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966A -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요금 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요금 징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966A
KR20070082966A KR1020060016092A KR20060016092A KR20070082966A KR 20070082966 A KR20070082966 A KR 20070082966A KR 1020060016092 A KR1020060016092 A KR 1020060016092A KR 20060016092 A KR20060016092 A KR 20060016092A KR 20070082966 A KR20070082966 A KR 20070082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lectronic toll
authentication
toll collection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5272B1 (ko
Inventor
박부식
신대교
임기택
곽재민
정용무
최종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1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2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과, 상기 차량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마다 차량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차량 고유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기초로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고유의 데이터를 기초로 인증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종래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 스마트 카드의 교환, 또는 OBE의 교환에 따른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ITS, ETC, 인증, 차량 고유 식별 데이터, 과금 정보, CAN, 차량 내부 전자 장치

Description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DEVICE OF CERTIFYING FOR ELECTRONIC TOLL COLLECTION OF VEHICLE AND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를 이용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를 이용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의 실제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OBE 120: 스마트 카드
140: RSE 150: ETC 서버
200: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210: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
220: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
230: 차량 내부 장치
310: RSE 320: ETC 서버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 스마트 카드의 교환, 또는 OBE의 교환에 따른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 고유의 데이터를 기초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는 도로, 차량, 신호 시스템 등 기존의 교통 체계 구성 요소에 전자, 제어, 통신 등의 IT 기술을 접목하여 교통정보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교통 체계 구성 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기존 교통 시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교통정보 시스템이다.
이러한 ITS의 구현에 있어서, 현재 고속도로 등의 유료 도로에서는 현금 또는 통행권 형식으로 통행료를 지불하기 위해서 요금소(Toll Booth)에 일시 정차하는 방식의 요금 징수 방식의 단점을 개선하여 전자적으로 요금을 징수하는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시스템의 구성은 우선적으로 도입이 고려되고 있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ETC 시스템은 특히 차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도로 정체에 기인한 물류 비 용의 증가와 환경 오염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국내에서도 도입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예컨대 하이패스 지불 방식 등으로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ETC 시스템은 무정차(Non-Stop), 비접촉(No-Touch) 방식의 요금 징수가 가능하므로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기존에 운영되던 현금 또는 통행권 이용방식보다 약 3 배 이상의 교통소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요금 징수(ETC)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되듯이, 종래 기술에 따른 ETC 시스템은 OBE(On-Board Equipment, 110)와, 스마트 카드(120)와, RSE(Road-Side Equipment, 140)와, ETC 서버(150)로 예시적으로 구현된다.
OBE(11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며 RSE(140)와의 무선 통신, 예컨대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OBE(110)는 스마트 카드(120)의 판독 또는 기록을 위한 스마트 카드 리더(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카드(120)는 OBE(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과금 정보와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즉 스마트 카드(120)는 보안에 필요한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부가적으로 요금 징수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선불식 요금 징수의 경우 요금 잔액이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후불식 요금 징수의 경우 결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RSE(140)는 예컨대 고속도로의 톨게이트 등에 설치되며, 예컨대 DSRC 통신을 통하여 전자 요금 징수에 필요한 데이터를 OBE(110)로부터 전송받는다. RSE(140)는 도 1에서 1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지만 예컨대 고속도로 톨게이트 마다 또는 고속도로 중간에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ETC 서버(150)는 RSE(140)에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OBE(110)를 장착한 차량에 대해서 요금 징수를 처리한다.
