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56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공간-시간 및 공간-주파수 송신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한 공간 확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공간-시간 및 공간-주파수 송신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한 공간 확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560A
KR20070088560A KR1020077007641A KR20077007641A KR20070088560A KR 20070088560 A KR20070088560 A KR 20070088560A KR 1020077007641 A KR1020077007641 A KR 1020077007641A KR 20077007641 A KR20077007641 A KR 20077007641A KR 20070088560 A KR20070088560 A KR 20070088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s
data
coded
transmit diversity
sche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5957B1 (ko
Inventor
제이 로드니 왈톤
존 더블유. 케첨
마크 에스. 월래스
스티븐 제이. 하워드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68Orthogonal systems, e.g. using Alamouti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7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spreading code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pace 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06Space-frequency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25Transmit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의 조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이러한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은 공간 확산, 연속한 빔 형성,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공간-시간 송신 다이버시티(STTD),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SFTD), 및 직교 송신 다이버시티(OTD)를 포함한다. 송신 엔티티는 다중 (NC)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예를 들어, STTD, SFTD 또는 OTD)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한다.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STTD, SFTD 또는 OTD를 이용하여 단일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 또는 다중(예를 들어,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서 전송될 수도 있다. 송신 엔티티는 NT 안테나로부터 송신하기 위해 다중 (NT) 송신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상이한 행렬을 갖는 NC 코딩된 심볼 스트림 상에서 공간 확산을 실행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택일적으로, 송신 엔티티는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NT 송신 심볼 스트림 상에서 연속한 빔 형성을 실행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공간-시간 및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한 공간 확산{SPATIAL SPREADING WITH SPACE-TIME AND SPACE-FREQUENCY TRANSMIT DIVERSITY SCHEM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출원은, 2004년 9월 3일 출원된, "Steering Diversity with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이라는 명칭의 가출원 시리즈 번호 60/607,371호 및 2004년 9월 8일 출원된 "Steering Diversity with Space-Time and Space-Frequency Transmit Diversity Schem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시리즈 번호 60/608,226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는데, 이들 특허는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중 (NT) 송신 안테나 및 하나 이상의 (NR) 수신 안테나를 이용한다. NT 송신 안테나는 안테나들로부터 상이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시스템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데이터를 여분으로 송신함 으로써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경로는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각 쌍 사이에 존재한다. NT·NR 상이한 전파 경로는 NT 송신 안테나와 NR 수신 안테나 사이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전파 경로는 상이한 채널 조건(예를 들어, 상이한 페이딩, 다중 경로 및 인터페이스 효과)을 경험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신호대 잡음 및 간섭비를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NT·NR 전파 경로의 채널 응답은 경로마다 변화할 수 있으며, 시변 무선 채널의 경우 시간에 대해, 그리고 분산 무선 채널의 경우 주파수에 걸쳐 추가로 변화할 수도 있다. 전파 경로의 변화 특성은 효율적으로 그리고 신뢰가능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송신 다이버시티는 데이터 송신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간, 주파수, 시간 또는 이러한 디멘존의 조합에 걸친 데이터의 잉여 송신을 의미한다. 송신 다이버시티의 일 목적은 강고한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가능하면 많은 디멘존에 걸쳐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다이버시티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를 위해 프로세싱을 간략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술 분야에서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요구된다.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의 조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이러한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은 공간 확산, 연속한 빔 형성,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공간-시간 송신 다이버시티(STTD),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SFTD), 및 직교 송신 다이버시티(OTD)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모두 후술된다.
실시예에서, 송신 엔티티는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ND) 데이터 스트림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엔코딩, 인터리빙, 및 심볼 맵핑)한다. 송신 엔티티는 다중 (NC)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예를 들어, STTD, SFTD 또는 OTD)에 기초하여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추가로 프로세싱한다.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STTD, SFTD 또는 OTD를 이용하여 단일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 또는 다중(예를 들어,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서 전송될 수도 있다. 송신 엔티티는 NT 안테나로부터 송신하기 위해 다중 (NT) 송신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상이한 행렬을 갖는 NC 코딩된 심볼 스트림 상에서 공간 확산을 실행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택일적으로, 송신 엔티티는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NT 송신 심볼 스트림 상에서 연속한 빔 형성을 실행할 수도 있다. 수신 엔티티는 ND 데이터 스트림을 복구하기 위해 상보적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1은 다중 안테나 송신 엔티티의 블록도이다.
도2는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 TX STTD 프로세서, 및 송신 엔티티의 공간 확산기의 블록도이다.
도3은 송신 엔티티에서의 NT 변조기의 블록도이다.
도4는 단일 안테나 수신 엔티티 및 다중 안테나 수신 엔티티의 블록도이다.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 예증, 실례"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소정의 실시예가 반드시 다른 실시예보다 바람직하거나 우월한 것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된 송신 기술 다중 입력 단일 출력(MISO) 및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MISO 송신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 및 단일 수신 안테나를 이용한다. MIMO 송신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한다.
송신 기술은 단일 캐리어 및 다중 캐리어 통신 시스템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다중 캐리어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MD), 소정의 다른 다중 캐리어 변조 방식, 또는 소정의 다른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OFDM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NF) 직교 주파수 서브 대역으로 분할하는데, 이들은 톤, 서브 캐리어, 빈, 주파수 채널 등으로도 불려진다. OFDM의 경우, 각각의 서브 대역은 데이터로 변조될 각각의 서브 캐리어와 관련된다. 단일의 캐리어 시스템은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또는 다른 단일 캐리어 변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 에 걸쳐 분포된 서브 대역 상에서 데이터 및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1)인터리빙된 FDMA(IFDMA) (2)인접한 서브 대역의 그룹 상에서 데이터 및 파일럿을 송신하는 로컬화된 FDMA(LFDMA), 또는 (3)인접한 서브 대역의 다수의 그룹상에서 데이터 및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강화된 FDMA(EFDMA)를 이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변조 심볼은 SC-FDMA(예를 들어, IFDMA, LFDMA, 및 EFDMA)를 이용하는 시간 도메인 및 OFDM을 이용하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명확화를 위해, 후술된 대부분의 설명은 OFDM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여기서 모든 NF 서브 대역은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하다.
송신 다이버시티는 STTD, SFTD, OTD, 공간 확산, 연속 빔 형성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STTD는 공간 및 시간 다이버시티를 달성하기 위해 두 심볼 기간에서 하나의 서브 대역 상에서 두 안테나로부터 데이터 심볼들의 쌍을 송신한다. SFTD는 공간 및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심볼 기간에서 두 서브 대역 상에서 두 안테나로부터 데이터 심볼들의 쌍을 송신한다. OTD는 공간 및 시간 다이버시티를 달성하기 위해 NO 직교 코드를 이용하여 NO 심볼 기간에서 하나의 서브 대역 상에서 NO 안테나로부터 다수 (NO)의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데, 여기서 NO≥2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심볼은 트래픽/패킷 데이터에 대한 변조 심볼이며, 파일럿 심볼은 파일럿에 대한 변조 심볼(이는 송신 및 수신 엔티티에 의해 선험적으로 알려진 데이터임)이며, 변조 심볼은 변조 방식(예를 들어, M-PSK 또는 M-QAM)에 대해 단일 콘스텔레이 션(constellation)에서의 포인트에 대한 복소값이며, 송신 심볼(예를 들어, OFDM 심볼)은 하나의 심볼 기간에 대해 단일 캐리어 또는 다중 캐리어 변조 방식에 의해 발생된 시간 도메인 샘플의 시퀀스이며, 심볼은 통상적으로 복소값이다.
공간 확산은 상기 심볼에 대해 사용된 조종 벡터에 의해 결정된 상이한 진폭 및/또는 위상을 갖는, 가능하면 동시에 다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심볼의 송신을 의미한다. 공간 확산은 조종 다이버시티, 송신 조종, 의사 랜덤 조종, 공간-시간 스크램블링 등으로 불려질 수도 있다. 공간 확산은 이러한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및/또는 정규 연산을 확장시키기 위해, STTD, SFTD, OTD, 및/또는 연속한 빔 형성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TD는 통상적으로 두 안테나로부터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송신한다. 공간 확산은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안테나로부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기 위해 STTD를 사용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연속한 빔 형성은 NF 서브 대역에 걸친 상이한 빔의 사용을 의미한다. 빔 형성은 빔이 서브 대역에 걸쳐 갑작스런 방식 대신에 단계적으로 변화한다는 점에서 연속적이다. 연속한 빔 형성은 각각의 서브 대역에 대한 심볼을 상기 서브 대역에 대해 빔 형성 행렬과 곱함으로써 주파수 도메인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연속한 빔 형성은 상이한 송신 안테나에 대해 상이한 순환 지연을 적용함으로써 시간 도메인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시간 도메인 연속 빔 형성은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로 불려질 수도 있다.
