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577A - 드럼식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577A
KR20070072577A KR1020077010720A KR20077010720A KR20070072577A KR 20070072577 A KR20070072577 A KR 20070072577A KR 1020077010720 A KR1020077010720 A KR 1020077010720A KR 20077010720 A KR20077010720 A KR 20077010720A KR 20070072577 A KR20070072577 A KR 20070072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eat exchange
evaporator
drum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110B1 (ko
Inventor
신이치로 가와바타
히사오 다츠미
고지 가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07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수조(23), 상기 수조(23) 내에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드럼(24), 양 단부가 상기 수조(23)에 접속되고 상기 수조와의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 경로(31), 압축기(36), 상기 순환 경로(31) 내에 배치된 응축기(37, 46, 51) 및 증발기(38, 47, 52)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경로(31)와 상기 수조(23) 사이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히트펌프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순환 경로(31)는 상기 수조(23)의 하방부에 위치하는 열교환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부(34)의 전부 및 후부에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가 위치하는 상기 열교환부의 하면은 상기 응축기가 위치하는 상기 열교환부(34)의 하면 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배수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식 세탁 건조기{DRUM-TYPE WASHER-DRYER}
본 발명은 히트펌프 기구를 이용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의 각 행정을 차례로 자동적으로 실행시키거나, 상기 행정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서는 건조 행정에 있어서 드럼 내에 공급되는 건조풍의 열원으로서 시즈 히터 또는 허니컴 히터 등의 전기히터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 히터는 소비전력이 크므로 일반 가정의 부담이 커진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화를 위해 히트펌프 기구를 응용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류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004-135755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5는 히트펌프 기구를 이용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일반적인 종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외부 상자(1)와 상기 외부 상자(1)의 내부에 탄성지지된 수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조(2)의 내부에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상자(1)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되는 투입구(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1a)는 상기 드럼(3) 및 수조(2)의 전면 개구와 연통되어 있고, 회동 자유로운 문(4)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조(2)의 후면부에는 모터(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5)의 회전축(6)은 수조(2)를 관통하여 드럼(3)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고, 모터(5)의 회전 동력이 드럼(3)에 직접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조(2)의 저부에는 배수 밸브(8)를 통해 제 1 배수관로(7)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관로(7)는 외부 상자(1)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조(2)에는 순환 경로로서의 순환 덕트(9)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순환 덕트(9)의 일단부는 수조(2)의 전면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수조(2)의 후면에 연통되어 있다. 순환 덕트(9) 중 수조(2)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히트펌프 기구의 일부가 배치된 열교환 덕트(9a)를 구성하고 있다. 열교환 덕트(9a)는 외부 상자(1)의 저면 및 드럼(3)에 대해 대략 평행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순환 덕트(9) 내의 열교환 덕트(9a)의 후부(도 5에서의 좌측부)에는 송풍 팬(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 팬(10)에 의해 순환 덕트(9), 수조(2), 및 드럼(3)의 내부에는 도 5에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된다.
상기 히트펌프 기구는 응축기(11), 캐필러리 튜브(도시하지 않음), 및 증발기(12)와, 상기 응축기(11), 캐필러리 튜브(도시하지 않음), 증발기(12)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17)로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 덕트(9a) 내에는 응축기(11) 및 증발기(12)가 배치되어 있다.
