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522A -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7522A
KR20070067522A KR1020050128867A KR20050128867A KR20070067522A KR 20070067522 A KR20070067522 A KR 20070067522A KR 1020050128867 A KR1020050128867 A KR 1020050128867A KR 20050128867 A KR20050128867 A KR 20050128867A KR 20070067522 A KR20070067522 A KR 20070067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ing case
heat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철
강성호
김용상
박윤철
서용은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7522A/ko
Publication of KR2007006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6Arrangements for coupling connectors with flow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분할되어 대응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와 다수의 공기유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냉매를 유입, 배출하도록 유입·배출 파이프를 갖는 증발기와; 고온의 냉각수를 유입, 배출하는 히터코어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냉풍통로 및 상기 히터코어 전방의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냉매 배출 파이프 외면에는, 그 파이프 외면을 타고 내려오는 응축수가 공조케이스의 결합부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끊기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에 의하면, 차량용 에어컨 작동시 증발기의 배출 파이프 외면에 누수방지를 위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증발기 주변에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출 파이프를 타고 흘러 공조케이스의 결합부를 통해 누수되기 전에 미리 바닥에 떨어지도록 하여 공조케이스 외부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조케이스, 증발기, 배출 파이프, 걸림부, 고무링.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Water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of Evaporator Pipe for Air Conditioning System of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증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조케이스, 20: 증발기,
26: 배출 파이프, 27: 걸림부,
28: 고무링, 29: 씰링부재,
50: 결합부.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모드 작동시 증발기의 냉매 배출 파이프 외면에 나사산 형태를 갖는 걸림부 또는 고무링을 구비함으로써, 증발기 주변에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출 파이프를 타고 흘러 공조케이스의 결합부를 통해 누수되기 전에 미리 공조케이스 내부 바닥에 떨어지도록 하여 공조케이스 외부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장치에 의해 차량 실내로 유입되어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Evaporator)를 통과한 공기를 템프도어(Temp Door)의 개폐에 따라 히터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차량 실내의 여러 구역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에는 송풍장치, 증발기 및 히터코어의 세 개의 유니트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ng Type), 송풍장치,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모두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 공조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10)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 측에 설치된 송풍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20)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30)가 각각 설치된다.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는,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30)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와 히터코어(30) 전방의 온풍통로(H)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도어축을 중심으로 템프도어(4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0)에는 유입된 공기를 자동차 앞유리창 쪽으로 토출하여 앞유리창의 성에(Frost)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11),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토출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Face Vent, 12) 및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로 토출하기 위한 플로어 벤트(Floor Vent, 13)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각 벤트들(11, 12, 13)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온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도어(Defrost Door, 11a), 페이스도어(Face Door, 12a), 및 플로어도어(Floor Door, 13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공조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최대 냉방모드에서는,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프도어(40)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히터코어(30) 하류측의 온풍통로(H)를 차단함과 동시에, 히터코어(30) 상류측의 냉풍통로(C)를 개방함으로써, 공기유입구로부터 송풍장치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20)를 지나면서 냉각된 후, 디프로스트 벤트(11), 페이스 벤트(12), 플로어 벤트(13)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그리고, 최대 난방모드에서는, 도 1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템프도어(40)를 상향으로(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냉풍통로(C)를 폐쇄함과 동시에 히터코어(30) 하류측의 온풍통로(H)를 개방함으로써, 송풍장치에 의해 유입된 공기 가 히터코어(30)를 통과함으로써 데워진 후, 하부 온풍톨로(H)를 지나 상기 각 벤트들(11, 12, 13)을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또한, 냉·난방 혼합모드에서는, 상기 템프도어(40)를 대략 증발기(20)의 후방 중앙부를 향하도록 조정한다. 송풍장치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를 각각 통과하면서 공기혼합구간(M)에서 혼합되어 소정의 온도가 된 후, 각 벤트들(11, 12, 13)을 통하여 차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구성요소 중, 증발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냉매 유로가 형성된 다수의 열교환 플레이트(21)와, 이 열교환 플레이트(21)들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방열핀(22)과, 열교환 플레이트(21)들과 방열핀(22)들의 외측에 구비되는 서포트(Support, 23)와, 열교환 플레이트(21)와 연통되면서 냉매의 유입·배출로를 형성하는 매니폴드(Manifold, 24)와, 매니폴드(24)에 결합되어 냉매를 유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입·배출 파이프(25, 26)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를 냉방모드로 작동하면, 상기 증발기(20) 내부에 흐르는 냉매는 증발기(20) 외주면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증발기(20) 주변에는 응축수가 생성된다. 즉, 상기 증발기(20) 내부를 흐르는 저온의 냉매가 외기열을 흡열하는 과정에서 열을 빼앗긴 공기중의 수증기가 그 포화도가 높아져 응축됨으로써 응축수가 생성된다.
