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903A - 포장체 - Google Patents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903A
KR20070082903A KR1020070016852A KR20070016852A KR20070082903A KR 20070082903 A KR20070082903 A KR 20070082903A KR 1020070016852 A KR1020070016852 A KR 1020070016852A KR 20070016852 A KR20070016852 A KR 20070016852A KR 20070082903 A KR20070082903 A KR 20070082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opening
package
packaging bag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모루 키누타
후미히코 요시로
히로후미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40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94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824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73822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8Individual filled bags or pouches connec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2Rolls, strips or like assemblie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27Tear-lines for separating a package into individual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시트 재료에 의한 포장 백(11)에 복수의 수납 물품(10)을 넣어 형성되는 포장체로서, 포장 백(11)은, 정면부(12), 배면부(13), 한쌍의 측면부(14), 상면부(15) 및 저면부(16)를 가지며, 상면부(15)는, 한쌍의 측면부(14)로부터 연장 형성한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30) 및 한쌍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30)에 걸쳐 상면부(15)의 중앙 부분을 횡단하는 꼭대기부(17)를 가지며, 꼭대기부(17)에는 벨트부(18)가 그 양단부를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30)에 벨트 접합부(20)에 의해 접합시켜 형성되어 있으며, 꼭대기부(17)에는, 포장 백(11)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이 벨트 접합부(20)의 하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포장체, 포장 백, 벨트 접합부, 개봉 용이 절단 수단

Description

포장체{PACKAGING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포장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체에 대하여, 상면부를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도 3(d)은,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체의 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도 4(e)는,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체의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체에 대하여, 꼭대기부를 뉘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체에 대하여, 파수부(把手部)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체의 개봉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며, (a)는 부분적으로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완전히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c)는 완전히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포장 백의 한 폐기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꼭대기부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은 각각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a)~도 11(c)은, 각각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a)~도 12(c)는, 각각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a)~도 14(e)는, 각각 벨트부의 벨트 접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벨트부의 벨트 접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은, 각각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상면부의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a) 및 도 18(b)은, 꼭대기부에의 벨트부의 접합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꼭대기부에의 배접 시트의 접합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벨트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의 제품화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를 가지고 다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이나, 롤 형상의 토일렛 페이퍼 등을 복수 적층하여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집적하고, 이것을 필름 재료 등의 시트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장 백에 압축한 상태로 수납한 포장체가 알려져 있다(예컨 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5-59901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3-182747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1-91797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1-301859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4-42922호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5-59901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3-182747호에 기재된 포장체에서는, 필름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장 백은, 정면부, 배면부, 좌우 한쌍의 측면부, 상면부 및 저면부를 가지며,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집적된 수납 물품의 주위를 싸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면부는, 한쌍의 측면부에서 좌우방향에 각각 연장 형성한 한쌍의 삼각형 형상의 연장 형성 귀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벨트부가,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간에 걸쳐 상면부에 있어서의 연장 형성 귀부 이외의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1-91797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1-301859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4-42922호에 기재된 포장체에서는, 포장 백의 상면부는, 일반적으로, 정면부, 배면부 및 한쌍의 측면부로부터의 상부 연장 형성 부분을 상면측으로 구부려 접어 형성된다. 이 상면부에는, 중앙 부분을 횡단하여, 정면부의 상부 연장 형성 부분의 상단 가장자리부와, 배면부의 상부 연장 형성 부분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마주하게 하여 접합한 꼭대기부가 배치된다. 또한, 측면부의 상부 연장 형성 부분은, 이것의 상단부를 계곡 접기(valley fold)하여 꼭대기부의 내측에 끼운 상태에서 접합됨과 아울러, 접합된 상단 가장자리부보다도 하방의 부분은 대기부로서 정면부 및 배면부의 상부 연장 형성 부분의 하측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1-91797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1-301895 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4-42922호에 기재된 포장체에서는, 상면부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정면부 및 배면부의 상방 연장 형성 부분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의한 꼭대기부는, 상당의 폭을 가지는 띠 형상의 접합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꼭대기부의 중앙에는, 포장체를 일체로서 손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시트 재료를 주체로 하는 포장 백에 복수의 수납 물품을 싸서 형성되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 백은, 상기 복수의 수납 물품의 주위를 덮는 정면부, 배면부, 한쌍의 측면부, 상면부 및 저면부를 가지며, 상기 상면부는, 상기 한쌍의 측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한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 및 한쪽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로부터 다른쪽의 연장 형성 귀부에 걸쳐 상기 상면부의 전후방향 중앙 부분을 좌우방향으로 횡단하는 꼭대기부를 가지며, 상기 꼭대기부에는, 벨트부가, 그 양단부를 한쌍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에 벨트 접합부에 의해 접합시키고, 상기 상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 이외의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꼭대기부에는, 상기 포장 백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이, 적어도 그 상기 벨트 접합부쪽의 단부를 상기 벨트 접합부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 형성되어 있다.
포장체에 있어서는, 포장 백의 내부로부터 수납 물품을 꺼내기 위하여, 포장 백에 그것을 용이하게 개봉하기 위한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이 통상 형성되어 있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은, 일반적으로는 미싱선이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5- 59901호에는, 포장 백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이 형성되는 위치는, 일반적으로, 특허문헌 2에 기재와 같이, 포장 백의 측면부의 위치이다.
그러나,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5-59901호 또는 2003-182747호에 기재된 포장체에 있어서는, 평면으로 보아 벨트부가 상면부의 전후방향 중앙 부분을 전후방향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포장체에 있어서는,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을 절단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를, 벨트부와 겹쳐지는 위치인 상면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장 백에 복수의 수납 물품을 싸서 형성되는 포장체이며, 포장 백의 상면부의 개구부로부터 수납 물품을 꺼내기 쉬운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1-91797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1-301859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4-42922호에 기재된 필름 재료에 의한 포장 백에 의해 집적한 복수의 수납 물품을 싸서 형성되는 포장체에서는, 상면부의 띠 형상의 꼭대기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개구부는, 당해 꼭대기부의 폭에 수납하는 작은 것밖에 형성할 수 없다. 또한, 형성된 손잡이 개구부의 개구 주연(周緣)은, 필름 재료로 이루어지는 얇은 두께의 정면부 및 배면부의 상부 연장 형성 부분에 의한 선 형상의 가는 폭으로 가선이 둘러지므로, 손잡이 개구부에 삽입하여 안정된 상태로 손가락의 가운데를 개구 주연에 계지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포장체를 매달아 올리도록 들어올렸을 때에, 가는 폭의 선 형상으로 가선된 개구 주연을 통해, 불안 정한 상태로 포장체의 하중이 손가락 가운데의 일부에 국소적으로 부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장체를 장시간 가지고 다니는 것은 번거로움을 느끼기 쉽다.
특히, 포장 백의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집적되고, 다수의 수납 물품이 일체로서 수납되어 있는 것에 의해, 포장체가 상당한 중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꼭대기부에 형성된 손잡이 개구부에 손가락을 계지하여 안정된 상태로 포장체를 가지고 다니는 것은 곤란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은, 필름 재료에 의한 포장 백에 의해 싸이는 복수의 흡수 물품을 손으로 들거나 팔이나 어깨에 걸거나 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용이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 재료를 주체로 하는 포장 백에 복수의 수납 물품을 포장하여 형성되는 포장체이며, 상기 포장 백은, 상기 복수의 수납 물품의 주위를 싸는 정면부, 배면부, 한쌍의 측면부, 상면부 및 저면부를 가지며, 상기 상면부는, 상기 한쌍의 측면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 및 한쪽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에서 다른쪽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에 걸쳐, 상기 상면부의 전후방향 중앙 부분을 좌우방향으로 횡단하는 꼭대기부를 가지며, 상기 꼭대기부에는, 벨트부가, 그 양단부를 한쌍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에 벨트 접합부에 의해 접합시켜, 상기 상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 이외의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꼭대기부에는, 상기 포장 백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이, 적어도 그 상기 벨트 접합부쪽의 단부를 상기 벨트 접합부의 하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포장체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제1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제1실시형태의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의 포장체(1)는, 포장 백(11)에 복수의 수납 물품(10)(도 3, 도 4 참조)을 싸서 형성되는 포장체이다.
