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658A -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위장 콜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위장 콜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658A
KR20070076658A KR1020060005805A KR20060005805A KR20070076658A KR 20070076658 A KR20070076658 A KR 20070076658A KR 1020060005805 A KR1020060005805 A KR 1020060005805A KR 20060005805 A KR20060005805 A KR 20060005805A KR 20070076658 A KR20070076658 A KR 20070076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de
fake
incoming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라
최광용
윤면기
박주용
전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6658A/ko
Publication of KR20070076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장 콜을 실행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설정된 착신 모드에 해당하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수행되면 설정된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로 설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장 콜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장 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를 누르면 벨소리와 같은 미리 설정된 착신 모드에 상응하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위장 콜에 대하여 사용자가 응대하는 행동을 하는 중에 실제로 전화가 오더라도 무음 모드에 의해 처리됨으로 실제 전화가 걸려온 것을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휴대폰, 핸드폰, 위장콜, 벨소리, 무음

Description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위장 콜 처리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fake call function and the fake call process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위장 콜 처리를 수행하는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메모리
120 : 제어부 121 : 위장 콜 설정부
122 : 위장 콜 실행 처리부 123 : 착신 모드 설정부
124 : 화면 표시 처리부 130 : RF부
140 : 음성 처리부 150 : 스피커
160 : 마이크로폰 170 : 키입력부
180 :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성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실제 발신측의 콜신호를 착신받지 못했으나 마치 착신한 것처럼 동작하도록 하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위장 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착신을 위장하기 위해는 메뉴-벨소리-재생의 메뉴 항목을 조작하는 과정을 거쳐서 수행했으나 이동 통신 단말기 외부의 UI를 통해 상대방이 눈치채지 못하게 착신된 것처럼 위장하는 방법은 없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이러한 방법을 적용할 경우 상대방이 임의로 벨소리를 내려고 시도했음을 눈치챌 수 있었다. 또한 위장이 가능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실제 콜 신호가 착신되어 벨이 울리는 경우에는 자칫 위장콜이 들통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곤란한 상황 혹은 피하고 싶은 상황에 당면했을 때 가상으로 전화가 온 것처럼 이동 통신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위장 콜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위장 콜을 실행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설정된 착신 모드에 해당하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수행되면 설정된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로 설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장 콜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장 콜 처리 방법은 상기 제 1 단계가 실행된 상태에서 임의의 제 1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중단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장 콜 처리 방법은 상기 제 1 단계가 실행된 상태에서 임의의 제 2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일시 중단했다가 일정 시간후에 다시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장 콜 처리 방법은 상기 제 2 단계에 의해 무음 설정이 실행된 후에 임의의 제 3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무음 설정을 해제하고 무음 설정 이전에 설정되었던 착신 모드로 재설정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착신 모드는 벨소리 모드, 진동 모드, 진동 후 벨소리 모 드, 램프 모드 중 선택된 착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콜이 착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설정된 착신 모드와, 위장 콜 동작의 실행 절차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위장 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실행 절차에 따라 상기 설정된 착신 모드에 해당하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고, 설정된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장 콜 동작의 실행 절차를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위장 콜 설정부와, 임의의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실행 절차에 따라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실행하거나 중단하는 위장 콜 실행 처리부와, 임의의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실행 절차에 따라 선택된 상기 착신 모드를 설정하는 착신 모드 설정부와, 상기 위장 콜 동작의 실행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장 콜 실행 처리부는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된 상태에서 임의의 제 1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장 콜 실행 처리부는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된 상태에서 임의의 제 2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일시 중단했다가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착신 모드 설정부는, 상기 착신 모드가 무음 모드로 설정된 후에 임의의 제 3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설정된 무음 모드를 해제하고 무음 설정 이전에 설정되었던 착신 모드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착신 모드는 벨소리 모드, 진동 모드, 진동 후 벨소리 모드, 램프 모드 중 선택된 착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장 콜 실행 처리부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최근 수신 이력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위장 콜 설정부는 상기 수신 이력에 추가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미리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 표시 처리부는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콜이 착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설정된 착신 모드와, 위장 콜 동작의 실행 절차를 저장하는 메모리(110)와, 위장 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실행 절차에 따라 착신 모드에 해당하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고, 설정된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로 설정하는 제어부(120)와, RF부(130)와, 음성 처리부(140)와, 스피커(150)와, 마이크로폰(160)과, 키입력부(170)와,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메뉴 항목을 화 면창을 통해 제공하는 표시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110)는 콜이 착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설정된 착신 모드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에서 착신 모드는 벨소리 모드, 진동 모드, 진동 후 벨소리 모드, 램프 모드, 무음 모드들이 해당된다.
