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357A -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 - Google Patents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357A
KR20070075357A KR1020070039002A KR20070039002A KR20070075357A KR 20070075357 A KR20070075357 A KR 20070075357A KR 1020070039002 A KR1020070039002 A KR 1020070039002A KR 20070039002 A KR20070039002 A KR 20070039002A KR 20070075357 A KR20070075357 A KR 20070075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dsorption
film
plat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1783B1 (ko
Inventor
심민섭
박영수
Original Assignee
(주)오토엠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엠아이티 filed Critical (주)오토엠아이티
Priority to KR1020070039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7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75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32B37/00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to avoid air incl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54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laminate, e.g. by adjusting the nip or platen ga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패널필름 접합장치는 지지판(41)과 회전판(43)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43)의 상면에 패널(31)이 안착되는 정반(40)과, 상기 정반(40)의 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패널(31)과 필름(30)의 양단을 가압하는 가압부(59)가 구비된 가압어셈블리(50)와, 상기 정반(40)의 상방에 구비되고 흡착노즐유닛(70)에 의해 상기 필름(30)을 흡착하고 흡착노즐 이송유닛(90)에 의해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을 이동시키는 흡착이송어셈블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은 흡착본체(81)와, 흡착관(77)의 고정부(78)와 고정되어 상기 흡착본체(81)를 상기 흡착관(77)에 고정시키는 체결부(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관에 의해 패널과 필름사이의 간격유지가 가능하여 불량품생산이 감소되고, 가압어셈블리(50)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패널과 필름을 접합할 수 있어 적용성이 확대되고, 회전판에 의해 패널과 필름을 한번의 공정으로 접합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패널, 필름, 가압어셈블리, 회전판

Description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Device Attaching a Film to a Pannel and a Absorbing Plate of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정반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와 흡착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정반 41: 지지판
43: 회전판 47: 패널받침판
49: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 50: 가압어셈블리
51: 가압본체부 53: 가압본체 이동부
57: 가압부 지지부 59: 가압부
60: 흡착이송 어셈블리 70: 흡착노즐유닛
71: 노즐본체 73: 흡착동력원
75: 진공룸 77: 흡착관
78: 고정부 79: 가이드핀홀
80: 흡착판 83: 체결부
85: 가이드핀 90: 흡착노즐 이송유닛
91: 본체프레임 93: 동력원
95: 상하이동부 100: 본체이동부
103: 이동부 레일 105: 레일홀더
110: 미세이동부
본 발명은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패널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이다.
터치패널은 전자기기에 정보를 입력하여 각종 전자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 기 위한 것으로 맨-머신(Man-Machine) 인터페이스의 한 종류이다. 상기 터치패널은 전자수첩, 가전기기의 리모컨 등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CRT(Cathode 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roluminescence)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패널의 ITO(Indium Tin Oxide) 필름을 가압하여 컴퓨터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컴퓨터 주변장치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해 터치패널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반(1)의 상면에 패널(3)이 안착되어 있고 상기 패널(3) 상방에는 필름(5)이 터치패널장치(10)에 의해 흡착되어 있다.
상기 터치패널장치(10)에는 본체(1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1) 내부에는 상기 필름(5)을 흡착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하면에는 흡착관(13)이 구비되어 상기 흡착관(13)에 의해 상기 필름(5)이 흡착된다.
상기 본체(11)의 중단에는 연결부(15)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15)에 가압지지대(1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지지대(17)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압바(19)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바(19)가 상기 필름(5)의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필름(5)이 상기 패널(3)에 접합된다.