포장 백(11)은, 복수의 수납 물품(10)의 주위를 덮는 정면부(12), 배면부(13), 한쌍의 측면부(14, 14), 상면부(15) 및 저면부(16)를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전후방향'이란 정면부(12)와 배면부(13)를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이란 한쌍의 측면부(14, 14)끼리를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하방향'이란 상면부(15)와 저면부(16)를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납 물품(10)은, 예컨대 편평한 형상으로 접힌 복수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복수의 일회용 기저귀는, 포장 백(11)의 좌우방향에 적층되어 물품군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물품군을 상하방향으로 복수단으로 적층하여 전체가 대략 직방체 형상이 되도록 집적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의 포장체(1)는, 집적한 일회용 기저귀를, 포장 백(11)의 좌우방향(일회용 기저귀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면서, 대략 직방체 형상의 전체를 포장 백(11)에 의해 감싸도록 하여, 포장 백(11)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제품화되는 것이다. 즉, 복수의 수납 물품은, 압축된 상태로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집적되어 포장 백(11)에 수납되어 있다. 집적한 일회용 기저귀는, 예컨대 0.5~5kg 정도 상당의 중량을 가지고 있다. 제1실시형태의 포장체(1)는, 이와 같이 효율 좋게 집적된 다수의 일회용 기저귀가 상당의 중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도, 이들을 일체로서 용이하며 또한 안정된 상태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채용된 것이다.
포장 백(11)은, 시트 재료를 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포장 백(11)을 형성하는 시트 재료로서는, 예컨대 합성수지제의 필름 재료, 합성수지 혹은 천연수지의 부직포 또는 직포, 알루미박,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시트 재료는, 단층구조라도 좋고, 적층구조라도 좋다. 적층구조의 경우는, 씰(seal)성, 방수성 등의 관점에서, 최내층에 합성수지제의 필름 재료가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트 재료로서, 연질의 폴리에틸렌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 백(11)은, 필름 재로로부터 대략 직방체 형상의 백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대략 직방체 형상의 백 형상의 필름 재료에 있어서의 전면 부분의 중앙 영역이 정면부(12)가 되고, 후면 부분의 중앙 영역이 배면부(13)가 되고, 좌우면 부분의 중앙 영역이 한쌍의 측면부(14, 14)가 된다. 또한, 필름 재료에 있어서의 상면 부분이 상면부(15)가 되고, 하면 부분이 저면부(16)가 된다.
상면부(15)는, 한쌍의 측면부(14, 14)로부터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한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30, 30)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면부(15)에 있어서의 연장 형성 귀부(30) 이외의 영역을 '상면부 중앙 영역(15a)'이라고 한다.
연장 형성 귀부(30)는, 상면부(15)의 상면부 중앙 영역(15a)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재하는 시트 재료와 측면부(14)로부터 상방으로 연재하는 시트 재료가 겹 쳐 형성되어 있다. 연장 형성 귀부(30)에 있어서의 상면부 평면 영역(15b)(후술)은, 평면으로 보아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면부(15)는, 한쪽의 연장 형성 귀부(30)로부터 다른쪽의 연장 형성 귀부(30)에 걸쳐 상면부(15)의 전후방향 중앙 부분의 좌우방향으로 횡단하는 꼭대기부(17)를 가지고 있다. 꼭대기부(17)의 형상은, 그 채집 용이성을 고려하면, 폭이 10~200mm, 바람직하게는 폭이 50~170mm의 띠 형상이다. 한편, 상면부(15)에 있어서의 꼭대기부(17) 이외의 영역을 '상면부 평면 영역(15b)'이라고 한다.
띠 형상의 꼭대기부(1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 평면 영역(15b)으로부터 기립시킬 수 있으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 평면 영역(15b)에 접촉시키도록 뉘일 수 있다(상세한 설명은 후술).
꼭대기부(17)에는, 벨트부(18)가, 그 양단부를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30)에 있어서의 꼭대기부(17)에 벨트 접합부(20)에 의해 접합시키고, 꼭대기부(17)를 따라, 상면부(15)에 있어서의 연장 형성 귀부(30) 이외의 영역(상면부 중앙 영역)(15a)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벨트부(18)는, 꼭대기부(17)의 정면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꼭대기부(17)의 배면측 및 상면부 평면 영역(15b)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벨트부(18)는, 꼭대기부(17)를 수직으로 기립시킨 상태에 있어서, 평면으로 보아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상세한 설명은 후술)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벨트부(18)는, 바람직하게는 포장 백(11)과 같은 연질의 폴리에틸렌필름의 띠 형상의 필름 재료로 이루어진다. 벨트부(18)는, 포장 백(11)과는 다른 색이나 광택으로 형성함으로써, 시인성이 우수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벨트부(18)의 표리면에서 다른 엠보스처리나 인쇄를 하거나, 또는 한쪽 면에만 엠보스처리나 인쇄를 함으로써, 시인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벨트부(18)를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벨트부(18)는, 바람직하게는 10~100mm의 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쪽 손으로 들어올려도 포장체(1)가 상술한 중량이라도 손에 좋다. 벨트부(18)는, 한쌍의 벨트 접합부(20, 20)간이 상면부(15)에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면부(15)로부터 이간할 수 있으며, 파수부(把手部)를 형성할 수 있다(상세한 설명은 후술). 벨트부(18)는 띠 형상이라도 좋다.
벨트 접합부(20)는, 직각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그 직각을 벨트부(18)의 상외우(上外隅)에 위치시킨 경사 씰로서 형성되어 있다. 벨트 접합부(20)가 경사 씰로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응력의 집중을 회피할 수 있어, 안정된 벨트 강도가 얻어진다.
벨트 접합부(20)는, 겹쳐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꼭대기부(17)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시트 재료에만 형성되어 있으면, 복수의 수납 물품(10)이 수납된 포장 백(11)으로부터 수납 물품(10)을 단에서도 꺼내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꼭대기부(17)에는, 포장 백(11)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이 적어도 그 벨트 접합부(20)쪽의 단부를 벨트 접합부(20)의 하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 형성되어 있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꼭대기부(17)의 일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 는 구조로함으로써, 꼭대기부(17)를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 있어서 절단하고, 포장 백(11)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 물품(10)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22)(도 7 참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적어도 벨트 접합부(20)쪽의 단부가 벨트 접합부(20)의 상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전체가 벨트부(18)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좌우방향 전역에 걸친 미싱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전체가 꼭대기부(17)에 있어서의 벨트부(18)보다도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다른 쪽으로 보면, 연장 형성 귀부(30)의 꼭대기부(17)에 있어서의 좌우방향 단부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다.
띠 형상의 꼭대기부(17)의 상단과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과의 간격은, 적절히 설정되지만,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을 절단할 때에 꼭대기부(17)를 용이하게 집도록 바람직하게는 7~100mm, 더 바람직하게는 10~50mm이다.
꼭대기부(17)에 있어서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보다도 상방의 영역에는, 좌우방향 전역에 걸친 꼭대기부 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꼭대기부 씰부(19)는, 통 형상의 시트 재료로 포장 백(11)을 형성할 때에 통 형상의 시트 재료를 봉지하여 꼭대기부(17)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 꼭대기부 씰부(19)는, 포장 백(11)을 개봉할 때에, 꼭대기부(17)를 집기 쉽게 하고, 또한 꼭대기부(17)의 강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에, 개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작은 힘으로 개봉할 수 있고, 미싱선 등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 따라 절단할 수 있는 개봉 방향성이 향상한다.