이러한 종래의 ETC 시스템의 구현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과 과금 정보는 스마트 카드(12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처리된다. 따라서 스마트 카드(120)는 별도의 암호화된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개인 데이터를 보호하고 있다. 또한 OBE(110) 내부에 고유 ID를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보안 모듈을 내장하여 임의 복제, 위조 또는 변조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들끼리 스마트 카드(120)를 부정하게 교환하여 고속도로 주행 거리의 정확한 파악을 어렵게 하여 각 차량에 대해서 정확한 과금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운행 도중에 다른 사용자와 스마트 카드를 교환하여 주행 거리를 축소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ETC 시스템으로서는 정확한 요금 징수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 스마트 카드의 교환, 또는 OBE의 교환에 따른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 고유의 데이터를 기초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차량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마다 차량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차량 고유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기초로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 통신 네트워크는 CAN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은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의 생성시 상기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의 식별 데이터를 더 부가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은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과금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은 상기 과금 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과금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은 외부로부터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과금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에 저 장된 과금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는 상기 차량 내부의 전자 장치의 식별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은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를 장착한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받으며 상기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를 위하여 유료 도로 내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는 RSE와, 상기 2개 이상의 RSE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각각 수신받아 상기 차량에 대해서 2개 이상의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차량의 전자 요금 징수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ETC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는, 사용자 인 증 정보 저장 모듈(210)과,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220)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210)은 예컨대 전술한 스마트 카드(120) 또는 IC 칩 등의 형태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는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210) 내에 예컨대 제1 암호화 키(key)를 기초로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사용자 인증 정보 누출에 따른 불측의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220)은 예컨대 OBE 형태로 차량내에 배치된다.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220)은 차량 내부의 장치(230)와 예컨대 CAN 통신 네트워크 등의 차량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마다, 예컨대 고속도로에 진입하는 경우 또는 고속도로 출구의 톨게이트에서 요금을 정산하는 경우에 있어서, 차량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이와 같이 인증이 필요한 경우마다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를 차량 내부의 장치(23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예컨대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210)을 교환하여 사용하더라도 차량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는 예컨대 차량 내부의 장치(230)의 식별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내의 미디어 재생 장치의 ID 또는 차량 내의 각종 센서 장치의 ID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220)은 이러한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21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판독한 후, 수신된 차량 고유 식별 데이터 및 판독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기초로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인증 데이터의 전송은 암호화되어 수행되며, 예컨대 제2 암호화 키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는 상기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차량 고유 식별 데이터와,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며, 보안을 위해서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는 이에 부가적으로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220)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220)마다 ID 등의 식별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이 데이터를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에 부가함으로써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220)을 주행 도중에 다른 사용자와 교환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210)은 사용자 인증 정보 뿐만이 아니라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과금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선불식의 경우 충전된 잔액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후불식의 경우 결제 수단, 예컨대 신용 카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220)은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210)로부터 과금 정보를 판독한 후,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생성시 판독된 과금 정보를 부가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금 정보가 포함된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는 이후 외부의 처리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예컨대 DSR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되며, 외부의 처리 장치에서는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과금 처리한 후 이를 다시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220)로 전송한다.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220)은 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210)에 저장된 과금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즉 선불식의 경우 잔액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를 이용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은 RSE(310a 내지 310b)와 ETC 서버(320)를 포함한다.
RSE(310a 내지 310b)는 예컨대 고속 도로 등의 유료 도로 내에서 요금 정산을 위한 톨게이트 또는 도로 내에 다수 개 배치된다. RSE(310a 내지 310b)는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를 장착한 차량으로부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이 인증 데이터에는 전술한 차량 고유의 식별 데이터가 포함된다.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서버(320)는 2개 이상의 RSE(310a 내지 310b)로부터 특정 차량의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각각 수신받는다.
