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6948A -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및 안전 운전 추진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및 안전 운전 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6948A
KR20070086948A KR1020077015448A KR20077015448A KR20070086948A KR 20070086948 A KR20070086948 A KR 20070086948A KR 1020077015448 A KR1020077015448 A KR 1020077015448A KR 20077015448 A KR20077015448 A KR 20077015448A KR 20070086948 A KR20070086948 A KR 20070086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eat belt
driver
male
component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가미키
Original Assignee
히로시 가미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가미키 filed Critical 히로시 가미키
Publication of KR2007008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preventing star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83Interlock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4Drug level, e.g. alcoh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mmun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벨트의 장착 의무를 지우거나 음주 운전 및/또는 약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성]
자동차(1)의 시트 벨트의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된 것을 검지해서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를 출력하는 장착 검지 수단(100)과, 이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를 수신하여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시동 제어 수단(200)과, 자동차(1)의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을 검출해 해당 알코올의 농도 판정을 행하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과, 시트 벨트의 웅부(11)와 자부(12)의 장착을 저지하는 장착 저지 수단(400)을 구비하고 있고, 장착 저지 수단(400)은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안전 운전 추진 장치

Description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및 안전 운전 추진 장치{SAFETY DRIVING PROMOTION SYSTEM AND SAFETY DRIVING PROMOTION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유저에 대하여 시트 벨트의 장착 의무를 지워 안전 운전을 추진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및 안전 운전 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안전 운전을 추진하는 장치로서는 자동차의 시트 벨트의 웅부(雄部)가 자부(雌部)에 장착되지 않는 한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할 수 없게 되어 있는 시트 벨트 강제 장착 장치(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나,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농도를 검출했을 때에는 차밖에 그 취지를 전하는 기능을 가진 넘버 플레이트(number plate) 등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소50-7902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06-23920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제3514733호 공보
그러나, 시트 벨트의 장착 의무를 지우거나 음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시트 벨트의 장착 의무를 지우거나 음주 운전 및/또는 약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및 안전 운전 추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은 자동차의 시트 벨트의 웅부가 자부에 장착된 것을 검지해서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출력하는 장착 검지 수단과, 이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시동 제어 수단을 구비한 자동차에 채용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이며, 자동차의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해 해당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 판정을 행하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과, 시트 벨트의 웅부와 자부의 장착을 저지하는 장착 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장착 저지 수단은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시트 벨트의 웅부를 자부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장착 저지 수단이 시트 벨트의 자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착 저지 수단은 웅부가 삽입되는 자부의 삽입구를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하거나 웅부가 삽입되는 자부의 삽입구내에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장착 저지 수단이 시트 벨트의 웅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착 저지 수단은 자부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웅부의 삽입부에 따라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구성으로 하거나 웅부의 삽입부를 해당 웅부 본체내에 출입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운전자의 신체적 특징을 판독하여 해당 운전자의 인증을 행하는 바이오메트릭(biometrics)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바이오메트릭 수단에 의해 진정한 운전자라고 인증되었을 때만 운전자의 호기의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바이오메트릭 수단에 의해 진정한 운전자라고 인증된 후 소정 기간내에만 운전자의 호기의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장착 저지 수단 및 장착 검지 수단과 별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오메트릭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바이오메트릭 수단과 함께 별체로 되어 있다.
시트 벨트의 웅부 또는 자부에는 GPS 발신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 GPS 발신기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과 함께 별체로 할 수 있다.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 바이오메트릭 수단 및/또는 GPS 발신기는 휴대전화기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한 것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기록 수단에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의 수신 시간을 동시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록 데이터는 운전자의 자동차의 운행 데이터가 되므로 운행 관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시동 제어 수단은 자동차 원동기를 직접적으로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수단과 간접적으로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직접적으로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수단으로서는 자동차 원동기의 시동을 제어하는 자동차의 본체 제어부를 이용한다. 이 본체 제어부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원동기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게 되어 있다.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제 2 시동 허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본체 제어부는 제 1, 제 2 시동 허가 신호의 쌍방을 수신했을 경우에만 자동차 원동기의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접적으로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제 1 수단으로서는 자동차의 키이 홀(keyhole)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폐쇄 수단을 이용한다. 이 제 1 폐쇄 수단은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키이 홀을 개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간접적으로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제 2 수단으로서는 자동차의 키이 홀내에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고, 또한,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키이 홀로 돌출된 위치로부터 퇴피하는 구성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간접적으로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제 3 수단으로서는 신호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제 2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의 수신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제 2 폐쇄 수단을 이용한다. 이 제 2 폐쇄 수단은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에 따라서 수신 수단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간접적으로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제 3 수단으로서는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시키기 위해서 조작되는 시동 조작부의 조작을 저지하는 조작 저지 수단을 이용한다. 이 조작 저지 수단은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에 따라서 시동 조작부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동 조작부의 조작면을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제 3 폐쇄 수단이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시동 조작부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시동 조작부가 푸시 스위치(push switch)일 경우 조작 저지 수단은 시동 조작부 또는 해당 시동 조작부가 설치된 자동차 하우징(housing)부에 맞물려 해당 시동 조작부의 푸싱 조작을 저지하는 맞물림 수단이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시동 조작부 또는 해당 시동 조작부가 설치된 자동차 하우징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안전 운전 추진 장치는 자동차의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해 해당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 판정을 행하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과, 시트 벨트의 웅부와 자부의 장착을 저지하는 장착 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장착 저지 수단은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시트 벨트의 웅부를 자부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자동차의 운전자는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시킬 때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을 이용해서 운전자의 호기중의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 판정을 행한다. 그 결과,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가 자동차의 운전에 문제가 없는 농도일 경우에는 장착 저지 수단이 시트 벨트의 웅부를 자부에 장착 가능한 상태로 하게 되어 있으므로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있다. 시트 벨트를 장착하면 시트 벨트의 장착을 검지하는 장착 검지 수단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가 출력되고, 시동 제어 수단에 의해 자동차 원동기가 시동 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원동기를 시동시킬 수 있다. 한편,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가 자동차의 운전에 문제가 있는 농도일 경우에는 장착 저지 수단에 의해 시트 벨트의 웅부와 자부의 장착이 저지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다.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으면 장착 검지 수단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시동 제어 수단에 의해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할 수 없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로 인해 시트 벨트의 장착을 강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동차의 운전자의 음주 운전 및/또는 약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장착 저지 수단이 시트 벨트의 웅부가 삽입되는 자부의 삽입구를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장착 저지 수단은 시트 벨트의 웅부가 삽입되는 자부의 삽입구내에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청구항 2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장착 저지 수단은 시트 벨트의 웅부의 삽입부에 따라 돌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시트 벨트의 웅부의 삽입부를 해당 웅부 본체내에 출입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바이오메트릭 수단에 의해 진정한 운전자라고 인증되지 않는 한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이 운전자의 호기의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를 대신해서 제3자가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을 이용해서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 판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바이오메트릭 수단에 의해 진정한 운전자라고 인증된 후 소정 기간내에만 운전자의 호기의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를 대신해서 제3자가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을 이용해서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 판정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장착 저지 수단 및 장착 검지 수단과 별체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이 휴대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바이오메트릭 수단과 함께 설치되어 있고, 또한, 장착 저지 수단 및 장착 검지 수단과 별체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 및 바이오메트릭 수단이 휴대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O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시트 벨트의 웅부 또는 자부에는 GPS 발신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GPS 발신기의 GPS 신호를 관리 센터 등으로 수신함으로써 자동차의 위치 검색이나 자동차의 운행 관리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높은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GPS 발신기가 별체인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과 함께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위치 검색뿐만 아니라 유저의 위치 검색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범용성이 높은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이 바이오메트릭 수단과 함께, 또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이 바이오메트릭 수단 및 GPS 발신기와 함께 휴대전화기에 내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휴대전화기를 휴대하는 것만으로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 등을 휴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좋고, 편리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시동 제어 수단은 자동차 원동기의 시동을 제어하는 자동차의 본체 제어부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본체 제어부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를 크게 설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시동 제어 수단은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와,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 등의 신호 출력 수단의 제 2 시동 허가 신호의 쌍방을 수신했을 경우에만 자동차 원동기의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게 되어 있다. 즉, 시동 제어 수단이 제 1, 제 2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원동기가 시동 가능하게 되므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함에 있어서 메리트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5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시동 제어 수단은 자동차의 키이 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폐쇄 수단이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키이 홀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키이 홀의 일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것만을 하기 때문에 자동차를 크게 설계 변경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6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시동 제어 수단은 자동차의 키이 홀내에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고, 또한,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키이 홀로 돌출된 위치로부터 퇴피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키이 홀내에 출입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자동차를 크게 설계 변경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7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시동 제어 수단은 수신 수단의 수신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제 2 폐쇄 수단이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에 따라서 제 2 시동 시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동 제어 수단은 수신 수단을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것만을 하기 때문에 자동차를 크게 설계 변경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8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시동 제어 수단은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시키기 위해서 조작되는 시동 조작부의 조작을 저지하는 조작 저지 수단이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에 따라서 시동 조작부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자동차를 큰 설계 변경을 함이 없이 실현 가능하므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9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시동 제어 수단은 시동 조작부의 조작면을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제 3 폐쇄 수단이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시동 조작부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동 제어 수단은 시동 조작부의 조작면을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것만을 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0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시동 제어 수단은 시동 조작부 또는 해당 시동 조작부가 설치된 자동차 하우징부에 맞물려 해당 시동 조작부의 푸싱 조작을 저지하는 맞물림 수단이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시동 조작부 또는 해당 시동 조작부가 설치된 자동차 하우징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동 제어 수단은 시동 조작부 또는 자동차 하우징부에 맞물리는 것만을 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 가능하므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1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장치에 의한 경우 자동차의 운전자는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시킬 때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을 이용해서 운전자의 호기중의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 판정을 행한다. 그 결과,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가 자동차의 운전에 문제가 없는 농도일 경우에는 장착 저지 수단이 시트 벨트의 웅부를 자부에 장착 가능한 상태로 하게 되어 있으므로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가 자동차의 운전에 문제가 있는 농도일 경우에는 장착 저지 수단에 의해 시트 벨트의 웅부와 자부의 장착이 저지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다. 최근의 자동차는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으면 해당 자동차에 구비된 경보 장치가 계속해서 경보를 울리는 경우가 있고, 또한, 경찰 등의 단속의 대상이 되므로 시트 벨트의 장착을 추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동차의 운전자의 음주 운전 및/또는 약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동 시스템의 시트 벨트의 자부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며, (a)는 장착 저지 수단에 의해 삽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장착 저지 수단에 의해 삽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동 시스템의 시트 벨트의 자부를 나타내는 내부가 투과된 개략적 측면도이며, (a)는 장착 저지 수단에 의해 삽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장착 저지 수단에 의해 삽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동 시스템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부에 의해 처리되는 제 1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동 시스템의 장착 저지 수단의 구동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는 모터 구 동 제어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동 시스템의 시트 벨트의 웅부의 내부가 투과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8은 동 시스템의 시트 벨트의 웅부 및 자부를 나타내는 내부가 투과된 개략적 측면도이며, (a)는 장착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동 시스템의 장착 저지 수단의 구동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는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동 시스템의 내부가 투과된 시동 제어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2는 동 시스템의 시동 제어 수단의 구동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는 키이 홀 개폐용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3은 동 시스템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내는 내부가 투과된 시동 제어 수단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4는 동 시스템의 다른 설계 변경예를 나타내는 내부가 투과된 시동 제어 수단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블록도이 다.