또한, 꼭대기부 씰부(19)를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근방에 형성함으로써, 꼭대기부(17)를 형성하는 2장의 시트 재료를 동시에 절단할 때의 개봉 방향성이 보다 향상한다. 이러한 구성은, 개봉 방향성이 없는 시트 재료, 예컨대, 미(未)연장의 유연한 필름 재료로 꼭대기부(17)가 구성되는 포장 백(11)의 경우에는,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꼭대기부(17)에는, 그것을 보강하는 보강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꼭대기부(17)의 상단 가장자리부와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보강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합성수지 혹은 천연섬유의 부직포 및 직포, 알루미박, 종이 등의 단체 또는 적층 구조를 들 수 있다.
하면부(16)는, 종래의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정면부(12), 배면부(13) 및 한쌍의 측면부(14, 1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한 영역을 하면측으로 구부려 접어 형성되어 있다. 이 하면부(16)에는, 중앙 부분을 횡단하고, 정면부(12)로부터의 연장 형성 부분의 하단 가장자리부와, 배면부(13)로부터의 연장 형성 부분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대향시켜 접합한 하면 접합부(도 8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14)로부터의 연장 형성 부분은, 이것의 하단부를 계곡 접기하여, 상기 하면 접합부의 내측에 끼운 상태에서 접합됨과 아울러, 접합된 하단부보다도 상방의 부분이, 대기부로서 정면부(12) 및 배면부(13)의 연장 형성 부분의 상측으로 접혀져 있다.
포장 백(11)은, 시트 재료를 소정 부분에서 씰 접합함으로써, 예컨대 정면의 폭이 20~50cm, 측면의 폭이 10~20cm, 높이가 10~50cm 정도의 크기의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집적된 복수의 일회용 기저귀의 주위를, 일체로서 싸는 크기가 된다.
제1실시형태의 포장 백(11)은, 예컨대 도 3에 나타내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장척통 형상의 포장 백(11)의 소재(S11)를 그 길이방향으로 반송시킨다. 다음으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재(S11)에 있어서의 꼭대기부(17)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대하여, 꼭대기부 씰부(19) 및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미싱선)을 형성함과 아울러, 장척 형상의 벨트부(18)의 소재(S18)로부터 잘라낸 벨트부(18)를 핫멜트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벨트 접합부(20)에 의해 접합한다.
벨트부(18)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포장 백(11)의 좌우방향을 따르는 길이)와 같은 폭을 가지는 장척 형상의 소재(S18)를 그 길이방향에 소정 길이〔(벨트부(18)의 폭(포장 백(11)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폭)〕로 절단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벨트부(18)는, 그 폭(포장 백(11)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폭)과 같은 폭을 가지는 장척 형상의 소재(도시하지 않음)를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벨트부(18)의 길이(포장 백(11)의 좌우방향을 따르는 폭)〕로 절단하여 얻을 수도 있다.
한편,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형성은, 벨트부(18)의 접합 전 또는 접합 후에도 좋다.
이어서,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통 형상의 포장 백(11)의 소 재(S11)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꼭대기부 씰부(19) 근방)를 좌우방향으로 절단하여, 소재(S11)를, 단척통 형상으로, 꼭대기부(17)측이 꼭대기부 씰부(19)에 의해 봉지되어 있는 형태로 가공한다. 이 형태의 소재(S11)에 있어서의 저면부(16)측을 크게 개구시키고,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부(16)측의 개구부로부터, 집적된 수납 물품(10)을 도입한다. 그 후, 소재(S11)의 저면부(16)측의 개구부를 봉지하고, 소정의 저면부(16)의 형상을 형성한다(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상면부(15)의 상면부 중앙 영역(15a)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재하는 시트 재료와 측면부(14)로부터 상방으로 연재하는 시트 재료로 연장 형성 귀부(30)를 형성하고, 포장체(1)를 완성시켰다.
또한, 포장 백(11)은, 예컨대 도 4에 나타내는 다른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장척띠 형상의 포장 백(11)의 소재(S11)를 그 길이방향으로 반송시킴과 아울러, 그 세로방향으로 둘로 접는다. 둘로 접은 접이 눈금은 포장 백(11)의 꼭대기부(17)측, 즉, 벨트부(18)가 형성되는 측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재(S11)에 있어서의 꼭대기부(17)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대하여, 꼭대기부 씰부(19) 및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미싱선)을 형성함과 아울러, 장척 형상의 벨트부(18)의 소재(S18)로부터 잘라낸 벨트부(18)를 핫멜트 등의 접착제, 히트씰이나 초음파씰을 이용하여 벨트 접합부(20)에 의해 접합한다. 히트씰이나 초음파씰을 이용하여 벨트 접합부(20)를 접합하는 경우는, 꼭대기부(17)의 정면측과 배면측의 2장의 시트 재료를 가로지르는 정면측과 배면측의 두장의 시트 재료의 사이에 가이드판(도시하지 않음)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부(18)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폭(포장 백(11)의 상하방향으로 따르는 폭)과 같은 폭을 가지는 장척 형상의 소재(S18)를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벨트부(18)의 길이(포장 백(11)의 좌우방향을 따르는 길이)〕로 절단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벨트부(18)는, 그 길이(포장 백(11)의 좌우방향을 따르는 길이)와 같은 폭을 가지는 장척 형상의 소재(도시하지 않음)를 그 길이방향에 소정 길이〔벨트부(18)의 폭(포장 백(11)의 상하방향을 따르는 폭)〕로 절단하여 얻을 수도 있다.
이어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로 접힌 장척 형상의 소재(S11)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를 폭방향을 따라 절단함과 아울러, 그 절단선을 따라 씰부를 형성하고, 소재(S11)를, 단척통 형상으로, 꼭대기부(17)측이 봉지되어 있는 형태로 가공한다. 한편, 상기 절단선을 따르는 씰부는, 측면부(14)의 전후방향 중앙 부분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된다.
또한,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형태의 소재(S11)에 있어서의 저면부(16)측을 크게 개구시키고, 도 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부(16)측의 개구부로부터, 집적된 수납 물품(10)을 도입한다. 그 후, 소재(S11)의 저면부(16)측의 개구부를 봉지하고, 소정의 저면부(16)의 형상을 형성한다(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상면부(15)의 상면부 중앙 영역(15a)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재하는 시트 재료와 측면부(14)로부터 상방으로 연재하는 시트 재료로 연장 형성 귀부(30)를 형성 하고, 포장체(1)를 완성시킨다.
한편, 통 형상의 형태의 소재(S11)는, 장척띠 형상의 소재(S11)를 그 폭방향을 따라 둘로 접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두장의 장척띠 형상의 소재(S11)를 겹쳐서, 그들 양측 가장자리부 단부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의 포장체(1)에 있어서는, 꼭대기부(17)는, 도 1에 나타내는 상면부(15)의 상면부 평면 영역(15b)으로부터 입설한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 평면 영역(15b)에 접촉시키도록 뉘어진 상태에서 상면부 평면 영역(15b)에 가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뉘어진 꼭대기부(17)를 포함하는 연장 형성 귀부(30)를, 측면부(14)에 접촉시키도록 뉘어진 상태에서 측면부(14)에 가접합시킬 수 있다. 가접합에는, 예컨대 접착제나 간이한 씰 접합이 이용된다.
