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541A - 악기 - Google Patents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541A
KR20070091541A KR1020070021237A KR20070021237A KR20070091541A KR 20070091541 A KR20070091541 A KR 20070091541A KR 1020070021237 A KR1020070021237 A KR 1020070021237A KR 20070021237 A KR20070021237 A KR 20070021237A KR 20070091541 A KR20070091541 A KR 2007009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key cover
musical instrument
sound generating
instrume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3385B1 (ko
Inventor
노리시게 데라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28Transpos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8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 G10D13/09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with key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을 변화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변위 부재를 가져서 다양한 연주를 제공하는 악기에 관한 것이다. 악기 본체 내측에 수용된 상자형 음 발생 유닛은 작동되는 임의의 연주 작동기에 따라 음을 발생시킨다. 악기 본체에 대해 변위를 제공하는 변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악기 본체의 내측 내에 항상 배치된다. 음 발생 유닛으로부터 음이 발생될 때 작동 섹션이 변위 부재를 변위시키도록 작동되면, 음은 변위 부재의 변위에 따라 변화한다.
악기 본체, 연주 작동기, 음 발생 유닛, 작동 섹션, 변위 부재

Description

악기{MUSICAL INSTRUMENT}
도1은 건반 덮개 유닛의 건반 덮개가 폐쇄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기로써 건반 악기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
도2는 건반 덮개 유닛이 개방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건반 악기 본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
도3은 건반 덮개 유닛이 개방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건반 악기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
도4는 본 실시예의 변경에 따른 악기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악기 본체
27, 28: 연주 작동기
30: 음 발생 유닛
40: 작동 섹션
46, 146: 변위 부재
본 발명은 상자형 음 발생 유닛이 수용되는 악기 본체를 갖는 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악기는 연주자가 조작할 때 음을 발생시키는 상자형 음 발생 유닛을 수용하는 본체를 갖는 것으로 공지되었다. 예를 들어, 공명 상자를 수용하는 본체를 갖는 악기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4-212994호에 개시된다. 이러한 악기는 건반식으로 구성되고 공명 상자는 음판(tone plate)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임의의 건이 조작될 때, 대응하는 음판은 대응하는 해머에 의해 타격되고, 타격된 음판은 공명 상자 내에서 공명하는 악음(musical tone)을 생성하도록 진동하여, 악기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음을 방출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의 악기에서, 음판에 의해 발생된 악음은 이들 자체가 단조로운 감쇠음이고, 공명 상자에서의 공명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음(예를 들어 다양한 음량)을 부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결과, 연주는 단조롭게 되기 쉽고, 따라서 광범위한 연주를 제공하기 위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을 변화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변위 부재를 구비하여 다양한 연주를 제공하는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악기 본체에 제공된 내측 복수의 연주 작동기(27, 28)와, 복수의 연주 작동기 중 작동되는 임의의 연주 작동기에 따라 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악기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자형 음 발생 유 닛(30)과, 악기 본체에 대해 변위를 제공하고, 그의 적어도 일부는 항상 악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변위 부재(46, 146)와, 변위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작동 섹션(40)을 포함하고, 음 발생 유닛으로부터 음이 발생되면서 작동 섹션이 변위 부재가 변위되도록 작동할 때, 변위 부재의 변위에 따라 음이 변화하는 악기 본체(10a)를 포함하는 악기(10)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변위 부재를 작동시킴에 의해 음을 변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광범위한 연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악기 본체는 음 발생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음이 외측으로 방출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OP0)를 갖고, 악기 본체에 대해 변위를 