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880A -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및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및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880A
KR20070072880A KR1020077008742A KR20077008742A KR20070072880A KR 20070072880 A KR20070072880 A KR 20070072880A KR 1020077008742 A KR1020077008742 A KR 1020077008742A KR 20077008742 A KR20077008742 A KR 20077008742A KR 20070072880 A KR20070072880 A KR 2007007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heet
bubble
independent
roll
polyolef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772B1 (ko
Inventor
미찌오 마쯔무라
게라이츠 패트릭
루기이스 패트릭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알베오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4024792A external-priority patent/EP1647384B1/en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알베오 에이지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porous or cellular articles, e.g. of foam plastics, coarse-por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2Compressable seals of soli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27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32B5/2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foamed in situ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61With gradual property change within a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기포 직경도 작고, 다양한 용도로 전개할 수 있고, 또한 진공 성형성도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이며, 서로 다른 주속도를 가지면서 대향면에서의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 방향이 되도록 회전하는 한 쌍의 롤 사이의 간극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공급하고,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압축력과 전단 응력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의 일부를 파열시키고 독립 기포끼리를 연통시켜서 연속 기포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독립 기포, 가교 발포 시트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METHOD FOR PRODUCING POLYOLEFIN BASED RESIN CROSSLINKED FOAMED SHEET AND POLYOLEFIN BASED RESIN CROSSLINKED FOAMED SHEE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물 벽재의 밀봉재, 자동차 램프 커버의 가스켓, 자동차용 도어재의 쿠션재로서 폴리우레탄 발포 시트가 이용되어 왔지만, 폴리우레탄 발포 시트는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분해되거나 또는 자외선에 의해 열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본 특허 공고 (소)62-19294호 공보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발포제 및 유기 과산화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발포성 가교성 조성물을 소정 온도에서 겔 분률 제로 상태로 원하는 형상으로 정형하는 공정, 이 정형된 발포성 가교성 조성물을 상압하에서 가열함으로써 유기 과산화물과 발포제의 분해를 동시 진행적으로 수행시켜 발포체를 생성하는 공정, 및 이 발포체에 기계적 변형을 가하여 기포를 연통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가교 폴리올레핀 연속 기포체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가교 폴리올레핀 연속 기포체의 제조 방법은 복잡한 가교·발포 공정을 필요로 하고, 생산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는 동시에, 얻어지는 가교 폴리올레핀 연속 기포체는 그의 표면에 형성된 비발포층이 딱딱하여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가졌다.
본 발명은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기포 직경도 작아 다양한 용도로 전개할 수 있고, 또한 진공 성형성도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이며, 서로 다른 주속도를 가지면서 대향면에서의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 방향이 되도록 회전하는 한 쌍의 롤 사이의 간극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공급하고,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압축력과 전단 응력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의 일부를 파열시키고 독립 기포끼리를 연통시켜서 연속 기포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은 서로 다른 주속도를 가지면서 대향면에서의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 방향이 되도록 회전하는 한 쌍의 롤을 1 세트의 롤쌍으로 하고, 이 롤쌍을 2 세트 이상 차례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롤군의 각 롤쌍의 롤 사이의 간극에 차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공급하고,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압축력과 전단 응력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의 일부를 파열시키고 독립 기포끼리를 연통시켜서 연속 기포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롤군 중 서로 인접하는 임의의 2 세트의 롤쌍 사이에서, 각 롤쌍 중 주속도가 빠른 롤이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지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나, 화학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지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등을 들 수 있고, 기포 직경이 작아 다양한 용도로 폭 넓게 전개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지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가 바람직하다.
처음으로,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지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열 분해형 발포제를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한 후에 압출기로부터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압출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BA) 등의 올레핀 공중합체, EPDM,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고무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성분이란,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한쪽 또는 양쪽의 합계가 50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직쇄상 중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으며,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병용될 수도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랜덤 블록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노넨, 1-데센 등의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분해형 발포제로서는 종래부터 발포체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 4,4-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에 가교 구조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에 가교 구조를 부여하는 수단으로서 전자선 조사를 이용하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시켜 얻어지는 발포 시트는 그의 독립 기포가 미세한 동시에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게 된다.
상기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에 대한 전자선의 조사량은, 적으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에 필요한 가교 구조를 부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한편, 많으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에 가교가 너무 걸려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발포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0.1 내지 30 Mrad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20 Mrad가 보다 바람직하며, 0.3 내지 15 Mrad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선의 가속 전압은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고, 또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로의 전자선의 조사는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한쪽 면에만 행할 수도 있고, 또는 양면에 행할 수도 있지만,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그의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가교시키기 위해서 전자선을 동일 가속 전압, 동일 조사량으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양면에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전자선 조사에 의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가교를 촉진하기 위해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 중에 가교 보조제가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가교 보조제로서는 종래부터 발포 시트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디비닐벤젠,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멜리트산트리알릴에스테르,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에틸비닐벤젠,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2,4-벤젠트리카르복실산트리알릴에스테르,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프탈산디알릴, 테레프탈산디알릴, 이소프탈산디알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가교 보조제의 첨가량은, 적으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에 필요한 가교 구조를 부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한편, 많더라도 가교 보조제를 첨가한 효과는 그다지 변하지 않기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2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3 내지 15 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가교 구조가 부여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열 분해형 발포제의 분해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발포시켜서,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지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제조한다. 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는 그의 기포층 양면에 표피층이 형성되어 있다. 기포층을 구성하는 기포는 그 모두가 실질적으로 독립 기포로 되어 있는 동시에, 기포층은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표피층은 기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면서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고 있다.
