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556A - 창문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창문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556A
KR20070066556A KR1020050127893A KR20050127893A KR20070066556A KR 20070066556 A KR20070066556 A KR 20070066556A KR 1020050127893 A KR1020050127893 A KR 1020050127893A KR 20050127893 A KR20050127893 A KR 20050127893A KR 20070066556 A KR20070066556 A KR 20070066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window type
air conditioner
ion generator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희
박래은
하은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6556A/ko
Publication of KR2007006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살균 및 탈취를 위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가 냉기 배출유로에 설치된 구조를 가진 창문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냉기 배출유로는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고, 이온발생장치는 하우징의 상면판에 마련된 설치홀을 통해 냉기 배출유로에 배치된다. 냉기 배출유로에는 이온발생장치의 양 측면에서 일정거리 떨어져서 배치되어 냉기 배출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이온발생장치를 거쳐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기류 안내부재가 설치된다. 기류 안내부재는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냉기 배출구와 일정거리 떨어져서 냉기 배출유로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창문형 공기조화기{Window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장치가 냉기 배출유로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인 도 1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III-III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b: 냉기 배출구 10: 설치홀
20: 냉기 배출유로 30: 이온발생장치
31: 침상전극 32: 리브
40: 기류 안내부재
본 발명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살균 및 탈취를 위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가 높이가 낮게 형성된 냉기 배출유로에 설치된 구조를 가진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온발생장치는 대기압 하에서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이온상태인 수소원자(H+)를 발생시키도록 설치된 양이온 발생기와, 그 주위에서 전자를 발생시켜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하여서, 수소이온과 음이온의 결합에 의해 활성수소가 생성되고, 생성된 활성수소는 주위의 활성산소와 반응하여 인체에 유해한 활성산소를 중화시킴과 동시에,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곰팡이 등의 원인균의 세포조직에 흡착되어 세균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이온발생장치는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기청정기나 공기조화기, 또는 냉장고 등에 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와 세균 등을 살균시키고 탈취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창문에 설치되거나 또는 벽에 일정크기의 구멍을 뚫어서 설치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작은 크기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창문형 공기조화기에서는 냉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냉기 배출구의 높이가 매우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온발생장치도 이에 맞추어 크기가 작게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온발생장치는 양이온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수소원자와 음이온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이 효과적으로 이온 결합하여 살균과 탈취에 필요한 활성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한된 범위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아치형상의 커버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높이가 낮은 냉기 배출구를 가진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이러한 이온발생장치를 설치하기는 매우 어렵게 된다.
또한,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냉기가 송풍팬의 전방에 형성된 냉기 배출유로에서 난류를 형성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냉기 배출유로에 이온발생장치가 설치되더라도 이온발생장치의 주위에서 안정적인 풍량과 풍속을 유지시키기가 매우 어렵게 되며 냉기가 이온발생장치에 부딪쳐서 소음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 및 탈취를 위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가 냉기 배출유로에 설치된 구조를 가진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가 냉기 배출유로에 설치된 이온발생장치를 층류를 이루어 통과될 수 있게 한 구조를 가진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냉기 배출유로를 구비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냉기 배출유로에는 살균 및 탈취를 위한 이온발생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판에 마련된 설치홀을 통해 상기 냉기 배출유로에 배치된다.
상기 냉기 배출유로에는 상기 이온발생장치의 양 측면에서 일정거리 떨어져서 배치되어 상기 냉기 배출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이온발생장치를 거쳐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기류 안내부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류 안내부재는 상기 상면판에서 하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기 배출유로는 냉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냉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기류 안내부재는 상기 냉기 배출구와 일정거리 떨어져서 상기 냉기 배출유로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기류 안내부재는 상기 이온발생장치에서 방출되는 이온과 대전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접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류 안내부재는 상기 이온발생장치에서 방출되는 이온과 대전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거나 표면이 금속으로 도금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1)는 내부공간이 구획판(미도시)에 의해 실내측 공간과 실외측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박스형상의 하우징(2)과, 하우징(2)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3)을 구비하여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실외측 공간에는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실외팬(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 및 응축시키게 되며, 실내측 공간에는 증발기(4)와 실내팬(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냉매가 증발하면서 실내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물론, 히트 펌프식 냉동 사이클로 구성하면 실내측 공간에 설치된 증발기(4)가 응축기로 작용하여 실내를 난방시킬 수 있게 된다.
