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0413A -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 Google Patents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0413A
KR20070070413A KR1020050132923A KR20050132923A KR20070070413A KR 20070070413 A KR20070070413 A KR 20070070413A KR 1020050132923 A KR1020050132923 A KR 1020050132923A KR 20050132923 A KR20050132923 A KR 20050132923A KR 20070070413 A KR20070070413 A KR 20070070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impurity region
schottky barrier
cathode
barrie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은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0413A/ko
Publication of KR2007007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8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or junctions between the regions
    • H01L29/0692Surface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72Schottky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방향 전압 강하를 낮추면서도 역방향 전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P형 기판 상에 형성된 제1N웰; 상기 제1N웰 상에 형성된 제2N웰과, 상기 제2N웰 상에 형성된 N형의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는 캐소드; 및 상기 제1N웰에 형성된 P형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캐소드와 격리되며 상기 캐소드에 의해 둘러싸인 애노드를 포함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공한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다이오드, 웰, 캐소드, 애노드.

Description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 WITH ENHANCED ELECTRICAL CHARACRERISTIC}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sub : P형 기판 DNWELL : 깊은 N형 웰
NWELL : N웰 Fox : 필드 산화막
TNM : 얇은 N형 메탈 영역 TPM : 얇은 P형 메탈 영역
N+ : N형 불순물 영역 P+ : P형 불순물 영역
S : 실리사이드
본 발명은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에 관한 것으로, 특히 0.18㎛ 디자인 룰에 적용되는 30V 고전압(High Voltage)용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 다이오드는 PN 접합으로 구성되는데 비해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반도체와 금속이 접촉된 구조를 갖는다. 모든 다이오드는 접합부분에 공핍층을 가져 순방향 전압이라도 공핍층을 뛰어 넘을 수 있는 즉, 전위 장벽보다 높은 전압을 가져야 전류가 흐르며, 보통 실리콘 PN 접합인 경우 약 0.7V 정도를 갖는다.
하지만,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0.3V ∼ 0.5V로 비교적 낮으며, 역 회복시간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고속동작에 유리하다. 따라서, 저전압, 대전류 정류를 할 때는 효율 향상을 위해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종래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순방향 전압 강하(Forward voltage drop)가 높고, 역방향 전압 특성 또한 그 한계가 드러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순방향 전압 강하를 낮추면서도 역방향 전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형 기판 상에 형성된 제1N웰; 상 기 제1N웰 상에 형성된 제2N웰과, 상기 제2N웰 상에 형성된 N형의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는 캐소드; 및 상기 제1N웰에 형성된 P형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캐소드와 격리되며 상기 캐소드에 의해 둘러싸인 애노드를 포함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속, 고효율 환경에 부합하기 위하여 P-N 접합 대신 N형 반도체 표면에 금속막(Metal Barrier)을 증착하는 방법으로 부착하는 방법으로 부착시켜서 쇼트키형 다이오드를 형성한다. 따라서, 고주파 신호 처리가 요구되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다이오드 구조는 순방향 전압 강하가 낮아 효율적일 뿐만아니라 역방향으로도 좋은 전압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애노드(Anode)와, 애노드(Anode)를 감싸는 캐소드(Cathode) 영역으로 정의된 P형 기판(P-sub)이 제공되며, P형 기판(P-sub)에는 깊은 N웰(DNWELL)이 형성되어 있다.
깊은 N웰(DNWELL) 상에는 각각 캐소드와 애노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서로 필드 산화막(Fox)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애노드는 깊은 N웰(DNWELL)에 둘러싸인 하부의 얇은 P형 메탈 영역(TPM)과, P형 메탈 영역(TPM) 상에서 기판 표면까지 확장되어 형성된 고농도의 P형 불순물 영역(P+)으로 이루어진다. P형 불순물 영역(P+) 상에는 후속 금속배선 형성시 접촉 저항을 줄이기 위한 실리사이드(Silicide)가 형성되어 있다.
캐소드는 깊은 N웰(DNWELL)에 형성된 N웰(NWELL)과, N웰(NWELL)에 상에 형성된 얇은 N형 메탈 영역(TNM)과, N형 메탈 영역(TNM) 상에서 기판 표면까지 확장되어 형성된 고농도의 N형 불순물 영역(N+)으로 이루어진다. N형 불순물 영역(N+) 상에는 후속 금속배선 형성시 접촉 저항을 줄이기 위한 실리사이드(Silicide)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0.18㎛ 30V 공정에서 약 5V 정도의 중간전압 소자 구현시 필요한 레이어와 일치하며,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형성을 위해 추가되는 레이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은 N웰(DNWELL)이 N형 반도체이며, 쇼트키 배리오로는 Ti/TiN 물질이 사용되며, 별도의 고온 처리가 필요하다. 실리사이드(Silicide)는 Co 실리사이드 또는 Ti나 Ta의 실리사이드를 포함하며, 셀프 얼라인 방식을 통해 형성된다. 이는 금속배선과 깊은 N웰(DNWELL) 간의 접촉 저항을 줄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누설전류를 줄이기 위하여 애노드와 캐소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평면적으로 팔각 형상을 가지며, 애노드 영역에 P형 불순물 영역(P+)과 같은 반대 타입의 불순물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누설 저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캐소드 영역 하부에는 N웰을 형성시킴으로써, 순방향 전류의 성능(Performance)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순방향 및 역방향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실시예를 통해 알아 보았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킴으로써, 고전압 사용에 따른 스위치나 정류기로서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P형 기판 상에 형성된 제1N웰;
    상기 제1N웰 상에 형성된 제2N웰과, 상기 제2N웰 상에 형성된 N형의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는 캐소드; 및
    상기 제1N웰에 형성된 P형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캐소드와 격리되며 상기 캐소드에 의해 둘러싸인 애노드
    를 포함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와 상기 애노드는 그 평면 형상이 팔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는,
    상기 제2N웰과 상기 N형의 불순물 영역 사이에 형성된 N형 메탈 영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는,
    상기 제1N웰과 상기 P형의 불순물 영역 사이에 형성된 P형 메탈 영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KR1020050132923A 2005-12-29 2005-12-29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KR20070070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923A KR20070070413A (ko) 2005-12-29 2005-12-29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923A KR20070070413A (ko) 2005-12-29 2005-12-29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413A true KR20070070413A (ko) 2007-07-04