아울러, 메모리(110)에는 위장 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절차와 실행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각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110)에 저장된 실행 절차에 따라 제어부(120)는 위장 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메모리(110)에 저장된 실행 절차는 기본적으로 위장 콜을 실행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설정된 착신 모드에 해당하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에 의해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수행되면 설정된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로 설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단계가 실행된 상태에서 임의의 제 1 키입력이 있으면 제 1 단계에 의해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중단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계가 실행된 상태에서 임의의 제 2 키입력이 있으면 제 1 단계에 의해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일시 중단했다가 일정 시간후에 다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단계에 의해 무음 설정이 실행된 후에 임의의 제 3 키입력이 있으면 무음 설정을 해제하고 무음 설정 이전에 설정되었던 착신 모드로 재설정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단계에 의해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발신 자 정보를 최근 수신 이력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계에 의해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110)는 수신 이력에 추가되거나 화면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미리 설정받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10)는 위장 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다.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 정보에는 위장 콜 동작의 실행절차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화면과, 위장 콜 착신 모드가 실행되었을 때 미리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위장 콜 착신 화면이 포함된다.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키입력부(170)를 통해 위장 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메모리(110)에 저장된 실행 절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착신 모드에 해당하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고, 설정된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로 설정하는 위장 콜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위장 콜 설정부(121)와,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와, 착신 모드 설정부(123)와, 화면 표시 처리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장 콜 설정부(121)는 화면 표시 처리부(124)에 의해 표시부(180)에 표시된 설정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종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위장 콜 동작의 실행 절차를 설정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는 키입력부(170)를 통해 임의의 키입력이 있으면 위장 콜 설정부(121)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110)에 저장된 실행 절차에 따라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실행하거나 중단한다.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임의의 제 1 키입력이 있으면 이미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중단한다.
또한,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임의의 제 2 키입력이 있으면 이미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일시 중단했다가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의 동작은 위장 콜 설정부(123)에 의해 설정된 실행 절차에 따라 선택되어 실행되어 진다.
착신 모드 설정부(123)는 키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말기(100)에 사용할 착신 모드를 설정하거나 위장 콜 동작시에 키입력에 따라 무음 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수행한다.
또한, 착신 모드 설정부(123)는 위장 콜 동작에 의해 착신 모드가 무음 모드로 설정된 후에 미리 설정된 임의의 제 3 키입력이 있으면 이미 설정된 무음 모드를 해제하고 무음 설정 이전에 설정되었던 착신 모드로 재설정할 수 있다.
화면 표시 처리부(124)는 위장 콜 동작의 실행을 위해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 정보를 위장 콜 실행 절차에 따라 표시부(18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위장 콜 설정부(121)에 의한 위장 콜 설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설정 화면을 표시부(180)에 화면으로 표시하고,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발신자 정보를 표시부(180)에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RF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된다. RF부(130)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채널로 수신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대역 하강 변환하고 데이터의 종류를 구별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 처리부(140)로 출력한다.
RF부(130)에서 제어부(120)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신호 및 시그널링 신호들이 된다. 그리고 음성 처리부(140)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음성 호가 설정된 경우에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된다.
