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828A - 압축 공기와 그 외의 다른 가스 매체를 위한 드라이어 유닛 - Google Patents

압축 공기와 그 외의 다른 가스 매체를 위한 드라이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828A
KR20070073828A KR1020077009619A KR20077009619A KR20070073828A KR 20070073828 A KR20070073828 A KR 20070073828A KR 1020077009619 A KR1020077009619 A KR 1020077009619A KR 20077009619 A KR20077009619 A KR 20077009619A KR 20070073828 A KR20070073828 A KR 2007007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unit
air
cyclone
housing
sid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프레드 데우블레르
발레리우 피스처
Original Assignee
두르 덴탈 게엠베하 & 씨오. 케이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410048438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4048438A1/de
Application filed by 두르 덴탈 게엠베하 & 씨오. 케이쥐이 filed Critical 두르 덴탈 게엠베하 & 씨오. 케이쥐이
Publication of KR2007007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8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32More than two tube sheets for one bu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8Drying gases or vapour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17Compressed air water remov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rying Of Gas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yclon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압축 공기를 위한 수직적으로 안내된 드라이어 유닛(10)는 하우징(16, 18, 20)과 함께 입구 헤드 영역(92)과 배출 헤드 영역(72)을 형성하는 드라이어 유닛 카트리지(22)를 포함한다. 복수의 중공 멤브레인 섬유(30)들은 2개의 헤드 영역 사이의 카트리지 내측부로 신장되며, 상기 멤브레인 섬유의 벽은 공기보다 수증기에 대하여 보다 더 투과성이 있는 벽 재료로 되어 있다. 배출 밸브(90)가 배출 헤드 영역(72)과 드라이어 유닛의 배출구(74)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밸브는 배출 헤드 영역(72) 내의 압력이 퍼징 공기의 공급을 위해 충분한 압력을 제공될 때만 개방된다. 퍼징 공기는 스로틀 요소(70)를 경유하여 멤브레인 섬유들(30)의 외부 표면으로 공급된다.

Description

압축 공기와 그 외의 다른 가스 매체를 위한 드라이어 유닛{DRYER UNIT FOR COMPRESSED AIR AND OTHER GASEOUS MEDIA}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서의 전제부에 따라 압축 공기와 그 외의 다른 가스 매체를 위한 드라이어 유닛에 관련한 것이다.
건식 압축 공기는 의료 및 치과 목적을 위해 특히 필요하다. 이에 상응하는 압축 공기 장치는 압축기의 출력부에 제공된 압축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 유닛을 사용한다.
오직 수증기만을 투과할 수 있는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드라이어 유닛이 공지되며, 물은 상기 드라이어 유닛에서 압축 공기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멤브레인 상에서 작동하는 상기 드라이어 유닛은 연속 작동에만 효율적으로 작동한다. 높은 증기 함유량을 가진 공기는 중공 섬유 멤브레인을 통하여 이동하며 증기 비율은 섬유 벽을 관통한다. 생성된 상기 수증기는 건조 공기의 일부분을 사용하는 드라이어 유닛의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건조 공기는 스로틀 지점을 경유하여 드라이어 유닛의 출력부에서 획득된 많은 양의 공기로부터 분기된다.
시작 단계에서, 많은 양의 모이스처가 유입되지만, 시스템 내의 압력이 우선 형성되어야 함에 따라 사용 가능한 충분한 정화 공기가 제공되지 않는다. 결과로서, 수증기는 멤브레인 섬유의 외측부 어느 하나로부터 충분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설치의 시작 단계에서, 높은 물 함유량(높은 이슬점)을 가진 공기는 압력 탱크에 제공된다.
정확하게, 의료 분야와 치과 분야에서 사용되는 압축 공기 발생기 유닛은 매우 불규칙하게 사용되고, 그 결과 자주 스위치가 온 오프 되어, 전술된 단점은 심각하다.
본 발명은 하기 실례의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치과분야의 실시를 위한 압축 공기 장치에 있어 설치된 압축 공기 드라이어 유닛을 통하는 축 방향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에 수직한 평면도의 도 1에서 도시된 드라이어 유닛을 통한 추가적인 축 방향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 유닛의 하부 헤드 부분의 확장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 유닛의 상부 헤드 부분의 확장된 도면.
도 5와 도 6은 드라이어 유닛과 압축 공기 저장 탱크의 다운 스트림 사이 흐름 연결부 조절 시스템의 변형물들이 도시된 도 4와 유사한 도면.
도 7과 도 8은 수정된 드라이어 유닛이 표시된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9는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드라이어 유닛의 상부 헤드 부분의 확장도.
도 10은 헤드 부분의 추가적인 변형물이 도시된 도 9와 유사한 도면.
도 11은 도 7과 도 8에 따르는 드라이어 유닛의 하부 헤드 부분의 확장된 도면.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연합 필터가 외측으로부터 내부를 향한 통류를 가지는 도 7과 유사한 도면.
도 13은 추가적인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연합 필터에 대한 흐름은 회전하며 대칭적으로 발생하는 도 12에 유사한 도면.
그러므로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작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더 효율적으로 수증기를 분리하도록 하는 드라이어 유닛을 개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서 명시된 특징 등을 가지는 드라이어 유닛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드라이어 유닛에 있어서, 시작 단계에서, 하우징 및 압축 공기 저장 탱크의 출구 측부 헤드 공간과 이들을 안내하는 라인 사이에서 감소된 흐름 연결만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구현되는 효과는 드라이어 유닛 내의 압력은 매우 빠르게 형성되어, 멤브레인 섬유의 외측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퍼징 공기는 빠르게 이용가능하며, 이와 같이 드라이어 유닛 내의 바람직한 작동 조건들이 빠르게 실현된다.
그 뒤, 드라이어 유닛이 정상 상태(steady state)에 도달했을 때, 압축 공기 저장 탱크로의 흐름 연결부는 완전하게 또는 점점 자유스러워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로운 개선사항은 종속항에 상술된다.
제 2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개선사항은 드라이어 유닛과 압축 공기 저장 탱크 사이의 흐름 연결이 점차로 자유스러워 지게 한다. 결과로서, 압축 공기 저장 탱크의 빠른 보충이 일어나며, 반면에 전술된 단점의 결과가 되는 드라이어 유닛 내에 상대적으로 큰 압력 강하가 방지된다.
제 3 항에 따라, 배출구 측부 헤드 공간 내에 퍼져 있는 압력의 기능으로써 배출구 스로틀 개구부 횡단면의 조절은 바람직하게 영향받을 수 있다. 방출된 퍼징 공기의 모이스처 함유량 기능으로써 또는 기준 시간(time basis)상의 스로틀 조절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또한 조절의 여러 가지 형태들이 조합되어 사용 될 수 있다.
제 4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개선사항으로써, 배출구 측부 헤드 공간 내의 압력이 용이하게 사전 결정된 압력 이하로 강하하지 않는다.
