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236A -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기록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기록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236A
KR20070068236A KR1020060036362A KR20060036362A KR20070068236A KR 20070068236 A KR20070068236 A KR 20070068236A KR 1020060036362 A KR1020060036362 A KR 1020060036362A KR 20060036362 A KR20060036362 A KR 20060036362A KR 20070068236 A KR20070068236 A KR 20070068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mpliance
displaying
estimat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1173B1 (ko
Inventor
주니치 타키자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6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4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storage capabilities, e.g.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때, 화상을 촬영자 또는 작성자가 의도한 대로 관찰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된 제1 화상에 기인하는 관찰자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제1 화상에 이어서 제2 화상을 표시할 때 추정된 상기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2 화상을 조정하는 화상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Electr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storing medium hav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횡축을 시간으로 하고, 종축을 광각역 휘도로 하여 명순응 반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횡축을 화상의 콘트라스트로 하고, 종축을 인간의 대뇌 신피질의 제1차 내지 제3차 시각령의 신경 세포의 응답량으로 하여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순응량 계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조정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부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디지털 스틸 카메라 2: 광학 유닛
3: 광전변환부 4: 더블 샘플러 AD 변환부
5: 디지털 신호 처리부 6: 타이밍 회로
7: 제어부 8: 렌즈 드라이버
9: 플래시 10: 표시부
11: 마이크로폰 12: 스피커
13: 플래시 제어부 14: 표시 드라이버
15: AD 변환부 16: 인코더
17: 디코더 18: DA 변환부
19: 입력 유닛 20: DRAM
21: EEPROM 22: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부
31, 32, 33: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
72: 추정수단 74: 화상 조정 수단
본 발명은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기능을 가진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는 일본특허공개 평11-18735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 등으로 이루어진 표시부가 마련되어 있고, 촬영한 화상을 재생 표 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사용자는 촬영한 화상을 체크하는 등의 목적으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연속해서 재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따라서는, 복수의 화상을 자동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은 「앨범 재생 기능」 또는 「슬라이드쇼 재생 기능」등으로 불리고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에서도 복수의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점들이 있다.
즉, 인간의 시각 기능에는 「순응」이라고 하는 특성이 있다. 이것은, 인간이 어떤 시각 환경에 놓여졌을 때, 그 시각 환경 하에서 감도가 최대가 되도록 시각 기능이 조정되는 특성을 말하며, 이른바 「눈이 익숙해지는」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특성이다. 또한, 순응은 시간 함수이며, 시각 환경의 변화에 추종하여 경시적(經時的)으로 진행된다.
순응 중에서, 명암 순응은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다. 이것은 어두운 장소에서는 눈의 동공이 열림과 동시에 눈의 수광 조직의 색소가 감소되어, 적은 광량(光量)으로도 사물이 잘 보이게 되며(암순응), 밝은 장소에서는 눈의 동공이 닫힘과 동시에 수광 조직의 색소가 증가되어 역시 사물이 잘 보이게 되는(명순응) 반응이다.
또한, 순응에는 명암 순응 이외에도 콘트라스트 순응이 있다. 이것은, 피시인물(被視認物)의 콘트라스트와 신경 세포의 응답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콘트라스트 응답 함수)는 시그모이드 함수(S자형 곡선)이며, 콘트라스트의 변화가 신경 세포의 응답 변화를 일으키는 콘트라스트 범위는 매우 좁으나, 대뇌 시각령이 시각 환경에 따라 이 콘트라스트 범위를 이동시킴으로써, 그때 그때의 시각 환경에서 콘트라스트 감도를 최대로 하는 반응이다.