상기 본체(11)에는 본체이동부(20)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1)가 직선왕복운동한다. 상기 본체이동부(20)에는 상기 본체(11)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21)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부(21)에 의해 상기 본체이동부(20)가 소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11)의 흡착관(13)에 흡착된 필름(5)의 위치가 조정된 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터치패널은 패널(3)과 필름(5)의 중간에 삽입되는 전극선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므로 패널(3)에 접합되는 필름(5)은 상기 패널(3)의 상면에서 소정간격이 이격되도록 접합된다. 그러나 본체(11)에 흡착관(13)과 가압바(19)가 일체로 구비되므로 상기 패널(3)과 필름(5)의 접합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접합하거나 접합간격을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터치패널에 사용되는 필름은 다양한 크기로 구성되나 상기 본체(11)와 가압바(19)가 구비된 가압지지대(17) 사이의 간격이 일체로 고정되어 구비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필름을 접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름(5)의 테두리를 모두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가압바(19)에 의해 양단을 접합한 후, 상기 가압바(19)의 가압방향과 직교하게 가압할 수 있는 가압바(19)가 구비된 다른 패널필름 접합장치(10)로 이송하여 나머지 양단을 접합한다. 따라서 상기 필름(5)의 테두리를 모두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접합공정이 반복되어 실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과 필름의 접합간격을 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필름과 패널을 접합하도록 하는 것이 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의 접합공정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패널필름 접합장치는 패널이 안착되는 정반과; 상기 정반의 상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패널과 필름을 가압하여 접합시키는 가압어셈블리와; 상기 정반의 상방에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패널에 접합되는 상기 필름을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이송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압어셈블리는 가압본체부와; 상기 가압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정반의 상면에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본체이동부와; 상기 가압본체부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과 상기 패널을 가압하여 접합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압부는 상기 필름을 눌러서 가압하여 상기 패널과 접합시키는 프레스방식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에 구비되는 롤러가 상기 필름을 누르면서 회전하여 상기 패널과 접합시키는 롤러회전방식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착이송어셈블리는 상기 필름을 흡착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필름을 흡착하는 흡착노즐유닛과; 상기 흡착노즐유닛을 전후좌우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착노즐 이송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착노즐유닛은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본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착동력원과; 상기 노즐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흡착동력원에 의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진공룸과; 상기 노즐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진공룸에 의해 발생한 흡착력에 의해 상기 필름을 흡착하는 흡착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착노즐유닛에는 상기 흡착관의 선단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흡착관의 밑면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름을 흡착하는 흡착판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착노즐 이송유닛은 상기 흡착노즐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해 수치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착노즐 이송유닛은 상기 흡착노즐유닛을 상기 패널이 이송되는 패널이송유닛에서부터 상기 정반의 상방까지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본체이송부와; 상기 흡착노즐유닛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와; 상기 흡착노즐유닛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패널의 상방에 정위치시키는 미세이동부와; 상기 본체이송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와 상기 미세이동부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반은 상기 정반에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패널의 안착위치를 회전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지지판 및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본체이동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딩하여 상기 지지판 및 상기 회전판의 상면을 일직선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은 필름을 패널에 접합시키는 패널필름 접합장치에 구비되는 흡착관에 구비되고 상기 흡착관의 저면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흡착본체와, 상기 흡착관에 구비된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흡착본체를 상기 흡착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착본체에는 상기 흡착관에 형성된 흡입라인과 상기 흡착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기흡착공을 연통시키는 흡착판 라인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착본체에는 상기 흡착관에 형성된 가이드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흡착판의 체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착본체에는 상기 흡착관과 상기 흡착본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링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체결부는 상기 흡착관의 고정부와 볼플렌져방식으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에 의하면, 흡착관에 의해 패널과 필름사이의 간격유지가 가능하여 불량품생산이 감소되고, 가압어셈블리(50)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패널과 필름을 접합할 수 있어 적용성이 확대되고, 회전판에 의해 패널과 필름을 한번의 공정으로 접합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 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필름(30)이 접합되는 패널(31)이 이송유닛레일(33)을 따라 이동하는 패널이송유닛(35)에 의해 이송되어 별도의 장치나 인력에 의해 정반(40)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패널이송유닛(35)의 상면에는 상기 패널(31)에 접합될 상기 필름(30)도 안착되어 같이 이송된다.