제 5 항에 따라 배출 밸브가 디자인되는 경우, 특히 간단한 기하적인 배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밸브로, 입구 측부 상에 가압된 표면과 배출구 측부의 동일한 측부 상에 조절 요소의 배출 측부 상에 가압된 표면을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조절된 매체의 압력에 의해 조절 요소가 개방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는 정상 상태에서 작동하는 조건 하에서 배출 밸브의 큰 통류 횡단면을 확보한다.
제 5 항과 제 6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개선사항은 간단하고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배출 밸브의 구조에 대해 유리하다.
또한 제 8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개선사항에 있어서, 드라이어 유닛 배출구 측부 헤드 공간 내의 압력이 최소값 이하로 강하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또한 제 8 항에 따르는 드라이어 유닛에 있어서, 전자적 기준 수치 발생기(electronic reference value generator)의 조절에 의해 간단한 방법으로 배출 밸브의 스위칭 포인트 변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계적인 간섭 없이 드라이어 유닛을 명확한 작동 조건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모이스처의 공기 흡입, 여러 다른 멤브레인 섬유의 사용, 공기 드라잉(drying) 수준에 배치되는 여러 다른 요구사항 등이다.
또한 제 8 항에 따르는 드라이어 유닛에 있어서, 드라이어 유닛과 압축 공기 저장 탱크 사이의 흐름 경로가 점차로 자유스럽게 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진동 모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고 개방 시간과 폐쇄 시간 사이의 관계를 조절함에 의한 것이며, 상기 시간은 간단한 방법과 드라이어 유닛 내의 기계적인 간섭 없이 공지된 전자적 수단들로 가능하다.
밸브 듀티 팩터(valve duty factor)의 조절은 배출구 측부 헤드 공간 내 압력의 기능으로서 가능하며, 기준 시간으로 또는 방출된 퍼징 공기의 모이스처 함유량의 기능으로서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조절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공기가 매우 높은 비율의 모이스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압축기 배출구의 다운 스트림(downstream)에 연결된 쿨러를 지난 후 공기 내의 액체비율은 미세한 물방울 또는 에어로졸의 형성을 촉진한다. 전형적으로, 멤브레인 섬유들은 자체 내측부에 특별한 코팅이 제공되며, 상기 코팅은 선택적으로 물 분자에 투과성이 있다. 성질상 상기 코팅들은 물에 녹을 수 있다. 물방울 또는 에어로졸이 코팅에 접촉한 경우 코팅이 손상될 수 있으며, 이에 드라이어 유닛은 영구적으로 손상된다.
제 9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개선사항에 있어서, 입구에서 미리 응축된 압축 공기를 포함하는 액체 비율이 공급된 공기로부터 안정적으로 및 간단하게 분리되도록 보장한다.
이 경우, 제 10 항에 따르는 드라이어 유닛에 있어서, 실제 드라이어 유닛과 사이클론은 밀집한 유닛을 형성하며, 이는 공간 요구 사항 및 조립체 작동의 회피에 대하여 유리하다. 드라이어 유닛, 물 분리기 및 열 교환기는 수직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멤브레인 유닛 앞 액체의 축적은 회피된다. 형성된 물방울의 응축이 중력에 의해 하부 방향 수집 섬프(sump)로 이동된다.
제 11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개선사항은 사이클론에 의해 이동된 공기로 재차 반출됨이 없이, 사이클론 섬프로 확실히 강하하는 큰 물방울을 형성하기 위해 사이클론 결합체에서 물이 분리되는 사실에 대하여 유리하다.
제 12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전개부는 드립 요소의 간단한 장착에 대하여 유리하다.
제 13 항에서 명기된 배수 요소와 사이클론 주위 벽 사이의 결합 형태는 사출 성형 부분으로부터의 간단한 생산에 대하여 유리하다.
제 14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전개부와 함께, 압축 공기 내에 응축된 작은 액체 비율의 추가적으로 향상된 사전 분리가 초래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비율이 액체 리테이닝 필터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고려되는 상태의 목적을 위하여, 제 15 항에서 특정된 액체 리테이닝 필터 재료들은 이러한 경우에 특히 성공적으로 나타난다.
제 16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전개부는 액체 리테이닝 필터 내에 남아 있는 액체비율로부터 형성된 액체 물방울이 조절된 방식으로 사이클론의 수집 섬프로 이르게 되는 효과가 실현된다.
또한, 제 17 항에 특정된 방법이 물방울 상태의 비율과 멤브레인 섬유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 내의 에어로졸 비율을 피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입구 측부 헤드 공간 내에 배열된 열 교환기에 의해 증기 형태로 전환된다.
멤브레인 섬유들로 제공된 압축 공기에 특히 긴밀한 접촉은 제 18 항에 특정된 열 교환기의 배열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 19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전개부는 멤브레인 섬유에 제공되는 압축 공기로의 효율이 좋은 열 전달에 대하여 유리하다. 제 19 항에 특정된 바와 같은 열 교환기는 조밀하고 큰 열 교환 표면을 가진다.
또한, 제 20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전개부는 멤브레인 섬유로 제공된 압축 공기로의 효율이 좋은 열 전달에 대하여 유리하다.
제 21 항에서 특정된 드라이어 유닛의 하우징 구조는 간단한 유지와 활성 드라이어 매체의 간단한 교환에 유리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 제 22 항에 따르는 전개부로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되는 효과는 카트리지가 멤브레인 섬유들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며, 2개의 헤드 공간에 요구된 밀봉 벽들이 획득되는 것이며, 상기 멤브레인 섬유는 매우 강성화 되지 않는다.
제 23 항에 따라, 멤브레인 섬유들을 안정화하는 카트리지 하우징은 퍼징 공기 챔버의 경계로써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퍼징 공기 챔버는 멤브레인 섬유를 둘러싸고, 상기 퍼징 공기 챔버를 통하여 퍼징 공기가 지난다.
제 24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전개부는 간단하고 적합한 밀봉에 대하여 유리하며, 상기 밀봉은 카트리지가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밀봉된다.
제 25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전개부는,한편으로는, 하우징의 메인 유닛 중간 부분의 수평 정렬에 대하여 유리하다. 게다가, 상기 수평 정렬은 카트리지와 하우징 사이의 밀봉 링들의 끼워 맞춤을 촉진한다.
제 26 항에 따르는 드라이어 유닛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 부분의 연결 지점들 중 어느 한 지점은 퍼징 공기를 위한 환형 배출 슬롯을 동시에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멤브레인 섬유 번들 내의 퍼징 공기 흐름의 일정한 분포는 매우 간단한 기계적인 수단들로 얻어진다.
제 27 항에 따라서, 하우징의 메인 유닛 중간 부분 내에 제공된 연결 링들은 밀봉 링들을 위하여 지지 링들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가 드라이어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밀봉되는 것에 의한다.
제 28 항에 따라서, 카트리지의 퍼징 공기 입구와 배출 측부 헤드 공간에 연결된 스로틀 사이의 연결은 간단한 방식으로 얻어진다. 드라이어 유닛 하우징의 여러 다른 주요 구성체가 함께 연결될 때 흐름 연결은 자동적으로 구현된다.