이 경우 예컨대 차량이 유료 도로에 진입하는 시점에서의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와 차량이 유료 도로에서 진출하는 시점에서의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비교하면 해당 차량의 전자 요금 징수를 처리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해당 차량의 통행 요금을 전자적으로 처리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의 경우 RSE는 OBE가 설치된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를 알 수 없고 OBE의 인증 모듈, 즉 스마트카드의 정보 만을 알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행 도중에 스마트 카드, 또는 심지어 OBE 자체를 교체하는 경우라면 정상적인 요금 징수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은 차량내에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에 전송되는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가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정보뿐만 아니라 차량의 인증을 위한 정보, 예컨대 차량 내부의 장치의 ID 등을 통하여 생성되는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내의 ETC 서버(320)에서 차량의 인증 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 정보 모두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서 정확한 과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RSE(310a 내지 310b)는 유료 도로의 톨게이트마다 배치되어 차량이 유료 도로에 진입하는 지점과 유료 도로에서 진출하는 지점을 판독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기초로 ETC 서버(320)에서 해당 차량의 도로 이용 요금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유료 도로 중간 중간마다 RSE를 추가적으로 배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톨게이트를 통해 사용자의 차량이 유료 도로에 진입하는 경우와 유료 도로에서 진출하는 경우 차량 인증 정보와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가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서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의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를 이용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의 실제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고속도로의 톨게이트 A 및 톨게이트 B, 톨게이트 C, 톨게이트 D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의 RSE(310a, 310b, 310c, 310d)가 각각 배치되며, RSE(310a, 310b, 310c, 310d)는 예컨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ETC 서버(320)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차량 A는 톨게이트 B에서 진입하여 톨게이트 D에서 진출하며, 차량 B는 톨게이트 C에서 진입하여 톨게이트 A에서 진출하며, 차량 A의 운전자 A와 차량 B의 운전자 B가 도중에 통행 요금의 절감을 위해서 자신의 스마트 카드,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의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220a, 220b)을 도중에 교환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운전자 A의 차량 A가 톨게이트 B에 진입하는 경우, 차량 A에 장착된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를 통하여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가 톨게이트 B에 배치된 RSE(310b)로 전송되고 이는 ETC 서버(32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 경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DA)는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 (CA)와 사용자 A의 사용자 인증 정보(UA)를 기초로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생성된다.
DA= Func(CA, UA)
여기서 "Func"은 DA가 CA, UA의 함수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나타내며, 예컨대 암호화 등의 함수 기능을 포함한다.
한편 차량 A가 톨게이트 D에서 진출하는 경우, 차량 A에 장착된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를 통하여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가 톨게이트 D에 배치된 RSE(310d)로 전송되고 이는 ETC 서버(320)로 전송되어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게 된다.
이 경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DA')는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CA)와 사용자 B의 인증 정보(UB)를 기초로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생성된다.
DA'= Func(CA, UB)
여기서 "Func"은 DA'가 CA, UB의 함수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나타내며, 예컨대 암호화 등의 함수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ETC 서버(320)에서는 차량 A에 대해서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하여 생성된 DA와, DA'를 비교하면 사용자 인증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B의 차량 B에 대해서는 톨게이트 C에서 진입하는 경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DB)는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CB)와 사용자 B의 사용자 인증 정보(UB)를 기초로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생성된다.
DB= Func(CB, UB)
여기서 "Func"은 DB가 CB, UB의 함수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나타내며, 예컨대 암호화 등의 함수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 B가 톨게이트 A에서 진출하는 경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DB')는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CB)와 사용자 A의 사용자 인증 정보(UA)를 기초로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생성된다.