이와 같이 인간의 시각 기능은 시각 환경에 순응하므로,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정지 화상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 화상을 일정 시간 계속 보게 되면, 사용자의 시각 기능이 이 화상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 등에 순응하여 이 화상을 가장 보기 쉽도록 변화된다. 이 순응이 일어난 상태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다음 화상을 표시하면, 사용자는 이른바, 바이어스가 걸린 상태에서 다음 화상을 보게 되므로, 화상이 보이는 것이 순응하기 이전과는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어두운 야경의 화상을 일정 시간 이상 계속 봄으로써 암순응한 후에, 밝고 맑은 날씨에 야외에서 화상을 보면, 야경의 화상을 보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밝게 보이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밝은 화상을 보고 명순응한 후에 어두운 화상을 보면, 밝은 화상을 보지 않은 경우에 비해 어둡게 보이게 된다.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강한 콘트라스트의 화상을 보고 이 화상에 순응한 후에 약한 콘트라스트의 화상을 보면, 콘트라스트가 더욱 약하게 보이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콘트라스트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서로 공간적인 관련성이 적은 복수의 화상을 일정 시간이상의 간격으로 연속해서 표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각 기능이 하나 이전에 표시한 화상에 순응하고 있으며,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촬영자 또는 작성자가 의도한 대로 인식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밝은 화상과 어두운 화상을 번갈아 표시하거나, 강한 콘트라스트의 화상과 약한 콘트라스트의 화상을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그 때마다 순응을 강요받기 때문에 사용자가 피곤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때, 화상을 촬영자 또는 작성자가 의도한 대로 관찰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된 제1 화상에 기인하는 관찰자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제1 화상에 이어서 제2 화상을 표시할 때 추정된 상기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2 화상을 조정하는 화상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화상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 상기 제2 화상의 상태를 상기 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정 수단은 3개 이상의 화상을 연속해서 표시할 때, n개째(n은 3이상의 정수)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n-1)개째의 화상을 표시할 때 추정한 순응량을 기점으로 하여, (n-1)개째의 화상의 상태 및 (n-1)개째의 화상의 표시 시간으로부터 (n-1)개째의 화상에 의해 일어나는 순응 상태의 변화를 추측함으로써 (n-1)개째의 화상의 표시 종료 시점에서의 순응량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정 수단은 관찰자의 콘트라스트 순응의 순응량을 추정하고, 상기 화상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정 수단은 관찰자의 명암 순응의 순응량을 추정하고, 상기 화상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화상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기기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기기는 퍼스널 컴퓨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화상을 표시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화상에 기인하는 관찰자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공정과, 추정된 상기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화상에 이어서 표시하는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공정과,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는 공정은, 상기 제2 화상의 상태를 상기 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개 이상의 화상을 연속해서 표시하는 경우에, n개째(n은 3이상의 정수)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상기 추정하는 공정은 (n-1)개째의 화상을 표시할 때 추정한 순응량을 기점으로 하여, (n-1)개째의 화상의 상태 및(n-1)개째의 화상의 표시 시간으로부터 (n-1)개째의 화상에 의해 일어나는 순응 상태의 변화를 추측함으로써 (n-1)개째의 화상의 표시 종료 시점에서의 순응량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정하는 공정은 관찰자의 콘트라스트 순응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공정은 상기 제2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조 정하는 공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정하는 공정은 관찰자의 명암 순응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공정은 상기 제2 화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공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제1 화상의 표시가 종료한 후에 상기 제1 화상에 기인하는 관찰자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과정과, 추정된 상기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화상에 이어서 표시하는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과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제1 화상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상에 기인하는 관찰자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과정과, 추정된 상기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화상에 이어서 표시하는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를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촬영 기능 이외에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촬영한 정지 화상을 연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사용자는, 표시된 화상을 관찰하는 관찰자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서는 경통 및 렌즈 등(도시 생략)을 포함하는 광학 유닛(2) 및 광전변환부(3)가 마련되어 있다.
광학 유닛(2)은 외부에서 광을 받아들여 광전변환부(3)를 향해 집광하는 것으로, 광전변환부(3)는 집광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광전변환부(3)는 예를 들면, CCD(Charge-Coupled Device:전하 결합 소자)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는 더블 샘플러 AD 변환부(4), 디지털 신호 처리부(5), 타이밍 회로(6)가 마련되어 있다.
더블 샘플러 AD 변환부(4)에는 1화면 분량의 신호를 기억할 수 있는 프레임 메모리가 2개 마련되어 있으며, 광전변환부(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후, 2개의 프레임 메모리에 번갈아 기입하고, 기입 중이 아닌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1화면 분량의 데이터를 읽어 내어 디지털 신호 처리부(5)에 대해서 출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는 더블 샘플러 AD 변환부(4)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에는 타이머(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타이밍 회로(6)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로부터 받은 지령을 바탕으로 광전변환부(3) 및 더블 샘플러 AD 변환부(4)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5)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각 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7)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7)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 처리 장치)인데, 제어부(7)에는 타이머(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7)가 제어하는 요소들로는, 광학 유닛(2)의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렌즈 드라이버(8), 촬영 보조광을 발진하는 플래시(9),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0),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을 아날로그의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폰(11), 외부를 향해 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2)이다.