제공하는 개구 변경 부재(44)를 포함하고, 개구 변경 부재는 개구의 유효 개방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변위 부재와 상호 작동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음의 변경을 강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개구 변경 부재는 작동 섹션으로써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악기는 건반 악기형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연주 작동기가 건으로써 구성되고, 악기 본체는 복수의 연주 작동기를 덮기 위한 건반 덮개(fallboard)(UNT)로 제공되고, 건반 덮개는 작동 섹션으로써 기능하는 전방 건반 덮개(44)와 변위 부재로써 기능하는 후방 건반 덮개(46)를 포함하고, 전방 및 후방 건반 덮개는 전방 건반 덮개가 작동될 때 후방 건반 덮개가 전방 건반 덮개와 조화하여 변위되도록 함께 커플링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건반 덮개는 또한 음 변화 부재로써 기능하여 음을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다양한 연주를 제공한다. 어구 "음을 변화시키다"는 음량과 음색의 변화뿐만 아니라 진동 및 트레몰로와 같은 음 진동의 음향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악기 본체는 복수의 연주 작동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타악 유닛(24)을 구비하고, 복수의 연주 작동기 중 작동되는 대응하는 하나에 대해 각각 구동되고, 음 발생 유닛은 복수의 타악 유닛과, 복수의 음 부재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생성된 악음을 그 내부에서 공명시키기 위한 공명 상자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공되고, 공명 상자는 개방측(32a)을 갖고, 복수의 음 부재 각각은 진동하여 복수의 연주 작동기의 작동하는 대응 작동기에 따라 타악 유닛 중 대응하는 것에 의해 타격될 때 특정 음조(tone pitch)의 악음을 발생시키고, 공명 상자는 음 부재에 근접하여 배치된 개방측을 갖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음판 타악 악기 등의 단조로운 음조를 다양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범위한 연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1 내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기인 건반 악기의 본체의 내부 구 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건반 악기(10)는 첼레스타와 유사하고 업라이트 피아노와 외관이 유사하지만 어떠한 현도 포함하지 않은 건반식 음판 타악 악기로써 구성된다. 대신에, 건반 악기(10)는 첼레스타와 유사한 음판을 포함한다. 음판은 건반 악기(10)의 상반부에 위치된 악기 본체(10a)에 제공된다. 타격될 때, 각각의 음판은 진동하여 악음을 발생시킨다. 건반 악기(10)는 대응하는 음판에 의해 발생된 악음을 공진시키는 공명 상자를 더 포함한다. 음판을 타격하기 위한 기구로써, 업라이트 피아노용이 아닌 그랜드 피아노용의 액션 기구와 유사한 기구가 제공된다. 다음에, 연주자쪽으로의 건반 악기(10)의 측면은 전방측으로 지시되고, 좌측 및 우측 방향은 연주자를 참조하여 결정된다.
도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 악기(10)는 건반 덮개 유닛(UNT)을 포함한다. 도1 내지 3은 건반 덮개 폐쇄 상태의 건반 덮개 유닛(UNT), 개방된 상태의 건반 덮개 절반부 및 개방 상태의 건반 덮개를 각각 도시한다.
악기 본체(10a)의 하부에서, 건 프레임(15)이 배치되는 건반대(keybed)(14)가 배치되고, 전방 레일(16)은 건 프레임(15)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건 프레임(15)은 밸런스 레일(19)에 제공된 각각의 밸런스 핀(62, 63) 주위의 수직 피봇 운동(시소 운동)을 위해 건반(KB)의 복수의 연주 작동기[백색 건(27) 및 흑색건(28)]를 지지하는 밸런스 레일(19)을 구비한다. 전방 레일(16)의 전방 단부 에지는 건의 전체 폭에 걸쳐 키이슬립(17)에 의해 덮여진다.
액션 기구(20)와 액션 브라켓(22)은 각각의 건(27, 28)에 대응하도록 건 프레임(15)의 후방 절반부의 상향에 배치된다. 액션 기구(20)는 그랜드 피아노의 것 과 동일한 구조이다. 음 발생기 유닛(30)은 액션 기구(20)의 상향으로 약간 후방으로 배치되고, 목제 공명 상자(32)와 음 발생 부재인 복수의 음판(31)을 구비한다. 음 발생기 유닛(30)은 음 발생 유닛으로써 기능한다. 음판(30)은 각각의 건(27, 28)에 대응하도록 배열된다. 각각의 액션 기구(20)는 해머 펠트(24)를 갖는 해머(23)로 구성된 타악 유닛을 포함한다. 임의의 건(27, 28)이 눌려지면, 대응하는 해머(23)가 상향으로 피봇되고 그 해머 펠트(24)는 대응하는 음판(30)을 타격하여 공명 상자(32)에서 공명하는 악음을 진동시켜 발생시킨다.
음 발생기 유닛(30)에서, 음판(31)은 공명 상자(32)를 진동시키도록 장착된다. 공명 상자(32)는 악기 본체(10a)의 우측 및 좌측 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공명 상자(32)는 악기 본체(10a)의 측판의 내향으로 제공된 각각의 지지부(도시 안함)의 좌측 및 우측에 고정되어, 음 발생기 유닛(30)은 악기 본체(10a)를 수용한다.
악기 본체(10a)는 상부 전방 판(51), 천장 판(52) 및 후방 판(53)을 포함한다. 블라인드폴드(blindfold)(29)는 상부 전방 판(52)의 하부 에지에 고정되고 악기 본체(10a)의 사실상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한다. 블라인드폴드(29)의 하부 에지와 백색 건(27)의 상부 표면 사이에는, 건반 덮개 유닛(UNT)이 (도1에서 지시된) 악기(10)로부터 제거될 때 악기 본체(10a)의 내부가 연주자쪽(악기의 전방측)으로 개방되도록 전방 개구(OP0)가 한정된다. 악기 본체(10a)의 상부 전방 판(51), 천장 판(52) 및 후방 판(53)은 음 발생기 유닛(30)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0aa)을 한정하도록 블라인드폴드(29)와 건반대(14)의 후방 절반부와 협동한다.
