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995A - Qos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 송수신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Qos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 송수신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995A
KR20070081995A KR1020060028422A KR20060028422A KR20070081995A KR 20070081995 A KR20070081995 A KR 20070081995A KR 1020060028422 A KR1020060028422 A KR 1020060028422A KR 20060028422 A KR20060028422 A KR 20060028422A KR 20070081995 A KR20070081995 A KR 20070081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node
link
information
layer
data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688B1 (ko
Inventor
박수홍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702,525 priority Critical patent/US8630266B2/en
Priority to CN2007800055318A priority patent/CN101385311B/zh
Priority to JP2008554128A priority patent/JP2009527142A/ja
Priority to RU2008132880/09A priority patent/RU2008132880A/ru
Priority to AU2007215706A priority patent/AU2007215706A1/en
Priority to EP07708797.1A priority patent/EP1985090B1/en
Priority to CA002641477A priority patent/CA2641477A1/en
Priority to PCT/KR2007/000647 priority patent/WO2007094580A1/en
Priority to TW096105255A priority patent/TW200735607A/zh
Publication of KR2007008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은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함으로서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데이터 스트림의 QOS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QOS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 송수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tream for guaranteeing QO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요소 테이블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응 노드 및 이동 노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IH 정보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IH 정보 응답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응 노드 및 이동 노드의 다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 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21에 따른 무선 통신 환경에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통신망의 종류도 다양화되었다. 대표적으로 IEEE 802.11, IEEE 802.15, IEEE 802.16 기반의 WLAN 링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 기반의 셀룰러 링크 등의 다양한 링크들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링크들에 접속하기 위한 이종의 링크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노드가 등장하였고, 다양한 링크들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IEEE 802.21이 설립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IEEE 802.21에서는 이동 노드가 어떤 링크로부터 이종의 다른 링크에 옮겨가는 경우, 갑작스런 통신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이동 노드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QOS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 이동 노드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비트 오류율(BER, Bit Error Rate),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 등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노드가 어떤 링크로부터 이종의 다른 링크에 옮겨가는 경우에도 이동 노드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QOS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들 및 장치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된 방법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은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 전송 장치는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핸드오버 기능 계층; 및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상위 계층을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 수신 방법은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 수신 장치는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핸드오버 기능 계층; 및 상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상위 계층을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데이터 스트림 수신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환경은 이동 노드(1), WLAN 접속 포인트(Point Of Attachment, POA)(2),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 접속 포인트(3), 대응 노드(4), 정보 서버 1(5) 및 정보 서버 2(6)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는 이와 다르게 다양한 토폴로지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이동 노드(1)에 의해 접속되는 링크의 예로 IEEE 802.11 기반의 WLAN 링크, GPRS 링크만을 도시하였으나, IEEE 802.15 또는 IEEE 802.16 기반의 WLAN 링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 기반의 셀룰러 링크 등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동 노드(1)가 가용 대역폭이 10 Mbps(bit per second)인 WLAN 링크로부터 100 Kbps인 GPRS 링크로 이동하였다고 하더라도, 대응 노드(1)는 이와 같은 사실을 알 수 없기 때문에 WLAN 링크의 대역폭으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게 된다. 그 결과, 이동 노드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비트 오류율(BER, Bit Error Rate),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 등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응 노드(4)가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IEEE 802.21에서 정의된 정보 요소들에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 요소를 추가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요소 테이블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요소 테이블은 정보 요소 이름 필드(201), 설명 필드(202), 매체 타입 필드(203), 및 코멘트 필드(204)로 구성되며, 이들의 조합의 하나의 엔트리가 된다. 정보 요소 이름 필드(201)에는 정보 요소의 이름이 기록되고, 설명 필드(202)에는 정보 요소의 설명이 기록되고, 매체 타입 필드(203)에는 정보 요소의 대상이 매체의 타입이 기록되고, 코멘트 필드(204)에는 정보 요소에 대한 코멘트가 기록된다. 특히, 정보 요소 이름 필드(201)에 QOS 정보가 기록되면, 이것과 동일한 엔트리에 위치한 설명 필드(202), 매체 타입 필드(203), 및 코멘트 필드(204)에는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 요소에 과한 값이 기록된다.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의 예로는 이동 노드(1)의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율(data transfer rate 또는 data rate)의 변화, 데이터의 비트 오류율(BER, Bit Error Rate)의 변화, 데이터의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의 변화, 데이터 전송 지연(latency)의 변화, 데이터 지터 량(jitter quantity)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응 노드 및 이동 노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대응 노드(4)는 하위 계층(41), MIH 기능(MIH function) 계층(42), 및 상위 계층(43)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대응 노드(4)는 이동 노드(1)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하는 일종의 서버이다. 대응 노드(4)로부터 이동 노드(1)에게 제공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예로는 AV(Audio Visual) 데이터 스트림을 들 수 있다. 대응 노드(4)가 이동 노드(1)로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스트림이 대응 노드(4)의 상위 계층(43), MIH 기능 계층(42), 하위 계층(41)의 순서로 대응 노드(4)의 스택을 통과한다. 이어서, 데이 터 스트림은 도 1에 도시된 접근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인터넷 등을 경유하여 이동 노드(1)에 도착한다. 이어서, 데이터 스트림은 이동 노드(1)의 하위 계층(11), MIH 기능 계층(12), 상위 계층(13)의 순서로 이동 노드(1)의 스택을 통과한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상기된 설명을 간단히 표현하기 위해서 대응 노드(4)의 상위 계층(43)이 이동 노드의 상위 계층(13)으로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한다는 것으로 기재할 수도 있으며, 다른 데이터의 송수신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표현될 수도 있다.
