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440A - 장식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식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440A
KR20070088440A KR1020077000145A KR20077000145A KR20070088440A KR 20070088440 A KR20070088440 A KR 20070088440A KR 1020077000145 A KR1020077000145 A KR 1020077000145A KR 20077000145 A KR20077000145 A KR 20077000145A KR 20070088440 A KR20070088440 A KR 20070088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sin sheet
shape
resin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8440A/ko
Publication of KR2007008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2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수지 시트(13) 및 제1 수지 시트(13)의 표면에 형성된 착색 모양(16)으로 구성된 모양 시트(18)와, 모양 시트(18)의 착색 모양(16)이 형성된 면과 용착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14)와, 모양 시트(18)와 대향하는 측의 표면이 조면화되어 이 조면화된 표면에 제2 수지 시트(14)가 용착된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기재(11)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접착제를 이용하는 일 없이 큰면적의 모양 시트(18)를 기재(11)에 강고하게 첩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조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장식 부재 및 그 제조 방법{DECORATION MEM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문, 엘리베이터칸의 문 혹은 엘리베이터칸의 벽 등에 사용되는 금속 장식 패널(panel) 등, 무기재료제의 기재 표면에 착색 모양을 형성하는 장식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문, 엘리베이터칸(엘리베이터 룸(room))의 문 혹은 엘리베이터칸의 벽 등에 사용되는 금속 장식 패널을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하지(下地) 도장층이 표면에 입혀진 금속제의 기재 상에 접착제를 통해 착색 모양이 인쇄된 모양 시트(sheet)를 붙여 금속 장식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또, 이 방법에 이용되는 모양 시트는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고, 이 잉크 수용층에 안료 잉크에 의한 착색 모양을 인쇄함으로써 제작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특개2001-130196호 공보)에는 투명한 친수성 수지와 이 친수성 수지에 혼입되어 응집한 상태의 2차 입자 지름이 400 nm 이하인 안료 미립자를 갖는 잉크 수용층을, 접착제층을 통해 열가소성 수지 시트에 접착하 고, 또한 잉크 수용층에 착색 모양을 인쇄함으로써 모양 시트를 제작하는 공정, 무기재료제의 기재 상에 수지 도료에 의해서 하지가 되는 도장층을 형성하는 공정, 도장층의 표면을 조면화(粗面化)하는 공정, 열가소성 수지 시트가 도장층에 접합되도록 모양 시트를 기재에 겹치는 공정, 및 모양 시트를 가열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도장층에 용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장식 부재의 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이 장식 부재는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기재, 이 기재 상에 형성되고 표면이 조면화되어 있는 도장층, 이 도장층 상에 용착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층, 이 열가소성 수지층에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되어 착색제에 의한 착색 모양이 형성되고 있는 잉크 수용층, 및 이 잉크 수용층상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보호막층을 구비하고, 상기 잉크 수용층은 투명한 친수성 수지와 이 친수성 수지에 혼입되어 응집한 상태의 2차 입자 지름이 400 nm 이하인 안료 미립자를 갖고 있다」는 것이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개2001-130196호 공보(도 1, 문단 0005, 001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서는 모양 시트와 하지 도장층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고 있지만, 단지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접착력은 얻지 못하고, 또한 큰면적의 모양 시트를 전체에 균등하게 접착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 요즘 건축 관계에는 시크(chic) 하우스 대책이 요구되고 있어, 접착제를 이용해 큰면적의 모양 시트를 하지 도장층에 접착하면, 문제가 되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 물질이 잔류할 가능성이 높다.