다음으로, 화학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제 및 열 분해형 발포제를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한 후에 압출기로부터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압출한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열 분해형 발포제는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지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서 이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열 분해형 발포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가교제로서는 종래부터 발포체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시드,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퍼벤조에이트, 쿠밀히드로퍼옥시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1,1-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헥산, n-부틸-4,4-디(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α,α'-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 t-부틸퍼옥시쿠멘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가교제 및 열 분해형 발포제의 분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가교 구조를 부여하면서 발포시켜서, 화학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지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제조한다. 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는 그의 기포층 양면에 표피층이 형성되어 있다. 기포층을 구성하는 기포는 그의 모두가 실질적으로 독립 기포로 되어 있는 동시에, 기포층은 화학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표피층은 기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면서 화학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에서는 높은 밀도를 갖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처리할 수 있는 점에서 이점을 갖는다.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밀도는 20 내지 500 kg/㎥가 바람직하고, 24 내지 350 kg/㎥가 보다 바람직하고, 29 내지 250 kg/㎥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2 내지 50배가 바람직하고, 2 내지 40배가 보다 바람직하며, 5 내지 30배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은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밀도를,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겉보기 밀도로 나눈 것을 말한다. 한편,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겉보기 밀도는 JIS K6767에 준거하여 측정된 것을 말하며, 예를 들면, 미라주사에서 상품명 "ED20T"로 시판하고 있는 전자 비중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두께는 후술하는 롤쌍의 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 0.2 내지 50 ㎜가 바람직하다. 이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두께가 얇으면, 롤쌍의 롤간 거리나 평행도 등의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고, 이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데 곤란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는 한편,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두께가 두꺼우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를 충분히 파열시킬 수 있는 압축력과 전단 응력을,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충분히 가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 시트의 두께는 ISO1923에 준거하여 측정된 것을 말한다.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는 그 기포층의 기포 모두가 실질적으로 독립 기포이지만, 이와 같이 기포층의 기포 모두가 독립 기포일 필요는 없고, 기포층에 독립 기포를 갖고 있으면, 기포층에 연속 기포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기포층의 기포 모두가 실질적으로 독립 기포인 발포 시트를 후술하는 롤쌍의 롤 사이의 간극에 공급하기 전에, 기포층의 기포 모두가 실질적으로 독립 기포인 발포 시트에 임의의 처리를 실시하여 독립 기포의 일부를 서로 연통시켜 연속 기포로 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기포층에서의 독립 기포의 일부를 파열시켜 서로 연통시켜 연속 기포로 하기 위해, 한 쌍의 롤을 1 세트의 롤쌍으로 하고, 이 롤쌍을 1 세트, 바람직하게는 2 세트 이상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롤군의 각 롤쌍의 롤 사이의 간극에 차례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공급한다. 또한, 동일 롤쌍의 롤 사이의 간극에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반복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롤쌍의 수는, 적으면 독립 기포 발포체의 독립 기포를 연속 기포로 하는 것이 불충분해질 수 있는 한편, 많으면 독립 기포 발포체의 표면에 균열 등이 생겨 표면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2 세트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롤쌍의 롤은 서로 다른 주속도로 대향면의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 방향이 되도록 회전하는 동시에, 대향면간 간격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두께보다 좁아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롤은 이들의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롤쌍 내에 있어서, 한 쌍의 롤간 주속도의 차이가 커지면 커질수록 또는 롤쌍의 롤간 간격이 좁으면 좁을수록, 독립 기포끼리가 연통되어 독립 기포가 연속 기포가 되는 비율이 증가한다. 한편, 한 쌍의 롤간 주속도의 차이가 커지면 커질수록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가해지는 마찰력이나 전단 응력은 커지지만,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가, 독립 기포끼리의 연통에 의해 연속 기포가 되는 비율이 비례적으로 커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 세트의 롤쌍을 이용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임의의 2 세트의 롤쌍 사이에서, 각 롤쌍 중 주속도가 빠른 롤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롤을 배치함으로써,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전체적으로 압축력 및 전단 응력을 대략 균일하게 가할 수 있고, 따라서,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내에 연속 기포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킨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롤쌍 내에서의 롤간 주속차는, 작으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겉보기 밀도가 28 kg/㎥ 이상인 경우나,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가 큰 폭을 갖는 경우에,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를, 독립 기포끼리를 연통시켜서 연속 기포로 하는 것이 불충분해질 수 있는 한편, 크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표면에 큰 마찰력이 가해져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2 내지 400%가 바람직하고, 5 내지 250%가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50%가 더욱 바람직하며, 10 내지 40%가 특히 바람직하고, 10 내지 30%가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롤쌍 내에서의 롤간 주속차는 롤쌍 내에 있어서 주속도가 빠른 롤의 주속도를 VF로 하고, 주속도가 느린 롤의 주속도를 VS로 하여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롤의 주속도란 그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불문하고, 소위 "속도"(SPEED)를 의미한다.
한 쌍의 롤의 주속차=100×(VF-VS)/VS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세트의 롤쌍을 이용하는 경우, 롤군 중 서로 인접하는 임의의 2 세트의 롤쌍 사이에 있어서, 주속도 V2 > 주속도 V1, 주속도 V4> 주속도 V3, 주속도 V3> 주속도 V1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는 주속도 V4 > 주속도 V2 > 주속도 V3 > 주속도 V1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속도 V1은 후측 롤쌍의 롤 R1의 주속도이고, 주속도 V2는 후측 롤쌍의 롤 R2의 주속도이며, 주속도 V3은 전측 롤쌍의 롤 R3의 주속도 V3이고, 주속도 V4는 전측 롤쌍의 롤 4의 주속도 V4이다. 롤 R1과 롤 R4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동일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롤 R2와 롤 R3은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동일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롤쌍으로의 공급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전방과 180°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그리고, 롤쌍의 전체 속도(the total speed)는 폭 넓은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고, 1 내지 50 m/분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0 m/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30 m/분이 특히 바람직하고, 10 내지 20 m/분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 세트의 롤쌍을 이용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임의의 2 세트의 롤쌍 사이에 있어서, 전측 롤쌍의 전체 속도는 후측 롤쌍의 전체 속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롤쌍의 전체 속도란 한 쌍의 롤 사이로부터 배출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배출 속도를 말한다.
또한, 롤쌍 내에서의 롤의 절대 주속(the absolute circumferential speed)도 폭넓은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고, 0.5 내지 30 m/분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20 m/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15 m/분이 특히 바람직하며, 5 내지 10 m/분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롤쌍 내에 있어서의 롤의 절대 주속이란 롤쌍을 구성하고 있는 각 롤의 주속도를 말한다.
또한, 롤쌍 내에 있어서의 롤 대향면간 간격은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이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지만, 롤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키기 전의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두께의 1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2 내지 2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롤쌍의 롤 대향면간 간격이 좁으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가 과도하게 눌려져 두께가 너무 얇아지거나, 또는 발포 시트의 표면이 찢어질 우려가 있는 한편, 롤쌍의 롤 대향면간 간격이 넓으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충분히 전단 응력을 가할 수 없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끼리를 연통시켜서 독립 기포를 연속 기포로 하는 비율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롤쌍 내에서의 롤 대향면간 간격은 0.01 내지 50 ㎜가 바람직하고, 0.05 내지 50 ㎜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내지 5 ㎜가 특히 바람직하고, 0.1 내지 1 ㎜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롤의 직경은 100 내지 1000 ㎜가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 세트의 롤쌍을 이용하는 경우, 각 롤쌍의 롤 대향면간 간격은 각각 상이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2 세트의 롤쌍을 이용하는 경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처음에 공급하는 롤쌍의 롤간 간격이, 다음의 (전방의) 롤쌍의 롤간 간격보다도 넓을 수 있다.