드럼(3) 내에는 응축기(11)에서 열교환되어 가열된 공기(건조풍)가 공급되어 세탁물을 건조한다. 또한, 드럼(3) 내에서 건조에 기여한 후의 수분을 포함한 공 기는 증발기(12)에서 냉각 제습된다. 한편, 히트펌프 기구에서는 압축기(17)로부터 응축기(11)로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열교환 덕트(9a) 내의 공기와 열교환됨으로써 온도가 저하된 후, 캐필러리 튜브를 거쳐 증발기(12)로 유입된다. 증발기(12)로 유입된 저온의 냉매는 열교환 덕트(9a) 내의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온도가 상승하여 압축기(17)로 복귀되고, 응축기(11)에서의 열교환에 재이용된다. 이 때문에, 히트펌프 기구를 이용한 구성으로는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덕트(9a) 중 상기 증발기(12)의 하부에는 배수구(14)를 구비한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14)에는 개폐 밸브(15)를 통해 제 2 배수관로(16)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관로(16)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배수관로(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12)에서 발생한 제습수는 배수구(14)로부터 배수관로(16)로 유입된 후, 배수관로(7)를 흐르는 물과 함께 배출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외부 상자(1)내의 수조(2)의 하방부의 공간에 수평 배치된 열교환 덕트(9a)에 히트펌프 기구의 응축기(11) 및 증발기(12)가 배치되어 있다. 즉, 응축기(11) 및 증발기(12)는 수조(2)나 드럼(3)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배수관로(16)로부터의 제습수의 자연 배수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 2 배수관로(16)와 합류 후의 제 1 배수관로(7)의 외부 상자(1) 내의 최저 부위와, 증발기(12)의 하면 또는 열교환 덕트(19a)의 하면과의 사이의 고저차(H)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부 상자(1) 내의 수조(2)의 하방부의 공간이 좁으면 충분한 고저차(H)를 확보할 수 없고, 배수 성능이 저하되므로 외부 상자(1) 전체의 높이 칫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드럼 및 수조를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하고, 외부 상자 전면의 투입구가 약간 상향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 드럼식 세탁기가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드럼에 대해 세탁물을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이나 수조를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하면, 수조의 후반부의 하방부의 공간이 좁아지고, 히트펌프 기구를 수평 배치한 경우에 충분한 고저차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 및 드럼을 경사지게 배치한 경우에도 수조의 하방부에 히트펌프 기구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제습수를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수조, 상기 수조 내에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드럼, 양 단부가 상기 수조에 접속되어 상기 수조와의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 경로, 압축기, 상기 순환 경로 내에 배치된 응축기 및 증발기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경로와 상기 수조 사이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건조 수단을 구비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순환 경로는 상기 수조의 하방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가 수용된 열교환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열교환부의 전부 및 후부에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가 위치하는 상기 열교환부의 하면은 상기 응축기가 위치하는 상기 열교환부의 하면 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배수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수조의 하방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열교환부를 배치하고, 또한 배수구를 높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증발기와 순환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함으로써 생긴 제습수를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측면도,
도 2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 상당도,
도 3은 응축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 1 상당도, 및
도 5는 종래예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 건조기는 세탁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투입구(21a)를 구비한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외부 상자(21)와 상기 투입구(21a)를 개폐하는 문(22)을 구비하고 있다. 투입구(21a)는 외부 상자(21)의 전면의 약간 위쪽으로 치우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상자(21)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수조(23)가 탄성지지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23)는 약간 전방이 높은 경사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전면(도 1의 우측면)에 큰 개구부를 갖고 있다. 상기 수조(23)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드럼(2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24)은 상기 수조(23)와 마찬가지로 전방이 높은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드럼(24)의 회전 중심축은 수평면에 대해 「α°」만큼 위쪽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드럼(24)은 그 전면에 큰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그 둘레벽에 다수의 구멍(24a)이나 복수의 배플(24b)(1개만 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24)은 세탁조, 탈수조, 및 건조조로서 기능한다.
상기 수조(23) 및 드럼(24)의 각 전면 개구는 모두 상기 외부 상자(21)의 투입구(21a)와 대향하고, 상기 개구 및 투입구(21a)를 통해 드럼(24)에 대해 세탁물을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조(23) 및 드럼(24)의 경사 배치에 맞춰 외부 상자(21) 전면의 상반부 및 투입구(21a)는 약간 위쪽을 지향(指向)하고 있다. 또한, 외부 상자(21)의 투입구(21a)와 수조(23)의 전면 개구 사이에는 탄성적인 벨로즈(25)가 수밀(水密)하게 연결되어 있고, 수조(23) 내로부터 외부 상자(21) 내로의 물의 누설 등이 방지되어 있다.
