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618A - 재송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재송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618A
KR20070087618A KR1020077014036A KR20077014036A KR20070087618A KR 20070087618 A KR20070087618 A KR 20070087618A KR 1020077014036 A KR1020077014036 A KR 1020077014036A KR 20077014036 A KR20077014036 A KR 20077014036A KR 20070087618 A KR20070087618 A KR 20070087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ransmission
slot
slots
frame
re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817B1 (ko
Inventor
고따로 시이자끼
다이스께 지쯔까와
히로유끼 세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signals are sent back to the transmitter to be checked ; ech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7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신을 하는 시스템에서, 안테나1로부터는, 슬롯1과 2, 안테나2로부터는 슬롯3과 4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서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수신측에서는, 슬롯마다 오류의 유무를 검사한다. 지금, 슬롯1과 4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하면, 수신측으로부터 송신측을 향하여, 슬롯1과 4에 오류가 있는 취지의 정보가 통지된다. 송신측은, 2 슬롯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에, 슬롯1과 4를 매립하고, 안테나1과 2로부터 각각 슬롯1과 4를 재송한다. 오류가 발생해 있지 않은 슬롯 부분에 오류가 있는 슬롯을 매립하여 수신측에 재송하므로, 재송 프레임 중의 슬롯에 낭비가 없어, 효율적인 재송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안테나, 슬롯, 오류, 초송, 재송, 재송용 프레임, 서브캐리어

Description

재송 제어 장치{RETRANSMISSION CONTROLLER}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전송 방식이나, 복수의 주파수 캐리어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멀티캐리어 전송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재송 제어에 관한 것이다.
고속 대용량 통신을 염두에 둔 현재의 무선 통신에서는, 오류 보상 기술이 필수로 되어 있다. 중요한 오류 보상 기술로서, 자동 재송 제어 방식(ARQ:Automatic Repeat reQuest)이 있다. 이것은 수신한 패킷에 오류가 없으면 송신측에 ACK 신호를 되돌려주고, 다음 패킷의 송신을 요구하지만, 오류가 있다고 판명된 경우, NACK(Not-ACKnowledge) 신호를 되돌려주고 그 패킷의 재송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이 ARQ의 일종으로 HARQ(Hybrid-ARQ)가 있다. HARQ의 제어 방식의 원리를 도 1에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패킷 정보가, 복수의 데이터 계열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단위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한다. HARQ에서는 프레임의 최후미에 부가한 CRC(Cyclic Rebundancy Check) 등의 오류 검출 부호를 이용하여, 프레임마다 오류 검출을 행한다. 오류가 검출되면, 송신측에 NACK 신호를 되돌려주고, 그 프레임 전체의 재송을 요구한다. HARQ에서는 재송된 프레임의 수신 결과와 초회에 송신된 프레임의 수신 결과를 합성한다. 이에 의해, 초회 프레임의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특성을 더욱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HARQ를 비롯한 종래의 재송 제어 방식에서는, 오류가 검출된 프레임을 그대로 재송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해 있지 않은 심볼까지 중복하여 재송하게 되어, 효율이 나빠서 전송 효율이 저하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특허 문헌1의 기술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프레임 데이터는 복수의 시간 방향의 슬롯 단위로 분할되어 송신된다. 수신측에서는 슬롯마다 CRC 등의 오류 검출 부호를 이용하여 오류 검출을 행하고, 오류가 발생하는 슬롯만의 재송을 행한다. 도 2에서 ○로 나타내어져 있는 것이 오류가 없는 슬롯, ×로 나타내어져 있는 것이 오류가 발생한 슬롯이다.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슬롯의 재송은 행하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 단위로 재송하는 경우와, 슬롯에 비어있음이 발생한다. 이 빈 슬롯에 오류가 발생한 슬롯을 카피하고, 재송을 행하는 것이 특허 문헌1의 방식의 특징이다. 오류가 발생한 슬롯 만을 재송 요구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또한 재송하는 슬롯을 카피하기 때문에, 올바르게 복호될 확률이 높아진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대용량 고속 통신을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주목을 모으고 있는 방식으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전송이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으로 대표되는 멀티캐리어 전송이 있다. MIMO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방식이다. 각 수신 안테나에서는 복수의 신호가 혼신된 상태에서 받지만, 각각의 송수신 안테나 간에서 독립적인 전파로가 존재하는 것을 이용하여, 고도의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각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송신 안테나수 분의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멀티캐리어 전송은, 다수의 캐리어에 데이터를 할당하여 송신을 행함으로써, 전송하는 데이터량을 증대시키는 방식이다.
종래의 재송 제어 방식을 MIMO나 멀티캐리어 전송에 적용한 경우를 고려한다. MIMO 방식에서는 안테나를 복수 이용하기 때문에, 안테나마다 전파로 특성이 서로 다르다. 페이딩의 시간적 변동이 느린 경우, 페이딩의 떨어짐을 받은 전파로에서는, 재송의 전후에서 페이딩 특성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재송을 행해도 마찬가지로 페이딩의 떨어짐의 영향을 받아서 오류를 일으키고, 반대로 전송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결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여분의 프레임, 슬롯을 재송함으로써, 유저간 간섭도 증대하여, 수신 특성 열화의 원인으로 된다. 또한 멀티캐리어 통신에 있어서도,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MIMO와 마찬가지로 특정한 캐리어에서의 페이딩의 악영향을 시간 다이버시티만으로는 보상할 수 없을 가능성이 발생한다.