또한, 롤쌍의 롤 사이에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통과시키는 공정 중에 있어서, 롤쌍의 롤간 간격의 불변성(gap constancy)은 0.03 ㎜(±0.01 ㎜)가 바람직하다. 독립 발포 시트에 응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 즉, 롤쌍의 롤 사이에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공급하여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폭 방향의 롤 진직도 정밀도(roll straightness accuracy)는 0.01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2 세트의 롤쌍을 이용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롤쌍 사이에 있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바람직하게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롤쌍으로의 공급 방향으로 장력을 가함으로써,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의 파열 효과를 향상시키고, 연속 기포의 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가 처음의 롤쌍의 롤 사이에 공급되기 전에,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바람직하게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롤쌍으로의 공급 방향으로 장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정된 롤쌍의 롤 사이에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공급하여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그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다. 게다가, 롤쌍 내에 있어서 롤간 주속도를 달리하고 있기 때문에,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는 그의 일면측 부분과 타면측 부분에서 롤 사이로부터의 배출 속도가 다르고, 이 배출 속도의 차이에 의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는 상기 두께 방향의 압축과 동시에 그의 면 방향으로 전단 응력이 가해지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 중 일부의 독립 기포를 파열시키고 기포벽을 파단하여, 독립 기포끼리를 서로 연통시켜 연속 기포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그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할 뿐만 아니라, 이 압축과 동시에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면 방향으로 전단 응력을 가함으로써,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의 일부를 안정적으로 파괴하여 서로 연통화시켜 연속 기포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요령으로 독립 기포의 일부를 파괴하여 서로 연통화시켜 연속 기포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연속 기포율은, 낮으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는 한편, 높으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압축 강도나 압축시에서의 반발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30 내지 99%가 바람직하고, 80 내지 95%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 시트의 연속 기포율은 발포 시트 부피에 대한 연통된 기포의 부피 비율을 의미하여, 공기 비중계를 이용하여 1 내지 1/2 내지 1 기압법에 의해 독립 기포율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한 것을 말한다. 발포 시트의 연속 기포율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쿄 사이언스사에서 상품명 "1000형"으로 시판하고 있는 공기 비중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발포 시트의 연속 기포율(%)=100-독립 기포율(%)
각 롤쌍의 롤 사이를 통과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에 요구되는 특성이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특성에 따라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가해지는 장력, 마찰력 또는 롤의 둘레 방향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된다.
그리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압축도 및 독립 기포의 연통도(기포의 파열도)는 롤쌍의 롤간 간격, 롤의 주속도, 롤쌍 내에 있어서의 롤간 주속차, 롤쌍의 전체 속도 등의 매개 변수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에 광학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즉,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표면에 파단이나 손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하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특성에 원하는 변화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매개 변수가 조정된다.
한편,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화학적 성질이나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가해지고 있는 기포 취약화 첨가제의 화학적 성질도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를 연속 기포로 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첨가제가 보다 적은 양밖에는 더 이상 필요 없고, 또한, 기포 취약화 첨가제를 이용하여 얻어진 연속 기포와 동일 정도의 연속 기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 세트의 롤쌍을 이용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롤쌍 사이에는 추가적인 수단 외에, 안정화 롤이나,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가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지지하는 롤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롤쌍 사이에 댄서 시스템(dancer system)이나 이와 유사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가해지는 마찰 변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폭넓은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적용할 수 있다.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폭은 1 m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약 2.0 m가 가장 바람직하다.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폭은 1.0 내지 2.0 m이 바람직하다. 한편,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폭은 2.0 m 미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는 높은 유연성을 가지면서 폭넓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가 점점 요구되어 있고, 종래 기술로는 얻어지지 않았지만, 1 세트 또는 복수 세트의 롤쌍을 이용하여, 이 롤쌍의 롤 사이에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공급하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압축 응력 및 전단 응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만족시키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롤쌍의 롤 사이에 공급하여,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기포벽을 파괴하고 기포를 파열시키는 공정에 있어서의 효과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이 높을수록 현저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저발포 배율의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이더라도 적용할 수 있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를 충분히 파열시켜서, 연속 기포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그의 두께 방향의 전장에 걸쳐 연속 기포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양면의 표피층에는 상술한 압축력 및 전단 응력이 가해진 후에도 균열이나 손상은 없고, 내수성을 갖고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독립 기포에 기인한 우수한 압축 강도 및 압축시에 있어서의 반발력과, 연속 기포에 기인한 유연성을 갖고 있는 한편, 표피층에 기인하여, 공기나 물의 투과성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컴포트 재료(comfort material), 완충재, 감촉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창상용 반창고나 붕대 등의 의료용 완충재 등의 특정 용도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에 가스 투과성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표면에 바늘이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천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중에서도,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지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특히 독립 기포에 기인한 더욱 우수한 압축 강도 및 압축시에 있어서의 반발력과, 연속 기포에 기인한 더욱 우수한 유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지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중에서도,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는 기포층으로, 평균 기포 직경이 0.1 내지 1 ㎜인 독립 기포 및 이 독립 기포의 일부를 서로 연통시켜 이루어지는 연속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를 갖는 기포층과, 이 기포층의 양면 또는 한쪽 면에 형성된 표피층으로, 상기 기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면서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는 표피층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기포층의 양면 또는 한쪽 면에 표피층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전자선 조사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기포층을 구성하는 기포는 평균 기포 직경이 0.1 내지 1 ㎜인 독립 기포와, 이 독립 기포의 일부를 서로 연통시켜 이루어지는 연속 기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기포층은 독립 기포와, 이 독립 기포의 일부를 파열시켜 서로 연통시켜 되는 연속 기포를 포함한다.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그 기포층 및 표피층에 전자선 조사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유기 과산화물을 이용한 화학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와는 달리, 기포층을 구성하는 상기 독립 기포는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은 0.1 내지 1 ㎜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0.5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기포층을 구성하는 연속 기포가, 상술한 바와 같이, 평균 기포 직경 0.1 내지 1 ㎜의 미세한 독립 기포끼리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경우, 독립 기포와 동일하게 미세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발포층 내에 부분적으로 치우치지 않고, 발포 시트의 기포층 전체에 메쉬와 같이 대략 균일하게 퍼져 분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그 기포층을 구성하는 미세한 독립 기포에 의해 압축 강도나 압축시의 반발력(복원력)이 우수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연속 기포에 의해 우수한 유연성도 확보하고 있고, 밀봉재나 가스켓 등과 같은 밀봉 용도로 이용한 경우에는, 밀봉 부분의 간극 형상에 따른 형태로 원활하게 변형하여 우수한 밀봉성을 발휘한다.