또한, 제 29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전개부는 균일성이 좋은 퍼징 공기 분포를 위해 제공된다. 이와 같이, 퍼징 공기의 보다 나은 이용과 이용가능한 드라이된 공기의 보다 높은 생성이 구현된다.
제 30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전개부는 공기의 양호한 모델과 연합 필터 상에 형성된 물방울의 양호한 이격에 대해서 유리하다.
제 31 항에 따르는 드라이어 유닛에 있어서, 사이클론 효과가 연합 필터의 내부에 얻어지지 않게 보장된다. 그 결과로, 존재가능한 작은 물방울을 포함되는 공기 내에 함유된 모이스처는 필터 재료를 통하여 이동되며, 연합 필터의 외측부 상에 보다 큰 물방울로 연합되어 방출되며, 상기 모이스처는 수집 용기로 이동될 수 있다.
제 32 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전개부는 공기엥 의해 반출된 작은 물방울은 천천히 이동하는 공기에 기인된 중력의 영향 하에서 연합 필터의 다운 스트림에서 분리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술한 수집 용기 내로 강하된다.
제 33 항에 따르는 드라이어 유닛에 있어서, 올바른 작동이 간단한 방법으로 시각적으로 모니터 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 34 항에 따르는 모이스처 신호 디스크의 관측이 특히 명확하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드라이어 유닛(dryer unit)이 도면부호(10)에 의해 전체적으로 지시되며(denoted), 상기 드라이어 유닛은 압축기(12)로부터 공기를 수용하고 대체로 습기가 없는 압축 공기를 압축 공기 저장 탱크(14)로 운반한다.
드라이어 유닛(10)은 각각 하부 헤드 피스(head piece, 18)와 상부 헤드 피스(20)에 의해 단부가 폐쇄된 원통형 하우징(housing, 16)을 포함한다. 도면부호(22)에 의해 전체적으로 지시된 드라이어 유닛 카트리지(cartridge)는 하우징 부분(16) 내부에 배열되고, 하우징 부분의 단부는 헤드 피스(18, 20) 내로 돌출된다.
보통, 카트리지는 홀딩 플레이트(26, 28)에 의해 단부에서 폐쇄된 원통형 카트리지 슬리브(24)를 포함한다. 멤브레인 섬유(membrane fibres, 30)의 단부들이 개방되도록 수많은 중공 멤브레인 섬유(30)의 단부들이 홀딩 플레이트(26, 28)에 정확히 박혀있다.
실제로는 멤브레인 섬유는 폴리에테르설폰 PES 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 PEI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멤브레인 섬유의 직경은 100 ㎛ 내지 3000 ㎛범위가 될 수 있으며, 멤브레인 섬유의 벽 두께는 20 ㎛ 내지 1000 ㎛가 될 수 있다.
멤브레인 섬유(30)의 벽 재료가 수증기에 대한 높은 비투자율(specific permeability)을 가지기 위해, 멤브레인 섬유(30)의 내측부는 코팅의 성질로 인한 높은 친수성을 가진 코팅이 제공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또한 멤브레인 섬유는 수용성이다.
예를 들어, 멤브레인 섬유 번들의 단부들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영역에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홀딩 플레이트(26, 28)를 제조하고, 멤브레인 섬유(30)를 이에 일치하는 번들 내로 결합으로써, 드라이어 카트리지(22)는 제조된다. 그 뒤 멤브레인 섬유(30)들은 홀딩 플레이트(26, 28)의 단부에서 절단되며 이에 따라 상기 멤브레인 섬유들의 내부는 자유롭게 접근되도록 유지된다.
각각의 헤드 피스(18, 20)들은 각각 원통형 스커트(skirt) 부분(32, 34)을 가지며, 상기 원통형 스커트 부분은 원통형 하우징 부분(16)에 들어 맞는다.
연결 링(36, 38)들은 스커트 부분(32)과 원통형 하우징 부분 (16)사이 또는 하우징 부분(16)의 2 부분(60, 62) 사이의 접합부에 제공된다. 특히, 도 3과 도 4에서 도시될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링들은 T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링들은 외부로 돌출되는 중심 플랜지(42, 44)를 가지고, 스커트 부분(32)의 마주보는 단부 면들과 하우징 부분(16) 사이 또는 부분(60, 62)들 사이에 설치된다.
도면으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슬리브(24)는 하우징 부(16)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환형 공간(46)이 구현된다.
도 3으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링(36)은 주위 방향으로 분포된 외부 방향 개방 그루부(groove, 48)들을 가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환형 공간(46)을 위한 하부 배출 슬롯이 얻어진다.
환형 공간(46)은 주위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된 4개의 개구부(50)들을 경유하는 카트리지 슬리브(24)의 내부로 연결되고, 카트리지 슬리브(24)의 하부 부분에 제공된다. 이와 유사하게, 주위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된 4개의 개구부(52)들은 카트리지 슬리브(24) 상부 부분에 제공된다.
드라이어 유닛 카트리지(22)는 헤드 피스(18, 20)들과 하우징 부분(16)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내에 3개의 밀봉 링들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하부 밀봉 링(54)은 카트리지 슬리브(24)의 하부 단부로부터 이격된 헤드 피스(18)의 스커트 부분(32)을 밀봉한다.
최상부 밀봉 링(56)은 상부 헤드 피스(20)로부터 이격된 카트리지 슬리브(24)의 상부 단부를 상기와 유사하게 밀봉한다.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밀봉 링(54, 56)들은 개구부(50, 52)들을 지나 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추가적인 밀봉 링(58)은 개구부(52) 아래에 제공되며, 하우징 부(16)로부터 이격된 재차 카트리지 슬리브(24)의 외부 표면을 밀봉한다.
상기 밀봉 링을 끼워 맞춤 가능케 하기 위하여, 카트리지 슬리브(24)는 밀봉 링의 약간 하부에서 분할되며, 상부 연결 링(38)은 하우징 부분(16)의 메인 세그먼트(62)와 상부 세그먼트 단부(60) 사이의 연결부에 배열된다.
밀봉 링(56, 58)들 사이에 배열되고, 개구부(52)들에 연결된 환형 공간(46)의 축 부는 상부 헤드 피스(20) 내부에서 채널(64)과 참조 부호로 명확하게 제공되지 않은 하우징 경로를 경유하여 노즐 나사(nozzle screw, 68)의 중앙 보어(bore, 66)에 연결된다. 노즐 나사(68)는 도면부호 (70)으로 표시된 스로틀(throttle) 보어를 가지며, 상기 스로틀 보어는 상부 헤드 피스(20) 내부의 상부 헤드 공간(72)에 연결된다. 상기 헤드 공간(72)은 헤드 피스(20)와 상부 홀딩 플레이트(28)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또한 굽어진 출구 채널(74)은 상부 헤드 피스(20) 내에 제공되며, 상기 출구 채널은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배열된 파이프 스터브(pipe stub, 76)를 포함한다. 파이프 스터브(76)는 밸브 멤브레인(78)으로 구성된 상부 단부 면으로 밸브 시트(valve seat)를 형성한다. 상기 밸브 멤브레인은 원형이고, 파이프 스터브(76)와 함께 동축으로 배열된다.
