 본체(310)의 등받이부(311A)로의 헤드 서포트(370)의 부착 구조의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시트 본체(310) 및 헤드 서포트(37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시트 본체(310)의 X부분의 확대도,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헤드 서포트(370)의 Y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 중의 Fr은 시트 본체(310) 전방을, Up은 위쪽을, W는 시트 본체의 가로 폭 방향을 나타낸다.
차일드 시트(300)의 시트 본체(310)에 있어서, 수용부(311)의 등받이부(311A)는 수용하는 어린이의 몸통이나 머리를 지지하도록 수용 공간(S)이 획성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311)의 등받이부(311A)에는 헤드 서포트(370)를 장착하는 영역(313)(이하, 「헤드 서포트 영역」이라고 함.)의 바깥 둘레 전체에 삽입 오목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오목부(314)에는 간격을 두고, 바람직하게는 동일 간격으로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31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오목부(314)가 내측벽부(314A)와 외측벽부(314B)와 홈저부(底部)(314C)로 형성되고, 홈저부(314C)를 부분적으로 노치(notch)하여 걸어 맞춤 구멍(3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 오목부(314)에서 걸어 맞춤 구멍(315)이 형성되어 있는 개소는 외측벽부(314B)의 홈저부측을 부분적으로 노치하여 고정부(316)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16)는 도시한 형태에 한하지 않고, 내측벽부(314A)를 부분적으로 노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316)는 내측벽부(314A)와 외측벽부(314B) 중 어느 한쪽 뿐만 아니라, 걸어 맞춤 구멍 1개 간격으로 내측벽부(314A) 및 외측벽부(314B)의 쌍방에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헤드 서포트(370)는 장착되는 수용부(311)의 등받이부(311A)의 헤드 서포트 영역(313)의 형상, 즉 거의 만곡(彎曲) 형상으로 따르도록 거의 배(舟) 형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 서포트(370)의 바깥 둘레부(371)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으로 매끄럽게 돌출되고, 헤드 서포트(370)의 뒤쪽에 얕은 오목 공간(370A)을 획성하고 있다. 바깥 둘레부(371)에는 헤드 서포트(370)의 바깥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으로, 걸어 맞춤 돌기부(372)가 외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깥 둘레부(371)에 설치하는 걸어 맞춤 돌기부(372)의 위치는, 수용부(311)의 삽입 오목부(314)에 형성된 걸어 맞춤 구멍(315)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헤드 서포트(370)의 걸어 맞춤 돌기부(372)의 선단부는 클로(claw) 형상으로 고리부(37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 서포트(370)의 바깥 둘레부(371)는 시트 본체(310)에 형성된 삽입 오목부(314)에 삽입되지만, 고리부(372A)는 삽입 오목부(314)에 형성된 대응하는 고정부(316)의 방향, 즉 삽입 오목부(314)를 형성하는 내측벽부(314A) 및 외측벽부(314B)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헤드 서포트(370)의 소재에는, 예를 들어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 수지(EVA)와 같은 탄력이 있는 연질 수지가 사용된다. 또한, 헤드 서포트(370)는 바깥 둘레부(371)에 걸어 맞춤 돌기부(372)를 구비하도록, 통상의 형성법, 예를 들어 가열에 의해 유동(流動)한 수지를 금형 내부에 사출(射出)하여 금형으로 냉각하여 성형품을 얻는 소위 잉크젯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헤드 서포트(370)는 종래와 같은 합성 피혁으로 제작된 표피재에 비해 오염물을 제거하기 쉽고, 또한 걸어 맞춤 돌기부(372)와 일체 성형할 수 있고, 제조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시트 본체(310) 및 헤드 서포트(370)가 구성되고, 시트 본체(310)에 헤드 서포트(370)가 부착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특징인 헤드 서포트(370)의 시트 본체(310)로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부착 구조의 Z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310)의 헤드 서포트 영역(313)에 소정 두께의 쿠션재(340)를 사이에 삽입하고 헤드 서포트(370)를 부착한다. 쿠션재(340)는 헤드 서포트(370)의 오목 공간(370A)에 수용된다. 이 때, 헤드 서포트(370)의 바깥 둘레부(371)를 시트 본체(310)의 삽입 오목부(314)에 삽입하고, 헤드 서포트(370)의 바깥 둘레부 선단에 형성된 걸어 맞춤 돌기부(372)가 시트 본체(310)의 삽입 오목부(314)에 형성된 걸어 맞춤 구멍(315)에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헤드 서포트 측의 걸어 맞춤 돌기부(372)의 고리부(372A)가 시트 본체 측의 외측벽부(314B)의 고정부(316)에 걸림으로써, 헤드 서포트(370)가 시트 본체(310)에 부착된다.