도 16은 동 시스템의 내부가 투과된 시동 제어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7은 동 시스템의 시동 제어 수단의 구동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는 시동 조작 저지용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9는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봉형체가 돌출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내부가 투과된 평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봉형체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1은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봉형체가 수용 가능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내부가 투과된 평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횡단면도, (d)는 바이어싱 수단을 제거한 α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2는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봉형체가 수용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내부가 투과된 평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횡단면도이다.
도 23은 동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부에 의해 처리되는 제 2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장착 저지 수단의 봉형체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가 투과된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5는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내부가 투과된 모식적 평면도이며, (a)는 해당 장착 저지 수단의 로킹 기구(locking mechanism) 동작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해당 장착 저지 수단의 로킹 기구 동작 완료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동 시스템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부에 의해 처리되는 제 3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장착 저지 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내부가 투과된 저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횡단면도이다.
도 28은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봉형체의 수납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b)는 봉형체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동 시스템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부에 의해 처리되는 제 4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장착 저지 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며, (a)는 텅(tongue)의 돌출 및 비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텅의 수용 및 비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텅의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동 시스템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부에 의해 처리되는 제 5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32는 동 시스템의 장착 저지 수단의 하우징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11 : 웅부
11a : 텅(삽입부) 12 : 자부
12a : 삽입구 20 : 원동기
30 : 키이 홀 40 : 시동 조작부
100 : 장착 검지 수단
200 : 시동 제어 수단(본체 제어부)
300 :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
400 : 장착 저지 수단 400' : 장착 저지 수단
500 : 시동 제어 수단(제 1, 제 2 및 제 3 폐쇄 수단)
600 : 시동 제어 수단 700 : 신호 출력 수단
800 : 바이오메트릭 수단 900 : GPS 발신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동 시스템의 시트 벨트의 자부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며, (a)는 장착 저지 수단에 의해 삽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장착 저지 수단에 의해 삽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동 시스템의 시트 벨트의 자부를 나타내는 내부가 투과된 개략적 측면도이며, (a)는 장착 저지 수단에 의해 삽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장착 저지 수단에 의해 삽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은 동 시스템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부에 의해 처리되는 제 1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 도 5는 동 시스템의 장착 저지 수단의 구동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는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은 자동차(1)의 시트 벨트의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된 것을 검지해서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를 출력하는 장착 검지 수단(100)과, 이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를 수신하여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시동 제어 수단(200)과, 자동차(1)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을 검출해 해당 알코올의 농도 판정을 행하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과, 시트 벨트의 웅부(11)와 자부(12)의 장착을 저지하는 장착 저지 수단(40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시트 벨트의 웅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부(12)에 착탈 가능하게 된 텅(11a)(삽입부)을 갖고 있다. 한편, 시트 벨트의 자부(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11a)이 삽입되는 삽입구(12a)와, 이 삽입구(12a)에 삽입된 텅(11a)을 로킹하는 도시되지 않은 로킹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은 운전자에게 휴대되는 휴대 기기(즉, 별체)또는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것이며,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수단(310)과, 이 센싱 수단(310)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알코올 농도 판 정을 행하는 판정부(320)와, 판정부(320)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개방 신호(β)를 장착 저지 수단(400)을 향해서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330)를 갖고 있다.
센싱 수단(310)은 주지의 반도체 센서이며, 소정 시간(약 2초간) 숨을 내쉬면 센서의 내부 저항이 변화되고, 이 내부 저항의 변화를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센싱 수단(310)은 내쉰 숨에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알코올이 센서내의 촉매에 부착되고, 내부 저항이 크게 변화된다. 촉매에 부착된 알코올은 센서를 히팅 업(heating up)함으로써 연소되어 증발되게 되어 있다.
판정부(320)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이용하고 있고, 입력 포트에 센싱 수단(310)이 출력 포트에 신호 출력부(330)가 접속되어 있다. 이 판정부(320)의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는 도 4에 도시된 제 1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 및 운전자가 음주 운전이 되는 알코올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값이 기록되어 있다. 즉, 판정부(320)는 제 1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을 처리함으로써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에 의거하여 운전자의 호기중의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의 값과 메모리상의 기준값을 비교하고, 측정 결과의 값이 기준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판정부(320)는 측정 결과의 값(즉, 운전자의 호기중의 알코올 농도의 값)이 기준값 이하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신호 출력부(330)에 개방 신호(β)를 출력시키는 한편,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경고용의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에는 운전자의 신체적 특징을 판독하여 해당 운전자의 인증을 행하는 바이오메트릭 수단(800) 및/또는 GPS 발신기(900)를 함 께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이오메트릭 수단(800)을 설치했을 경우 판정부(320)는 바이오메트릭 수단(800)의 인증 판정부로서도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320)의 메모리에는 운전자(1 또는 복수인)의 개인 식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다. 판정부(320)는 바이오메트릭 수단(800)에 의해 판독된 개인 식별 데이터와 메모리상의 개인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진정한 운전자라고 인증되었을 때만 운전자의 호기의 알코올을 검출 가능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진정한 운전자라고 인증한 후 소정 기간내에만 운전자의 호기의 알코올을 검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운전자를 대신해서 알코올 농도 판정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GPS 발신기(900)를 설치했을 경우 GPS 신호를 수신하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을 유지한 운전자의 위치 검색이나 자동차(1)의 운항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장착 검지 수단(100)은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나 포토 센서 등의 위치 검출 스위치이며, 시트 벨트의 자부(12)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 검지 수단(100)은 삽입된 웅부(11)의 텅(11a)의 위치를 검지하고, 그 출력 신호를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로서 시동 제어 수단(200)으로 출력하는 한편,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 제어부(440)에도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장착 저지 수단(400)은 시트 벨트의 자부(12)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자부(12)의 웅부(11)의 텅(11a)이 삽입되는 삽입구(12a)를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벨트의 자부(12)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하우징(401)과, 이 하우징(401)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자부(12)의 삽입구(12a)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체(410)와, 이 뚜껑체(410)를 자부(12)의 삽입구(12a)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도 2(a) 및 도 3(a)]로부터 해당 삽입구(12a)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2(b) 및 도 3(b)]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420)과,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신호 출력부(330)의 개방 신호(β)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430)와, 구동 수단(4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440)를 갖는다.
뚜껑체(410)는 수지 성형품이며, 일면(一面)에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랙 기어(rack gear)(411)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수단(420)은 모터이며, 그 헤드에는 뚜껑체(410)의 랙 기어(411)와 나사 결합되는 피니언(421)이 설치되어 있다. 즉, 구동 수단(420)의 회전 운동이 뚜껑체(41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구동 제어부(440)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이용하고 있고, 입력 포트에 신호 수신부(430), 장착 검지 수단(100) 및 시동 제어 수단(200)의 신호 출력부(220)가 접속되어 있는 한편, 출력 포트에 구동 수단(420)이 접속되어 있다. 이 구동 제어부(440)의 메모리에는 도 5에 도시된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즉, 구동 제어부(440)는 상기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을 처리함으로써 신호 수신부(430)를 통해서 입력되는 개방 신호(β)에 따라서 구동 수단(420)을 회전 구동시켜, 뚜껑체(410)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 제어부(440)는 장착 검지 수단(100)의 출력 신호에 의거해 시트 벨트의 웅 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구동 수단(420)을 회전 구동시켜 뚜껑체(410)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 제어부(440)는 시동 제어 수단(200)의 신호 출력부(220)의 원동기 상태 신호(γ)가 입력되면 메모리상의 소정의 플래그를 세팅하고, 다시 원동기 상태 신호(γ)가 입력되면 메모리상의 소정의 플래그를 리셋하도록 되어 있다.
시동 제어 수단(200)은 자동차(1)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자동차(1)의 원동기(20)의 시동 등의 전체를 제어하는 자동차(1)의 본체 제어부(210)와, 구동 제어부(440)를 향해서 원동기 상태 신호(γ)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220)를 갖고 있다. 본체 제어부(21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게 되어 있다.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구체적인 수단에 대해서는 다음 1)∼4)의 수단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원동기(20)를 어떤 수단으로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할 것인지의 여부는 임의적이다.
1) 원동기(20)의 전력 회로(도시 안됨)에 설치된 스위칭 회로를 스위칭 하고,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원동기(20)에 전력을 공급한다.
2) 원동기(20)의 셀 모터(도시 안됨)나 시동 회로(도시 안됨)의 ON/OFF를 제어하고,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해당 셀 모터나 시동 회로를 ON 상태로 한다.
3) 자동차(1)에 원동기(20)를 시동시키기 위한 시동 조작부(도시 안됨)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 해당 시동 조작부의 ON/OFF를 제어하고, 제 1 시동 허가 신호 (α)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시동 조작부를 ON 상태로 한다.
4) 자동차(1)에 이모빌라이저 등의 신호 출력 수단(700)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키기 위한 제 2 시동 허가 신호(δ)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203)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 해당 신호 수신부(203)의 ON/OFF를 제어하고,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신호 수신부를 ON 상태로 한다. 또한, 1)∼3)의 수단과 함께 이모빌라이저 등의 신호 출력 수단(700)의 제 2 시동 허가 신호(δ)를 수신하여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하게 할 경우에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와 제 2 시동 허가 신호(δ)의 쌍방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만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 제어부(210)는 원동기(20)의 시동 또는 정지시 마다 도시되지 않은 신호 출력 인터럽팅 프로그램(singnal output interrupting program)을 처리하고, 신호 출력부(220)로 원동기 상태 신호(γ)를 출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함과 아울러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처리되는 도 4에 도시된 제 1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 및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 제어부(440)에 의해 처리되는 도 5에 도시된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의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것과 함께 각 부의 동작도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키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저지 수단(400)의 뚜껑체(41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시트 벨트의 자부(12)의 삽입구(12a)를 폐쇄하고 있다. 그 후, 운전 자는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킬 때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을 ON으로 한다. 이에 따라,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제 1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이 처리된다. 그 후,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즉, 센싱 수단(310)에 숨을 내쉬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 이 판정의 결과, 숨을 내쉬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1의 처리로 리턴된다. 한편, 센싱 데이터가 입력되어 숨을 내쉬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에 의거해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다(s2). 그리고, 측정 결과의 값(즉, 운전자의 호기중의 알코올 농도의 값)이 메모리상의 기준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 그 결과,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경고용의 램프를 점등시키고(s4), 상기 제 1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측정 결과의 값이 기준값 이하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신호 출력부(330)에 개방 신호(β)를 출력시키고(s5), 상기 제 1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처리를 종료한다.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 제어부(440)는 항상 도 5에 도시된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을 처리하고, 장착 저지 수단(400)의 신호 수신부(430)를 통해서 개방 신호(β)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1). 이 판정의 결과, 개방 신호(β)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타이머 회로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구동 수단(420)을 회전 구동시키고(s12), 뚜껑체(410)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자부(12)의 삽입구(12a)가 개방되므로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할 수 있다.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면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된다. 이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면 시동 제어 수단(200)은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있다.
