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099A -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099A
KR20070069099A KR1020070052745A KR20070052745A KR20070069099A KR 20070069099 A KR20070069099 A KR 20070069099A KR 1020070052745 A KR1020070052745 A KR 1020070052745A KR 20070052745 A KR20070052745 A KR 20070052745A KR 20070069099 A KR20070069099 A KR 20070069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bus
route number
line number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진
Original Assignee
임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진 filed Critical 임수진
Priority to KR102007005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9099A/ko
Publication of KR2007006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099A/ko
Priority to KR1020070120272A priority patent/KR100879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중교통 시스템의 개선으로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이 증가하고 있으나 노선버스의 통행이 많은 도로에서는 버스를 타는데 불편함이 많다. 그 중 하나가 정류장에 여러 대의 버스가 정차해 있을 경우 먼저 도착한 버스로 인해 뒤에 도착한 버스의 노선번호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처음부터 멀리서 정류장으로 접근하는 버스를 지켜보고 있었다면 문제가 없으나 횡단보도를 건너 정류장으로 와 보니 앞서 도착한 버스에 가려 뒤에 도착한 버스의 노선번호를 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버스 차체 옆으로 튀어 나온 승차하는 문 위 백미러 후면에 노선번호가 표시되어 있다면 버스를 타려고 기다리는 승객이 멀리서도 쉽게 노선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를 건너온 승객들도 쉽게 노선번호를 확인할 수 있어 버스를 놓치는 일이 없이 편리하게 승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버스 노선번호를 백미러 후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일부 노선버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발광다이오드(LED)판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것이다.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 LED, 아크릴