여기서, 헤드 서포트(370)의 부착 시에는, 쿠션재(340)의 이면에 양면 테이프 등으로 시트 본체(310)에 임시 고정시킴으로써, 쿠션재(340)가 오목한 공간(370A)으로부터 탈락하지 않고, 시트 본체(310)와 헤드 서포트(370) 사이에 쿠션재(340)를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시트 본체(310)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311A)의 상부에 종횡의 격자(317)가 형성되고, 시트 본체(310)와 헤드 서포트(370) 사이에 끼워지는 쿠션재(340)의 습기 등을 자연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이외에, 시 트 본체(310)로부터 헤드 서포트(370)를 제거할 때에도 격자 구멍이 이용된다. 또한, 시트 본체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히 리브(318)가 형성되어 강도가 보강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시트 본체(310)의 헤드 서포트 영역(313)의 바깥 둘레에 걸어 맞춤 구멍(315)을 설치하고, 헤드 서포트(370)의 바깥 둘레부(371)에 간격을 두고 걸어 맞춤 돌기부(372)를 설치하고, 시트 본체(310)와 헤드 서포트(370) 사이에 쿠션재(340)를 끼우고, 시트 본체 측의 걸어 맞춤 구멍(315)에 헤드 서포트(370)의 걸어 맞춤 돌기부(372)를 끼워 맞춰서 고정부(316)가 헤드 서포트(370)의 고리부(372A)를 고정시킴으로써, 시트 본체(310)에 헤드 서포트(370)가 부착된다.
따라서, 종래 예와 같이, 미리 기재(基材)와 표피재 사이에 쿠션재를 끼워 연결하여 헤드 서포트부를 구성할 필요는 없다. 헤드 서포트부의 기재도 불필요하게 되고, 헤드 서포트부의 구성 부재가 적어진다. 또한, 헤드 서포트의 소재로서 합성 가죽을 사용하지 않고,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 수지와 같은 연질 수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목 공간(370A)을 획성하는 바깥 둘레부(371)나 걸어 맞춤 돌기부(372)를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등의 성형법에 의해 용이하게 일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에 드는 비용을 삭감할 수도 있다.
또한, 헤드 서포트(370)와 쿠션재(340)는 필연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헤드 서포트(370) 및 쿠션재(340) 중 어느 한쪽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서포트(370)가 연질수지제이기 때문에 마모되기 어렵고, 부착된 오염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클리닝 등의 청소성 등의 메인터넌스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차일드 시트(300)의 시트 본체(310)에 삽입 오목부(314)가 헤드 서포트(370)의 바깥 둘레부(371)가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삽입 오목부(314)를 형성하는 내측벽부(314A) 및 외측벽부(314B)가 헤드 서포트(370)의 바깥 둘레부(371)를 끼워 유지한다. 따라서, 헤드 서포트(370)와 시트 본체(310)의 등받이부(311A) 표면 사이에 극간(隙間)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헤드 서포트(370)가 시트 본체(3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쇼핑 카트(10)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쇼핑 카트는 쇼핑 왜건(wagon)이라고도 불리고, 적절히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카 시트에 장착되는 소위 차일드 시트, 베이비카, 베이비 보행기, 하우징랙 등의 어린이용 좌석뿐만 아니라, 아동용, 학생용이나 대인용 좌석에 대한 헤드 서포트의 부착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적용에 따라, 쿠션재를 두껍게 하기 위해서 시트 본체의 삽입 오목부의 내측에 쿠션재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 부분을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도 19 내지 도 29에 의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쇼핑 카트(10)의 기본 구성을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는 카트 본체(100)에 의해 형성된 지지 프레임(140)에 의한 시트 본체(310)의 지지구조 및 시트 본체(310)를 회동시키고 단계적으로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리 클라이닝 기구라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을 나타내는, 카트 본체(100)에 의해 구성된 지지 프레임(140)으로의 시트 본체(310)의 부착 구조와, 시트 본체(310)를 회동시켜 단계적으로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도 4에 나타내는 쇼핑 카트(10)의 커버(312)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背面)도가 도 19에 상당한다. 도 20은 카트 본체(100)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140)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지지 프레임(140)에 탑재 배치되는 시트 본체(310)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는 회동 베어링 부재(530)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9에 나타내는 리클라이닝 로드(5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지지 프레임(140)에 대한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에 거의 상당한다.