하위 계층(41)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에 의해 정의된 7 계층들 중 제 2 계층 및 그 이하의 계층, 즉 링크(link) 계층, 물리(physical) 계층 등을 의미한다. 상위 계층(43)은 OSI 참조 모델에 의해 정의된 7 계층들 중 제 3 계층 및 그 이상의 계층, 즉 IP(Internet Protocol) 계층, 모바일(Mobile) IP 계층, 전송(transport) 계층,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계층 등을 의미한다. MIH 기능 계층(42)은 OSI 참조 모델에는 정의되어 있지 않은 계층으로서, IEEE 802.21 규격에 의해 정의된 계층이다. 즉, MIH 기능 계층(42)은 하위 계층(41)과 상위 계층(43)의 사이의 제 2.5 계층으로서, 하위 계층(41) 및 상위 계층(43)에서의 핸드오버를 지원한다.
IEEE 802.21에 따르면, MIH 기능 계층(42)은 이동 노드(1)에 의해 접속되는 링크의 매체(media) 타입에 독립적으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한다. 즉, MIH 기능 계층(42)은 하위 계층(41)에 해당하는 링크 인터페이스의 타입에 독립적으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MIH 기능 계층(42) 은 MIES(Media Independent Event Service) 모듈(421), MIIS(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Service) 모듈(422), 및 MICS(Media Independent Command Service) 모듈(423)로 구성된다.
MIES 모듈(421)은 이동 노드(1)로부터 다양한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상위 계층(43)으로 이 이벤트의 발생을 보고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MIES 모듈(421)은 이동 노드(1)로부터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상위 계층(43)으로 이 이벤트의 발생을 보고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MIES 모듈(421)은 이 이벤트의 발생의 보고를 수신하기 위하여 이동 노드(1)에 대응 노드(4)의 등록을 요청하고, 이후 대응 노드(4)가 등록된 이동 노드(1)로부터 이 이벤트의 발생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서 이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이벤트를 정의함으로서, MIES 모듈(421)은 상위 계층(43)으로 상기된 이벤트의 발생을 보고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는 이벤트 식별자 필드(401), 이벤트 타입 필드(402), 이벤트 이름 필드(403), 및 설명 필드(404)로 구성되며, 이들의 조합은 하나의 엔트리가 된다. 이벤트 식별자 필드(401)에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기록된다. 또한, 이벤트 타입 필드(402)에는 이벤트의 타입이 기록된 다. 또한, 이벤트 이름 필드(403)에는 이벤트의 이름이 기록된다. 또한, 이벤트 설명 필드(404)에는 이벤트의 설명이 기록된다. 특히, 이름 필드(401)에 LCI라는 식별자가 기록되면, 이것과 동일한 엔트리에 위치한 이벤트 타입 필드(402), 이벤트 이름 필드(403), 및 설명 필드(404)에는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를 나타내는 이벤트에 관한 값이 기록된다.