여기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은 하기 요령으로 측정된 것을 말한다. 우선,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임의의 개소에서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다.
그 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절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임의의 배율로 확대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두께 방향의 전장이 포함되도록 사진 촬영한다.
얻어진 사진에 나타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를 임의로 10개 추출하고, 이 독립 기포를 포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정원을 그린다. 그리고, 정원의 직경을 독립 기포의 기포 직경으로 하여 각 독립 기포의 기포 직경을 측정하고, 10개의 독립 기포의 기포 직경의 산술 평균을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으로 한다.
한편, 기포층 중에 있어서 독립 기포와 연속 기포를 구별할 때 및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을 측정할 때에는, 사진상에 나타난 기포 단면에만 기초하여 판단한다. 즉, 기포끼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절단면에서는 기포벽에 의해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절단면 이외의 부분에서 서로 연통해 있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절단면 이외의 부분에서 서로 연통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고, 사진상에 나타난 기포벽 단면에만 기초하여 독립 기포인지 연속 기포인지를 판단하는 동시에 독립 기포의 기포 직경을 측정한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기포층의 양면 또는 한쪽 면에는 전면적으로 표피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피층은 기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서로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됨으로써 박막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 표피층의 가교 구조도 전자선 조사에 의한 것이어서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상기 표피층에는 실질적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표피층은 물 등의 액체나, 공기 등의 기체에 대한 투과성을 갖고 있지 않다.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그의 기포층을 구성하는 기포의 일부가, 독립 기포의 일부를 서로 연통시켜 형성된 연속 기포이며, 우수한 유연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표피층에 기인하여 두께 방향의 기체 차단성 및 액체 차단성, 및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우수한 성형성, 특히, 우수한 진공 성형성을 갖고 있고, 원하는 형상으로 정확하게 성형하여 외관성이 우수한 미려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50% 압축 강도는, 작으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그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했을 때의 반발력(복원력)이 저하되어, 밀봉재나 가스켓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충분한 기밀성이나 수밀성을 발휘하지 않을 우려가 있는 한편, 크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그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할 때의 반발력이 커서, 밀봉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밀봉부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없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3 내지 300 kPa가 바람직하고, 3 내지 50 kPa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50% 압축 강도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기포층 중에 있어서의 독립 기포와 연속 기포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50% 압축 강도는 JIS K6767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을 말한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50% 압축 영구 변형은, 크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밀봉재나 가스켓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시간 경과에 따른 내구성이 부족하여, 장기간에 걸쳐 사용한 경우에 기밀성이나 수밀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에 국소적으로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압력이 가해진 부분이 움푹 패어져 외관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50% 압축 영구 변형은 하기 요령으로 측정된 것을 말한다. 우선,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두께 방향의 전장에 걸쳐 절단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로부터 한 변이 50 ㎜인 평면 정방 형상의 시험편을 복수개 잘라낸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시험편을 이들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시켜서 두께 약 25 ㎜의 적층 시트를 제조하고, 이 적층 시트의 초기 두께 T0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이 적층 시트를 전체 두께가 초기 두께 T0의 50%가 될 때까지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고, 이 압축 상태인 채로 23 ℃,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하에서 22 시간에 걸쳐 방치한다.
그 후, 적층 시트에 가한 압축력을 완전히 개방한 후에 24 시간에 걸쳐 방치한 후, 적층 시트의 압축 후 두께 T1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기초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50% 압축 영구 변형을 산출한다.
50% 압축 영구 변형(%)=100×(T0-T1)/T0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겉보기 밀도는, 작으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그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했을 때의 반발력이 저하되어, 밀봉재나 가스켓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충분한 기밀성이나 수밀성을 발휘하지 않을 우려가 있는 한편, 크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그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할 때의 반발력이 커서, 밀봉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밀봉부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없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20 내지 500 kg/㎥가 바람직하고, 24 내지 350 kg/㎥가 보다 바람직하고, 29 내지 250 kg/㎥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겉보기 밀도는 JIS K6767에 준거하여 측정된 것을 말한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두께는, 얇으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그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했을 때의 반발력이 작아져, 밀봉성이나 쿠션성이 저하될 수 있는 한편, 두꺼우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밀봉재나 가스켓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원하는 부분에 원활하게 배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0.1 내지 15 ㎜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폭은 1 m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약 2.0 m가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폭은 1.0 내지 2.0 m가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폭은 2.0 m 미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롤쌍의 롤 사이에 공급하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압축력과 전단 응력을 동시에 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의 일부를 확실하게 파열시켜서, 독립 기포를 연속 기포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는 기포층으로, 평균 기포 직경이 0.1 내지 1 ㎜인 독립 기포 및 이 독립 기포의 일부를 서로 연통시켜 이루어지는 연속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를 갖는 기포층과, 이 기포층의 양면 또는 한쪽 면에 형성된 표피층으로, 상기 기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면서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는 표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독립 기포에 기인한 우수한 압축 강도 및 압축시에서의 반발력과, 연속 기포에 기인한 우수한 유연성을 균형적으로 갖고 있고, 또한, 표면성이 우수하면서 액체 및 기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표피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밀봉재나 가스켓 등과 같은 밀봉 용도로 이용한 경우에는 밀봉부의 형상에 따른 형태로 원활하게 변형하여 우수한 밀봉성을 발휘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유연성을 가지면서 공기 차단성 및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표피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진공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활하면서 정확하게 성형하여 원하는 형상을 갖는 미려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표피층의 평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접착제를 통해 부직포 등의 표면 시트를 표피층 상에 안정적으로 적층 일체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에 부직포나 직포 등의 옷감이나 엠보싱 필름을 적층시킨 후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자동차 내장재나 기타 완충재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압축 수밀성을 측정하는 요령을 나타낸 모식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제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리판
A: 띠상체
W: 물
P1, P2: 롤쌍
R1 내지 R4: 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저밀도 폴리에틸렌(용융 유속: 4.0 g/10분, 밀도: 0.923 g/㎤),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용융 유속: 1.3 g/10분, 밀도: 0.930 g/㎤, 아세트산비닐 함유량: 14 중량%),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용융 유속 6.0 g/10 분, 밀도: 0.919 g/㎤, α-올레핀: 1-헥센),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용융 유속: 2.2 g/10분, 밀도: 0.92 g/㎤, 에틸렌 함유량: 3.6 중량%), 아조디카르본아미드,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활성 아연화, 페놀계 항산화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사 제조, 상품명 "이루가녹스 1010"),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를 표 1에 나타낸 소정량씩 압출기에 공급하여 135 내지 140 ℃에서 용융 혼련하여 압출기로부터, 표 1에 나타낸 두께를 갖는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표 1에서는 단순히 "발포성 수지 시트"라 표기함)를 압출하였다. 한편,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폭은 500 ㎜였다. 실시예 6에서는 용융 혼련 온도를 180 내지 190 ℃로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양면에 전자선을 가속 전압 1000 kV로 표 1에 나타낸 소정량만큼 조사하여,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 에 가교 구조를 부여한 후, 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종형 발포기에 공급하여 표 1에 나타낸 가열 온도로 가열하여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얻었다. 한편,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는 독립 기포만을 포함하는 발포층의 양면과, 이 발포층의 양면에 형성되면서 발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된 표피층으로 구성되었다.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두께,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겉보기 밀도,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있어서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표 1에서는 단순히 "평균 기포 직경"이라 표기함) 및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폭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한편, 표 1에서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처리전 발포 시트"라 표기하였다.