시트 본체(31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0)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지지 프레임(120) 중 전방 위쪽에 경사진 각 제 1 경사 봉재(122L, 122R)의 상단(上端)을 연결한 제 2 연결 봉재(123)와, 이 제 2 연결 봉재(123)에 근접한 후방 위치에서 핸들 프레임(130)의 제 2 경사 봉재(132R, 132L)와 제 3 경사 봉재(133R, 133L)로 형성되는 좌우 모서리끼리를 가설(架設)하는 제 3 가로 걸림재(135)와, 시트 지지 프레임(120)의 제 2 연결 봉재(123)에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설 치된 좌우 1쌍의 브래킷(141L, 141R)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1쌍의 브래킷(141L, 141R)은 시트 지지 프레임(120)의 제 2 연결 봉재(123)와 핸드 프레임(130)에 가설된 제 3 가로 걸림재(135)에 걸쳐 배치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브래킷(141L, 141R)에는 그 하단부가 U자 형상으로 노치되어 하단 오목부(141A)가 형성되고, 상단부가 거의 「へ」 형상으로 노치되어 전측 위쪽에 경사진 전측 경사부(141B)와 후측 위쪽에 경사진 후측 경사부(141C)가 형성되고, 전측 경사부(141B)와 후측 경사부(141C) 사이에 U자 형상으로 노치하여 상단 수용부(141D)가 형성되어 있다. 각 브래킷(141L, 141R)에는 후술하는 회동 베어링 부재(530)와 볼트 체결로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 삽입 통과 구멍(141E)이 소정 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브래킷(141L, 141R)은 카트 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하단 오목부(141A)가 시트 지지 프레임(120)의 제 2 연결 봉재(123)에 고정되고, 하단 후부(141F)가 핸드 프레임(130)의 좌우 모서리끼리를 가설하는 제 3 가로 걸림재(135)에 고정된다. 여기서, 각 브래킷(141L, 141R)은 하단 오목부(141A)가 제 2 연결 봉재(123)와 용접되고, 하단 후부(141F)가 제 3 가로 걸림재(135)와 용접되고, 카트 본체(100)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지지 프레임(140)은 시트 지지 프레임(120)의 제 2 연결 봉재(123)와 핸드 프레임(130)에 가설된 제 3 가로 걸림재(135)가 병설되고, 제 2 연결 봉재(123)와 제 3 가로 걸림재(135) 사이에, 카트 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 브래킷(141L, 141R)이 고정되고, 각 브래킷(141L, 141R)의 상단부가 오목 부분을 갖는 상단 수용부(141D)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상단 수용부(141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 본체(310)의 이면 하단부에 시트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여 배치되는 회동 축 부재(520)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한편, 시트 본체(310)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린이를 수용하는 수용부(311)와, 수용부(311)의 배면을 덮는 커버(312)로 구성된다. 수용부(311)는 어린이의 두부나 몸통을 후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등받이부(311A)와, 어린이를 착석시키는 좌석부(311B)와, 등받이부(311A) 및 좌석부(311B)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세워 설치하여 어린이의 좌우 이동을 구속하는 측벽부(311D)를 구비한다(도 24 참조). 좌석부(311B)의 전측에는, 허벅다리 닿음 가드부(350)를 시트 본체(310)에 부착하기 위한 수용부(311E)가 형성되고, 일단 전측으로 연장하여 만곡하여 후방으로 연장 설치되고 커버(312)의 하단 수용부(311F)가 형성된다. 측벽부(311D)는 수평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석부(311B)와 함께 후측 및 저측(底側)에 공동(空洞)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공동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311)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 축 부재(520)나 회동 축 부재(520)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회동 베어링 부재(530(530L,530R))를 수용한다.
회동 베어링 부재(530)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개 원반 형상이며, 하단부 전측에는 역U자 형상으로 노치하여 형성된 오목부(531)를 가지며, 하단 후부에는 모서리 형상으로 노치하여 형성된 노치부(532)를 갖고 있다. 여기서, 오목부(531)는 경사진 위쪽으로 경사진 전후 경사면(531A, 531B)에 의해 형성되고, 회 동 베어링 부재(530)가 지지 프레임(120)으로의 탑재 배치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쪽, 회동 베어링 부재(530)의 상단부에는 바깥 둘레부에 복수의 홈부(533A, 533B, 533C)를 갖고 있다. 여기서, 복수의 홈부 중 최전측 홈부(533A)의 전측 벽면(533D) 및 최후측 홈부(533C)의 후측벽(533E)이, 그 이외의 홈부(533B)의 전후측 벽(533F)과 비교하여 높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홈부(533A∼533C) 중 어느 하나에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갈고리부(540A)를 걸어 맞춤으로써 리클라이닝 로드(540)가 잠기지만, 갈고리부(540A)에 연결된 조작 와이어(600)의 조작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어도, 조작 와이어(600)의 되돌아감으로 어느 하나의 홈부에 다시 걸어 맞추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 회동 베어링 부재(530)의 홈부의 수나 크기에 따라 시트 본체(310)의 경사 각도의 수나 각도 범위가 결정된다. 또한, 회동 베어링 부재(530)에는 회동 축 부재(520)의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축부(534)와, 지지 프레임(140)의 브래킷(141L, 141R)과 나사 고정을 위한 소정 수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535)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534)는, 예를 들어 베어링을 이용하여 회동 축 부재(520)를 회동하기 쉽게 할 수도 있다.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311) 중 좌석부(311B)의 하측 이면에는,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대칭으로 1쌍의 삽입 통과 구멍을 갖는 좌우 브래킷(513L, 513R)과, 각 브래킷의 내측에 복수의 서브 브래킷(514L, 514R)이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용부(311)의 등받이부(311A)의 이면에는,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하는 어린이의 요부(腰部)와 대치하는 영역에, 후측이 개구된 수용부(515)가 복수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 (311A)의 이면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311D)의 이면에 후술하는 조작 와이어(600)를 삽입 통과한 관체(管體)(610)의 하단부를 걸어 맞추는 제 1 고정부(516L, 516R)와, 등받이부(311A)의 상부 이면에 조작 와이어(600)를 삽입 통과한 관체(610)의 상단부를 걸어 맞추는 제 2 고정부(517L, 517R)가 각각 좌우 1쌍 설치되고, 또한 제 2 고정부(517L, 517R)의 위쪽에 조작 와이어(600)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 레버용 1쌍의 브래킷(518L, 518R)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부(311B)의 하측 이면에 설치되는 좌우 브래킷(513L, 513R) 및 그 내측에 설치되는 서브 브래킷(514L, 514R), 등받이부의 이면에 설치되는 수용부(515)나 제 1 및 제 2 고정부(516L, 516R 및 517L, 517R)나 조작 레버용 1쌍의 브래킷(518L, 518R)은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뒤쪽에 형성되는 보강용 리브(519) 등과 함께 수용부(311)와 함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형성된다.