밸브 멤브레인(78)은 헤드 피스(20)의 상부 측부와 밸브 하우징(80) 사이에 클램프 고정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은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 헤드 피스(20)에 연결된다.
밸브 하우징(80)은 스프링 챔버(84)와 함께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챔버는 통기 개구부(vent opening, 82)를 경유하여 주위에 연결되며, 상기 밸브 하우징은 나선형 스프링(86)을 수용한다. 나선형 스프링의 하부 단부는 둥근 스프링 대(88)를 경유하여 밸브 멤브레인(78)의 상부 측부 상에서 작동한다.
상기 전술된 요소들(78 내지 88)을 포함하는 드라이어 유닛의 배출 밸브(90)가 퍼징 공기의 충분한 양이 스로틀 보어(70)를 경유하는 카트리지 슬리브(24)의 상부 개구부들(52)에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는 압력에 개방되도록 나선형 스프링(86)의 세기가 선택된다. 이에 퍼징 공기가 멤브레인 섬유(30) 사이 아래 방향으로 카트리지 슬리브(24)의 내부에서 흐르고, 개구부(50)들을 통하는 하부에 카트리지 슬리브(24)를 지나고, 하부 연결 링(36)에 위치한 환형 배출 슬롯을 통하는 드라이어 유닛의 하우징을 지난다.
드라이어 유닛 카트리지(22)의 하부 홀딩 플레이트(26)는 하부 헤드 피스(18)와 함께 하부 헤드 공간(92)의 경계를 정한다. 헤드 공간의 축은 교차하는 열 교환기를 가로 방향으로 배열하기 위하여, 하부 헤드 공간(72)은 상부 헤드 공간(72)보다 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가진다. 열 교환기(94)는 중앙 수평 열 교환기 파이프(96)를 포함하며, 수직으로 배향된 가로 방향 열 교환기 립(98)은 열 교환기 파이프(96) 상에 배열된다.
고려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열 교환기(94)는 하부 헤드 피스(18)와 더불어 어느 한 피스에 위치된다. 그러나, 또한 열 교환기(94)는 특히 열 전도가 좋은 금속으로부터 제조되는 개별적인 금속부분으로 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0)에 의해 전체로써 표시된 사이클론(cyclone)(특히, 도 3 참조)이 하부 헤드 피스(18)의 하부 측부에 배열된다.
사이클론은 실질적으로 컵 형태의 하우징(102)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매달려 있는 상태하에서 헤드 피스(18)의 스커트(104)가 들어 맞는 하우징 상부 단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사이클론은 밀봉(106)에 의해 상기 스커트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밀봉된다.
사이클론 부분(108)은 하우징(102)으로 삽입된다. 상기 사이클론 부분은 사이클론 벽(110)과 상부 단부 벽(112)을 가지며, 상기 사이클론 벽은 주위 방향으로 지나가고, 상기 상부 단부 벽은 얇은 프러스토코니컬 디쉬(frustoconical dish)처럼 형성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벽(110)의 축은 드라이어 유닛 축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되어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축들 사이의 거리는 도면의 (d)로 표시된다.
각을 형성하는 입구 채널(154)이 사이클론 부(108)의 하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입구 채널은 사이클론 부(108)의 입구 스터브(114)로 연결된다. 입구 스터브(114)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클론 입구 채널은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지나가며, 사이클론 벽(110)의 내부 표면을 향해 접선 방향으로 개방된다.
원통형 칸막이 벽(116)은 사이클론 부(108)의 단부 벽(112)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걸려있으며, 상기 원통형 칸막이 벽은 사이클론 부(108)의 배출 채널(118)의 경계를 형성한다.
복수의 탄성 홀딩 핑거(elastic holding finger, 120)가 사이클론 벽(110)의 하부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탄성 홀딩 핑거는 주위 방향으로 분포되고 내부로 향하는 홀딩 러그(holding lug, 122)가 탄성 홀딩 핑거 단부에 제공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핑거(120)는 볼록하게 굽은 드립 디스크(drip disk, 124)의 변부와 함께 구성된다. 홀딩 핑거(120)들 사이에 놓인 오목부에 드립 디스크가 연결됨으로써 드립 디스크 변부에서 드립 디스크(124)는 돌출하는 톱니(teeth, 126)를 가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드립 러그(124)는 사이클론 벽(110)의 하부 변부에 의해 회전적으로 잠금되는 방식이지만 축 방향으로 대체될수 있는 상태로 수용된다. 드립 디스크(124)는 래칭(latching)에 의해 사이클론 부(108)로 부착될 수 있다.
분리된 액체를 위한 섬프(sump, 128)가 사이클론 하우징(102)의 최저부에 제공된다. 상기 섬프는 페그 형태(peg-shape)의 배출 부속품(130)을 경유하여 배출 스터브(132)에 연결된다. 배출 조립부(130)는 중심 채널을 가지며, 상기 중심 채널은 배출 조립부(130)의 감소된 직경 단부 면으로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다. 상기 외부 개방구는 밸브 디스크(134)와 함께 밸브 시트를 형성한다. 밸브 디스크는 플로트(float, 136)에 의해 매개되며, 상기 플로트는 배출 부속품(130)의 감소된 직경 안내부 상에 축 방향으로 대체적으로 배열된다.
필터 챔버(140)는 사이클론 하우징(102)의 상부 단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필터 챔버는 매우 작은 액체 방울과 에어로졸을 위한 리테이닝 필터(retaining filter, 142)를 보유한 상태로 배열된다. 리테이닝 필터(142)의 필터 재료는 소수 정 부직 재료(hydrophobic nonwoven material) 또는 소수성 소결된 재 료(hydrophobic sintered material)이다.
리테이닝 필터(142) 내에 보유되는 액체 비율은 리테이닝 필터(142)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강하하여 단부 벽(112)에 의해 형성된 디쉬로 주입된다. 디쉬로부터 액체는 디쉬 최저부 내에 제공된 배출 개구부(144)를 지나 환형의 공간으로 들어가며, 상기 환형 공간은 사이클론 부(108)의 외부 표면과 사이클론 하우징(102)의 내부 벽 사이에 위치된다. 환상 공간에서 떨어지는 액체는 기울어진 최저부 표면(146)을 경유하여 섬프(128)로 지나간다. 도면으로부터 보여 지는 바와 같이, 드라이어 유닛이 설치될 때, 열 교환기(94)에 연결된 입구(148)가 압축기(12)의 배출구에 연결된다.
드라이어 유닛의 중간 배출구(150)는 층상 쿨러(152)의 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중간 배출구는 열 교환기(94)의 배출구에 연결된다. 층상 쿨러의 개구부는 사이클론(100)의 입구 채널(154)로 연결된다.