이 중에서, 플래시(9)는 제어부(7)에 접속된 플래시 제어부(13)에 의해 제어되고, 표시부(10)는 제어부(7)에 접속된 표시 드라이버(14)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표시부(10)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는, 마이크로폰(11)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15)와, AD 변환부(15)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부호화하여 제어부(7)에 대해서 출력하는 인코더(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는, 제어부(7)로부터 출력되어 부호화된 디지털 신호의 부호화를 푸는 디코더(17)와, 디코더(17)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2)에 대해서 출력하는 DA 변환부(1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는 사용자가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 유닛(19)이 마련되어 있다. 이 입력 유닛(19)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제어부(7)에 대해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5)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20),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21),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부(22)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DRAM(20)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5)가 사용하는 일시 메모리이고, EEPROM(21)은 각종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이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부(22)는 촬영한 화상을 기억하는 외부 메모리로서의 메모리 카드(도시 생략)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장착되었을 때, 이 메모리 카드의 인터페이스가 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서는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부(10)에 표시할 때, 사용자는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봄으로써 명암 순응 및 콘트라스트 순응을 하게 되는데, 제어부(7)는 그러한 사용자의 명암 순응 및 콘트라스트 순응의 순응량을 추정한다.
그리고, 다음 화상을 표시할 때, 디지털 신호 처리부(5)가 추정된 순응량을 바탕으로 다음 화상을 조정하여 표시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5)는 이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에, 이 화상이 조정된 상태에서 조정되지 않은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이 화상의 변화는 일정한 규정 시간, 예를 들면 30초 동안 종료시킨다. 또한,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화상 조정 처리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 대신에 제어부(7)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동작, 즉,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인간의 순응 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횡축을 시간으로 하고, 종축을 광각(光覺)역(threshold) 휘도, 즉, 피시험자가 광의 존재를 느끼는 최소의 휘도를 취하여 명순응 반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문헌(일본국 조명학회편 「조명 핸드북」)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도 3은 횡축을 화상의 콘트라스트로 하고, 종축을 인간의 대뇌 신피질의 제1차 내지 제3차 시각령의 신경 세포의 응답량으로 하여,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일본국 독립 행정 법인 이화학 연구소 홈페이지 <http://www.riken.go.jp/r-world/info/release/press/2005/050818/index.html>[온라인](2005년 8월 19일 검색)에 게시된 것이다.
먼저, 명암 순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 환경이 어두운 상태에서 밝은 상태로 이행되었을 때에는, 명순응은 최초의 약 0.2분간 급속하게 진행하고, 그 후에는 완만하게 진행하며, 10∼15분 정도로 완료된다. 또 암순응도 시간 경과에 따라서 진행하는데, 그 진행 속도는 명순응보다 느리다.
다음으로, 콘트라스트 순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1)은 콘트라스트가 6.25%의 화상을 60초간 본 후의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를 나타내고 있다.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1)의 형상은 S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기울기, 즉, 콘트라스트의 변화량에 대한 신경 세포의 응답량의 변화량은, 콘트라스트가 6.25%의 부근에서 최대로 되어 있으며, 콘트라스트가 그보다 낮거나 높더라도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1)의 기울기는 완만하게 되어 있다. 즉, 콘트라스트가 6.25%의 화상을 60초간 본 후에는, 인간의 콘트라스트 감도는 6.25%의 부근에서 최 대가 된다.
또한,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2)은 콘트라스트가 12.5%의 화상을 60초간 본 후의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를 나타내고 있다.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2)의 기울기는 콘트라스트가 12.5%의 부근에서 최대가 되어 있다.