한편,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에 일단(一端)이 걸어 맞춰져,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이면을 지지하는 리클라이닝 로드(540)는, 도 19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좌우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그 양단부가 동일 수평면에서 전측으로 조금 경사진 후측 봉재(541)와, 후측 봉재(541)의 좌단으로부터 접어 구부려 전측으로 연장 설치한 좌측 봉재(542L)와, 후측 봉재(541)의 우단으로부터 접어 구부려 좌측 봉재(542L)와 병행(竝行)이 되도록 전측으로 연장 설치한 우측 봉재(542R)와, 좌우 1쌍의 측봉재(542L, 542R)의 전단(前端)으로부터 후측 봉재(541)의 중앙부와 병행이 되도록 내측으로 연장 설치하여 내측 단부에 플랜지(flange)(b543)를 갖는 좌우 1쌍의 전측 봉재(344L, 344R)로 구성된다. 즉, 리클 라이닝 로드(540)의 양단부를 コ 형상으로 형성하고 전측 봉재(544L, 544R)에 의한 갈고리부(540A, 540A)를 갖고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311), 회동 축 부재(520),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 및 리클라이닝 로드(540)가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시트 지지 프레임(120)과 핸드 프레임(130)에 가설된 제 3 가로 걸림재(135)로 구성된 지지 프레임(140)에 대하여,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311)가 회동 축 부재(520), 회동 베어링 부재(530) 및 리클라이닝 로드(540)에 의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해서 하기(下記)에 설명한다.
우선,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311)로의 회동 축 부재(520) 및 회동 베어링 부재(530)의 조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좌석부 하측 이면에 설치된 좌우 브래킷(513L, 513R)의 삽입 통과 구멍과, 각 브래킷(513L, 513R)의 내측에 설치된 1개 이상의 서브 브래킷(514L, 514R)의 오목부에 대하여, 봉 형상의 회동 축 부재(520)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 축 부재(520)의 양단부에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축 부재(530L, 530R) 중,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좌우 브래킷(513L, 513R)의 삽입 통과 구멍 및 1개 이상의 서브 브래킷(514L, 514R)의 오목부와 접촉하는 좌우 양단부에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관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원통체(521L, 521R, 522L, 522R)가 끼워 맞춰지고, 각 브래킷(513L, 513R)의 삽입 통과 구멍 및 각 서브 브래킷(524L, 524R)의 오목부에 끼워 삽입된다. 외측의 탄성 원통체(522L, 522R)는 내측의 탄성 원통체(521L, 522R)보다 외경(外徑)이 크고 회동 축 부재 폭의 위치 결정도 겸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311)가 회동 축 부재(520)의 회동에 따라 회동한다. 회동 축 부재(520)의 양단부에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지지 프레임(140)에 대한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는 도 19에 나타내는 우측의 회동 베어링 부재(530R) 근방을 후방 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6은 도 19에 나타내는 우측의 회동 베어링 부재(530R) 근방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뒤쪽에 커버(312)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우측의 회동 베어링 부재(530R) 근방을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8은 그 회동 베어링 부재(530R) 근방을 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금,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이면 하단부에 시트 본체(310)의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여 회동 축 부재(520)가 배치되고, 또한 회동 축 부재(520)의 양단부에 좌우 1쌍의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가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 1쌍의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가 지지 프레임(140)을 구성하는 시트 지지 프레임(120)의 제 2 연결 봉재(123) 및 핸드 프레임(130)의 코너 사이에 가설된 제 3 가로 걸림재(135)에 걸쳐져 있다. 이 때, 지지 프레임(120)은 제 2 연결 봉재(123) 및 제 3 가로 걸림재(135)에 좌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1쌍의 브래킷(141L, 141R)이 고착(固着)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브래킷(141L, 141R)의 좌우 외측으로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가 배치된다. 각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의 하단 후부에 모서리 형상으로 노치하여 형성된 노 치부(532)가 핸들 프레임(130)의 코너 사이에 가설된 제 3 가로 걸림재(135)에 전측으로부터 맞닿는 동시에, 각 회동 베어링 부재(530, 530)의 하단부 전측에 형성된 오목부(531)가 시트 지지 프레임(120)의 제 2 연결 봉재(123)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걸어 맞춰진다. 여기서,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와 지지 프레임(140)의 브래킷(141L, 141R)에 각각 형성된 나사 삽입 통과 구멍(535, 141E)끼리가 합쳐지고, 각 나사 삽입 통과 구멍에 볼트(145)가 삽입 통과되어, 나사(146)로 내측으로부터 단단히 죄어진다. 이 체결에 의해,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를 삽입시키고 지지 프레임(140)에 대하여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311)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도 25 및 도 2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1쌍의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에 형성된 홈부(533A∼533C)에 대하여,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각 전측 봉재(534L, 534R)인 갈고리부(540A)가 위쪽으로부터 삽입되고,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후측 봉재(541)에 대하여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 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각 수용부(515)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이 때,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갈고리부(540A)와 회동 축 부재(520) 사이에, 좌우 1쌍의 탄성체로서의 코일 스프링(620)이 걸쳐져 있다. 