HARQ을 송신 안테나수 2, 수신 안테나수 2의 MIMO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송신측, 수신측의 구성을 각각 도 3, 도 4에 도시한다. 도면에서 송신부, 수신부는 각각 도 5, 도 6과 같은 구성이다. 송신 데이터는 S/P 변환부(1)에서 시리얼 데이터로부터 패러렐 데이터로 변환되어, 재송 버퍼1, 2에 보내어진다. 재송 버퍼1, 2로부터 출력된 송신 데이터는, 송신부(2, 3)에서 변조되고, 안테나 Tx1, Tx2로부터 송신되고, MIMO 채널을 경유하여, 수신측의 안테나 Rx1, Rx2에 의해 수신된 다. 수신측에서는, 수신부(5, 6)가 복조를 행하고, 신호 분리부(7)에서, 각 신호가 혼재한 상태로부터 채널 분리 처리를 행한 후, 복호 처리부(8)에서 복호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오류 검출부(9)에서, 프레임마다 오류 검출을 행하고, 오류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ACK 신호를 안테나 Tx0로부터 Rx0에 보낸다. 송신측에서는, 수신측으로부터의 ACK 신호를 받으면, 다음의 프레임을 송출한다.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프레임 단위로 NACK 신호를 송신측에 되돌려줌과 동시에 수신측에서는,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의 채널 분리 후의 신호를 재송 버퍼(10)에 저장해 둔다. 송신측은 NACK 신호를 수신하면, 신호를 제어 신호 복호부(11)에서 복호하고, 재송 제어부(12)에 전달한다. NACK 신호에는, 어느 프레임이 오류가 있는지의 정보가 포함되므로, 이것으로부터, 수신측에서 오류를 발생한 프레임을 특정하고, 재송 버퍼1, 2로부터 읽어내고, 그 프레임 전체를 재송한다. 또한 제어 정보로서, 안테나 Tx3으로부터 Rx3을 경유하여, 각 안테나에 의해 송신된 재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측에 보낸다. 수신측에서는, 재송 버퍼(10)에 축적한 신호와 재송되어 온 수신 신호를 재송 합성부(14)에서 체이스컴바이닝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합성한다. 이에 의해 시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이용하여, 페이딩의 떨어짐에 의한 신호 오류의 영향을 저감한다.
송신측의 송신부(2, 3)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럿 계열의 신호나 데이터 계열의 신호를 오버샘플부(15)에서 오버샘플링하고, D/A 변환부(16)에서 디지털 신호인 송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직교 변조부(17)에서 직교 변조한다. 또한, 주파수 변환부(18)에서 주파수 변환하고, 밴드패스 필터(19)에서 대역을 좁혀서 송신 안테나에 보낸다. 수신측의 수신부(5, 6)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밴드패스 필터(20)에 통과시키고, 주파수 변환부(21)에서 주파수 변환하고, 직교 검파부(22)에서 직교 검파하고, A/D 변환부(23)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안테나 Tx0, Tx3, Rx0, Rx3이 안테나 Tx1, Tx2, Rx1, Rx2와 서로 다른 안테나로서 그려져 있지만, 이들은 동일한 안테나인 것이 통상이며, 기재의 형편상 별도의 안테나로서 그리고 있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인 프레임 재송의 양태를 도 7에 도시한다. 송신측은 NACK 신호를 수신하면, 안테나마다 오류가 발생한 동일한 프레임을 그대로 재송한다.
HARQ에서는 오류가 검출된 프레임 전체의 재송을 초회 송신 시와 동일한 안테나에 의해 행한다. 그 때문에 페이딩의 변동이 늦어, 어떤 송신 안테나로부터 수신 안테나에의 전파로에서 페이딩의 떨어짐의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도 전파로 특성은 호전되지 않고, 동일한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상, 몇번이나 재송을 반복하게 된다. 이 결과 전송 효율은 저하하게 된다.
이 과제에 대하여, 재송 시에 초회 송신 시에 사용한 안테나와는 다른 안테나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특허 문헌2). 도 8에 원리를 도시한다. 재송 시에 안테나1과 안테나2에 의해 초회에 송신한 데이터를 교체하여 송신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시간 다이버시티만이 아니라,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도 얻어져서, 재송 효과를 인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재송 시에 프레임 전체를 보내기 때문에, 여분 의 슬롯을 재송하게 되어, 스루풋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MIMO 전송 방식, 멀티캐리어 전송에 있어서 프레임 전체를 재송 함에 따른 낭비를 없애고, 또한 다양한 다이버시티 효과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페이딩 내성을 강화한 재송 제어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개 평6-204988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개 2004-13530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과제는, 오류가 발생된 슬롯을 포함하는 프레임 전체를 재송할 필요를 없애고, 여러가지의 다이버시티 효과를 인출할 수 있는 재송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재송 제어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또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이용한 전송 시스템의 재송 제어 장치로서, 수신측으로부터 얻은, 오류가 발생한, 또는, 오류가 발생한 가능성이 높은 송신 데이터 중의 슬롯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송할 슬롯 만을, 재송하기 위한 프레임 내의 재송할 슬롯 부분만이 아니라, 재송 불필요한 슬롯에도 매립하고, 재송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재송 프레임 생성 수단과, 상기 재송용 프레임을 수신측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송하는 경우에, 오류가 발생되어 있지 않은 슬롯을 재송하지 않으므로, 쓸데없는 전송을 행하는 경우가 없고, 또한, 여러가지의 다이버시티 효과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페이딩에도 내성이 있는 신호의 재송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HARQ의 제어 방식의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HARQ를 송신 안테나수 2, 수신 안테나수 2의 MIMO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송신측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HARQ를 송신 안테나수 2, 수신 안테나수 2의 MIMO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수신측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 4의 송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3, 4의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종래 기술의 프레임 재송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종래의, 재송 시에 초회 송신 시에 사용한 안테나와는 다른 안테나를 이용하는 방식의 원리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원리도.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송신측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수신측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슬롯 할당 재송 제어부의 처리 플로우도(그 1).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슬롯 할당 재송 제어부의 처리 플로우도(그 2).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슬롯 할당 재송 제어부의 처리 플로우도(그 3).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슬롯 할당 재송 제어부의 처리 플로우도(그 4).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재송 제어부의 처리 플로우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의 재송 제어부의 처리 플로우도.