또한,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3)은 콘트라스트가 25%의 화상을 60초간 본 후의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를 나타내고 있다.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3)의 기울기는 콘트라스트가 25%의 부근에서 최대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은 어떤 콘트라스트의 화상을 일정 시간 계속 보면, 그 콘트라스트에서 감도가 최대가 되도록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가 이동한다. 이것이 콘트라스트 순응 메카니즘이다. 예를 들면, 12.5%의 콘트라스트는,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가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2)의 근방에 있을 때에만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가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1) 또는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3)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명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
또한, 예를 들면, 콘트라스트가 6.25%의 화상을 일정 시간 본 후, 콘트라스트가 25%의 화상을 보면,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는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1)의 위치에서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의 선(33)의 위치까지 60초에 걸쳐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25%의 화상을 계속 보고 있는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가 현시점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에 표시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그 시점에서의 콘트라스트 응답 함수에 서의 기울기가 급격한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면, 이 화상을 적절히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순응량 계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조정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구체적인 사례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순응량의 추정을 제어부(7)가 행하고, 화상의 조정을 디지털 신호 처리부(5)가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입력 유닛(19)에 1개째의 화상을 표시한다는 명령을 입력하면, 이 명령은 제어부(7)로 전달된다. 이로써, 제어부(7)는 도 4의 단계 S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부(22)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5)를 통해서 메모리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읽어 내고, 표시 드라이버(14)를 구동함으로써 이 화상을 표시부(10)가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 S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계측을 위한 타이머를 기동한다.
그리고, 단계 S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 유닛(19)을 통해서 다음 화상을 표시한다는 명령이 입력되면, 단계 S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7)는 타이머를 정지하여 1개째의 화상을 표시하던 시간을 계측한다.
다음으로, 단계 S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7)는 1개째의 화상에 대해서 상태 계측을 행하고, 이 화상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S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7)는, 사용자가 1개째의 화상을 봄으로써 생기는 순응량을 추정한다.
순응량의 추정은 미리 화상의 표시 시간 및 화상의 상태와 순응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를 준비해두고, 이 함수에 표시 시간 및 상태를 대입함으로써 행하거나, 또는 화상의 표시 시간 및 상태와 순응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작성해두고, 이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함수 또는 테이블은, 예를 들면 피시험자의 시각 환경을 어떤 상태(예를 들면, 어두운 상태)에서 다른 상태(예를 들면, 밝은 상태)로 변화시켰을 때, 피시험자가 어떤 대상물을 볼 수 있게 될 때까지의 시간을 플롯(plot)하고, 플롯 사이를 보간(補間)함으로써 작성할 수 있다. 이 때, 변화가 급격한 시간대는 직선으로 근사(近似)해도 된다.
단, 1개째의 화상에 대해서는, 그 이전의 사용자의 순응 상태가 불명확하므로, 1개째의 화상의 표시 시간은 고려하지 않고 순응량의 추정을 한다. 즉, 사용자는 1개째의 화상의 표시 시간과 관계없이, 이 화상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에 순응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7)는 이 순응량의 추정 결과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5)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5의 단계 S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는 시간 계측을 위한 타이머를 기동한다.
그 다음으로, 단계 S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7)로부터 입력된 순응량의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2개째의 화상의 최적 상태, 즉, 최적의 밝기 및 최적의 콘트라스트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1개째의 화상이 밝고 콘트라스트가 강한 화상 이며, 2개째의 화상이 어둡고 콘트라스트가 약한 화상인 경우에는, 2개째의 화상을 그대로 표시하면 촬영자의 의도보다 화상이 어둡고 콘트라스트가 약하게 보이게 되므로, 2개째의 화상의 밝기를 늘리고, 콘트라스트를 강하게 한다.
그리고, 단계 S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22에서의 결정에 따라서 2개째의 화상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최적의 상태로 조정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7)로 출력한다.
제어부(7)는 도 4의 단계 S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드라이버(14)를 구동하고, 표시부(10)에 그 화상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단계 S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7)가 타이머를 기동시킨다. 이와 같이 2개째 이후의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는, 도 5에 나타내는 일련의 화상 조정 공정을 실행함과 동시에, 이와 병행하여 도 4에 나타내는 일련의 순응량 계산 공정도 실행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5)는 단계 S24로 진행하고, 다음 화상의 표시 지시가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25로 진행하고, 타이머에 의한 계측 시간이 규정 시간, 예를 들면 30초를 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계측 시간이 규정 시간을 넘지 않으면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점근 상태를 계산한다.
점근 상태란, 2개째 이후의 화상 상태를 단계 S22에서 결정한 최적의 상태에서 그 화상의 본래의 상태까지 이행시킬 때의 과도적인 상태를 말한다.