송신 다이버시티는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의 조합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다이버시티는 STTD, SFTD 또는 OTD와 공간 확산 또는 연속한 빔 형성과의 조합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송신 다이버시티는 STTD, SFTD 또는 OTD와 공간 확산 및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모두와의 조합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간략화를 위해, 이하의 설명의 대부분은 STTD의 사용을 가정한다.
도1은 다중 안테나 송신 엔티티(110)의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용자 터미널의 일부일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기지국, 기지국 송수신 시스템, 또는 소정의 다른 용어로 불려질 수도 있다. 사용자 터미널은 이동국, 무선 장치, 또는 소정의 다른 용어로 불려질 수도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송신 엔티티(110)는 STTD, 공간 확산, 및 데이터 송신의 연속한 빔 형성의 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는 ND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고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ND≥1이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프로세싱하고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함께 공동으로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코딩 및 변조 방식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 스크램블, 엔코딩, 인터리빙, 및 심볼 맵핑할 수도 있다. TX STTD 프로세서(120)는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0, 1 또는 다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STTD 엔코딩을 실행하고, NC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는데, ND ≥ ND 이다. 일반적으로, TX STTD 프로세서(120)는 STTD, SFTD, OTD 또는 소정의 다른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으로 소정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 또는 다수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공간 확산기(130)는 파일럿 심볼을 갖는 코딩된 심볼을 수신하여 다중화하고, 코딩된 심볼 및 파일럿 심볼을 상이한 조종 행렬과 곱함으로써 공간 확산을 실행하고, NT 송신 안테나에 대한 NT 송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는데, NT≥NC 이다. 각각의 송신 심볼은 하나의 심볼 기간에 하나의 서브 대역 상에서 하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될 복소 값이다. NT 변조기(MOD)(132a 내지 132nt)는 NT 송신 심볼 스트림을 수신한다. OFDM기반 시스템의 경우, 각각의 변조기(132)는 자신의 송신 심볼 스트림에 대해 OFDM 변조를 실행하고 시간 도메인 샘플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각각의 변조기(132)는 후술된 바와 같이, 자신의 안테나에 대한 상이한 순환 지연을 적용시킬 수 있다. NT 변조기(132a 내지 132nt)는 NT 샘플 스트림들을 각각 NT 송신기 유닛(TMTR)(134a 내지 134nt)으로 제공한다. 각각의 송신기 유닛(134)은 자신의 샘플 스트림을 조절(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 변환)하고 변조된 신호를 생성한다. NT 송신기 유닛(134a 내지 134nt)으로부터의 NT 변조된 신호는 각각 NT 송신 안테나(136a 내지 136nt)로부터 송신된다.
제어기(140)는 송신 엔티티(110)에서의 연산을 제어한다. 메모리(142)는 엔티티(110)를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송신 엔티티(110)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이용가능한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에 따라, STTD를 갖는 소정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및 STTD가 없는 소정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송신할 수도 있다.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위한 STTD 엔코딩은 이하와 같이 실행될 수 있다. 두 심볼 기간에서 전송될 데이터 심볼(sa 및 sb)의 각각의 쌍의 경우, TX STTD 프로세서(120)는 두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01
)를 생성하는데, 여기서 "*"는 공액 복소수를 의미하며, "T"는 전치행렬을 나타낸다. 택일적으로, TX STTD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심볼의 쌍(sa 및 sb)에 대해 두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02
)를 생성한다. 두 STTD 엔코딩 방식에 대해, 각각의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03
(t=1, 2)는 일 심볼 기간에서 NT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될 두 코딩된 심볼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NT≥2이다.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04
)는 제1 심볼 기간에서 전송되며,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05
)는 다음 심볼 기간에서 전송된다. 각각의 데이터 심볼은 두 벡터에 포함되고, 이어 두 심볼 기간에서 전송된다. m 번째 코딩된 심볼 스트림은 두 벡터 (
Figure 112007025813864-PCT00006
Figure 112007025813864-PCT00007
)의 m 번째 원소에 의해 형성된다. 간략화를 위해, 이하의 설명은 STTD 엔코딩 방식에 대한 것으로, 여기서
Figure 112007025813864-PCT00008
이다. 이러한 STTD 엔코딩 방식의 경우, 제1 코딩된 심볼 스트림은 코딩된 심볼(
Figure 112007025813864-PCT00009
)을 포함하며, 제2 코딩된 심볼 스트림은 코딩된 심볼(
Figure 112007025813864-PCT00010
)을 포함한다.
표1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4개의 구성을 나타낸다. ND×NC 구성은 NC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서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송신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NC≥1이고 NC≥ND 이다. 제1 열은 4개의 구성을 나타낸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제2 열은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수를 나타내며, 제3 열은 코딩된 심볼 스트림의 수를 나타낸다. 제4 열은 각각의 구성에 대해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나타내며, 제5 열은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나타내며, 제6 열은 각각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해 제1 심볼 기간(t=1)에 전송될 코딩된 심볼을 제공하며, 제7 열은 각각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해 두 번째 심볼 기간(t=2)에 전송될 코딩될 심볼을 제공한다. 각각의 2 심볼 간격으로 전송된 데이터 심볼의 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두 배, 또는 2ND와 동일하다. 제8 열은 각각의 구성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안테나의 수를 나타내며, 제9 열은 각각의 구성에 대해 요구되는 수신 안테나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25813864-PCT00011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STTD를 갖는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 또는 STTD가 없는 하나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표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STTD가 없이 전송된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경우, 제2 심볼 기간(t=2)에 전송된 데이터 심볼은 STTD를 갖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실행된 변화와 부합하도록 공액된다.
1×2 구성의 경우,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엔코딩된 STTD이다. 각각의 2 심볼 간격의 경우,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12
Figure 112007025813864-PCT00013
)는 데이터 심볼(sa 및 sb)로 생성된다. 벡 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14
)는 제1 심볼 기간에 적어도 두 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며,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15
)는 제2 심볼 기간에 동일한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수신 엔티티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복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한다.
2×3 구성의 경우, 두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3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 전송된다. 제1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코딩된 STTD이다. 제2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제3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서 STTD 없이 전송된다. 각각의 2 심볼 간격의 경우,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16
Figure 112007025813864-PCT00017
)는 데이터 심볼(sa, sb, sc 및 sd )로 생성되는데, 여기서 sa 및 sb는 제1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서 비롯되고, sc 및 sd는 제2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서 비롯된다.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18
)는 제1 심볼 기간에 적어도 3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며,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19
)는 제2 심볼 기간에 동일한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수신 엔티티는 두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복구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한다.
2×4 구성의 경우, 두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4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서 전송된다.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엔코딩된 STTD이다. 각각의 2심볼 간격의 경우,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20
Figure 112007025813864-PCT00021
)는 데이터 심볼(sa, sb, sc 및 sd )로 생성되는데, 여기서 sa 및 sb는 제1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서 비롯되고, sc 및 sd는 제2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서 비롯된다.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22
)는 제1 심볼 기간에 적어도 4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며,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23
)는 제2 심볼 기간에 동일한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수신 엔티티는 두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복구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한다.
3×4 구성의 경우, 세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4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 전송된다. 제1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코딩된 STTD이다. 제2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제3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서 STTD 없이 전송되며, 제3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제4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서 STTD 없이 전송된다. 각각의 2 심볼 간격의 경우,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24
Figure 112007025813864-PCT00025
)는 데이터 심볼(sa, sb, sc, sd, se 및 sf)로 생성되는데, 여기서 sa 및 sb는 제1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서 비롯되고, sc 및 sd는 제2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서 비롯되며, se 및 sf는 제3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서 비롯된다.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26
)는 제1 심볼 기간에 적어도 4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며,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27
)는 제2 심볼 기간에 동일한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수신 엔티티는 3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복구하기 위해 적어도 3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한다.