MIIS 모듈(422)은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서버 1(5) 또는 정보 서버(6)로부터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하에서는 정보 서버 1(5) 또는 정보 서버(6)를 간단히 정보 서버(5, 6)로 표현하기로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MIIS 모듈(422)은 정보 서버(5, 6)로부터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이동 노드(1)가 가용 대역폭이 10 Mbps(bit per second)인 WLAN 링크로부터 100 Kbps인 GPRS 링크로 이동하였다면, MIIS 모듈(422)은 이동 노드(1)에 의한 WLAN 링크로부터 GPRS 링크로의 핸드오버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의 감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MIIS 모듈(422)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으로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첫 번째 방식에 따르면, MIIS 모듈(422)은 정보 서버(5, 6)로부터 이동 노드(1)가 접속 중인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이동 노드(1)에 의한 핸드오버 이후에 획득한다. 이 방식의 경우, MIIS 모듈(422)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는 이동 노드(1)에 의해 실제로 측정된 정보이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대응 노드(4)가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 이후에 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 이후에도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은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에 대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첫 번째 방식의 경우, MIIS 모듈(422)은 MIES 모듈(421)에 의해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면, 정보 서버(5, 6)로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상기된 정보를 획득한다. 즉, MIIS 모듈(422)은 정보 서버(5, 6) 또는 이동 노드(1)로 도 5에 도시된 MIH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서 정보 서버(5, 6) 또는 이동 노드(1)로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MIIS 모듈(422)은 정보 서버(5, 6)로부터 도 6에 도시된 MIH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서 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두 번째 방식에 따르면, MIIS 모듈(422)은 정보 서버(5, 6)로부터 이동 노드(1)가 접속할 것으로 예측되는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 이전에 획득한다. 이 방식의 경우, 대응 노드(4)가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 이전에 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MIIS 모듈(422)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는 이동 노드(1)에 의해 실제로 측정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신뢰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동 노드(1)가 다음에 접속할 링크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을 따르는 것으로 하며,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두 번째 방식의 경우, MIIS 모듈(422)은 이동 노드(1)의 요청과는 상관없이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 이전에, 즉 상기된 이벤트의 발생 검출 이전에 정보 서버(5, 6)로부터 이동 노드(1)가 접속할 것으로 예측되는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IH 정보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MIH 정보 요청 메시지는 이름 필드(501), 타입 필드(502), 길이 필드(503), 및 값 필드(504)로 구성되며, 이들의 조합은 하나의 엔트리가 된다. 이름 필드(501)에는 MIH 정보의 이름이 기록된다. 또한, 타입 필드(502)에는 MIH 정보의 타입이 기록된다. 또한, 길이 필드(503)에는 MIH 정보의 길이가 기록된다. 또한, 값 필드(504)에는 MIH 정보의 값이 기록된다.
특히, 이름 필드(501)에 링크 특성 정보라는 이름이 기록되면, 이것과 동일한 엔트리에 위치한 타입 필드(502), 길이 필드(503), 및 값 필드(504)에는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이름 필드(501)에 링크 타입이라는 이름이 기록되면, 이것과 동일한 엔트리에 위치한 타입 필드(502), 길이 필드(503), 및 값 필드(504)에는 이동 노드(1)가 접속 중인 링크의 타입 또는 이동 노드(1)가 접속할 것으로 예측되는 링크의 타입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전자는 상기된 첫 번째 방 식을 따르는 MIH 요청 메시지이고, 후자는 상기된 두 번째 방식을 따르는 MIH 요청 메시지이다.
MIIS 모듈(422)은 정보 서버(5, 6)로 어떤 정보를 요청하는 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MIH 요청 메시지의 필드들 중 이름 필드(401), 타입 필드(402), 길이 필드(403)에는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특정하는 값이 기록하고, 값 필드(404)에는 어떤 값도 기록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IH 정보 응답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MIH 정보 응답 메시지는 이름 필드(601), 타입 필드(602), 길이 필드(603), 및 값 필드(604)로 구성되며, 이들의 조합은 하나의 엔트리가 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MIH 정보 응답 메시지는 도 5에 도시된 MIH 정보 요청 메시지와 동일한 포맷을 갖는다. 다만, 값 필드(604)에는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를 나타내는 값, 예를 들면 GPRS 링크의 데이터 전송율이 기록되어 있다.
정보 서버(5, 6)는 MIH 요청 메시지의 필드들 중 이름 필드(501)를 참조하여 대응 노드(4)가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있음을 알아내고, 타입 필드(502), 길이 필드(503)에 기록된 값의 형식으로 값 필드(604)에 상기된 정보를 기록한다.