제1실시형태의 포장체(1)는, 이러한 헝태로 가접합함으로써, 곤포(梱包), 운반, 진열 등에 적합한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정리된 상태로 제품화된다. 꼭대기부(1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부(18)가 외측이 되도록 상면부 평면 영역(15b)에 뉘어진 상태로 가접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접합 형태는, 진열시에 벨트부(18)를 포장 백(11)에 올리고, 늘어지기 어렵게 함으로써, 포장체(1)의 볼품을 좋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벨트부(18)를 집기 쉽게 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반대로, 꼭대기부(17)는, 벨트부(18)가 내측이 되도록 상면부 평면 영역(15b)측으로 뉘어진 상태에서 가접합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곤포, 운반, 진열 등을 고려하면, 벨트부(18)가 노출하지 않도록, 벨트부(18)를 내측으로 하여 뉘어진 상태에서 가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의 포장체(1)에 있어서는, 상면부(15)에는, 한쌍의 측면부(14)로부터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한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30, 30) 및 한쪽의 연장 형성 귀부(30)로부터 다른쪽의 연장 형성 귀부(30)에 걸쳐 상면부(15)의 전후방향 중앙 부분을 좌우방향으로 횡단하는 꼭대기부(17)를 가진다. 꼭대기부(17)에는, 벨트부(18)가 그 양단부를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30)에 벨트 접합부(20)에 의해 접합시키고, 상면부(15)에 있어서의 연장 형성 귀부(30) 이외의 영역(상면부 중앙 영역)(15a)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실시형태의 포장체(1)에 의하면, 예컨대, 도 5에 나타내는 제품화된 상태로부터, 소비자가 연장 형성 귀부(30)의 가접합을 해제하고, 벨트부(18)에 있어서의 한쌍의 벨트 접합부(20, 20) 사이의 영역을 꼭대기부(17)로부터 박리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부(18) 및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30, 30)에 의해, 큰 환 형상의 파수부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 파수부를 손으로 들거나 팔이나 어깨에 걸거나 하여, 포장체(1)를 안정된 상태로 용이하게 가지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꼭대기부(17)에는, 포장 백(11)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이, 적어도 그 벨트 접합부(20)쪽의 단부를 벨트 접합부(20)의 하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을 절단 기점으로서, 포장 백(11)의 상면부(15)에, 벨트부(18)가 방해가 되지 않는 형상으로 큰 개구부(2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포장 백(11)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포장 백(11)으로부터 모든 수납 물품(10)을 꺼낸 후에 있어서도, 포장 백(11)은, 상면부(15)에 개구부(22)가 형성된 백 형상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후의 포장 백(11)을 예컨대, 쓰레기 봉투로서 유효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의 포장 백(11)을 폐기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백(11) 전체를 평평한 형상으로 하고, 부피가 크지 않은 형태로 폐기할 수 있다.
벨트 접합부(20)는, 겹쳐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꼭대기부(17)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시트 재료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을 절단하여 개구부(22)를 형성하면, 개구부(22)를 벨트 접합부(20)가 존재하는 위치를 포함하여 열 수 있다.
또한,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이 적어도 벨트 접합부(20)쪽의 단부가 벨트 접합부(20)의 상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 백(11)의 겹침으로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이 의도하지 않게 절단되고, 상면부(15)에 의도하지 않게 개구부(22)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전체가 벨트부(18)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을 따라 상면부(15)에 개구부(22)를 형성하면, 벨트부(18)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개구부(22)가 형성되게 되어, 수납 물품(10)의 꺼냄성이 우수하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단부가 꼭대기부(17)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단부를 알아채기 쉽다. 또한, 개봉 후, 포장 백(11)의 내부의 수납 물품(10)의 확인도 용이하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양단부가 꼭대기부(17)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좌우 어느 쪽에서나 개봉 할 수 있다. 또한, 큰 개구부(22)를 형성할 수 있어, 복수장의 수납 물품(10)을 동시에 꺼내는 것도 용이하다.
한편, 2단의 수납 물품(10)중, 상단의 것이 꺼내진 후에 있어서는, 하단의 수납 물품(10)의 상면을 따라 포장 백(11)을 되접을 수 있다. 그러한 형태로 하여도 벨트부(18)는 방해되기 어렵다.
꼭대기부(17)에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면부 평면 영역(15b)을 누르면서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꼭대기부(17)를 상면부(15)의 상면부 평면 영역(15b)측으로 뉘이면, 개구부(22)로부터의 먼지 등의 침입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그 전체를 절단하여 완전 개봉하여도 좋고, 또는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부분 개봉을 하여도 좋다.
또한, 벨트부(18)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당의 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손, 팔, 어깨 등에 면 형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포장체(1)를 매달게 된다. 그 때문에, 큰 접촉면적으로 손, 팔, 어깨 등에 접촉시켜 포장체(1)의 중량을 지지시키면서, 또한 안정된 상태로 포장체(1)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개봉 후의 포장체(1)는, 꼭대기부(17)를 상면부(15)의 상면부 평면 영역(15b)측에 뉘이고, 개구부(22)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벨트부(18)를 들어올리 는 것만으로, 개구부(22)를 용이하게 열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포장 백(11)의 각종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각종 변형예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같은 점은 동일의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설명하지 않은 점은, 제1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꼭대기부(17)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으로 보아 좌우방향 양측부측이 높고, 중앙부측이 오목한 오목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꼭대기부(17)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꼭대기부(17)에 있어서의 집는 영역을 확실히 알아볼 수 있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그것을 절단하여 상면부(15)에 개구부(22)를 형성한 후에 있어서도 꼭대기부(17)가 상면부(15)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한쪽의 단부는, 꼭대기부(17)의 좌우방향 단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다른쪽의 단부는, 꼭대기부(17)의 좌우방향 단부에는 위치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약간 후퇴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양쪽의 단부는, 꼭대기부(17)의 좌우방향 단부에는 위치하지 않으며, 좌우방향으로 약간 후퇴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어도 좋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서는, 그 전체 를 절단하였다 하더라도, 꼭대기부(17)는 상면부(15)로부터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개구부(22)의 위치나 크기가 규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 비하여, 또한 그 중앙위치에 있어서 꼭대기부(17)의 상단까지 형성된 형상(T자를 상하 거꾸로 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 비하여, 그 중앙부에 있어서 연속하지 않으며, 2분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도 11(b)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 비하여, 2분된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 있어서의 중앙부측의 단부가 상하로 향하여 굴곡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1(a)~도 11(c)에 나타내는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 의하면, 상면부(15)의 좌우방향의 폭의 대략 반의 폭을 가지는 개구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그 일부를 벨트부(18)의 상단 또는 벨트 접합부(20)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시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양단부는, 벨트부(18)의 벨트 접합부(20)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중앙부는, 정면으로 보아 벨트부(18)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도 12(a)에 나타내는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 비하여, 그 중앙부가 꼭대기부(17)보다도 더 하방으로 위치하고, 상면부 평면 영역(15b)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은, 도 12(b)에 나타내는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 비하여, 그 중앙부가 상면부 평면 영역(15b)보다도 더 하방으로 위치하고, 정면부(12)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벨트 접합부(20)쪽의 단부는, 벨트 접합부(20)의 하단보다 높으며 또한 벨트 접합부(20)의 하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0)은 미싱선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미싱선 이외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30)으로서는, 예컨대, 꼭대기부(17)를 소위 일축연장 필름을 주체로서 형성하고, 꼭대기부(17)의 좌우방향 단부에 노치(칼집)나 무수의 미공 등의 절단의 기점을 형성한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꼭대기부(17)의 내측에 가는 띠 형상의 테이프를 배치하여 두고, 상기 테이프를 끌어당김에 의해, 꼭대기부(17)가 찢어지도록 함으로써,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꼭대기부(17)에 미리 개구부(22)를 형성하여 두고, 이 개구부(22)를 띠 형상의 점착 테이프로 봉지함으로써,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는, 그것이 의도하지 않게 절단되거나, 쓸데없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안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이 미개봉인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에는, 예컨대, 버진씰(virgin seal)(일단 개봉하면 문자나 모양 등이 나타나는 씰, 예컨대, 세큐리티씰, 개찬방지씰), 봉인씰(단순히 개구부에 걸치도록 잠겨져 있는 씰), 연질씰(개봉시에 씰 기재가 파괴되는 씰), 버진표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미싱선은, 겹쳐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꼭대기부(17)에 있어서의 한쪽의 시트 재료에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싱선을 형성함으로써, 미싱선이 숨겨지도록 꼭대기부(17)를 상면부 평면 영역(15b)측에 뉘이고, 가접합함으로써,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싱선을 손가락으로 찢어서 개구부(22)를 형성하여도, 포장 백(11)로부터 분리하는 재료가 없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반대로, 일단 개봉된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을 재봉하는 수단을 형성하여도 좋다. 재봉하는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택씰, 철사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벨트 접합부(20)의 형상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벨트 접합부(20)의 형상은, 벨트부(18)와 꼭대기부(17)와의 접합 강도나, 볼품에 크게 관계하기 때문에, 고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벨트부(18)의 길이방향 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접촉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상하게 할 우려가 있 으므로, 벨트 접합부(20)는, 벨트부(18)의 길이방향 단부에 자유단이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접합부(20)는, 씰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가동핀 또는 고정핀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시하지 않음).