전술된 드라이어 유닛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압축기(12)가 오프 스위치(switched off)될 때, 우선 압축 공기 저장 탱크(14)는 드라이어 유닛(10)의 내부로부터 분리되고, 이는 드라이어 유닛(10)의 내부 공간이 가압되지 않으며 이러한 상태 하에서 나선형 스프링(86)의 하중은 파이프 스터브(76)의 상부 측부와 고정적으로 접촉하는 밸브 멤브레인(78)을 유지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압축기(12)가 다시 온 스위치(switched on)될 때, 우선 압력이 드라이어 유닛 내부로 모인다. 상부 헤드 공간(20) 안의 모인 압력으로, 퍼징 공기는 이미 스로틀 보어(70)를 경유하고 카트리지 슬리브(24)의 내부를 통하여 흐른다. 상기 퍼징 공기는 멤브레인 섬유(30) 사이에서 위치된 습기를 반출한다.
밸브 멤브레인(78)에 적용된 총 압력으로 인해 나선형 스프링(86)의 하중이 극복되도록 상부 헤드 공간(72) 안의 압력이 밸브에 도달할 때, 흐름 연결부(flow connection)가 상부 헤드 공간(72)과 압축 공기 저장 탱크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된다. 상부 헤드 공간과 압축 공기 저장 탱크 사이로부터, 건조된 공기는 드라이어 유닛(10)에 의해 압축 공기 저장 탱크(14)로 이동된다. 모이스처를 포함하는 공기가 멤브레인 섬유(30)를 통하여 지날때, 수증기 비율은 섬유 벽을 통하여 흐르며, 이에 이동된 공기는 잘 건조된 적은 양의 물 함량을 가진다.
상부 헤드 공간(72)에 도달된 건조 공기 양의 사전 결정된 비율은 스로트 보어(70)를 경유하여 제거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 공기는 수증기 비율을 퍼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수증기는 카트리지 슬리브(24)와 드라이어 유닛로부터 멤브레인 섬유(30)의 벽을 통하여 지나간다.
압축기(12)에 의해 제공된 압축 공기는 높은 온도(100℃보다 상대적으로 큼)이고, 열 교환기(94)를 통해 공기가 흘러갈 때 하부 헤드 공간(92)을 통한 압축 공기의 흐름으로 다소의 열을 방출한다. 예를 들면, 사이클론(100)과 리테이닝 필터(142)의 흐름에 따라 압축 공기에 잔존하는 농축된 액체 비율이 공급된 열에 의해 증기 비율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멤브레인 섬유의 코팅에 손상을 주는 농축된 비율이 멤브레인 섬유(30)로 유입되지 않는다.
열 교환기(94)에서 나가는 공기는 층상 쿨러(152)에서 냉각된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인 작은 물방울이 사이클론(100)에서 분리된다. 예를 들면, 잔존하는 매우 작은 물방울과 에어로졸의 비율이 리테이닝 필터(142)에 남아있다. 이에 최저부의 멤브레인 섬유(30)에 들어가는 공기는 사전 건조된다.
리테이닝 필터(142)와 사이클론(100) 내에서 분리된 액체 비율은 섬프(128)를 지나 자동적으로 플로트식(float-actuated) 밸브 디스크(134)에 의해 수시로 배출된다.
양자 택일로, 플로트(float, 136)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공기 작용으로 작동된 밸브가 조절됨에 의해 콘택트(contact)를 작동할 수 있다.
도면 5의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 밸브(9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디자인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조절 회로(160)를 매체로 작동되며, 상기 조절 회로는 상부 헤드 공간(72)과 통해 있는 압력 센서(162)의 출력 신호의 기능으로써 작동한다.
바람직하게, 조절 회로(160)는 진동 모드(pulsed mode)에서 배출 밸브(90)를 동작하게 작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조절 회로(160)는 배출 측부 헤드 공간(72) 내의 압력이 사전 결정된 수치에 도달할 때 까지 배출 밸브(90)가 완전히 폐쇄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사전 결정된 수치는 적당한 퍼징 공기의 흐름을 생산하기에 충분하다. 상기 사전 결정된 공기의 수치에 도달할 때, 변이 상(transition phase)에서 드라이어 유닛의 정상 상태(steady state)의 작동을 위한 바람직한 압력이 배출 측부 헤드 공간(72)에 도달할 때까지 조절 회로가 점차로 배출 밸브(90)의 개방 시간과 폐쇄 시간 사이의 듀티 팩터(duty factor)를 증가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지점에서 듀티 팩터는 변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상기 지점으로부터 배출 밸브(90)는 항구적인 개방 위치에서 작동될 수 있다.
변형물에 있어서, 또한 압력 센서(162)는 생략될 수 있고, 개방 시간과 폐쇄 시간 사이 관계의 조절은 설비가 스위치 온 상태 이후로 시간 경과 기능으로써 수행된다.
추가적인 변형물에 있어서, 압력 센스(162) 대신에, 연결 링(36)을 경유하여 방출된 퍼징 공기의 흐름에 배치되는 모이스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변형물에 있어서, 또한 상기 조절 옵션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따르는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 밸브(90)대신에, 조절 가능한 스로틀(164), 서보 모터(166)에 의해 조절되는 횡단면 통류(throughflow)가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서보 모터(166)는 변경된 조절 회로(160)에 의해 활성화되며, 상기 변경된 조절 회로는 상부 헤드 영역(72)에 연결된 압력 센서(162)와 함께 재차 작동된다.
드라이어 유닛(10)의 시작단계에서 상부 헤드 공간(72) 내의 압력이 초기에 낮을 경우, 조절 회로(160)가 스로틀(164)을 최대 스로틀링 위치에 되게 한다. 따라서, 상부 헤드 공간(72) 내의 압력은 퍼징 공기의 제공을 위해 필요한 바람직한 최소 압력으로 재차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점으로부터 조절 회로(160)는 스로틀(164)을 점차로 개방할 수 있으며, 이에 건조 공기는 점차로 압축 공기 저장 탱크(14)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조절식 스로틀은 평행으로 연결된 복수의 고정된 스로틀들의 사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고정된 스로틀들은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경유하여 개방된다.
대안적으로, 퍼징 공기의 양은 비례 밸브(proportional valve)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영역에서, 배출 압력, 시간을 기초로 한 압력 및 방출된 퍼징 공기의 모이스처 함유량에 따르는 3가지 상기 조절 옵션들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드라이어 유닛(10)과 압축 공기 저장 탱크(14) 사이의 흐름 연결을 조절하는 변경된 방법과는 별도로, 도 5와 도 6에 따르는 실시예들은 도 1과 도 4에 따르는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작동한다.
사이클론 하우징(102)과 사이클론 부분(108)은 물론, 헤드 피스들(18, 19)은 바람직하게 금속, 플라스틱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re reinforced plastic)의 사출 성형 된 부분들이다. 원통형 하우징 부분(16)은 성형 된 금속(extruded metal)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부분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성형 된 금속 또는 플라스틱은 필요에 따라 기계적인 피니시(machine finished) 가공된다.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7 내지 도 11에서, 기능적인 측면에서 전술된 요소와 일치하는 요소에 비록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더라도,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된다. 상기 일치하는 요소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지 않는다.
도 7 내지 도 11에 따르는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부(16)는 필요 없다. 카트리지 슬리브(24)는 주위 공기로부터 유동적인 분리를 동시에 보장한다.