하우징(2)의 실외측 공간에 대응하는 하우징(2)의 양 측면과 상면에는 실외공기를 실외측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실외 흡입구(2a)가 마련되어 있고, 하우징(2)의 후면에는 실외측 공간으로 유입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실외 배출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전면패널(3)의 하부에는 실내공기를 하우징(2)의 실내측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실내 흡입구(3a)가 마련되어 있고, 전면패널(3)의 상부에는 실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시키기 위한 실내 배출구 또는 냉기 배출구(3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의 실내측 공간의 상부에는 냉기 배출구(3b)와 연통되는 냉기 배출유로(20)가 마련되어 증발기(4)을 거쳐서 냉각된 공기를 냉기 배출구(3b)로 안내하게 된다.
냉기 배출유로(20)는 하우징(2)의 상면판(5)과 양 측면판(6), 그리고 실내측 공간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된 냉기 안내판(7)에 의해 한정되어 냉기를 냉기 배출구(3b)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냉기 배출유로(20)에는 살균 및 탈취를 위해 다량의 음이온과 활성수소를 발생시켜서 냉기 배출유로(20)와 냉기 배출구(3b)를 통과하는 냉기와 함께 실내로 방출되게 하는 이온발생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냉기 배출유로(20)에는 또한 이온 발생장치(30)의 양 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이온 발생장치(30)에서 최적의 이온결합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한 쌍의 기류 안내부재(4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온발생장치(30)와 한 쌍의 기류 안내부재(40)의 배치구조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장치가 냉기 배출유로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인 도 1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III-III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발생장치(30)는 대기압 하에서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게 되는 MPI(Micro Plasma Ion) 타입의 이온발생장치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발생장치(3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에서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침상전극(31)과, 하면에서 침상전극(31)과 일정거리 떨어져서 배치된 세라믹 전극(미도시)을 구비한다.
미도시된 세라믹 전극은 양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플러스 성분의 고전압의 작용에 따라 발생되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공기중의 수분(H2O)이 전리되어 수소이온(H+)을 발생시키게 된다.
침상전극(31)은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마이너스 성분의 고전압의 작용에 따라 발생되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다량의 전자를 공기 중으로 방출시키게 되고, 공기 중으로 방출된 다량의 전자는 매우 불안정하므로 산소분자(O2)에 포착되어 슈퍼옥사이드 아니온(O2 -)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세라믹 전극에 의해 발생된 수소이온은 침상전극(31)에서 방출된 전자와 결합하여 수소원자가 됨으로써 이온발생장치(30)에서 최종적으로 수소원자와 슈퍼옥사이드 아니온이 배출되게 된다.
이 수소원자와 슈퍼옥사이드 아니온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활성산소가 중화됨과 동시에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와 곰팡이 등의 원인균이 제거됨으로써, 공기 중에 인체에 유해한 양이온을 방출시키지 않은 채로 살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온발생장치(30)를 냉기 배출유로(20)에 설치하기 위해 이온발생장치(30)는 그 상단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나사홀(33)이 형성된 리브(32)를 구비하며, 하우징(2)의 상면판(5)에는 이온발생장치(3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설치홀(10)이 마련되고, 이 설치홀(10)의 양 측에는 나사홀(33)에 대응하는 나사홀(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온발생장치(30)의 각 나사홀(33)이 상면판(5)의 나사홀(11)에 일치되도록 이온발생장치(30)를 상면판(5)의 상부에서 설치홀(10)에 끼운 후에 각 나사홀(33)(11)을 통해 나사(34)를 체결하게 되면 이온발생장치(30)의 침상전극(31)과 세라믹 전극이 냉기 배출유로(20)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한 쌍의 기류 안내부재(40)는 대략 "ㄱ"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온발생장치(30)의 양 측면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냉기 배출유로(20)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이온발생장치(30)를 거쳐서 유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각 기류 안내부재(40)는 상단의 수평부가 상면판(5)의 내면에 복수의 나사 (41)에 의해 체결되어 상면판(5)에서 하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냉기 안내판(7)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류 안내부재(40)가 상면판(5)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길이(L1)는 대략 30mm가 되도록 하여 이온발생장치(30)에서 발생하는 수소이온과 음이온의 결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이온발생장치(30)와 기류 안내부재(40)는 최대한의 풍량을 확보하여 냉기 배출구(3b)를 통해 다량의 이온을 방출시키기 위해 되도록 냉기 배출구(3b)에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기류 안내부재(40)의 선단부가 냉기 배출구(3b)와 접하게 되는 냉기 배출유로(20)의 선단부에서 이격된 길이(L2)는 대략 40mm가 되도록 하고, 이온발생장치(30)는 한 쌍의 기류 안내부재(4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기류 안내부재(40)가 이온발생장치(30)에서 방출되는 이온과 대전되어 사라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류 안내부재(40)는 접지되도록 설치되거나 이러한 이온 대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재질을 금속으로 하여 만들거나 또는 표면을 금속 도금하여 만드는 것이 좋다.