벨트 접합부(20)의 구체적인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도 14(a)에 나타내는 안이 빈 직각이등변 삼각형 형상(그 직각이 벨트부(18)의 상외우(偶)에 배치하고, 사변이 벨트부(18)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여 경사), 도 14(b)에 나타내는 안이 찬(안이 비어있지 않음)의 원 형상, 도 14(c)에 나타내는 안이 빈 원 형상, 도 14(d)에 나타내는 안이 차있고 벨트부(18)의 길이방향(포장 백(11)의 좌우방향)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타원 형상, 도 14(e)에 나타내는 안이 비어있고 벨트부(18)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타원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4(a)에 나타내는 벨트 접합부(20)의 형상은, 안이 찬 직각 삼각형(경사가 벨트부(18)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여 경사)(도시하지 않음)이라도 좋다.
또한, 벨트 접합부(20)의 형상은,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부(18)의 폭방향(포장 백(11)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형상,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부(18)의 하우부(下隅部)로부터 벨트부(18)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바꾸어 말하면, 하외향(下外向)으로 경사진) 직선 형상을 들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벨트 접합부(20)의 형상은, 적당히 조합시킬 수 있다.
벨트 접합부(20)는, 도 14(a), 도 14(d), 도 14(e),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부(18)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벨트 접합부(20)의 강도업(up)이나, 벨트부(18)의 들기 쉬움, 포장체(1)의 반송성(예컨대, 도 5에 나타내는 상태의 벨트부(18)의 중앙의 파지(把持) 부분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에서부터 반전시키는(되접는)것만으로 포장체(1)의 전후방향의 중앙쪽에 벨트부(18)를 가까워지게 할 수 있어, 포장 백(11)이 기울어지기 어려워 반송하기 쉽다. 또한, 벨트부(18)와 지면이 수평이 되어 반송하기 쉽다)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조합으로서는, 예컨대, 도 15(a)에 나타내는 벨트 접합부(20)의 형상과 도 15(b)에 나타내는 벨트 접합부(20)의 형상의 조합, 도 14(d)에 나타내는 벨트 접합부(20)의 형상과 도 15(a)에 나타내느 벨트 접합부(20)의 형상과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벨트 접합부(20)의 형상과 관련시켜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단부의 형상을 고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외우(上外隅)가 결여된 형상의 벨트 접합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벨트 접합부(20)의 상외우의 하외향의 경사 형상을 따르게 하여,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양단부를 하외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내는 하외향으로 경사진 직선 형상의 벨트 접합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벨트 접합부(20)보다도 좌우방향 외방의 벨트부(18)를 없앰과 아울러, 벨트 접합부(20)의 하외향의 경사 형상을 따르게 하여,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양단부를 하외향으로 경사시켜 형성할 수 있다.
벨트 접합부(20)는, 연장 형성 귀부(30)에 있어서의 좌우방향 꼭대기점에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좌우방향 꼭대기점을 피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벨트 접합부(20)는, 도 4에 나타내는 제조방법과 같이, 소위 횡류(橫流)하여 제조할 경우에는, 포장 백(11)의 측면부(14)의 씰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간편하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로서의 미싱선은, 그것 보다도 하방의 시트 재료에 전후방향으로 떨어뜨리는 방향의 힘이 더해짐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절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형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면부(15)에 있어서의 미싱선(31)보다도 하방의 위치에 보강용의 씰부(21)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 비하여,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30)에 있어서의 꼭대기부(17)와 상면부 평면 영역(15b)의 경계근방에, 각각 연속 직선 형상의 보강용의 씰부(21, 21)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 비하여, 상면부(15)에 있어서의 꼭대기부(17)과 상면부 평면 영역(15b)과의 경계근방에, 점씰이 비연속 직선 형상으로 배열한 보강용의 씰부(21)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점씰이 배열한 보강용의 씰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면, 볼품도 향상한다.
벨트 접합부(20)는, 꼭대기부(17)에 있어서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에 가로지르도록 형성함으로써, 포장체(1)를 운반하는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경우,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부(18)의 소재를 꼭대기부(17)의 좌우방향 양단부보다도 연출시킨 길이로 하고,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부(18)에 있어서의 꼭대기부(17)를 좌우방향 양단부보다도 연출한 영역을 배면측으로 되접고, 벨트 접합부(20)를 정면측의 벨트부(18)로부터 배면측의 벨트부(18)를 가로지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트 접합부(20)를 형성함으로써, 벨트부(18)와 꼭대기부(17)의 접합 강도가 한층 향상한다.
게다가, 벨트 접합부(20) 근방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미싱선)의 절단 개시 위치에 있어서, 미싱선의 절단 용이성, 절단 방향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벨트 접합부(20) 근방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미싱선)의 절단 종료 위치에 있어서, 절단 방향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미싱선을 절단하여 개봉했을 때에 있어서의 벨트 접합부(20)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9(a),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꼭대기부(17)의 벨트부(18)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있어서의 벨트 접합부(20)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배접 시트(23)를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접 시트(23)를 형성함으로써, 벨트 접합부(20)에 의한 벨트부(18)의 접합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벨트 접합부(20) 근방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미싱선)의 절단 개시 위치에 있어서, 미싱선의 절단 용이성, 절단 방향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벨트 접합부(20)의 근방의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미싱선)의 절단 종료 위치에 있어서, 절단 방향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미싱선을 절단하여 개봉했을 때에 있어서의 벨트 접합부(20)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벨트부(18) 또는 꼭대기부(17) 및 상면부 평면 영역(15b)에 각각 한쌍의 기계식 파스너(fastener)(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한쌍의 기계식 파스터를 고정 장착함으로써, 꼭대기부(17)를 뉘인 상태를 간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벨트부(18)의 유효길이(한쌍의 벨트 접합부(20, 20)간의 길이)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벨트 접합부(20, 20)간의 꼭대기부(17)의 표면을 따르는 길이 보다도 대폭으로 길게 할 수 있다. 그 경우, 곤포시 등 벨트부(18)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벨트부(18)는 그 길이가 남게 되지만, 벨트부(18)를 예컨대, Z자로 접은 상태에서 가접합함으로써, 취급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벨트부(18)는, 운반의 안정성이나 수납 물품의 꺼냄 용이성의 관점에서, 꼭대기부(17)에 있어서의 정면측 및 배면측의 양측에 각각(계 2개) 형성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벨트부(18)는, 길이방향의 중앙 부분만 폭을 작게함으로써, 벨트 접합부(20)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또한, 집기 쉽게할 수 있다. 벨트부(18)는,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벨트부(18)의 측단 부분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시인성(視認性)을 강조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부(18)의 디자인으로서, 기저귀 사이즈를 표시하거나, 캠페인 표시시키는 것만으로도, 포장체(1)의 연출을 변경할 수 있다.
벨트부(18)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포장 백(11)에 그려진 디자인(문자, 그림)이 벨트(18)로 씌워졌다고 하더라도 디자인의 볼품을 손실하는 일이 없다.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의 단부에는, 그 절단을 한층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노치를 형성하여도 좋다. 노치는, V자형이라도 좋고, 선 형상(실질적으로는 면적 없음)이라도 좋다.