MICS 모듈(423)은 상위 계층(43)으로부터 입력된 커맨드,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커맨드에 따라 하위 계층(41)에서의 핸드오버, 즉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상위 계층(43)은 MIH 기능 계층(42)의 MIIS 모듈(422)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위 계층(43)은 MIH 기능 계층(42)의 MIES 모듈(421)로부터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의 보고를 수신하면, MIH 기능 계층(42)의 MIIS 모듈(422)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특히, 상위 계층(43)은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대응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QOS(Quality Of Service)를 조정하고, 이와 같이 조정된 QOS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함으로서 데이터 스트림의 QOS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위 계층(43)은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 이전에 이동 노드(1)가 접속한 어떤 링크의 특성에 대응하는 QOS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고,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 이후에 이동 노드(1)가 접속한 다른 링크의 특성에 대응하는 QOS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가 이동 노드(1)의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율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면, 상위 계층(43)은 이동 노드(1)의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율의 변화에 대응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율을 조정하고, 이와 같이 조정된 전송율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이동 노드(1)가 가용 대역폭이 10 Mbps(bit per second)인 WLAN 링크로부터 100 Kbps인 GPRS 링크로 이동함으로서, MIIS 모듈(422)이 이동 노드(1)에 의한 WLAN 링크로부터 GPRS 링크로의 핸드오버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의 감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게 되었다면, 상위 계층(43)은 이동 노드(1)에 의한 WLAN 링크로부터 GPRS 링크로의 핸드오버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의 감소에 대응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율을 감소시키고, 이와 같이 감소된 전송율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이동 노드(1)는 하위 계층(11), MIH 기능(MIH function) 계층(12), 및 상위 계층(13)으로 구성된다. 하위 계층(11)은 대응 노드(4)의 하위 계층(41)과 마찬가지로 OSI 참조 모델에 의해 정의된 7 계층들 중 제 2 계층 및 그 이하의 계층, 즉 링크 계층, 물리 계층 등을 의미한다. 상위 계층(13)은 대응 노드(4)의 상위 계층(43)과 마찬가지로 OSI 참조 모델에 의해 정의된 7 계층들 중 제 3 계층 및 그 이상의 계층, 즉 IP 계층, 모바일 IP 계층, 전송 계층, 어플리케이션 계층 등을 의미한다. MIH 기능 계층(12)은 대응 노드(4)의 MIH 기능 계층(42)과 마찬가지로 하위 계층(11)과 상위 계층(13)의 사이의 제 2.5 계층으로서, 하위 계층(11) 및 상위 계층(13)에서의 핸드오버를 지원한다.
하위 계층(11)은 이종 링크들에 접속하기 위한 이종 링크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링크 계층을 포함하며, 이종 링크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링크에 접속한 후, 다른 링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른 링크에 접속함으로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따라서, MIH 기능 계층(12)은 이종 링크들에 접속하기 위한 이종 링크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링크 계층과 상위 계 층(13) 사이의 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IEEE 802.21에 따르면, MIH 기능 계층(12)은 이동 노드(1)에 의해 접속되는 링크의 매체(media) 타입에 독립적으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한다. 즉, MIH 기능 계층(12)은 하위 계층(11)에 해당하는 링크 인터페이스의 타입에 독립적으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MIH 기능 계층(12)은 MIES 모듈(121), MIIS 모듈(122), 및 MICS 모듈(123)로 구성된다.
MIES 모듈(121)은 하위 계층(11)으로부터 다양한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대응 노드(4)로 이 이벤트의 발생을 보고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MIES 모듈(121)은 하위 계층(11)으로부터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대응 노드(4)로 이 이벤트의 발생을 보고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MIES 모듈(121)은 이 이벤트의 발생의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대응 노드(4)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대응 노드(4)를 등록한다. 이후, MIES 모듈(121)은 다양한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와 관련된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면, 대응 노드(4)로 이 이벤트의 발생을 보고한다.
