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898B1 - 동시 고속차량의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시 고속차량의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898B1
KR100469898B1 KR10-2003-0008794A KR20030008794A KR100469898B1 KR 100469898 B1 KR100469898 B1 KR 100469898B1 KR 20030008794 A KR20030008794 A KR 20030008794A KR 100469898 B1 KR100469898 B1 KR 100469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
smart card
signature value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491A (ko
Inventor
이석근
이병권
김용현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 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 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 넷
Publication of KR2003007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료도로에서 여러 대의 고속 차량을 동시에 자동으로 요금 징수하기 위하여 차량내 탑재장치(OBU) 스마트카드와 영업소 서버 또는 노변 장치(RSU)상의 보안인증처리장치(SAM)의 요금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료도로 상에서 OBU를 탑재한 여러 대의 고속 차량에 대한 자동 요금 징수에 있어 다중 처리인증방식, 즉 샘 뱅크를 이용함으로서 동시에 고속 차량을 자동으로 요금을 처리 할 수 있도록 하며, 샘 뱅크는 차량내 스마트 카드와의 통신에 있어 다중 보안인증처리를 하기에 그 요금 징수의 신속성과 차량의 다중 보안 처리 그리고 영업소측 서버 혹은 RSU, 차선제어기 쪽에 위치할 수 있어 이동성도 제공하며 보안인증처리 장치의 확장에 효과적으로 대처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와 샘 뱅크와의 자동 요금징수처리 절차를 이용함으로써 유료도로의 요금 징수에 있어 편리성을 제공하며, 스마트카드를 장착한 여러 대의 고속 주행차량을 동시에 다중 보안인증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시 고속차량의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for lots of fast car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유료도로에서의 동시에 여러 대의 고속차량의 요금을 처리할 수 있는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고속도로 및 유료도로에서는 진출로 마다 사람이 앉아서 아직도 현금과 통행권을 지불하기 위해 요금소에 일시 정차하는 방식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일부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자동요금징수방식도 차량과 인증처리 장치간 1:1 방식으로서 차량내 장착된 차량탑재장치(On Board Unit)의 스마트카드를 인식하여 무선안테나 송수신장치와 통신을 통해 인증절차를 거쳐 자동 징수를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도로 레인(Lane) 개수만큼 보안인증처리장치(SAM)가 필요하여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가 어려우며, 신속한 동시 처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차선을 확장할 때마다 늘어나는 차선수만큼 보안인증처리장치(SAM)를 추가해야 하며, 다른 카드와의 호환 적용을 위해서도 한 노변장치(RSU)에 여러개 다른 종류의 보안인증처리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기구 자체를 재제작해야 하는 불합리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현재까지의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은 다중 인증처리방식이 곤란하여 한 레인에서의 여러 대의 고속 차량 인증이 불가한 상태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샘 뱅크(SAM BANK)라는 다중 보안인증처리 방식으로 유료도로의 요금징수를 할때 동시에 여러 대의 고속차량을 보다 신속히 처리하는데 있다.
또한, 샘 뱅크를 이용한 다중 보안인증처리 방식을 구현함과 동시에 암호연산가속기(Triple-DES accelerator)를 이용하여 암호화 속도를 향상하고 최적화된 거래처리 방식을 제공하여 유료도로에서 고속의 많은 차량을 동시에 요금징수 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이 유료도로에 적용된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3은 폐쇄형 입구에서 요금징수 거래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4는 폐쇄형 영업소 출구 및 개방형 영업소에서 요금징수 거래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00 : 스마트카드(IC Chip이 부착된 접촉 또는 비접촉식 카드)
201 : 입출력 인터페이스
202 : Security Encryption Accelerator(암호연산가속기 : Tripple DES )
113 : 인터페이스 모듈 CPU(Central Processing Unit)
103 : OBU(On Board Unit), 차량탑재장치
102 : RSU(Road Side Unit), 노변장치
117 : 카드 인터페이스 모듈
118 : SAM card, 보안인증용 카드(Security Access Module)
105 : SAM BANK, 다중 인증처리를 위한 modules
106 : RS-232 확장 포트(8, 16포트 등)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스마트 카드가 삽입된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자동요금징수 처리를 하는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유선신호로 변환하는 안테나;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요금 자동 징수를 제어하는 시스템;
상기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카드의 서명값을 검증하고, 이에 대응하는 서명값을 생성하고, 개별 요금징수 거래내역을 저장하는 보안인증처리장치를 다수개 장착한 샘 뱅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이 유료도로에 적용된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 또는 도2를 참조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은, 안테나(101), 노변장치(102), 서버(104), 샘뱅크(SAM BANK, 105), 확장포트(106)를 포함한다.