꼭대기부 씰부(19)는, 꼭대기부(17)의 상부 가장자리가 둘로 접힌 시트 재료, 예컨대, 적은 힘으로 개봉할 수 있는 극히 얇은 필름, 방향성 필름이나 종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포장 백(11)에 수납되는 수납 물품(10)은, 일회용 기저귀에 제한되지 않으며, 생리용 냅킨 등의 각종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고, 롤 형상의 토일렛 페이퍼라도 좋다.
수납 물품(10)은, 반드시 압축된 상태로 집적되어 포장 백(11)에 수납될 필요는 없으며,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집적되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또한, 수납 물품(10)은, 압축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집적되어 포장 백(11)에 수납되어도 좋다. 수납 물품(10)이 상하방향으로 압축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서는, 개봉 용이 절단 수단(31)을 절단함으로써, 상면부(15)에 개구부(22)가 형성되고, 수납 물품(10)의 압축 상태를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납 물품(10)을 한 장씩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도 21~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50)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제2실시형태의 포장체(50)는, 수납 물품으로서, 예컨대 편평한 형상으로 접혀진 복수의 일회용 기저귀를, 예컨대 횡방향으로 적층하여 물품군으로 함과 아울러, 이 물품군을 종방향으로 복수단으로 적층하여 전체가 대략 직방체 형 상이 되도록 집적한 상태에서, 합성수지제의 필름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장 백(41)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제2실시형태의 포장체(40)는, 집적한 일회용 기저귀를 바람직하게는 횡방향으로 압축하면서, 대략 직방체 형상의 전체를 덮도록 하여 포장 백(41)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제품화되는 것이며, 예컨대 500g~5kg정도 상당의 중량을 가지고 있다. 본 제2실시형태의 포장체(40)는, 이와 같이 효율 좋게 집적된 다수의 일회용 기저귀가 상당한 중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도, 이들을 일체로서 용이하며 또한 안정된 상태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채용된 것이다.
그리고, 본 제2실시형태의 포장체(40)는, 필름 재료에 의한 포장 백(41)에 바람직하게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집적한 복수의 일회용 기저귀를 수납 물품으로서 싸서 형성되는 포장체로서, 포장 백(41)은, 집적한 복수의 일회용 기저귀의 주위를 덮는 정면부(42)와, 배면부(43)와, 한쌍의 측면부(44)와, 상면부(45)와, 저면부(46)를 포함한다. 포장 백(41)은, 1장의 필름 재료 또는 복수장의 필름 재료의 접합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된 필름 재료로 형성되고, 통 형상의 시트 재료의 상단부를 접합함으로써, 꼭대기부(47)를 형성한다. 통 형상의 시트 재료의 상단부를 접합한 전면 부분의 중앙 영역이 포장 백(41)의 정면부(42)가 되며, 후면 부분의 중앙 영역이 포장 백(41)의 배면부(43)가 된다. 꼭대기부(47)는 포장 백(41)의 상면부(45)의 중앙 부분을 횡단하여 배치된다. 꼭대기부(47)가 형성된 평탄한 포장 백에서, 정면부(42)와 배면부(43)와, 양측의 측면부(44)와 상면부(45)를 구비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포장 백(41)을 형성한다. 꼭대기부(47)의 양단 부분의 영역에 상당하는 한쌍의 단부 꼭대기부(47a)가 한쌍의 측면부(44)의 상방에 연재하는 각 상부 연장 형성 부분(44a)과 상면부(45)의 양단에 연재하는 단부 연장 형성 부분(45a)이 겹치는 삼각형 형상의 연장 형성 귀부(60)에 있어서, 상면부(45)로부터 입설하여 형성된다. 또한, 꼭대기부(47)를 따라, 꼭대기부(47)의 단부에 상당하는 단부 꼭대기부(47a)간을 연결하는 벨트부(4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제2실시형태의 포장체(40)에서는, 하면부(46)는, 종래의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정면부(42), 배면부(43), 및 한쌍의 측면부(44)로부터의 하부 연장 형성 부분을 하면측으로 구부려 접어 형성된다. 이 하면부(46)에는, 중앙 부분을 횡단하여, 정면부(42)의 하부 연장 형성 부분의 하단부와, 배면부(43)의 하부 연장 형성 부분의 하단부를 마주하게 접합한 하면 꼭대기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44)의 하부 연장 형성 부분은, 이것의 하단부를 내향으로 접어, 하면 꼭대기부의 내측에 끼운 상태에서 접합됨과 아울러, 접합된 하단부보다도 상방의 부분은 대기부로서 정면부(42) 및 배면부(43)의 하부 연장 형성 부분의 상측으로 접혀져 있다.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포장 백(41)을 구성하는 필름 재료는, 예컨대 합성수지제의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연질의 폴리에틸렌필름이 이용된다. 필름 재료는, 소정의 부분을 씰 접합함으로써, 예컨대, 정면의 폭이 20~50cm, 측면의 폭이 10~20cm, 높이가 10~50cm 정도 크기의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집적된, 복수의 일회용 기저귀의 주위를 일체로서 싸도록 덮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포장체(40)는, 당해 대략 직방체 형상의 각 면을 따라 정면부(42)와, 배면부(43)와, 한쌍의 측면 부(44)와, 상면부(45)와, 저면부(46)를 형성한다.
또한,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1장의 합성수지제 필름의 단부를 접합하거나, 2장의 합성수지제 필름의 양단부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통 형상 필름을 형성한다. 통 형상 필름의 상단부를 접합할 경우에, 예컨대 10~100mm 정도의 폭으로 접합함으로써, 띠 형상의 꼭대기부(47)가 형성된다. 그리고, 꼭대기부(47)는, 정면부(42)와 연속하는 정면부측 상면부(42a)보다 더 중앙으로 연장한 상단 가장자리부(42b)와, 배면부(43)와 연속하는 배면부측 상면부(43a)보다 더 중앙으로 연장한 상단 가장자리부(43b)를, 상면부(45)보다도 상방으로 대략 수직으로 구부려 접어서, 겹치게 한 상태에서 서로 접합한 부분을 포함한다. 그리고, 꼭대기부(47)는, 상면부(45)의 중앙 부분을 횡단함과 아울러, 상면부(45)의 단부에 연장하여 연장 형성 귀부(60)를 형성하는 단부 연장 형성 부분(45a)의 단부 꼭대기부(47a)까지 연속하여, 입설한 상태에서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집적된 일회용 기저귀 등을 싸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포장 백(41)을 형성하기 위해, 정면부(42)와 배면부(43)와, 양측면부(44)와 상면부(4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한쌍의 측면부(44)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 각 상부 연장 형성 부분(44a)과, 상면부(45)의 양단에서 연장하는 단부 연장 형성 부분(45a)이 겹치는 부분을, 포장 백(41)의 내측, 즉, 상면부(45)의 하측에 대기부로서 접는 일 없이, 상면부(45)와 측면부(44)의 능선 부분(49)으로부터 외측으로 귀 형상으로 장출(張出)시킴으로써,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하는 연장 형성 귀부(60)를 형성한다. 그리고, 연장 형성 귀부(60)에 있어서의 상면부(45)로부터 연재하는 단 부 연장 형성 부분(45a)의 중앙 부분에는, 꼭대기부(47)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단부 꼭대기부(47a)가 배치된다. 한편, 한쌍의 측면부(44)의 각 상부 연장 형성 부분(44a)와 상면부(45)의 양단의 단부 연장 형성 부분(45a)은, 연장 형성 귀부(60)의 삼각형 형상의 2변을 통하여 연속하고 있다.
