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221A - 고속 상향 패킷 접속을 위한 노이즈 레벨 통신용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속 상향 패킷 접속을 위한 노이즈 레벨 통신용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221A
KR20070087221A KR1020077017170A KR20077017170A KR20070087221A KR 20070087221 A KR20070087221 A KR 20070087221A KR 1020077017170 A KR1020077017170 A KR 1020077017170A KR 20077017170 A KR20077017170 A KR 20077017170A KR 20070087221 A KR20070087221 A KR 20070087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network element
node
value
sched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로엔 위가르드
카리 란타-아호
베노이 세비르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8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9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n access point and the access point contro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노드 B가 열 플러스 백그라운드 노이즈 레벨(Prx_noise)을 측정하도록 허용하고 동시에 자기 자신의 (집중된) 전략에 따라 노드 B (분산된) 스케줄링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값을 겹쳐쓰도록 허용하는 고속 상향 패킷 접속을 위한 통신 흐름이 도시된다.

Description

고속 상향 패킷 접속을 위한 노이즈 레벨 통신용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noise level communication for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본 발명은 이동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산된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경우 링크 적응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패킷 네트워크 구조는 사용자 장비(UE),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및 핵심 네트워크(CN)의 주요 구조 요소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무선(Uu) 인터페이스를 통해 UTRAN에 인터페이스되고, 반면에 UTRAN은 (유선) Iu 인터페이스를 통해 핵심 네트워크에 인터페이스한다.
도 2는 상기 구조, 특히 UTRAN의 몇몇 추가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UTRAN은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들(RNS)을 포함하는데,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를 포함한다. 각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는 GSM 기지국들에 대한 UMTS 상대물인 다수의 노드 B들에 연결될 수 있다. 각 노드 B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인터페이스(Uu)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 장비들과 무선 접촉할 수 있다. 주어진 사용자 장비는 상기 노드 B들 중 하나 이상의 노드 B들이 다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에 접속될지라도 다수의 노드 B들과 무선 접촉할 수 있다. 예 를 들어 도 2에 있는 UE1은 RNS1의 노드 B(2) 및 RNS2의 노드 B(3)와 무선 접촉할 수 있는데, 노드 B(2) 및 노드 B(3)는 이웃하는 노드 B들이다. 다른 RNS들의 RNC들은 하나의 RNC의 노드 B에 속한 셀로부터 다른 RNC의 노드 B에 속한 셀로 가로질러 가는 동안 이동 사용자 장비들이 양 RNC들과 접촉한 상태로 머무르도록 허용하는 Iur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RNC들 중 하나는 "서빙" 또는 "제어하는" RNC(SRNC 또는 CRNC)로서 동작할 것이고 반면에 다른 RNC들은 "드리프트 RNC(DRNC)로서 동작할 것이다. 이러한 드리프트 RNC들의 체인은 심지어 주어진 SRNC로부터 확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다수의 노드 B들은 각각이 이웃하는 셀들의 제어하에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웃하는 노드 B들일 것이다. 상기 노드 B들은 동일한 RNC에 접속되거나 또는 그들이 다른 RNC들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RNC들은 서로 접속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들은, 새로운 노드 B와 접속을 다시 설정할 필요없이 이웃하는 셀들을 가로질러 갈 수 있다. 사용자 장비의 이러한 이동중, 사용자 장비가 UTRAN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들을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때때로 무선 링크들은 추가되고 버려질 필요가 있다. 이것은 소프트-핸드오버(SHO)라고 불리운다.
본 발명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지상 무선 액세스(UTRA)의 3GPP(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명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파수 분할 이중(FDD) 모드에서 사용되는 개선된 업링크 특징인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고속 상향 패킷 접속(HSUPA)에 관한 것이다. 이 특징은 3GPP에 명시되어 있고 3GPP 릴리스 6을 타깃으로 한다.
현재의 구조에서, 패킷 스케줄러는 RNC에 위치하고,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와 사용자 장비(UE) 간의 무선 자원 제어(RRC) 계층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에 대한 대역폭 제한 때문에, 순간 트래픽에 적응하도록 그것의 능력이 제한된다. 따라서, 변화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패킷 스케줄러는 다음 스케줄링 기간에 비활성 사용자들로부터의 영향을 고려하도록 업링크 전력을 할당하는데 있어서 신중해야 한다 - 높은 할당된 데이터-레이트 및 긴 해제 타이머 값들에 대해 주파수적으로 비효율적으로 판명된 해법.