도 20은 재송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재송 제어부의 처리 플로우도.
도 21은 슬롯 할당 재송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
도 22는 제1∼제3 실시 형태를 멀티캐리어 전송에 적용한 경우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그 1).
도 23은 제1∼제3 실시 형태를 멀티캐리어 전송에 적용한 경우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그 2).
도 24는 제1∼제3 실시 형태를 멀티캐리어 전송에 적용한 경우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그 3).
도 25는 제1∼제3 실시 형태를 멀티캐리어 전송에 적용한 경우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그 4).
도 26은 제1∼제3 실시 형태를 멀티캐리어 전송에 적용한 경우의 개념을 설 명하는 도면(그 5).
도 27은 각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SIR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그 1).
도 28은 각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SIR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그 2).
도 29는 각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SIR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그 3).
도 30은 각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SIR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그 4).
도 31은 각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SIR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그 5).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원리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측에서, 오류가 일어난, 또는 오류가 일어날 것 같은 슬롯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롯마다, CRC를 부가하거나, 전파로 정보를 수집해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그리고 오류가 일어난, 또는 오류가 일어날 것 같은 슬롯의 재송 만을 요구한다. 도 9에서는 ×로 쓰여져 있는 슬롯이 오류가 일어난, 또는, 오류가 일어날 것 같은 슬롯에 해당한다. 도 9에서, 페이딩으로서 그려져 있는 곡선은, 곡선이 낮은 부분은 페이딩의 영향이 커서, 오류를 발생하기 쉬운 상태를 나타내고, 높은 부분은 페이딩의 상태가 양호하여, 오류를 발생하기 어 려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수신측은 송신측에 NACK를 되돌려줄 때, 재송 슬롯 정보도 부가하여, 재송을 요구한다. 송신측에서는 수신측로부터 보내어진 재송 슬롯 정보를 이용하여, 각 안테나·주파수에 대하여, 초송일 때와 상이한 안테나나 주파수를 이용하여 재송 슬롯을 재송하는 것도 고려하여 재송 슬롯 할당 정보를 작성한다. 이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측은 재송 신호를 송출한다. 수신측에서는 원래의 정보와 재송된 정보를 합성함으로써, 수신의 S/N비를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파로 정보로서 신호 대 간섭 잡음 전력비(SIR)를 이용한다. 수신 신호의 SIR은 페이딩의 영향을 받아서 변동하기 때문에, 이 거동을 조사함으로써, 전파로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SIR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파일럿 계열을 이용한다. 데이터 계열의 헤더로서 파일럿 계열을 부가하고, 파일럿 신호 전력의 분산을 계산함으로써, SIR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각 슬롯의 선두에 파일럿 계열을 삽입함으로써, 슬롯마다의 SIR을 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SIR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 기술하고 있지만, CRC를 이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오류가 발생한, 또는,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슬롯만의 재송을 요구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또한, 시간 방향뿐만아니라 주파수방향, 또는, 안테나 방향으로 분할한 슬롯 단위로 재송을 행하므로, 이들 각 방향에서의 다이버시티 효과의 획득이 용이하여, 재송의 효과를 충분히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재송 시의 슬롯의 분배 방법에 의해서는,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의 개수 를 일시적으로 줄이도록 하기 때문에, 송신 전력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수신 안테나에서의 송신 신호의 다중수를 줄이고, 오류율 특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멀티캐리어 전송에 적용한 경우에도, MIMO 전송의 안테나를 캐리어로 판단하면, 사용하는 캐리어의 수를 일시적으로 삭감함으로써, 송신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송신측, 수신측의 구성예를 도 10, 도 11에 도시한다. 도 10, 도 11에서, 도 3, 도 4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마찬가지의 참조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예도 종래 구성과 동일하게, 송신 안테나수 2, 수신 안테나수 2의 MIMO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이다. 송신부, 수신부는 각각 도 5, 도 6과 같은 구성을 고려한다. MIMO 채널을 경유한 송신 데이터는 안테나 Rx1, Rx2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측에서 채널 분리 처리를 실시한 후, 복조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슬롯 정보 수집부(26)에서, 슬롯마다 SIR을 측정한다. 이 측정값을, 미리 정한 임계값과 비교하는 등 하여 전파로 상태가 열악한 슬롯을 결정한다. 또한, CRC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SIR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복호 처리부(8)에서, CRC에 의해 에러가 검출된 슬롯을 열악 슬롯으로 결정한다. 이 열악 슬롯 정보에 기초하여 빈 슬롯 정보도 작성한 후, 재송 슬롯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재송 시의 전력도 이 단계에서 결정한다. 전파로의 상태가 특히 열악할 경우에는 재송 슬롯의 송신 전력을 높이거나, 또는, 빈 슬롯이 많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재송 슬롯을 복수 배치하고, 낮은 전력으로 재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재송 슬롯 정보를, 송신부(13b), 안테나 Tx0과 Rx0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와 함께 송신측에 되돌려 보냄과 동시에 수신측에서는,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의 채널 분리 후의 수신 신호를 재송 버퍼(10)에 저장해 둔다. 송신측에서는, 재송 슬롯 정보를 수신부(5a)에서 수신하고, 제어 신호 복호부(11)에서 복호하고, 슬롯 할당 재송 제어부(25)에서, 수신측으로부터 보내져 온 재송 슬롯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안테나 간도 포함하여, 각 프레임의 빈 슬롯에 어떤 패턴으로 재송 슬롯을 배치할지를 결정한 후, 각 안테나로부터 재송 슬롯을 송출한다. 또한 제어 정보로서, 안테나 Tx3으로부터 Rx3을 경유하여, 각 안테나에 의해 송신된 재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부에 보낸다. 수신측에서는, 수신부(5b)에서 수신되고, 제어 신호 복호부(11a)에서 복호된 재송 데이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재송 버퍼(10)에 축적해 둔 데이터와 재송 시의 수신 신호를 재송 합성한다. 오류가 발생한 슬롯만 합성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또한 시간 다이버시티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운 변동이 느린 전파 환경에서도, 안테나 또는 캐리어를 바꾸어서 재송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을 획득할 수 있어, 전파로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재송 슬롯 패턴의 결정의 기준으로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재송 슬롯 중에서도 전파로 상태가 열악한 것부터 우선하여 빈 슬롯에 할당하는 방법이나, 안테나, 서브캐리어와 같은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를 삭감하는 방향으로 할당하는 방식이 고려된다.