상기 수조(23)의 후면부 중앙에는 모터(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26)는, 예를 들면 아우터로터형 DC 브러시리스 모터이며, 그 로터에 연결된 회전축(27)은 수조(23)를 관통해서 드럼(24)의 후면부 중앙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26)가 통전 구동되면, 그 로터와 일체적으로 드럼(24)이 회전한다.
또한, 수조(23)의 저면의 후측 하부에는 배수구(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28)에는 배수밸브(29)를 통해 제 1 배수관로(3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로(30)의 선단부는 외부 상자(21)의 외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배수 장소까지 도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조(23)에는 순환 경로(31)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순환 경로(31)는 수조(31)의 후면에 위치하는 급기 덕트(32), 상기 수조(31)의 전면에 위치하는 배기 덕트(33), 상기 수조(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열교환부로서의 열교환 덕트(34)로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 덕트(34)의 전후 양 단부는 각각 상기 급기 덕트(32)의 하단부 및 배기 덕트(33)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열교환 덕트(34)는 외부 상자(21)의 저부 등 적절한 정지(靜止) 부위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 급기 덕트(32) 및 배기 덕트(33)는 외부 상자(21) 내에 탄성지지된 수조(23)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열교환 덕트(34)와 급기 덕트(32) 및 배기 덕트(33)와의 접속부(31a, 31b)는 각각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자바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 덕트(34) 내의 후단부에는 송풍 팬(35)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풍이 도 1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순환 경 로(31)와 수조(23) 및 드럼(24) 사이를 순환한다.
또한, 열교환 덕트(34) 내의 후부 및 전부에는 응축기(37) 및 증발기(3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상자(21) 내의 전측 하부에는 압축기(3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36), 응축기(37), 증발기(38), 및 캐필러리 튜브(도시하지 않음)로 히트펌프 기구가 구성된다. 상기 히트펌프 기구에서는 압축기(36)가 구동됨으로써 압축기(36), 응축기(37), 캐필러리 튜브, 증발기(38), 및 압축기(36) 순으로 냉매가 순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수조(23) 및 드럼(24)에 맞춰 열교환 덕트(34)도 전방이 높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열교환 덕트(34)는 후부의 수평 덕트부(34a)와 전부의 수평 덕트부(34b), 및 이들 수평 덕트부(34a, 34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덕트부(34c)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 덕트부(34b)는 수평 덕트부(34a) 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고, 이 때문에 중간 덕트부(34c)는 전부로부터 후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높은 위치에 있는 수평 덕트부(34b)에 증발기(38)가 배치되고, 낮은 위치에 있는 수평 덕트부(34a)에 응축기(37)가 배치되어 있다. 즉, 열교환 덕트(34) 중 증발기(38)가 배치된 부분의 하면과, 응축기(37)가 배치된 부분의 하면 사이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 덕트부(34b)의 저부에는 증발기(38)의 제습수를 모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40)를 구비한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40)에는 개폐 밸브(41)를 통해 제 2 배수관로(4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로(42)의 단부 는 상기 배수관로(30)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수평 덕트부(34b)는 높은 위치에 있고, 제 2 배수관로(42)와 합류된 후의 제 1 배수관로(30)의 외부 상자(21) 내의 최저 부위와, 상기 수평 덕트(34b)에 설치된 증발기(38) 사이에는 소정의 고저차(H)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또한, 수평 덕트부(34a)의 저면으로서 응축기(37)의 하류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물 배출구(4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 배출구(43)의 하방의 외부 상자(21)의 저면상에는 물받이 접시(4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물 배출구(43)는 상기 물 배출구(43)를 통해 수평 덕트(34a) 내에 공기가 최대한 유입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유입되기 어려운 개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구성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세탁 운전을 개시할 때, 우선 사용자는 투입구(21a)로부터 드럼(24) 내에 세탁물을 투입한다. 이 경우, 상기 드럼(24)은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고, 이에 맞춰 상기 투입구(21a)가 약간 상향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계속해서, 세탁 운전, 예를 들면 표준적인 세탁 운전이 개시되면, 주지와 같이 드럼(24)의 회전 속도가 제어되고,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각 행정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요지에 관계되는 건조 행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행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건조 행정에 있어서는 송풍 팬(35)이 구동되고, 이에 의해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24) 내의 공기가 배기 덕트(33)를 통과하여 열교환 덕트(34) 로 유입되고, 급기 덕트(32)를 거쳐 드럼(24) 내로 되돌려진다.