차량은 차량탑재장치(103)를 구비하고, 차량탑재장치(103)는 스마트 카드(200)를 인식할 수 있고, 샘 뱅크(105)와 통신할 수 있는 장비를 포함한다.
차량탑재장치(103)에 스마트카드(200)를 삽입하여 유료도로의 폐쇄형 영업소입구(300)를 진입한다. 이때, 톨게이트형식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구분된다. 폐쇄형은 입구, 출구가 서로 상이하게 존재하며, 개방형은 한번 통과로 과금되는 형태이다. 예를 들면, 국내 유료도로의 청계, 판교, 성남 톨케이트가 개방형이다.
또한, 폐쇄형 입구는 능동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101)를 설치한다. 스마트카드(200)의 통신 신호는 안테나(101)를 거쳐 유선을 통해 노변장치(102)로 전달된다. 이 통신 신호를 받은노변장치(102)는 요금징수제어 시스템(104)을 거쳐 샘 뱅크(105)와 통신을 하게 되며 여기서 샘 뱅크(105)는 서명값(S1,S2,S3)을 검증 및 생성 하게된다. 서명값 검증과 생성을 거친 데이터를 입력받아 요금징수제어 시스템(104)은 거래내역을 저장하고, 노변장치(102)을 통해 영수증 정보, 입구정보 등의 데이타를 안테나(101)를 통해 차량탑재장치(103)의 스마트 카드(200)로 보내준다.
폐쇄형 출구를 통과할 경우, 실제 요금 징수를 위한 과금이 일어나며, 샘 뱅크(105)의 서명값 S2 생성시 요금정보를 포함시켜 노변장치(112,RSU2) 영역을 통과할 때 차량탑재장치(103)로 보내 스마트카드(200)에서 서명 검증 후 과금처리가 이루어 진다. 이때, 여러 차량이 통신영역에 들어와도 16개 포트의 샘 뱅크(105)에 인증요청 자료들이 순차적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다중 인증처리가 가능하다.
요금징수제어 시스템은 샘 모듈별 고유 특정값을 가지고서 각각에 해당하는 차량에 재전송하도록 한다.
도2를 참조하면, 차량탑재장치(103)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며, 스마트카드(200)를 삽입할 수 있고, 노변장치(102, 112)와 차량정보 및 요금관련 데이터들을 송수신한다.
스마트 카드(200)는 차량탑재장치(103)의 인터페이스 모듈의 CPU(113)와 스마트카드(200)의 입출력장치(IO/CLK/RST,201)를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며, 이러한 데이터는 스마트카드 내의 CPU를 통해 처리하고, 그 값들은 암호연산가속기(Triple-DES Accelerator,202)에 의해 암호화된다.
샘 뱅크(105)는 서명값을 검증 및 생성하고 거래내역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SAM 카드(118)를 다중 처리토록 한 것이다.
기존의 방식에서는 이 샘(SAM)을 도로 레인(lane)마다 놓아 노변장치 제작시 장착하는 불편함과 비효율성이 있었으며, 고속으로 달리는 여러대 차량 인증이 불가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여러개의 샘 카드를 한 곳에서 분산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이득과 다른 사업자가 발행한 사용자용 스마트카드의 적용을 위해 샘의 추가나 이동이 간편하여 유지 보수 및 확장성이 월등히 뛰어나게 되었다.
다시 말해, 한 톨게이트에서 여러 노변장치에 들어가 있는 샘 카드를 영업소 또는 노변장치 요금징수제어 시스템 등 특정 장소에 통합 처리 및 관리함으로써 샘 카드 교체 및 수정이 용이하게 된다. 샘 뱅크(105)의 구성방식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으며, 요금징수제어 시스템(104)과 분리하여 하나의 모듈 구성도 가능하고, PCI 타입으로 제작하여 요금징수제어 시스템(104)에 장착도 가능하다.
도2를 참조하면, 샘 뱅크(104)가 16포트로 되어 있으며, 이는 교통량이나 필요에 따라 필요에 따라 32포트나 64포트로 확장 가능하며, 더 많은 수의 포트로도 확장 가능하다.
또한, 8bit CPU(116)를 장착하여 스마트카드(200) 및 요금징수제어 시스템(104)과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였고, 기본 처리 통신 속도인 57,600bps로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외부의 명령어에 의해 230,400bps까지 통신 속도 선택이 가능하다.
요금징수제어 시스템(104)은 데이터를 1번부터 16번까지의 샘 카드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며, 처리가 끝나고 대기 중인 샘카드에 계속해서 다음 차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한다.