또한, 꼭대기부(47)에는, 단부 꼭대기부(47a)에 있어서 연속하는 벨트부(48)가, 꼭대기부(47)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벨트부(48)는, 꼭대기부(47)의 정면부(442)측의 면, 또는 배면부(43)측의 면을 따라 배치됨과 아울러, 단부 꼭대기부(47a)에 있어서 꼭대기부(47)에 접합되어 있다. 벨트부(48)는, 바람직하게는 포장 백(41)과 같은 연질의 폴리에틸렌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필름 부재로서, 예컨대, 10~100mm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양측의 단부 꼭대기부(47a)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략 걸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부(48)는, 그 양단이 대략 삼각형 형상의 벨트 씰부(50)를 개재하여 단부 꼭대기부(47a)의 각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접합됨으로써, 양측의 단부 꼭대기부(47a)의 사이에 연속 걸쳐진다. 또한, 벨트부(48)의 벨트 씰부(50)에 의해 좁혀지는 부분은, 꼭대기부(47) 및 단부 꼭대기부(47a)에 접합되는 일 없이,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벨트 씰부(50)는, 벨트부(48)의 단부에 있어서, 대략 삼각형 형상의 저변 부분(50a)을 내측 경사 방향을 향한 경사씰로서 형성되어 있다. 벨트 씰부(50)가 경사씰로서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응력의 집중을 회피할 수 있어, 안정된 벨트 강도가 얻어진다.
또한,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꼭대기부(47)의 정면측의 상단부, 또는 배면측의 상단부, 또는 양방의 상단부로부터 당해 꼭대기부(47)를 경사로 횡단하는, 양측의 한쌍의 미싱선 등에 의한 개봉 제1용이 절단선(61a)과, 상면부(45)에 있어서 양측의 개봉 제1용이 절단선(61a)을 연결하는 개봉 제2용이 절단선(61b)으로 이루어지는 포장 백(41)을 개봉하여, 꺼냄용의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개봉 용이 절단선(61)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제2실시형태의 포장체(40)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띠 형상의 꼭대기부(47)를, 집적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한 대략 직방체 형상의 상면을 따라 상면부(45)에 접어 겹침과 아울러, 상면부(45)보다도 외측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하는 연장 형성 귀부(60)를, 단부 꼭대기부(47a)와 함께 측면부(44)의 상부 외주면에 접어 겹친다. 이 상테에서, 예컨대, 접착제나 간이한 씰 접합을 통해 가접합함으로써,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곤포나 운반, 진열 등에 적합한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정리한 상태에서 제품화된다. 한편, 도 22에서는, 벨트부(48)가 접합된 측의 면을 외측으로 하여, 꼭대기부(47) 및 단부 꼭대기부(47a)가 상면부(45) 및 측면부(44)에 접어 겹쳐져 있다. 곤포나 운반, 진열 등에의 적정을 고려하면, 벨트부(48)가 접합된 측을 내측으로 하여, 꼭대기부(47) 및 단부 꼭대기부(47a)를 상면부(45) 및 측면부(44)에 접어 겹쳐 가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봉 용이 절단선(61)의 개봉 개시 위치가 되는 개봉 제1용이 절단선(61a)에, 미싱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벨트부(48)가 겹쳐진 상태에서 포장체(40)가 제품화되기 때문에, 곤포, 운반, 진열시에, 개봉 용이 절단선(61)이 부주 의하게 잘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제2실시형태의 곤포체(40)를 구입한 소비자는, 곤포, 운반, 진열시에 방해가 되는 파수부(벨트부(48))가 돌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성된 곤포체(40)를, 예컨대 자택에 돌아갈 때까지 가지고 다니게 된다. 본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포장 백(41)에 의해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집적한 상태에서 싸이는 복수의 수납 물품이 싸인 포장체(40)를, 손으로 들거나 팔이나 어깨에 걸거나 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용이하게 가지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제2실시형태의 포장체(40)에서는, 상면부(45)의 중앙 부분을 횡단하여 꼭대기부(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꼭대기부(47)의 양단 부분인 단부 꼭대기부(47a)는, 상면부(45)의 양측에 연재하는 단부 연장 형성 부분(45a)과, 측면부(44)의 상방의 상부 연장 형성 부분(44a)의 겹침에 의해 형성된 연장 형성 귀부(60)에 위치하며 또한, 꼭대기부(47)를 따라 단부 꼭대기부(47a) 사이에 연속 걸쳐진 벨트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도 22에 나타내는 제품화된 상태에서, 구입한 소비자 등이 연장 형성 귀부(60)의 가접합을 해제하고, 벨트부(48)에 있어서의 벨트 씰부(50)의 사이의 영역을, 꼭대기부(47)로부터 박리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부(48)와 양측의 연장 형성 귀부(60)에 의해, 큰 환 형상의 파수부(51)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이 파수부(51)를 손으로 들거나 팔이나 어깨에 걸거나 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포장체(40)를 용이하게 가지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벨트부(48)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당한 폭 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벨트부(48)에 의한 파수부(51)는, 손이나 팔이나 어깨에 면 형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포장체(40)를 매달게 되기 때문에, 큰 접촉면적으로 손이나 팔이나 어깨에 접촉시켜 포장체(40)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또한 안정된 상태로 포장체(40)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70)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제3실시형태의 포장체(70)에서는, 꼭대기부(47)의 폭방향 중앙부에, 양단 부분을 빼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예컨대, 미싱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용이 절단선(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꼭대기부(47)에 있어서의 용이 절단선(71)의 상방 부분이, 용이 절단선(71)을 따라 절단되었을 때에, 단부 꼭대기부(47a)의 사이에 연속 걸쳐지는 벨트부(72)를 구성하게 된다. 용이 절단선(71)은, 도 24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용이 절단선(71)의 단부에 환공(丸孔)을 형성하거나, 용이 절단선(71)의 단부를 둥글게 형성함으로써, 벨트부(72)를 형성한 후에, 용이 절단선(71)의 단부가 찢어져서 벨트부(72)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꼭대기부(47)의 양단 부분에 있어서 용이 절단선(71)보다 하방 부분의 상단부에서 당해 하방 부분을 경사로 횡단하는, 한쌍의 미싱선 등에 의한 개봉 제1용이 절단선(62a)과, 상면부(45)에 있어서 양측의 개봉 제1용이 절단선(62a)을 연결하는 개봉 제2용이 절단선(62b)으로 이루어지는 포장 백(41)을 개봉하여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개봉 용이 절단선(6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제3실시형태의 포장체(70)에 의해서도, 포장체(70)를 가지고 다닐 때에, 용이 절단선(71)을 따라 꼭대기 부분(47) 및 단부 꼭대기부(47a)를 상하로 잘라 떨 어뜨리고, 상방 부분의 벨트부(72)를 들어올림으로써, 큰 환 형상의 파수부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곤포, 운반, 진열시에는 파수부가 걸리는 등의 일이 없고, 대략 직방체 형상의 포장체로서 취급을 용이하게 하면서, 소비자 등의 용이하게 가지고 다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제2실시형태의 포장체(40)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용이 절단선(71)보다 상방 부분의 벨트부(72)에 의한 파수부를 유지하면서, 개봉 용이 절단선(62)을 절단하여 꺼냄용의 큰 개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미싱선 등에 의해 용이하게 자를 수 있도록 형성한 개봉 용이 절단선(62)의 개봉 제1용이 절단선(62a)은, 용이 절단선(71)을 잘라 떨어뜨려 벨트부(72)에 의한 파수부를 형성하여 처음으로 그 가장자리부의 절단 개시부가 노출하기 때문에, 곤포, 운반, 진열시에, 개봉 용이 절단선(62)이 부주의하게 잘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80)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제4실시형태의 포장체(80)에서는, 꼭대기부(47)는, 상면부(45) 및 상면부(45)의 양측에 연재하는 단부 연장 형성 부분(45a)과 근접하는, 기단(基端)부(81)만이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꼭대기부(47)의 기단부(81)보다도 상방 부분은 접합되어 있지 않으며, 한쌍의 끼움 띠 형상편(片)(8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접합되어 있지 않은 한쌍의 끼움 띠 형상편(82)의 사이에, 예컨대, 폭방향에 V자 단면 형상으로 둘로 접은 벨트부(83)를 끼우도록 삽입하고, 한쌍의 끼움 띠 형상편(82)의 양단부이며, 연장 형성 귀부(80)의 영역(끼움 띠 형상편(82)이 단부 연장 형성 부분(45a)과 연속하는 영역)에 있어서, 벨트부(83)의 양단부와 꼭대기부(47)를 각각 접합함으로써, 포장체(8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제4실시형태의 포장체(80)에 의해서도, 포장체(80)를 가지고 다닐 때에, 한쌍의 끼움 띠 형상편(82)의 사이에서, 벨트부(83)를 들어올림으로써, 큰 환 형상의 파수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곤포, 운반, 진열시에는 파수부가 걸리는 등 하는 일 없이, 대략 직방체 형상의 포장체로서 취급을 용이하게 