리테이닝 필터(142)는 소수성의 소결된 재료로부터 제조된 연합 필터로써 디자인되고, 상기 리테이닝 필터는 최저부가 폐쇄된 절단형인 원뿔의 형태이며, 상기 리테이닝 필터는 헤드 피스(18)의 캐링 링(carrying ring, 167)으로부터 매달려있다. 절단형인 원뿔의 하부 커버링 벽은 드립 디스크(124)를 형성한다.
입구(148)는 사이클론(100)으로 접선 방향으로 개방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외측부 내부로부터 리테이닝 필터(142)를 통하여 하부 헤드 공간(92)으로 지나기 전에 공기는 원심력에 의한 작은 물방울로부터 없어진다.
퍼징 공기는 홀딩 플레이트(28)의 중앙에 제공된 채널(62)을 경유하여 중앙으로 흘러들어간다.
또한, 멤브레인 섬유들의 하부 영역에 신선한 퍼징 공기를 충분히 공급하기 위하여 카트리지(22)의 중심 공간(168)은 멤브레인 섬유(30)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10에 따르는 헤드 피스(20)는 하우징 부(16)에 대하여 서로 다르고, 상대적으로 작은 분리 영역을 가지며, 상기 헤드 피스는 도 9에 따르는 헤드 피스에 기능면에 있어서 유사하다.
상기 헤드 피스에 있어서, 상부 헤드 공간(72)은 하우징 채널(72a)을 경유하여 배출 밸브(90)의 입구 공간(72b)으로 연결된다. 퍼징 공기는 노즐 부분(68)을 수용하는 보어(170)와 노즐 부분(68)의 외부 표면 사이에 놓여 있는 갭(gap)을 경유하는 스로틀(70)에 제공되어 노즐 부분(68)의 후방 단부 면에 도달된다. 단부 면은 다공성 신호 디스크(172)를 형성한다.
디스크 배열로 인하여, 공기는 디스크 배열주위로 흐르고, 상기 공기는 상부 헤드 공간(72)으로부터 나오며, 퍼징 공기로써 스로틀(70)을 경유하여 멤브레인 섬유 팩의 측부로 이끌어 진다. 신호 디스크는 신호 디스크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의 모이스처 함유량에 의존하여 외관이 바람직한 칼라로의 변화가 되는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나, 표면 구조의 변화 또는 신호 디스크의 기하학적 변화가 적당하다.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 헤드 부분(20)에 있어서, 헤드 부분에 렌즈(173)가 일부분이 되며, 상기 렌즈는 이격된 거리에서도 신호 디스크 칼라의 평가를 명확히 할 수 있다.
더욱이, 배출 채널(74)은 평행으로 카트리지(22)의 축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카트리지 축은 드라이어 유닛의 전체 배열과 다소의 어플리케이 션(applications)을 위한 정렬을 방사상으로 보다 더 조밀하게 한다.
도 11에 따르는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 필터(142)는 내부 축 방향의 강화 립(174)을 가진 원통형이다. 최저 하우징 부(176)는 유지 목적을 위해 미 조임 될수 있다.
추가적인 변형물에 있어서, 드라이어 유닛 하우징의 하부 단부는 리테이닝 필터(142)가 내측부 외부방향으로부터의 통류를 가지는 방식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어 유닛은 도 12에서 도시된다. 전술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되고, 재차 설명되지 않는다. 리테이닝 필터(142)를 위한 캐링 링(167)은 소수성의 소결된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캐링 링은 상부 단부에서 폐쇄되고, 캐링 링(167)의 주위 벽에서 접선방향으로 입구(148)가 개방된다. 캐링 링(167)은 스타(star) 형태로 분포된 홀딩 암(175)을 경유하여 헤드 피스(18)에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리테이닝 필터(142)는 화살표로 표시된 대로 내측부 외부방향으로부터의 통류를 가진다.
도 13에 따르는 실시예에 있어서, 도달하는 공기 흐름의 로타리 동작(소용돌이)이 연합 필터(142)의 내부에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공기는 회전적이고 대칭적으로 흘러들어 간다.
상기 소용돌이가 발생하지 않고, 회전적이고 대칭적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캐링 링(167)은 회전적이고 대칭적인 박스 부분으로써 디자인된다. 상기 박스는 상부 단부 벽(wall, 167a), 외부 주위 벽(167b), 환형 최저부 벽(167c) 및 재차 위를 향하여 이어지는 내부 주위 벽(167d)을 가지고 있다. 상기 벽은 단부 벽(167a)아래 짧은 간격으로 끝이 나며, 이에 주위 벽(167d)과 함께 환형 피딩 갭(feeding gap, 167e)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48)를 경유하여 제공되고 처리되기 위한 공기는 방사상의 내부 방향으로 순환적이고 대칭적인 막 벽에 따라 흐르고, 회전적이고 대칭적인 축 방향 공기의 흐름으로 변화한다. 이와 같이, 연합 필터 내부에서는 사이클론 효과가 없다.
연합 필터(142)로의 연결을 위하여, 캐링 링(167)은 스커트(167e)를 가진다.