표1은 데이터 송신에 사용될 수도 있는 4개 구성예를 도시하는데, 각각의 구성은 STTD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을 갖는다. 다른 구성이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성은 STTD, SFTD 및 OTD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소정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송신 안테나의 소정수로부터 코딩된 심볼 스트림의 소정수로서 전송될 수 있는데, 여기서 ND≥1, NC≥ND, NT≥NC 및 NR≥ND이다.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STTD, SFTD, OTD 또는 소정의 다른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으로 코딩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하나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 또는 다수(예를 들어, 2)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송신 엔티티는 공간 확산 및 연속한 빔 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코딩된 심볼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25813864-PCT00028
여기서,
Figure 112007025813864-PCT00029
는 심볼 기간(t)에서 서브 대역(k) 상에서 전송될 NC 코딩된 심볼을 갖는 NC×1 벡터이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30
Figure 112007025813864-PCT00031
에서 NC 코딩된 심볼에 대해 대각을 따라 NC 게인 값 및 그 외에 0을 갖는 NC×NC 대각 행렬이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32
는 서브 대역(k)에 대해 공간 확산을 위한 NT×NC 조정 벡터이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33
는 서브 대역(k)에 대해 연속한 빔 형성을 위한 NT×NT 대각 벡터이며; 및
Figure 112007025813864-PCT00034
는 심볼 기간(t)에서 서브 대역(k)에 대해 NT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될 NT 송신 심볼을 갖는 NT×1 벡터이다.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35
)는 제1 심볼 기간에 전송될 NC 코딩된 심볼을 포함하며,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36
)는 제2 심볼 기간에 전송될 NC 코딩된 심볼을 포함한다.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37
Figure 112007025813864-PCT00038
)는 표에서 4개의 구성에 대해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게인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039
)은 NC 코딩된 심볼 스트림 각각에 대해 사용하기 위해 송신 전력의 양을 결정한다. 게인 행렬은 식(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대역 인덱스 k의 함수일 수도 있거나, 인덱스 k와 독립적인 함수일 수도 있다. 송신에 이용가능한 전체 송신 전력은 Ptotal로 표시된다. 실시예에서, 동일한 송신 전력은 NC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해 사용되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40
의 대각 원소는
Figure 112007025813864-PCT00041
와 동일한 값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송신 전력은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사용되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42
의 대각을 따르는 NC 게인 값은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동일한 전력을 획득하도록 한정된다. NC 게인 값은 구성에 따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로서, 2×3 구성의 경우, 제1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서 전송되며, 제2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하나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으로서 전송된다. 두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동일한 송신 전력을 획득 하기 위해, 3×3 게인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043
)은 3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한 대각을 따라
Figure 112007025813864-PCT00044
의 게인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서 각각의 코딩된 심볼은
Figure 112007025813864-PCT00045
에 의해 스케일링되고, 동일한 심볼 기간에 전송된 다른 두 개의 코딩된 심볼과 비교하여 두 배의 전력으로 송신된다. 두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심볼 기간에 대해 NC 코딩된 심볼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 대해 이용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을 이용하도록 스케일링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Figure 112007025813864-PCT00046
의 대각 원소는 NC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한 송신 전력의 소정의 양을 이용하고,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소정의 원하는 SNR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NC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한 전력 스케일링은 또한 적절한 게인을 갖는 조정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47
)의 열을 스케일링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주어진 데이터 심볼 스트림({s}로 표시함)은 다양한 방식으로 하나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
Figure 112007025813864-PCT00048
)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인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049
)은 대각을 따라 1을 포함하며, 코딩된 심볼 스트림(
Figure 112007025813864-PCT00050
)은 다른 코딩된 심볼 스트림과 동일한 전력 레벨로 송신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데이터 심볼{s}은 STTD 엔코딩된 데이터 심볼 스트림보다 더 낮은 송신 전력으로 전송되며, 결국 수신 엔티티에서 더 낮은 수신 SNR을 달성한다. 데이터 심볼 스트림{s}에 대한 코딩 및 변조는 원하는 성능, 예를 들어, 원하는 패킷 에러율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심볼 스트림({s})에서 각각의 데이터 심볼은 두 개의 심볼 기간에서 반복 및 송신된다. 예로서, 2×3 구성의 경우, 데이터 심볼(sc)은 두 심볼 기간에서 송신될 수도 있으며, 이어 데이터 심볼(sd)은 심볼 기간에 송신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유사한 수신 SNR을 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송신 엔티티에서의 코딩 및 변조와 수신 엔티티에서의 코딩 및 변조를 간략하게 할 수도 있다.
조정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051
)은 각각의 코딩된 심볼이 모든 NT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고 공간 다이버시티를 달성하도록 각각의 심볼 기간 동안 NC 코딩된 심볼을 공간적으로 확산시킨다. 공간 확산은 다양한 타입의 조정 행렬, 예를 들어, 왈시 행렬, 푸리에 행렬, 의사 랜덤 행렬 등으로 실행될 수도 있는데, 이는 후술된 바와 같이 생성될 수도 있다. 동일한 조정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052
)은 각각의 서브 대역(k)에 대한 두 개의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53
)에 대해 사용된다. 상이한 조정 행렬은 상이한 서브 대역 및/또는 상이한 시간 간격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시간 간격은 STTD에 대한 두 개의 심볼 기간의 정수배로 벌어질 수 있다.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054
)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한 빔 형성을 실행한다. OFDM 기반 시스템의 경우, 상이한 빔 형성 행렬은 각각의 서브 대역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대역(k)에 대한 빔 형성 행렬은 이하의 형태를 갖는 대각 행렬일 수도 있다:
Figure 112007025813864-PCT00055
여기서,
Figure 112007025813864-PCT00056
는 송신 안테나(i)의 서브 대역(k)에 대한 가중치이며, 가중치(
Figure 112007025813864-PCT00057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7025813864-PCT00058
여기서,
Figure 112007025813864-PCT00059
는 송신 안테나(i) 상의 시간 지연이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60
는 인접한 서브 대역들 사이의 주파수 공간이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61
는 서브 대역 인덱스(k)에 대응하는 실제 주파수이다. 예를 들어, 만일 NF = 64이며, 서브 대역 인덱스(k)는 1 내지 64가 될 것이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62
는 k-33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32 내지 +31의 범위일 수도 있다. 만일 전체 시스템 대역폭이 20MHz이고, NF = 64이면,
Figure 112007025813864-PCT00063
=20MHz/64=3.125kHz이다.
Figure 112007025813864-PCT00064
는 각각의 k의 값에 대한 실제 주파수(헤르쯔 단위)를 제공한다. 도3d에 도시된 가중치(
Figure 112007025813864-PCT00065
)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 대한 NF 전체 서브 대역에 걸쳐 점진적인 위상 시프트에 대응한다. 이러한 가중치는 효과적으로 각각의 서브 대역에 대한 상이한 빔을 형성한다.
연속한 빔 형성은 이하와 같이 시간 도메인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심볼 기간 동안, NF 포인트 이산 푸리에 역변환(IDFT) 또는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은 송신 안테나에 대해 NF 시간 도메인 샘플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송신 안테나(i)의 NF 서브 대역 상에 송신될 NF 송신 심볼에 대해 실행될 수도 있다. 각각의 송신 안테나(i)에 대한 NF 시간 도메인 샘플은 Ti만큼 주기적으로 또는 순환적으로 지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i
Figure 112007025813864-PCT00066
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112007025813864-PCT00067
는 하나의 샘플 기간, 샘플 기간의 일부, 또는 하나 이상의 샘플 기간과 동일할 수도 있다. 그 결과 각각의 안테나에 대한 시간 도메인 샘플은 상이한 양만큼 주기적으로 지연된다.
식(1)에서, 게인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068
)에 의한 스케일링은
Figure 112007025813864-PCT00069
로 설정함으로써 생략될 수 있으며, 공간 확산은
Figure 112007025813864-PCT00070
로 설정함으로써 생략할 수 있으며, 연속한 빔 형성은
Figure 112007025813864-PCT00071
로 설정함으로써 생략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Figure 112007025813864-PCT00072
는 대각을 따라 1을 포함하고 그 외는 0을 포함하는 단위 행렬이다. 따라서, 송신 엔티티는 적절한 행렬을 사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스케일링, 공간 확산, 및 연속한 빔 형성을 실행할 수도 있다. 공간 확산 및 연속한 빔 형성을 위한 행렬은
Figure 112007025813864-PCT00073
로 결합될 수도 있다. 스케일링, 공간 확산 및 연속한 빔 형성을 위한 행렬은
Figure 112007025813864-PCT00074
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어, 송신 엔티티는(
Figure 112007025813864-PCT00075
또는
Figure 112007025813864-PCT00076
)로 데이터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77
)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 을 실행할 수 있다.
송신 엔티티는 또한 SFTD, 공간 확산, 및 가능하게는 연속한 빔 형성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SFTD의 경우, 송신 엔티티는 STTD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두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78
Figure 112007025813864-PCT00079
)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벡터들을 하나의 심볼 기간에 두 서브 대역 상에서 전송할 수도 있다. 1×2 구성의 경우, 두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80
Figure 112007025813864-PCT00081
)는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하나의 심볼 기간에 두 개의 서브 대역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 심볼의 각각의 쌍에 대해 생성될 수도 있다. 2×3 구성의 경우, 두 데이터 심볼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82
Figure 112007025813864-PCT00083
)는 두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하나의 심볼 기간에 두 개의 서브 대역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 심볼의 각각의 쌍에 대해 생성될 수도 있다. 2×4 구성의 경우, 두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84
Figure 112007025813864-PCT00085
)는 두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하나의 심볼 기간에 두 개의 서브 대역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 심볼의 두 쌍에 대해 생성될 수도 있다. 3×4 구성의 경우, 두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86
Figure 112007025813864-PCT00087
)는 세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하나의 심볼 기간에 두 개의 서브 대역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 심볼의 세 쌍에 대해 생성될 수도 있다. 모든 구성에 대해, 송신 엔티티는 하나의 심볼 기간에 하나의 서브 대역 상 에서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88
)를 공간적으로 확산 및 송신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심볼 기간에 다른 서브 대역 상에서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89
)를 공간적으로 확산 및 송신할 수도 있다. 두 서브 대역은 서로에 대해 통상적으로 인접한다.