MIIS 모듈(122)은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서버(5, 6)로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MIIS 모듈(122)은 정보 서버(5, 6)로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MIIS 모듈(122)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으로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첫 번째 방식에 따르면, MIIS 모듈(122)은 정보 서버(5, 6)로 이동 노드(1)가 접속 중인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이동 노드(1)에 의한 핸드오버 이후에 제공한다. 첫 번째 방식의 경우, MIIS 모듈(122)은 정보 서버(5, 6)로부터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면, 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된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 서버(5, 6)는 대응 노드(4)로부터 상기된 요청을 수신하면, 이것을 이동 노드(1)로 전달한다. 두 번째 방식에 따르면, MIIS 모듈(122)은 정보 서버(5, 6)로 이동 노드(1)가 접속할 것으로 예측되는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 이전에 제공한다. 두 번째 방식의 경우, MIIS 모듈(122)은 정보 서버(5, 6)의 요청과는 상관없이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 이전에, 즉 상기된 이벤트의 발생 보고 이전에 정보 서버(5, 6)로 이동 노드(1)가 접속할 것으로 예측되는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MICS 모듈(123)은 상위 계층(13)으로부터 입력된 커맨드,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커맨드에 따라 하위 계층(11)에서의 핸드오버, 즉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상위 계층(13)은 MIH 기능 계층(12)의 MIIS 모듈(422)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특히, 상위 계층(43)은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대응하는 QOS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즉, 상위 계층(13)은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 이전에 이동 노드(1)가 접속한 어떤 링크의 특성에 대응하는 QOS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 이후에 이동 노드(1)가 접속한 다른 링크의 특성에 대응하는 QOS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가 이동 노드(1)의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율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면, 상위 계층(13)은 이동 노드(1)의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율의 변화에 대응하여 조정된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율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이동 노드(1)가 가용 대역폭이 10 Mbps(bit per second)인 WLAN 링크로부터 100 Kbps인 GPRS 링크로 이동함으로서, MIIS 모듈(122)이 이동 노드(1)에 의한 WLAN 링크로부터 GPRS 링크로의 핸드오버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의 감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면, 상위 계층(13)은 이동 노드(1)에 의한 WLAN 링크로부터 GPRS 링크로의 핸드오버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의 감소에 대응하여 감소된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율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응 노드 및 이동 노드의 다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대응 노드(4)는 도 3에 도시된 대응 노드(4)와 마찬가지로 하위 계층(44), MIH 기능 계층(45), 및 상위 계층(46)으로 구성된다. 또한, MIH 기능 계층(45)은 도 3에 도시된 MIH 기능 계층(42)과 마찬가지로 MIIS 모듈(421), MIES 모듈(422), 및 MICS 모듈(423)로 구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이동 노드(1)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노드(1)와 마찬가 지로 하위 계층(14), MIH 기능 계층(15), 및 상위 계층(16)으로 구성된다. 또한, MIH 기능 계층(15)은 도 3에 도시된 MIH 기능 계층(12)과 마찬가지로 MIIS 모듈(151), MIES 모듈(152), 및 MICS 모듈(153)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대응 노드(4) 및 이동 노드(1)와 도 7에 도시된 대응 노드(4) 및 이동 노드(1)의 차이점은 정보 서버(5, 6)를 경유하지 않고 이동 노드(1)의 MIH 기능 계층(15)이 직접 대응 노드(4)의 MIH 기능 계층(45)으로 정보를 제공한다는 데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대응 노드(4)의 MIIS 모듈(452)은 이동 노드(1)로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상기된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이동 노드(1)는 MIH 요청 메시지의 필드들 중 이름 필드(501)를 참조하여 대응 노드(4)가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있음을 알아내고, 타입 필드(502), 길이 필드(503)에 기록된 값의 형식으로 값 필드(604)에 상기된 정보를 기록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대응 노드(4)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대응 노드(4)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도 적용된다.
81 단계에서 대응 노드(4)는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의 보고를 수신하기 위하여 이동 노드(1)에 대응 노드(4)의 등록을 요청한다.
82 단계에서 대응 노드(4)는 이동 노드(1)로부터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면, 83 단계로 진행한다.
83 단계에서 대응 노드(4)는 상위 계층(43)으로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의 발생을 보고한다.
84 단계에서 대응 노드(4)는 정보 서버(5, 6) 또는 이동 노드(1)로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다.
85 단계에서 대응 노드(5)는 84 단계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다만, 85 단계에서의 정보 획득 방식은 상기된 첫 번째 방식을 따르는 경우이다. 만약, 두 번째 방식을 따른다면, 대응 노드(4)는 84 단계에서의 요청과는 상관없이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 이전에, 즉 82 단계에서의 이벤트의 발생 검출 이전에 이동 노드(1)가 접속할 것으로 예측되는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86 단계에서 대응 노드(5)는 85 단계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즉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대응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QOS를 조정한다.
87 단계에서 대응 노드(5)는 86 단계에서 조정된 QOS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은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이동 노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이동 노드(1)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에도 적용된다.