DB'= Func(CB, UA)
여기서 "Func"은 DB'가 CB, UA의 함수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나타내며, 예컨대 암호화 등의 함수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ETC 서버(320)에서는 차량 B에 대해서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통하여 생성된 DB와, DB'를 비교하면 사용자 인증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ETC 서버(320)에서는 DA와, DA'와, DB와, DB'를 비교하는 것을 통하여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220a, 220b)을 도중에 교환하였다는 것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고유의 데이터를 기초로 인증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종래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 스마트 카드의 교환 또는 OBE의 교환에 따른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차량의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과,
    상기 차량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마다 차량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차량 고유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기초로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 통신 네트워크는 CAN 네트워크인 것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은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의 생성시 상기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의 식별 데이터를 더 부가하여 생성하는 것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은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과금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은 상기 과금 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과금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은 외부로부터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기초로 과금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과금 정보를 갱신하는 것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는 상기 차량 내부의 전자 장치의 식별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것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부착 전자 요금 징수 모듈은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인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8.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를 장착한 차량으로부터 차량의 고유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요금 징수를 위 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받으며 상기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를 위하여 유료 도로 내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는 RSE(Road-side Equipment)와,
    상기 2개 이상의 RSE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각각 수신받아 상기 차량에 대해서 2개 이상의 전자 요금 징수를 위한 인증 데이터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차량의 전자 요금 징수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서버
    를 포함하는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KR1020060016092A 2006-02-20 2006-02-20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요금 징수 시스템 KR100785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092A KR100785272B1 (ko) 2006-02-20 2006-02-20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요금 징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092A KR100785272B1 (ko) 2006-02-20 2006-02-20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요금 징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966A true KR20070082966A (ko) 2007-08-23
KR100785272B1 KR100785272B1 (ko) 2007-12-12

Family

ID=3861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092A KR100785272B1 (ko) 2006-02-20 2006-02-20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요금 징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0871A (zh) * 2016-03-04 2016-05-25 陈锡鸿 一种基于半在线密钥的车辆出入控制系统和控制方法
US20180300472A1 (en) * 2015-06-30 2018-10-18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Vehicle Data Rewrite Control Device and Vehicle Data Rewrite Authent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821B1 (ko) 2007-12-17 2010-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와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차량 인증 시스템
KR101497679B1 (ko) * 2013-12-24 2015-03-03 전자부품연구원 다차로 무정차 과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차로 무정차 과금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706B1 (ko) * 2004-06-26 2006-10-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 인식 태그를 이용한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00472A1 (en) * 2015-06-30 2018-10-18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Vehicle Data Rewrite Control Device and Vehicle Data Rewrite Authentication System
US10621331B2 (en) * 2015-06-30 2020-04-1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Vehicle data rewrite control device and vehicle data rewrite authentication system
CN105610871A (zh) * 2016-03-04 2016-05-25 陈锡鸿 一种基于半在线密钥的车辆出入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05610871B (zh) * 2016-03-04 2019-04-12 广州益车益路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半在线密钥的车辆出入控制系统和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272B1 (ko)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5255B2 (en) Road toll system linking on board unit with vehicle
EP2498225B1 (en) Road toll system and method
HU220494B1 (hu) Eljárás és elrendezés járművek út- és területhasználati díjának megállapítására
HU229695B1 (en) Dual toll system
CN114386962A (zh) 一种车载支付设备、方法及系统
CN111192047B (zh) 基于非对称算法的车载单元收费方法
KR100785272B1 (ko)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요금 징수 시스템
JP3656352B2 (ja) 車載用通信装置及び路車間通信装置
WO2003019478A1 (en) Combined payment system and method to reduce congestion of vehicles in metropolitan areas and freeways
KR100469898B1 (ko) 동시 고속차량의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3328126B2 (ja) 通行料金自動徴収システムの不正防止方法
JP3463665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課金情報通信装置、車載機、課金結果取得装置、センター
JP2004348321A (ja) 無線決済システム
JP3643695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
JP3826857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車載機
Tetsusaki High security electronic toll and traffic management and road pricing system using encrypted messages and personal identity number
JPH08287308A (ja) 有料道路料金収受装置
KR100495784B1 (ko) Gps를 이용한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3679912B2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
KR20030033324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과금 징수 방법 및 시스템
JP2000048230A (ja) 無線料金収受システム
JP3639769B2 (ja) 情報発行システム及び情報発行方法
JP3637274B2 (ja) 道路料金課金方法
JP2006004355A (ja) 料金割引システムおよび車載器
Horie et al. Hitachi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onstruction of Secure and Reliable ETC Systems in Ja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