요금징수제어 시스템(104)은 차량에서 전송해 온 데이터가 어떤 샘 카드로 전송되었는지 알기위해 처리 중인 샘 카드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처리된 데이터는 원래 차량으로 전송된다.
다른 사업자가 발행한 사용자용 스마트카드의 적용을 위해서는 스마트카드에 대응되는 샘 카드가 샘 뱅크(105)에 장착되어야 하며, 차량에서 넘어온 데이터를 요금징수제어 시스템(104)에서 분리하여 해당 사업자의 샘 카드에 전송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샘 뱅크(105)의 경우 다른 기술에 비해 자동 요금 징수 전체 시스템의 방식 차이에 대한 적용성과 확장성 및 타카드와의 호환성이 현저하게 뛰어나며, 요금징수제어 시스템(104)쪽의 RS-232 확장포트(106)를 추가함에 따라 사업자 요구만큼 샘 카드를 늘릴 수 있다.
또, 가장 큰 장점은 기존 기술에 비해 고속으로 다중 인증처리가 가능하여, 동시에 여러 고속 차량들을 요금 징수 할 수 있으며 차량탑재장치와 노변장치의 무선 통신 방식인 수동 DSRC방식, 적외선 방식(능동 Infra Red)과 함께 능동 DSRC 방식의 자동 요금 징수 방식에 최적으로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폐쇄형 입구에서 요금징수 거래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폐쇄형 입구(300)에서의 스마트카드(200), 차량탑재장치(103), 노변장치(102)와 샘뱅크(105)간의 데이터 처리 절차를 보여준다.
도3을 참조하면, 차량이 폐쇄형 입구(300)를 진입할 시 차량탑재장치(103)는 스마트카드를 초기화시킨다(S301). 그리고 나서, 스마트카드(200)의 중앙처리장치 (204)가 서명값 S1을 생성한다. 스마트 카드(200)는 서명값 생성 시 암호연산가속기(202)를 사용하여 입구정보, 카드정보 등의 데이터를 포함시켜 암호화를 진행한다.
암호연산가속기(202)에서 사용된 암호화 기술은 국제표준인 Tripple DES를 이용하여, 128bit(각 byte에서 패러티 1bit를 제외하면 112bit)키를 사용하여 암호화 수준을 한층 높였다. 특히, Triple DES 연산 가속기가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했던 것에 비해 현저한 속도 향상을 시켰다.
스마트 카드(200)는 서명값 S1을 차량탑재장치(103)로 보내(S302) 차량탑재장치(103)에서 저장하고 있는 차량정보와 함께 노변장치(102)에서 요청신호가 오게 되면 데이터들을 전송한다(S303).
노변장치(102)에서 전송된 서명값(S1)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들은 샘 초기화라는 신호에 의해 확장포트(106)를 통해 샘 뱅크(105)의 하나의 샘 카드에 전송된다(S304).
이때, 요금징수 제어 시스템(104)은 데이터를 1번부터 16번까지의 샘 카드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며, 처리가 끝나고 대기 중인 샘카드에 계속해서 다음 차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한다. 요금징수 제어 시스템(104)은 차량에서 전송해 온 데이터가 어떤 샘 카드로 전송되었는지 알기위해 처리 중인 샘 카드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처리된 데이터는 원래 차량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샘 뱅크(105)의 경우 다른 기술에 비해 자동 요금 징수 전체 시스템의 방식 차이에 대한 적용성과 확장성 및 타카드와의 호환성이 현저하게 뛰어나며, 요금징수 제어 시스템(104)쪽의 RS-232 확장포트(106)를 추가함에 따라 사업자 요구만큼 샘 카드를 늘릴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샘 뱅크(105)의 보안인증처리장치인 샘(118)이 차량의 스마트카드(200)에서 생성된 서명값 S1을 검증한다.
이후, 샘 뱅크(105)는 요금징수 제어 시스템(104)에서 올라온 입구정보를 포함시켜 S2 서명값을 생성하고, 서명값 S2는 노변장치(102)에서 영수증정보를 포함하여 차량탑재장치(103)로 전달한다(S305).
그리고 나서, 차량탑재장치(103)가 정보 저장신호를 스마트카드(200)로 보내면 스마트카드(200)는 서명값 S2를 검증하고, 입구 테이터 및 영수증정보 등을 저장한다(S306).
이로써, 폐쇄형 입구(300)를 통과하는 절차가 마무리된다.