HSUPA의 도입과 함께 상기 패킷 스케줄러 기능 중 어떤 기능은 RNC로부터 노드 B로 이동된다. 분산으로 인하여, 과부하 상태에 더 신속히 반응할 가능성이 증가하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더 높은 셀 용량을 제공할, 비트 레이트의 더 빠른 변경에 의해, 훨씬 더 적극적인 스케줄링을 가능하게 한다. HSUPA 및 고속 노드 B 제어 스케줄링은 또한 소프트 핸드오버에서 지원된다.
제목이 "UTRA FDD(릴리스 6)에 대한 개선된 업링크를 위한 실행가능성 연구"인 기술 보고서 3GPP TR 25.896 v6,0.0(2004-03)의 섹션 7.1에 의하면, "노드 B 스케줄링"이라는 용어는 RNC에 의해 설정된 한계내에서, 사용자 장비가 적합한 전송 포맷 조합(TFC)을 선택할 수 있는, 전송 포맷 조합(TFC)의 세트를 상기 노드 B가 제어할 가능성을 나타낸다. HSUPA와 관련하여, 노드 B 스케줄링(E-DCH)에 의존하는 전송 채널의 전송 포맷 조합들(E-TFCs)은 주어진 사용자 장비가 사용하도록 허용되는 최대 양의 업링크 자원들을 지닌 사용자 장비를 승인할 수 있는 노드 B에 의해 제어된다. E-TFC(E-DCH 전송 포맷 조합)는 적용가능한 최대 수의 H-ARQ 재전송들을 지닌 E-DCH에 대한 현재의 유효한 전송 포맷과 적용된 전송 전력 오프셋의 조합이다(관련된 정의들 및 심층적인 설명을 위해 3G TS 25.309를 참조하라). 릴리스 5에서, 업링크 스케줄링 및 레이트 제어는 RNC에 존재한다. 추가로 TR 25.896 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노드 B에 이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업링크 간섭의 엄격한 제어가 가능한데, 이것은 차례로 증가된 용량 및 개선된 커버리지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TR 25.896 보고서는 스케줄링에 대한 두가지 기본적인 접근법들을 논의한다: (1) 모든 업링크 전송들이 병렬로 발생하지만 노드 B에서의 요망되는 노이즈 상승이 초과되지 않도록 충분히 낮은 레이트로 발생하는, 레이트 스케줄링 그리고 (2) 다시 노드 B에서의 상기 요망되는 총 노이즈 상승이 초과되지 않도록, 이론적으로 송신할 트래픽을 지닌 사용자 장비들의 부분집합만이 주어진 시간에 허용되는, 시간 스케줄링. 명시된 상기 HSUPA 특징은 양 스케줄링 접근법들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3GPP TR 25.896 "UTRA FDD에 대한 개선된 업링크를 위한 실행가능성 연구" 뿐만 아니라 3GPP 명세 TS 25.309, "FDD 개선된 업링크 - 총체적인 설명 - 스테이지 2" 버전 6.1.0(2004-12)에 명시된 바와 같이 3GPP의 릴리스 6에서 패킷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업링크 DCH(이하 EDCH라 함)의 HSUPA 개선들과 관련된다. 상기에 제안된 바와 같이, HSUPA 개선들은 노드 B들에 패킷 스케줄러 기능 중 어떤 기능을 분배함으로써 현재 접근되고 있다. 이것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서 계층 3을 사용하여 가능한 것보다 버스티한 비 실시간 트래픽의 더 빠른 스케줄링을 허용한다. 이 아이디어는 고속 링크 적응을 가지고 패킷 데이 터 사용자들 간에 업링크 전력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패킷들이 한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경우 스케줄링된 자원은 다른 사용자에게 즉시 이용가능해 질 수 있다. 이것은 고속 데이터 레이트가 버스티한 고속 데이터-레이트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고 있는 사용자들에 할당되고 있는 경우, 노이즈 상승의 피크 변화성을 회피한다.