도 9에 1프레임이 2슬롯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1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안테나1의 빈 슬롯에 처음에는 안테나2로부터 송신된 슬롯4를, 안테나2의 빈 슬롯에는 슬롯1을 삽입하여 재송하고 있다. 시간 방향뿐만아니라, 서로 다른 안테나 간에 걸쳐서 데이터를 분배함으로써, 다이버시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MIMO의 복수 송신 안테나를, 각각 복수의 주파수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멀티캐리어 전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2∼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슬롯 할당 재송 제어부의 처리 플로우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기본 플로우도이다.
우선, 스텝 S10에서, SIR이 높은 순으로 슬롯을 소트한다. 스텝 S11에서, 소트한 슬롯의 SIR가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1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는, 스텝 S12에서, 정보의 재송이 불필요한 슬롯(재송 불필요 슬롯)을 결정하고,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1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13에서, 정보의 재송이 필요한 슬롯(재송 슬롯)을 결정하고, 스텝 S14에서, SIR이 낮은 순으로 재송 슬롯을 소트하고,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재송 슬롯을 순서대로, 프레임 중의 모든 슬롯 중, SIR이 높은 슬롯부터 할당한다. 스텝 S16에서, 재송 슬롯을 재송하기 위한 프레임 중에 할당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6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15로 되돌아간다. 스텝 S16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도 13은, 도 12의 변형예에서, 재송 슬롯으로 재송 프레임을 전부 매립하는 처리의 플로우도이다. 도 13에서, 도 12와 동일한 스텝에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서 도 12와 상이한 부분은, 스텝 S18이다. 스 텝 S15에서 순차적으로 재송 슬롯이 프레임에 매립되는데, 스텝 S18의 판단에서는, 프레임 중의 재송 불필요 슬롯에도 재송 슬롯을 매립하고, 프레임 전체가 재송 슬롯으로 메워질 때까지, 보충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프레임이 메워지면, 재송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14는, 도 12의 변형예에서, 재송 슬롯을 재송 불필요 슬롯에도 카피하여 할당하는 처리의 플로우도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프레임 전체를 재송 슬롯으로 다 매립할 필요는 없다. 도 14에서, 도 12, 도 13과 동일한 스텝에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서는, 스텝 S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송 불필요 슬롯에 대하여, SIR이 높은 순으로 재송 불필요 슬롯을 소트한다. 그리고, 스텝 S20에서, 재송 프레임에 매립해야할 재송 슬롯을 카피하고, 재송 불필요 슬롯에 매립한다. 예를 들면, 재송 슬롯을 1개 카피하고, 재송 프레임에, 재송 슬롯을 2개씩 매립하여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15는, 도 12의 변형예에서, 재송 슬롯을 재송 불필요 슬롯에도 카피하여 할당하고, 재송 프레임 전체를 다 매립하여 송신하는 처리의 플로우도이다. 도 15에서, 도 12∼도 14과 동일한 스텝에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의 처리는, 도 13과 도 14를 조합한 것이며, 스텝 S19에서, SIR이 높은 순으로 재송 불필요 슬롯을 소트하고, 스텝 S20에서 재송 슬롯을 순서대로 재송 불필요 슬롯에도 할당한다. 그리고, 스텝 S18에서, 재송 프레임의 재송 불필요 슬롯에 비어있음이 없는지 확인하고, 모든 슬롯이 메워지면, 재송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제2 실시 형태를 도 16에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슬롯의 재송 패턴이 서로 다르다. 즉 안테나1의 빈 슬롯에, 처음에는 안테나2에 의해 송신된 슬롯4를 할당하고, 안테나2는 재송에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의해 송신 안테나수를 일시적으로 삭감 가능해져서, 수신 다이버시티 효과가 커진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신 전력의 삭감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MIMO의 복수 송신 안테나를, 각각 복수의 주파수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멀티캐리어 전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재송 제어부의 처리 플로우도이다.