계속해서, 동일 직경을 가지면서 대향면에서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상하 한 쌍의 원주상의 상하 롤을 준비하였다. 상하 롤 대향면간 간격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상하 롤의 주속차, 및 상하 롤의 주속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한편, 상하 한 쌍의 롤은 모두 그의 길이 방향의 전장에 걸쳐 동일 직경이고, 상하 한 쌍의 롤은 이들의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었다.
그리고, 상기 상하 롤의 대향면 사이에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공급하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그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압축응력을 가하는 동시에 면 방향으로 전단 응력을 가하여,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 중 일부의 독립 기포를 이들의 기포벽을 파괴하여 서로 연통시켜 연속 기포로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얻었다. 한편, 폴리올레핀 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기포층은 독립 기포와 이 독립 기포의 일부가 연속 기포화되어 이루어지는 연속 기포를 포함하고, 기포층의 양면에는 표피층이 형성되었다. 한편,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겉보기 밀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상하 한 쌍의 롤 사이에 공급하지 않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2)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용융 유속: 1.3 g/10분, 밀도: 0.930 g/㎤, 아세트산비닐 함유량: 14 중량%) 100 중량부, 아조디카르본아미드12 중량부, 활성 아연화 0.5 중량부, 및 디쿠밀퍼옥시드 0.83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믹싱 롤로 85 ℃에서 혼련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금형의 캐비티 내에 충전하고, 5분 동안에 걸쳐 가압하에서 가열하여 세로 150 ㎜×가로 150 ㎜×높이 7 ㎜의 직육면체 형상의 발포성 가교 시트를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발포성 가교 시트를 170 ℃의 오일조 내에 공급하여 40분 동안에 걸쳐 가열하고, 아조디카르본아미드의 30 중량%가 분해된 1차 중간 발포 시트를 오일조 내에서 꺼내고, 추가로, 1차 중간 발포 시트를 세로 390 ㎜×가로 390 ㎜×21 ㎜의 직육면체 형상의 금형 내에 공급하고, 이 금형을 190 ℃의 오일조 내에 공급하여 20분 동안에 걸쳐 가열하고, 아조디카르본아미드를 완전히 분해시켜서 두께 21 ㎜의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얻었다.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는 독립 기포를 포함하는 발포층의 양면에 비발포층이 적층 일체화되었다.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두께,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겉보기 밀도,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 및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있어서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표 2에서는 단순히 "평균 기포 직경"이라 표기함)을 표 2에 나타내었다.
계속해서, 동일 직경을 가지면서 대향면에서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상하 한 쌍의 원주상의 상하 롤을 준비하였다. 상하 롤 대향면간 간격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상하 롤의 주속도는 동일하였다. 상하 롤의 주속도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상하 한 쌍의 롤은 모두 그의 길이 방향의 전장에 걸쳐 동일 직경이고, 상하 한 쌍의 롤은 이들의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었다.
그리고, 상기 상하 롤의 대향면 사이에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공급하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그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압축응력을 가하여,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 중 일부의 독립 기포를 이들의 기포벽을 파괴하고 서로 연통시켜 연속 기포로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얻었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기포층은 독립 기포와 이 독립 기포의 일부가 연속 기포화되어 이루어지는 연속 기포를 포함하였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비발포층이 딱딱하기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밀봉재로서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양면의 비발포층을 제거한 후, 발포 시트를 그 두께가 5 ㎜가 되도록 슬라이스하여 발포 시트의 밀도 및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을 측정한 결과, 밀도는 50 kg/㎥, 평균 기포 직경은 0.86 ㎜ 였다.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비교예 1은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50% 압축 강도, 50% 압축 영구 변형 및 연속 기포율을 상술한 요령으로 측정하였고, 50% 압축 수밀성, 75% 압축 수밀성 및 진공 성형성을 하기에 나타낸 요령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 2에 나타내었다.
(압축 수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그의 폭 방향으로 폭 10 ㎜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하여 띠상체 A를 제조하였다. 한편, 정면 정방 형상의 일정 두께를 갖는 표면이 평활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유리판(1, 1)을 준비하고, 이 한 쌍의 유리판(1, 1)의 대향면 사이에 상기 띠상체 A를 그 표피층이 내외 방향이 되도록 정면 U자형으로 굴곡시킨 후에 볼트(21) 및 너트(22)를 이용하여 전후 방향에서 협지하였다.