스텝 12의 후, 타이머 회로의 카운트 값을 참조해서 자부(12)의 삽입구(12a)가 개방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3). 이 판정의 결과,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13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소정 시간 경과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장착 검지 수단(100)의 출력 신호에 의거해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4). 이 판정의 결과,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구동 수단(420)을 회전 구동시키고(s15), 뚜껑체(410)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자부(12)의 삽입구(12a)가 뚜껑체(410)에 의해 폐쇄된다. 그 후, 스텝 11의 처리로 리턴된다.
한편, 스텝 14에 있어서,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장착 검지 수단(100)의 출력 신호에 의거해 웅부(11)가 자부(12)로부터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6). 즉, 운전 종료후 시트 벨트가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16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분리되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타이머 회로를 작동시키고, 해당 타이머 회로의 카운트 값을 참조해서 웅부(11)가 자부(12)로부터 분리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약 10분)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7). 그 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원동기(20)가 정지되어 있는지의 여부[즉, 구동 제어부(440)의 메모리의 소정의 플래그가 세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8). 즉, 운전이 실제로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원동기(20)가 정지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스텝 17의 처리로 리턴된다. 즉, 운전이 실제로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 자부(12)의 삽입구(12a)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스텝 17의 소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을 이용해서 알코올 농도 판정을 행하지 않고,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스텝 17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했을 때 및 스텝 18에 있어서 원동기(20)가 정지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구동 수단(420)을 회전 구동시키고(s19), 뚜껑체(410)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자부(12)의 삽입구(12a)가 뚜껑체(410)에 의해 폐쇄된다. 그 후, 스텝 11의 처리로 리턴된다.
이러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신호 출력부(330)로부터 개방 신호(β)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뚜껑체(41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시트 벨트의 자부(12)의 삽입구(12a)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삽입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으면 자부(12)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고, 시동 제어 수단(200)에 의해 자동차(1)의 원동기(20)가 시동 가능한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음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신호 출력부(330)로부터 개방 신호(β)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장착 저지 수단(400)의 뚜껑체(41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자부(12)의 삽입구(12a)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웅부(11)가 자부(12)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지 않으면 해당 자부(12)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는다. 시동 제어 수단(200)의 본체 제어부(21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시트 벨트의 장착을 강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7은 동 시스템의 시트 벨트의 웅부의 내부가 투과된 개략적 정면도, 도 8은 동 시스템의 시트 벨트의 웅부 및 자부를 나타내는 내부가 투과된 개략적 측면도이며, (a)는 장착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동 시스템의 장착 저지 수단의 구동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는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에 도시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은 장착 검지 수단(100) 및 장착 저지 수단(400')이 시트 벨트의 웅부(11)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1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과 다르다. 이하, 그 상위점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장착 검지 수단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 구성이므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이용한다. 한편, 장착 저지 수단은 구성이 실시예 1과 다르므로, 부호에 '을 붙인다.
장착 검지 수단(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위치 검출 스위치이다. 이 장착 검지 수단(100)은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었을 때의 해당 자부(12)의 위치를 검지하고, 그 출력 신호를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로서 시동 제어 수단(200)에 출력하는 한편,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 제어부(440')에도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장착 저지 수단(400')은 웅부(11)의 텅(11a)을 따라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벨트의 웅부(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하우징(401')과, 이 하우징(401')에 텅(11a)을 따라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봉형체(410')와, 이 봉형체(410')를 텅(11a)을 따라 돌출시킨 돌출 위치[도 8(a)]로부터 하우징(401')에 수납된 수납 위치[도 8(b)]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420')과,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신호 출력부(330)의 개방 신호(β)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430')와, 구동 수단(4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440')를 갖는다.
봉형체(410')는 구형상의 수지 성형품이며, 일면에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랙 기어(411')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수단(420')은 모터이며, 그 헤드에는 봉형체(410')의 랙 기어(411')와 나사 결합되는 피니언(421')이 설치되어 있다. 즉, 구동 수단(420')의 회전 운동이 봉형체(41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구동 제어부(440')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이용하고, 입력 포트에 신호 수신부(430'), 장착 검지 수단(100) 및 시동 제어 수단(200)의 신호 출력부(220')가 접속되어 있는 한편, 출력 포트에 구동 수단(420')이 접속되어 있다. 이 구동 제어부(440')의 메모리에는 도 9에 도시된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즉, 구동 제어부(440')는 상기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을 처리함으로써 신호 수신부(430')를 통해서 입력되는 개방 신호(β)에 따라서 구동 수단(420')을 회전 구동시키고, 봉형체(410')를 돌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 제어부(440')는 장착 검지 수단(100)의 출력 신호에 의거해 시트 벨트의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구동 수단(420')을 회전 구동시키고, 봉형체(410')를 수납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 제어부(440')는 시동 제어 수단(200)의 신호 출력부(220)의 원동기 상태 신호(γ)가 입력되면 메모리상의 소정의 플래그를 세팅하고, 다시 원동기 상태 신호(γ)가 입력되면 메모리상의 소정의 플래그를 리셋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함과 아울러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 제어부(440')에 의해 처리되는 도 9에 도시된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의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것과 함께 각 부의 동작도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키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저지 수단(400')의 봉형체(410')가 돌출 위치에 위치하고, 텅(11a)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운전자는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킬 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을 이용해서 자신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농도 판정을 행한다.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 제어부(440')는 항상 도 9에 도시된 모터 구동 제어 프로그램을 처리하고, 장착 저지 수단(400')의 신호 수신부(430')를 통해서 개방 신호(β)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s11). 이 판정의 결과, 개방 신호(β)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타이머 회로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구동 수단(420')을 회전 구동시키고(s12), 봉형체(410')를 돌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8(b)참조]. 이에 따라, 봉형체(410')가 하우징(401')에 수납되므로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할 수 있다.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면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된다. 이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면 시동 제어 수단(200)은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있다.
스텝 12의 후, 타이머 회로의 카운트 값을 참조해서 봉형체(410')가 수납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3). 이 판정의 결과,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13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소정 시 간 경과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장착 검지 수단(100)의 출력 신호에 의거해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4). 이 판정의 결과,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구동 수단(420')을 회전 구동시키고(s15), 봉형체(410')를 수납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가 텅(11a)을 따라 돌출된다. 그 후, 스텝 11의 처리로 리턴된다.
한편, 스텝 14에 있어서,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장착 검지 수단(100)의 출력 신호에 의거해 웅부(11)가 자부(12)로부터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6). 즉, 운전 종료후 시트 벨트가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16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분리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타이머 회로를 작동시키고, 해당 타이머 회로의 카운트 값을 참조해서 웅부(11)가 자부(12)로부터 분리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약 10분)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7). 그 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원동기(20)가 정지되었는지의 여부[즉, 구동 제어부(440')의 메모리의 소정의 플래그가 세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8). 즉, 운전이 실제로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원동기(20)가 정지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스텝 17의 처리로 리턴된다. 즉, 운전이 실제로 종료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하여 자부(12)의 삽입구(12a)(도 2 및 도 3 참조)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스텝 17의 소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을 이용해서 알 코올 농도 판정을 행하지 않고,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스텝 17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했을 때 및 스텝 18에 있어서 원동기(20)가 정지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구동 수단(420')을 회전 구동시키고(s19), 봉형체(410')를 수납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가 텅(11a)을 따라 돌출된다. 그 후, 스텝 11의 처리로 리턴된다.
이러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신호 출력부(330)로부터 개방 신호(β)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봉형체(410')가 텅(11a)을 따라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삽입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으면 웅부(11)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고, 시동 제어 수단(200)에 의해 자동차(1)의 원동기(20)가 시동 가능한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음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신호 출력부(330)로부터 개방 신호(β)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장착 저지 수단(400')의 봉형체(410')가 돌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이동하고, 하우징(401')내에 수납된다. 이에 따라, 웅부(11)가 자부(12)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지 않으면 웅부(11)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는다. 시동 제어 수단(200)의 본체 제어부(21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시트 벨트의 장착을 강제할 수 있다.
또한, 장착 저지 수단에 대해서는 시트 벨트의 웅부(11)와 자부(12)의 장착을 저지하고 있고,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면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한 어떤 것을 이용해도 개의치 않는다.
따라서, 장착 저지 수단(400)은 자부(12)의 삽입구(12a)를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했지만, 봉형체를 자부(12)의 삽입구(12a)내에 출입 가능하게 돌출시킨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성을 자부(12)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장착 저지 수단(400')은 봉형체(410')가 웅부(11)의 텅(11a)을 따라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실시예 8에 있어서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봉형체(410') 대신 텅(11a) 자체를 웅부 본체내에 출입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를 수신한 경우에만 텅(11a)을 돌출시키고, 자부(12)의 삽입구(12a)에 삽입했을 때에 해당 자부(12)에 설치된 로킹 기구에 의해 로킹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로킹 기구를 장착 검지 수단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었을 때에만 텅(11a)을 로킹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좋 다.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에 대해서는 휴대 기기라고 했지만, 자동차(1)에 일체적으로 설치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바이오메트릭 수단(800) 및/또는 GPS 발신기(900)를 함께 설치할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다. 단, GPS 발신기(900)만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으로부터 분리해서 자동차(1)에 설치할 수 있다.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센싱 수단(310)은 알코올을 센싱하는 것으로 했지만, 약물을 센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물론, 알코올 및 약물의 쌍방을 센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11은 동 시스템의 내부가 투과된 시동 제어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도 12는 동 시스템의 시동 제어 수단의 구동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는 키이 홀 개폐용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 도 13은 동 시스템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내는 내부가 투과된 시동 제어 수단의 개략적 측면도, 도 14는 동 시스템의 다른 설계 변경예를 나타내는 내부가 투과된 시동 제어 수단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은 시동 제어 수단(500)의 구성이 실시예 1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과 다르다. 따라서, 그 상위점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시동 제어 수단은 부호 500을 새롭게 붙인다.
시동 제어 수단(500)은 자동차(1)의 키이 홀(30)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키이 홀(30)을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즉, 제 1 폐쇄 수단).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이 홀(30)의 에지부에 설치된 통형상의 하우징(510)과, 이 하우징(510)의 개구(511)를 개폐 가능한 뚜껑체(520)와, 이 뚜껑체(520)를 하우징(510)의 개구(51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도 11(a)]로부터 개구(51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11(b)]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530)과, 구동 수단(5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540)와, 열쇠가 키이 홀(30)에 삽입된 것을 검지하는 포토 센서나 리미트 스위치 등의 위치 검지부(550)를 갖는다.