우선, 스텝 S25에서, SIR이 높은 순으로 슬롯을 소트한다. 스텝 S26에서, SIR가 임계값보다 작은 슬롯을 정보의 재송이 필요한 슬롯(재송 슬롯)으로서 결정한다. 스텝 S27에서, SIR이 낮은 순으로 재송 슬롯을 소트하고, 스텝 S28에서, 안테나마다 재송 슬롯의 개수를 집계한다. 스텝 S29에서, 재송 슬롯수에 기초하여 재송에 사용할 안테나를 결정하고, 스텝 S30에서, 사용 안테나의 모든 슬롯을 SIR이 높은 순으로 소트한다. 스텝 S31에서, 재송 슬롯을 순서대로, 사용 안테나의 슬롯 중 SIR이 높은 슬롯부터 할당한다. 스텝 S32에서, 재송 슬롯을 모두 할당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2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31로 되돌아간다. 스텝 S32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는, 재송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제3 실시 형태를 도 18에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송신 안테나수 2, 수신 안테나수 2의 MIMO 시스템에서, 1프레임이 4슬롯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예에서는, 안테나1의 전파로 특성이 나빠서, 슬롯2, 3, 4의 재송이 필요하다. 이 경 우, 안테나1의 빈 슬롯도 전파로 특성이 별로 양호하지 않고, 실제로는 슬롯1에서 오류가 발생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안테나1의 빈 슬롯은 사용하지 않고, 안테나1에 관해서는 프레임 전체의 재송을 행한다. 또한 안테나2에 관해서는, 부분 재송을 행하지만, 안테나1의 빈 슬롯에는 할당하지 않고, 안테나2의 빈 슬롯만을 이용하기로 한다. 이에 의해, 안테나1의 슬롯1의 품질을 보증함과 함께, 안테나2에서는 보다 전파로 특성이 좋은 슬롯만을 이용한 부분 재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 전체의 재송을 행하는 기준으로서는, 재송이 필요한 슬롯의 수가,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과반수 이상인 경우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의 재송 제어부의 처리 플로우도이다.
우선, 스텝 S35에서, SIR이 높은 순으로 슬롯을 소트하고, 스텝 S36에서, SIR가 임계값보다 작은 슬롯을 정보의 재송이 필요한 슬롯(재송 슬롯)으로서 결정한다. 스텝 S37에서, SIR이 낮은 순으로 재송 슬롯을 소트하고, 스텝 S38에서, 안테나마다 재송 슬롯의 개수를 집계한다. 스텝 S39에서, 안테나마다의 재송 슬롯수에 기초하여 전재송, 부분 재송의 안테나를 결정한다. 스텝 S40에서, 부분 재송 안테나의 모든 슬롯을 SIR이 높은 순으로 소트하고, 스텝 S41에서, 재송 슬롯을 순서대로 부분 재송 안테나의 슬롯 중 SIR이 높은 슬롯부터 할당한다. 스텝 S42에서, 재송 슬롯이 모두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42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41로 되돌아가고, 스텝 S42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는, 재송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20은, 재송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재송 제어부의 처리 플로우 도이다.
스텝 S50에서, SIR이 높은 순으로 슬롯을 소트한다. 스텝 S51에서, SIR가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51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는, 스텝 S52에서, 정보의 재송이 불필요한 슬롯(재송 불필요 슬롯)을 결정하고, 스텝 S55로 진행한다. 스텝 S51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53에서, 정보의 재송이 필요한 슬롯(재송 슬롯)을 결정하고, 스텝 S54에서, SIR이 낮은 순으로 재송 슬롯을 소트하고, 스텝 S55로 진행한다.
스텝 S55에서는, 재송 슬롯의 개수가 제1 임계값(threshold A)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55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는, 스텝 S56에서, 재송 슬롯을 순서대로, 모든 슬롯 중 SIR이 높은 슬롯부터 할당하고, 스텝 S57에서, 재송 불필요 슬롯에 비어있음이 없는 것을 판단한다. 스텝 S57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56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57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는, 스텝 S58에서, 재송 슬롯의 이전의 SIR에 따라서 송신 전력을 높이고,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55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59에서, 재송 슬롯의 개수가 제2 임계값(threshold B)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59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는, 스텝 S60에서, 재송 슬롯을 순서대로, 모든 슬롯 중 SIR이 높은 슬롯부터 할당하고, 스텝 S61에서, 재송 불필요 슬롯에 비어있음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61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60로 되돌아가고, 스텝 S61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59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62에서, 재송 슬롯을 순서대 로, 모든 슬롯 중 SIR이 높은 슬롯부터 할당하고, 스텝 S63에서, 재송 불필요 슬롯에 비어있음이 없는지 판단한다. 스텝 S63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62로 되돌아가고, 스텝 S63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는, 스텝 S64에서, 재송 슬롯의 할당 개수에 따라서 송신 전력을 낮추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21은, 슬롯 할당 재송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수신측으로부터 제어 정보의 일부로서 슬롯마다의 SIR 정보가 슬롯마다 SIR 정보 복호부에 수신된다. 슬롯마다 SIR 정보 복호부는, 도 10의 제어 신호 복호부(11)에 대응한다. 슬롯마다 SIR 정보는, 슬롯 할당 재송 제어부(25)의 소트 회로(30)에 공급되어, 슬롯마다 SIR의 소트가 행해진다. 1 프레임 버퍼(31)는, 1프레임 분의 각 슬롯의 SIR값을 저장한다. 비교 회로(32)는, 1프레임 버퍼(31)로부터 슬롯마다의 SIR값을 읽어내고, 임계값과 비교한다. 비교의 결과, 각 슬롯은, 재송 슬롯과 재송 불필요 슬롯으로 나누어진다. 재송 슬롯은, 소트 회로(33)에 의해, 다시 소트된다. 그리고, 재송 불필요 슬롯의 어드레스 할당부(34)에서, 재송 슬롯에 재송 불필요 슬롯의 어드레스가 할당되고, 재송 프레임 포맷이 생성되어서, 재송 버퍼1, 2에 저장된다.
도 22∼도 26은, 제1∼제3 실시 형태를 멀티캐리어 전송에 적용한 경우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안테나1과 2에 각각 슬롯1∼4를 할당하고 있었지만, 도 22에서는, 안테나1과 2를 서브캐리어1과 2에 대응시키고 있다. 따라서, 서브캐리어1을 사용하여, 슬롯1과 2가, 서브 캐리어2를 사용하여, 슬롯3과 4가 송신된다. 그리고, 도 22의 ×로 나타내어지는 것 같은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하면, 재송 시에는, 서브캐리어1과 2의 양방을 사용하여, 슬롯1과 4가 송출된다.