패킷 스케줄러 기능 중 많은 기능이 EDCH에 대한 노드 B로 이전된 결과로서, 노드 B 스케줄러는 업링크 자원들을 할당하는 것을 처리한다. 하지만, RNC가 노드 B에 대해 어떤 타깃 노이즈 상승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다음 노드 B는 DCH 및 EDCH에 의해 야기된, 총 노이즈 상승 레벨이 타깃 레벨 이하에 머물도록 스케줄링을 처리한다. 상기 타깃 노이즈 상승 레벨은 열 플러스 백그라운드 노이즈(Prx_noise)와 관련하여 설정된다. 그러므로 Prx_noise는 노드 B 스케줄링에서 사용될 기준이다. Prx_noise는 노드 B에서 직접 측정될 수 있거나 노드 B 애플리케이션 부분(NBAP)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측정값들에 대한 백그라운드 정보는 3GPP TS 25.433, 버전 6.4.0(2004-12), "UTRAN Iub 인터페이스 NBAP 시그널링" 섹션 9.2.1.12에서 찾을 수 있다. 다양한 관련된 정의들은 3GPP TS 25.215, 버전 5.4.0(2003-06), "물리 계층-측정(FDD)"에서 찾을 수 있다.
총체적인 스케줄링 전략에 의존하여 노드 B에서 직접 Prx_noise를 측정하거나 RNC가 상기 값을 결정하게 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그다음 문제는, 노드 B가 열 플러스 백그라운드 노이즈 레벨(Prx_noise)을 측정하고 설정하도록 허용하고, 동시에 RNC가 노드 B 스케줄링시 사용된 바로 동일한 값을 겹쳐 쓰기하도록 허용하는, HSUPA에 대한 통신 흐름을 설계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노드 B 스케줄링이 노드 B에서 측정된 Prx_noise를 사용하도록 허용하거나 RNC에 의해 시그널링된 Prx_noise를 사용하도록 허용하는 통신 흐름이 제안된다. 노드 B에 대한 RNC 시그널링 Prx_noise는 노드 B 측정된 양이 노드 B 스케줄링시 겹쳐 써지도록 야기한다.
노드 B가 상기 열 플러스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또한 RNC가 상기 값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상기 노드 B가 측정하는 그리고 RNC가 다른 값에 의해 측정된 값을 겹쳐 쓸 수 있는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것이고 특히 HSUPA에 대해 새로운 것이다.
종래 기술을 능가하는 본 발명의 수많은 이점들이 존재한다. 이들 이점들은 노드 B 스케줄링시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열 플러스 백그라운드 노이즈 레벨이 노드 B에서 측정될 수 있거나, RNC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가 설정될 수 있는, 융통성을 포함한다. 부가적인 이점은 다중 벤더 시나리오이다: 노드 B(들)의 측정 능력에 상관없이 알려져 있는 기준이 항상 노드 B 스케줄링시 사용된다고 보장하는 수단이 RNC에 제공된다.
본 명세서가 HSUPA 상황에 대한 개선과 관련하여 발명을 개시하고 있을지라도, 핵심 개념이 무선 인터페이스들에서 다른 상황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과 HSUPA에 한정되지 않고 업링크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 요약된 방법이 또한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가 이해할 것이다. 노드 B에서,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이 측정된다. 그다음 노드 B는 공통 측정값 정보 요소에서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을 노드 B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시그널링한다. 그다음 상기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노드 B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노이즈 값을 수신하지 않는 한, 노드 B 스케줄러는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을 사용하여 스케줄링 결정을 행하는데, 이 경우 노드 B는 상기 스케줄링 결정시 상기 노이즈 값을 사용한다. 또한 당업자는 본 출원에 설명된 다양한 측정들이 추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을 위한 패킷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UMTS의 총체적인 구조의 몇몇 추가 상세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노드 B에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도시한 단순화된 흐름도이다.
도 4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도시한 단순화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노드 B에서 실행하기 위하여 다음을 제안한다. 측정이 개시되었다고 단계 302에서 결정된 후에, 노드 B는 단계 3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플러스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측정한다. 노드 B는 RNC의 명령에 따라 또는 어떤 내부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단계 306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노드 B는 요구되는 경우 또는 주기적으로 RNC에 이 값을 송신할 수 있다. 측정값을 송신하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308에서 행해진다. 상기 측정값은 예를 들어 공통 측정 값(CMV) 정보 요소를 통해 시그널링되는,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RTWP)일 수 있다.
RNC는 측정된 값 대신에 노드 B 스케줄링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열 플러스 백그라운드 노이즈 레벨에 대한 값을 노드 B에 제공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노드 B는 이러한 값이 단계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RNC로부터 새로운 값을 운반하는 시그널링 메시지의 수신시, 노드 B는 단계 3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B 스케줄링시 새로운 값에 의해 측정된 값을 겹쳐 쓴다.