도 13의 14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부분으로써 캐링 링(167) 디자인 대신에, 상기 공기는 축 방향으로 캐링 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압축 공기의 드라잉(drying)의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물론, 본 발명은 중공 섬유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또 다른 가스 혼합물의 분리에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4)

  1. 드라이되어질 공기를 위한 입구(148)와 드라이된 공기를 위한 배출구(74)를 가진 하우징(16, 18, 20)을 포함하며, 복수의 중공 멤브레인 섬유들(30)을 가진 교환기 유닛(exchanger unit, 22)을 포함하며, 상기 교환기 유닛의 단부들은 2개의 홀딩 플레이트(26, 28) 내에서 개방되고 이에 고정되며, 하우징(16, 18, 20)과 함께 입구 측부 헤드 공간(92)과 배출 측부 헤드 공간(72)의 경계를 형성하며, 멤브레인 섬유(30)들의 외부 표면에 연결된 퍼징 공기 공간은 퍼징 공기 입구(50)와 퍼징 공기 배출구(52)를 가지며 드라이된 공기의 일부분이 채워지는 압축 공기 및 그 외의 다른 가스 매체를 위한 드라이어 유닛에 있어서,
    배출 측부 헤드 공간(72)은 배출 밸브(90) 또는 배출 스로틀(164)에 의해 배출구(7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구 스로틀(164)은 바람직하게 시간상 기준으로 및/또는 배출 측부 헤드 공간(72) 내에 퍼져 있는 압력의 기능으로 및/또는 퍼징 공기 배출구에서 방출된 퍼징 공기의 모이스처 함유량의 기능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 밸브는 시간상 기준으로 및/또는 배출 측부 헤드 공간(72) 내에 퍼져 있는 압력의 기능으로 및/또는 퍼징 공기 배출구에 방출된 퍼징 공기의 모이스처 함유량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배출 밸브(90)는 압력 조속기(governor)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배출 밸브(90)는 평면 조절 요소를 가지며, 상기 요소는 배출 측부 헤드 공간(72)과 통해 있고, 반면 드라이된 공기를 위한 배출구(74)에 통해 있는 밸브 시트(76)와 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조절 요소(78)는 원형 멤브레인에 의해 형성되며, 밸프 시트(76)는 원통형이고 조절 요소(78)와 함께 동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조절 요소(78)는 폐쇄된 위치로 스프링(86)에 의해 프리스트레스(prestress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8. 제 3 항에 있어서, 배출 밸브(90)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배출 측부 헤드 공간(72)에 연결된 압력 센서(162)의 출력 신호의 기능으로써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8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이클론(100) 및/또는 연합 필터(142)는 입구 측부 헤드 공간(92)의 업 스트림(upstream)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사이클론(100) 및 또는 연합 필터(142)는 수직적으로 방향된 하우징(16, 18, 20)의 하부 단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외부방향으로 경사진 드립 요소(124)는 사이클론(100)의 사이클론 벽(110) 하부 단부 또는 연합 필터(142)의 사이클론 벽 하부 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드립 요소(124)는 사이클론 벽(110)의 하부 단부 또는 연합 필터(142)의 하부 단부에 바람직하게 수직적으로 치환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사이클론 벽(110)의 하부 변부는 탄력 있는 핑거(120)들로 고정되며, 상기 핑거들 사이로 드립 요소(124)는 치환가능하고 축 방향으로의 활동을 가지게 고정되며, 상기 드립 요소는 동시에 홀딩 핑거(120)들의 홀딩 러그(122)들과 사이클론 벽(110)에 의해 묶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액체 리테이닝 필터(142)는 사이클론 하우징(102)의 챔버(140) 내로 배열되며, 상기 챔버는 사이클론(100)의 사이클론 벽(110)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액체 리테이닝 필터(142)는 소수성 부직포 재료 또는 소수성 소결된 재료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이클론 부분(108)의 상부 단부 벽(112)은 상부로 향하게 개방 디쉬로써 디자인되고,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부(14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구 측부 헤드 공간(92)은 열 교환기(94)로 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18. 제 17 항에 있어서, 열 교환기(94)는 입구 측부 헤드 공간(92)의 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신장되며, 상기 열 교환기가 입구 측부 헤드 공간의 축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19. 제 8 항에 있어서, 열 교환기(94)는 열 교환기 파이프(96)를 가지며, 열 교환기 립(98)이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20. 제 19 항에 있어서, 열 교환기(94)는 금속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6, 18, 20)은 3가지 메인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 유닛은 입구 측부 헤드 피스(18), 배출 측부 헤드 피스(20), 입구 측부 헤드 피스와 배출 측부 헤드 피스 사이에 배치된 신장된 하우징 부분(16)이며, 제 2 유닛은 멤브레인 섬유(30)의 배열을 포함하는 주위 드라이어 유닛 카트리지(92)이며, 제 3 유닛은 멤브레인 섬유 홀딩 플레이트(26,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22. 제 21 항에 있어서, 2개의 홀딩 플레이트(26, 28)는 밀봉되는 방식으로 부착되는 단부들에 드라이어 유닛 카트리지(22)가 슬리브 형태의 카트리지 하우징(2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23. 제 22 항에 있어서, 슬리브 형태의 카트리지 하우징(24)은 2개의 퍼징 공기 개구부(50, 52)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개구부들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카트리지 단부에 인접해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있어 개구부들은 주위 방향으로 분포된 개구부들의 세트들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 피스들(18, 20)과 중간 하우징 부분(16)은 분리할 수 있게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25. 제 24 항에 있어서, 연결 링들(36, 38)은 헤드 피스들(18, 20)과 중간 하우징 부분(16) 또는 중간 하우징 부(60)의 부분들(60, 62) 사이의 접합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26. 제 2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결 링들(36, 38)은 하우징(14, 16, 18)의 외측부로의 통로를 형성하며, 복수의 통로 개구부들(48)은 주위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결 링들(36, 38)은 동시에 밀봉 링(54, 58)을 위한 지지 링을 구성하며, 상기 밀봉 링은 드라이어 유닛 카트리지(22)가 하우징(16, 18, 20)으로부터 이격되어 밀봉으로 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28. 제 27 항에 있어서, 드라이어 유닛 카트리지(22)의 배출 측부 단부는 2개의 간격을 두어 배치된 밀봉 링들(56, 58)에 의해 하우징(16, 18, 20)으로부터 이격되어 밀봉되며, 2개의 밀봉 링들(56, 58)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공간은 스로틀(70)을 경유하여 배출 측부 헤드 공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퍼징 공기 입구(50)는 중앙 퍼징 공기 공급 채널(64) 또는 환형 퍼징 공기 공급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30. 제 9 항 내지 제 29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합 필터(142)는 내측부 외부방향으로부터의 통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31. 제 9 항 내지 제 30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적이고 대칭적인 연합 필터(142)로 회전적이고 대칭적으로 공기가 처리 되게 하는 수단(167)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32. 제 9 항 내지 제 31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합 필터(142)의 출구 측부 상에 배치된 챔버(177)는 필터 내의 공기 흐름 비율이 감소 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 디스크(172)에 의하여 상기 신호 디스크 주변에서 처리된 공기가 흐르며, 처리된 공기는 공기의 제 1의 모이스처 함유량으로 제 1의 상태를 가지고, 공기의 제 2의 모이스처 함유량으로 제 1의 상태와 서로 다른 제 2의 상태를 가지며, 상기 공기는 하우징(16, 18, 20)의 윈도우(174)를 통하여 눈에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34. 제 33 항에 있어서, 윈도우(174)는 렌즈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유닛.