뚜껑체(520)는 수지 성형품이며, 일면에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랙 기어(521)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수단(530)은 모터이며, 그 헤드에는 뚜껑체(520)의 랙 기어(521)와 나사 결합되는 피니언(531)이 설치되어 있다. 즉, 구동 수단(530)의 회전 운동이 뚜껑체(52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구동 제어부(540)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이용하고 있고, 입력 포트에 장착 검지 수단(100)이 접속되어 있는 한편, 출력 포트에 구동 수단(530)이 접속되어 있다. 이 구동 제어부(540)의 메모리에는 도 12에 도시된 키이 홀 개폐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즉, 구동 제어부(540)는 상기 키이 홀 개폐용 프로그램을 처리함으로써 장착 검지 수단(100)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α)에 따라서 구동 수단(530)을 회전 구동시키고, 뚜껑체(520)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 제어부(540)는 위치 검출부(550)의 출력 신호에 의거해 키이 홀(30)에 열쇠가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삽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구동 수단(530)을 회전 구동시키고, 뚜껑체(520)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체 제어부(210)는 자동차(1)의 원동기(20)의 시동 등의 전체를 제어하는 기본적인 기능과, 원동기(20)의 시동 또는 정지시마다 신호 출력부(220)에 구동 제어부(440)를 향해서 원동기 상태 신호(γ)를 출력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시동 제어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제외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함과 아울러 시동 제어 수단(500)의 구동 제어부(540)에 의해 처리되는 도 12에 도시된 키이 홀 개폐용 프로그램의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것과 함께 각 부의 동작도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키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장착 저지 수단(400)의 뚜껑체(410)가 시트 벨트의 자부(12)의 삽입구(12a)를 폐쇄하고 있는[도 2(a) 및 도 3(a) 참조] 한편,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제어 수단(500)의 뚜껑체(520)가 키이 홀(30)을 폐쇄하고 있다.
운전자는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킬 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을 이용해서 자신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농도 판정을 행한다. 이 판정의 결과, 장착 저지 수단(400)에 의해 시트 벨트의 자부(12)의 삽입구(12a)가 개방되면 해당 자부(12)에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장착한다. 이 에 따라,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된다.
시동 제어 수단(500)은 도 12의 키이 홀 개폐용 프로그램을 항상 처리하고 있고,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s21). 이 판정의 결과,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타이머 회로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구동 수단(530)을 회전 구동시키고, 뚜껑체(520)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s22). 이에 따라, 키이 홀(30)이 개방되므로 키이 홀(30)에 열쇠를 삽입하고,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있다.
스텝 22의 후, 타이머 회로의 카운트 값을 참조해서 키이 홀(30)이 개방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3). 이 판정의 결과,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23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소정 시간 경과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위치 검지부(550)의 출력 신호에 의거해 키이 홀(30)에 열쇠가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4). 이 판정의 결과, 키이 홀(30)에 열쇠가 삽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구동 수단(530)을 회전 구동시키고(s25), 뚜껑체(520)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키이 홀(30)이 뚜껑체(410)에 의해 폐쇄된다. 그 후, 스텝 21의 처리로 리턴된다.
한편, 스텝 24에 있어서, 키이 홀(30)에 열쇠가 삽입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키이 홀(30)으로부터 열쇠가 빠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6). 이 판정의 결과, 빠져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26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분리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구동 수단(530)을 회전 구동시키고(s27), 뚜껑체(520)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키이 홀(30)이 뚜껑 체(520)에 의해 폐쇄된다. 그 후, 스텝 21의 처리로 리턴된다.
이러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신호 출력부(330)로부터 개방 신호(β)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뚜껑체(41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시트 벨트의 자부(12)의 삽입구(12a)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삽입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으면 자부(12)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고, 시동 제어 수단(200)에 의해 자동차(1)의 키이 홀(30)이 개방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음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신호 출력부(330)로부터 개방 신호(β)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장착 저지 수단(400)의 뚜껑체(41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자부(12)의 삽입구(12a)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웅부(11)가 자부(12)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지 않으면 해당 자부(12)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는다. 시동 제어 수단(500)의 구동 제어부(54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차(1)의 키이 홀(30)을 개방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운전자 에게 시트 벨트의 장착을 강제할 수 있다.
또한, 시동 제어 수단(500)을 키이 홀(30)에 설치하는 것만이므로 자동차(1)에 큰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시동 제어 수단(500)에 대해서는 키이 홀(30)을 개폐 가능하다고 했지만, 봉형체를 키이 홀(30)내에 출입 가능하게 돌출시킨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장착 저지 수단(400')과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시동 제어 수단(500)은 키이 홀(30)에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모빌라이저 등의 신호 출력 수단(700)(도 1 참조)으로부터 출력되는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제 2 시동 허가 신호(δ)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203)(수신 수단)에 설치하거나(즉, 제 2 폐쇄 수단),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키기 위해서 조작되는 시동 조작부(40)에 설치하거나(즉, 제 3 폐쇄 수단) 할 수 있다.
또한, 시동 제어 수단(500)은 실시예 2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적응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경우 본체 제어부(2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계 변경을 행한다.
<실시예 4>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16은 동 시스템의 내부가 투과된 시동 제어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도 17은 동 시스템의 시동 제어 수단의 구동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는 시동 조작 저지용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5에 도시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은 자동차(1)에 해당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키기 위해서 조작되는 시동 조작부(40)를 갖고 있고, 시동 제어 수단(600)이 해당 시동 조작부(40)의 조작을 저지하는 조작 저지 수단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1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과 다르다. 따라서, 그 상위점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시동 제어 수단은 부호 600을 새롭게 붙인다.
시동 조작부(40)는 자동차(1)에 설치된 푸시 스위치이다. 이 시동 조작부(40)의 에지부에는 시동 제어 수단(600)의 봉형체(610)를 맞물리게 하는 오목부인 맞물림부(4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동 조작부(40)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푸싱 조작된 후 자동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시동 제어 수단(600)은 자동차(1)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시동 조작부(40)에 맞물려 해당 시동 조작부(40)의 푸싱 조작을 저지하는 맞물림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조작부(40)의 맞물림부(41)에 맞물리는 봉형체(610)와, 이 봉형체(610)를 맞물림부(41)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도 16(a) 참조]로부터 맞물림부(41)에 맞물리지 않는 퇴피 위치[도 16(b) 참조]에 걸쳐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620)과, 이 구동 수단(6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630)를 갖고 있다.
봉형체(610)는 구형상의 수지 성형품이며, 일면에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랙 기어(611)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수단(620)은 모터이며, 그 헤드에는 봉형체(610) 의 랙 기어(611)와 나사 결합되는 피니언(621)이 설치되어 있다. 즉, 구동 수단(620)의 회전 운동이 봉형체(61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구동 제어부(630)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이 이용되어 있고, 입력 포트에 장착 검지 수단(100)이 접속되어 있는 한편, 출력 포트에 구동 수단(620)이 접속되어 있다. 이 구동 제어부(630)의 메모리에는 도 17에 도시된 시동 조작 저지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즉, 구동 제어부(630)는 상기 시동 조작 저지용 프로그램을 처리함으로써 장착 검지 수단(100)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α)에 따라서 구동 수단(620)을 회전 구동시키고, 봉형체(610)를 맞물림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체 제어부(210)는 자동차(1) 원동기(20)의 시동 등의 전체를 제어하는 기본적인 기능과, 원동기(20)의 시동 또는 정지시마다 신호 출력부(220)에 구동 제어부(440)를 향해서 원동기 상태 신호(γ)를 출력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시동 제어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제외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함과 아울러 시동 제어 수단(600)의 구동 제어부(630)에 의해 처리되는 도 17에 도시된 시동 조작 저지용 프로그램의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것과 함께 각 부의 동작도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키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장착 저지 수단(400)의 뚜껑체(410)가 시트 벨트의 자부(12)의 삽입구(12a)를 폐쇄하고 있는[도 2(a) 및 도 3(a) 참조] 한편,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제어 수 단(600)의 봉형체(610)가 시동 조작부(40)의 맞물림부(41)에 맞물려 있다.
운전자는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킬 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을 이용해서 자신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농도 판정을 행한다. 이 판정의 결과, 장착 저지 수단(400)에 의해 시트 벨트의 자부(12)의 삽입구(12a)가 개방되면 해당 자부(12)에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장착한다. 이에 따라,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된다.
시동 제어 수단(600)은 도 17의 키이 홀 개폐용 프로그램을 항상 처리하고 있고,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s31). 이 판정의 결과,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타이머 회로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구동 수단(620)을 회전 구동시키고, 봉형체(610)를 맞물림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다(s32). 이에 따라, 시동 조작부(40)가 푸싱 조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텝 32의 후, 타이머 회로의 카운트 값을 참조해서 시동 조작부(40)가 푸싱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3). 이 판정의 결과, 소정 시간 경과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구동 수단(620)을 회전 구동시키고(s34), 봉형체(610)를 퇴피 위치부터 맞물림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봉형체(610)가 맞물림부(41)에 맞물리고, 시동 조작부(40)가 푸싱 조작 불능으로 된다. 그 후, 스텝 31의 처리로 리턴된다.
이러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 고 판정되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신호 출력부(330)로부터 개방 신호(β)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뚜껑체(41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시트 벨트의 자부(12)의 삽입구(12a)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삽입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으면 자부(12)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고, 시동 제어 수단(200)에 의해 시동 조작부(40)가 푸싱 조작 가능하게 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음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신호 출력부(330)로부터 개방 신호(β)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장착 저지 수단(400)의 뚜껑체(41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자부(12)의 삽입구(12a)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웅부(11)가 자부(12)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지 않으면 해당 자부(12)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는다. 시동 제어 수단(600)의 구동 제어부(54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지 않으면 시동 조작부(40)를 푸싱 조작 가능하게 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시트 벨트의 장착을 강제할 수 있다.
또한, 시동 제어 수단(600)은 시동 조작부(40)에 맞물리는 것만임으로 자동차(1)에 큰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시동 제어 수단(600)에 대해서는 시동 조작부의 조작을 저지하는 조작 저지 수단이면 어떤 것을 이용해도 개의치 않는다. 상기 실시예 4에서는 봉형체(610)가 시동 조작부(40)의 맞물림부(41)에 맞물리는 구성으로 했지만, 시동 제어 수단(600)을 시동 조작부(40)내에 설치하고, 봉형체(610)가 해당 시동 조작부(40)가 설치된 자동차(1)의 하우징부에 설치된 맞물림부에 맞물리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저지 수단은 자동차의 시프트 레버를 봉형체로 로킹하고, 자동차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시동 제어 수단(600)은 실시예 2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적응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경우 본체 제어부(2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계 변경을 행한다.
장착 검지 수단(100)에 대해서는 시트 벨트의 웅부(11) 또는 자부(12)에 설치되어 있고, 웅부(11)와 자부(12)의 장착을 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을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장착 검지 수단(100)을 시트 벨트의 웅부(11)와 자부(12)를 장착할 때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이 접속에 의해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벨트의 웅부(11)와 자부(12)의 장착시에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로 하고, 상기 접속을 시동 제어 수단에 제 1 시동 허가 신호(α)로서 인식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트 벨트의 웅부(11)와 자부(12)가 장착 검지 수단(100)을 구성하는 것이다.
<실시예 5>
이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19는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봉형체가 돌출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내부가 투과된 평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횡단면도, 도 20은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봉형체의 모식적 평면도, 도 21은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봉형체가 수용 가능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내부가 투과된 평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횡단면도, (d)는 바이어싱 수단을 제거한 α부분의 확대도, 도 22는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봉형체가 수용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내부가 투과된 평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횡단면도, 도 23은 동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부에 의해 처리되는 제 2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이다.
도 18에 도시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은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이 시트 벨트의 웅부(11)에 설치되어 있는 점,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구성 및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성이 실시예 2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과 다르게 되어 있다. 이하, 그 상위점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부호에 대해서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붙인다.