노드 B 스케줄링을 위해 기준으로서 사용된 열 플러스 백그라운드 노이즈 레벨은 단계 3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값이거나, RNC에 의해 시그널링된 값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단순화된 흐름도이다. 측정된 Prx_noise 값이 노드 B로부터 수신되었는지에 대 한 결정이 단계 402에서 내려진다. 만약 그렇다면, 노드 B가 측정된 값을 사용해야 하는지 또는 RNC에 의해 노드 B에 공급된 값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단계 404가 실행된다. 상기 결정 이후에, 다른 값 Prx_noise 값을 송신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이 단계 406에서 내려진다. 단계 406에서 노드 B로부터 수신된 아무런 측정된 값도 존재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결정이 또한 내려진다. Prx_noise가 송신될 경우,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408에서 행해진다. Prx_noise가 송신되든 송신되지 않든, 단계 410에서 복귀가 행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스케줄러(500)는 RNC(504)에 의해 설정된 한계내에서, 전송 포맷 조합(TFCs) 세트를 제어하도록 노드 B(502)에 위치하는데, 상기 전송 포맷 조합으로부터 사용자 장비(506)는 적합한 전송 포맷 조합(TFC)을 선택할 수 있다. 노드 B는 안테나(510), 수신기(512) 및 Prx_noise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514)를 통해 무선 인터페이스(Uu) 열 플러스 백그라운드 노이즈(Prx_noise)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측정된 Prx_noise의 값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송신기를 통해 RNC(504)의 수신기(522)로 라인(518)상의 신호로서 송신될 수 있는데, 상기 신호는 측정된 값과는 상이한 Prx_noise 값을 송신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524)에 제공된다. RNC(504)에 의해 채택된 전략에 의존하여, 라인(526)상의 신호는 RNC에 의해 설정된 Prx_noise 값을 노드 B(502)의 수신기(530)에 제공하는 송신기(528)에 제공될 수 있다. 노드 B는 RNC로부터 수신된 Prx_noise 값을 사용하 여 메모리(516)에 저장된 측정된 값을 겹쳐 쓰기 위한 장치(5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케줄러(500)는 RNC에 의해 채택된 전략에 의존하여, 상기 장치(514)에 의해 저장된 측정된 값 또는 RNC에 의해 공급된 Prx_noise 값을 사용할 것이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관해 도시되고 설명되었을지라도,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안에 여전히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들 및 방법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모든 도면들 및 최선의 실시예들의 동반되는 설명들이 고려중인 발명을 완전히 엄격하게 취급하는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단계들 및 신호들이 다양한 유형의 중간 상호작용들을 배제하지 않는 일반적인 인과 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고, 여기에서 추가로 설명될 필요가 없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다른 조합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단계들 및 구조들이 다양한 다른 순서 및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더 이해할 것이다.

Claims (16)

  1. 사용자 장비와 제1 네트워크 요소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서 노이즈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크기를 지닌 측정 보고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2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행해진 스케줄링 결정들에서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노드 B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위치하며,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은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을 획득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보고 신호는 공통 측정값 정보 요소를 사용하며,
    상기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은, 상기 노드 B가 상기 송신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노이즈 값을 수신하지 않는 한, 스케줄링 결정들을 행하도록 노드 B 스케줄러에 의해 사용되고, 이 경우 상기 노드 B는 상기 스케줄링 결정들에서 상기 노이즈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행해진 스케줄링, 승인 제어, 자원 할당 또는 정체 제어 결정들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된 노이즈 값을 수신하지 않는 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행해진 스케줄링 결정들에서 사용되고, 이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 대신에,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행해진 스케줄링 결정들에서 상기 수신된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하는 단계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노드 B에 의한 실행을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요소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이즈를 측정하는 수단;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크기를 지닌 측정 보고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요 소로 송신된 노이즈 값을 수신하지 않는 한,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행해진 스케줄링 결정들에서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을 사용하는 수단으로서,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행해진 스케줄링 결정들에서 상기 수신된 값을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노드 B에 위치하고,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은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보고 신호는 공통 측정값 정보 요소를 사용하고,