또, 기재 표면에 하지가 되는 도장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나, 이 도장층의 표면을 조면화하는 공정 등을 갖고 있으므로, 모양 시트의 접착까지 상당한 가공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큰면적의 모양 시트를 무기재료제의 기재에 강고하게 첩합(貼合)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조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이 가능한 장식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장식 부재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수지 시트 및 상기 제1 수지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착색 모양으로 구성된 모양 시트와, 상기 모양 시트의 상기 착색 모양이 형성된 면과 용착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와, 상기 모양 시트와 대향하는 측의 표면이 조면화되고 이 조면화된 표면에 상기 제2 수지 시트가 용착된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기재를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장식 부재는 상기 기재의 조면화된 표면에 올가노실란(organosilane)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수지 시트의 표면에 착색제를 인쇄해 착색 모양이 형성된 모양 시트를 제작하는 모양 시트 제작 공정과,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기재의 표면을 조면화하는 기재 표면 조면화공정과, 상기 기재 표면 조면화공정에 의해 조면화된 상기 기재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를 겹쳐서 배치하는 제2 수지 시트 배치 공정과, 상기 모양 시트의 상기 착색 모양이 형성된 면이 상기 제2 수지 시트와 접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수지 시트에 상기 모양 시트를 겹쳐서 배치하는 모양 시트 배치 공정과, 상기 기재의 표면에 상기 제2 수지 시트와 모양 시트가 겹쳐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는 패널체를 진공 압착한 상태로 가열하고, 상기 기재와 상기 제2 수지 시트 및 상기 제2 수지 시트와 상기 모양 시트를 용착시키는 용착 공정을 갖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2 수지 시트 배치 공정의 전에 상기 기재의 조면화된 표면에 올가노실란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공정을 갖고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장식 부재에 의하면, 모양 시트의 착색 모양은 제1 수지 시트의 표면에 형성되므로, 종래(즉, 특개 2001-130196호 공보에 개시된 장식 부재 혹은 그 제조 방법)의 잉크 수용층은 불필요하고, 또 조면화된 기재의 표면에 모양 시트의 착색 모양이 형성된 면이 용착된 제2 수지 시트가 직접 용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도장막이나 접착제층이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된다.
아울러, 간단한 구조면서 큰면적의 모양 시트를 기재 표면에 강고, 및 균등하게 첩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식 부재에 의하면 기재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큰면적의 모양 시트를 기재 표면에 더욱 강고하게 첩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래(즉, 일본 특개2001-130196호 공보에 개시된 장식 부재 혹은 그 제조 방법)의 잉크 수용층의 형성 행정(行程), 접착제층의 형성 행정, 도장막의 형성 공정 등은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 공정을 큰폭으로 간략화하여 큰면적의 모양 시트를 무기재의 기재 표면에 강고하게 첩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기재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행정을 갖고 있으므로, 큰면적의 모양 시트를 무기재의 기재 표면에 더욱 강고하게 붙여 맞출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장식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장식 부재의 모양 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모양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기재의 표면에 제2 수지 시트와 모양 시트를 겹칠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장식 부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공 배기대(排氣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진공 배기대를 갖는 장식 부재의 제조 장치(진공 압착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기재의 표면에 제2 수지 시트와 모양 시트가 겹쳐진 패널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진공 압착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진공 압착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진공화(眞空引) 개시 전의 진공 압착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진공화 되었을 때의 진공 압착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장식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코팅층에 함유된 올가노실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기재, 코팅층 및 제2 수지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1; 기재, 12; 코팅층, 13; 제1 수지 시트, 14; 제2 수지 시트, 16; 착색 모 양, 18; 모양 시트, 20; 롤(roll), 21; 컴퓨터, 22; 잉크젯 프린터, 1; 진공 배기대, 31a; 평면부, 31b; 요부(凹部), 31c; 배기 통로, 32; 패킹, 33; 배기 파이프, 34; 패널체, 35; 탄성체, 36; 커버, 37; 누름 틀, 38; 누름 쇠(金), 39; 가압 조정 기구(스프링)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아울러, 각 도면 간에 있어서 동일 부호는 동일 혹은 상당한 것인 것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 부재(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용의 장식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1은 원하는 패널 형상으로 절곡(折曲)하여 가공된 기재이다.
기재(11)는, 예를 들면 구리, 철, 티타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합금 등의 금속이나 유리 등의 무기재료가 단독으로 혹은 복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11)의 표면은 소성 변형에 의해 미소한 요철이 형성되어 조면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샌드 쇼트(sand shot) 가공, 헤어라인(hair line) 가공, 무방향인 샌딩(sanding) 가공, 종횡만의 샌딩 가공,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가공에 의해 기재(11)의 표면이 조면화된다.
이것에 의해, 종래(즉, 일본 특개2001-130196호 공보에 개시된 장식 부재 혹은 그 제조 방법)와 같이 기재(11)의 표면에 도장막을 형성하여 이 도장막의 표면을 조면화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도장막의 형성이 불필요해진다.
13은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수지 시트이며, 이 제1 수지 시트(13)의 한쪽 표면에는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착색제에 의한 착색 모양(16)이 형성되어 있다.
18은 모양 시트이며, 모양 시트(18)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수지 시트(13)와 이 제1 수지 시트(13)의 표면에 형성된 착색 모양(16)으로 구성되어 있다. 14는 후술하는 제2 수지 시트이다.