Description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The method of marking the line number on the rearview mirror of bus}
도 1, 도 2는 현재 버스에 장착된 백미러 형태
도 3은 백미러 내부에 LED판을 설치한 백미러 후면
도 4는 백미러 내부에 LED를 넣고 두 장의 아크릴 판에 노선번호를 새겨서 설치한 백미러 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미러 정면(볼록 거울)
(2) : 백미러 후면
(3) : 현재 사용 중인 차체와 백미러 지지대의 연결 형태
(4) : 차체와 백미러 지지대 연결 경첩
본 발명은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중교통 시스템의 개편으로 인해 버스노선이 많이 늘어나고 도로의 중앙이나 하위차로에는 전용차로가 설치되어 버스만을 위한 차선과 정류장까지 만들어졌다. 분명 이용 하기에 편리해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강남이나 종로, 동대문 등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은 이야기가 다르다. 이곳에는 한 번에 적게는 두세대에서 많게는 여섯, 일곱 대의 버스가 한번에 정차한다. 이렇게 될 경우 버스는 일렬로 서는데다가 버스간의 간격도 좁게 정차하기 때문에 정류장에서 기다리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버스 번호가 가려져 보기가 어렵다. 너무 가까이 붙어있는 버스의 번호는 아무리 크게 써 있다고 해도 가려져서 볼 수 없는 것이다. 더욱이 비라도 오게 되면 우산들에 가려서 더 더욱 노선번호의 식별은 어렵다. 여기서 더욱 안타까운 상황은 가려진 번호 때문에 타야 할 버스를 타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냥 출발 해 버리는 버스이다.
버스기사님의 입장에서는 한번 정류장에 정차했던 것이고, 앞·뒤 차와의 간격을 위해 서둘러 출발해야 하는 것이지만, 그 버스를 기다린 사람의 입장에서는 이보다 더 황당한 경우는 없다. 이러한 상황을 겪으면서 해결방법을 생각하고 있던 중에 백미러가 눈에 들어왔다.
뒷문으로 내리는 사람들과 뒤에서 오는 차를 보기 위해 만들어져 있는 백미러는 일반 차의 백미러보다 버스 차체 옆으로 튀어 나와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버스가 일렬로 늘어서 있다고 해도 승객은 각각의 백미러는 볼 수 있었다. 크기도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에 서로 가릴 걱정도 없었다.
이러한 버스 백미러는 현재 2가지 형태로 차체와 연결되어 있다. 하나는 차체와 백미러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고[도1], 또 하나는 차체와 백미러 중앙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다[도2]. 후자의 경우 꼭 백미러 중앙에 연결해야 할 특별한 이유가 있는 지는 검토해 보아야 하며 본 발명품인 버스 노선번호를 백미러 후면에 표시하게 되는 경우 백미러의 상단부를 차체와 연결하는 선결과제가 이루어져야 하며 연결하는 관은 굵은 것으로 해서 관 속에 전선을 넣고 전원을 밧데리에서 공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백미러의 전·후면을 분리하여 백미러 내부에 버스 노선번호를 표시해 보기로 한다. 우선 LED판에 노선번호를 입력하고 백미러 내부에 장착한 후 불투명한 기존의 백미러 후면을 투명한 것으로 교체하여 백미러 전·후면을 연결하는 경우가 있고[도3], 다음으로는 현재 서울시내 파란색 버스의 노선번호와 같이 내부에 LED를 장착하고 흰색과 파란색 아크릴판 두 장을 이용하여 흰색 아크릴판을 받침으로 하고 파란색 아크릴 판에 노선번호를 표시하여 오려낸 다음 앞에서와 같이 후면을 투명한 것으로 교체하여 백미러 전·후면을 연결하는 것이다[도4]. 마지막은 첫 번째 방법과 비슷한 것으로 처음부터 백미러 후면에 노선번호 홀(구멍)을 만든 후 그 곳에 LED를 설치하고 백미러 전·후면을 연결하는 경우이다.
첫 번째의 경우 LED판을 장착할 경우 처음에 제작비용이 부담이 되지만 모든 노선버스 및 마을버스 등에 사용할 수 있어 추후 노선번호가 변경되더라도 쉽게 노선번호를 변경할 수 있어 영구적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도 대체로 무난하지만 버스 노선번호가 변경될 경우 새롭게 제작해야 하며 한정된 버스 수량 만큼 제작해야 하므로 실용적이라고 할 수 없다. 마지막 방법의 경우 우천 시에는 빗물이 LED와 접촉하게 되고 LED가 백미러 밖으로 노출되어 다른 물체와 충돌 시 깨질 염려가 있어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과 [도2]는 기존에 버스에 장착된 백미러의 모형이다. (1)은 앞면의 거울을 표시한 것이고 (2)는 우리가 발명한 버스 노선번호를 표시할 뒷부분이다. (3)은 차체와 백미러 연결부분이고 (4)는 차체와 백미러를 연결한 경첩이다.
현재 [도2]와 같이 백미러가 연결된 차량이 많으므로 본 발명품을 장착하려면 [도2]의 (3)번 부분인 뒷면에 노선번호를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도2}와 같은 백미러는 모두 [도1]과 같은 형태의 백미러로 교체해야 한다. 여기에 드는 비용이 경제적인 부담이 된다.
[도3]과 [도4]는 백미러 뒷면(2)에 우리가 발명한 버스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도]3은 LED판을 이용한 노선번호 표시방법이고, [도4]는 아크릴판의 번호부분을 잘라내어 만든 번호판이다. 비용문제에서 [도3]의 노선번호 표시방법이 [도4]의 표시방법보다 훨씬 부담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도3]은 한번만 장착해 놓으면 노선번호가 변경되더라도 쉽게 번호교체가 가능하다. 그러나 [도4]에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래서 우리는 서울시내 일부 사례로 문제점을 찾아보기로 했다.
서울시내에서 운행되고 있는 파란색 버스의 경우 대부분이 [도4]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배경은 파란색으로 번호는 흰색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야간에도 번호 식별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하지만 초록색 버스와 빨간색 버스는 이런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서울시내에 운행되는 초록색 버스는 검정색 테이프를, 빨간색 버스는 빨간색 테이프를 오려서 붙이고 있어 야간에는 노선번호 식별이 어려워 정류장에 버스가 여러대 정차한 경우 앞뒤로 번호를 보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경우를 경험하였다. 그래서 일부 초록색 버스에서는 승차하는 문 전면 유리부분에 LED를 별도로 설치한 경우도 있다. 왜 초록색 버스와 빨간색 버스는 파란색 버스와 같이 노선번호 표시를 할 수 없을까?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에 적합한 버스 노선번호 표시는 LED판을 이용한 영구적인 본 발명품이 큰 효과를 나타내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버스 운행시스템의 개편이 이루어진 후에 대중교통인 버스를 이용해 원하는 곳에 가는 것이 한결 수월해졌다. 만약 백미러 뒷면에 버스 노선번호가 표시된 백미러가 버스에 부착된다면 아무리 많은 버스들이 일렬로 서 있다고 해도 불쑥 튀어 나온 백미러의 노선번호를 시민들이 보지 못해서 어려움을 겪는 일은 없을 것이다. 이를 통해 버스의 이용이 더욱 쉽고 편리해 질 것이며 작은 생각의 전환이 우리생활을 편하고 윤택하게 하리라고 생각하며 서민을 위한 대중교통인 버스가 일반시민의 발이 되었으면 한다.