한편, 히트펌프 기구를 구성하는 압축기(36)가 구동됨으로써, 고온 고압의 냉매가 압축기(36)로부터 응축기(37)로 흐르고, 열교환 덕트(34) 내의 공기와 열교환된다. 이에 의해 냉매는 온도가 저하되어 액화되고, 캐필러리 튜브를 통과한 후, 증발기(38)로 유입된다. 캐필러리 튜브를 통과한 냉매는 감압되고, 저온 저압의 기액(氣液) 혼합 상태가 된다.
응축기(37)와 열교환하여 가열된 공기는 건조풍으로서 급기 덕트(32)를 통과하고, 수조(23)를 거쳐 드럼(24)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드럼(24) 내에서 세탁물의 수분을 빼앗아 건조에 기여한 건조풍은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되고, 전방의 배기 덕트(33)를 거쳐 열교환 덕트(34)로 되돌려진다. 열교환 덕트(34)로 되돌려진 공기는 증발기(38)와 열교환되어 냉각되고, 공기 중의 수분이 증발기(38)의 표면에 결로된다. 이 결로된 물은 적하하여 집수(集水) 오목부(39)에 모이고, 배수구(40), 개폐 밸브(41)를 거쳐 제 2 배수관로(42)로 배출되며, 제 1 배수관로(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증발기(38)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는 덕트부(34c)를 통과하여 응축기(37)에 도달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열교환된 후, 건조풍으로서 다시 드럼(24)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 덕트(34)와 드럼(24) 사이를 공기가 순환함으로써 드럼(24) 내의 세탁물이 건조된다.
그런데, 열교환 덕트(34) 내에서는 증발기(38)에서 결로된 물의 일부가 비산하여 응축기(37)의 근방에 도달하거나, 열교환 덕트(34)의 내벽에 생긴 결로수가 순환 공기의 흐름에 따라서 응축기(37)의 근방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 이 응축기(37)의 근방에 결로수가 도달하면, 응축기(37)에 의한 공기의 가열 효과가 방해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기(37)의 하류측의 수평 덕트부(34a)의 하면에 물배출구(43)를 설치했으므로, 상기 결로수는 수평 덕트부(34a)에 저장되지 않고 물배출구(43)로부터 물받이 접시(44)로 배출된다. 따라서, 결로수가 응축기(37)의 근방에 도달하는 것에 의한 공기의 가열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 접시(44)로 배출된 물은 증발됨으로써 소멸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23) 및 드럼(24)을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하고, 또한 상기 수조(23)의 하방부에 배치된 열교환 덕트(34)를 후부의 수평 덕트부(34a)와 전부의 수평 덕트부(34b), 이들 수평 덕트부(34a, 34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덕트부(34c)로 구성했다. 그리고, 상기 수평 덕트부(34b)가 상기 수평 덕트부(34a) 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수평 덕트부(34b)에 증발기(38)를, 수평 덕트부(34a)에 응축기(37)를 설치했다. 따라서, 증발기(38)에서 생긴 제습수가 배수구(40)에서 자연 배수되므로 유효한 고저차(H)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조(23)의 경사에 맞춰 열교환 덕트(34)를 구성하는 수평 덕트부(34a)를 높은 위치로, 수평 덕트(34b)를 낮은 위치로 하고, 수평 덕트부(34a)의 하면과 수평 덕트부(34b) 사이에 단차를 설치했으므로 수조(23)의 하방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열교환 덕트(34)를 대신하여 열교환 덕트(45)를 수조(23)의 하방부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 열교환 덕트(45)는 그 상면이 수조(23) 및 드럼(24)의 경사를 따르도록 전방이 높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수조(23)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응축기(46) 및 증발기(47)의 상면(46a, 47a)도 수조(23) 및 드럼(24)의 경사를 따르도록 전방이 높도록 경사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기(46) 및 증발기(47)의 상면(46a, 47a)의 경사 각도는 열교환 덕트(45)의 상면의 경사 각도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응축기(46) 및 증발기(47)는 상면(46a, 47a)이 상기 열교환 덕트(45)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열교환 덕트(45) 