송신 엔티티는 OTD, 공간 확산 및 가능하게는 연속한 빔 형성의 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OTD의 경우, 송신 엔티티는 다수의 (NO)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90
Figure 112007025813864-PCT00091
)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NO 심볼 기간에 하나의 서브 대역 상에서 이러한 벡터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NO = 2의 경우, 송신 엔티티는 (1)하나의 송신 안테나에 대해 두 개의 코딩된 심볼(sa 및 sb)을 생성하기 위해 데이터 심볼(sa)과 {+1 +1}의 제1 직교 코드를 곱함으로써, (2)다른 송신 안테나에 대해 두 개의 코딩된 심볼(sb 및 -sb)을 생성하기 위해 데이터 심볼(sb)과 {+1 -1}의 제2 직교 코드를 곱함으로써, 그리고 (3)
Figure 112007025813864-PCT00092
Figure 112007025813864-PCT00093
를 형성함으로써, 두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94
Figure 112007025813864-PCT00095
)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NO 데이터 심볼은 NO 송신 안테나에 대해 NO 코딩된 심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NO 차분(different) 직교 코드와 곱해질 수도 있다. 각각의 코딩된 심볼 시퀀스는 NO 코딩된 심볼을 포함하며, 하나의 데이터 심볼을 길이(NO)의 특정 직교 코드와 곱함으로써 생성된다. 직교 코드는 왈시 코드, OVSF 코드 등일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송신 다이버시티는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시간, 주파수 및/또는 공간 도메인에서 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는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96
)를 조정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97
)와 곱함으로써 식(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098
)를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 대해 시간 도메인 샘플을 순환적으로 지연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는
Figure 112007025813864-PCT00099
를 이용한 공간 프로세싱 및 시간 도메인 샘플의 주기적 지연의 조합으로 달성된다. 모든 실시예에 대해,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100
)는 STTD, SFTD, OTD 또는 소정의 다른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2는 송신 엔티티(110)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112), TX STTD 프로세서(120), 및 공간 확산기(130)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는 ND 데이터 스트림을 독립적으로 프로세싱하는 ND 데이터 스트림 프로세서(210a 내지 210nd)를 포함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 프로세서(210) 내에서, 엔코더(212)는 코딩 방식에 따라 트래픽 데이터를 엔코딩하고 코드 비트를 생성한다. 엔코딩 방식은 컨볼루션 코드, 터보 코드, 저밀도 패리티 체크(LDPC) 코드, 주기적 리던던시 체크(CRC) 코드, 블록 코드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리버(214)는 인터리빙 방식에 기초하여 코드 비트를 인터리빙(또는 리오더링)한다. 심볼 맵퍼(216)는 변조 방식에 따라 인터리빙된 비트를 맵핑하고 데이터 심볼을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 및 변조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레이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 프로세서(210a 내지 210nd)는 ND 데이터 스트림 심볼을 제공한다.
도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는 STTD로 전송될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과 STTD 없이 전송될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을 결합하여 프로세싱한다. 예를 들어,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는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코딩 방식에 기초한 데이터 스트림을 엔코딩하고, 코드 비트를 ND 코딩된 비트 스트림으로 디멀티플렉싱하고, ND 코딩된 비트 스트림에 대해 개별적으로 인터리빙 및 심볼 맵핑을 실행하여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생성한다. 또한 도2에 도시되지 않은 또다른 실시예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는 STTD로 전송될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 및 STTD 없이 전송될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을 독립적으로 프로세싱한다. 예를 들어,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는 STTD로 전송될 제1 데이터 스트림, 및 STTD 없이 전송될 제2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는 STTD로 전송될 (ND-NC)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제1 데이터 스트림을 엔코딩, 인터리빙, 심볼 맵핑, 및 디멀티플렉싱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는 또한 STTD 없이 전송될 (2ND-NC)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데이터 스트림을 엔코딩, 인터리빙, 심볼 맵핑, 및 디멀티플렉싱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는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 스트림(들)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TX STTD 프로세서(120)는 ND 데이터 심볼 안테 나에 대해 ND STTD 엔코더(220a 내지 220nd)를 포함한다. 각각의 STTD 엔코더(220)는 자신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STTD 엔코딩을 실행하고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멀티플렉서(Mux)(222)에 제공한다. 멀티플렉서(222)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12)로부터 ND 데이터 심볼 스트림 및 STTD 엔코더(220a 내지 220nd)로부터 코딩된 심볼 스트림의 ND 쌍을 수신한다.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경우, 멀티플렉서(222)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 또는 코딩된 심볼 스트림의 관련된 쌍을 제공한다. 멀티플라이어(224a 내지 224nc)는 각각 게인(g1 내지 gNc)을 갖는 멀티플라이어(222)로부터 NC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스케일링하고, ND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스케일링은 송신 경로 내의 다른 위치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공간 확산기(130)는 NF 서브 대역에 대해 NF 공간 프로세서(230a 내지 230nf)를 포함한다. 디멀티플렉서(Demux)(228)는 NC 코딩된 심볼 스트림 및 파일럿 심볼을 수신하고, 서브 대역 상에 코딩된 심볼 및 데이터 송신에 대해 사용된 심볼 기간을 제공하며, 서브 대역 상에 파일럿 심볼 및 파일럿 송신을 위해 사용된 심볼 기간을 제공한다. 각각의 공간 프로세서는 하나의 심볼 기간에 관련된 서브 대역(k) 상에서 전송될 NC 코딩된 심볼 및/또는 파일럿 심볼을 수신하며, 코딩된 심볼 및/또는 파일럿 심볼을 조정 벡터(
Figure 112007025813864-PCT00101
)와 곱하고, 서브 대역(k) 상에서 NT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될 NT 송신 심볼을 제공한다. 멀티플렉 서(232)는 모든 NF 공간 프로세서(230a 내지 230nf)로부터 송신 심볼을 수신하고 각각의 공간 프로세서(230)로부터의 NT 송신 심볼을 NT 송신 심볼 스트림으로 맵핑한다. 각각의 송신 심볼 스트림은 하나의 송신 안테나에 대해 NF 송신 프로세서(230a 내지 230nf)로부터 NF 송신 심볼을 포함한다.
도3은 송신 엔티티(110)에서 변조기(132a 내지 132nt)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각각의 변조기(132) 내에서, IDFT 유닛(312)은 하나의 심볼 기간에 NF 서브 대역 상에서 전송될 NF 송신 심볼에 대해 NF 포인트 IDFT 또는 IFFT를 실행하고 NF 송신 도메인 샘플을 제공한다. 병렬-직렬 변환기(P/S Conv)(314)는 NF 시간 도메인 샘플을 차례로 나열한다. 순환 시프트 유닛(316)은
Figure 112007025813864-PCT00102
에 의해 NF 시간 도메인 샘플의 주기적 또는 순환적 시프팅을 실행하는데, 여기서,
Figure 112007025813864-PCT00103
는 고정된 기간(예를 들어, 하나의 샘플 기간)이며,
Figure 112007025813864-PCT00104
는 송신 안테나(i)에 대한 주기적 시프트의 양이다. 순환 프리픽스 생성기(318)는 유닛(316)으로부터 NF 순환 시프팅된 샘플을 수신하고, NCP 샘플의 순환 프리픽스를 첨부하고, NF +NCP 샘플을 포함하는 OFDM 심볼(또는 송신 심볼)을 제공한다. 시간 도메인 연속 빔 형성은 순환 시프트 유닛(316a 내지 316nt)이 단순히 시간 도메인 샘플을 P/S 변환기(314a 내지 314nt)로부터 순환 프리픽스 생성기(318a 내지 318nt)로 각각 통과하게 함으로써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순환 시프트(316a 내지 316nt)는 상이한 양만큼 P/S 변환기(314a 내지 314nt)로부터 시간 도메인 샘플을 (주기적으로 지연하는 대신) 단지 지연함으로써, 안테나(136a 내지 136nt)로부터의 송신이 상이한 양만큼 지연되게 한다.
도4는 단일 안테나 수신 엔티티(150x) 및 다중 안테나 수신 엔티티(150y)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각각의 수신 엔티티는 기지국 또는 사용자 터미널의 일부일 수도 있다.