코일 스프링(620)의 하단 훅(620A)이 회전축 부재(520)에 걸쳐지고, 코일 스프링(620)의 상단 훅(620B)이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갈고리부(540A)의 플랜지면 근방 내측에 걸쳐진다. 이것에 의해,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1쌍의 갈고리부(540A)가 회동 베어링 부재(530)의 1개의 홈부(53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이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시트 본체(310)의 부착 구조는 우선 수용부(311)의 이면 하단부에 수용부(311)의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여 배치되는 회동 축 부재(520)와, 이 축 부재(520)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1쌍의 회동 베어링 부재(530)와, 회동 축 부재(520)보다 후방 경사진 위쪽 위치에 수용부(311)의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리클라이닝 로드(540)를 구비한다. 수용부(511)의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도록 배치한 시트 지지 프레임(120)에 각 회동 베어링 부재(530)의 오목부(531)를 걸어 맞추고 회동 베어링 부재(530)를 시트 지지 프레임(120)에 탑재 배치한다.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좌우 갈고리부(540A, 540A)를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의 홈부(533)에 걸어 맞추고, 각 갈고리부(540A)와 회동 축 부재(530) 사이에 탄성체로서의 코일 스프링(620)를 삽입함으로써, 시트 본체(310)의 이면에 리클라이닝 로드(540)가 맞닿고,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회동을 정지시켜 시트 본체(540)를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310)의 경사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를 삽입시키고 지지 프레임(140)으로의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부착과 함께,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311)가 기정(旣定) 경사 각도를 유지하여 지지 프레임(140)에 부착된다.
또한, 도 19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311) 이면에는 소정 위치에 커버(312)를 장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630)이나 수용부(6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부(311)의 이면에 커버(312)를 끼우고 나사 고정에 의해, 커버(312)를 수용부(311)에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27이나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시트 지지 프레임(120)으로의 부착이나 리클라이닝 기구를 위한 각종 부품, 특히 리클라이닝 로드(540)나 조작 와이어(600)나 회동 축 부재(520) 등을 수용부(311)와 커버(312) 사이에 감출 수 있고, 구동부나 회동 부분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쇼핑 카트로서의 상품 가치가 높고, 보다 안전에 도움이 된다.
이상과 같은 지지 프레임(140)으로의 시트 본체(310)의 부착 구조에 대하여, 시트 본체(310)의 경사 각도 조정을 하는 리클라이닝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동 베어링 부재(330)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홈부(533)를 갖는다. 또한, 도 19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1쌍의 코일 스프링(620)의 상단 훅(620B)에 대하여 조작 와이어(600)의 하단이 접속되고,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 이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부(516L, 516R 및 517L, 517R)를 통하여,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이면 상단부에 형성된 조작 레버용 1쌍의 플랜지(518L, 518R)에 장착된 조작 레버(390)의 좌우 하단부에 조작 와이어(600)의 상단이 연결된다.
도 29는 조작 와이어(600)의 부착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에서는 좌우 1쌍의 조작 와이어(600) 중 우측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좌측도 동일하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600)는 조작 레버(390)에 접속되는 상단부와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갈고리부(540A)에 연결되는 하단부를 제외하고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이면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 1 고정부(516L, 516R) 및 제 2 고정부(517L, 517R) 사이에서 가옹성(可擁性)의 통체(筒體)(610)에 삽입 통과된다. 조작 와이어(600) 하단부는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갈고리부(540A)에 연결되고, 구(球) 형상으로 형성된 상단부(600A)가 조작 레버(390)의 하단 에지(390A)에 고정되어 있다. 통체(610)의 상단부(611)는,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고정부(517R)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되고, 통체(610)의 하단부(612)는 제 1 고정부(516R)에 걸어 맞추고, 조작 와이어(600) 자체를 조작 레버(390)의 구동 및 코일 스프링(620)의 장력으로 상하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 고정부(516L, 516R) 및 제 2 고정부(517L, 517R)는, 예를 들어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이면으로부터 2개의 「コ」 형상의 걸어 맞춤편을 대치 돌출시켜 구성되고, 통체(610)의 상하 각 단부(611, 612)에는, 조작 와이어(600)를 삽입 통과한 핀 형상의 칼날부가 형성되고, 이 칼날부가 1쌍의 걸어 맞춤편에 고정된다.