상기 정반(40)에는 지지판(41)과 회전판(43)이 구비되며(도4참고), 상기 회전판(43)은 상기 정반(40)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동력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회전판(43)의 중심에는 원통형의 받침판 지지대(45)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 지지대(45)의 상면에는 상기 패널(31)이 안착되는 패널받침판(47)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43)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패널받침판(47)도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패널(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판(43)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판(43) 중심에서 십자형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은 상기 이송유닛레일(33)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판(41)의 상면에도 구비된다.
상기 회전판(43) 중심에서 십자형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 중 일직선상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은 상기 지 지판(41)의 상면에 구비된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판(41)에 구비된 상기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은 상기 회전판(43)에 구비된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43)이 90°회전하여 상기 회전판(43)에 구비된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지지판(41)에 구비된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과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그러면 상기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을 따라 아래에서 설명할 가압어셈블리(50)가 상기 지지판(41)과 회전판(43)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정반(40)의 상면에는 가압어셈블리(50)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어셈블리(50)는 상기 패널(31)에 필름(30)을 가압하여 접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정반(40)의 상면에 2개가 서로 마주보며 구비된다. 상기 가압어셈블리(50)에는 가압본체부(51)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본체부(51)의 하면에는 가압본체이동부(53)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본체이동부(53)에는 상기 정반(40)의 내부에 구비된 동력장치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압어셈블리(50)가 소정거리만큼 이동하여 상기 필름(30)의 가압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압본체부(51)의 상부에는 상기 패널받침판(47)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 결부(5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5)의 선단에는 가압부 지지부(57)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 지지부(57)에서 상기 패널받침판(47)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가압부(59)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 지지부(57)의 내부에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랙과 피니언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압부(59)가 상기 패널받침판(47) 방향으로 상하이동한다.
상기 가압부(59)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프레스방식으로 상기 필름(30)의 양단을 눌러서 가압할 수도 있고, 상기 가압부(59)에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롤러가 상기 필름(30)의 양단을 가압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필름(30)과 패널(31)을 접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59)가 상기 패널받침판(47) 방향으로 상하이동하여 상기 필름(30)의 양단을 프레스 방식으로 눌러서 가압하거나 롤러가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상기 필름(30)과 패널(31)을 접합한다.
상기 가압부(59)에 의해 가압되는 필름(30)은 ITO필름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필름(30)에는 상기 패널(31)과의 사이에 전극이 구비되어 상기 필름(30)의 상면에 압력이 가해지면 전극의 접촉에 의해 전자신호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필름(30)과 패널(31)은 압력에 의해 전극이 접촉할 수 있도록 소정간격이 이격되게 접합되어야 한다.
상기 필름(30)과 패널(31)을 접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필름(30)의 테두리에 구비된 소정의 접착테잎이나 접착제를 사용한다. 상기 접착테잎이나 접착제가 도포 된 상기 필름(30)을 상기 가압부(59)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패널(31)과 접합시킨다.
상기 패널(31)이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정반(40)의 상방에는 상기 필름(30)을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이송어셈블리(60)가 구비된다.
상기 흡착이송어셈블리(60)에는 상기 필름(30) 등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흡착노즐유닛(70)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노즐유닛(70)에는 노즐본체(71)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본체(71)의 내부에는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흡착동력원(73)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동력원(73)에는 다수개의 진공룸(75)이 연결된다. 상기 진공룸(75)은 상기 흡착동력원(73)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의 흡착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노즐본체(71)의 하면에는 상기 필름(30)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관(77)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관(77)의 내부중심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라인(77a)(도7참고)이 형성되고, 상기 흡착관(77)의 선단에는 상기 흡입라인(77a)과 연결되는 흡착공(77b)이 형성된다. 상기 흡착관(77)의 흡입라인(77a)과 연결된 상기 흡착공(77b)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필름(30)이 흡착되어 이동된다.
상기 흡착관(77)에서 흡입라인(77a)과 흡착공(77b)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고정부(78)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78)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부(83)를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7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플런져(Ball Plunge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8)에는 돌출볼(78a)과 상기 돌출볼(78a)을 지지하는 볼탄성체(78b)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볼(78a)은 아래에서 설명할 볼수납홈(83a)에 안착되어 상기 체결부(83)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볼탄성체(78b)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상기 돌출볼(78a)이 선단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착공(77b)이 형성된 상기 흡착관(77)의 하면에는 가이드핀홀(79)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홀(79)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핀(85)이 삽입된다.
