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420A -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420A
KR20070080420A KR1020060011710A KR20060011710A KR20070080420A KR 20070080420 A KR20070080420 A KR 20070080420A KR 1020060011710 A KR1020060011710 A KR 1020060011710A KR 20060011710 A KR20060011710 A KR 20060011710A KR 20070080420 A KR20070080420 A KR 20070080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microcomputer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60011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420A/ko
Publication of KR2007008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2Limiting control by the driver depending on vehicle state, e.g. interlocking means for the control input for preventing unsaf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유 시 시동을 끄지 않으면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주유구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엔진 공회전으로 인한 기름 낭비 및 폭발,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동 중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은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시동감지부와, 주유구 도어 스위치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조작감지부와, 상기 시동감지부 및 스위치조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주유구 도어 개폐수단의 LOCK/UNLOCK 상태를 제어하는 신호 및 경보음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주유구 도어 개폐수단을 LOCK 시키거나 UNLOCK 시키기 위한 처리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유구 도어 스위치가 조작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와, 상기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시켜주기 위한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다.
주유구 도어, 시동감지부, 스위치조작감지부, 마이컴, 처리부

Description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Do vehicles fuel tank door fastening chapter and the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시동감지부 2 : 스위치조작감지부
3 : 마이컴 4 : 처리부
5 : 경보음구동부 6 : 전원공급부
본 발명은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주유 시 시동을 끄지 않으면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주유구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엔진 공회전으로 인한 기름 낭비 및 폭발,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동 중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차체의 외부로 연료탱크의 주입구가 돌출되도록 주유구가 설치되며, 또한, 평상 시에는 상기 주유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유구가 설치된 곳을 덮어 보호하다가 연류 급유 시에는 운전자의 원격조정에 의해 소정의 개폐수단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 주유구용 도어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 주유 시 많은 운전자들이 번거로움 또는 실수로 인하여 차량의 시동을 끄지 않은 상태로 주유구 도어를 열고 연료를 주유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됨으로서 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차량 시동을 끄지 않은 상태로 연료를 주유하는 경우 차량에 연료를 주입하는 시간동안 내내 엔진 공회전에 따른 연료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주유 시 시동을 끄지 않으면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주유구 도어의 개폐수단이 잠김(Lock) 상태가 되어 주유구 도어 열림 스위치를 조작해도 주유구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엔진 공회전으로 인한 기름 낭비 및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시동감지부와, 주유구 도어 스위치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조작감지부와, 상기 시동감지부 및 스위치조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주유구 도어 개폐수단의 LOCK/UNLOCK 상태를 제어하는 신호 및 경보음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주유구 도어 개폐수단을 LOCK 시키거나 UNLOCK 시키기 위한 처리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유구 도어 스위치가 조작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와, 상기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시켜주기 위한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시동감지부와, 스위치조작감지부와, 마이컴과, 처리부와, 경보음발생부로 구성되는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이 시동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현재 시동이 걸린 상태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별 결과, 만약 차량의 시동이 걸린 상태인 경우에는 마이컴이 처리부를 제어하여 주유구 도어를 잠김(Lock) 상태로 유지하는 제2단계와, 상기 마이컴이 스위치조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 운전자가 주유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별 결과, 만약 차량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주유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마이컴이 경보음발생부를 제어하여 BEEP 음을 발생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시동감지부(1)와, 주유구 도어 스위치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조작감지부(2)와, 상기 시동감지부(1) 및 스위치조작감지부(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주유구 도어 개폐수단의 LOCK/UNLOCK 상태를 제어하는 신호 및 경보음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3)과, 상기 마이컴(3)의 제어에 따라 주유구 도어 개폐수단을 LOCK 시키거나 UNLOCK 시키기 위한 처리부(4)와, 상기 마이컴(3)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유구 도어 스위치가 조작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5)와, 상기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시켜주기 위한 전원공급부(6)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동감지부(1)는 키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시동키가 ON 되거나 OFF 된 경우에 이를 검출하는 시동 ON/OFF 검출센서(도시안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시동 ON/OFF 검출센서는 운전자에 의해 키박스에 삽입된 시동키가 시동을 ON 시키기 위해 "LOCK" 위치에서 "START" 위치로 변위되는 경우와 반대로 "START" 위치에서"LOCK" 위치로 변위될 경우에 그 변위값을 검출함으로써 시동 ON/OFF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3)은 차량 연료 주유 시 상기 시동감지부(1)로부터 현재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만약 시동이 걸린 상태이면 주유구 도어 개폐수단을 Lock 상태로 유지하고, 만약 시동이 꺼진 상태이면 주유구 도어 개폐수단을 Lock 상태에서 해제하여 주유구 도어 스위치 조작 시 주유구가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전원공급부(6)는 평소에 차량 예비전원을 사용하여 설계가 가능하며, 필요 시에는 별도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흐름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마이컴(3)이 시동감지부(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현재 시동이 걸린 상태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별하고(S11), 상기 단계(S11)에서의 판별 결과, 만약 차량의 시동이 걸린 상태인 경우에는 마이컴(3)이 처리부(4)를 제어하여 주유구 도어를 잠김(Lock)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어, 상기 마이컴(3)이 스위치조작감지부(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 운전자가 주유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되고(S13), 상기 단계(S13)에서의 판별 결과, 만약 차량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주유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마이컴(3)이 경보음발생부(5)를 제어하여 BEEP 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현재 시동이 걸려 있음을 상기시켜 주게 된다.(S14) 이 때, 운전자가 주유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단계(S12)에서 주유구 도어는 지속적으로 잠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임의로 주유구 도어가 열리지 않는다.
한편, 상기 단계(S11)의 판별 결과, 만약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인 경우에는 마이컴(3)이 처리부(4)를 제어하여 주유구 도어를 풀림(Unlock)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S15)
이어, 상기 마이컴(3)이 스위치조작감지부(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 운전자가 주유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되고(S16), 상기 단계(S16)에서의 판별 결과, 만약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연료 급유을 위해 주유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바로 주유구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S17)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시동 중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연료 주유 시 현재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만약 시동이 걸린 상태이면 주유구 도어를 Lock 상태로 유지하고, 만약 시동이 꺼진 상태이면 주유구 도어를 Lock 상태에서 해제하여 주유구 도어 스위치 조작 시 주유구가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폭발과 같은 안전사고 및 연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시동감지부(1)와,
    주유구 도어 스위치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조작감지부(2)와,
    상기 시동감지부(1) 및 스위치조작감지부(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주유구 도어 개폐수단의 LOCK/UNLOCK 상태를 제어하는 신호 및 경보음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3)과,
    상기 마이컴(3)의 제어에 따라 주유구 도어 개폐수단을 LOCK 시키거나 UNLOCK 시키기 위한 처리부(4)와,
    상기 마이컴(3)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유구 도어 스위치가 조작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5)와,
    상기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시켜주기 위한 전원공급부(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감지부(1)는 키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시동키가 ON 되거나 OFF 된 경우에 이를 검출하는 시동 ON/OFF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3. 시동감지부(1)와, 스위치조작감지부(2)와, 마이컴(3)과, 처리부(4)와, 경보 음발생부(5)로 구성되는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3)이 시동감지부(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현재 시동이 걸린 상태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별 결과, 만약 차량의 시동이 걸린 상태인 경우에는 마이컴(3)이 처리부(4)를 제어하여 주유구 도어를 잠김(Lock) 상태로 유지하는 제2단계와,
    상기 마이컴(3)이 스위치조작감지부(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 운전자가 주유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별 결과, 만약 차량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주유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마이컴(3)이 경보음발생부(5)를 제어하여 BEEP 음을 발생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판별 결과, 만약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3)이 처리부(4)를 제어하여 주유구 도어를 풀림(Unlock)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11710A 2006-02-07 2006-02-07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80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710A KR20070080420A (ko) 2006-02-07 2006-02-07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710A KR20070080420A (ko) 2006-02-07 2006-02-07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420A true KR20070080420A (ko) 2007-08-10