또한, 조작 레버(390)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좌우 양측에 조작 레버 축부(軸部)(591)를 돌출하여 구비하고, 이 조작 레버 축부(519)가 조작 레버용 1쌍의 플랜지(518L, 518R)에 설치된 경사진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조작 구멍에 삽입 통과되고, 조작 레버용 플랜지(518L, 518R)는 조작 레버(390)를 경사진 상하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지지한다.
리클라이닝 기구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조작 레버(390)를 조작하여 회동 베어링 부재(530)의 홈부(533)에 잠겨져 있는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갈고리부(540A)를 해제하고,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각도 조정 후에, 조작 레버(390)가 코일 스프링(620)의 장력으로 원래로 되돌아감으로써 다시 리클라이닝 로드(540)가 잠겨진다. 즉, 우선, 도 29의 화살표(Y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390)를 경사진 위쪽으로 조작함으로써, 화살표(Y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600)의 하단부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와이어(600)의 하단부를 부착한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갈고리부(540A)가 코일 스프링(620)의 장력에 저항하여 위쪽으로 이동하고, 회동 베어링 부재(530L, 530R)의 홈부(533)로부터 벗어난다. 이 상태에서는,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311)는 회동 축 부재(520)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동 축 부재(520) 주위에 시트 본체(310)의 수용부(311)를 회동시킴으로써,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경사를 변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작 레버(390)의 조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코일 스프링(620)의 장력에 의해 조작 와이어(600)가 원래로 되돌아가고,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갈고리부(540A)가 회동 베어링 부재(530)의 다른 홈부(533)에 잠겨지고, 시트 본체(310) 수용부(311)의 회동이 정지하고, 시트 본체(310)가 소정의 경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화살표(X1)는 리클라이닝 로드(540)의 갈고리부(540A)의 회동 범위를 나타내고, 화살표(X2)는 시트 본체(310)의 회동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9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311)의 등받이부(311A)의 헤드 서포트 영역의 바깥 둘레에는, 헤드 서포트(518)의 둘레부에 구비한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부(518A)를 장착하기 위한 삽입 오목부(519)가 형성되고, 이 삽입 오목부(519)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걸어 맞춤 구멍(519A)에, 헤드 서포트(518)의 걸어 맞춤 돌기부(518A)가 삽입되어 걸어 맞춤으로써, 헤드 서포트(518)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쇼핑 카트(10)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쇼핑 카트는 쇼핑 왜건이라고도 불리고, 적절히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하며, 베이비카나 하우징랙 등의 어린이용뿐만 아니라, 대인용의 시트 본체를 그 지지 프레임에 부착하고, 시트 본체를 리클라이닝시킬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조로 벨트의 인출을 잠글 수 있는 벨트 잠금 기구,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및 쇼핑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5)

  1. 시트 본체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부착된 가드 내에 배치되고, 가드 외측(外側)으로 연장되는 벨트를 가드 내에서 잠그는 벨트 잠금 기구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부재와,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벨트 삽입 통과용의 슬릿과 슬릿에 인접하여 배치된 고정 마찰부를 가지며,
    회동 부재는 가동 마찰부를 가지고,
    회동 부재가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된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 벨트를 삽입하여 잠그며,
    회동 부재를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동시킨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의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잠금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고정 마찰부는, 슬릿의 일측(一側)에 배치되어 회동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슬릿의 타측(他側)에 배치되어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잠금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가드에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가드 표면에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를 폐색(閉塞)하는 리드(lid)가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부재와, 탄성 부재는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와 리드에 의해 획성(劃成)된 공간 내에 수납되고,
    회동 부재 외면(外面)에 돌출부가 설치되고,
    리드에 돌출부를 수용하는 윈도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회동 부재가 회동하여,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의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잠금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잠금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마찰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잠금 기구.