장착 저지 수단(40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벨트의 웅부(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하우징(401')과, 이 하우징(401')에 텅(11a)을 따라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봉형체(410')와, 봉형체(410')와 하우징(401')의 사이에 개재하고, 해당 봉형체(410')를 돌출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420')과, 봉형 체(410')를 하우징(40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로킹하는 로킹 기구(430')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401')의 내부에는, 도 19,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체(410')의 돌출 방향의 일단측의 중앙부에 제 1 수용부(40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401')의 내부에는 제 1 수용부(401a')의 선단부와 직교하도록 제 2 수용부(401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수용부(401a')는 바이어싱 수단(420') 및 봉형체(410')를 수용하고, 또한 해당 봉형체(410')를 돌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한다. 제 2 수용부(401b')는 그 높이 치수가 봉형체(410')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로 되어 있고, 로킹 기구(430')의 로킹 바(locking bar)(431')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봉형체(41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상의 수지 성형품이며, 폭방향의 일면에 오목부(4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411')에 로킹 기구(430')의 로킹 바(431')가 끼워짐으로써 봉형체(410')가 돌출된 상태에서 로킹된다. 즉, 오목부(411')에 로킹 기구(430')의 로킹 바(431')가 끼워지지 않고 있을 때에 봉형체(410')가 수납 가능 상태가 된다.
또한, 이 봉형체(410')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 방향을 향한 긴 홈인 안내홈(412')과, 상기 돌출 방향을 향한 긴 홈이며 또한 안내홈(412')보다도 깊은 로킹홈(413')이 도면상의 좌우로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안내홈(41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로킹홈(413')으로부터 해당 안내홈(412')에 걸쳐서 기울어진 경사부(41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홈(412') 및 로킹홈(413')에는 로킹 기 구(430')의 로킹 스프링(434')이 끼워져 있다.
또한, 봉형체(410')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한쌍의 돌기부(4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쌍의 돌기부(414')가 제 1 수용부(401a')의 선단부에 접하여 봉형체(410')가 소정 이상 해당 제 1 수용부(401a')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바이어싱 수단(420')은 코일 스프링이다. 이 바이어싱 수단(420')이 하우징(401')의 제 1 수용부(401a')에 수용되어 봉형체(410')를 돌출 방향을 향해서 바이어싱한다.
로킹 기구(430')는, 도 19,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바(431')와, 이 로킹 바(431')의 일단부에 설치된 구동부(432')와, 로킹 바(431')의 타단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433')과, 로킹 바(431')의 상면에 설치된 로킹 스프링(434')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동부(432')는 주지의 마그네틱 래치(magnetic latch)이며, 내부 코일이 여자(勵磁)됨으로써 가동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에 걸쳐서(도면상의 우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동부(432')의 가동체는 로킹 바(43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구동부(432')의 가동체의 이동에 의해 로킹 바(431')를 도면상의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33')은 일단이 로킹 바(431')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한편, 타단이 하우징(401') 내부의 상기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433')은 로킹 바(431')를 도면상의 우방향을 향해서 잡아 당겨서 해당 로킹 바(431')의 이동시에 이동력을 부여한다.
로킹 바(431')는 판상체의 일단부를 거의 L자상으로 구부리는 한편, 타단부를 거의 Ω자상으로 구부려서 작성된 것이다. 이 로킹 바(431')는 하우징(401')의 제 2 수용부(401b')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봉형체(410')의 하방 위치에 배치된다. 로킹 바(431')의 타단부는 구동부(432')의 가동체가 초기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봉형체(410')의 오목부(411')에 끼워지고, 해당 봉형체(410')를 돌출된 상태에서 로킹하는 한편, 구동부(432')의 가동체가 돌출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끼워짐이 해제된다(즉, 상기 로킹이 해제됨). 즉, 로킹 바(431')의 타단부가 봉형체(410')의 오목부(411')에 끼워지는 감합부(嵌合部)(431a')가 되어 있다.
로킹 스프링(434')은 판 스프링이며, 그 기단부가 로킹 바(431')의 상면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이 로킹 스프링(434')의 선단부는 로킹 바(431')가 로킹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도 20(c) 참조]에는 해당 봉형체(410')의 안내홈(412')에 끼워지고, 로킹 바(431')가 로킹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도 21(d) 참조]에는 해당 봉형체(410')의 로킹홈(413')에 끼워진다. 로킹 스프링(434')의 선단부가 로킹홈(413')에 로킹됨으로써 로킹 바(431')의 로킹 위치로의 복귀가 방지되어 봉형체(410')가 수용 가능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로킹 스프링(434')의 선단부는 봉형체(410')가 수용 가능 상태[도 21(d) 참조]로부터 수용 상태로 이행하는 과정[도 22(c) 참조]에 있어서, 해당 봉형체(410')의 안내홈(412')의 경사부(412a')로 안내되어 로킹홈(413')으로부터 안내홈(412')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의 수용 가능 상태에서의 유지가 해제된다.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은 센싱 수단(310)과 판정부(320)를 갖는다. 판정부(320)에는 상세히 후술하지만, 실시예 2의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 제어부(440')"의 일부의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또한, 판정부(320)의 출력 포트에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2')가 접속되어 있다.
즉, 판정부(320)는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기록된 도 23에 도시된 제 2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을 처리함으로써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에 의거하여 운전자의 호기중의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의 값과 메모리상의 기준값을 비교하고, 측정 결과의 값(즉, 운전자의 호기중의 알코올 농도의 값)이 기준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의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2')의 내부 코일을 여자 하고, 해당 구동부(432')의 가동체를 돌출시키는 한편,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도시되지 않은 경고용의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운전자의 신체적 특징을 판독하여 해당 운전자의 인증을 행하는 바이오메트릭 수단(800) 및/또는 GPS 발신기(900)를 함께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함과 아울러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처리되는 도 23에 도시된 제 2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것과 함께 각 부의 동작도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1)의 시트 벨트가 미장착일 때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봉형체(410')의 오목부(411')에 로킹 기구(430')의 로킹 바(431')의 감합부(431a')가 끼워지고, 봉형체(410')가 돌출된 상태에서 로킹되어 있다. 이 때, 로킹 기구(430')의 로킹 스프링(434')은 봉형체(410')의 안내홈(412')에 끼워져 있다.
운전자는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킬 때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을 ON으로 한다. 이에 따라,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도 23에 도시된 제 2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이 처리된다.
그 후,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즉, 센싱 수단(310)에 숨을 내쉬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1). 이 판정의 결과, 숨을 내쉬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41의 처리로 리턴된다. 한편, 센싱 데이터가 입력되어 숨을 내쉬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에 의거해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다.(s42). 그리고, 측정 결과의 값(즉, 운전자의 호기중의 알코올 농도의 값)이 메모리상의 기준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3). 그 결과,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경고용의 램프를 점등시키고(s44), 상기 제 2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측정 결과의 값이 기준값 이하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2')의 내부 코일을 소정 시간 여자하고(s45), 상기 제 2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처리를 종료한다.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2')의 내부 코일이 여자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구동부(432')의 가동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에 걸쳐 서 이동한다. 이와 함께 로킹 기구(430')의 로킹 바(431')가 도면상의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로킹 기구(430')의 코일 스프링(433')에 의해 상기 가동체 및 로킹 바(431')의 이동에 이동력이 부여된다.
구동부(432')의 가동체 및 로킹 기구(430')의 로킹 바(431')가 이동하면 해당 로킹 바(431')의 감합부(431a')와 봉형체(410')의 오목부(411')의 끼워짐이 해제된다(즉, 로킹이 해제됨). 그리고, 구동부(432')의 내부 코일의 여자가 정지되면 그 가동체가 돌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 로킹 기구(430')의 로킹 스프링(434')의 선단부가 봉형체(410')의 로킹홈(413')에 끼워져서 로킹되므로 로킹 바(431')는 그 감합부(431a')가 봉형체(410')의 오목부(411')에 끼워지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즉, 봉형체(410')가 하우징(401')내에 수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구동부(432')의 가동체는 로킹 바(431')가 상기한 바와 같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초기 위치의 복귀 과정에 머물러 있다.
그 후, 운전자가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체(410')가 자부(12)에 접하고, 바이어싱 수단(420')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하우징(401')내에 수용된다. 이 과정에서, 로킹 기구(430')의 로킹 스프링(434')의 선단부가 봉형체(410')의 안내홈(412')의 경사부(412a')로 안내되어 로킹홈(413')으로부터 안내홈(412')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의 수용 가능 상태에서의 유지가 해제된다.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면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시동 제어 수단(200)을 향해서 출력된다. 시동 제어 수단(200)의 본 체 제어부(21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면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운전자에 의해 웅부(11)와 자부(12)의 장착이 해제되면 봉형체(410')가 바이어싱 수단(420')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하우징(401')으로부터 웅부(11)의 텅(11a)을 따라 돌출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432')의 가동체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력에 의해 로킹 바(431')가 도면상의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감합부(431a')가 봉형체(410')의 오목부(411')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가 돌출된 상태에서 다시 로킹된다.
이러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해당 판정부(320)에 의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2')의 내부 코일이 여자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봉형체(410')가 텅(11a)을 따라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삽입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으면 웅부(11)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고, 시동 제어 수단(200)에 의해 자동차(1)의 원동기(20)가 시동 가능한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음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로킹 기구(430')의 구동부(432')의 내부 코일이 여자되어 해당 로킹 기구(430')에 의한 봉형체(410')의 돌출 상태에서의 로킹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웅부(11)가 자부(12)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지 않으면 웅부(11)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는다. 시동 제어 수단(200)의 본체 제어부(21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시트 벨트의 장착을 강제할 수 있다.
또한,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가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 제어부(440')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고,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실시예 6>
이어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장착 저지 수단의 봉형체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가 투과된 모식적 평면도, 도 25는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내부가 투과된 모식적 평면도이며, (a)는 해당 장착 저지 수단의 로킹 기구 동작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해당 장착 저지 수단의 로킹 기구 동작 완료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동 시스템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부에 의해 처리되는 제 3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은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성이 실시예 5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과 다르게 되어 있다. 이하, 그 상위점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부호에 대해서는 실시예 5와 동일한 것을 붙인다.
장착 저지 수단(400')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벨트의 웅부(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하우징(401')과, 이 하우징(4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텅(11a)을 따라 출입 가능하게 된 봉형체(410')와, 이 봉형체(410')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420')과, 봉형체(410')를 돌출된 상태에서 로킹하는 로킹 기구(430')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봉형체(410')는 기단부가 하우징(40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는 한편, 선단부가 하우징(401')으로부터 텅(11a)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 위치로부터 해당 하우징(401')에 수용되는 수용 위치에 걸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봉형체(410')의 기단부는 폭방향의 양측면이 커팅되어 로킹 기구(430')의 로킹 바(431')가 접하는 제 1, 제 2 접촉면(411', 412')이 되어 있다.