도 23은, 제2 실시 형태의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도 16에서는, 안테나1과 2를 사용하여 슬롯1∼4를 송신하고 있었던 것을, 도 23에서는, 서브캐리어1과 2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한 것이다. 재송 시에는, 서브캐리어1만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서브캐리어2를 송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의 도 18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도 18에서는, 안테나1과 2를 사용하고 있었던 것을, 도 24에서는, 서브캐리어1과 2를 사용하고 있다. 재송 시에는, 서브캐리어1의 프레임1은, 그대로 재송되고, 서브캐리어2 쪽은, 슬롯5과 6이 재송되고 있다.
도 25는, 멀티캐리어 전송하는 경우의 송신측 구성, 도 26은, 멀티캐리어 전송하는 경우의 수신측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에서, 도 10 및 도 11로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 도 26에서는, 멀티캐리어 전송하고 있지만, 안테나는 1개이므로, 송신부(2), 수신부(5)는, 1개씩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송신측에는, 역푸리에 변환기(40)와, 가드 인터벌 삽입부(41)가, 수신측에는, 푸리에 변환기(43)와, 가드 인터벌 삭제부(42)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0, 도 1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시스템에 서는, 역푸리에 변환함으로써, 신호를 각 서브캐리어에 싣고 있고, 또한, 푸리에 변환함으로써, 각 서브캐리어로부터 신호를 취출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송수신에 사용하는 안테나는 1개로 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해도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복수 안테나를 사용하여, 멀티캐리어 전송을 행하게 되고, 도 10, 도 11의 구성과 도 25, 도 26의 구성을 합친 구성이 송신측과 수신측에 사용된다.
도 27∼도 31은, 각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SIR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수신측으로부터 송신측에 송신하는 슬롯마다의 SIR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이다. 최초의 비트는, 어느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슬롯인가를 나타내는 정보 데이터이고, 여기에서는, 안테나는 2개인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안테나는 0과 1로 나타내어진다. 다음 비트는, 슬롯의 시간 위치의 비트이다. 즉, 1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프레임의 몇번째에 매립되어 있는 슬롯인지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여기에서는, 1개의 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0과 1로 슬롯의 시간 위치가 나타내어진다. 그리고, 이들 비트 후에 SIR 정보가 내보내진다.
도 28은, 제1 실시 형태의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에 보내어지는 제어 정보이다. 재송 시에는, 초송 시와는 다른 안테나로부터 슬롯이 보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어 정보로서, 재송 시, 어디에 있던 슬롯이 어디로부터 보내어져 있는지를 수신측에 전한다. 최초의 비트가 재송 시의 사용 안테나, 다음 비트가 초송 시의 사용 안테나, 최후의 비트가 전술한 바와 같은 의미에서의 초송 시의 시간 위치이다.
도 29는, 제2 실시 형태의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에의 제어 정보이다. 재송 시의 안테나 사용 플래그는, 그 슬롯이 재송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제2 실시 형태의 경우, 슬롯1과 4가 재송되어 있었으므로, 슬롯1과 4의 제어 정보의 이 플래그가 1로 설정된다. 재송 시의 사용 안테나는, 슬롯1과 4가 안테나1을 사용하여 재송되고 있으므로, 대응 비트가 0으로 설정된다. 슬롯2와 3은, 재송되고 있지 않으므로, 어느 값이어도 되고, 도 29에서는 「*」로 나타내고 있다. 초송 시의 사용 안테나의 비트는, 슬롯1과 슬롯2가 0이고, 슬롯3과 슬롯4가 1로 된다. 시간의 비트는, 프레임 내의 슬롯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30은, 제3 실시 형태의 수신측으로부터 송신측에 송신되는 SIR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이다. 사용 안테나의 비트는, 슬롯1∼슬롯4가 0이고, 슬롯5∼슬롯8이 1로 되어 있다. 이것은, 슬롯1∼슬롯4가 안테나1을, 슬롯5∼슬롯8이 안테나2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시간의 비트는, 이번의 경우, 1개의 프레임에 4개의 슬롯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2비트를 사용하여, 슬롯의 프레임 내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정보 후에, SIR 정보를 설정하고 있다.