그런데 증발기(20)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냉매 배출 파이프(26)의 외면을 타고 흐름으로써 공조케이스(10)의 결합부(50)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냉매 배출 파이프(26)를 타고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공조케이스(10)의 결합부(50)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매 배출 파이프(26)와 공조케이스(10)의 결합면 사이에 씰링부재(Sealing, 29)를 부착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씰링부재(29)를 부착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발기(20)의 냉매 배출 파이프(26)와 공조케이스(10) 사이에 모세관 현상(毛細管現象)으로 틈이 발생되고, 응축수가 여전히 공조케이스(10)의 결합부(50)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모드 작동시 증발기의 냉매 배출 파이프 외면에 나사산 형태를 갖는 걸림부 또는 고무링을 구비함으로써, 증발기 주변에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출 파이프를 타고 흘러 공조케이스의 결합부를 통해 누수되기 전에 미리 공조케이스 내부 바닥에 떨어지도록 하여 공조케이스 외부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에 의하면, 상호 분할되어 대응 결합되는 결 합부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와 다수의 공기유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냉매를 유입, 배출하도록 유입·배출 파이프를 갖는 증발기(Evaporator)와; 고온의 냉각수를 유입, 배출하는 히터코어(Heater Core)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 및 상기 히터코어 전방의 온풍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Temp Door)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냉매 배출 파이프 외면에는, 그 파이프 외면을 타고 내려오는 응축수가 공조케이스의 결합부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끊기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끊기 수단은 냉매 배출 파이프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산 형태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끊기 수단은 냉매 배출 파이프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높이를 이루는 고무링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호 분할되어 대응 결합되는 결합부(50)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와 다수의 공기유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냉매를 유입, 배출하도록 유입·배출 파이프(25, 26)를 갖는 증발기(20)와; 고온의 냉각수를 유입, 배출하는 히터코어(30)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30)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 및 상기 히터코어(30) 전방의 온풍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40) 등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 한다.
(제 1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20)의 냉매 배출 파이프(26) 외면에 다수의 걸림부(27)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27)는 냉매 배출 파이프(26)의 외면을 따라 나사산 형태를 이루며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27)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모드를 작동시, 증발기(20)와 연결된 냉매 배출 파이프(26) 외주면에 응축수가 생성되고, 이러한 응축수는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된 냉매 배출 파이프(26)의 외면을 타고 흐르면서 걸림부(27)에 막히게 되어 물끊기됨으로써 미리 공조케이스 내부 바닥에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 배출 파이프(26)에 형성된 걸림부(27)에 의해 응축수가 공조케이스(10)의 결합부(50)까지 이동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제 2실시예)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20)의 냉매 배출 파이프(26) 외면에 그 둘레를 따라 소정높이를 이루는 고무링(28)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링(28)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링(28)은 냉매 배출 파이프(26) 외면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고무링(28)은 기타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을 갖는 부재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모드 작동시, 증발기(20)와 연결된 냉매 배출 파이프(26) 외주면에 응축수가 생성되고, 이러한 응축수는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된 냉매 배출 파이프(26)의 외면을 타고 흐르면서 고무링(28)에 막히게 되어 물끊기됨으로써 미리 공조케이스 내부 바닥에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 배출 파이프(26)에 형성된 고무링(28)에 의해 응축수가 공조케이스(10)의 결합부(50)까지 이동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에 의하면,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모드 작동시 증발기의 냉매 배출 파이프 외면에 나사산 형태를 갖는 걸림부 또는 고무링을 구비함으로써, 증발기 주변에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출 파이프를 타고 흘러 공조케이스의 결합부를 통해 누수되기 전에 미리 공조케이스 내부 바닥에 떨어지도록 하여 공조케이스 외부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호 분할되어 대응 결합되는 결합부(50)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와 다수의 공기유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냉매를 유입, 배출하도록 유입·배출 파이프(25, 26)를 갖는 증발기(Evaporator, 20)와; 고온의 냉각수를 유입, 배출하는 히터코어(Heater Core, 30)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30)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 및 상기 히터코어(30) 전방의 온풍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Temp Door,)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0)의 냉매 배출 파이프(26) 외면에는, 그 파이프 외면을 타고 내려오는 응축수가 공조케이스(10)의 결합부(50)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끊기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끊기 수단은 냉매 배출 파이프(26)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산 형태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끊기 수단은 냉매 배출 파이프(26)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높이를 이루는 고무링(28)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
KR1020050128867A 2005-12-23 2005-12-23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 KR20070067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867A KR20070067522A (ko) 2005-12-23 2005-12-23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867A KR20070067522A (ko) 2005-12-23 2005-12-23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522A true KR20070067522A (ko) 2007-06-28

Family

ID=3836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867A KR20070067522A (ko) 2005-12-23 2005-12-23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75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233B1 (ko) * 2007-07-10 2014-02-1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CN112277560A (zh) * 2020-09-28 2021-01-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233B1 (ko) * 2007-07-10 2014-02-1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CN112277560A (zh) * 2020-09-28 2021-01-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0600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icing a heat exchanger
JP3572146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6261172B1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rotary door
KR1011779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2228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386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04084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7770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JP2011121430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15035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70067522A (ko)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누수방지 구조
KR2009006241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파이프 클램프
KR1011991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8080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92734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KR20110089576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963734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74448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140088304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냉매 파이프 밀봉 구조
KR1025315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장치
KR10129844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센터피봇도어의 조립구조
KR10177937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030230395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KR200189287Y1 (ko) 냉.난방기의 실외기(Autside device of heating and colling devices)
KR10095824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