Family

ID=3850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923A KR20070070413A (ko) 2005-12-29 2005-12-29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04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2596A (zh) * 2011-06-22 2012-12-26 旺宏电子股份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
KR20160137869A (ko) * 2015-05-22 2016-12-0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플로팅 구조를 갖는 쇼트키 다이오드
KR20190038717A (ko) * 2017-09-29 2019-04-0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2596A (zh) * 2011-06-22 2012-12-26 旺宏电子股份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
KR20160137869A (ko) * 2015-05-22 2016-12-0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플로팅 구조를 갖는 쇼트키 다이오드
KR20190038717A (ko) * 2017-09-29 2019-04-0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65725A1 (en) High Voltage ESD Protection Apparatus
US8338906B2 (en) Schottky device
CN102694011B (zh) 半导体器件
US9570630B2 (en) Schottky diode structure
JP6424524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1593751A (zh) 集成电路结构
JP3983671B2 (ja) 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
US8421179B2 (en) Schottky diode with high antistatic capability
KR20160137869A (ko) 플로팅 구조를 갖는 쇼트키 다이오드
JP5443702B2 (ja) 半導体装置
US8415719B2 (en) Low gate charging rectifier having MOS structure and P-N j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EP1041643A4 (en) SEMICONDUC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PROTECTIVE CIRCUIT OF A SEMICONDUCTOR ARRANGEMENT
US6657273B2 (en) Termination for high voltage schottky diode
KR20070070413A (ko)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JP2009054961A (ja) 半導体装置
CN112310228A (zh) 肖特基势垒二极管
US8786362B1 (en) Schottky diode having current leakage protection structure and current leakage protecting method of the same
US9123557B2 (en) Fast recovery rectifier
KR101184378B1 (ko) 쇼트키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072992B1 (ko) 쇼트키 다이오드 및 그 형성 방법
JPS6050062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1128703B1 (ko) 쇼트키 다이오드 형성 방법
JP2009141071A (ja) 静電気保護用半導体素子
US20140197449A1 (en) Semiconductor rectifier device
KR100800252B1 (ko) 씨모스 공정을 이용한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