중 응축기(46) 및 증발기(47)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하면은 각각 수평면 형상이고, 양 하면 사이에는 열교환 덕트(34)와 마찬가지로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응축기(46) 및 증발기(47)는 모두 후부 보다도 전부가 확대되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 1 실시예에 비해 수조(23)의 바로 하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한 만큼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특히, 응축기(46)는 높은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는 증발기(47)에 비해 용적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구성의 응축기(46)의 구성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 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기(46)는 방열용의 다수의 핀(48)에 냉매용 튜브(49)를 교차시켜 구성되어 있다. 응축기(46)의 상면(46a)을 수조(23) 및 드럼(24)의 경사에 맞춰 경사시킨 것에 따라 각 핀(48)의 상단부도 전방이 높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핀(48)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튜브(49)를 증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응축기(46)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 즉 공기의 가열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응축기(46)에 비하면 정도는 작지만 증발기(47)에서도 용적의 대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47)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도 향상되므로, 공기의 제습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히트펌프 기구 전체로서의 열교환 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세탁물의 건조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열교환 덕트(34)를 대신해서 열교환 덕트(50)를 수조(23)의 하방부에 배치하고 있다. 열교환 덕트(50)는 수조(23) 및 드럼(24)의 경사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전방이 높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열교환 덕트(50) 내에는 응축기(51), 증발기(52)가 각각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응축기(51) 및 증발기(52)의 각 상면(51a, 52a) 및 각 하면(51b, 52b)은 모두 열교환 덕트(50)의 상면 및 하면을 따라서 경사져 있다.
또한, 열교환 덕트(50)의 하면 중 응축기(51) 및 증발기(52)가 위치하는 부분은 모두 경사 상태에 있지만, 양자 사이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응축기(51) 및 증발기(52)는 모두 대략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 1 실시예에서 나타낸 응축기(37) 및 증발기(38)와 유사하다. 그러나, 수조(23) 및 드럼(24)의 경사에 맞춰 열교환 덕트(50)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수조(23) 하방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열교환 덕트(50)의 용적을 대형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응축기(51) 및 증발기(52)의 대형화가 가능해지고, 열교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도면에 도시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물 배출구(43)는 열교환 덕트의 하면 중 응축기의 근방이면 되고, 송풍팬의 위치나 열교환 덕트의 구조 등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면 된다.
순환 경로의 구체적 구성이나 건조풍이 순환하는 방향, 히트펌프 기구의 구성 부품의 배치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건조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이 제한된 가정용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유용하다.