한편, 50% 압축 수밀성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유리판(1, 1)에 의한 협지 후의 띠상체 A 폭이 협지 전의 띠상체 A 폭의 50%가 되도록, 75% 압축 수밀성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유리판(1, 1)에 의한 협지 후의 띠상체 A 폭이 협지 전의 띠상체 A 폭의 25%가 되도록, 띠상체 A를 한 쌍의 유리판(1, 1)에 의해 폭 방향으로 압축하였다. 또한, 띠상체 A가 전체적으로 동일 압축 정도가 되도록 띠상체 A의 상측 및 하측에 있어서, 한 쌍의 유리판(1, 1)의 대향면 사이에 스페이 서 부재(3, 3)를 개재시켰다.
상기 U자형 띠상체 A와 한 쌍의 유리판(1, 1)으로 둘러싸인 공간부 내에 물(W)을 최대 깊이(h)가 100 ㎜가 되도록 공급하고, 누수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 누수가 발생한 경우를 ×로 하였다.
한편, 비교예 2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양면의 비발포층을 제거한 후, 발포 시트를 그의 두께가 5 ㎜, 폭이 10 ㎜가 되도록 슬라이스하여 얻어진 띠상체를 이용하였다.
(진공 성형성)
직경이 100 ㎜인 평면 원형상의 저면부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상측으로 높이가 50 ㎜인 원통형 주벽부가 연장하여 설치된 실린더형의 자형 금형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를 120 ℃로 가열한 후에 자형 금형을 이용하여 진공 성형하여 컵 형상의 성형품을 얻었다. 한편, 실시예 5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130 ℃로, 실시예 6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140 ℃로 가열하였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양면의 비발포층을 제거한 후, 발포 시트를 그의 두께가 5 ㎜가 되도록 슬라이스하여 얻어진 성형용시트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는 자형 금형 그대로의 컵 모양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었다(표 1, 2에서는 "○"라 표기함). 한편, 비교예 2의 성형용 시트는 성형용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공기가 빠지기 때문에 진공 성형할 수 없었다(표 2에 서는 "×"라 표기함).
Figure 112007029212805-PCT00001
Figure 112007029212805-PCT00002
(실시예 7)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한 쌍의 롤 R1, R2로 이루어지는 롤쌍 P1과, 이 롤쌍 P1의 전방에 배치된 상하 한 쌍의 롤 R3, R4로 이루어지는 롤쌍 P2을 포함하는 롤군을 구비한 제조 장치를 준비하였다. 한편, 롤쌍 P1의 롤 R1, R2의 대향면간 간격은 0.15 ㎜이고, 롤쌍 P2의 롤 R3, R4의 대향면간 간격은 0.15 ㎜였다. 롤 R1 내지 R4은 동일 직경을 갖는 원주상의 롤이었다. 롤 R1 내지 R4은 그의 길이 방향의 전장에 걸쳐 동일 직경을 가졌다. 롤쌍 P1의 롤 R1 및 롤 R2은 이들의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었다. 롤쌍 P2의 롤 R3 및 롤 R4은 이들의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었다.
롤 R1의 주속도 V3는 5 m/분이고, 롤 R4의 주속도 V2는 6.75 m/분이며, 롤쌍 P1 내에서의 롤 R1의 주속도 V1와 롤 R2의 주속도 V2의 주속차는 35%였다.
또한, 롤 R3의 주속도 V1는 5.8 m/분이고, 롤 R2의 주속도 V4는 7.8 m/분이며, 롤쌍 P2 내에서의 롤 R3의 주속도 V3와 롤 R4의 주속도 V4의 주속차는 34.5%였다.
한편, 수평 발포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베이스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를 준비하였다. 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는 실질적으로 독립 기포만을 포함하는 발포층과, 이 발포층의 양면에 형성되면서 이 발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된 표피층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시트F1의 발포층 및 표피층은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졌다.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발포 배율은 40배(밀도: 25 kg/㎥)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두께는 10.2 ㎜이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폭은 2 m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에 있어서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은 0.30 ㎜였다.
다음으로,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를 롤쌍 P1의 롤 R1과 롤 R2 사이에 공급하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에 그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 응력을 가하는 동시에 면 방향으로 전단 응력을 가하여,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 중 일부의 독립 기포를 파열시켜 기포벽을 파괴하고 독립 기포끼리를 서로 연통시켜 연속 기포로 하였다.
계속해서, 롤쌍 P1의 롤 R1과 롤 R2 사이에서 배출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를 연속적으로 롤쌍 P2의 롤 R3과 롤 R4 사이에 공급하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에 그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 응력을 가하는 동시에 면 방향으로 전단 응력을 가하여,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 중 일부의 독립 기포를 파열시켜 기포벽을 파괴하고, 독립 기포끼리를 서로 연통시켜 연속 기포로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를 얻었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의 기포층은 독립 기포와 이 독립 기포의 일부가 서로 연통하여 이루어지는 연속 기포로 이루어졌고, 기포층의 양면에는 표피층이 적층 일체화되었다. 한편,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 겉보기 밀도 및 두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를 임의의 개소에서 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기포벽이 높은 비율로 파괴되었고, 기포층에는 그의 두께 방향의 전장에 걸쳐 연속 기포가 균일하게 형성되었다.
(실시예 8)
수직 발포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를 준비하였다. 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는 실질적으로 독립 기포만을 포함하는 발포층과, 이 발포층의 양면에 형성되면서 발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된 표피층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발포층 및 표피층은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졌다.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발포 배율은 30배(밀도: 31 kg/㎥)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두께는 5.2 ㎜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폭은 2 m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에 있어서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은 0.25 ㎜였다.
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1를 이용하여, 롤쌍 P1, P2의 롤 R1 내지 R4의 주속도 V1 내지 V4, 롤쌍 P1의 롤 R1, R2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 및 롤쌍 P2의 롤 R3, R4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요령으로 기포층의 독립 기포를 파열시켜 기포벽을 파괴하고, 독립 기포끼리를 서로 연통시켜 연속 기포로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를 얻었다. 한편,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 겉보기 밀도 및 두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를 임의의 개소에서 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기포벽이 높은 비율로 파괴되었고, 기포층에는 그의 두께 방향의 전장에 걸쳐 연속 기포가 균일하게 형성되었다.
(실시예 9)
수평 발포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를 준비하였다. 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는 실질적으로 독립 기포만을 포함하는 발포층과, 이 발포층의 양면에 형성되면서 발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된 표피층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발포층 및 표피층은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졌다.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발포 배율은 25배(밀도: 40 kg/㎥)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두께는 7.5 ㎜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폭은 2m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에 있어서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은 0.35 ㎜였다.