악기 본체(10a)의 천장 판(52)과 후방 판(53)은 공명 상자(32)로부터의 소리가 외측으로 방출되는 복수의 개구(도시 안함)를 갖고 형성된다. 건반 악기(10)가 건반 덮개 개방 상태 또는 건반 덮개 절반 개방 상태일 때, 전방 개구(OP0)는 건반 덮개 유닛(UNT)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한다. 전방 개구(OP0)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외측으로 소리를 방출하기 위한 다른 개구로써의 기능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한다.
음판(30)은 건과 동일한 수를 갖는다. 각각의 음판(30)은 대응하는 해머 펠트(24)에 의해 타격될 때 진동하고, 음판(30)은 이들이 모두 직사각형 단면을 갖더라도 전체 길이 등과 같은 그 형상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특정 음조의 악음을 발생시킨다.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공명 상자(32)는 헬름 홀쯔형 공명 상자로 형성된 저음조 범위부와, 폐쇄 튜브형 공명 상자로 형성된 중음조 범위부와, 단일형 공명 상자로 형성된 고음조 범위부로 구성된다. 저음조 및 중음조 범위부는 각각 관련된 음판(31)와 동일한 수의 공명실을 구비하지만, 고음조 범위부는 관련된 음판(31)에 공통인 단일 공명실을 구비한다. 모든 음판(31)은 공명 상자(32)의 하부 개구(32a)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예를 들어 공명 상자로부터 현수되도록 커플링 코드 및 다수의 패스너를 이용하여 공명 상자(32)의 전방 및 후방 하단부를 진동시키도록 장착된다.
악기 본체(10a)의 좌측 및 우측 판은 각각 안내부(48)와 피봇 샤프트(49)를 구비한다. 안내부(48)는 악기 본체(10a)의 좌측 및 우측 판에 각각 고정된다. 측 방향에서 볼 때(도1 참조), 안내부(48)는 악기 본체(10a)의 전방 및 후방 상향으로 사선으로 연장하는 안내부(48)의 상부 표면을 갖고 전방 개구(OP0)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악기 본체(10a)의 내부 내의 깊은 위치로 연장한다. 측방향측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봇 샤프트(49)는 전방 개구(OP0)의 전방쪽 위치에서 백색 건(27)의 전방 절반부의 종방향 중심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피봇 샤프트(49)는 도1에서 볼 때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의 피봇 운동용으로 악기 본체(10a)의 각각 좌측 및 우측 판에 장착된다.
건반 덮개 유닛(UNT)은 주로 전방 건반 덮개 조립체(40)(작동 섹션), 커플링 장치(45) 및 후방 건반 덮개(46)(변위 부재)를 포함한다. 전방 건반 덮개 조립체(40)는 건반 덮개 전방부(42), 좌측 및 우측 피봇 지지 부재(43) 및 전방 건반 덮개(44)(개구 변경 부재)를 포함한다. 건반 덮개 전방부(42), 전방 건반 덮개(44) 및 후방 건반 덮개(46)는 각각 건반(KB)의 전체폭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다. 전방 및 후방 건반 덮개(44, 46)는 서로 피봇 가능하게 하도록 힌지와 같은 커플링 장치(45)를 통해 커플링된다. 건반 덮개 전방부(42)는 전방 건반 덮개(44)의 전방 단부 에지에 장착되고, 좌측 및 우측 피봇 지지 부재(43)는 각각 전방 건반 덮개(44)의 좌측 및 우측부에 장착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 피안내 부재(47)는 후방 건반 덮개(46)의 후방 표면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제공된다.
피봇 지지 부재(43)는 각각 피봇 샤프트(49)와 결합하는 일단부와 전방 건반 덮개(44)의 측부에 고정되는 타단부를 갖는다. 전방 건반 덮개(44)와 피봇 지지 부재(43)는 함께 피봇 샤프트(49)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피안내 부재(47)는 항상 안내부(48)의 각각의 상부 표면과 접촉한다.