단일 안테나 수신 엔티티(150x)에서, 안테나(152x)는 송신 엔티티(110)에 의해 송신된 NT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수신기 유닛(RCVR)(154x)으로 제공한다. 수신기 유닛(154x)은 수신된 신호를 조절(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주파수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하고 수신된 샘플의 스트림을 복조기(Demod)(156x)로 제공한다. OFDM 기반 시스템의 경우, 복조기(156x)는 수신된 심볼을 획득하기 위해 수신된 샘플에 대한 OFDM 복조를 실행하고, 디코더(158)에 수신된 데이터 심볼을 제공하며, 채널 추정기(162)에 수신된 파일럿 심볼을 제공한다. 채널 추정기(162)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된 각각의 서브 대역에 대해 송신 엔티티(110)와 수신 엔티티(150x) 사이의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SO) 채널에 대해 유효 채널 응답 추정을 유도한다. 검출기(158)는 상기 서브대역에 대한 유효 SISO 채널 응답 추정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브 대역에 대해 수신된 데이터 심볼에 대한 데이터 검출(예를 들어, 등화)을 실행하고 서브 대역에 대해 복구된 데이터 심볼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60)는 복구된 데이터 심볼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심볼 디맵핑,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다중 안테나 수신 엔티티(150y), NR 안테나(152a 내지 152nr)는 NT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안테나(152)는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수신기 유닛(154)으로 제공한다. 각각의 수신기 유닛(154)은 자신의 수신된 신호를 조절하고 수신된 샘플 스트림을 관련된 복조기(Demod)(156)에 제공한다. 각각의 복조기(156)는 수신된 샘플 스트림에 대해 (적용 가능한 경우) OFDM 복조를 실행하고, RX 공간 프로세서(170)로 수신된 데이터 심볼을 제공하고, 수신된 파일럿 심볼을 채널 추정기(166)에 제공한다.
채널 추정기(166)는 모든 NR 수신 안테나에 대해 수신된 파일럿 심볼을 획득하고, 데이터 송신에 대해 사용된 각각의 서브 대역에 대해 송신 엔티티(110)와 수신 엔티티(150y) 사이의 실제 또는 유효 MIMO 채널에 대한 채널 응답 추정을 유도한다. 만일 송신 엔티티(110)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심볼과 동일한 방식으로 파일럿 심볼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면, 조정 행렬은 무선 채널의 일부로서 뷰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 엔티티(150y)는 유효 MIMO 채널의 추정을 유도할 수도 있는데, 이는 실제 MIMO 채널 응답 및 조정 행렬의 효과를 포함한다. 만일 송신 엔티티(110)가 파일럿 심볼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지 않으면, 수신 엔티티(150y)는 실제 MIMO 채널의 추정을 유도하고 실제 MIMO 채널 응답 추정 및 조정 행렬에 기초하여 유효 MIMO 채널의 추정을 유도할 수도 있다.
정합 필터 생성기(168)는 상기 서브 대역에 대해 채널 응답 추정에 기초한 송신에 사용된 각각의 서브 대역에 대한 공간 필터 매트릭스(
Figure 112007025813864-PCT00105
)를 유도한다. RX 공간 프로세서(170)는 모든 NR 수신 안테나에 대한 수신된 데이터 심볼을 획득하고 송신 엔티티(110)에 의해 사용된 STTD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수신 데이터 심볼에 대한 사전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RX 공간 프로세서(170)는 상기 서브 대역에 대한 공간 필터 매트릭스로 각각의 서브 대역에 대한 사전 프로세싱된 데이터 심볼에 대한 수신기 공간 프로세싱(또는 공간 정합 필터링)을 추가로 실행하고 서브 대역에 대한 검출된 심볼을 제공한다. RX STTD 프로세서(172)는 송신 엔티티(110)에 의해 사용된 STTD 방식에 기초하여 검출된 심볼에 대한 사전 프로세싱을 실행하고 복구된 데이터 심볼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74)는 복구된 데이터 심볼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심볼 디맵핑,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기(180x 및 180y)는 각각 수신 엔티티(150x 및 150y)에서 연산을 제어한다. 메모리(182x 및 182y)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및/또는 각각 수신 엔티티(150x 및 150y)에 대한 코드를 프로그램한다.
조정 행렬의 다양한 타입은 공간 확산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정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106
)은 왈시 행렬, 푸리에 행렬, 또는 소정의 다른 행렬일 수도 있다. 2×2 왈시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107
)은
Figure 112007025813864-PCT00108
으로 표현될 수 있다. 큰 크기의 왈시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109
)은 이하와 같이 더 작은 크기의 왈시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110
)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25813864-PCT00111
N×N 푸리에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112
)은 m 번째 열의 n 번째 행에서 원소(
Figure 112007025813864-PCT00113
)를 갖는데, 이는 다음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7025813864-PCT00114
소정의 정방 차원(예를 들어, 2, 3, 4, 5 등)의 푸리에 행렬이 형성될 수도 있다.
왈시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115
), 푸리에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116
), 또는 소정의 다른 행렬이 다른 조정 행렬을 형성하기 위해 기본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117
)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N×N 기본 행렬의 경우, 기본 행렬의 각각의 행들(2 내지 N)은 M개의 상이한 가능한 스칼라 중 하나와 독립적으로 곱해질 수도 있다. MN-1개의 상이한 조정 행렬이 N-1행에 대해 M 스칼라의 MN-1개의 상이한 순열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행(2 내지 N)은 +1, -1, +j 또는 -j의 스칼라로 곱해질 수도 있으며, 여기서, j=
Figure 112007025813864-PCT00118
이다. N=4의 경우, 64개의 상이한 조정 행렬들이 4개의 상이한 스칼라를 갖는 기본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119
)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다. 추가의 조정 행렬은 다른 스탈라, 예를 들어,
Figure 112007025813864-PCT00120
등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기본 행렬의 각각의 행은
Figure 112007025813864-PCT00121
의 형태를 갖는 소정의 스칼라로 곱해질 수도 있는데, 여기서
Figure 112007025813864-PCT00122
는 소정의 위상 값일 수 있다. N×N 조정 행렬의 세트는
Figure 112007025813864-PCT00123
처럼 N×N 기본 행렬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Figure 112007025813864-PCT00124
Figure 112007025813864-PCT00125
는 기본 행렬(
Figure 112007025813864-PCT00126
)로 생성된 i번째 조정 행렬이다.
Figure 112007025813864-PCT00127
에 의한 스케일링은
Figure 112007025813864-PCT00128
의 각각의 행렬이 단위 파워(power)를 갖는 것을 보장한다. 세트에서의 조정 행렬은 상이한 서브 대역 및/또는 시간 간격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조정 행렬은 의사 랜덤 방식으로도 생성될 수 있다. 조정 행렬은 통상적으로 서로 직교하는 열을 갖는 통상적으로 1원 행렬이다. 조정 행렬은 각각의 열에 대해 직교 열 및 단위 파워를 갖는 직교 행렬일 수도 있어서,
Figure 112007025813864-PCT00129
이다. 정방이 아닌 차원의 조정 행렬은 정방 조정 행렬의 하나 이상의 열을 삭제함으로써 얻으질 수 있다.
상이한 조정 행렬이 상이한 시간 간격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조정 행렬이 SFTD에 대한 상이한 심볼 기간에 대해 그리고 STTD 및 OTD에 대한 상이한 2 심볼 기간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OFDM 기반 시스템의 경우, 상이한 조정 행렬이 STTD 및 OTD에 대한 상이한 서브 대역에 대해, 그리고 SFTD에 대한 서브 대역의 상이한 쌍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상이한 조정 행렬은 상이한 서브 대역 및 상이한 심볼 기간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상이한 조정 행렬의 사용으로 (시간 및/또는 주파수에 걸친) 조정 다이버시티에 의해 제공된 램덤화는 무선 채널의 유해한 효과를 경감시킬 수 있다.
설명된 송신 기술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술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의 경우, 송신 엔티티에서의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장치(DSPD),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의 경우, 기술은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는 모듈(예를 들어, 절차, 기능 등)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기술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설명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용 및 사용가능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며, 설명된 일반 원칙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광의의 사상에 부합된다.