즉, 타이머에 의한 계측 시간이 0초일 때에는, 단계 S22에서 결정한 최적의 상태의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계측 시간이 규정 시간이 되었을 때에는,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본래의 상태의 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계측 시간이 0초에서 규정 시간까지의 동안에는 점근 상태의 화상을 표시한다. 점근 상태는 예를 들면, 최적의 상태와 본래의 상태를 시간에 관해서 직선적으로 보간함으로써 구해진 상태로 한다. 또 규정 시간이란, 화상을 최적의 상태에서 본래의 상태까지 변화시키기 위한 시간이며,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기 위한 최소의 시간이다. 규정 시간은 미리 심리 실험에 의해 결정하고, 예를 들면 10∼60초간으로 하고, 예를 들면 30초간으로 한다.
점근 상태를 계산한 후, 다시 단계 S23으로 진행하고, 점근 상태의 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단계 S24로 진행하여 다음 화상의 표시 지시가 내려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내려지지 않았다면 단계 S25로 진행하고, 타이머에 의한 계측 시간이 규정 시간을 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계측 시간이 규정 시간을 넘지 않았다면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다음 화상의 표시 지시가 내려지거나, 계측 시간이 규정 시간을 넘을 때까지 단계 S23, S24, S25, S26으로 이루어진 루프를 반복 실행한다. 이로써, 표시되는 화상의 상태가 최적의 상태에서 시작하여 본래의 상태를 향해서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계측 시간이 규정 시간을 넘은 후에는, 단계 S25에서 단계 S26을 실행하지 않고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즉, 단계 S23, S24, S25로 이루어진 루프를 반복 실행한다. 이로써, 2개째의 화상을 본래의 상태에서 계속 표시한다.
또한, 다음 화상, 즉, 3개째의 화상의 표시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는 단계 S24에서 단계 S27로 진행하고 타이머를 정지한다. 한편, 제어부(7)는 도 4에 나타내는 단계 S13에서 단계 S14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정지시킨 후, 단계 S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태 계측을 하고, 단계 S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응량을 추정한다.
이 때, 2개째 화상의 표시 시간이 짧으면, 사용자의 순응 상태는 1개째의 화상에 의해 일어난 순응 상태에서 2개째의 화상에 의해 일어나는 순응 상태로 이행되는 도중의 상태에 있으며, 2개째 화상의 표시 시간이 길면, 사용자의 순응 상태는 2개째의 화상에 의해 일어난 순응 상태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순응량의 추정은, 1개째의 화상의 상태, 2개째의 화상의 상태 및 2개째의 화상의 표시 시간을 이용하여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7)는 이 순응량의 추정 결과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5)로 출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는 상술한 동작에 의해, 이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3개째의 화상의 최적 상태를 결정하여 화상을 조정하고 표시한다. 그리고, 3개째의 화상에 관해서도, 최적의 상태에서 본래의 상태까지 점근적으로 이행시킨다.
또한, 4개째의 화상을 표시할 때는, 3개째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 추정한 사용자의 순응 상태를 기점으로 하여, 3개째의 화상의 상태 및 표시 시간으로부터 3개째의 화상에 의해 일어나는 순응 상태의 변화를 추측함으로써 순응량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 상태를 결정한다. 5개째 이후의 화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일반적으로 표현하면 이하와 같이 한다.
복수개의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경우에, 1개째의 화상은 그 화상 본래의 상태 그대로 표시한다. 2개째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사용자는 1개째의 화상에 완전히 순응했다고 가정하여 순응량을 추정하고, 이 추정된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최적의 상태를 결정한다. 그리고, 먼저 최적의 상태로 조정된 화상을 표시하고, 규정 시간에 걸쳐 그 화상 본래의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이행시키고, 규정 시간 경과 후에는 본래의 상태로 표시한다.