건반 덮개 유닛(UNT)을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는 대개 전방 건반 덮개 조립체(40)의 건반 덮개 전방부(42)를 파지한다. 파지된 건반 덮개 전방부(42)와 건반 덮개 개방 작동에 의해, 전방 건반 덮개(44)는 건반(KB)이 (도1을 참조하여) 건반 덮개 유닛(UNT)에 의해 덮여지는 건반 덮개 폐쇄 상태로부터 상향으로 피봇된다. 전방 건반 덮개(44)의 피봇 운동으로, 커플링 장치(45)를 통해 전방 건반 덮개(44)에 커플링된 후방 건반 덮개(46)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후방 건반 덮개(46)에 장착된 피안내 부재(47)는 안내부(48)와 활주 접촉하여, 후방 건반 덮개(46)의 자세를결정한다. 후방 건반 덮개(46)는 후방으로 부드럽게 이동하면서 그 자세를 변경시킨다(도2 및 3 참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 덮개 전방부(42)가 블라인드폴드(29)와 접촉할 때, 건반 덮개 유닛(UNT)은 건반 덮개 개방 상태가 된다. 도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 덮개 폐쇄 상태에서 건반 덮개 개방 상태로의 건반 덮개 개방 프로세스 동안, 전방 건반 덮개(44)는 수평 위치로부터 점증하는 경사 각도를 갖고 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 건반 덮개 개방 상태에서, 전방 건반 덮개(44)는 상부 전방 판(51)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가상 연장선 상에 위치된다.
건반 덮개 폐쇄 상태에서, 후방 건반 덮개(46)는 수직 방향으로 후방 단부보다 그 전방 단부가 약간 낮게 위치되도록 약간 경사진 자세라고 가정한다. 후방 건반 덮개(46)는 건반 덮개 개방 프로세스에서 경사각이 점증하고, 건반 덮개 개방 상태의 상부 전방 판(51)에 근접한 경사각을 갖는다. 그 결과, 전방 및 후방 건반 덮개(44, 46)는 서로 근접하고 대면하여 배치되는 절첩 상태가 된다. 건반 덮개 폐쇄 상태에서, 후방 건반 덮개(46)의 후방 단부는 전방 개구(OP0)에 위치된다. 한편, 건반 덮개 개방 상태에서, 후방 건반 덮개(46)의 종방향 중심부는 전방 개구(OP0)에 위치된다.
건반 덮개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는 건반 덮개 전방부(42)를 파지면서 건반 덮개 개방 작동과 비교해서 역 작용을 수행한다. 건반 덮개 폐쇄 프로세스에서, 피안내 부재(47)는 안내부(48)와 활주 접촉하고, 건반 덮개 유닛(UNT)은 건반 덮개 개방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역으로 작동한다.
일반적으로, 건반 섹션(KB)은 도3에 도시된 건반 덮개 개방 상태에서 연주하도록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건반 덮개 유닛(UNT)의 개방도는 연주 동안 다양한 악음을 부여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특히 건반 연주 동안 악음이 발생될 때, 연주자는 예를 들어 건반 덮개 개방 상태(도3 참조)와 건반 덮개 절반 개방 상태(도2 참조) 사이에서 건반 덮개 유닛(UNT)을 이동시키도록 건반 덮개 전방부(42)를 전후방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건반 덮개 유닛(UNT)의 이동으로, 공명 상자(32)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방출되는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 덮개 절반 개방 상태에서, 작은 제1 개구(OP1)가 블라인드폴드(29)와 후방 건반 덮개(46)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제2 개구(OP2)가 후방 건반 덮개(46)의 하부 에지와 백색 건(27) 사이에 형성된다. 형성된 개구(OP1, OP2)의 결과, 수용 공간(10aa)이 연주자 쪽으로 개방된다. 달리 말하면, 전방 개구(OP0)(도1 참조)의 유효 개방 상태는 건반 덮개 유닛(UNT)의 위 치와 자세에 따라 변화한다. 건반 덮개 절반 개방 상태에서, 제1 및 제2 개구(OP1, OP2)는 악음이 전방 방향으로 방출되는 개구를 구성한다. 그 결과, 공명 상자(32)로부터의 악음은 제1 및 제2 개구(OP1, OP2)를 통해 연주자 쪽으로 방출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 덮개 개방 상태에서, 제1 개구(OP1)는 블라인드폴드(29)와 후방 건반 덮개(46) 사이에 중심에 형성된다. 그러나, 제1 개구(OP1)가 외측으로 개방되는 갭은 블라인드폴드(29)와 건반 전방부(42) 및 전방 건반 덮개(44)의 상부 에지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1 개구(OP1)의 음 방출 기능은 달성되지 않는다. 도시에서는 생략되었지만, 건반 덮개 개방 상태로부터 건반 덮개 절반 개방 상태로의 이동 동안, 블라인드폴드(29)와 건반 전방부(42) 및 전방 건반 덮개(44)의 상부 에지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개구(OP1)는 건반 덮개 유닛이 건반 덮개 폐쇄 상태 또는 건반 덮개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연주 동안 음 방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개구(OP2)는 건반 덮개 절반 개방 상태에서 건반 덮개 개방 상태로 시프트되기 전에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2 개구(OP2)는 건반 덮개 절반 개방 상태보다 건반 덮개 개방 상태에서 보다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반 덮개 절반 개방 상태로부터 건반 덮개 개방 상태로 변화하는 건반 덮개 상태에서 연주가 수행되면서, 제2 개구는 항상 음 방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공명 상자(32)로부터 발생된 악음은 상향으로 방출될 뿐만 아니라, 하부 개구(32a)를 통해서도 방출된다. 음 전파 경로 중 하나는 개구(32a)와 전방 개 구(OP0) 사이에 형성된다(도1 참조). 전방 개구(OP0)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후방 건반 덮개(46)는 항상 음 전파 경로 내에 위치된다. 또한, 건반 덮개 절반 개방 상태로부터 건반 덮개 개방 상태로의 시프트 동안, 후방 건반 덮개(46)의 위치뿐만 아니라 자세(경사각)의 변경이 발생한다. 이는 공명 상자(32)의 개구(32a)로부터 발생된 악음이 차단되거나 및/또는 후방 건반 덮개(46)에 의해 반사되는 상태를 변경시킨다.