Claims (32)

  1. 코딩된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해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고, 다수의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송신 심볼들을 생성하도록 상기 코딩된 심볼들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다수의 행렬을 이용한 공간 확산을 실행하고 상이한 주파수 서브 대역, 상이한 시간 간격, 또는 이 둘 모두에 대한 상이한 행렬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다수의 행렬을 이용한 빔 형성을 실행하고 상이한 주파수 서브 대역에 대한 상이한 행렬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코딩된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 시간 송신 다이버시티(STTD)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코딩된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SFTD)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코딩된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해 직교 송신 다이버시티(OTD)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두 심볼 기간에 주파수 서브 대역 상에서 전송될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심볼들을 획득하고, 두 세트의 코딩된 심볼들을 생성하도록 상기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고, 두 심볼 기간에 상기 주파수 서브 대역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두 세트의 상기 코딩된 심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하나의 심볼 기간에 두 주파수 서브 대역 상에서 전송될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심볼들을 획득하고, 두 세트의 코딩된 심볼들을 생성하도록 상기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고, 상기 심볼 기간에 상기 두 주파수 서브 대역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두 세트의 상기 코딩된 심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안테나에 대한 송신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안테나에 대한 상기 송신 심볼들에 대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변조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안테나에 대한 송신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안테나에 대한 상기 송신 심볼들에 대해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변조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다수의 안테나에 대한 상이한 주기적 지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심볼들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안테나에 대한 송신 심볼들을 생성하고, 다수의 안테나에 대한 상기 송신 심볼들을 음이 아닌 상이한 정수들의 샘플들만큼 주기적으로 지연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코딩된 심볼들을 생성하도록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단계; 및
    다수의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송신 심볼들을 생성하도록 상기 코딩된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상기 코딩된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시간 송신 다이버시티(STTD) 방식,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SFTD) 방식, 또는 직교 송신 다이버시티(OTD)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된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단계는,
    다수의 행렬을 이용하여 공간 확산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이한 주파수 서브 대역, 상이한 시간 간격, 또는 이 둘 모두에 대해 상이한 행렬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테나에 대해 상이한 주기적 지연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코딩된 심볼들을 생성하도록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수단; 및
    다수의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송신 심볼들을 생성하도록 상기 코딩된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수단은,
    상기 코딩된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시간 송신 다이버시티(STTD) 방 식,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SFTD) 방식, 또는 직교 송신 다이버시티(OTD)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된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수단은,
    다수의 행렬을 이용하여 공간 확산을 실행하는 수단; 및
    상이한 주파수 서브 대역, 상이한 시간 간격, 또는 이 둘 모두에 대해 상이한 행렬을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테나에 대해 상이한 주기적 지연을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고, 다수의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다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시간 송신 다이버시티(STTD) 방식,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SFTD) 방식, 또는 직교 송신 다이버시티(OTD)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행렬을 이용한 공간 확산을 실행하고, 상이한 주파수 서브 대역, 상이한 시간 간격, 또는 이 둘 모두에 대한 상이한 행렬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전송될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행렬을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게인을 갖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스케일링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게인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스케일링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코딩 및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단계; 및
    다수의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다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시간 송신 다이버시티(STTD) 방식,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SFTD) 방식, 또는 직교 송신 다이버시티(OTD)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단계는,
    다수의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한 공간 확산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이한 주파수 서브 대역, 상이한 시간 간격, 또는 이 둘 모두에 대한 상이한 행렬들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수단; 및
    다수의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다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수단은,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시간 송신 다이버시티(STTD) 방식,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SFTD) 방식, 또는 직교 송신 다이버시티(OTD)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수단은,
    다수의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코딩된 심볼 스트림에 대한 공간 확산을 실행하는 수단; 및
    상이한 주파수 서브 대역, 상이한 시간 간격, 또는 이 둘 모두에 대한 상이한 행렬들을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7007641A 2004-09-03 200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공간-시간 및 공간-주파수 송신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한 공간 확산 KR100945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737104P 2004-09-03 2004-09-03
US60/607,371 2004-09-03
US60822604P 2004-09-08 2004-09-08
US60/608,226 2004-09-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636A Division KR100945956B1 (ko) 2004-09-03 200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공간-시간 및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한 공간 확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560A true KR20070088560A (ko) 2007-08-29
KR100945957B1 KR100945957B1 (ko) 2010-03-05

Family

ID=355024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641A KR100945957B1 (ko) 2004-09-03 200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공간-시간 및 공간-주파수 송신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한 공간 확산
KR1020097006636A KR100945956B1 (ko) 2004-09-03 200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공간-시간 및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한 공간 확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636A KR100945956B1 (ko) 2004-09-03 200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공간-시간 및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한 공간 확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894548B2 (ko)
EP (2) EP2802087B1 (ko)
JP (1) JP4564060B2 (ko)
KR (2) KR100945957B1 (ko)
AR (1) AR050795A1 (ko)
CA (1) CA2579215C (ko)
DK (1) DK1790089T3 (ko)
ES (2) ES2527862T3 (ko)
HU (2) HUE032598T2 (ko)
PL (1) PL1790089T3 (ko)
PT (1) PT1790089E (ko)
TW (1) TWI366996B (ko)
WO (1) WO200602905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208B1 (ko) * 2007-12-17 2009-08-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a 시스템에서 사용자간 시공간 블록 부호화와순환 지연 다이버시티를 동시 사용하는 기지국 및 단말기
KR20210028730A (ko) * 2018-07-31 2021-03-12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멀티캐리어 온-오프 키잉 신호의 프로비전을 위한 방법, 송신기, 구조체, 트랜시버 및 액세스 포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810B2 (en) 2000-09-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OFDM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7295509B2 (en) 2000-09-13 2007-11-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thod in an OFDM multiple access system
US8204149B2 (en) 2003-12-17 2012-06-19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spreading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7302009B2 (en) * 2003-12-17 2007-11-27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transmission with spatial spreading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7336746B2 (en) * 2004-12-09 2008-02-26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with spatial spreading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8169889B2 (en) * 2004-02-18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and spatial spreading for an OFDM-based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38111A1 (en) * 2004-04-09 2005-10-27 Wallace Mark S Spatial processing with steering matrices for pseudo-random transmit steering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8285226B2 (en) 2004-05-07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Steering diversity for an OFDM-based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8923785B2 (en) * 2004-05-0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Continuous beamforming for a MIMO-OFDM system
US7110463B2 (en) * 2004-06-30 2006-09-19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computation of spatial filter matrices for steering transmit diversity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978649B2 (en) 2004-07-15 2011-07-12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MIMO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9148256B2 (en) 2004-07-2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based rank prediction for MIMO design
US9137822B2 (en) 2004-07-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ing over access channel
US7978778B2 (en) * 2004-09-03 2011-07-12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structures for spatial spreading with space-time or space-frequency transmit diversity
US7436903B2 (en) * 2004-09-29 2008-10-14 Intel Corporation Multicarri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 data streams with cyclic delay diversity
KR100938091B1 (ko) * 2004-10-13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록 부호화기법과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는 기지국송신 장치 및 방법
US9246560B2 (en) 2005-03-1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and rate control in a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s
US8995547B2 (en) * 2005-03-11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uplink resources to provide channel performance feedback for adjustment of downlink MIMO channel data rates
US8724740B2 (en) 2005-03-11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uplink resources to provide channel performance feedback for adjustment of downlink MIMO channel data rates
US9154211B2 (en) 2005-03-1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feedback in multi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US8446892B2 (en) 2005-03-16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ructures for a quasi-orthogonal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3305B2 (en) 2005-03-1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0972B2 (en) 2005-03-17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61859B2 (en) 2005-03-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515312B2 (ja) * 2005-03-31 2010-07-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送信方法および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US9184870B2 (en) 2005-04-01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channel signaling
US9036538B2 (en) 2005-04-1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ping design for single carrier FDMA systems
US9408220B2 (en) 2005-04-19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quality reporting for adaptive sectorization
US7502408B2 (en) * 2005-04-21 2009-03-10 Broadcom Corporation RF transceiver having adaptive modulation