Claims (4)

  1.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수조(23),
    상기 수조(23) 내에 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드럼(24),
    양 단부가 상기 수조(23)에 접속되고 상기 수조와의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 경로(31), 및
    압축기(36), 상기 순환 경로(31) 내에 배치된 응축기(37, 46, 51) 및 증발기(38, 47, 52)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경로(31)와 상기 수조(23) 사이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히트펌프 기구를 구비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순환 경로(31)는 상기 수조(23)의 하방부에 위치하는 열교환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부(34) 내의 전부 및 후부에 상기 증발기(37, 47, 52) 및 상기 응축기(37, 46, 51)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38, 47, 52)가 위치하는 상기 열교환부(34)의 하면은 상기 응축기(37, 46, 51)가 위치하는 상기 열교환부(34)의 하면 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배수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 중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상면은 상기 수조와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 럼식 세탁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 중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하면과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하면 사이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 중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하면 부근에는 물 배출구(4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20077010720A 2004-11-17 2005-10-26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0928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33167 2004-11-17
JP2004333167A JP4713874B2 (ja) 2004-11-17 2004-11-17 ドラム式洗濯乾燥機
PCT/JP2005/019699 WO2006054431A1 (ja) 2004-11-17 2005-10-26 ドラム式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577A true KR20070072577A (ko) 2007-07-04
KR100928110B1 KR100928110B1 (ko) 2009-11-24

Family

ID=3640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720A KR100928110B1 (ko) 2004-11-17 2005-10-26 드럼식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13874B2 (ko)
KR (1) KR100928110B1 (ko)
CN (1) CN101057019B (ko)
TW (1) TWI289621B (ko)
WO (1) WO20060544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739B1 (ko) * 2007-09-13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3028B2 (ja) * 2006-06-30 2012-07-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乾燥機
WO2008100162A1 (en) * 2007-02-14 2008-08-21 Cayubit Restituto A Compressed air dryer system
JP4962182B2 (ja) * 2007-07-18 2012-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乾燥機
CN101748771B (zh) * 2008-12-19 2012-08-29 博西威家用电器有限公司 水流中转装置及包含该装置的衣物烘干设备
KR101919887B1 (ko) * 2012-05-15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JP5602802B2 (ja) * 2012-08-08 2014-10-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乾燥装置
JP2014140440A (ja) * 2013-01-23 2014-08-07 Panasonic Corp 乾燥機
US10077472B2 (en) 2014-12-18 2018-09-18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High data rate integrated circuit with power management
KR101638923B1 (ko) * 2015-01-13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EP3088596B1 (en) * 2015-04-29 2018-07-11 Whirlpool EMEA S.p.A Machine for washing and drying laundry
CN109402983B (zh) * 2017-08-17 2022-04-12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干衣机
EP3467187B1 (en) 2017-10-09 2021-12-22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configured for being used in a machine for drying laundry and machine for drying laundry equipped with such a filter
KR102505485B1 (ko) * 2021-02-25 2023-03-0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628B2 (ja) * 1987-07-29 1994-09-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2003265889A (ja) * 2002-03-19 2003-09-24 Sanyo Electric Co Ltd 洗濯乾燥機
JP2004135755A (ja) * 2002-10-16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JP2006122466A (ja) * 2004-10-29 2006-05-18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739B1 (ko) * 2007-09-13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8658A (en) 2006-08-16
TWI289621B (en) 2007-11-11
JP4713874B2 (ja) 2011-06-29
KR100928110B1 (ko) 2009-11-24
WO2006054431A1 (ja) 2006-05-26
CN101057019A (zh) 2007-10-17
CN101057019B (zh) 2010-06-02
JP2006141542A (ja)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110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0939589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JP4679384B2 (ja) 洗濯乾燥機
KR100986910B1 (ko) 의류 건조기
JP4550747B2 (ja) 衣類乾燥機
JP6023976B2 (ja) 衣類乾燥機
JP2009061217A (ja) 衣類乾燥機
JP5121659B2 (ja) 洗濯乾燥機
JP5948608B2 (ja) 衣類乾燥機
JP4377781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791881B2 (ja) 衣類乾燥機
CN101092784B (zh) 洗涤干燥机
JP2015123348A (ja) 乾燥機
JP2007111411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791882B2 (ja) 衣類乾燥機
JP5873979B2 (ja) 乾燥装置
JP2006075316A (ja) 洗濯乾燥機
JP7457492B2 (ja) 衣類乾燥機
JP2009125208A (ja) 洗濯乾燥機
JP481269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602802B2 (ja) 乾燥装置
JP2008301941A (ja) 洗濯乾燥機
JP2022182591A (ja) 洗濯乾燥機
JP2012210513A5 (ko)
JP2021045331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