도 31은, 제3 실시 형태의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에 보내어지는 제어 정보이다. 전재송 플래그는, 전재송하는 슬롯에 대하여 1로 한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슬롯1∼4가 전재송되어 있으므로, 이들 제어 정보의 전재송 플래그에 1이 설정되어 있다. 재송 시의 안테나 사용 플래그는, 재송되고 있는 슬롯을 나타내므로, 슬롯1∼슬롯6에 1이 설정되어 있다. 재송 시의 사용 안테나는, 슬롯1∼4가 0이고, 슬롯5, 6에 1이 설정되어 있다. 슬롯7과 8은, 재송되지 않으므로, 어떤 값이어도 되고, 「*」로 나타내고 있다. 초송 시의 사용 안테나와 시간은, 각각 각 슬롯의 초송 시의 상태를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MIMO 전송 방식이나 멀티캐리어 전송에서, 재송 시에 여분의 데이터를 보내는 것에 의한 낭비를 생략하고, 또한 안테나나 캐리어에 걸쳐서 재송 슬롯을 배치하여 재송함으로써 여러가지 다이버시티 효과를 이용하여 수신 특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수신측에서는 빈 슬롯에 이동 또는 카피된 정보와 원래의 수신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수신의 S/N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재송 시의 슬롯의 분배의 방법에 의해서는, 일부의 안테나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MIMO의 안테나 다중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수신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쉬워지므로, 수신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4) 재송 시의 슬롯의 분배의 방법에 의해서는, 일부의 안테나나 캐리어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송신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5) 송신 전력을 낮추어서 재송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 타유저에의 간섭을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6) 또한 송신 전력을 높이면, 수신 신호의 SIR을 향상하고, 오류율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7) 어떤 전파로의 상황이 특히 열악하여 재송 슬롯이 많고 빈 슬롯이 적은 경우에는, 종래의 프레임 전재송 방식을 병용함으로써, 전파로 상태가 그다지 양호하지 않은 빈 슬롯은 사용하지 않게 되어, 부분 재송용으로 품질의 좋은 빈 슬롯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복수의 안테나 또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이용한 전송 시스템의 재송 제어 장치로서,
    수신측으로부터 얻은, 오류가 발생한, 또는, 오류가 발생한 가능성이 높은 송신 데이터 중의 슬롯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송할 슬롯만을, 재송하기 위한 프레임 내의 재송할 슬롯 부분만이 아니라 재송 불필요한 슬롯에도 매립하여 재송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재송 프레임 생성 수단과,
    상기 재송용 프레임을 수신측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신측으로부터 송신측에, 수신한 슬롯의 전파로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재송할 슬롯의 전파로의 상태에 따라 전파로 상태가 열악한 재송할 슬롯부터 우선하여 재송용 프레임에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전파로 상태는, 수신측에서 얻어진 슬롯마다의 신호 대 간섭 성분비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전파로 상태는, 수신측에서 얻어진 슬롯마다의 CRC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용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일부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또는,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중 일부의 서브캐리어를 이용하여 재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파로 상황 및 재송할 슬롯의 재송용 프레임에의 매립하는 방법에 따라 재송용 프레임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재송할 슬롯의 수가 프레임 내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경우, 그 프레임을 재송용 프레임으로 하여, 그대로 재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에, 재송 시에 사용되고 있는 슬롯과 안테나, 또는, 서브캐리어의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안테나마다, 또는, 서브캐리어마다 송신하는 슬롯을 저장하는 버퍼를 더 구비하고,
    재송할 때에는 상기 버퍼로부터 재송할 슬롯을 읽어내어 재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전송 시스템은 MIMO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사용하는 전송 시스템은 OFDM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 프레임 생성 수단은 재송할 슬롯을 1개씩 재송 프레임에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 프레임 생성 수단은,
    재송할 슬롯을 카피하여 재송할 슬롯을 재송 프레임의 모든 슬롯에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장치.
  15. 복수의 안테나 또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이용한 전송 시스템의 재송 제어 방법으로서,
    수신측으로부터 얻은, 오류가 발생한, 또는, 오류가 발생한 가능성이 높은 송신 데이터 중의 슬롯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송할 슬롯 만을, 재송하기 위한 프레임 내의 재송할 슬롯 부분만이 아니라 재송 불필요한 슬롯에도 매립하여 재송용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재송용 프레임을 수신측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송 제어 방법.
KR1020077014036A 2004-12-28 2004-12-28 재송 제어 장치 KR100970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4/019625 WO2006070465A1 (ja) 2004-12-28 2004-12-28 再送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618A true KR20070087618A (ko) 2007-08-28
KR100970817B1 KR100970817B1 (ko) 2010-07-16

Family

ID=3661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036A KR100970817B1 (ko) 2004-12-28 2004-12-28 재송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23583A1 (ko)
EP (2) EP1833228A4 (ko)
JP (1) JP4580396B2 (ko)
KR (1) KR100970817B1 (ko)
CN (1) CN101091373B (ko)
WO (1) WO20060704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064B1 (ko) * 2008-01-30 200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달 방법
WO2009096730A1 (en) * 2008-01-30 200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1466B1 (en) 2005-07-04 2015-06-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transmitter and wireless receiver
CN1983914B (zh) * 2005-12-16 2011-04-13 株式会社Ntt都科摩 一种混合自动请求重传方法及系统
US8312335B2 (en) 2006-07-06 2012-1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s in a multiple subcarrier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JP4904963B2 (ja) * 2006-07-21 2012-03-2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並びに送信機及び受信機
KR100957011B1 (ko) * 2006-09-13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 자동 반복 요청 장치 및 방법
JP4930512B2 (ja) 2006-09-29 2012-05-1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BRPI0719540A2 (pt) 2006-10-02 2014-01-14 Lg Electronics Inc Método de retransmissão para sistema multiportadora
TR201907743T4 (tr) 2006-10-31 2019-06-21 Ericsson Telefon Ab L M Telekomünikasyon sistemi ve böyle bir sistemde hata kontrolü.
US20080144572A1 (en) * 2006-12-15 2008-06-19 Makhijani Mahesh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Frequency Diversity in Scheduled Packet Data Transmissions
US20080151871A1 (en) * 2006-12-22 2008-06-26 Nokia Corporation Power-Efficient Multi-Branch Reception
KR101241908B1 (ko) * 2007-01-30 2013-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채널 환경에 따른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신기,귀환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ES2551312T3 (es) * 2007-02-14 2015-11-18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Procedimientos y sistemas para el mapeo entre palabras codificadas y capas
MX2009009245A (es) * 2007-03-01 2009-09-08 Ntt Docomo Inc Dispositivo de estacion de base y metodo de control de comunicacion.