상기 흡착관(77)의 하면에는 흡착판(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착판(80)은 상기 흡착관(77)의 하면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넓이를 가지는 필름(30)을 흡착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판(80)에는 흡착본체(81)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본체(81)의 내부에는 상기 흡착관(77)의 흡착라인(77a)과 연통되는 흡착판 라인(81a)이 형성된다. 상기 흡착판 라인(81a)은 다수개의 가지로 분기되어 다수개의 분기흡착공(81b)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분기흡착공(81b)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흡착판 라인(81a)을 따라 상기 흡착관(77)의 흡입라인(77a)으로 이동한다.
상기 흡착판(80)의 상면에는 체결부(8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83)는 상기 흡착관(77)의 고정부(7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8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83)의 둘레에는 내부로 함입된 볼수납홈(83a)이 형성된다. 상기 볼수납홈(83a)에는 상기 흡착관(77)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부(78)의 돌출볼(78a)이 안착된다. 상기 돌출볼(78a)이 상기 볼수납홈(83a)에 안착되어 상기 흡착판(80)이 상기 흡착관(77)의 선단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83)의 둘레에는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밀폐링(83b)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밀폐링(83b)은 상기 흡착판(77)과 상기 흡착관(77) 사이를 밀폐하여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착판(80)의 상면에는 가이드핀(85)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핀(85)은 상기 흡착관(77)의 가이드핀홀(79)에 삽입되어 상기 흡착판(80)이 상기 흡착관(77)의 선단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을 구비한 상기 흡착이송어셈블리(60)에는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을 이송시키기 위한 흡착노즐 이송유닛(90)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노즐 이송유닛(90)은 도 2의 전방방향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흡착노즐 이송유닛(90)에는 본체프레임(91)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프레임(91)에는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이 연결된다. 상기 본체프레임(91)에는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을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93)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프레임(91)에는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95)가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부(95)는 상기 동력원(93)의 동력에 의해 랙과 피니언을 구동시켜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본체프레임(91)에는 상기 본체프레임(91)을 도 2의 전방방향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본체이동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이동부(100)는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의 흡착관(77)이 상기 정반(40)에 안착된 패널(3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평면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이동부(100)에는 상기 패널이송유닛(35)의 상방에서부터 상기 정반(40)의 상방까지 연장되게 구비되는 레일지지프레임(101)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지지프레임(101)의 상면에는 상기 레일지지프레임(101)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이동부 레일(103)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레일(103)과 접하는 상기 본체프레임(91)의 하면에는 레일홀더(105)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홀더(105)의 내부에는 상기 동력원(93)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이동부 레일(103)과 접하면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91)은 상기 이동부 레일(103)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본체프레임(91)에는 미세이동부(1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미세이동부(110)는 상기 본체이동부(100)에 의해 상기 정반(40)의 상면으로 이동된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의 위치를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세이동부(110)는 수치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와 공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을 도 2의 전방방향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정반(40)과 가압어셈블리(50)와 흡착이송어셈블리(60)는 중앙제어장치와 연결되어 각각의 작동이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필름(30)과 패널(31)이 상면에 안착된 패널이송유닛(35)이 상기 이송유닛레 일(33)을 따라 이동하여 정반(40)의 측방에 위치한다. 상기 패널(31)이 안착된 상기 패널이송유닛(35)의 상방에는 흡착이송어셈블리(60)가 위치한다.