바이어싱 수단(420')은 코일부가 봉형체(410')의 회전축에 설치된 토션 코일 스프링이며, 일단부가 하우징(401')에 설치되는 한편, 타단부가 봉형체(410')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바이어싱 수단(420')은 봉형체(410')의 선단부가 돌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압축되어 해당 봉형체(410')를 도면상의 우회전 방향[즉, 봉형체(410')의 선단부가 하우징(401)내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한편, 봉형체(410')의 선단부가 수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압축되어 해당 봉형체(410')를 도면상의 좌회전 방향[즉, 봉형체(410')의 선단부가 하우징(401)으로부 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
로킹 기구(430')는 중앙부가 하우징(40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는 한편, 일단부가 봉형체(410')의 제 1 접촉면(411') 또는 제 2 접촉면(412')에 접하는 거의 L자상의 로킹 바(431')와, 이 로킹 바(431')를 도면상의 우회전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432')과, 로킹 바(431')를 가압하는 구동부(433')를 갖는다.
로킹 바(43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봉형체(410')의 제 1 접촉면(411')에 접함으로써 봉형체(410')를 돌출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단부가 봉형체(410')의 제 2 접촉면(412')에 접함으로써 봉형체(410')를 수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 로킹 바(431')는 타단부가 하우징(401')에 설치된 정지부에 접함으로써 소정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있다.
구동부(433')는 내부 코일이 여자됨으로써 그 가동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에 걸쳐서 이동하는 주지의 솔레노이드이다. 이 구동부(433')의 가동체는 로킹 바(431')의 타단부의 상기 정지부의 접촉 부위의 내측 부위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로킹 바(431')를 도면상의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토션 코일 스프링(432')은 코일부가 로킹 바(431')의 회전축에 설치된 것이며, 일단부가 하우징(401')에 설치되는 한편, 타단부가 로킹 바(431')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토션 코일 스프링(432')은 로킹 바(431')가 구동부(433')의 가동체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압축된다.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은 판정부(320)의 입력 포트에 장착 검지 수단(100)이 접속되어 있는 점 및 해당 판정부(320)가 처리하는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내용이 다르고, 기타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함과 아울러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처리되는 도 26에 도시된 제 3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것과 함께 각 부의 동작도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1)의 시트 벨트가 미장착일 때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체(410')의 제 1 접촉면(411')에 로킹 기구(430')의 로킹 바(431')의 일단부가 접하고, 해당 봉형체(410')의 선단부가 돌출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로킹되어 있다.
운전자는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킬 때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을 ON으로 한다. 이에 따라,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도 26에 도시된 제 3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이 처리된다.
그 후,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즉, 센싱 수단(310)에 숨을 내쉬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1). 이 판정의 결과, 숨을 내쉬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51의 처리로 리턴된다. 한편, 센싱 데이터가 입력되어 숨을 내쉬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에 의거해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다.(s52). 그리고, 측정 결과의 값(즉, 운전자의 호기중의 알코올 농도의 값)이 메모리상의 기준값 이상인지의 여 부를 판정한다(s53). 그 결과,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경고용의 램프를 점등시키고(s54), 상기 제 3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측정 결과의 값이 기준값 이하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3')의 내부 코일을 소정 시간 여자한다(s55).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3')의 내부 코일이 여자되면,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구동부(433')의 가동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에 걸쳐서 이동하고, 로킹 바(431')를 가압하여 도면상의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토션 코일 스프링(432')이 압축된다. 이에 따라, 로킹 바(431')의 일단부가 봉형체(410')의 제 1 접촉면(411')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가 도면상의 좌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후, 로킹 바(431')의 일단부와 봉형체(410')의 제 1 접촉면(411')의 접촉이 해제되면, 바이어싱 수단(420')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봉형체(410')가 도면상의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봉형체(410')의 회전시에,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3')의 내부 코일의 여자가 정지되고,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구동부(433')의 가동체가 돌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로킹 바(431')가 토션 코일 스프링(432')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도면상의 좌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로킹 바(431')의 타단부가 하우징(401')의 정지부에 접하는 한편, 해당 로킹 바(431')의 일단부가 봉형체(410')의 제 2 접촉면(412')에 접한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가 하우징(401')내에 수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즉, 봉형체(410')의 로킹 기구(430')에 의한 로킹이 해제된다.
그 후, 운전자가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면 봉형체(410')가 자부(12)에 접하고, 바이어싱 수단(420')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하우징(401')내에 수용된다. 이 때, 바이어싱 수단(420')이 압축된다.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면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시동 제어 수단(200) 및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를 향해서 출력된다. 시동 제어 수단(200)의 본체 제어부(21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면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있다.
스텝 55의 후, 판정부(320)는 장착 검지 수단(100)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어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었다고 판정하고(s56), 장착 검지 수단(100)의 출력 신호에 의거해 웅부(11)가 자부(12)로부터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운전자에 의해 웅부(11)와 자부(12)의 장착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7). 이 판정의 결과, 웅부(11)와 자부(12)의 장착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57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웅부(11)와 자부(12)의 장착이 분리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3')의 내부 코일을 소정 시간 여자한다(s58). 그 후, 상기 제 3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처리를 종료한다.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3')의 내부 코일이 여자되면 해당 구동부(433')의 가동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에 걸쳐서 이동하고, 로킹 바(431')를 가압하여 도면상의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토션 코일 스 프링(432')이 압축된다. 이에 따라, 로킹 바(431')의 일단부와 봉형체(410')의 제 2 접촉면(412')의 접촉이 해제되고, 해당 봉형체(410')가 바이어싱 수단(420')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도면상의 좌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봉형체(410')의 회전시에,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3')의 내부 코일의 여자가 정지되면 로킹 바(431')가 토션 코일 스프링(432')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도면상의 좌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로킹 바(431')의 타단부가 하우징(401')의 정지부에 접하는 한편, 해당 로킹 바(431')의 일단부가 봉형체(410')의 제 1 접촉면(411')에 접한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는 그 선단부가 돌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시 로킹된다.
이러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해당 판정부(320)에 의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3')의 내부 코일이 여자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봉형체(410')가 텅(11a)을 따라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삽입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으면 웅부(11)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고, 시동 제어 수단(200)에 의해 자동차(1)의 원동기(20)가 시동 가능한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음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 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로킹 기구(430')의 구동부(433')의 내부 코일이 여자되어 해당 로킹 기구(430')에 의한 봉형체(410')의 로킹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를 하우징(401')에 수용 가능하게 되므로 웅부(11)가 자부(12)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지 않으면 웅부(11)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는다. 시동 제어 수단(200)의 본체 제어부(21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시트 벨트의 장착을 강제할 수 있다.
또한,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가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 제어부(440')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고,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실시예 7>
이어서,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장착 저지 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내부가 투과된 저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횡단면도, 도 28은 동 장착 저지 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봉형체의 수납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b)는 봉형체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9는 동 시스템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부에 의해 처리되는 제 4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은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성이 실시예 5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과 다르게 되어 있다. 이하, 그 상위점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부호에 대해서는 실시예 5와 동일한 것을 붙인다.
장착 저지 수단(400')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벨트의 웅부(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하우징(401')과, 이 하우징(401')으로부터 텅(11a)을 따라 출입 가능하게 된 봉형체(410')와, 이 봉형체(410')를 바이어싱하는 한쌍의 바이어싱 수단(420')과, 봉형체(410')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로킹하는 로킹 기구(430')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봉형체(410')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상의 수지 성형품이며, 그 하면에 해당 봉형체(410')의 돌출 방향을 향한 긴 형상의 한쌍의 오목부(411')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오목부(411')에는 한쌍의 바이어싱 수단(420') 및 하우징(401')의 한쌍의 돌기부(401a')가 수용된다.
또한, 이 봉형체(410')의 상면은,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봉형체(410')의 돌출 방향의 후단부가 절단되어 있고, 이 절단부에 로킹 기구(430')의 로킹 바(431')가 맞물리는 오목홈(4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봉형체(410')의 상면의 절단부 전측 부위에는 봉형체(410')가 하우징(401')에 수용된 상태(이하, 수용 상태)에서 로킹 기구(430')의 로킹 바(43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홈부(4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봉형체(410')의 상면의 홈부(413')의 전측 부위 에는 로킹 기구(430')의 로킹 바(431')와 유지 기구(435')의 유지를 해제하기 위한 편부재(414')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401')의 저면에는 봉형체(410')의 한쌍의 오목부(411')에 수용되는 한쌍의 돌기부(401a')가 설치되어 있다.
바이어싱 수단(420')은 코일 스프링이며, 봉형체(410')의 오목부(411')의 돌출 방향의 내벽면과 돌기부(401a')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바이어싱 수단(420')은 봉형체(410')를 돌출 방향으로 바이어싱하고 있다.
로킹 기구(430')는 봉형체(410')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로킹하기 위한 로킹 바(431')와, 하우징(401')에 설치되고, 로킹 바(431')를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에 걸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432')와, 로킹 바(431')를 바이어싱하기 위한 토션 코일 스프링(433')과, 로킹 바(431')를 로킹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구동부(434')와, 로킹 바(431')를 로킹 해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구(435')를 갖는다.
로킹 바(431')는,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거의 Ω자상의 부재이며, 그 중간부가 지지 플레이트(432')에 축지되어 있다. 이 로킹 바(431')의 선단부는,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체(410')가 돌출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해당 봉형체(410')의 오목홈(412')에 수용되는 부위이며,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체(410')가 수용 상태에 있을 때에는 해당 봉형체(410')의 홈부(413')에 수용되는 부위이다. 또한, 로킹 바(431')의 기단부의 한쪽은 구동부(434')의 가동체가 접하는 부위이다. 또한, 로킹 바(431')의 상면에는, 도 2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기구(435')에 유지되는 로킹 피스(locking piece)(43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킹 바(431')의 선단부가 봉형체(410')의 오목홈(412')에 로킹되는 위치가 로킹 위치가 되고, 로킹 바(431')의 선단부가 봉형체(410')의 홈부(413')에 수용되는 위치가 로킹 대기 위치가 되고, 로킹 바(431')의 로킹 피스(431a')가 유지 기구(435')에 유지되는 위치가 로킹 해제 위치가 된다.
토션 코일 스프링(433')은 코일부가 로킹 바(431')의 회전축에 설치된 것이며, 일단부가 지지 플레이트(432')에 설치되는 한편, 타단부가 로킹 바(43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토션 코일 스프링(433')은 로킹 바(431')가 로킹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압축되어 해당 로킹 바(431')의 선단부를 상방향(즉, 로킹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한편, 로킹 바(431')가 로킹 해제 위치 및 로킹 해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압축되어 해당 로킹 바(431')의 선단부를 하방향(즉, 로킹 위치의 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
구동부(434')는 내부 코일이 여자됨으로써 가동체가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에 걸쳐서 이동하는 주지의 솔레노이드이다. 이 구동부(434')는 가동체가 돌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로킹 바(431')의 기단부에 접하고, 토션 코일 스프링(433')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해당 로킹 바(431')를 로킹 위치에서 유지하고 있다.
유지 기구(435')는 하우징(401')의 상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435a')과, 이 코일 스프링(435a')의 선단부에 설치된 후크(435b')를 갖는다. 이 후크(435b')가 로킹 바(431')의 로킹 피스(431a)를 로킹하고, 해당 로킹 바(431')를 로킹 해제 위치에서 유지한다. 또한, 후크(435b')는 봉형체(410')가 수용 상태일 때에 해당 봉형체(410')의 편부재(414')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435a')이 압축되어 후크(435b')와 로킹 피스(431a')의 로킹이 해제된다.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은 그 구성이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이지만, 판정부(320)가 처리하는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내용이 약간 다르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함과 아울러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처리되는 도 29에 도시된 제 4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것과 함께 각 부의 동작도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1)의 시트 벨트가 미장착일 때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기구(430')의 구동부(434')의 가동체가 돌출 위치에 위치해서 로킹 바(431')의 기단부에 접함으로써 토션 코일 스프링(433')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해당 로킹 바(431')를 로킹 위치에서 유지하고 있다.