GB2453344B (en) * 2007-10-04 2012-01-18 Toumaz Technology Lt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JP5098628B2 (ja) * 2007-12-18 2012-12-12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
WO2010073670A1 (ja) * 2008-12-24 2010-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サブパケット送信方法
US20110320899A1 (en) * 2008-12-24 2011-12-29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JP5498693B2 (ja) * 2008-12-24 2014-05-21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5427433B2 (ja) * 2009-02-25 2014-02-2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通信方法
JP5271213B2 (ja) * 2009-09-14 2013-08-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基地局、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556124B2 (ja) * 2009-10-29 2014-07-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路側通信機及び通信システム
JP5559520B2 (ja) * 2009-12-01 2014-07-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72943B1 (en) * 2010-06-03 2013-06-25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using multiple channel elements
WO2013021442A1 (ja) * 2011-08-05 2013-02-14 富士通株式会社 送信回路、受信回路、送受信システム、及び送受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DK2898618T3 (da) 2012-09-21 2017-01-02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i et trådløst kommunikationssystem
CN103716139B (zh) * 2013-12-10 2017-03-29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推送处理方法和装置
US10644976B2 (en) * 2015-05-18 2020-05-05 Denso Corporation Relay apparatus
EP3721653A4 (en) * 2017-12-06 2021-09-01 Plume Design, Inc. THERMAL MANAGEMENT OF WIRELESS ACCESS POINT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4988A (ja) 1992-12-28 1994-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mcaシステム
US6999438B2 (en) * 1996-01-18 2006-02-14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106689B1 (en) * 1999-03-02 2006-09-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FDM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JP4330767B2 (ja) * 2000-06-26 2009-09-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自動再送要求を行う通信方法及び基地局装置
WO2002037763A1 (fr) * 2000-11-06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metteur, recepteur, et procede de distribution de donnees radiodiffusees
KR100493084B1 (ko) * 2001-05-04 2005-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초기전송및 재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20094920A (ko) * 2001-06-13 2002-12-1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체 통신 시스템, 이동체 통신 방법, 기지국, 이동국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 송신 방법
WO2003003672A2 (en) * 2001-06-28 2003-01-09 King's College London Electronic data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67890A1 (en) * 2001-10-10 2003-04-10 Sandesh Goe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re-transmission of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US6700867B2 (en) * 2001-12-20 2004-03-02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ed memory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KR100810350B1 (ko) * 2002-01-07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다양한 채널상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R038569A1 (es) * 2002-02-19 2005-01-19 Interdigital Tech Corp Un metodo y un aparato para proveer normas preferidas para decisiones binarias para utilizar en comunicaciones inalambricas para mejorar la proteccion
CN1572080B (zh) * 2002-04-09 2011-04-06 松下移动通信株式会社 正交频分多路复用通信方法与正交频分多路复用通信装置
US6917602B2 (en) * 2002-05-29 2005-07-1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channel capture with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AU2002330691A1 (en) * 2002-09-06 2004-03-29 Nokia Corporation Antenna selection method
JP4115784B2 (ja) 2002-09-11 2008-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再送制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3679075B2 (ja) 2002-09-13 2005-08-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
US7397864B2 (en) * 2002-09-20 2008-07-08 Nortel Networks Limited Incremental redundancy with space-time codes
US7391755B2 (en) * 2002-09-30 2008-06-24 Lucent Technologies Inc. Signaling and control mechanisms in MIMO harq schem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40038327A (ko) * 2002-10-31 200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 안테나 할당 방법
KR20040063324A (ko) * 2003-01-07 2004-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 제어정보 전송채널의 프레임 구조
JP4125976B2 (ja) * 2003-03-04 2008-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040196780A1 (en) * 2003-03-20 2004-10-07 Chin Francois Po Shin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532600B2 (en) * 2003-04-25 2009-05-12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hybrid ARQ in communication systems that us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antenna systems
JP3838237B2 (ja) * 2003-04-30 2006-10-25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00617703B1 (ko) * 2003-05-02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시공간 부호화 방법 및 장치
US7493135B2 (en) * 2004-04-02 2009-02-17 Lg Electronics Inc. Transmission method for downlink control signal in MIMO system
US7382747B2 (en) * 2004-09-16 2008-06-03 Lucent Technologies Inc. Selecting a subset of automatic request retransmission processes
KR101153597B1 (ko) * 2004-10-29 2012-06-12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 할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064B1 (ko) * 2008-01-30 200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달 방법
WO2009096730A1 (en) * 2008-01-30 200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7835337B2 (en) 2008-01-30 2010-1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23583A1 (en) 2008-05-29
WO2006070465A1 (ja) 2006-07-06
CN101091373B (zh) 2012-05-30
EP2458822A1 (en) 2012-05-30
KR100970817B1 (ko) 2010-07-16
EP1833228A1 (en) 2007-09-12
CN101091373A (zh) 2007-12-19
JPWO2006070465A1 (ja) 2008-06-12
EP1833228A4 (en) 2011-06-01
JP4580396B2 (ja)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817B1 (ko) 재송 제어 장치
US102009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esource allocation an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using same
US94507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CK/NACK in TDD system
US8312338B2 (en) Method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CN102447538B (zh) 下行控制信息传输方法和系统
US10523373B2 (en) Base station device, user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10194443A1 (en) Method for feeding back ack/nack for downlink data transmiss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4104293A (ja) 再送制御方法および通信装置
EP2474121A1 (en) Feedback scheme for providing feedback on plural transmissions
WO2008155733A2 (en) Acknowledgement aided space domain user scheduling for multi-user mimo
KR20130018309A (ko) 채널 선택 및 qpsk 심볼 맵핑을 이용하여 집성 캐리어들에 대한 수신확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KR20080072195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공간 다중화 기법을 위한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US20100180170A1 (en) Method for retransmitting packets in mimo system
JP4185385B2 (ja) 無線送信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
KR100966074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 방법
JP5051208B2 (ja) 再送制御装置
CN113475027A (zh) 基站、终端、发送方法及接收方法
WO2008023922A1 (en) Method for retransmitting packets in mimo system
KR101443624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02571309A (zh) 重发控制装置
KR20090075081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