KR101100199B1 (ko) * 2005-05-02 201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Ifdma 시스템의 대역 제한 방법
US8339930B2 (en) * 2005-05-16 2012-12-25 Qualcomm Incorporated Pilot transmission and channel estimation with pilot weighting
US8014463B2 (en) * 2005-05-25 2011-09-06 Qualcomm Incorporated Delay diversity and spatial rotation systems and methods
US8611284B2 (en) 2005-05-31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supplemental assignments to decrement resources
US8879511B2 (en) 2005-10-27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Assignment acknowledge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65194B2 (en) * 2005-10-27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Puncturing signaling channe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62859B2 (en) 2005-06-01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Sphere decoding apparatus
US8126066B2 (en) * 2005-06-09 2012-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ime and frequency channel estimation
US8599945B2 (en) 2005-06-1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rank prediction for a MIMO system
US9179319B2 (en) 2005-06-16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ectorization in cellular systems
US8885628B2 (en) 2005-08-08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ode division multiplexing in 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20070041457A1 (en) 2005-08-22 2007-02-22 Tamer Kadou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09956B2 (en) 2005-08-22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Segment sensitive scheduling
US8073068B2 (en) * 2005-08-22 2011-12-06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virtual antenna transmission
US8644292B2 (en) 2005-08-24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36974B2 (en) 2005-08-30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Precoding and SDMA support
US20070071125A1 (en) * 2005-09-29 2007-03-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fdma transmission
US9144060B2 (en) 2005-10-2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shared signaling channels
KR100652440B1 (ko) * 2005-10-27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 및 그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US8693405B2 (en) 2005-10-27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SDMA resource management
US9225488B2 (en) *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ignaling channel
US8582509B2 (en) 2005-10-27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172453B2 (en) 2005-10-2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ding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system
US8477684B2 (en) 2005-10-27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 of control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88384B2 (en) 2005-10-27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ymbo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045512B2 (en) 2005-10-27 2011-10-25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10651B2 (en) * 2005-10-27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strap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582548B2 (en) 2005-11-18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7672400B2 (en) * 2005-12-29 2010-03-02 Celeno Communications (Israel) Ltd. Method of secure WLAN communication
US20070153760A1 (en) 2005-12-29 2007-07-05 Nir Shapir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751353B2 (en) 2005-12-29 2010-07-06 Celeno Communications (Israel)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ecuring wireless communication
US9071435B2 (en) 2005-12-29 2015-06-30 Celeno Communications Ltd.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transmission parameters in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systems with aged and noisy channel estimation
US7656965B2 (en) * 2005-12-29 2010-02-02 Celeno Communications (Israel) Ltd. Method of secure WLAN communication
TWI446763B (zh) 2006-01-11 2014-07-21 Interdigital Tech Corp 以不等調變及編碼方法實施空時處理方法及裝置
US8543070B2 (en) 2006-04-24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complexity beam-steered MIMO OFDM system
CN101563952B (zh) * 2006-04-25 2012-05-09 Lg电子株式会社 在混合自动请求操作中通过利用资源来传送数据的方法
US8290089B2 (en) * 2006-05-22 2012-10-16 Qualcomm Incorporated Derivation and feedback of transmit steering matrix
US8194760B2 (en) 2006-06-01 2012-06-05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space-time coding in wireless radio networks
JP2008028515A (ja) * 2006-07-19 2008-02-07 Nec Corp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44165B2 (ja) 2006-08-14 2012-10-10 株式会社東芝 マルチアンテナ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機、受信機及び方法
KR20080020934A (ko) * 2006-09-01 2008-03-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송신 장치, 생성방법 및 생성 장치
EP2060022B1 (en) 2006-09-06 2016-02-17 Qualcomm Incorporated Codeword permutation and reduced feedback for grouped antennas
US20080080434A1 (en) 2006-09-28 2008-04-03 Guy Wolf Method and apparatus of system scheduler
WO2008050995A2 (en) * 2006-10-23 2008-05-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cyclic delay diversity
US8027407B2 (en) 2006-11-06 2011-09-27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ynchronous space-time coded transmission from multiple base stations over wireless radio networks
US8059732B2 (en) 2006-11-28 2011-11-15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deband transmission from multiple non-collocated base stations over wireless radio networks
KR20090110310A (ko) * 2007-01-19 2009-10-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병렬 인코딩 및 디코딩을 이용한 단일 캐리어 블럭 송신 방법 및 시스템
US8509710B2 (en) * 2007-02-06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MIMO transmission with explicit and implicit cyclic delays
US8780771B2 (en) * 2007-02-06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Cyclic delay diversity and precod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7995671B2 (en) * 2007-02-09 2011-08-0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transmission with rank-dependent precoding
DK2119038T3 (da) * 2007-02-13 2015-06-22 Ericsson Telefon Ab L M Fremgangsmåder og systemer til kombineret forkodning og cyklisk forsinkelsesdiversitet
US8861356B2 (en) 2007-03-13 2014-10-14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ized information delivery with network coding over time-varying network topologies
US8130864B1 (en) * 2007-04-03 2012-03-06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 and method of beamforming with reduced feedback
WO2008136184A1 (ja) * 2007-04-26 2008-11-13 Panasonic Corporation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064548B2 (en) 2007-05-18 2011-11-22 Ntt Docomo, Inc. Adaptive MaxLogMAP-type receiver structures
US8798202B2 (en) 2007-06-15 2014-08-0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using sounding PPDUs to provide range extension to IEEE 802.11n signals
EP2003808B1 (en) 2007-06-15 2013-09-18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 for space time coding using training symbols to provide transmission range extension
US8379749B2 (en) 2007-06-19 2013-02-19 Ntt Docomo, Inc.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US8160177B2 (en) * 2007-06-25 2012-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 methods with delay diversity and space-frequency diversity
US20090005120A1 (en) 2007-06-28 2009-01-01 Elektrobit Wireless Communications Oy Transmission method for common channels
JP5109707B2 (ja) * 2008-02-19 2012-12-2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325840B2 (en) 2008-02-25 2012-12-04 Ntt Docomo, Inc. Tree position adaptive soft output M-algorithm receiver structures
JP4874275B2 (ja) * 2008-02-29 2012-02-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マルチキャスト/ブロードキャスト通信方法
US8279954B2 (en) 2008-03-06 2012-10-02 Ntt Docomo, Inc. Adaptive forward-backward soft output M-algorithm receiver structures
JP5031670B2 (ja) * 2008-06-02 2012-09-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送信装置、基地局及びシンボル送信方法
US8565329B2 (en) 2008-06-03 2013-10-22 Ntt Docomo, Inc. Soft output M-algorithm receiver structures with generalized survivor selection criteria for MIMO systems
JP2011525321A (ja) * 2008-06-12 2011-09-15 ノーテル・ネットワークス・リミテッド Sc−fdma伝送ダイバーシティ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0010966A (ja) * 2008-06-25 2010-01-14 Sumitomo Electric Ind Ltd 無線通信装置、及びmimo無線通信における信号送信方法
KR101534349B1 (ko) * 2008-06-26 2015-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tbc 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KR101567078B1 (ko) * 2008-06-26 2015-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507170B1 (ko) * 2008-06-26 2015-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Sc-fdma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467586B1 (ko) * 2008-06-26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497154B1 (ko) * 2008-06-26 2015-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c-fdma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440628B1 (ko) * 2008-08-11 2014-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Sc-fdma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00019947A (ko) 2008-08-11 2010-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KR101603338B1 (ko) 2008-08-11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8229443B2 (en) 2008-08-13 2012-07-24 Ntt Docomo, Inc. Method of combined user and coordination pattern scheduling over varying antenna and base-station coordination patterns in a multi-cell environment
US8705484B2 (en) 2008-08-15 2014-04-22 Ntt Docomo, Inc. Method for varying transmit power patterns in a multi-cell environment
US8451951B2 (en) 2008-08-15 2013-05-28 Ntt Docomo, Inc. Channel classification and rate adaptation for SU-MIMO systems
US8542640B2 (en) 2008-08-28 2013-09-24 Ntt Docomo, Inc. Inter-cell approach to operating wireless beam-forming and user selection/scheduling in multi-cell environments based on limited signaling between patterns of subsets of cells
US8855221B2 (en) 2008-09-15 2014-10-07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terative receiver structures for OFDM/MIMO systems with bit interleaved coded modulation
US9608780B2 (en) * 2008-09-23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for SC-FDMA
WO2010056068A2 (ko) 2008-11-14 2010-05-20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3113382B1 (en) 2008-11-14 2017-08-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13652B1 (ko) * 2008-12-30 2011-02-10 주식회사 세아네트웍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
US8681685B2 (en) * 2009-04-28 2014-03-25 Alcatel Lucent Method and device in RSs of jointly processing and a method and device in BSs of corresponding processing
US9048977B2 (en) 2009-05-05 2015-06-02 Ntt Docomo, Inc. Receiver terminal driven joint encoder and decoder mode adaptation for SU-MIMO systems
US8275019B2 (en) 2009-06-16 2012-09-25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chemes for multiuser single-carrier space time spreading with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US8514961B2 (en) 2010-02-04 2013-08-20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space-time coding in wireless radio networks
DE102010003646A1 (de) * 2010-04-06 2011-10-06 Robert Bosch Gmbh Antennenanordnung für Fahrzeuge zum Senden und Empfangen
US8737506B1 (en) * 2010-12-29 2014-05-2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etermination of transmit diversity transmission delays