Claims (1)

  1.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우선 기존 백미러의 전·후면을 분리하거나 새로이 판금을 뜰 때 전·후면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되 후면(2)은 투명한 것으로 제작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분리한 백미러 후면 내부에 LED판을 장착하고 노선번호를 입력하거나 처음부터 백미러 후면에 노선번호 표시 홀(구멍)을 만든 후 그 곳에 LED를 설치하는 단계,
    또 다른 방법은 내부에 LED를 장착하고 아크릴판 두 장을 이용하여 한 장은 받침으로 한 장에는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와 같은 단계로 3가지 방법으로 버스 노선번호를 표시한 후 불투명한 기존의 백미러 후면을 투명한 것으로 교체하여 백미러 전·후면을 연결하여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
KR1020070052745A 2007-05-30 2007-05-30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 KR20070069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745A KR20070069099A (ko) 2007-05-30 2007-05-30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
KR1020070120272A KR100879245B1 (ko) 2007-05-30 2007-11-23 노선번호 표시장치를 갖는 버스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745A KR20070069099A (ko) 2007-05-30 2007-05-30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099A true KR20070069099A (ko) 2007-07-02

Family

ID=385048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745A KR20070069099A (ko) 2007-05-30 2007-05-30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
KR1020070120272A KR100879245B1 (ko) 2007-05-30 2007-11-23 노선번호 표시장치를 갖는 버스백미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272A KR100879245B1 (ko) 2007-05-30 2007-11-23 노선번호 표시장치를 갖는 버스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700690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930B1 (ko) 2008-03-24 2010-08-09 임수진 노선번호 및 광고 표시장치를 갖는 버스백미러
CN103198772B (zh) * 2013-04-14 2015-04-22 王迈 带有显示屏的公交车右侧观后镜及其公交线路显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701571A (ko) * 1988-07-29 1990-12-03 진 시모죠오 실내 백미러
JP2675849B2 (ja) * 1988-07-29 1997-11-12 仁 下城 室内バックミラー
KR200173302Y1 (ko) * 1999-09-30 2000-03-15 황선익 자동차용 실내 후사경 장치
KR101243783B1 (ko) * 2006-06-19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적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적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965A (ko) 2008-12-04
KR100879245B1 (ko) 2009-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52235U (zh) 一种车窗显示及交互系统
CN201062017Y (zh) 一种汽车安全投影灯的构造
CN204726312U (zh) 车辆开门警示装置
US20050028415A1 (en) Illuminated flag decal
KR20070069099A (ko) 버스 백미러에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방법
CN211713731U (zh) 一种公路隧道接入口视线诱导装置
CN201111798Y (zh) 显字型汽车故障三角型警告标志
CN208469912U (zh) 方向盘总成及汽车
TWM421263U (en) Rear view mirror for passenger in rear seat
KR20210000661U (ko) 택시 방범등 장치
CN201080158Y (zh) 一种车辆行驶中的图像摄录装置
CN210554471U (zh) 一种新能源出租车顶灯
CN217730175U (zh) 一种车门组件及汽车
CN205632324U (zh) 带有可夜视透明液晶显示屏的车载综合仪表
KR20140082129A (ko) 버스 노선번호를 쉽게 알 수 있는 사이드미러번호판
CN218263622U (zh) 一种能发光的通行栏杆
CN212612081U (zh) 一种基于smd led导光板的主动发光交通标志
CN210781371U (zh) 一种针对患有红绿色盲人群的交通灯识别系统
CN209928932U (zh) 一种挪车电话显示装置
CN208431704U (zh) 一种盲区警示灯
CN212654268U (zh) 汽车智能液晶显示装置
CN201646774U (zh) 一种用于轨道交通车辆乘客下车门的车门提示发光装置
CN202806542U (zh) 车辆警示装置
JP3223470U (ja) タクシーの「空車」に、空車である[目印]を付ける表示装置
JP3141626U (ja) 表示部を有する自動車用サイド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