91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의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대응 노드(4)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92 단계로 진행한다.
92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대응 노드(4)를 등록한다.
93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하위 계층(11)으로부터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면, 94 단계로 진행한다.
94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대응 노드(4)로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보고한다.
95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정보 서버(5, 6) 또는 대응 노드(4)로부터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면, 96 단계로 진행한다.
96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정보 서버(5, 6) 또는 대응 노드(4)로 이동 노드(1)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만, 96 단계에서의 정보 제공 방식은 상기된 첫 번째 방식을 따르는 경우이다. 만약, 두 번째 방식을 따른다면, 이동 노드(1)는 95 단계에서의 요청 수신과는 상관없이 이동 노드(1)의 핸드오버 이전에, 즉 93 단계에서의 이벤트 발생 검출 이전에 이동 노드(1)가 접속할 것으로 예측되는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97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96 단계에서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즉, 97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이동 노드(1)의 링크 특성 변화에 대응하는 QOS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함으로서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데이터 스트림의 QOS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데이터 스트림의 QOS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동 노드가 어떤 링크로부터 이종의 다른 링크에 옮겨가는 경우에도 이동 노드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비트 오류율, 신호 대 잡음비 등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a)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QOS(Quality Of Service)를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QOS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핸드오버 이전에 상기 이동 노드가 접속한 제 1 링크의 특성에 대응하는 QOS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고,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이동 노드가 접속한 제 2 링크의 특성에 대응하는 QOS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 송율(data rate)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율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율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전송율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동 노드가 접속 중인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획득하는 것을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동 노드가 접속할 것으로 예측되는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 이전에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
  7.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핸드오버 기능 계층; 및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상위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전송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기능 계층은 상기 이종 링크들에 접속하기 위한 이종 링크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링크 계층과 상기 상위 계층 사이의 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전송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기능 계층은
    상기 이동 노드로부터 상기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보고하는 이벤트 서비스 모듈; 및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위 계층은 상기 보고를 수신하면,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a)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수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대응하는 QOS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수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핸드오버 이전에 상기 이동 노드가 접속한 제 1 링크의 특성에 대응하는 QOS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이동 노드가 접속한 제 2 링크의 특성에 대응하는 QOS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수신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율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율의 변화에 대응하여 조정된 전송율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수신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동 노드가 접속 중인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수신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동 노드가 접속할 것으로 예측되는 링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 이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수신 방법.
  17. 이동 노드에 의한 이종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에 따른 상기 이동 노드의 링크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핸드오버 기능 계층; 및
    상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상위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수신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기능 계층은 상기 이종 링크들에 접속하기 위한 이종 링크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링크 계층과 상기 상위 계층 사이의 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 수신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기능 계층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상기 링크 특성 변화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보고하는 이벤트 서비스 모듈; 및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위 계층은 상기 보고를 수신한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0.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28422A 2006-02-14 2006-03-29 Qos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 송수신 방법 및장치 KR100788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02,525 US8630266B2 (en) 2006-02-14 2007-02-06 Data stream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anteeing QoS
JP2008554128A JP2009527142A (ja) 2006-02-14 2007-02-07 Qosを保証するためのデータストリーム送受信方法及び装置
RU2008132880/09A RU2008132880A (ru) 2006-02-14 2007-02-07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потока данных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качества обслуживания
AU2007215706A AU2007215706A1 (en) 2006-02-14 2007-02-07 Data stream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anteeing QOS
CN2007800055318A CN101385311B (zh) 2006-02-14 2007-02-07 保证服务质量的数据流发送及接收的方法和装置
EP07708797.1A EP1985090B1 (en) 2006-02-14 2007-02-07 Data stream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anteeing qos