CN103188044A (zh) * 2011-05-19 2013-07-03 北京新岸线移动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US8837271B1 (en) * 2012-10-04 2014-09-16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 downlink resource block among multiple users
US9622233B1 (en) 2014-06-16 2017-04-11 Sprint Spectrum L.P. Dynamic use of orthogonal coding to manage control channel capacity
US9955458B1 (en) * 2014-12-03 2018-04-24 Sprint Spectrum L.P. Shared allocation of a downlink resource block
WO2016134529A1 (zh) * 2015-02-27 2016-09-0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多入多出系统中的数据传输方法、装置和网络设备
WO2016152175A1 (ja) 2015-03-26 2016-09-29 ソニー株式会社 装置
CN107733592B (zh) 2016-08-10 2020-11-27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方案指示方法、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7863995B (zh) * 2016-09-21 2020-09-11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数据接收方法、设备及系统
CN109495149B (zh) * 2017-09-11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和系统
US10673500B2 (en) 2018-06-25 2020-06-02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closed-loop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d transparent diversity schemes
US11219011B1 (en) 2020-03-18 2022-01-04 Sprint Spectrum L.P. Coordinated use of enhanced downlink control channels (ePDCCHs) in shared spectrum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51284C (en) 1994-02-10 2000-04-25 Kazuhiko Fukawa Adaptive spread spectrum receiver
US5604921A (en) 1995-07-07 1997-02-18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telephone user interface for broadcast short message service
US6134215A (en) 1996-04-02 2000-10-17 Qualcomm Incorpoated Using orthogonal waveforms to enable multiple transmitters to share a single CDM channel
EP0931388B1 (en) 1996-08-29 2003-11-05 Cisco Technology, Inc. Spatio-temporal processing for communication
US6584144B2 (en) * 1997-02-24 2003-06-24 At&T Wireless Services, Inc. Vertical adaptive antenna array for a discrete multiton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US6408016B1 (en) 1997-02-24 2002-06-18 At&T Wireless Services, Inc. Adaptive weight update method and system for a discrete multiton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US6058105A (en) 1997-09-26 2000-05-02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6618454B1 (en) 1998-02-06 2003-09-09 At&T Corp. Diversity coded OFDM for high data-rate communication
US6198775B1 (en) 1998-04-28 2001-03-06 Ericsson Inc. Transmit diversity method, systems, and terminals using scramble coding
US6175743B1 (en) 1998-05-01 2001-01-16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to a restricted group of subscribers
BR9913277A (pt) 1998-09-04 2001-09-25 At & T Corp Codificação de bloco-espaço e codificação de canal combinado em um arranjo de multi-antenas
US6678263B1 (en) * 1998-09-18 2004-01-13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constructions for space-time codes for PSK constellations for spatial diversity in multiple-element antenna systems
US6363121B1 (en) 1998-12-07 2002-03-26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for antenna arrays using unitary space-time signals
US6956668B2 (en) * 1999-09-22 2005-10-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duction of high fidelity copies by consideration of a receiver's characteristics
DE60028592T2 (de) 1999-10-19 2007-05-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 Wilmington Empfänger zur mehrbenutzererkennung von cdma-signalen
US6804307B1 (en) 2000-01-27 2004-10-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transmit diversity using complex space-time block codes
US6473467B1 (en) 2000-03-22 2002-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US6542556B1 (en) 2000-03-31 2003-04-01 Nokia Mobile Phones Ltd. Space-time code for multiple antenna transmission
US6842487B1 (en) 2000-09-22 2005-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yclic delay diversity for mitigating intersymbol interference in OFDM systems
US7050510B2 (en) 2000-12-29 2006-05-23 Lucent Technologies Inc. Open-loop diversity technique for systems employing four transmitter antennas
KR100743361B1 (ko) 2001-01-12 2007-07-26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공간-시간 확산 방식을 이용한 다중전송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수신 방법
EP1241824A1 (en) 2001-03-14 2002-09-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lexing method in a multicarrier transmit diversity system
GB0108381D0 (en) 2001-04-04 2001-05-23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982946B2 (en) 2001-04-05 2006-0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rtly orthogonal multiple code trees
US7173981B1 (en) 2001-04-27 2007-02-06 The Directv Group, Inc. Dual layer signal processing in a layered modulation digital signal system
JP2002344415A (ja) * 2001-05-14 2002-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キャリア通信方法及びマルチキャリア通信装置
US6711124B2 (en) 2001-05-25 2004-03-23 Ericsson Inc. Time interval based channel estimation with transmit diversity
CN100414861C (zh) 2001-05-25 2008-08-27 明尼苏达大学董事会 无线通信网中的空时编码传输
US6999472B2 (en) * 2001-05-30 2006-02-14 Nokia Mobile Phones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pace-time encoding, and decoding, data at a selected code rate
FR2827439B1 (fr) * 2001-07-13 2003-10-24 Leroy Somer Moteurs Machine discoide
US7149254B2 (en) * 2001-09-06 2006-12-12 Intel Corporation Transmit signal preprocessing based on transmit antennae correlations for multiple antennae systems
KR200260860Y1 (ko) 2001-10-25 2002-01-17 김지환 접이식 휴대폰 충전기
US7095987B2 (en) 2001-11-15 2006-08-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d uplinked-signal based adaptive downlink diversity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6760388B2 (en) 2001-12-07 2004-07-06 Qualcomm Incorporated Time-domain transmit and receive processing with channel eigen-mode decomposition for MIMO systems
US20030112745A1 (en) 2001-12-17 2003-06-19 Xiangyang Zhuang Method and system of operating a coded OFDM communication system
CN100571101C (zh) 2002-01-04 2009-12-16 诺基亚公司 高传输速率的分集发射与接收
US7020110B2 (en) 2002-01-08 2006-03-2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MIMO-OFDM communication systems
US7076263B2 (en) 2002-02-19 2006-07-1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partial channel-state information (CSI)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US6847306B2 (en) 2002-05-17 2005-01-25 Keyvan T. Diba Emergency traffic signal attachment
GB0212165D0 (en) 2002-05-27 2002-07-03 Nokia Corp A wireless system
FI20021013A0 (fi) 2002-05-29 2002-05-29 Nokia Corp Tiedonsiirtomenetelmä ja -järjestelmä
KR100548311B1 (ko) * 2002-06-07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다이버시티 장치와 방법
US7095709B2 (en) 2002-06-24 2006-08-22 Qualcomm, Incorporated Diversity transmission modes for MIMO OFDM communication systems
JP2004064108A (ja) * 2002-07-24 2004-02-26 Natl Univ Of Singapore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US6940917B2 (en) 2002-08-27 2005-09-06 Qualcomm, Incorporated Beam-steering and beam-forming for wideband MIMO/MISO systems
US7031669B2 (en) 2002-09-10 2006-04-18 Cognio, Inc. Techniques for correcting for phase and amplitude offsets in a MIMO radio device
US20040081263A1 (en) 2002-10-24 2004-04-29 Lee King F.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versity transmissions
US7002900B2 (en) 2002-10-25 2006-02-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processing for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8320301B2 (en) 2002-10-25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IMO WLAN system
US7324429B2 (en) 2002-10-25 2008-01-29 Qualcomm, Incorporated Multi-mode terminal in a wireless MIMO system
US8208364B2 (en) 2002-10-25 2012-06-26 Qualcomm Incorporated MIMO system with multiple spatial multiplexing modes
US7356073B2 (en) 2003-09-10 2008-04-0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an advanced MIMO receiver that includes a signal-plus-residual-interference (SPRI) detector
US7302009B2 (en) 2003-12-17 2007-11-27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transmission with spatial spreading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8204149B2 (en) 2003-12-17 2012-06-19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spreading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7194042B2 (en) 2004-01-13 2007-03-20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with spatial spreading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336746B2 (en) 2004-12-09 2008-02-26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with spatial spreading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8923785B2 (en) 2004-05-0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Continuous beamforming for a MIMO-OFDM system
US7978778B2 (en) 2004-09-03 2011-07-12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structures for spatial spreading with space-time or space-frequency transmit diversit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208B1 (ko) * 2007-12-17 2009-08-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a 시스템에서 사용자간 시공간 블록 부호화와순환 지연 다이버시티를 동시 사용하는 기지국 및 단말기
KR20210028730A (ko) * 2018-07-31 2021-03-12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멀티캐리어 온-오프 키잉 신호의 프로비전을 위한 방법, 송신기, 구조체, 트랜시버 및 액세스 포인트
US11750425B2 (en) 2018-07-31 2023-09-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transmitter, structure, transceiver and access point for provision of multi-carrier on-off keying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790089E (pt) 2015-01-14
HUE024175T2 (en) 2016-02-29
TW200631340A (en) 2006-09-01
KR20090036610A (ko) 2009-04-14
HUE032598T2 (en) 2017-10-30
ES2628541T3 (es) 2017-08-03
JP2008512900A (ja) 2008-04-24
TWI366996B (en) 2012-06-21
US7894548B2 (en) 2011-02-22
ES2527862T3 (es) 2015-01-30
JP4564060B2 (ja) 2010-10-20
CA2579215A1 (en) 2006-03-16
KR100945957B1 (ko) 2010-03-05
WO2006029050A3 (en) 2006-05-04
DK1790089T3 (en) 2015-01-19
EP1790089B1 (en) 2014-10-15
AR050795A1 (es) 2006-11-22
WO2006029050A2 (en) 2006-03-16
CA2579215C (en) 2013-01-29
EP1790089A2 (en) 2007-05-30
EP2802087B1 (en) 2017-03-15
PL1790089T3 (pl) 2015-03-31
KR100945956B1 (ko) 2010-03-05
EP2802087A1 (en) 2014-11-12
US20060067421A1 (en)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95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공간-시간 및 공간-주파수 송신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한 공간 확산
KR100906276B1 (ko) 공간-시간 또는 공간-주파수 전송 다이버시티를 이용한공간 확산을 위한 수신기 구조
JP2008512900A5 (ko)
RU2360372C2 (ru) Управление разнесением для системы связи с множеством антенн, основанной на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и с ортогональным частот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ofdm)
KR100909802B1 (ko) Ofdm의 시변 사이클릭 지연 다이버시티
KR100855481B1 (ko) Ofdm 기반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을 위한 송신다이버시티 및 공간 확산
KR100887909B1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채널에서 대역폭 효율의 증대를 위한방법 및 시스템
RU2331984C2 (ru)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е кодирование с расширением спектра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множеством антенн
US20100003931A1 (en) Transmission schemes for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utilizing multi-carrier modulation
JP2006518556A (ja) マルチキャリヤmimoシステムに関する伝送方法
JP2006081131A (ja) 位相ホッピング送信ダイバーシチを用いたmimo−ofdm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