운전자는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킬 때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을 ON으로 한다. 이에 따라,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도 29에 도시된 제 4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이 처리된다.
그 후,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즉, 센싱 수단(310)에 숨을 내쉬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1). 이 판정의 결과, 숨을 내쉬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61의 처리로 리턴된다. 한편, 센싱 데이터가 입 력되어 숨을 내쉬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에 의거해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다.(s62). 그리고, 측정 결과의 값(즉, 운전자의 호기중의 알코올 농도의 값)이 메모리상의 기준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3). 그 결과,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경고용의 램프를 점등시키고(s64), 상기 제 4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측정 결과의 값이 기준값 이하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4')의 내부 코일을 소정 시간 여자한다(s65). 그 후, 상기 제 4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처리를 종료한다.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4')의 내부 코일이 여자되면,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구동부(434')의 가동체가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에 걸쳐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토션 코일 스프링(433')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로킹 바(431')가 도면상의 좌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킹 바(431')의 선단부가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에 걸쳐서 이동한다. 이 때, 토션 코일 스프링(433')이 압축된다. 이에 따라, 로킹 바(431')의 로킹 피스(431a)가 유지 기구(435')의 후크(435b')에 로킹된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의 로킹 기구(430')에 의한 로킹이 해제되어 봉형체(410')가 하우징(401')내에 수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4')의 내부 코일의 여자가 정지되면 해당 구동부(434')의 가동체가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복귀하지만, 로킹 바(431')는 유지 기구(435')에 로킹 해제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운전자가,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면,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체(410')가 자부(12)에 접하고, 한쌍의 바이어싱 수단(420')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하우징(401')내에 수용된다. 이 때, 한쌍의 바이어싱 수단(420')이 압축된다. 이에 따라, 후크(435b')가 봉형체(410')의 편부재(414')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435a')이 압축되어 후크(435b')와 로킹 바(431')의 로킹 피스(431a')와의 로킹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토션 코일 스프링(433')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로킹 바(431')가 도면상의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해당 로킹 바(431')의 선단부가 로킹 해제 위치로부터 로킹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웅부(11)가 자부(12)에 장착되면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시동 제어 수단(200)을 향해서 출력된다. 시동 제어 수단(200)의 본체 제어부(21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면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운전자에 의해 웅부(11)와 자부(12)의 장착이 분리되면 봉형체(410')가 한쌍의 바이어싱 수단(420')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하우징(401')으로부터 웅부(11)의 텅(11a)을 따라 돌출된다. 이에 따라, 토션 코일 스프링(432')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로킹 바(431')가 도면상의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해당 로킹 바(431')의 선단부가 로킹 대기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가 돌출된 상태에서 다시 로킹된다.
이러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해당 판정부(320)에 의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4')의 내 부 코일이 여자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봉형체(410')가 텅(11a)을 따라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삽입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으면 웅부(11)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고, 시동 제어 수단(200)에 의해 자동차(1)의 원동기(20)가 시동 가능한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음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로킹 기구(430')의 구동부(432')의 내부 코일이 여자되어 해당 로킹 기구(430')에 의한 봉형체(410')의 로킹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봉형체(410')가 하우징(401')내에 수용 가능하게 되므로 웅부(11)가 자부(12)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하지 않으면 웅부(11)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는다. 시동 제어 수단(200)의 본체 제어부(21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시트 벨트의 장착을 강제할 수 있다.
또한,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가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 제어부(440')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고,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실시예 8>
이어서,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장착 저지 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며, (a)는 텅의 돌출 및 비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텅의 수용 및 비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텅의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동 시스템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부에 의해 처리되는 제 5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은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성이 실시예 5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과 다르게 되어 있다. 이하, 그 상위점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텅의 부호에 대해서는 410'을 붙이고, 그 밖의 부재에 대해서는 실시예 5와 동일한 것을 붙인다.
장착 저지 수단(400')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벨트의 웅부(11)의 하우징인 하우징(401')과, 이 하우징(401')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된 텅(410')과, 이 텅(410')을 하우징(40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해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420')과, 텅(410')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로킹하는 로킹 기구(430')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401')의 내부에는 텅(410')을 돌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텅(410')은 폭방향의 일단부에 절단부(4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텅(410')의 중앙부에는 거의 L자상의 홈부(4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홈부(412')는 텅(410')의 돌출 방향을 향한 긴 홈인 제 1 홈(412a')과, 이 제 1 홈(412a')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 긴 홈인 제 2 홈(412a)을 갖고 있다.
바이어싱 수단(420')은 코일 스프링이며, 일단부가 텅(410')의 절단부(411')에 설치되는 한편, 타단부가 하우징(401')에 설치되어 있다.
로킹 기구(430')는 텅(410')의 홈부(412')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로킹 바(431')와, 이 로킹 바(43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432')를 갖는다.
로킹 바(431')는 구동부(432')의 가동체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432')는 내부 코일이 여자됨으로써 그 가동체가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에 걸쳐서 이동하는 주지의 솔레노이드이다. 이 구동부(432')의 가동체가 돌출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로킹 바(431')가 홈부(412')의 제 1 홈(412a')내에 위치한다. 한편, 구동부(432')의 가동체가 퇴피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로킹 바(431')가 홈부(412')의 제 2 홈(412b')내에 위치한다.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은 그 구성이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이지만 판정부(320)가 처리하는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내용이 약간 다르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함과 아울러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처리되는 도 31에 도시된 제 5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것과 함께 각 부의 동작도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1)의 시트 벨트가 미장착일 때에는,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기구(430')의 구동부(432')의 가동체가 돌출 위치에 위치하고, 로킹 바(431')가 텅(410')의 홈부(412')의 제 1 홈(412a')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텅(410')은 하우징(401')에 출입 가능한 상태(즉, 비 로킹 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텅(410')을 자부(12)에 장착하려고 해도, 도 30(b)에 도시된 것 같이, 텅(410')이 하우징(401')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텅(410')을 자부(12)에 장착할 수 없다. 이 때, 바이어싱 수단(420')이 텅(410')과 하우징(401')의 사이에서 잡아 당겨짐으로써 해당 텅(410')을 하우징(40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고, 돌출 상태로 복귀시킨다.
운전자는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시킬 때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을 ON으로 한다. 이에 따라,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도 31에 도시된 제 5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이 처리된다.
그 후,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즉, 센싱 수단(310)에 숨을 내쉬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1). 이 판정의 결과, 숨을 내쉬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스텝 71의 처리로 리턴된다. 한편, 센싱 데이터가 입력되어 숨을 내쉬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센싱 수단(310)의 센싱 데이터에 의거해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다(s72). 그리고, 측정 결과의 값(즉, 운전자의 호기중의 알코올 농도의 값)이 메모리상의 기준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3). 그 결과,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경고용의 램프를 점등시키고(s74), 상기 제 5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측정 결과의 값이 기준값 이하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2')의 내부 코일을 소정 시간 여자한다(s75). 그 후, 상기 제 5 알코올 농도 판정 프로그램의 처리를 종료한다.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2')의 내부 코일이 여자되면 해당 구동부(432')의 가동체가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에 걸쳐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바(431')가 도면상의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1 홈(412a')으로부터 제 2 홈(412b')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텅(410')이 하우징(40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로킹되어 해당 텅(410')을 자부(12)에 장착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운전자가, 텅(410')을 자부(12)에 장착하면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시동 제어 수단(200)을 향해서 출력된다. 시동 제어 수단(200)의 본체 제어부(21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면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있다.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2')의 내부 코일의 여자가 정지하면 가동체가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에 걸쳐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로킹 바(431')가 도면상의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 홈(412b')으로부터 제 1 홈(412a')으로 이동한다. 즉, 소정 시간후 텅(410')이 비 로킹 상태로 돌아간다.
이러한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의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해당 판정부(320)에 의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부(432')의 내 부 코일이 여자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장착 저지 수단(400')의 텅(410')의 비 로킹 상태가 유지되므로 텅(410')을 자부(12)에 장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시트 벨트를 장착할 수 없으면 웅부(11)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고, 시동 제어 수단(200)에 의해 자동차(1)의 원동기(20)가 시동 가능한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원동기(20)를 시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음주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에 의해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로킹 기구(430')의 구동부(432')의 내부 코일이 여자되어 해당 로킹 기구(430')에 의해 텅(410')이 돌출된 상태에서 로킹된다. 이에 따라, 텅(410')이 자부(12)에 장착 가능하게 된다. 그 후, 텅(410')을 자부(12)에 장착하지 않으면 웅부(11)에 설치된 장착 검지 수단(100)으로부터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출력되지 않는다. 시동 제어 수단(200)의 본체 제어부(210)는 제 1 시동 허가 신호(α)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차(1)의 원동기(20)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시트 벨트의 장착을 강제할 수 있다.
또한,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가 장착 저지 수단(400')의 구동 제어부(440')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고,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 6, 7 및 8의 장착 저지 수단에 대해서는 시트 벨트의 웅부(11)와 자부(12)의 장착을 저지하고 있어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알코 올 농도 판정의 결과(즉, 운전자의 호기중에 기준값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라고 판정한 결과)에 따라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한 어떤 구성이어도 개의치 않는다.
또한, 상기 장착 저지 수단의 구동부는 내부 코일이 여자됨으로써 가동체가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나 마그네틱 래치라고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로킹 바를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 가능하면 어떤 것을 이용해도 개의치 않는다. 예를 들면,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모터를 이용하고, 그 헤드부에 편심캠(eccentric cam) 등을 설치하여 로킹 바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모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랙 앤 피니언 기구(rack-and-pinion mechanism)를 채용해도 개의치 않는다. 이러한 경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판정부(320)가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의 알코올 농도 판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를 동작시킴으로써 로킹 바를 이동시키고,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 가능하게 된 후에 내부의 타이머 회로에서 소정 시간 카운트하고, 이 소정 시간 경과하면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동작시켜서 로킹 바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시트 벨트의 웅부(11)를 자부(12)에 장착 불가로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의 장착 저지 수단의 하우징에 대해서는 상기 각 수단을 내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을 이용해도 개의치 않는다. 단, 실시예 8의 하우징에 대해서는 시트 벨트의 벨트의 일부가 하우징내에 수용되는 구성이므로 사고시에 상기 벨트가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고, 양자간의 마찰 저항이 증대함으로써 해당 벨 트가 끊어지거나 하지 않도록 하우징와 벨트의 간섭을 피하는 구성으로 하도록 해도 좋고, 하우징의 벨트의 접촉 부분에 마찰 저항이 적은 가공을 설비하도록 해도 좋다. 전자의 예로서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벨트 도출 부분을 절단하여 해당 벨트를 노출시킨 것이 있다. 물론, 벨트를 장착 저지 수단의 하우징에 직접 설치해도 개의치 않는다. 또한, 도 32은 실시예 8의 장착 저지 수단의 하우징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실시예 5, 6, 7 및 8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에 대해서는 웅부(11)에 설치되어 있다고 했지만, 이것과 별체로 할 수도 있고, 휴대전화기나 자동차(1)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이오메트릭 수단(800) 및/또는 GPS 발신기(900)를 함께 설치할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다. 단, GPS 발신기(900)만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300)으로부터 분리해서 자동차(1)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센싱 수단은 알코올을 센싱한다고 했지만, 약물을 센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물론, 알코올 및 약물의 쌍방을 센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벨트의 웅부 본체가 운전자의 몸을 따르도록 접혀 구부러지고 있을 경우(도 27 참조), 웅부 본체와 상기 장착 검지 수단의 하우징 사이의 간극을 수지나 다른 부재 등으로 메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체 자체를 웅부 본체의 형상에 맞춘 형상으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의 내용은 일례이며, 마찬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어떻게 설계 변경해도 개의치 않는다.