도4는 폐쇄형 출구 및 개방형에서 요금징수 거래방법의 동작흐름도로서, 폐쇄형 입구를 통과한 차량이 출구를 나갈 때 발생하는 처리절차이며, 개방형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차량이 폐쇄형 출구(400)를 통과하게 되면 스마트카드 초기화신호에 의해 스마트카드(200)는 폐쇄형 입구를 통과할 때 전송되어 저장되어 있는 입구정보가 포함된 서명값 S1을 생성하여(S401),차량탑재장치(103)로 전송한다(S402).
그리고 나서, 노변장치(112)의 요청신호에 의해 차량탑재장치(103)에서 차량정보를 포함한 서명값 S1을 노변장치(112)로 전송한다(S403).
다음, 노변장치(112)에서 샘 초기화신호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들은(S404) 샘 뱅크(105)에서 검증되고, 요금징수 제어 시스템(104) 측에서 전송받은 요금정보를 포함하여 샘 뱅크(105)는 서명값 S2를 생성한다.
서명값 S2는 노변장치(112)로 전달되어 영수증 정보와 함께 차량탑재장치 (103)로 전송된다(S405).
그리고 나서, 차량탑재장치(103)로부터 요금차감/정보저장신호가 스마트카드로 서명값 S2와 함께 전송되면(S406), 포함된 요금정보에 의해 스마트카드(200)는 카드 내부에서 요금차감을 시킨다.
차감된 요금은 서명값 S3 생성시 포함되며, 차량탑재장치(103)를 거쳐 노변장치(112)로 전송된다. 이때 스마트카드(200)에서는 이용요금, 차량정보, 거래내역 등을 영수증 정보로 카드내 기억장치 메모리인 EEPROM(207)의 특정 장소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 카드(200)는 차량탑재장치(103)를 통해 노변장치(112)로 잔액 및 서명값 S3을 전송한다.
잔액 및 서명값 S3을 전송되면, 노변장치(112)는 샘 인증신호에 의해 샘 뱅크(105)로 잔액 및 서명값 S3을 전송한다(S407).
그리고 나서, 샘 뱅크(105)는 검증 및 로그로 저장하고, 그 데이터들을 요금징수 제어 시스템(104)로 보내 거래내역을 저장하게 한다.
스마트카드(200)와 샘 뱅크(105) 사이에는 이런 방법으로 절차가 이루어지며 이 발명의 실시 예는 변형 예가 존재 가능하다.
개방형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과정으로 요금이 정산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제시한 스마트카드와 샘 뱅크와의 처리 절차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의 통상적 지식과 범위 내에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한 것은 아니 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카드의 다중 인증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동시에 고속 차량에 대한 요금을 자동으로 징수함으로써 고속도로 및 유료도로를 이용하는 차량 이용자들은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무선 통신 방식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한 자동요금 징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능동 DSRC 구현 방식의 다양성을 포함하여 타 카드의 호환성 적용과 시스템 확장에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Claims (8)

  1. 차량에 탑재된 스마트 카드가 삽입된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자동요금징수 처리를 하는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유선신호로 변환하는 안테나;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요금 자동 징수를 제어하는 요금징수 제어시스템;
    상기 요금징수 제어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카드의 서명값을 검증하고, 이에 대응하는 서명값을 생성하고, 거래내역을 저장하는 샘 모듈을 다수개 장착하여 처리토록 한 샘 뱅크를 포함하는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신호를 상기 다수개의 샘 모듈로 전달하도록 다수개의 포트를 갖는 확장 포트를 더 포함하는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며, 상기 스마트카드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노변장치와 차량정보 및 요금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상기 차량탑재장치와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장치;
    상기 입출력장치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CPU;
    상기 CPU에 의해 처리된 값들을 암호화하는 가속기를 포함하는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샘 뱅크는 16개의 샘 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스템은 데이터를 1번부터 16번까지의 샘 카드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며, 처리가 끝나고 대기 중인 샘 모듈에 계속해서 다음 차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고,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카드에서 전송해 온 데이터가 어떤 샘 모듈로 전송되었는지 알기 위해 처리 중인 샘 모듈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처리된 데이터는 해당 스마트 카드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
  6. 차량에 탑재된 스마트 카드가 삽입된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자동요금징수 처리를 하는 자동요금징수 방법으로서,
    고속도로 패쇄형 입구에서 상기 차량탑재장치가 상기 스마트 카드를 초기화하면, 상기 스마트 카드가 카드내부 IC Chip에 있는 난수 발생기를 이용하여 난수를 생성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명값을 생성하는 단계;
    서버가 생성된 제1 서명값을 샘 뱅크의 해당 샘 모듈로 전달하고, 해당 샘 모듈이 제1 서명값을 검증하고, 이에 대응되는 영수증 정보 및 입구정보를 포함하는 제2 서명값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고, 입구 데이터 및 영수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고속도로 패쇄형 출구에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사용자 정보 및 입구정보를 포함하는 제3 서명값을 생성하는 단계;
    서버가 생성된 제3 서명값을 샘 뱅크의 해당 샘 모듈로 전달하고, 해당 샘 모듈이 제3 서명값을 검증하고, 이에 대응되는 영수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서명값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제4 서명값을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요금을 차감하고 차감정보를 포함하는 제5 서명값을 생성하여 상기 샘 모듈로 송신하고, 영수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요금 징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샘 뱅크는 16개의 샘 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스템은 데이터를 1번부터 16번까지의 샘 카드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며, 처리가 끝나고 대기 중인 샘 모듈에 계속해서 다음 차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고,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카드에서 전송해 온 데이터가 어떤 샘 모듈로 전송되었는지 알기 위해 처리 중인 샘 모듈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처리된 데이터는 해당 스마트 카드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요금징수 방법.