후방 건반 덮개(46)의 이동은 음 차단/반사의 상태를 변경시킨다. 음 차단/반사 상태의 이러한 변경과 조합하여, 전방 개구(OP0)의 유효 개방 상태의 전술한 변경은 복잡한 음 변형을 생성하여, 악음이 외측으로 방출되는 상태를 변경시킨다. 특히, 악음의 음량 및 음색의 대부분은 건반 덮개 유닛(UNT)의 이동으로 변화한다. 악음이 발생할 때 건반 덮개 유닛(UNT)을 전후방으로 왕복함으로써, 연주자는 일반적으로 음향적으로 단조로운 악음에 (음량 증가/감소 및 음색 변화와 같은)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건반 덮개 유닛(UNT)을 수동으로 작동할 때, 연주자는 건반 덮개 유닛(UNT)의 이동 범위와 이동 속도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하고 풍부한 연주 표현이 제공될 수 있다.
건반 덮개 유닛(UNT)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현되는 음 변화는 음량 및 음색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시간축에 따른 음 변화를 포함한다. 시간축의 진동에 따라, 예를 들어 진동 및 트레몰로가 언급될 수 있다. 천천히 감쇠된 음을 생성하는 첼레스타, 글로켄스필(glockenspiel)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서 청취자에 의해 인지되는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시간축에 따른 음 변화가 적절하다.
본 실시예에 따라, 건반 덮개 유닛(UNT)의 후방 건반 덮개(46)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 공간(10aa)에 항상 위치된다. 그 결과, 악음이 공명 상자(32)로부터 생성되면서 건반 덮개 유닛(UNT)이 이동될 때 건반 덮개 유닛(UNT)의 변위는 악음의 대응하는 변화를 야기한다. 특히 음판 타악 악기인 건반 악기(10)에서, 음판(30)에 의해 발생된 단조로운 악음에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고, 풍부한 연주 표현의 다양성을 갖는 연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방 건반 덮개(44)는 전방 개구(OP0)(도1 참조)의 유효 개방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후방 건반 덮개(46)와 상호 작용하여, 악음의 변화를 보다 강조할 수 있게 한다.
전방 건반 덮개(44)가 전방 개구(OP0)의 유효 개방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후방 건반 덮개(46)는 후자가 작동될 때 전방 건반 덮개 조립체(40)와 함께 변위된다. 이는 건반 덮개 유닛(UNT)을 음 변화 부재로써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악기가 복잡한 구성을 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지 음 발생기 유닛(30)으로부터 다양한 음을 만드는 관점에서, 변위 부재는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건반 덮개 유닛(UNT)을 구성하는 대신에 건반 덮개 유닛(UNT)으로부터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위 부재는 음 발생 유닛(30)으로부터 생성된 음의 전파 경로에 배치될 수 있고, 작동 장치가 연주시에 변위 부재를 구동식으로 작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된 변경에서, 판형 변위 부재(146)가 음 발생기 유닛(30)의 하부에 배치된 음판(31)을 덮도록 제공된다. 변위 부재(146)는 도시되지 않은 작동 장치에 의해 연주시에 작동 가능하다. 특히, 변위 부재(146)는 수평 운 동, 수직 운동, 전후방 피봇 운동 및 좌우 피봇 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술한 것과 유사한 음 변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개방 상태가 전반 건반덮개 조립체(40)와 같은 부재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개구는 수용 공간(10aa)이 연주자쪽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개구는 수용 공간(10aa)이 상향, 측방향 및/또는 후방향쪽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건반 덮개(40) 등의 대체물로써 이용되는 전술한 부재는 개구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 개구(OP0)의 유효 개방 상태(도1 참조)는 후방 건반 덮개(46)와 조합하여 전방 건반 덮개(44)를 이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방 개구(OP0)의 개방 상태는 전방 및 후방 건반 덮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 개방 상태는 구동식으로 작동되고 건반 덮개 유닛(UNT)으로부터 분리식으로 제공되는 다른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도2에서, 건반 덮개 유닛(UNT)의 건반 덮개 절반부 개방 상태는 예로써 도시되었다. 이러한 도시는 이러한 상태의 일예이다. 건반 덮개 유닛(UNT)이 가동되는 범위의 전방 단부 제한 위치는 도2에 도시된 것보다 건반 덮개 폐쇄 방향쪽으로 더 이동될 수 있다.