Family

ID=3860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710A KR20070080420A (ko) 2006-02-07 2006-02-07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04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8638B2 (en) 2009-03-03 2013-09-17 Volkswagen Ag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movement capability and/or a closure device
US10752251B2 (en) 2015-02-18 2020-08-25 Scania Cv Ab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charging a hybrid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8638B2 (en) 2009-03-03 2013-09-17 Volkswagen Ag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movement capability and/or a closure device
KR101317620B1 (ko) * 2009-03-03 2013-10-16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차량 이동 가능성 및/또는 폐쇄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752251B2 (en) 2015-02-18 2020-08-25 Scania Cv Ab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charging a hybri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9050B2 (en) Remote start-up control apparatus, and start-up control apparatus
US20050246070A1 (en) Vehicle remote sta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registration process
US8710949B2 (en) Remote ignition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securing a remote ignition function
US601148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ueling of a motor vehicle
US9067489B2 (en)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inadvertent check engine telltale
US8712647B2 (en) Steering lock driving circuit and steering lock device
KR20070080420A (ko) 차량 주유구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129210A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581771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4172297B2 (ja) 車両等の盗難防止装置
KR20180124646A (ko) 자동차의 주유중 출발방지 안전장치
KR200260931Y1 (ko) 자동차 주유시의 엔진 제어장치
US7221065B2 (en) Power window system for vehicle
KR200141672Y1 (ko) 차량의 연료캡 자동잠금장치
KR101591776B1 (ko) 차량 도어 자동잠금 제어장치
KR100412033B1 (ko) Lpg 차량의 lpg 스위치 보호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17630A (ko)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KR200420761Y1 (ko) 주유구 자동 개폐 시스템
KR100227948B1 (ko) 자동차 도어의 자동 컨트롤 장치 및 그 컨트롤 방법
JP4566017B2 (ja) 始動制御装置
KR19980032050U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시 엔진 정지장치
KR200422355Y1 (ko) 주유시 자동차의 엔진 정지장치
JP2013220679A (ja) 車両用制御装置
KR20040099612A (ko) 주유구 열림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4162522A (ja)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