상기 패널이송유닛(35)의 상면에 안착된 패널(31)은 별도의 장치나 인력에 의해 상기 정반(40)의 상면에 구비된 패널받침판(47)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패널(31)이 상기 패널받침판(47)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패널이송유닛(35)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필름(30)이 상기 흡착이송어셈블리(60)에 의해 상기 패널받침판(47)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흡착이송어셈블리(60)의 흡착노즐유닛(70)에 구비된 상하이동부(95)에 의해 상기 흡착관(77)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30)의 상면에 접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노즐유닛(70)에 구비된 흡착동력원(73)이 작동하여 상기 진공룸(75)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흡착동력원(7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진공룸(75)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상대적으로 상기 진공룸(75)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상기 흡착관(77)의 선단에 형성된 흡착공(77b)으로 공기가 빨려들어간다. 따라서 상기 흡착공(77b)에 상기 필름(30)이 접해 있으면 상기 진공룸(75)과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필름(30)이 상기 흡착관(77)의 선단에 흡착된다.
상기 흡착관(77)의 선단에 흡착판(80)을 설치하는 경우, 먼저 상기 흡착판(80)의 상면에 구비된 체결부(83)를 상기 흡착관(77)의 흡착공(77b)에 삽입시킨다. 상기 체결부(83)가 상기 흡착공(77b)에 삽입되면 상기 흡착관(77) 내부에 구비된 돌출볼(78a)이 상기 체결부(83)의 선단에 압착되어 내부로 함입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83)가 더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83)의 둘레에 구비된 볼수납홈(83a)에 상기 고정부(78)의 돌출볼(78a)이 다다르면 상기 돌출볼(78a)을 지지하는 볼탄성체(78b)가 상기 돌출볼(78a)을 돌출시켜 상기 돌출볼(78a)이 상기 볼수납홈(83a)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흡착판(80)과 상기 흡착관(77)이 고정된다.
상기 흡착판(80)이 상기 흡착관(77)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흡착동력원(73)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면 상기 흡착판(80)의 분기흡착공(81b)과 흡착판 라인(81a)과 흡입라인(77a)을 통해 공기가 빨려들어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흡착판(80)이 상기 필름(30)을 흡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필름(30)이 상기 흡착관(77)의 선단 또는 상기 흡착판(80)에 고정되면 상기 상하이동부(95)에 의해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흡착이송어셈블리(60)의 본체이동부(100)에 의해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이 상기 정반(40)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본체이동부(100)의 동력원(93)에 의해 구동되는 레일홀더(105) 내부의 롤러가 이동부레일(103)과 접하면서 회전한다.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이동부(100)가 이동부레일(10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이동부(1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이 상기 정반(40)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정반(40)의 상방에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이 위치하면 상기 상하이동부(95)가 다시 동작하여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흡착노 즐유닛(7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흡착관(77)의 선단 또는 상기 흡착판(80)에 흡착된 필름(30)이 상기 패널(31)의 상방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면 상기 상하이동부(95)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때 상기 본체이동부(100)의 미세이동부(110)에 의해 상기 필름(30)의 위치가 미세조정될 수 있다.
상기 필름(30)과 상기 패널(31)은 전기적 접촉에 의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널 구조이므로 상기 필름(30)은 상기 패널(31)의 일면과 0.2mm~0.4mm 정도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30)과 상기 패널(31)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에서 언급한 길이보다 더 짧으면 Newton Ring 현상이 발생하고 상기 이격거리에 비해 더 길면 배기불량이 발생하여 불량품이 생산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흡착관(77)은 상기 필름(30)을 흡착하여 상기 필름(30)과 상기 패널(31)이 접합되기 전까지 상기 필름과 상기 패널(31)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상기 패널(31)의 상방에 상기 필름(30)이 이격되어 위치되면, 상기 정반(40)의 지지판(41)에 안착되어 있는 가압어셈블리(50)가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정반(40)의 회전판(43)으로 이동한다.