CA002641477A CA2641477A1 (en) 2006-02-14 2007-02-07 Data stream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anteeing qos
PCT/KR2007/000647 WO2007094580A1 (en) 2006-02-14 2007-02-07 Data stream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anteeing qos
TW096105255A TW200735607A (en) 2006-02-14 2007-02-13 Data stream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anteeing Qo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290206P 2006-02-14 2006-02-14
US60/772,902 2006-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995A true KR20070081995A (ko) 2007-08-20
KR100788688B1 KR100788688B1 (ko) 2007-12-26

Family

ID=3861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422A KR100788688B1 (ko) 2006-02-14 2006-03-29 Qos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 송수신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30266B2 (ko)
EP (1) EP1985090B1 (ko)
JP (1) JP2009527142A (ko)
KR (1) KR100788688B1 (ko)
CN (1) CN101385311B (ko)
AU (1) AU2007215706A1 (ko)
CA (1) CA2641477A1 (ko)
RU (1) RU2008132880A (ko)
TW (1) TW200735607A (ko)
WO (1) WO20070945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17B1 (ko) * 2011-04-13 2015-06-05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모바일 장치와 연관된 네트워크 주소에 기초한 서비스 품질의 조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88B1 (ko) 2006-02-14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Qos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 송수신 방법 및장치
KR100750177B1 (ko) * 2006-05-25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QoS 보장 방법 및 장치
KR20080007289A (ko) 2006-07-15 2008-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기종망간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 획득 방법
CN101212486A (zh) * 2006-12-28 2008-07-02 华为技术有限公司 查询参数信息的方法、系统和参数信息反馈装置
US8457064B2 (en) 2007-03-21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737353B2 (en) 2007-03-21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750248B2 (en) 2007-03-21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948757B2 (en) * 2007-03-21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737350B2 (en) 2007-03-21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565799B2 (en) 2007-04-04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low data acquisition in a multi-frequency network
GB2452699B (en) * 2007-08-24 2012-08-01 King S College London Mobility and quality of service
KR100933238B1 (ko) * 2007-10-29 2009-12-2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 기반의 네트워크 정보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JP5122327B2 (ja) * 2008-02-28 2013-01-16 Kddi株式会社 移動端末へメディアストリームを配信するシステム
US8570939B2 (en) 2008-03-07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hoosing cyclic delays in multiple antenna OFDM systems
KR101220176B1 (ko) * 2008-12-22 2013-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망간 핸드오버에 대한 적응형 미디어 전송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8077675B2 (en) * 2009-03-03 2011-12-13 Cisco Technology, Inc. Performance management of mobile intelligent roaming using mobility detail records
US9544943B2 (en) 2010-11-04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ng via a FEMTO access point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2034624B1 (ko) 2013-02-26 2019-10-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대역폭 예측을 통한 휴대 단말기의 스트리밍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461929B1 (ko) * 2015-09-25 2022-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135412A (ko) * 2021-03-30 2022-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엣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447999A (en) 1998-06-19 2000-01-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apting a connection stat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A2355042A1 (en) 1998-12-18 2000-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system soft handoff
EP1227693B1 (en) 2000-08-10 2004-12-22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the transfer rate
JP2002111686A (ja) 2000-10-04 2002-04-12 Sony Corp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3479883B2 (ja) 2000-10-18 2003-12-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3893050B2 (ja) 2000-11-22 2007-03-14 ルーセント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パケット交換セルラ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フロー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KR200240611Y1 (ko) 2001-04-06 2001-10-11 동양산전 주식회사 접지판의 구조
US20030043773A1 (en) * 2001-08-31 2003-03-06 Hyokang Chang Multilink wireless access scheme for multiband operation in wireless mobile networks
CN1310457C (zh) 2001-09-04 2007-04-11 诺基亚公司 用于码速率适配的方法、装置与系统
US7245915B2 (en) 2001-09-27 2007-07-17 Ntt Docomo, Inc. Layer three quality of service aware trigger
US7336952B2 (en) * 2001-10-24 2008-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hard handoff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CN100425086C (zh) 2002-01-18 2008-10-08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控制装置以及通信线路确保方法
US7561553B2 (en) * 2002-02-27 2009-07-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P mobility for mobile networks and detachable mobile network nodes
TWI275272B (en) 2002-05-10 2007-03-01 Interdigital Tech Corp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node-B
US7290064B2 (en) * 2002-06-24 2007-10-30 Cisco Technology, Inc. Adaptive feedback technique implemented in mobile IP networks
CA2491515A1 (en) 2002-07-02 2004-01-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exchanging higher layer system information on a wireless system and automatic system selection of a wireless lans
US7382749B2 (en) * 2002-11-26 2008-06-03 Sony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with a common wireless communications protocol