아울러, 도 2는 이 모양 시트(18)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모양 시트(18)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20은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수지 시트(13)가 미리 원통형으로 감겨 있는 롤이다.
또, 21은 마이크로컴퓨터, 22는 이 마이크로컴퓨터(21)에 접속된 잉크젯 프린터이다.
제1 수지 시트(13)의 표면에 착색 모양(16)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롤(20)로부터 제1 수지 시트(13)를 인출하여 잉크젯 프린터(22)에 장착한다.
잉크젯 프린터(22)는 마이크로컴퓨터(21)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으며, 제1 수지 시트(13)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송출하면서 소정의 착색 모양(16)이 제1 수지 시트(13)의 표면에 형성되도록 착색제를 제1 수지 시트(13)의 표면에 뿜어 칠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수지 시트(13)의 표면에 소정의 착색 모양(16)이 형성된 모양 시트(18)가 제조된다.
아울러, 제1 수지 시트(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의 시트)의 표면에 착색제를 직접 뿜어 칠하여 착색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요즈음의 잉크젯 방식에 의한 인쇄 기술의 진보에 의한 것이다.
이 인쇄 기술의 진보에 의해서, 모양 시트를 제작할 때에 종래(즉, 일본 특개2001-130196호 공보에 개시된 장식 부재 혹은 그 제조 방법)와 같은 잉크 수용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졌다.
이것에 의해, 제1 수지 시트(13)의 표면에 착색 모양(16)이 직접 형성된 모양 시트(18)의 제조가 가능해져 종래(즉, 일본 특개2001-130196호 공보에 개시된 장식 부재 혹은 그 제조 방법)와 같이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고, 이것에 착색 모양을 인쇄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4는 기재(11)의 표면에 제2 수지 시트(14)와 모양 시트(18)를 겹칠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11)의 조면화되어 있는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14)가 겹처지고, 또한 제2 수지 시트(14) 위에 착색 모양(16)이 접하도록 모양 시트(18)가 겹쳐진다.
아울러, 기재(11)의 표면에 제2 수지 시트(14)와 모양 시트(18)가 겹쳐진 것을 후술하는 패널체라 칭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모양 시트(18)를 기재(11)에 진공 압착하는 공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장식 부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공 배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평판 모양의 진공 배기대(31)는 기재(11)가 재치(載置)되는 평면부(31a), 이 평면부(31a)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요부(31b), 이러한 요부(31b) 내를 배기하기 위한 복수의 배기 통로(31c)를 갖고 있다.
평면부(31a)의 주연부(周緣部)에는 평면부(31a)의 기밀(氣密)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32)이 사방에 걸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진공 배기대(31)를 갖는 장식 부재의 제조 장치(즉, 진공 압착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31은 진공 배기대이며, 진공 배기대(31)의 측면부에는 배기 통로(31c)를 배기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배기 파이프(33)가 접속되어 있다.
진공 배기대(31)의 평면부(31a) 상에는 기재(11)에 모양 시트(18)를 겹쳐서 이루어진 패널체(34)가 재치된다.
도 7은 패널체(34)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상기 패널체(3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면조도(面粗度)로 조면화된 기재(11)의 표면에 제2 수지 시트(14)가 겹쳐지고, 또한 이 제2 수지 시트(14)에 모양 시트(18)가 겹쳐져 있다.
패널체(34) 상에는 환기성을 갖는 시트상의 탄성체(35)가 피복될 수 있다.
이 탄성체(35)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스펀지, 테플론(등록상표) 스펀지, 폴리아미드 스펀지, 실리콘 섬유 시트, 테플론(등록상표) 섬유 시트, 폴리아미드 섬유 시트, 유리 섬유 시트, 유리 섬유면, 스테인레스 스틸 울, 티탄 울, 또는 알루미늄 울 등, 수지, 유리, 금속 등의 내열성과 유연성을 구비한 것이 사용된다.
탄성체(35) 상에는 사방에 걸쳐 패킹(32)에 접하고, 평면부(31a)와의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시트상의 커버(36)가 씌워진다.
이 커버(36)로는 예를 들면 고무 시트, 폴리에틸렌 시트, 또는 규소 시트 등이 사용된다. 커버(36)의 주연부는 누름 틀(37)과 패킹(32) 사이에 협지(挾持)된다.
누름 틀(37)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금속, FRP,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시멘트 등, 충분한 강성, 내열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진공 압착 장치를 조립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진공 배기대(31) 및 누름 틀(37) 조립체의 측부에는 누름 틀(37)을 패킹(32)에 가압하는 복수의 누름 쇠(38)가 장착된다.