기류 안내부재(40)가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기류의 직진성이 확보됨으로써 냉기 배출유로(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충분한 유량이 기류 안내부재(40)를 거쳐서 난류 유동을 하지 않고 층류를 이루어 유동하도록 안내를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이온발생장치(30)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과 음이온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하게 되어 효과적으로 활성수소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이온발생장치가 냉기 배출유로에 아치형상의 커버 없이 설치되고, 이온발생장치의 양측에 기류 안내부재가 설치된 구조를 가져서 이온발생장치로 충분한 유량의 공기가 직진성이 확보되어 유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활성수소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인체에 해롭다고 알려진 양이온은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창문형 공기조화기가 살균 및 탈취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아치형상의 커버의 설치에 따른 높이의 증대를 막고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냉기 배출유로를 구비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냉기 배출유로에는 살균 및 탈취를 위한 이온발생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판에 마련된 설치홀을 통해 상기 냉기 배출유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배출유로에는 상기 이온발생장치의 양 측면에서 일정거리 떨어져서 배치되어 상기 냉기 배출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이온발생장치를 거쳐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기류 안내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안내부재는 상기 상면판에서 하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배출유로는 냉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냉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기류 안내부재는 상기 냉기 배출구와 일정거리 떨어져서 상기 냉기 배출유로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안내부재는 상기 이온발생장치에서 방출되는 이온과 대전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안내부재는 상기 이온발생장치에서 방출되는 이온과 대전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거나 표면이 금속으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KR1020050127893A 2005-12-22 2005-12-22 창문형 공기조화기 KR20070066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893A KR20070066556A (ko) 2005-12-22 2005-12-22 창문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893A KR20070066556A (ko) 2005-12-22 2005-12-22 창문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556A true KR20070066556A (ko) 2007-06-27

Family

ID=3836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893A KR20070066556A (ko) 2005-12-22 2005-12-22 창문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65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6603A (zh) * 2017-04-11 2017-08-01 四川炫森科技有限公司 一种门窗换气净化装置
KR101864160B1 (ko) 2017-06-14 2018-06-04 안성국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
KR102630352B1 (ko) 2022-11-23 2024-01-29 주식회사 이루미 이중창 내입형 환기용 공기청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6603A (zh) * 2017-04-11 2017-08-01 四川炫森科技有限公司 一种门窗换气净化装置
CN106996603B (zh) * 2017-04-11 2023-04-18 广州英派尔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门窗换气净化装置
KR101864160B1 (ko) 2017-06-14 2018-06-04 안성국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
KR102630352B1 (ko) 2022-11-23 2024-01-29 주식회사 이루미 이중창 내입형 환기용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4646A (ko) 공기조화기
KR100452028B1 (ko) 공조기용 실내 유닛
KR20070066556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JP5834211B2 (ja) 送風装置
US8508909B2 (en) Duct frame and ion generating device
JP387686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075895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7322090A (ja) 冷蔵庫
JP2002243243A (ja) 空気調和機
JP2013231593A (ja) 電気機器
CN219389908U (zh) 空调室内机
JP4080801B2 (ja) 冷蔵庫
JP2002228180A (ja) 空気調和機
JP2014040977A (ja) 空気調和機
JP4339613B2 (ja) 冷蔵庫
CN220062043U (zh) 除菌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CN219473816U (zh) 空调室内机
CN219735467U (zh) 空调室内机
JP2014031897A (ja) 冷蔵庫
EP4361509A1 (en) Air conditioner
JP200107426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12049055A (ja) 空気調和機
CN216132062U (zh) 等离子除菌装置及具有该装置的空调室内机
WO2022124294A1 (ja) 空調装置の室内機、空調システム及びイオン発生アセンブリ
JP2004053040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