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1를 이용하여, 롤쌍 P1, P2의 롤 R1 내지 R4의 주속도 V1 내지 V4, 롤쌍 P1의 롤 R1, R2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 및 롤쌍 P2의 롤 R3, R4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요령으로 기포층의 독립 기포를 파열시켜 기포벽을 파괴하고, 독립 기포끼리를 서로 연통시켜 연속 기포로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 를 얻었다. 한편,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 겉보기 밀도 및 두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를 임의의 개소에서 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기포벽이 높은 비율로 파괴되었고, 기포층에는 그의 두께 방향의 전장에 걸쳐 연속 기포가 균일하게 형성되었다.
(실시예 10)
수직 제조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베이스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를 준비하였다. 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는 실질적으로 독립 기포만을 포함하는 발포층과, 이 발포층의 양면에 형성되면서 발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된 표피층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발포층 및 표피층은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졌다.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발포 배율은 21배(밀도: 47 kg/㎥)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두께는 3.3 ㎜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폭은 2 m이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에서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은 0.23 ㎜였다.
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를 이용하여, 롤쌍 P1, P2의 롤 R1 내지 R4의 주속도 V1 내지 V4, 롤쌍 P1의 롤 R1, R2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 및 롤쌍 P2의 롤 R3, R4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요령으로 기포층의 독립 기포를 파열시켜 기포벽을 파괴하고, 독립 기포끼리를 서로 연통시켜 연속 기포로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를 얻었다. 한편,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 겉보기 밀도 및 두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를 임의의 개소에서 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기포벽이 높은 비율로 파괴되었고, 기포층에는 그의 두께 방향의 전장에 걸쳐 연속 기포가 균일하게 형성되었다.
(실시예 11)
수직 발포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베이스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를 준비하였다. 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는 실질적으로 독립 기포만을 포함하는 발포층과, 이 발포층의 양면에 형성되면서 발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된 표피층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발포층 및 표피층은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가졌다.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발포 배율은 7.4배(밀도: 135 kg/㎥)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두께는 3.0 ㎜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폭은 2 m이고,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에서의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은 0.18 ㎜였다.
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을 이용하여, 롤쌍 P1, P2의 롤 R1 내지 R4의 주속도 V1 내지 V4, 롤쌍 P1의 롤 R1, R2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 및 롤쌍 P2의 롤 R3, R4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요령으로 기포층의 독립 기포를 파열시켜 기포벽을 파괴하고, 독립 기포끼리를 서로 연통시켜 연속 기포로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를 얻었다. 한편,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 겉보기 밀도 및 두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를 임의의 개소에서 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기포층의 독립 기포의 기포벽이 높은 비율로 파괴되었고, 기포층에는 그의 두께 방향의 전장에 걸쳐 연속 기포가 균일하게 형성되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표 3에서는 "처리 후"라 표시함)의 10% 압축 강도, 25% 압축 강도 및 50% 압축 강도를 JIS K6767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의 50% 압축 영구 변형을 측정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F2의 연속 기포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압축력 및 전단 응력을 가하기 전의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표 3에서는 "미처리"라 표기함)의 10% 압축 강도, 25% 압축 강도 및 50% 압축 강도를 JIS K6767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50% 압축 영구 변형을 측정하였다.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 F1의 연속 기포율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7029212805-PCT00003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및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는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기포 직경도 작아, 건물 벽재의 밀봉재, 자동차 램프 커버의 가스켓, 자동차용 도어재의 쿠션재, 컴포트 재료(comfort material), 완충재, 감촉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이며, 서로 다른 주속도를 가지면서 대향면에서의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 방향이 되도록 회전하는 한 쌍의 롤 사이의 간극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공급하고,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압축력과 전단 응력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의 일부를 파열시키고 독립 기포끼리를 연통시켜서 연속 기포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2.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이며, 서로 다른 주속도를 가지면서 대향면에서의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 방향이 되도록 회전하는 한 쌍의 롤을 1 세트의 롤쌍으로 하고, 이 롤쌍을 2 세트 이상 차례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롤군의 각 롤쌍의 롤 사이의 간극에 차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공급하고,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압축력과 전단 응력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독립 기포의 일부를 파열시키고 독립 기포끼리를 연통시켜서 연속 기포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롤군 중 서로 인접하는 임의의 2 세트의 롤쌍 사이에서, 각 롤쌍 중 주속도가 빠른 롤이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롤쌍의 수가 2 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롤군 중 서로 인접하는 2 세트의 롤쌍 사이에서, 후측 롤쌍 중 주속도가 느린 롤 R1의 주속도 V1 및 주속도가 빠른 롤 R2의 주속도 V2와, 전측 롤쌍 중 주속도가 느린 롤 R3의 주속도 V3 및 주속도가 빠른 롤 R4의 주속도 V4가 하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롤 R1과 롤 R4가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롤 R2와 롤 R3이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주속도 V2 > 주속도 V1, 주속도 V4 > 주속도 V3, 주속도 V3 > 주속도 V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롤쌍 내에 있어서의 롤간 주속차가 2 내지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롤쌍의 롤간 간격이 0.01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폭이 1 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겉보기 밀도가 20 내지 500 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가,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는 기포층으로서, 평균 기포 직경이 0.1 내지 1 ㎜인 독립 기포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기포층과, 이 기포층의 양면 또는 한쪽 면에 형성된 표피층으로서, 상기 기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면서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는 표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를 롤쌍의 롤 사이의 간극에 공급하기 전에, 상기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에, 이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 시트의 롤쌍으로의 공급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폭이 1 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13. 제11항에 있어서, 겉보기 밀도가 20 내지 500 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14.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는 기포층으로서, 평균 기포 직경이 0.1 내지 1 ㎜인 독립 기포 및 이 독립 기포의 일부를 서로 연통시켜 이루어지는 연속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를 갖는 기포층과, 이 기포층의 양면 또는 한쪽 면에 형성된 표피층으로서, 상기 기포층의 기포의 기포벽끼리가 기밀적으로 밀착 일체화되어 박막형으로 형성되면서 전자선 가교에 의한 가교 구조를 갖는 표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16. 제14항에 있어서, 50% 압축 강도가 3 내지 300 k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17. 제14항에 있어서, 50% 압축 영구 변형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18. 제14항에 있어서, 겉보기 밀도가 20 내지 500 kg/㎥이고, 두께가 0.1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19. 제14항에 있어서, 기포층의 내부에 연속 기포가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표피층에는 구멍이 실질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KR1020077008742A 2004-10-18 2005-10-18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KR101240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24792.6 2004-10-18