후방 건반 덮개(46)를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 장치는 전방 건반 덮개 조립체(40)에 제한되지 않는다. 작동 장치는 후방 건반 덮개(46) 또는 전체 건반 덮개 유닛(UNT)을 작동시키도록 독립적으로 그리고 전방 건반 덮개 조립체(40)로부터 개 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동 장치는 예를 들어 발 작동식 페달일 수 있다.
후방 건반 덮개(46)와 같은 변위 부재를 이용하여 음을 변화시키는 음 발생 소스로써, 음판(31)과 공명 상자(32)를 포함하는 음 발생기 유닛(30)이 예로써 도시되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음 발생 소스는 음 발생 지점이 음판 또는 현에 대해 좁은 범위 내에서 수집되는 상자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자형 음 발생 소스는 스피커 및 스피커 상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글로켄스필 및 건반 악기 이외의 악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음을 변화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변위 부재를 구비하여 다양한 연주를 제공하는 악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악기(10)이며,
    내측을 갖는 악기 본체(10a)와,
    상기 악기 본체에 제공된 복수의 연주 작동기(27, 28)와,
    상기 복수의 연주 작동기 중 작동되는 임의의 연주 작동기에 따라 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악기 본체의 내측에 수용된 상자형 음 발생 유닛(30)과,
    상기 악기 본체에 대해 변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악기 본체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항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변위 부재(46, 146)와,
    상기 변위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작동 섹션(40)을 포함하고,
    상기 음 발생 유닛으로부터 음이 발생될 때 변위 부재가 변위되도록 상기 작동 섹션이 작동될 때, 음은 상기 변위 부재의 변위에 따라 변화하는 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 본체는 상기 음 발생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음이 외측으로 방출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OP0)를 갖고, 상기 악기 본체에 대해 변위를 제공하는 개구 변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 변화 부재는 개구의 유효 개방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변위 부재와 상호 작용하는 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변화 부재는 상기 작동 섹션으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건반 악기 형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연주 작동기는 건으로 구성되고,
    상기 악기 본체는 상기 복수의 연주 작동기를 덮기 위한 건반 덮개(UNT)를 구비하고, 상기 건반 덮개는 작동 섹션으로써 기능하는 전방 건반 덮개(44)와 변위 부재로써 기능하는 후방 건반 덮개(46)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건반 덮개는 상기 전방 건반 덮개가 작동될 때 후방 건반 덮개가 전방 건반 덮개와 함께 변위되도록 함께 커플링되는 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 본체는 상기 복수의 연주 작동기에 각각 대응하며, 작동되는 복수의 연주 작동기 중 작동되는 연주 작동기에 따라 각각 구동되는 복수의 타악 유닛(24)을 구비하고,
    상기 음 발생 유닛은 상기 복수의 타악 유닛과, 공명 상자(32)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음 발생 부재(31)로 구성되고, 상기 공명 상자는 복수의 음 발생 부재 중 임의의 음 발생 부재로부터 생성된 악음을 공명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공명 상자는 개구(32a)측을 갖고,
    상기 복수의 음 발생 부재 각각은 복수의 연주 작동기 중 작동되는 연주 작동기에 따라 상기 타악 유닛 중 대응하는 타악 유닛에 의해 타격될 때 특정 음조의 악음을 생성하고,
    상기 공명 상자는 상기 음 발생 부재에 근접하여 배치된 개방측을 갖도록 배 열되는 악기.