또한, 상기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은 장착 검지 수단 및 시동 제어 수단을 제외하고, 안전 운전 추진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즉, 안전 운전 추진 장치는 자동차의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해 해당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 판정을 행하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과, 시트 벨트의 웅부와 자부의 장착을 저지하는 장착 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장착 저지 수단은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시트 벨트의 웅부를 자부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안전 운전 추진 장치에 의한 경우에도 시트 벨트가 미장착일 경우에는 원동기가 시동하지 않는 기능이나 미장착인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경고 기능 등을 갖는 자동차이면, 상기 시스템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안전 운전 추진 장치의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 및 장착 저지 수단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시트 벨트에 대해서는 자부가 자동차에 설치되고, 웅부가 벨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지만, 웅부를 자동차에 설치하고, 자부를 벨트에 설치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21)

  1. 자동차의 시트 벨트의 웅부가 자부에 장착된 것을 검지해서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출력하는 장착 검지 수단과, 이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시동 제어 수단을 구비한 자동차에 채용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의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해 해당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 판정을 행하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과, 시트 벨트의 웅부와 자부의 장착을 저지하는 장착 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장착 저지 수단은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시트 벨트의 웅부를 자부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저지 수단은 시트 벨트의 자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웅부가 삽입되는 해당 자부의 삽입구를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저지 수단은 시트 벨트의 자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웅부가 삽입되는 해당 자부의 삽입구내에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저지 수단은 시트 벨트의 웅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자부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해당 웅부의 삽입부에 따라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저지 수단은 시트 벨트의 웅부의 삽입부를 해당 웅부 본체내에 출입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6. 제 1 항 ~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신체적 특징을 판독하여 해당 운전자의 인증을 행하는 바이오메트릭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바이오메트릭 수단에 의해 진정한 운전자라고 인증되었을 때만 운전자의 호기의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바이오메트릭 수단에 의해 진정한 운전자라고 인증된 후 소정 기간내에만 운전자의 호기의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 가 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8. 제 1 항 ~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장착 저지 수단 및 장착 검지 수단과 별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바이오메트릭 수단과 함께 설치되어 있고, 또한, 장착 저지 수단 및 장착 검지 수단과 별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10. 제 1 항 ~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벨트의 웅부 또는 자부에는 GPS 발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GPS 발신기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과 함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12.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은 휴대전화기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제어 수단은 자동차 원동기의 시동을 제어하는 자동차의 본체 제어부이며,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원동기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제 2 시동 허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동 제어 수단은 제 1, 제 2 시동 허가 신호의 쌍방을 수신했을 경우에만 자동차 원동기의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제어 수단은 자동차의 키이 홀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제 1 폐쇄 수단이며, 상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키이 홀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제어 수단은 자동차의 키이 홀내에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고, 또한, 상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키이 홀로 돌출된 위치로부터 퇴피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제 2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동 제어 수단은 수신 수단의 수신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제 2 폐쇄 수단이며, 상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에 따라서 수신 수단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원동기를 시동시키기 위해서 조작되는 시동 조작부를 갖고 있고, 상기 시동 제어 수단은 시동 조작부의 조작을 저지하는 조작 저지 수단이며, 상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에 따라서 시동 조작부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제어 수단은 시동 조작부의 조작면을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제 3 폐쇄 수단이며, 상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시동 조작부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조작부는 푸시 스위치이며, 상기 시동 제어 수단은 시동 조작부 또는 해당 시동 조작부가 형성된 자동차 하우징부에 맞물려 해당 시동 조작부의 푸싱 조작을 저지하는 맞물림 수단이며, 상기 장착 검지 수단의 제 1 시동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시동 조작부 또는 해당 시동 조작부가 형성된 자동차 하우징부와의 맞물림이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21. 자동차의 운전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해 해당 알코올 및/또는 약물의 농도 판정을 행하는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과, 시트 벨트의 웅부와 자부의 장착을 저지하는 장착 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 저지 수단은 호기 성분 농도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시트 벨트의 웅부를 자부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운전 추진 장치.
KR1020077015448A 2005-01-11 2006-01-10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및 안전 운전 추진 장치 KR200700869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3983 2005-01-11
JP2005003983 2005-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948A true KR20070086948A (ko) 2007-08-27

Family

ID=3667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448A KR20070086948A (ko) 2005-01-11 2006-01-10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및 안전 운전 추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23802B2 (ko)
EP (1) EP1842750A4 (ko)
JP (1) JP4034813B2 (ko)
KR (1) KR20070086948A (ko)
CN (1) CN101102923A (ko)
TW (1) TW200631838A (ko)
WO (1) WO20060755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1457B2 (en) * 2008-05-05 2011-02-22 The Raymond Corporation Vehicle having dual deadman pedals and method of operation
EP1986161A1 (en) * 2007-04-27 2008-10-29 Italdata Ingegneria Dell'Idea S.p.A. Data survey device, integrated with a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WO2009019637A1 (en) * 2007-08-03 2009-02-12 Angel S.R.L.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street accidents risks attributable to the use of alcohol and/or their associated substances
JP2009107586A (ja) * 2007-10-31 2009-05-21 Equos Research Co Ltd 車両
US8256286B2 (en) * 2009-04-24 2012-09-04 Sober Steering Sensor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measuring ethyl alcohol in the blood of a motorized vehicle driver transdermally and non-invasively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ts
US8381573B2 (en) * 2009-10-02 2013-02-26 Brad Keays Sobriety monitoring system
US8686864B2 (en) 2011-01-18 2014-04-01 Marwan Hann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intoxicated driv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US8718536B2 (en) 2011-01-18 2014-05-06 Marwan Hann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mobile devices within a vehicle
CN102233819A (zh) * 2011-01-31 2011-11-09 吴廷达 防止酒后驾车的车载gps终端
US9696294B2 (en) 2014-06-11 2017-07-04 Integrated Monitoring Systems, Llc Removable tamper-resistant breath alcohol sampling system
CA3008872A1 (en) * 2014-10-19 2016-04-28 Akhtar KHALIL Auto security and auto safety system
CN105818741B (zh) * 2015-01-05 2020-03-17 富顶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行车安全系统及行车安全方法
CN104691332A (zh) * 2015-02-16 2015-06-10 桂林电子科技大学 具有酒精检测监控定位功能的防酒驾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60278664A1 (en) * 2015-03-27 2016-09-29 Intel Corporation Facilitating dynamic and seamless breath testing using user-controlled personal computing devices
BR112018000692A2 (pt) 2015-07-14 2018-09-18 Driving Man Systems Inc detecção da localização de um telefone mediante o uso de sinais de rf sem fio e ultrassônicos
DE102017211931B4 (de) * 2017-07-12 2022-12-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passen zumindest eines Betriebsparameters eines Kraftfahrzeugs, System zum Anpassen zumindest eines Betriebsparameters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TWI632076B (zh) * 2017-09-07 2018-08-11 崑山科技大學 Wine testing safety system for vehicle seat belts
CN108944446A (zh) * 2018-07-24 2018-12-07 湖南龙创汽车技术有限公司 防止酒驾及醉驾的系统及其方法
ES2752925A1 (es) * 2018-10-05 2020-04-06 Seat Sa Sistema de arranque de un vehiculo
US11370326B2 (en) * 2019-10-22 2022-06-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 unattended child in a child safety seat of a vehicle
WO2022263901A1 (es) * 2021-06-18 2022-12-22 Decoltec Sas Dispositivo de monitoreo y alerta de factores de riesgo en la conducción de vehículos y su método de generación de alertas
TWI776642B (zh) * 2021-08-19 2022-09-01 智崴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可顯示鎖固狀態的扣具裝置
FR3127447A1 (fr) 2021-09-27 2023-03-31 Gérard CINQUIN Système anti-démarrage d’un véhicule comprenant un éthylomèt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9022A (ko) 1973-11-16 1975-06-27
DE2438642A1 (de) * 1974-08-12 1976-03-04 Bodo Dr Ing Eickmann Generelle, zwangslaeufige bzw. automatische sicherheitskombinationen an kraftfahrzeugen
JPH06239200A (ja) 1993-02-15 1994-08-30 Aimei Kumagai シートベルト強制着用装置
DE19801009C1 (de) * 1998-01-14 1999-04-22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bremsen eines Fahrzeugs
JP3514733B2 (ja) 2001-02-02 2004-03-31 後藤 益雄 異常状態報知機能付ナンバープレート
JP2002362314A (ja) * 2001-06-08 2002-12-18 Noba Denko Kk 自動用盗難防止装置
US6748792B1 (en) * 2003-03-07 2004-06-15 Lifesafer Interlock, Inc. Impairment detection and interlock system with tester identification
JP2004284424A (ja) 2003-03-19 2004-10-14 Aisin Seiki Co Ltd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4292505B2 (ja) 2003-06-13 2009-07-08 スズキ株式会社 乗員用呼気検知装置
US7236094B2 (en) * 2003-11-12 2007-06-26 Kathryn Jackson Drug and alcohol sensor safety system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02923A (zh) 2008-01-09
EP1842750A4 (en) 2011-03-30
US7523802B2 (en) 2009-04-28
US20080041652A1 (en) 2008-02-21
WO2006075565A1 (ja) 2006-07-20
JPWO2006075565A1 (ja) 2008-06-12
TW200631838A (en) 2006-09-16
EP1842750A1 (en) 2007-10-10
JP4034813B2 (ja)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6948A (ko) 안전 운전 추진 시스템 및 안전 운전 추진 장치
KR100706040B1 (ko) 차량용 키 및 음주운전 방지장치
US20040025550A1 (en) Locking apparatus
US20070062229A1 (en) Key for immobilizer
US8770453B2 (en) Power lock assembly for vehicle roof rack
US6382003B1 (en) Lock apparatus
EP1192813A1 (en) Single-key security system
US20200095807A1 (en) Zipper Lock Device for Bags
KR100816249B1 (ko) 음주시동 방지장치
JP3998255B2 (ja) 指紋認証装置付き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12245864A (ja) 警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警告システム
US20230005309A1 (en) Lock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2007031952A (ja) 施錠確認支援装置
JP2006125112A (ja) 情報カード対応電気錠ユニット
JP2007120093A (ja) 施錠確認支援装置
KR20070018150A (ko) 자동차용 도어 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