  8. 고속도로 개방형 출구에서 차량에 탑재된 스마트 카드가 삽입된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자동요금징수 처리를 하는 자동요금징수 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명값을 생성하는 단계;
    서버가 생성된 제1 서명값을 샘 뱅크의 해당 샘 모듈로 전달하고, 해당 샘 모듈이 제1 서명값을 검증하고, 이에 대응되는 영수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서명값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제2 서명값을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요금을 차감하고 차감정보를 포함하는 제3 서명값을 생성하여 상기 샘 모듈로 송신하고, 영수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요금 징수 방법.
KR10-2003-0008794A 2002-02-27 2003-02-12 동시 고속차량의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0469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502 2002-02-27
KR20020010502 2002-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491A KR20030071491A (ko) 2003-09-03
KR100469898B1 true KR100469898B1 (ko) 2005-02-02

Family

ID=3222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794A KR100469898B1 (ko) 2002-02-27 2003-02-12 동시 고속차량의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8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544A (ko) * 2012-12-14 2014-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신 메시지 연결성을 제공하는 익명 인증 및 키 합의 장치 및 방법
KR101612323B1 (ko) 2013-07-09 2016-04-14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단거리 전용 통신을 활용한 가상 영업소의 위치 정보 및 보정용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정보 전송 시스템
KR101881833B1 (ko) 2018-05-31 2018-07-25 (주)아이트로닉스 무정차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의 차로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09B1 (ko) * 2006-11-01 2007-08-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차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
CN103514640B (zh) * 2012-06-19 2016-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车道自由流系统及其并行操作方法和装置
CN105989632B (zh) * 2015-02-27 2019-05-10 深圳市金溢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由流系统及其交易方法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544A (ko) * 2012-12-14 2014-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신 메시지 연결성을 제공하는 익명 인증 및 키 합의 장치 및 방법
KR102024531B1 (ko) * 2012-12-14 2019-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신 메시지 연결성을 제공하는 익명 인증 및 키 합의 장치 및 방법
KR101612323B1 (ko) 2013-07-09 2016-04-14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단거리 전용 통신을 활용한 가상 영업소의 위치 정보 및 보정용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정보 전송 시스템
KR101881833B1 (ko) 2018-05-31 2018-07-25 (주)아이트로닉스 무정차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의 차로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491A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025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nsactions
US8688510B2 (en) Method for fee charging position usages of vehicles
HU220494B1 (hu) Eljárás és elrendezés járművek út- és területhasználati díjának megállapítására
KR101679915B1 (ko) 다차로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WO2016148349A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CN114386962A (zh) 一种车载支付设备、方法及系统
KR100469898B1 (ko) 동시 고속차량의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3656352B2 (ja) 車載用通信装置及び路車間通信装置
KR100785272B1 (ko)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요금 징수 시스템
KR102034298B1 (ko) 하이패스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946876A (zh) 一种业务认证方法及系统
JP2003030702A (ja) 車載器及び路側装置及び料金収受装置
JP2004288099A (ja) 有料道路等の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4348321A (ja) 無線決済システム
KR100816888B1 (ko) 요금처리장치 및 방법
JP3643695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
KR100788192B1 (ko) 카드 충전 기능을 갖는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용 온 보드유닛
Tetsusaki High security electronic toll and traffic management and road pricing system using encrypted messages and personal identity number
JP3826857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車載機
JP3679912B2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
KR20240051589A (ko) 차량용 통행요금 결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230046B2 (ja) 料金課金システム、及び、料金課金方法
JP2000048230A (ja) 無線料金収受システム
KR20030030447A (ko) 핸드폰을 이용한 도로 요금 징수 네트워크 및 그 방법
KR20030033324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과금 징수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