각 누름 쇠(38)에는 용수철 등의 가압 조정 기구(39)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틀(37)의 한 변과 진공 배기대(31)의 한 변을 경첩 기구에 의해 접속해도 되고, 이것에 의해서 진공 배기대(31)에 대한 누름 틀(37)의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한다.
다음으로, 도 10은 도 6에 나타낸 진공 압착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이 상태에서는 아직 진공화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로부터 배기 펌프가 구동되어 배기 통로(31c)를 통해 요부(31b) 내가 진공화된다.
이것에 의해, 커버(36)와 진공 배기대(31) 사이의 공기가 배출되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36)가 대기압으로 패널체(34)(즉, 기재(11)의 표면에 제2 수지 시트(14)와 모양 시트(18)가 겹쳐진 것)에 가압되어 탄성체(35)가 압축된다.
또, 모양 시트(18)와 제2 수지 시트(14)의 사이도 탈기(脫氣)되어 모양 시트(18)와 제2 수지 시트(14)는 밀착된다.
이 후, 진공화된 채의 상태로 진공 압착 장치가 도시되지 않은 건조로(乾燥爐)에 넣어져 패널 본체(34)가 진공 압착 장치와 함께 가열된다.
이와 같은 가열에 의해 커버(36)의 유연성이 증가하고, 보다 미세한 부분까지 커버(36)가 대기압에서 패널체(34)에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착색 모양(16)이 제1 열가소성 수지(13)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모양 시트(18)는 착색 모양(16)이 제2 수지 시트(14)에 접한 상태로 탄성체(35)를 통해 제2 수지 시트(14)에 전면에 걸쳐서 균등하게 압착하여 용착된다.
아울러, 이 때 제1 열가소성 수지(13)와 제2 수지 시트(14)는 동일한 재질의 열가소성 수지이므로, 가열 압착하여 용착됨으로써 제1 열가소성 수지(13)와 제2 수지 시트(14)의 접합 강도는 커진다.
따라서, 종래(즉, 일본 특개2001-130196호 공보에 개시된 장식 부재 혹은 그 제조 방법)의 접착제층은 불필요해진다.
또한, 제2 수지 시트(14)는 가열된 상태로 탄성체(35)를 통해 기재(11)의 조면화된 표면의 전면에 걸쳐서 균등하게 압착된다.
기재(11)의 표면은 미소한 요철이 형성되어 조면화되어 있으므로, 가열에 의해 연화한 제2 수지 시트(14)의 기재(11)쪽 면은 기재(11) 표면의 요부에까지 비집고 들어가, 제2 수지 시트(14)와 기재(11)는 강고하게 용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식 부재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수지 시트(13) 및 상기 제1 수지 시트(13)의 표면에 형성된 착색 모양으로 구성된 모양 시트(18)와, 이 모양 시트(18)의 착색 모양(16)이 형성된 면과 용착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14)와, 모양 시트(18)와 대향하는 측의 표면이 조면화되고 이 조면화된 표면에 제2의 수지 시트(14)가 용착된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기재(11)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수지 시트(13)의 표면에 착색제를 인쇄해 착색 모양(16)이 형성된 모양 시트(18)를 제작하는 모양 시트 제작 공정과,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기재(11)의 표면을 조면화하는 기재 표면 조면화 공정과, 기재 표면 조면화 공정에 의해 조면 화된 기재(11)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14)를 겹쳐서 배치하는 제2 수지 시트 배치 공정과, 모양 시트(18)의 착색 모양(16)이 형성된 면이 제2 수지 시트(14)와 접하도록 하여 제2 수지 시트(14)에 모양 시트(18)를 겹쳐서 배치하는 모양 시트 배치 공정과, 기재(11)의 표면에 제2 수지 시트(14)와 모양 시트(18)가 겹쳐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는 패널체(34)를 진공 압착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기재(11)와 제2 수지 시트(14) 및 제2 수지 시트(14)와 모양 시트(18)를 용착시킨 용착 공정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식 부재 혹은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접착제를 이용하는 일 없이(즉,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일 없이) 모양 시트(18)가 용착된 제2 수지 시트(14)를 기재(11)의 표면 전체에 걸쳐 균등, 및 강고하게 용착할 수 있다.
즉, 제2의 수지 시트(14)를 통해 모양 시트(18)를 기재(11)의 표면에 균등, 및 강고하게 용착(고착)할 수 있다.