KR1020077009619A 2004-09-27 2005-09-27 압축 공기와 그 외의 다른 가스 매체를 위한 드라이어 유닛 KR200700738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7216 2004-09-27
DE102004047216.5 2004-09-27
DE200410048438 DE102004048438A1 (de) 2004-10-01 2004-10-01 Trocknereinheit für Druckluft und andere gasförmige Medien
DE102004048438.4 2004-10-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018A Division KR101130358B1 (ko) 2004-09-27 2005-09-27 압축된 가스 매체를 위한 드라이어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828A true KR20070073828A (ko) 2007-07-10

Family

ID=356367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619A KR20070073828A (ko) 2004-09-27 2005-09-27 압축 공기와 그 외의 다른 가스 매체를 위한 드라이어 유닛
KR1020107008018A KR101130358B1 (ko) 2004-09-27 2005-09-27 압축된 가스 매체를 위한 드라이어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018A KR101130358B1 (ko) 2004-09-27 2005-09-27 압축된 가스 매체를 위한 드라이어 유닛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182591B2 (ko)
EP (2) EP1961478B1 (ko)
KR (2) KR20070073828A (ko)
AT (1) ATE443561T1 (ko)
AU (2) AU2005289143B2 (ko)
CA (2) CA2582389C (ko)
DE (1) DE502005008200D1 (ko)
EA (1) EA011902B1 (ko)
ES (1) ES2331013T3 (ko)
WO (1) WO200603484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7594B2 (en) 2006-02-01 2012-04-03 New York Air Brake Corporation Air dryer for a brake system
US7731784B2 (en) 2006-10-11 2010-06-08 New York Air Brake Corporation Membrane air dryer with sweep air control
US7833307B2 (en) * 2006-10-11 2010-11-16 New York Air Brake Corporation Air dryer with pre-filter
US7651551B2 (en) 2007-04-17 2010-01-26 New York Air Brake Corporation Membrane air dryer with pre-charge volume
US8066801B2 (en) * 2007-04-24 2011-11-29 New York Air Brake Corporation Sweep air system for membrane air dryer
FR2936166A1 (fr) * 2008-09-24 2010-03-26 Barba Willy Del Machine de traitement d'air comprime a membrames equipee de rechauffeur d'air
US8231699B2 (en) 2008-10-13 2012-07-31 New York Air Brake Corporation Membrane air dryer
US8268055B2 (en) * 2010-02-25 2012-09-18 Perma Pure Llc Membrane gas dryers incorporating rotatable fittings
CN102740952B (zh) * 2010-02-25 2014-04-09 帕玛普乐有限责任公司 包含可转动配件的隔膜气体干燥器
US8906143B2 (en) * 2011-09-02 2014-12-09 Membrane Technology And Research, Inc.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for fuel gas conditioning
AT511613B1 (de) * 2012-01-24 2013-01-15 Inteco Special Melting Technologies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abgasreinigung bei vakuum-stahlbehandlungsprozessen
DE102013223562A1 (de) 2013-11-19 2015-05-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btrennung von Wasser aus einem Wasser enthaltenden Fluidstrom
GB2542717A (en) 2014-06-10 2017-03-29 Vmac Global Tec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oling and separating a mixture of hot gas and liquid
US10080990B2 (en) * 2015-10-04 2018-09-25 Graham-White Manufacturing Company Air dryer
CN107051052A (zh) * 2016-12-07 2017-08-18 中核四0四有限公司 一种uo3‑h2o体系脱水后尾气除尘装置及除尘方法
CN109432945B (zh) * 2018-10-30 2019-11-05 连云港秉文科技有限公司 分子筛筒及筛选装置
SK289034B6 (sk) * 2019-10-10 2023-01-25 EKOM spol. s r. o. Membránový separátor plynov so vstavaným ventilom a spôsob jeho otvárania a zatvárania
DE102019130798B4 (de) * 2019-11-14 2021-09-16 Dürr Dental SE Schwimmerventil, Druckluftsystem mit einem Schwimmerventil und Trockner für ein Druckluftsystem mit einem Schwimmerventil
CN114558384B (zh) * 2022-03-28 2024-03-22 北京亿华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气流可视的气液分离装置
EP4338820A1 (en) * 2022-09-14 2024-03-20 Tronic Purity Inc. A method for purification of electronic gases and a purification device for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41657A1 (ru) * 1976-03-09 1981-06-30 Ленинградское Адмиралтейское объединение Осушитель сжатого воздуха
RU2009698C1 (ru) * 1988-08-11 1994-03-30 Татьяна Викторовна Петрова Коалесцентный фильтр-осушитель
US5750024A (en) * 1992-11-12 1998-05-12 Porous Media Corporation Conical coalescing filter
JP3997531B2 (ja) 1997-02-24 2007-10-24 Smc株式会社 除湿装置
DE19722731A1 (de) * 1997-04-10 1998-10-15 Beko Kondensat Technik Gmbh Trocknungsvorrichtung für Druckluft
JPH1133338A (ja) * 1997-07-16 1999-02-09 Kuroda Precision Ind Ltd 膜式ドライヤ
US6019822A (en) 1997-08-12 2000-02-01 Misuzu Machineries & Engineering Ltd. Apparatus for air dehumidification having a unitary casing for a cyclone separator, a primary filter, a secondary filter, and a separation membrane element
JP2002504416A (ja) * 1998-02-28 2002-02-12 エア−メイズ コーポレイション 円錐形空気−オイル分離器
US6070339A (en) * 1998-10-23 2000-06-06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Membrane air dryer with scheme to reduce air lost as sweep air
CA2390474C (en) * 1999-11-12 2009-12-29 Porous Media Corporation Compressed gas systems utilizing a variable pressure membrane air dri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01219026A (ja) * 2000-02-09 2001-08-14 Nabco Ltd 除湿装置
JP3816289B2 (ja) * 2000-02-18 2006-08-3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中空糸膜式除湿装置
US6776820B2 (en) * 2001-07-10 2004-08-17 Praxair Technology, Inc. Integral hollow fiber membrane gas dryer and filtration device
US6719825B2 (en) * 2002-05-07 2004-04-13 Graham-White Manufacturing Company Air drying apparatus and method
US6923845B2 (en) * 2002-10-18 2005-08-02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Membrane air dryer for vehicle air brake system
US7153341B2 (en) * 2003-04-04 2006-12-26 Parker-Hannifin Corporation Processes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sweep air for membrane systems
JP2007529313A (ja) * 2004-03-19 2007-10-25 イリノイ トゥ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空気/ガスドライヤー用の使捨てカートリッジ
US20050235826A1 (en) * 2004-04-27 2005-10-27 Generon Igs, Inc. Air separation system using dehydration membrane for pretreatment of compressed air
DE102004022312B4 (de) * 2004-05-04 2009-04-16 Daimler Ag Feuchtigkeitsaustauschmodul mit einem Bündel von für Feuchtigkeit durchlässigen Hohlfasermembra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00093B2 (en) 2012-05-24
KR101130358B1 (ko) 2012-03-27
AU2005289143B2 (en) 2010-07-01
US8167982B2 (en) 2012-05-01
KR20100047346A (ko) 2010-05-07
EA011902B1 (ru) 2009-06-30
US20080190293A1 (en) 2008-08-14
EP1961478A2 (de) 2008-08-27
CA2690502C (en) 2013-12-10
CA2690502A1 (en) 2006-04-06
DE502005008200D1 (de) 2009-11-05
US8182591B2 (en) 2012-05-22
EP1791619A2 (de) 2007-06-06
CA2582389C (en) 2013-04-09
WO2006034840A3 (de) 2006-12-28
ES2331013T3 (es) 2009-12-18
US20100107879A1 (en) 2010-05-06
CA2582389A1 (en) 2006-04-06
ATE443561T1 (de) 2009-10-15
EP1791619B1 (de) 2009-09-23
EP1961478B1 (de) 2013-05-01
WO2006034840A2 (de) 2006-04-06
AU2005289143A1 (en) 2006-04-06
AU2010200093A1 (en) 2010-01-28
EP1961478A3 (de) 2008-09-03
EA200700710A1 (ru) 200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358B1 (ko) 압축된 가스 매체를 위한 드라이어 유닛
EP2564917B1 (en) Air dryer with membrane separator
AU2008242471B2 (en) Membrane air dryer with sweep air control
SE463544B (sv) Lufttorkartorn
EP2347207B1 (en) Membrane air dryer
CN101646481B (zh) 用于气体薄膜分离设备的整体扫掠控制器
US7651551B2 (en) Membrane air dryer with pre-charge volu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