상기 정반(40)의 상면에 마주보게 위치한 상기 가압어셈블리(50)는 상기 패널받침판(47)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필름(30)의 양단의 상방에 상기 가압어셈블리(50)의 가압부(59)가 각각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상기 가압부(59)가 상기 필름(30)의 양단의 상방에 위치하면 상기 가압부 지지부(57)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의해 랙과 피니언이 작동하여 상기 가압 부(59)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가압부(59)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프레스 방식으로 상기 필름(30)의 양단을 눌러서 가압하거나 롤러가 가압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필름(30)의 양단에 구비된 접착테잎 등이 상기 패널(31)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필름(30)은 상기 흡착관(77)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필름(30)과 상기 패널(31) 사이의 이격거리가 유지된 상태로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30)의 일단을 가압한 상기 가압부(59)는 다시 상방으로 원위치한다.
상기 필름(30)과 패널(31)이 접합되면 상기 흡착노즐유닛(70)의 흡착동력원(73)의 동작이 정지되어 상기 흡착관(77)의 흡착력이 소멸된다. 상기 흡착관(77)의 흡착력이 소멸되면 상기 필름(30)이 상기 흡착관(77)의 선단 또는 상기 흡착판(80)에서 이탈된다. 상기 필름(30)이 이탈된 상기 흡착관(77)은 상기 상하이동부(95)에 의해 상방으로 원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정반(40)의 상면에 마주보게 구비된 상기 가압어셈블리(50)에 의해 상기 필름(30)의 양단이 가압되면, 상기 가압어셈블리(50)는 상기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을 따라 이동하여 다시 상기 지지판(41)의 상면으로 이동한다.
상기 가압어셈블리(50)가 상기 지지판(41)의 상면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판(43)이 90°회전하여 상기 필름(30)과 패널(31)이 접합되지 않은 양단이 상기 가압어셈블리(50)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필름(30) 및 패널(31)의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필름(30) 및 패널(31)의 위치가 조정되면 다시 상기 가압어셈블리(50)가 상기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49)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필름(30) 및 패널(31)의 가압되지 않은 양단을 가압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필름(30) 및 패널(31)의 테두리가 모두 접합된다.
상기 필름(30)이 접합된 패널(31)은 별도의 장치나 인력에 의해 상기 패널이송유닛(35)으로 이동되고 상기 패널이송유닛(35)은 다음 단계 공정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어셈블리가 정반에 구비된 경우를 언급하고 있으나 가압어셈블리가 흡착이송어셈블리와 일체로 구성되는 종래 기술의 경우도 포함한다. 다시말해, 정반에 구비된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이 흡착이송어셈블리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에 가압본체이동부가 연결되어 상기 가압어셈블리가 상기 흡착이송어셈블리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흡착노즐유닛에 구비되는 상하이동부에 의해 흡착관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패널과 필름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패널과 필름을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과 필름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Newton Ring현상이나 배기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불량품 발생률이 저하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가압어셈블리가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패널 및 필 름의 가압위치를 조정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패널과 필름을 접합시킬 수 있어 적용성이 확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반의 회전판에 의해 패널이 안착되는 패널받침판이 회전하므로 패널과 필름의 양단을 접합한 후 패널받침판을 회전시켜 나머지 양단을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패널필름 접합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한번의 공정으로 패널과 필름의 테두리를 모두 접합할 수 있으므로 제작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패널이 안착되는 정반과;
    상기 정반의 상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패널과 필름을 가압하여 접합시키는 가압어셈블리와;
    상기 정반의 상방에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패널에 접합되는 상기 필름을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이송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어셈블리는;
    가압본체부와;
    상기 가압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정반의 상면에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본체이동부와;
    상기 가압본체부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과 상기 패널을 가압하여 접합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필름을 눌러서 가압하여 상기 패널과 접합시키는 프레스방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에 구비되는 롤러가 상기 필름을 누르면서 회전하여 상기 패널과 접합시키는 롤러회전방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이송어셈블리는;
    상기 필름을 흡착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필름을 흡착하는 흡착노즐유닛과;
    상기 흡착노즐유닛을 전후좌우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착노즐 이송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노즐유닛은;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본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착동력원과;
    상기 노즐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흡착동력원에 의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진공룸과;
    상기 노즐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진공룸에 의해 발생한 흡착력에 의해 상기 필름을 흡착하는 흡착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노즐유닛에는,