3개째 이후의 화상에 관해서는 이하와 같이 한다. n을 3이상의 정수라고 할 때, n개째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n-1)개째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 추정한 순응량, 즉, (n-2)개째의 화상의 표시 종료 시점에서의 순응량을 기점으로 하여, (n-1)개째의 화상의 상태 및 (n-1)개째의 화상의 표시 시간으로부터 (n-1)개째의 화상에 의해 일어나는 순응 상태의 변화를 추측함으로써, (n-1)개째의 화상의 표시 종료 시점에서의 순응량을 추정한다. 그리고, 이 순응량을 바탕으로 n개째의 화상의 최적 상태를 결정하고, 최적 상태로 조정된 화상을 표시한다. 그 후, 규정 시간에 걸쳐 그 화상 본래의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이행시키고, 규정 시간 경과 후에는 본래의 상태로 표시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때, 그 이전에 표시한 화상에 의해 일어난 사용자의 순응 상태를 추정하고, 그에 맞춰 표시하는 화상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그 화상의 촬영자 또는 작성자의 의도 대로 화상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 사용자의 순응 상태에 맞춰 화상을 조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각 환경의 변화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이 완전히 바뀔 때마다 사용자에게 큰 순응을 강요하지 않아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피로감이 적고 기분이 상쾌한 상태에서 화상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의 전환을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행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상의 전환을 프로그램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순응으로서 명암 순응 및 콘트라스트 순응을 고려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명암 순응 및 콘트라스트 순응 중에서 어느 한쪽만을 고려할 수도 있고, 또는 색채에 대한 순응 등, 다른 종류의 순응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동작의 구체적인 사례에서는, 순응량의 추정을 제어부(7)가 행하고, 화상의 조정을 디지털 신호 처리부(5)가 행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화상 조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부(7)가 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제어부(7)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즉,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서는, 제어부(7)에 추정 수단(72)과, 화상 조정 수단(7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할 화상 데이터는 이들 추정 수단(72)과 화상 조정 수단(74)에 공급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과는 달리, 화상 데이터가 추정 수단(72)을 통해서 화상 조정 수단(74)에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이들 추정 수단(72) 및 화상 조정 수단(74)은 전용 회로로서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할 수도 있고, 또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CPU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추정 수단(72)은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 화상을 본 사용자의 순응량을 추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추정 수단(72)은 예를 들면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 화상의 밝기와 콘트라스트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순응량을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 수단(72)은 그 추정 결과를 화상 조정 수단(74)으로 출력한다. 화상 조정 수단(74)은 추정 수단(72)으로부터 공급된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에 표시할 화상의 밝기나 콘트라스트 등의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정된 화상 데이터는 표시 드라이버(14)로 출력되고, 표시부(10)에서 조정된 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때, 그 이전에 표시한 화상에 의해 일어난 사용자의 순응 상태를 추정하고, 그에 맞춰 다음에 표시하는 화상을 조정하는 처리를 제어부(7)에서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그 화상의 촬영자 또는 작성자의 의도대로 화상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적용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전자 기기라면 어떠한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전 자 기기는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하는 화상은 사진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형 및 문자 등에 의해 구성되는 도면일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저장할 수 있는 표시 기능을 가진 스토리지(storage)일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및 텔레비전 수상기 등에 대해서도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기능을 가진 것에 관해서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순응량의 추정 및 화상의 조정은 하드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으나, 소프트웨어, 즉, 프로그램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프로그램은 화상의 전환을 수동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컴퓨터에 제1 화상의 표시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화상에 기인하는 관찰자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과정과, 추정된 상기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화상에 이어서 표시하는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과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되고, 그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램(RAM), 롬(ROM) 등의 저장 매체에 기록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화상의 전환도 같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컴퓨터에 제1 화상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상에 기인하는 관찰자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과정과, 추정된 상기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화상에 이어서 표시하는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되고, 그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램(RAM), 롬(ROM) 등의 저장 매체에 기록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란, 퍼스널 컴퓨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전자회로는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 프로세서 등도 「컴퓨터」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때, 화상을 촬영자 또는 작성자가 의도한 대로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주는 부담이 적은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표시된 제1 화상에 기인하는 관찰자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 및
    상기 제1 화상에 이어서 제2 화상을 표시할 때 추정된 상기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2 화상을 조정하는 화상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 상기 제2 화상의 상태를 상기 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은 3개 이상의 화상을 연속해서 표시할 때, n개째(n은 3이상의 정수)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n-1)개째의 화상을 표시할 때 추정한 순응량을 기점으로 하여, (n-1)개째의 화상의 상태 및 (n-1)개째의 화상의 표시 시간으로부터 (n-1)개째의 화상에 의해 일어나는 순응 상태의 변화를 추측함으로써 (n-1)개째의 화상의 표시 종료 시점에서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은 관찰자의 콘트라스트 순응의 순응량을 추정하고,
    상기 화상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조정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은 관찰자의 명암 순응의 순응량을 추정하고,
    상기 화상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화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인 전자 기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퍼스널 컴퓨터인 전자 기기.