    상기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은, 상기 노드 B가 상기 송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노이즈 값을 수신하지 않는 한, 스케줄링 결정들을 행하도록 노드 B 스케줄러에 의해 사용되고, 이 경우 상기 노드 B는 상기 스케줄링 결정들에서 상기 노이즈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상기 송신 및 상기 사용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노드 B에 의한 실행을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9. (a) 사용자 장비와 제1 네트워크 요소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이즈 를 측정하는 수단,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크기를 지닌 측정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및
    설정된 노이즈 값을 나타내는 크기를 지닌 설정된 노이즈 값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한, 스케줄링 결정들에서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을 사용하는 수단으로서, 이 경우 상기 설정된 노이즈 값은 상기 노이즈의 측정값 대신에 상기 스케줄링 결정들에서 사용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요소; 및
    (b) 상기 설정된 노이즈 값을 나타내는 상기 설정된 노이즈 값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측정 보고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요소와 사용자 장비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케줄링시 사용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형성된 노이즈 측정값을 나타내는 크기를 지닌 측정값 신호를 제공하는 수신기;
    설정된 노이즈 값을 나타내는 크기를 지닌 노이즈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설정된 노이즈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측정값 대신에 상기 설정된 노이즈 값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상기 설정된 노이즈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1.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요소 간에 설정된 무선 링크를 통해 명령된 전송 특성을 나타내는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스케줄링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된 스케줄링 신호를 제공하는 안테나; 및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전송 특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 신호를 상기 안테나에 제공하는 신호 처리기로서, 상기 스케줄링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명령되고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형성된 노이즈 측정값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시그널링된 설정된 노이즈 값 에 응답하는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12. 제2항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상에 저장된 실행가능한 코드를 지닌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13.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을 위한 고속 상향 패킷 접속(HSUPA)용 통신 방법에 있어서, 노드 B가 열 플러스 백그라운드 노이즈 레벨(Prx_noise) 값을 측정하고 설정하도록 허용하고, 동시에 자기 자신의 집중된 전략에 따라 상기 열 플러스 백그라운드 노이즈 레벨(Prx_noise) 값을 분산된 스케줄링을 위해 상기 노드 B에서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의해 설정된 값으로 겹쳐쓰도록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를 허용하기 위한 통신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행해진 스케줄링, 승인 제어 또는 정체 제어 결정들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15. 노드 B에서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을 측정하는 단계;
    공통 측정값 정보 요소에서 상기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을 상기 노드 B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시그널링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 B가 상기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노이즈 값을 수신하지 않는 한, 스케줄링 결정을 행하기 위하여 노드 B 스케줄러에 의해 상기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을 사용하는 단계로서, 이 경우 상기 노드 B는 상기 스케줄링 결정들에서 상기 노이즈 값을 사용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상에 저장된 실행가능한 코드를 지닌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16. 노드 B에서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을 측정하거나 추정하는 단계;
    공통 측정값 정보 요소에서 상기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의 값을 상기 노드 B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시그널링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 B가 상기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노이즈 값을 수신하지 않는 한, 스케줄링 결정을 행하기 위하여 노드 B에 의해 상 기 수신된 총 광대역 전력을 사용하는 단계로서, 이 경우 상기 노드 B는 상기 스케줄링 결정들에서 상기 노이즈 값을 사용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하드웨어.