또한 RF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음성 처리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대역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40)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음성 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MIC)(160)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30)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140)는 RF부(13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K)(150)로 출력하고, 스피커(SPK)(150)는 이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키입력부(170)는 일반적으로 키 매트릭스 구조로 구성이 된다. 키입력부(17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사용 자의 키 입력에 의해 키 데이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표시부(180)는 단말기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변화를 표시한다. 또한 수신 단문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이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등과 같은 표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위장 콜 처리를 수행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화면 표시 처리부(124)는 표시부(180)에 위장 콜 동작의 실행 절차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S1).
이에 따라 사용자는 키입력부(170)를 통해 설정하고자 하는 동작을 선택하여 위장 콜 동작의 실행절차를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는 착신 모드는 벨소리로 설정되고, 위장 콜 착신시에 표시할 발신자 정보는 "중요 거래처"로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위장 콜 설정부(123)는 설정 화면을 통해 설정된 위장 콜 실행 절차를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2).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는 키입력부(170)를 통해 위장 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3).
판단 결과 위장 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입력이 있는 경우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는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된 착신 모드에 따라 해당 착신 모드에 상응하는 착신 동작을 수행한다(S4). 여기에서는 착신 모드가 벨소리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미리 설정된 벨소리를 재생한다.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에 의해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수행되면 화면 표시 처리부(124)는 메모리(110)에 미리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표시부(180)에 표시한다(S5). 여기에서는 화면에 "중요 거래처"로 표시되어 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대방과 대화중에 "죄송합니다. 중요 거래처에서 전화가 왔는데 잠시 통화하겠습니다."라고 말하면서 전화를 받기 위해 자리를 모면할 수 있다.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에 의해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수행되면 착신 모드 설정부(123)는 미리 설정되어 있던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로 설정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6). 이에 따라 단말기에 미리 설정되어 있던 벨소리 모드는 무음 모드로 변경되어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진다.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한 후에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170)를 통해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임의의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7).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키입력이 있는 경우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는 실행되고 있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중단한다(S8). 이에 따라 위장 콜 착신 동작에 의해 울리던 벨소리가 중단된다.
이후, 사용자는 마치 "중요 거래처"로부터 진짜 전화가 온 것처럼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들고 대화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대방은 "중요 거래처"에서 전화가 온 것으로 알게 된다.
이후, 위장 콜 실행 처리부(122)는 키입력부(170)를 통해 통화 이력을 남기 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
판단 결과 통화 이력을 남기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키입력이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통화 이력을 남기기 위한 키입력이 입력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통화이력에 추가한다(S10).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위장 콜에 의한 통화를 수행한 후에 혹시 상대방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통화 이력을 몰래 확인하는 경우에도 진짜 전화가 왔던 것으로 알게 된다.
이후, 착신 모드 설정부(123)는 무음 모드를 해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입력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판단 결과 무음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키입력이 입력된 경우 착신 모드 설정부(123)는 위장 콜 동작에 의해 무음 모드로 변경된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가 실행되기 이전에 설정되었던 착신 모드로 재설정한다(S12).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착신 모드는 벨소리 모드로 다시 설정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렇지만,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는 다른 많은 기타 실시예들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들어간다는 것을 관련 분야의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장 콜 동작의 실행을 위한 키입력을 위해 키입력부(170)에 별도의 키를 구비하거나 기존에 구비된 키를 누르는 시간을 달리하여 수행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장 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를 누르면 벨소리와 같은 미리 설정된 착신 모드에 상응하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이루어 짐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위장 콜에 대하여 사용자가 응대하는 행동을 하는 중에 실제로 전화가 오더라도 무음 모드에 의해 처리됨으로 실제 전화가 걸려온 것을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다.
더욱이, 발신자 정보가 표시되고 통화 이력이 남게 됨에 따라 실제 전화가 온 것처럼 위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곤란한 상황 혹은 피하고 싶은 상황에 당면했을 때 가상으로 전화가 온 것처럼 완전하게 위장할 수 있다.