또, 착색 모양(16)은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인 제1 수지 시트(13)와 가소성 수지 사이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1 수지 시트(13)는 착색 모양(16)의 보호막으로서의 기능이 있다.
그 때문에, 착색 모양(16)은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찰과나 청소 작업에 의해 벗겨지거나 찰상(擦傷)을 발생시키지 않고, 장식 부재로서의 품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즉, 일본 특개2001-130196호 공보에 개시된 장식 부재 혹은 그 제조 방법)의 것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고, 접착제의 도포 공정이 없으며, 진공 압착도 한 번만으로 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도 간략하게 되어 제조 시간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식 부재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장식 부재에 있어서, 더욱 기재의 조면화된 표면에 올가노실란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2 수지 시트 배치 공정 전에 기재의 조면화된 표면에 올가노실란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공정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식 부재 혹은 그 제조 방법은, 코팅층을 형성하는 점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주로 코팅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즉, 코팅층의 형성 방법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주로 코팅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즉,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팅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도 12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 부재(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용의 장식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2는 코팅층이며, 코팅층(12)은 원하는 패널 형상으로 절곡하여 가공된 무기재료(구리, 철, 티타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합금 등의 금속이나 유리 등) 기재(1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하게, 기재(11)의 표면은 소성 변형에 의해서 미소한 요철이 형성되어 조면화되어 있다.
코팅층(12)은 올가노실란으로 불리는 코팅제가 기재(11)의 표면에 도포된 것으로서, 코팅층(12)의 막 두께는 기재(11) 표면의 요철에 대해서 충분히 얇은 것이다.
코팅층(12)의 재료가 되는 올가노실란으로는,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 실란, β-(3,4-에폭시 싱크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 실란, γ-글리시덱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γ-글리시덱시메틸디에톡시 실란, γ-글리시덱시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γ-글리시덱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 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 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또는 γ-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실온 내지 비점 정도의 온도로 설정되어 욕조에 넣어진 아세톤, 계면 활성제, 알코올 등의 용액 중에 표면이 조면화된 기재(11)를 수분 내지 수십분 정도 침지하여 탈지(脫脂)한다.
다음으로, 수도물의 스프레이 혹은 수도물로의 침지 등의 방법에 의해 탈지된 기재(11)를 물로 세척한다. 덧붙여, 이 때의 수도물의 온도는 실온 정도이다.
계속하여, 순수(純水)한 스프레이 혹은 순수로의 침지 등의 방법에 의해 기재(11)를 물로 세척한다. 덧붙여, 이 때의 순수의 온도도 실온 정도이다.
순수에서 물로 세척한 후 기재(11)를 수분 내지 수십분간 건조한다.
기재(11)를 건조시킨 후에 알코올이나 에테르 등의 저비점 용재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1~10% 정도까지 희석되어 있는 액상의 올가노실란을 스프레이나 침지 등의 방법에 의해 기재(11)의 조면화되어 있는 표면에 코팅한다.
그 후, 건조 공정에 들어가며, 건조실 내에서 예를 들면 50℃~100℃ 정도의 실온에서 수분 내지 수십분간 올가노실란이 코팅되어 있는 기재(11)를 건조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기재(11)의 조면화된 표면에 코팅층(12)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13은 코팅층(12)에 포함된 올가노실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올가노실란은 무기계 실릴기(silil group)와 유기계 관능기를 가진 구조로 되어 있다. 유기계 관능기는 예를 들면 아미노기, 메타크릴옥시기, 또는 비닐기 등이다.
또, 기재(11)로서 예를 들면 강판(鋼板)을 이용했을 경우, 기재(11) 측의 분자 배열은 Fe와 O가 교대로 병렬되어(산화철) 표면에 수산기가 결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14) 측의 단면에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기 또는 에스테르카르보닐 등이 존재하고 있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기재(11), 코팅층(12) 및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14)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올가노실란의 유기계 관능기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14)의 카르복시기 또는 에스테르카르보닐기 등과 반응하여 알코올이나 수분을 배출하고, 예를 들면 아미드를 생성하는 형태로 화학 결합을 한다.
또, 무기계 실릴기는 기재(11)의 표면에 있는 수산기와 반응하여 알코올을 배출하고, 예를 들면 산소 공유하는 형태로 화학 결합을 한다.
이러한 화학 결합에 의해서 무기재료의 기재(11) 상에 유기계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14)가 코팅층(12)을 통해 강고하게 결합된다.