KR1020070021237A 2006-03-06 2007-03-05 악기 KR100863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9542 2006-03-06
JP2006059542A JP5066817B2 (ja) 2006-03-06 2006-03-06 楽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541A true KR20070091541A (ko) 2007-09-11
KR100863385B1 KR100863385B1 (ko) 2008-10-13

Family

ID=3811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237A KR100863385B1 (ko) 2006-03-06 2007-03-05 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42437B2 (ko)
EP (1) EP1833045A3 (ko)
JP (1) JP5066817B2 (ko)
KR (1) KR100863385B1 (ko)
CN (1) CN10055945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905B1 (ko) * 2005-12-13 2008-09-23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건반식 음판 타악기, 상기 음판 타악기용의 공명 관 및공명 상자
KR100869414B1 (ko) * 2005-12-13 2008-11-21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 및 그 제조방법, 음판타악기의 음원 유닛 및 건반식 타악기
JP5066817B2 (ja) * 2006-03-06 2012-11-07 ヤマハ株式会社 楽器
JP2008170700A (ja) * 2007-01-11 2008-07-24 Yamaha Corp 鍵盤式打楽器
US8389841B1 (en) * 2011-08-29 2013-03-05 Leigh Howard Stevens Adjustable resonator stop and keyboard percussion instrument including same
JP5516646B2 (ja) * 2012-05-17 2014-06-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
US9514725B1 (en) 2015-07-31 2016-12-06 Joseph A. Brandstetter Musical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7057A (en) * 1929-03-26 Power-operated musical instrument
US2850933A (en) * 1958-09-09 Piano action
US149232A (en) * 1874-03-31 Improvement
US247473A (en) * 1881-09-27 Ohaeles e
US604166A (en) * 1898-05-17 Piano
US1664587A (en) * 1928-04-03 Piano
US3306151A (en) * 1967-02-28 Musical instruments having struck vibrating members
US399710A (en) * 1889-03-19 George stegk
DE140895C (ko) *
US579031A (en) * 1897-03-16 zintzsch
US324052A (en) * 1885-08-11 Wilhelm umland
US671234A (en) * 1900-10-11 1901-04-02 Charles F Reeps Fall-board and music-desk.
US769129A (en) * 1904-04-01 1904-08-30 Nat Novelty Corp Toy piano.
US788348A (en) * 1904-11-14 1905-04-25 Arthur Bollermann Music-desk.
US1173507A (en) * 1912-04-29 1916-02-29 Estey Organ Company Harp-stop for pipe-organs.
US1090343A (en) * 1913-07-16 1914-03-17 Attilio A Ponsiglione Piano music-desk.
US1134351A (en) * 1913-11-15 1915-04-06 Laura L Schlensker Gong-piano.
US1275806A (en) * 1916-06-21 1918-08-13 Frank J W Weiser Piano.
US1369268A (en) * 1917-08-06 1921-02-22 John C Deagan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US1285299A (en) * 1917-10-22 1918-11-19 Henry C Marx Musical instrument of the xylophone type.
US1578317A (en) * 1923-01-06 1926-03-30 Cable Co Fall-board and music-desk construction
US1791720A (en) * 1929-11-20 1931-02-10 Edward J Exter Piano teaching instrument
US2052890A (en) * 1935-10-18 1936-09-01 Marks Isidore Toy piano
US2287138A (en) * 1941-01-09 1942-06-23 Sas Elmer Xylophone
BE464795A (ko) * 1945-05-04
US2469667A (en) * 1945-06-12 1949-05-10 Rhodes Harold Burroughs Piano
US2541143A (en) * 1948-09-11 1951-02-13 Zimmerman Harry Toy musical instrument
US2641153A (en) * 1948-10-26 1953-06-09 Jaymar Specialty Company Hammer action for musical instruments
US2601185A (en) * 1950-10-26 1952-06-17 U S Propellers Inc Action for key-operated musical instruments of percussion type
US2929291A (en) * 1955-03-15 1960-03-22 Busilacchio Ido Tone modifier for musical instrument
US2837004A (en) * 1955-03-29 1958-06-03 Daniel J Volpe Toy piano
US2950643A (en) * 1955-08-03 1960-08-30 Scherer Karl Accordion
US2785595A (en) * 1955-10-24 1957-03-19 Robert A Smith Musical instrument
US2800827A (en) * 1956-01-13 1957-07-30 N D Cass Company Piano action
US2902897A (en) * 1956-08-08 1959-09-08 Daniel J Volpe Toy piano
US2873639A (en) * 1958-10-20 1959-02-17 Musser Clair Omar Toy piano having key mounted tone bars
US2984141A (en) * 1959-06-08 1961-05-16 Oscar M Loeffelholz Accordion converter
US3055252A (en) * 1959-12-24 1962-09-25 Joseph A Marsich Musical instrument
US3230921A (en) * 1964-01-16 1966-01-25 Whirlpool Co Speed reduction indicator
DE1246376B (de) * 1964-09-04 1967-08-03 Hohner Ag Matth Handharmonika