  8. 제1 화상을 표시하는 공정;
    상기 제1 화상에 기인하는 관찰자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공정;
    추정된 상기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화상에 이어서 표시하는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공정; 및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는 공정은 상기 제2 화상의 상태를 상기 조정이 이루 어진 상태에서 상기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3개 이상의 화상을 연속해서 표시하는 경우에, n개째(n은 3이상의 정수)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상기 추정하는 공정은 (n-1)개째의 화상을 표시할 때 추정한 순응량을 기점으로 하여, (n-1)개째의 화상의 상태 및(n-1)개째의 화상의 표시 시간으로부터 (n-1)개째의 화상에 의해 일어나는 순응 상태의 변화를 추측함으로써 (n-1)개째의 화상의 표시 종료 시점에서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표시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공정은 관찰자의 콘트라스트 순응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공정은 상기 제2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조정하는 공정인 표시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공정은 관찰자의 명암 순응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공정은 상기 제2 화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공정인 표시 방법.
  13. 컴퓨터에,
    제1 화상의 표시가 종료한 후에 상기 제1 화상에 기인하는 관찰자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과정과,
    추정된 상기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화상에 이어서 표시하는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과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14. 컴퓨터에,
    제1 화상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상에 기인하는 관찰자의 순응량을 추정하는 과정과,
    추정된 상기 순응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화상에 이어서 표시하는 제2 화상을 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KR1020060036362A 2005-12-26 2006-04-21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기록한 저장 매체 KR100781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2847 2005-12-26
JP2005372847A JP4880303B2 (ja) 2005-12-26 2005-12-26 表示機能付き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236A true KR20070068236A (ko) 2007-06-29
KR100781173B1 KR100781173B1 (ko) 2007-11-30

Family

ID=3819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362A KR100781173B1 (ko) 2005-12-26 2006-04-21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기록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25980B2 (ko)
JP (1) JP4880303B2 (ko)
KR (1) KR100781173B1 (ko)
CN (1) CN19928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2524B2 (ja) * 2007-04-20 2012-12-05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カメラ
TWI399651B (zh) * 2008-09-12 2013-06-21 Communication protocol method and system for input / output device
JP2011022447A (ja) * 2009-07-17 2011-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
JP4818408B2 (ja) * 2009-08-04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538549B2 (ja) * 2010-09-17 2014-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ァインダ装置の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US9779688B2 (en) 2011-08-29 2017-10-0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nchoring viewer adaptation during color viewing tasks
JP2016090773A (ja) 2014-11-04 2016-05-2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輝度調整方法
JP6746855B2 (ja) * 2018-09-28 2020-08-26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345A (ja) * 1992-08-04 199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映像信号処理装置
US5767921A (en) * 1996-05-06 1998-06-16 Winbond 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gradually adjusting color components of digital video data
JP3484899B2 (ja) * 1996-10-09 2004-01-0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車載用画像表示装置
JP3588239B2 (ja) 1997-12-18 2004-11-10 京セラ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01143065A (ja) 1999-11-12 2001-05-25 Canon Inc 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1186401A (ja) * 1999-12-24 2001-07-06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3730872B2 (ja) 2000-03-31 2006-01-05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4140736A (ja) * 2002-10-21 2004-05-13 Minolta Co Ltd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74567A (ja) 2007-07-05
JP4880303B2 (ja) 2012-02-22
CN1992809A (zh) 2007-07-04
KR100781173B1 (ko) 2007-11-30
US20070146527A1 (en) 2007-06-28
US7825980B2 (en) 201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173B1 (ko) 전자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기록한 저장 매체
CN102821284B (zh) 运动图像生成装置及其生成方法
JP4884417B2 (ja) 携帯型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611845B (zh) 拍摄运动图像的摄像装置以及摄像处理方法
KR101609392B1 (ko)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US8670061B2 (en) Photograph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8146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0619860B (zh) 屏幕刷新率的调整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6497382B2 (ja) 撮像装置、画像データの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72531B2 (en) Imaging device
US20100171858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014257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93015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534827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47943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JP4853414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4998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7165947A (ja) 撮像装置,被写体像の逆光補正装置,対象画像検出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US11356611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9121815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578064B (zh) 摄像装置和摄像装置的控制方法
JP575026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6225463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7150452B2 (ja)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083116B2 (ja) 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