하면서, 소비자 등의 용이하게 가지고 다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제2실시형태의 포장체(40)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벨트부(83)는 폭방향으로 둘로 접어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중량이라도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형성된 개봉 용이 절단선(61)은, 벨트부(83)와 겹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곤포, 운반, 진열시에 개봉 용이 절단선(61)이 부주의하게 잘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90)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제5실시형태의 포장체(90)에서는, 꼭대기부(47)는, 상면부(45) 및 상면부(45)의 양측에 연재하는 단부 연장 형성 부분(45a)과 근접하는, 기단부(91)만이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꼭대기부(47)의 기단부(91)보다도 상방 부분은 접합되어 있지 않으며, 한쌍의 끼움 띠 형상편(9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접합되어 있지 않은 한쌍의 끼움 띠 형상편(92)의 사이에는 끼우도록 하여, 예컨대 길이방향으로 Z형상으로 셋으로 접은 벨트부(93)를 삽입하고, 한쌍의 끼움 띠 형상편(92)의 양단부이며, 연장 형성 귀부(60)의 영역(끼움 띠 형상편(92)이 단부 연장 형성 부분(45a)과 연속하는 영역)에 있어서, 벨트부(93)의 양단부와 꼭대기부(47)를 각각 접합함으로 써, 포장체(9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제5실시형태의 포장체(90)에 의해서도, 포장체(90)를 가지고 다닐 때에, 한쌍의 끼움 띠 형상편(92)의 사이에서 벨트부(93)를 들어올림으로써, 큰 환 형상의 파수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제2실시형태의 포장체(4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벨트부(93)는 길이방향으로 Z형상으로 셋으로 접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큰 환 형상의 파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어깨에서 기울어져 매달리게 하여, 포장체(90)를 더 용이하게 가지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포장체에 수납되는 수납 물품은, 반드시 일회용 기저귀일 필요는 없으며, 그 외의 흡수성 물품이나, 롤 형상의 토일렛 페이퍼 등이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등의 쿠션성이 있는 수납 물품에서는, 연질 필름으로 곤포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 물품은, 반드시 압축된 상태로 집적되어 수납될 필요는 없으며,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집적될 필요도 없다. 또한, 꼭대기부를 따라 형성되는 벨트부는, 반드시 띠 형상의 필름 재료에 의한 것일 필요가 없으며, 띠 형상의 벨트부 등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포장체에 의하면,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을 가지고 있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으며 또한, 꺼냄성이 우수하고, 벨트부 및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에 의해 형성되는 큰 환 형상의 파수부를 손으로 들거나 팔이나 어깨에 걸거나 하여, 포장체(1)를 안정된 상태로 용이하게 가지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1. 시트 재료를 주체로 하는 포장 백에 복수의 수납 물품을 싸서 형성되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 백은, 상기 복수의 수납 물품의 주위를 덮는 정면부, 배면부, 한쌍의 측면부, 상면부 및 저면부를 가지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한쌍의 측면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한 한쌍의 연장 형성 귀부, 및 한쪽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로부터 다른쪽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에 걸쳐 상기 상면부의 전후방향 중앙 부분을 좌우방향으로 횡단하는 꼭대기부를 가지고,
    상기 꼭대기부에는, 벨트부가 그 양단부를 한쌍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에 벨트 접합부에 의해 접합시켜, 상기 상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 이외의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꼭대기부에는, 상기 포장 백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이, 적어도 그 상기 벨트 접합부쪽의 단부를 상기 벨트 접합부의 하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꼭대기부를 수직으로 기립시킨 상태에 있어서, 평면으로 보아 상기 개봉 용이 절단 수단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은, 적어도 상기 벨트 접합부쪽의 단부가 상기 벨트 접합부의 상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는, 겹쳐진 상기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 접합부는, 한쪽의 상기 시트 재료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에는, 그것을 보강하는 보강 수단이, 상기 꼭대기부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개봉 용이 절단 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는, 겹쳐진 상기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봉 용이 절단 수단은, 한쪽의 상기 시트 재료만을 절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는, 상기 상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꼭대기부 이외의 영역에 접촉시키도록 뉘어진 상태에서 상기 영역에 가접합되어 있으며, 뉘어진 상기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형성 귀부는, 상기 측면부에 접촉시키도 록 뉘어진 상태에서 상기 측면부에 가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를 상기 포장 백의 상면부를 따라 접어 겹치고, 상기 연장 형성 귀부를 상기 측면부의 상부를 따라 접어 겹친 상태에서 가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에 벨트부를 끼워 넣도록 삽입하고, 연장 형성 귀부의 영역에 있어서 벨트부의 양단부를 상기 꼭대기부에 각각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에 길이방향으로 Z형상으로 셋으로 접은 벨트부를 삽입하고, 연장 형성 귀부의 영역에 있어서 벨트부의 양단부를 상기 꼭대기부에 각각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070016852A 2006-02-17 2007-02-16 포장체 KR200700829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0196 2006-02-17
JP2006040196A JP4859476B2 (ja) 2006-02-17 2006-02-17 包装体
JP2006082449A JP4738221B2 (ja) 2006-03-24 2006-03-24 包装体
JPJP-P-2006-00082449 2006-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903A true KR20070082903A (ko) 2007-08-22

Family

ID=3861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852A KR20070082903A (ko) 2006-02-17 2007-02-16 포장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82903A (ko)
TW (1) TWI3714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3601B (zh) * 2015-06-01 2017-05-21 yi-qi Weng Packaging bags and packaging bags manufacturing methods
WO2021205260A1 (en) * 2020-04-06 2021-10-14 Lohia Corp Limited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aling open ends of bags with easily openable seam and a bag with easily openable s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71400B (en) 2012-09-01
TW200744900A (en) 200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8221B2 (ja) 包装体
US20020112982A1 (en) Flexible package and handle and method of using same
US5379703A (en) Mayo stand cover facilitating sterile draping
US5427245A (en) Opening device for a bag made from flexible material and packaging compressible products
JP5709428B2 (ja) 複数の物品包装体の結束システム
US6880704B2 (en) Packaging wrapper for paper tissues
CN101024431B (zh) 包装体
JP6040798B2 (ja) 使い捨ておむつ等の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82903A (ko) 포장체
JP2016141405A (ja) 包装袋及びロール製品パッケージ
WO2020262379A1 (ja) 体液吸収性着用物品を収納する袋
JP4237035B2 (ja) 衛生薄葉紙の包装袋
JP2008155935A (ja) 包装袋
JP2004269010A (ja) ロール製品収納用包装袋
JP2013151315A (ja) 段ボール箱
JP2004269009A (ja) 包装袋
JP2019206365A (ja) 包装袋
TWI247602B (en) Package for disposable diaper
JPH0572764U (ja) おにぎり用包装体
JP2003095249A (ja) 梱包用段ボール箱
JP7412825B1 (ja) ラベル付き包装シート及びラベル付き包装シートセット
JPH10127684A (ja) 個袋入り生理用ナプキン
JPH0661779U (ja) サンドイッチ用包装体
JP5727254B2 (ja) 紙袋
JP4426055B2 (ja) サンドイッチ用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