EP04024792A EP1647384B1 (en) 2004-10-18 2004-10-18 Combined compression and sheari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crushed polyolefin foam and product obtained thereby
JPJP-P-2004-00305203 2004-10-20
JP2004305203 2004-10-20
PCT/JP2005/019147 WO2006043570A1 (ja) 2004-10-18 2005-10-18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880A true KR20070072880A (ko) 2007-07-06
KR101240772B1 KR101240772B1 (ko) 2013-03-07

Family

ID=3620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742A KR101240772B1 (ko) 2004-10-18 2005-10-18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54871B2 (ko)
JP (1) JP4696074B2 (ko)
KR (1) KR101240772B1 (ko)
WO (1) WO20060435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471B1 (ko) * 2007-10-02 2013-02-0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연신 발포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66909B1 (ko) * 2012-09-12 2014-12-03 영보화학 주식회사 초박판 전자선가교 발포체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8419A1 (ja) * 2007-08-24 2009-03-05 Sekisui Chemical Co., Ltd. シール材
DE102008009192A1 (de) * 2008-02-15 2009-08-20 Bayer Materialscience Ag Hochflexibles flächiges Verbundmaterial
JP5550819B2 (ja) * 2008-06-20 2014-07-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ゴムシートの製造方法
US8728364B2 (en) * 2008-07-09 2014-05-20 Senstat Products & Technologies, Inc. Open cell foam and manufacture of open cell foam products
JP2011012235A (ja) * 2009-07-06 2011-01-20 Nitto Denko Corp 樹脂発泡体
WO2011008845A1 (en) * 2009-07-14 2011-01-20 Toray Plastics (America), Inc. Crosslinked polyolefin foam sheet with exceptional softness, haptics, moldability, thermal stability and shear strength
EP2385079A1 (en) 2010-04-13 2011-11-09 Sekisui Alveo AG Bitumen polyolefin foam and its production
JP5508115B2 (ja) * 2010-04-26 2014-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発泡体及び発泡部材
JP5596509B2 (ja) * 2010-11-19 2014-09-24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連続気泡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5477468B2 (ja) 2011-03-09 2014-04-23 東レ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体
EP2589477B1 (de) * 2011-11-03 2016-03-09 Kamal Mostafa Kunststoffschaumplatte und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flächigen Kunststoffschaumplatten
US10557061B2 (en) 2011-12-26 2020-02-11 Dic Corporation Adhesive tape
JP5370796B1 (ja) 2012-03-22 2013-12-18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5477517B1 (ja) * 2012-04-13 2014-04-23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ES2530168T3 (es) 2012-05-23 2015-02-26 Sekisui Alveo Ag Espuma de poliolefina retardante de la llama y su producción
JP2014012821A (ja) * 2012-06-07 2014-01-23 Nitto Denko Corp 樹脂発泡体及び発泡材
WO2014064487A1 (de) 2012-10-25 2014-05-01 Kamal Mostafa Kunststoffschaumplatt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5620021B2 (ja) * 2014-01-31 2014-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発泡体及び発泡部材
JP5620022B2 (ja) * 2014-02-07 2014-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発泡体及び発泡部材
US11352525B2 (en) * 2015-09-29 2022-06-07 Sekisui Chemical Co., Ltd. Polyolefin resin foamed sheet and adhesive tape
JPWO2023176985A1 (ko) * 2022-03-18 2023-09-21
CN114714556A (zh) * 2022-04-01 2022-07-08 启东纽昇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生产开孔聚乙烯发泡材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132B2 (ja) 1977-10-31 1985-06-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連続気泡ポリオレフイン発泡体の製造方法
JPS57191027A (en) 1981-05-22 1982-11-24 Sanwa Kako Kk Manufacture of bridged polyolefin continuous foamed material
JPS5962118A (ja) * 1982-10-01 1984-04-09 Sekisui Chem Co Ltd 柔軟な発泡体の製造方法
DE8520049U1 (ko) * 1985-07-11 1986-11-13 Irbit Research + Consulting Ag, Freiburg/Fribourg, Ch
JPS62189144A (ja) * 1986-02-17 1987-08-18 Toray Ind Inc 連続気泡を有する架橋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H11348064A (ja) * 1998-06-03 1999-12-21 Sekisui Chem Co Ltd 連続気泡性架橋発泡体の製造方法
JP4237883B2 (ja) * 1999-07-28 2009-03-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オレフィン系樹脂連続気泡発泡体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471B1 (ko) * 2007-10-02 2013-02-0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연신 발포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66909B1 (ko) * 2012-09-12 2014-12-03 영보화학 주식회사 초박판 전자선가교 발포체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772B1 (ko) 2013-03-07
US20080003421A1 (en) 2008-01-03
JPWO2006043570A1 (ja) 2008-05-22
JP4696074B2 (ja) 2011-06-08
WO2006043570A1 (ja) 2006-04-27
US7854871B2 (en)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772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가교 발포 시트
KR101166390B1 (ko)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연질의 폴리올레핀 발포체
KR102097950B1 (ko) 수지 발포체 시트 및 수지 발포 복합체
TWI760425B (zh) 發泡體及其製造方法
JP5116448B2 (ja) 連続気泡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
KR102537427B1 (ko) 다층 발포 시트, 다층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점착 테이프
CN100553950C (zh) 聚烯烃类树脂交联发泡片的制造方法以及聚烯烃类树脂交联发泡片
JP6724509B2 (ja) 透過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JP2015187232A (ja) ポリオレフィン発泡シート
CN114585670A (zh) 树脂发泡体
US11225562B2 (en) Expanded beads and molded object thereof
JP2005350571A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シート及び熱可塑性樹脂発泡体シートの製造方法
KR20200060387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점착 테이프
JP2005239995A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シート及び熱可塑性樹脂発泡体シートの製造方法
WO2005073299A1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シート及び熱可塑性樹脂発泡体シートの製造方法
TW202100635A (zh) 聚烯烴系樹脂發泡薄片
JP3297253B2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積層体及び成形体
JP5339835B2 (ja) 積層発泡シート
JP2006083236A (ja) シール材
JP2018070735A (ja) 発泡粒子及び発泡粒子成形体の製造方法
CN104774356B (zh) 发泡体及发泡体的制造方法
JP2019094419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成形体
JP4190314B2 (ja) 成形品
EP423422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JPH08104765A (ja) 成形性に優れた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