    상기 흡착관의 선단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흡착관의 밑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름을 흡착하는 흡착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노즐 이송유닛은,
    상기 흡착노즐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해 수치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노즐 이송유닛은;
    상기 흡착노즐유닛을 상기 패널이 이송되는 패널이송유닛에서부터 상기 정반의 상방까지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본체이송부와;
    상기 흡착노즐유닛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와;
    상기 흡착노즐유닛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패널의 상방에 정위치시키는 미세이동부와;
    상기 본체이송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와 상기 미세이동부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상기 정반에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패널의 안착위치를 회전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지지판 및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본체이동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딩하여 상기 지지판 및 상기 회전판의 상면을 일직선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압어셈블리 이동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
  11. 필름을 패널에 접합시키는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관에 구비되고,
    상기 흡착관의 저면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흡착본체와,
    상기 흡착관에 구비된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흡착본체를 상기 흡착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
  12. 제11항에 있어서, 흡착본체에는,
    상기 흡착관에 형성된 흡입라인과 상기 흡착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기흡착공을 연통시키는 흡착판 라인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본체에는,
    상기 흡착관에 형성된 가이드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흡착판의 체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본체에는,
    상기 흡착관과 상기 흡착본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흡착관의 고정부와 볼플런져방식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
KR1020070039002A 2007-04-20 2007-04-20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 KR100841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002A KR100841783B1 (ko) 2007-04-20 2007-04-20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002A KR100841783B1 (ko) 2007-04-20 2007-04-20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357A true KR20070075357A (ko) 2007-07-18
KR100841783B1 KR100841783B1 (ko) 2008-06-27

Family

ID=3850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002A KR100841783B1 (ko) 2007-04-20 2007-04-20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840B1 (ko) * 2012-09-25 2012-12-27 정재연 그라파이트시트의 접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7888A (ja) 2003-03-24 2004-10-14 Kawaguchiko Seimitsu Co Ltd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537295B1 (ko) * 2003-11-24 2005-12-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편광판 부착장치
KR20050058649A (ko) * 2003-12-12 2005-06-17 한동희 평판표시소자용 본딩시스템
KR100593495B1 (ko) * 2004-09-02 2006-06-30 (주)와이티에스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용 편광필름 부착장치
KR20060067449A (ko) * 2004-12-15 2006-06-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판넬 부착 방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840B1 (ko) * 2012-09-25 2012-12-27 정재연 그라파이트시트의 접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783B1 (ko) 200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7622C (zh) 粘结卡盘装置
KR101859456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용 접합 장치
KR101631028B1 (ko) 디스플레이용 합착 장치
KR20140010919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JP5654155B1 (ja) ワーク貼り合わせ装置
CN105572925A (zh) 一种基板承载装置
WO2008041293A1 (fr) Procédé de transfert de pièce, dispositif à mandrin électrostatique et procédé de jonction de carte
WO2019109437A1 (zh) 保护膜贴合装置及贴合方法
CN108665808A (zh) 柔性面板贴合装置及柔性面板贴合方法
JP2003295781A (ja) 貼り合わせ装置及び駆動方法
JP6336369B2 (ja) カバーガラスの貼合装置
JP2019008258A (ja) 保持装置、位置決め装置及び貼合装置
KR101397094B1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라미네이팅 방법
TW201607764A (zh) 積層體之剝離裝置及剝離方法、與電子裝置之製造方法
JP2005258325A (ja) 貼合せ基板製造装置及び貼合せ基板製造方法
KR101297240B1 (ko)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지그 장치
KR100841783B1 (ko) 패널필름 접합장치 및 패널필름 접합장치의 흡착판
JP2011194607A (ja) 基板貼合装置
KR101539287B1 (ko) 터치 패널용 기판 부착장치
KR101493443B1 (ko) 패널 부착장치
KR101689057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 방법
KR10169548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용 접합 장치
KR101126685B1 (ko)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101404057B1 (ko) 기판 합착 장치용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기판 합착 장치 및 방법
CN107193140A (zh) 一种薄膜压合装置及压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