또, 올가노실란은 일반적인 접착제나 도막 등과는 달리, 1분자층이 기재(11)의 표면을 덮을 정도로 유효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기재(11) 표면의 물리적 형상에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와 같이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서는 올가노실란을 포함하는 코팅층(12)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2 수지 시트(14) 및 코팅층(12)을 통해 무기질의 기재(11) 위에 모양 시트(18)를 더욱 강고 및 균등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 기재(11)의 표면은 조면화되어 있으므로, 기재(11)의 표면적이 커져 모양 시트(18)를 보다 강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식 부재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장식 부재에 있어서 기재(11)의 조면화된 표면에 추가로 올가노실란을 포함하는 코팅층(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2 수지 시트 배치 공정 전에 기재(11)의 조면화된 표면에 올가노실란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공정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무기계의 기재(11) 상에 유기계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14)가 코팅층(12)을 통해 균등 및 강고하게 결합되므로, 실시형태 1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큰면적의 모양 시트(18)를 기재(11)에 더욱 강고하게 첩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은 접착제를 이용하는 일 없이 큰면적의 모양 시트를 무기재료제의 기재에 강고하게 첩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조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이 가능한 장식 부재 혹은 그 제조 방법의 제공에 유용하다.

Claims (4)

  1.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수지 시트 및 상기 제1 수지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착색 모양으로 구성된 모양 시트와,
    상기 모양 시트의 상기 착색 모양이 형성된 면과 용착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와,
    상기 모양 시트와 대향하는 측의 표면이 조면화되고, 이 조면화된 표면에 상기 제2 수지 시트가 용착된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기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조면화된 표면에 올가노실란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
  3.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수지 시트의 표면에 착색제를 인쇄하여 착색 모양이 형성된 모양 시트를 제작하는 모양 시트 제작 공정과,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기재의 표면을 조면화하는 기재 표면 조면화공정과,
    상기 기재 표면 조면화공정에 의해 조면화된 상기 기재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시트를 겹쳐서 배치하는 제2의 수지 시트 배치 공정과,
    상기 모양 시트의 상기 착색 모양이 형성된 면이 상기 제2 수지 시트와 접하 도록 하여 상기 제2 수지 시트에 상기 모양 시트를 겹쳐서 배치하는 모양 시트 배치 공정과,
    상기 기재의 표면에 상기 제2 수지 시트와 모양 시트가 겹쳐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는 패널체를 진공 압착한 상태로 가열하여 상기 기재와 상기 제2 수지 시트 및 상기 제2 수지 시트와 상기 모양 시트를 용착시킨 용착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 시트 배치 공정 전에 상기 기재의 조면화된 표면에 올가노실란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공정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077000145A 2007-01-03 2005-04-27 장식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88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0145A KR20070088440A (ko) 2007-01-03 2005-04-27 장식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0145A KR20070088440A (ko) 2007-01-03 2005-04-27 장식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440A true KR20070088440A (ko) 2007-08-29

Family

ID=3861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145A KR20070088440A (ko) 2007-01-03 2005-04-27 장식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84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383B1 (ko) * 2008-02-04 2010-05-11 미래데코텍(주) 장식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383B1 (ko) * 2008-02-04 2010-05-11 미래데코텍(주) 장식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0134B2 (ja) 自動車の製造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に好適な器具
JP6944468B2 (ja) 機能層を有する積層グレージングのためのエナメル印刷方法
JP4250488B2 (ja) 熱圧着方法
KR20070088440A (ko) 장식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88441A (ko) 장식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EP1721733A1 (en) Decorative mem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06117849A1 (ja) 装飾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35580A (ja) 金属体転写加飾方法及びプレス転写装置
JP4425388B2 (ja) 装飾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024763A1 (ja) 加飾部材製造方法
JP2001018351A (ja) 装飾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117848A1 (ja) 装飾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67147B2 (ja) 装飾部材の製造方法
JP4158871B2 (ja) 金属装飾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1334601A (ja) 装飾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43329A (ja)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4232168B1 (ja) 転写シ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1130196A (ja) 装飾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1074697U (zh) 覆膜用负压管
JPH0768590A (ja) 表皮付き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6017716B1 (ja) 鏡面塗装方法、鏡面加工材の製造方法および鏡面塗装装置
JP2005271380A (ja) 装飾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44310A (ja) 構成要素に接着フィルムを付与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に好適な器具
AU2021395354A1 (en) Method for applying an adhesive film
CN1370677A (zh) 用于包装、装饰的片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