EP1435748B1 (en) 2002-12-30 2006-03-29 France Telecom Handover between wireless networks of different technologies
JP4295023B2 (ja) * 2003-02-25 2009-07-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ネットワークを制御する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JP2004272563A (ja) 2003-03-07 2004-09-30 Fujitsu Ltd 通信制御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端末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サーバ
EP1458148A1 (en) * 2003-03-10 2004-09-15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Quality of Service (QoS) -aware handover procedure for Ad-Hoc networks
FI20030429A0 (fi) * 2003-03-24 2003-03-24 Nokia Corp Ryhmäliikennöinti matkaviestinverkossa
US7263067B2 (en) 2003-07-15 2007-08-28 Nokia Siema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ing throughput in a wireless or other telecommunication system
TWI245513B (en) * 2003-08-26 2005-12-1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radio access
DE10345528B3 (de) * 2003-09-30 2005-06-30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Verbindungsübergabe zwischen zwei Netzzugangseinrichtungen
US20050157646A1 (en) 2004-01-16 2005-07-21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network congestion control by UDP source throttling
WO2005083912A1 (en) * 2004-03-02 2005-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different type mmmb systems
KR101084113B1 (ko) 2004-03-05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의 핸드오버에 적용되는 서비스 정보 전달 방법
JP4789918B2 (ja) 2004-03-10 2011-10-12 アーベー セースタ オイ 異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ノード、および移動ホスト
US7710923B2 (en) 2004-05-07 2010-05-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JP2006060579A (ja) * 2004-08-20 2006-03-02 Fujitsu Ltd アプリケーション特性に応じて複数の経路を同時に利用する通信装置
US8233450B2 (en) * 2004-09-10 2012-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onents for facilitating multiple network type compatibility
US8085678B2 (en) 2004-10-13 2011-12-27 Qualcomm Incorporated Media (voice) playback (de-jitter) buffer adjustments based on air interface
US7738871B2 (en) * 2004-11-05 2010-06-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between technologically diversified access networks
US7626926B2 (en) 2004-12-09 2009-12-01 Airvana, Inc. Traffic management in a wireless data network
US20060153110A1 (en) * 2004-12-28 2006-07-13 Morgan William K Simplex reverse link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929422B2 (en) 2005-01-06 2011-04-19 Cisco Technology, Inc. Method of moving a transport connection among network hosts
KR100643763B1 (ko) * 2005-02-17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질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변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이동노드, 및, 그 방법
US7616956B2 (en) * 2005-03-15 2009-11-1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asurement request report extensions for media independent handover
US20060221933A1 (en) * 2005-03-29 2006-10-05 Bauer Markus G Managing internet protocol based resources in a packet-based access network
US7656835B2 (en) * 2005-05-18 2010-02-02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informing change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KR100664939B1 (ko) 2005-05-25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아이피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간의 핸드오버 방법및 장치
KR100788688B1 (ko) 2006-02-14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Qos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 송수신 방법 및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17B1 (ko) * 2011-04-13 2015-06-05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모바일 장치와 연관된 네트워크 주소에 기초한 서비스 품질의 조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688B1 (ko) 2007-12-26
EP1985090A4 (en) 2012-03-07
EP1985090B1 (en) 2016-04-20
CA2641477A1 (en) 2007-08-23
CN101385311B (zh) 2013-12-11
AU2007215706A1 (en) 2007-08-23
JP2009527142A (ja) 2009-07-23
EP1985090A1 (en) 2008-10-29
TW200735607A (en) 2007-09-16
CN101385311A (zh) 2009-03-11
US8630266B2 (en) 2014-01-14
RU2008132880A (ru) 2010-02-20
WO2007094580A1 (en) 2007-08-23
US20070191012A1 (en)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688B1 (ko) Qos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 송수신 방법 및장치
CN106465215B (zh) 改进的垂直切换
KR100979834B1 (ko)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KR100910143B1 (ko) 다중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의 제어 및 관리
KR101316142B1 (ko) 링크 계층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매핑
US20050030924A1 (en) Handoff method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JP5714574B2 (ja) 充電イベントの間の情報送信
MX2007000375A (es) Transferencia solida y rapida en una red de area local inalambrica.
US20080108336A1 (en) Location-based services in wireless broadband networks
WO20030218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bit rate adaptation
JPWO2006048941A1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ローミング方法
JP2010004385A (ja) 無線端末、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Choi et al. Blend: BLE beacon-aided fast wifi handoff for smartphones
KR20230128114A (ko) 경험 품질(QoE)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27422A1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Fallon et al. Optimizing metropolitan area wireless path selection us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CN116472702A (zh) 数据处理节点装置及在该装置中执行的信息传输方法
JP2009095051A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
Yaqub et al. Time-tag based efficient information access
Kumar Seamless Data Services for Real Time Communic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Network Tracking and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