  6. 좌석부와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시트 본체와,
    좌석부에 착석한 어린이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가드와,
    시트 본체에 양단(兩端)이 고정된 벨트와,
    가드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벨트를 가드 내에서 잠그는 벨트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벨트 잠금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부재와,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벨트 삽입 통과용의 슬릿과 슬릿에 인접하여 배치된 고정 마찰부를 가지며,
    회동 부재는 가동 마찰부를 가지고,
    회동 부재가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된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 벨트를 삽입하여 잠그며,
    회동 부재를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동시킨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의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7. 하부(下部)에 복수의 주행 바퀴를 갖는 카트 본체와,
    카트 본체에 지지된 차일드 시트를 구비한 쇼핑 카트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는,
    좌석부와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시트 본체와,
    좌석부에 착석한 어린이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가드와,
    시트 본체에 양단이 고정된 벨트와,
    가드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벨트를 가드 내에서 잠그는 벨트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벨트 잠금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부재와,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벨트 삽입 통과용의 슬릿과 슬릿에 인접하여 배치된 고정 마찰부를 가지며,
    회동 부재는 가동 마찰부를 가지고,
    회동 부재가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된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 벨트를 삽입하여 잠그며,
    회동 부재를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동시킨 경우에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의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
  8. 제 7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고정 마찰부는, 슬릿의 일측에 배치되어 회동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슬릿의 타측에 배치되어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
  9. 제 7 항에 있어서,
    가드에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가드 표면에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를 폐색하는 리드가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동 부재와, 탄성 부재는 잠금 기구 수납 오목부와 리드에 의해 획성된 공간 내에 수납되고,
    회동 부재 외면에 돌출부가 설치되고,
    리드에 돌출부를 수용하는 윈도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회동 부재가 회동하여, 고정 마찰부와 가동 마찰부 사이에서의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
  10. 제 7 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
  11. 제 7 항에 있어서,
    고정 마찰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
  12. 차일드 시트의 헤드 서포트 영역에 헤드 서포트를 부착하는 헤드 서포트 부 착 구조에 있어서,
    헤드 서포트의 바깥 둘레부에 설치된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부와,
    차일드 시트의 헤드 서포트 영역에 설치되어 걸어 맞춤 돌기부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구멍과,
    헤드 서포트 영역과 헤드 서포트 사이에 삽입된 쿠션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헤드 서포트는 연질수지제(製)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14. 카트 본체와,
    카트 본체에 부착된 주행 바퀴와,
    카트 본체에 지지되는 동시에 헤드 서포트 영역을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와,
    차일드 시트의 서포트 영역에 부착된 헤드 서포트를 구비하고,
    헤드 서포트의 바깥 둘레부에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부가 설치되고,
    차일드 시트의 서포트 영역에, 걸어 맞춤 돌기부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구멍이 설치되고,
    헤드 서포트 영역과 헤드 서포트 사이에 쿠션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헤드 서포트는 연질수지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
  16. 좌석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 본체를 시트 지지 프레임에 부착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에 있어서,
    시트 본체의 이면(裏面) 하단부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부재와,
    축 부재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1쌍의 베어링 부재와,
    시트 본체의 이면으로서 축 부재보다 위쪽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를 구비하고,
    각 베어링 부재는 하단부에 오목부를 가지고, 또한 상단부에 홈부를 가지며,
    로드 양단부는 각각 コ 형상으로 형성되어 갈고리부를 가지며,
    각 베어링 부재는 오목 부분을 시트 지지 프레임에 걸어 맞춰 탑재 배치되고,
    로드 양단부의 갈고리부는 베어링 부재의 홈부에 걸어 맞춰지고, 또한 갈고리부와 축 부재 사이에 탄성재가 삽입되고, 시트 본체의 이면에 로드가 맞닿아 시트 본체가 로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각 베어링 부재의 오목부는 전후로 형성된 1쌍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18. 제 16 항에 있어서,
    각 베어링 부재의 후단부는 시트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가로 걸림재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시트 지지 프레임은 각 베어링 부재에 인접하는 브래킷을 가지며,
    각 베어링 부재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시트 본체의 뒤쪽에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21. 제 16 항에 있어서,
    각 베어링 부재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며,
    시트 본체에 조작 레버를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 레버에 로드 양단부에 걸어 맞추는 1쌍의 조작 와이어를 연결하고,
    조작 레버에 의해 각 조작 와이어를 구동하여 로드를 회동시키고, 로드의 각 갈고리부를 베어링 부재의 홈부로부터 개방하고, 시트 본체의 경사를 변경한 후, 조작 레버를 되돌려 로드의 각 갈고리부를 원하는 홈부에 걸어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22. 제 21 항에 있어서,
    각 베어링 부재의 복수의 홈부 중, 최전측(最前側) 홈부의 전측 벽면 및 최후측 홈부의 후측 측벽은, 그 이외의 홈부의 전후측 벽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23. 주행 바퀴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시트 지지 프레임을 갖는 카트 본체와,
    좌석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차일드 시트의 시트 본체와,
    차일드 시트의 시트 본체를 지지 프레임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를 구비하고,
    부착 구조는,
    시트 본체의 이면 하단부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부재와,
    축 부재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1쌍의 베어링 부재와,
    시트 본체의 이면으로서 축 부재보다 위쪽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를 구비하고,
    각 베어링 부재는 하단부에 오목부를 가지고, 또한 상단부에 홈부를 가지며,
    로드 양단부는 각각 コ 형상으로 형성되어 갈고리부를 가지며,
    각 베어링 부재는 오목 부분을 시트 지지 프레임에 걸어 맞춰 탑재 배치되고,
    로드 양단부의 갈고리부는 베어링 부재의 홈부에 걸어 맞춰지고, 또한 갈고리부와 축 부재 사이에 탄성재가 삽입되고, 시트 본체의 이면에 로드가 맞닿아 시트 본체가 로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
  24. 제 23 항에 있어서,
    시트 본체의 뒤쪽에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쇼핑 카트.