KR1020077017170A 2005-02-09 2006-02-08 고속 상향 패킷 접속을 위한 노이즈 레벨 통신용 방법 및시스템 KR200700872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157005P 2005-02-09 2005-02-09
US60/651,570 2005-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221A true KR20070087221A (ko) 2007-08-27

Family

ID=3679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170A KR20070087221A (ko) 2005-02-09 2006-02-08 고속 상향 패킷 접속을 위한 노이즈 레벨 통신용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588701B2 (ko)
EP (1) EP1847053B1 (ko)
JP (1) JP4648406B2 (ko)
KR (1) KR20070087221A (ko)
CN (1) CN101103578B (ko)
AU (1) AU2006213555A1 (ko)
BR (1) BRPI0608529A2 (ko)
CA (1) CA2597297A1 (ko)
HU (1) HUE046583T2 (ko)
MX (1) MX2007009339A (ko)
RU (1) RU2410840C2 (ko)
TW (1) TWI469549B (ko)
WO (1) WO2006085192A1 (ko)
ZA (1) ZA2007065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0807C (zh) * 2006-08-28 2008-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控制器中hsupa过程的性能统计方法及装置
CN101212782B (zh) * 2006-12-31 2014-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高速上行分组接入的调度方法和系统
US8126403B2 (en) * 2008-04-23 2012-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stimating and limiting inter-cell interference
US8239723B2 (en) * 2009-01-05 2012-08-07 Intel Corporation HARQ timing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385832B2 (en) * 2009-03-13 2013-0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in an uplink multi-carrier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8811404B2 (en) * 2009-06-26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figuration of scheduling policy to facilitate distributed scheduling
CN101867961B (zh) * 2010-06-21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站天线口底噪的测量方法、装置及系统
CN102523627B (zh) * 2011-12-08 2014-04-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RU2502078C1 (ru) * 2012-05-24 2013-12-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рпорация "Тактическое ракетное вооружение"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линий связи аппаратуры нос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9957125B2 (en) * 2016-02-04 2018-05-01 Ilya Ray Sanitary automatic glove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08535U1 (de) 1983-03-19 1984-06-20 Joh. Vaillant Gmbh U. Co, 5630 Remscheid Radialgeblaese
JP3586348B2 (ja) * 1997-03-05 2004-11-10 富士通株式会社 信号対干渉電力比測定装置及び信号対干渉電力比測定方法並びにcdma通信方式下での送信電力制御方法
US7010318B2 (en) 2001-01-13 2006-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W-CDMA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a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cheme
US6836666B2 (en) 2001-05-08 2004-12-2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to control up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375691B (en) * 2001-05-17 2004-06-09 Nec Corp Updating method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30125040A1 (en) * 2001-11-06 2003-07-03 Walton Jay R. Multiple-access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KR100837351B1 (ko) 2002-04-06 200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링크 파라미터 갱신 방법
US7356346B2 (en) * 2002-06-28 2008-04-0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uplink scheduling for data communication
KR100876812B1 (ko) * 2002-11-05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방식의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목표잡음 증가 대 열 잡음 비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 장치 및방법
US7602722B2 (en) * 2002-12-04 2009-10-13 Nortel Networks Limited Mobile assisted fast scheduling for the reverse link
EP1437912B1 (en) * 2003-01-04 201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data rate of user equipment supporting EUDCH service
CA2457285A1 (en) 2003-02-15 2004-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40219919A1 (en) * 2003-04-30 2004-11-04 Nicholas Whinnett Management of uplink scheduling m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611702B1 (en) * 2003-08-19 2012-03-28 LG Electronics, Inc. Node b schedul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6038786A1 (en) * 2004-10-07 2006-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uplink load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7053B1 (en) 2019-10-23
RU2410840C2 (ru) 2011-01-27
MX2007009339A (es) 2007-09-21
US8588701B2 (en) 2013-11-19
HUE046583T2 (hu) 2020-03-30
ZA200706550B (en) 2008-07-30
US20060178112A1 (en) 2006-08-10
CN101103578A (zh) 2008-01-09
JP4648406B2 (ja) 2011-03-09
JP2008524952A (ja) 2008-07-10
TWI469549B (zh) 2015-01-11
RU2007120459A (ru) 2009-03-20
EP1847053A1 (en) 2007-10-24
TW200704233A (en) 2007-01-16
WO2006085192A1 (en) 2006-08-17
EP1847053A4 (en) 2011-09-28
AU2006213555A1 (en) 2006-08-17
CN101103578B (zh) 2013-01-02
CA2597297A1 (en) 2006-08-17
BRPI0608529A2 (pt) 201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8701B2 (en) Noise level communication for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KR100789463B1 (ko) 업링크 스케줄링을 가능하게 하는 두 임계값 업링크레이트 제어
US20060172739A1 (en) Avoidance of overload in SHO
US20130242786A1 (en) Network Controlled Throughput for Enhanced Uplink FACH
JP5101704B2 (ja) Ulレート違反検知
KR101548763B1 (ko) 강화된 업링크 fach를 위한 네트워크 제어 처리율
EP2080285B1 (en)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in a wcdma system
JP2011520347A (ja) 自律的再送信を通じたアップリンクカバレージの向上
JP2010532626A (ja) ユーザ端末の電力不足表示
JP2011010031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JP4927741B2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JP4856243B2 (ja) ベストエフォート型マクロダイバーシティ
WO2006075610A1 (ja)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KR20050094691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24

Effective date: 201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