US3420135A (en) * 1965-11-22 1969-01-07 Gilbert Co A C Programmed musical instrument
US3858477A (en) * 1971-04-08 1975-01-07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having resonators of rectangular cross-section
US3981221A (en) * 1975-09-02 1976-09-21 Wittel Luther A Portable keyboard
US4159664A (en) * 1978-02-03 1979-07-03 Mastronardi Enrico M Keyboard assembly for an accordion
JPS5924074Y2 (ja) * 1978-04-28 1984-07-17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竪型ピアノにおける演奏音の放音装置
JPS619437Y2 (ko) * 1979-05-24 1986-03-25
US4240321A (en) * 1979-06-01 1980-12-23 Proll Molding Company Keyboard assembly for toy musical instruments
US4625617A (en) * 1985-07-12 1986-12-02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Support apparatus for sound members of musical instrument
JPH04212994A (ja) * 1990-12-05 1992-08-04 Yamaha Corp チェレスタ
US5235892A (en) * 1990-12-05 1993-08-17 Yamaha Corporation Celesta promptly responsive to high speed keying-in
US5313867A (en) * 1992-11-24 1994-05-24 Yamaha Corporation Glockenspiel equipped with hammer heads different in hardness for changing tone color
JPH09212155A (ja) * 1996-01-31 1997-08-15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音量調整装置
JPH09230852A (ja) * 1996-02-23 1997-09-05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音量調節装置
US5824927A (en) * 1996-05-24 1998-10-20 Tonon; Thomas Keyed free-reed instruments scope
JPH09319357A (ja) * 1996-05-28 1997-12-12 Yamaha Corp 鍵盤楽器における鍵盤蓋の緩衝装置
JP3044457B2 (ja) * 1996-09-27 2000-05-22 東洋ピアノ製造株式会社 ピアノの鍵盤蓋開閉装置
JPH1165552A (ja) * 1997-08-11 1999-03-09 Toyo Piano Seizo Kk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鍵盤蓋開閉装置
JP3856274B2 (ja) * 1998-12-24 2006-12-1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における鍵盤蓋の開閉装置
JP3642968B2 (ja) * 1999-01-29 2005-04-27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蓋の開閉制御装置
GB2356484B (en) * 1999-11-16 2001-11-07 Kemble & Company Ltd Keyboard instrument
JP2002287739A (ja) * 2001-03-23 2002-10-04 Yamaha Corp ピアノの鍵盤蓋構造
EP1246161B1 (en) 2001-03-30 2008-05-21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JP4158035B2 (ja) * 2003-03-18 2008-10-01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KR20050020342A (ko) * 2003-08-22 2005-03-04 주식회사 알렌무역상사 콘솔형 피아노의 건반덮개 완속닫힘장치
JP4635464B2 (ja) * 2004-03-30 2011-02-23 ヤマハ株式会社 アップライト型鍵盤楽器
DE102005015811B3 (de) * 2005-04-06 2006-07-20 Studio 49 Musikinstrumentenbau Gmbh Bass-Stabspielinstrument
JP5066817B2 (ja) * 2006-03-06 2012-11-07 ヤマハ株式会社 楽器
US7589265B2 (en) * 2008-01-02 2009-09-15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Upright pian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66817B2 (ja) 2012-11-07
JP2007240609A (ja) 2007-09-20
CN100559455C (zh) 2009-11-11
EP1833045A3 (en) 2017-06-28
CN101034544A (zh) 2007-09-12
KR100863385B1 (ko) 2008-10-13
EP1833045A2 (en) 2007-09-12
US7642437B2 (en) 2010-01-05
US20070204743A1 (en)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385B1 (ko) 악기
US7804014B2 (en) Tone plate for keyboard-type tone plate percussion instrument, tone plate-fabricating method, tone generator unit of tone plate percussion instrument, and keyboard-type percussion instrument
EP1909261B1 (en) Keyboard-type tone plate percussion instrument and resonance tube and resonance box for tone plate percussion instrument
US7528311B2 (en) Keyboard-type percussion instrument
US7528310B2 (en) Percussion instrument and keyboard-type percussion instrument
US7560629B2 (en) Keyboard-type percussion instrument
CN100593190C (zh) 键盘式音板打击乐器的音板、制造方法及乐音发生器装置
JP2011028034A (ja) 電子鍵盤楽器
US7633001B2 (en) Keyboard-type tone plate percussion instrument
JP4752481B2 (ja) 鍵盤式音板打楽器用の音源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207838A1 (ja) 楽器及び楽器用部材
JP4821299B2 (ja) 鍵盤式打楽器
JP4345740B2 (ja) 音板打楽器用の共鳴箱
JP6031760B2 (ja) 楽器、グランドピアノおよびアップライトピアノ
JP4882416B2 (ja) 音板打楽器用の共鳴箱
JP6066364B2 (ja) 鍵盤楽器
JP4632090B2 (ja) 鍵盤式音板打楽器
JP6086219B2 (ja) 鍵盤楽器
JPH11161261A (ja) 減音ピアノ
JPH1049137A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