Claims (14)

  1. 위장 콜을 실행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설정된 착신 모드에 해당하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수행되면 설정된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로 설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장 콜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가 실행된 상태에서 임의의 제 1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중단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장 콜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가 실행된 상태에서 임의의 제 2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일시 중단했다가 일정 시간후에 다시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장 콜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 의해 무음 설정이 실행된 후에 임의의 제 3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무음 설정을 해제하고 무음 설정 이전에 설정되었던 착신 모드로 재설정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장 콜 처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모드는,
    벨소리 모드, 진동 모드, 진동 후 벨소리 모드, 램프 모드, 무음 모드 중 선택된 착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장 콜 처리 방법.
  6. 콜이 착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설정된 착신 모드와, 위장 콜 동작의 실행 절차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위장 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실행 절차에 따라 상기 설정된 착신 모드에 해당하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고, 설정된 착신 모드를 무음 모드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장 콜 동작의 실행 절차를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위장 콜 설정부와,
    임의의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실행 절차에 따라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실행하거나 중단하는 위장 콜 실행 처리부와,
    임의의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실행 절차에 따라 선택된 상기 착신 모드를 설정하는 착신 모드 설정부와,
    상기 위장 콜 동작의 실행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처리부를 포함하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 콜 실행 처리부는,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된 상태에서 임의의 제 1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 콜 실행 처리부는,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된 상태에서 임의의 제 2 키입력이 있으면 상 기 실행된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일시 중단했다가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모드 설정부는,
    상기 착신 모드가 무음 모드로 설정된 후에 임의의 제 3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설정된 무음 모드를 해제하고 무음 설정 이전에 설정되었던 착신 모드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모드는,
    벨소리 모드, 진동 모드, 진동 후 벨소리 모드, 램프 모드, 무음 모드 중 선택된 착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 콜 실행 처리부는,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최근 수신 이력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 콜 설정부는,
    상기 수신 이력에 추가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미리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처리부는,
    상기 위장 콜 착신 동작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60005805A 2006-01-19 2006-01-19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위장 콜처리 방법 KR20070076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805A KR20070076658A (ko) 2006-01-19 2006-01-19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위장 콜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805A KR20070076658A (ko) 2006-01-19 2006-01-19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위장 콜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658A true KR20070076658A (ko) 2007-07-25

Family

ID=3850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805A KR20070076658A (ko) 2006-01-19 2006-01-19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위장 콜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66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2533A1 (zh) * 2008-08-25 2010-03-04 郎讯科技公司 用于使用静音模式接听来话呼叫的方法和设备
US9633225B2 (en) 2013-07-12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vision of dat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2533A1 (zh) * 2008-08-25 2010-03-04 郎讯科技公司 用于使用静音模式接听来话呼叫的方法和设备
US9633225B2 (en) 2013-07-12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vision of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651B1 (ko) 선택적 뮤트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056261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JP3827521B2 (ja) 情報携帯端末装置
KR20070076658A (ko) 위장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위장 콜처리 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JP2002209011A (ja) 携帯端末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KR100736562B1 (ko) 통화중 알림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21019309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3490898B2 (ja) 携帯電話端末
JP7339804B2 (ja) 制御装置、通信機器および制御装置の制御方法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1007514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통화 정보 송/수신 방법
KR100630552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수신전화 알림 방법
KR100607257B1 (ko) 관련자 전화번호 목록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JP2001251672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携帯電話装置の通話方式
KR101186175B1 (ko) 가상 착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29078B1 (ko) 요청받은 전화 번호로의 통화 요청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2717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및 호의 수신 제한 방법
KR20050116057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긴급 부재중 수신전화 알림 서비스방법
KR20020021474A (ko) 회의 모드시 휴대폰과 이동교환국의 착신 호 처리방법
KR20000007279A (ko) 무선 단말기의 자동응답 방법
JPH06291720A (ja) デジタル方式移動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