  25. 제 23 항에 있어서,
    각 베어링 부재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며,
    시트 본체에 조작 레버를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 레버에 로드 양단부에 걸어 맞추는 1쌍의 조작 와이어를 연결하고,
    조작 레버에 의해 각 조작 와이어를 구동하여 로드를 회동시키고, 로드의 각 갈고리부를 베어링 부재의 홈부로부터 개방하고, 시트 본체의 경사를 변경한 후, 조작 레버를 되돌려 로드의 각 갈고리부를 원하는 홈부에 걸어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본체의 쇼핑 카트.
KR1020070021628A 2006-03-06 2007-03-05 벨트 잠금 기구,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구조 및 쇼핑 카트 KR200700915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0270A JP5051498B2 (ja) 2006-03-06 2006-03-06 ベルト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並びに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2006060271A JP5098110B2 (ja) 2006-03-06 2006-03-06 ヘッドサポート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JP-P-2006-00060272 2006-03-06
JPJP-P-2006-00060271 2006-03-06
JPJP-P-2006-00060270 2006-03-06
JP2006060272A JP4968640B2 (ja) 2006-03-06 2006-03-06 シート本体の取付構造とリクライニング機構及びショッピングカート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842A Division KR101435543B1 (ko) 2006-03-06 2013-09-25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및 쇼핑 카트
KR1020140063845A Division KR101519486B1 (ko) 2006-03-06 2014-05-27 벨트 잠금 기구, 차일드 시트 및 쇼핑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564A true KR20070091564A (ko) 2007-09-11

Family

ID=3868930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628A KR20070091564A (ko) 2006-03-06 2007-03-05 벨트 잠금 기구,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구조 및 쇼핑 카트
KR1020130113842A KR101435543B1 (ko) 2006-03-06 2013-09-25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및 쇼핑 카트
KR1020140063845A KR101519486B1 (ko) 2006-03-06 2014-05-27 벨트 잠금 기구, 차일드 시트 및 쇼핑 카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842A KR101435543B1 (ko) 2006-03-06 2013-09-25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및 쇼핑 카트
KR1020140063845A KR101519486B1 (ko) 2006-03-06 2014-05-27 벨트 잠금 기구, 차일드 시트 및 쇼핑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700915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9594A (zh) * 2010-07-15 2013-06-05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座椅、底座、婴儿座椅组合结构及其操作方法
CN114787019A (zh) * 2019-12-19 2022-07-22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车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8754A (en) * 1990-03-07 1991-05-28 Joanna A. Nichols Front seat reversing structure for dual-seat baby stroller
JP4209529B2 (ja) 1999-01-29 2009-01-14 コンビ株式会社 ベルト締結機構および該機構を用いた安全ガード装置
US6322097B1 (en) * 2000-06-14 2001-11-27 Red Lan Stroller
JP3760333B2 (ja) 2000-07-19 2006-03-29 中日産業株式会社 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2003047787A (ja) 2001-08-03 2003-02-18 Daihatsu Motor Co Ltd シートの表皮材取付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9594A (zh) * 2010-07-15 2013-06-05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座椅、底座、婴儿座椅组合结构及其操作方法
CN103129594B (zh) * 2010-07-15 2015-10-28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座椅
CN114787019A (zh) * 2019-12-19 2022-07-22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486B1 (ko) 2015-05-12
KR20130116229A (ko) 2013-10-23
KR101435543B1 (ko) 2014-09-02
KR20140082619A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093B1 (en) Multiple child seat nestable shopping cart
EP2323888B1 (en) Stroller
US8240700B2 (en) Stroller with travel seat attachment
US8282119B1 (en) Two-level travel stroller for children
US20170021850A1 (en) Wagon with adapter for installing child seat
US6464238B2 (en) Passenger carrier that nests with a cart basket
US8469832B2 (en) Sw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infant holding device
TWI680073B (zh) 折疊式嬰兒車
US20120326418A1 (en) Stroller
US6843498B2 (en) Stroller
JP7303444B2 (ja) 乗物用シート
US20200406949A1 (en) Baby carriage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CN100460240C (zh) 车辆座椅结构
US20120193893A1 (en)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car seats
US20180208085A1 (en) Car seat with rigid backrest
KR100550747B1 (ko) 접이식 유모차
JP200323753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30116229A (ko) 헤드 서포트 부착 구조, 시트 본체의 부착 구조 및 쇼핑 카트
JP5051498B2 (ja) ベルト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並びに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5098110B2 (ja) ヘッドサポート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ショッピングカート
KR102331278B1 (ko) 유모차
JP4968640B2 (ja) シート本体の取付構造とリクライニング機構及び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5051497B2 (ja) ガード回転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並びにショッピングカート
KR19990064763A (ko)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JP200706259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