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953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953B1
KR100758953B1 KR1020050001632A KR20050001632A KR100758953B1 KR 100758953 B1 KR100758953 B1 KR 100758953B1 KR 1020050001632 A KR1020050001632 A KR 1020050001632A KR 20050001632 A KR20050001632 A KR 20050001632A KR 100758953 B1 KR100758953 B1 KR 10075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se
unit
suction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168A (ko
Inventor
김강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9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실내기의 공기 정화 모드시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공기 정화중임 외부로 알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베이스, 공기 흡입부, 램프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냉/난방 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공기 정화 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가 밀폐된 사시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4: 공기 흡입부
5: 좌측 유로부 6: 우측 유로부
7: 중앙 유로부 10: 베이스
11: 램프 연결 단자 12: 투명부
13: 개구홀 15: 램프 수납홈부
16: 메쉬부재 20: 캐비닛
30: 상부 패널 40: 열교환기
50: 공기 정화장치 52: 필터 유닛
57: 전기 집진기 60: 램프
70: 좌측 흡입 패널 80: 우측 흡입 패널
90: 전면 도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 측에 램프를 장착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 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필터나 집진기 등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1)와, 상기 베이스(101)의 상측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102)과, 상기 캐비닛(102)의 전면에 결합되고, 전면 상부에 전면 공기 토출구(104a)와 양측면 상부에 측면 공기 토출구(104b)(104c)가 형성되며, 양측면 하부에 공기 흡입구(104d)(104e)가 각각 형성된 전면 패널(104)과, 상기 캐비닛(102)과 전면 패널(104)의 사이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120)와, 상기 송풍기(120)의 상측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1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104)에는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104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104)의 전면에 상하 구동 패널(11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 구동 패널(110)의 상승시 전면 패널(104)과 상하 구동 패널(110)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104)의 전면에 전후 구동 패널(112)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104b)(104c)를 개폐함과 아울러 측면 공기 토출구(104b)(104c)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104)의 양측 상부에 좌,우 베인(114)(116)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전면 패널(104)은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104a) 및 측면 공기 토출구(104b)(104c)가 형성된 전면 상부 패널(105)과, 상기 전면 상부 패널(105)의 중앙 하부과 상기 베이스(10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102)의 양측 하부와의 사이에 상기 공기 흡입구(104d)(104e)를 형성하는 전면 하부 패널(106)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 하부 패널(106)의 측단과 상기 캐비닛(102)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104d)(104e)를 보호하기 위한 좌,우 흡입그릴(107)(108)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좌,우 흡입그릴(107)(108) 각각의 배면에는 공기 흡입구(104d)(104e)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될 수 있도록 에어 필터(109)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송풍기(120)의 전면부 전방 일측 혹은 양측에는 상기 좌,우 흡입그릴(107)(108)과 에어 필터(109)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121)(122)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모드시 상기 송풍기(120)가 구동됨과 아울러 실외기의 압축기가 구동된다.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의 구동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에는 차가운 혹은 뜨거운 냉매가 통과하면서 주변을 냉각/가열시키고, 상기 송풍기(120)의 구동시 상기 실내의 공기는 상기 좌,우 흡입그릴(107)(108)과 에어 필터(109)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에 의해 냉각/가열된 후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104a) 와 좌측 공기 토출구(104b)와 우측 공기 토출구(104c)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난방시킨다.
한편,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정화 모드시 상기 송풍기(120)가 구동됨과 아울러 전기 집진기(121)(122)가 작동된다.
실내의 공기는 상기 냉/난방 모드시와 같이, 상기 좌,우 흡입그릴(107)(108)과 에어 필터(109)를 통해 흡입되고, 상기 전기 집진기(121)(122)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전기 집진기(121)(122)에 의해 포집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130)를 열교환없이 통과한 후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104a)와 좌측 공기 토출구(104b)와 우측 공기 토출구(104c)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되어 실내를 정화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 정화 모드시 실내의 공기가 상기 좌,우 흡입 그릴(107,108)만을 통해서 흡입된 후 상기 에어 필터(109)와 전기 집진기(121,122)에 의해서 정화되므로, 살균 등의 정화 성능 향상에 한계가 따르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현재 공기 정화 모드임을 외부에서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를 살균시킴과 아울러 공기 정화중임 표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가 흡입 안내되면서 통과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에 개구홀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부의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도록 상기 개구홀의 후방에 설치된 살균 램프와; 상기 공기 흡입부의 개구홀에 배치된 투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부재는 상기 공기 흡입부와 동일 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흡입 안내되면서 통과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부의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살균 램프와; 상기 살균 램프를 보호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메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흡입부에는 상기 살균 램프가 수납되는 램프 수납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쉬 부재는 상기 공기 흡입부와 동일 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흡입부는 실내 공기가 베이스의 전면으로 흡입되어 상면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전면 좌,우 양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좌측 유로부 및 우측 유로부와, 상기 좌측 유로부와 우측 유로부 사이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중앙 유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고 좌,우측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좌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된 좌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우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된 우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전면 상단과 상기 베이스의 전면 상단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전면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패널은 상면에 상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흡입 안내되면서 통과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고 좌,우측부에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좌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좌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우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우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전면 상단과 상기 베이스의 전면 상단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전면 도어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살균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패널은 상면에 상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의 상측에 설치된 필터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 램프는 색상이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난방 모드와 공기 정화 모드에 따라 조사되는 광의 색이 다르도록 상기 살균 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난방 모드이거나 운전 정지이면 상기 살균 램프를 오프시키고, 공기 정화 모드일 때 상기 살균 램프를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냉/난방 모드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공기 정화 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변화된 후 실내로 다시 토출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공기 흡입부(4)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킴과 아울러 상기 본체(2)가 공기 정화 중임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램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는 상기 공기 흡입부(4)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60)가 장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20)과; 상기 캐비닛(20)의 전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30′)과; 상기 캐비닛(20)과 전면 패널(30′)의 사이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40)와; 상기 공기 흡입부(4)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4)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정화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 흡입부(4)는 실내 공기가 상기 본체(2)의 전면 하부를 통해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의 전방측에 형성되고, 실내 공기가 상기 베이스(2)의 전면으로 흡입된 후 상기 베이스(2)의 상면으로 안내되도록 후방측으로 움푹 패이게 형성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공기 흡입부(4)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의 전면 좌,우 양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좌측 유로부(5) 및 우측 유로부(6)와, 상기 좌측 유로부(5)와 우측 유로부(6) 사이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중앙 유로부(7)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램프(60)의 광(L)이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중앙 유로부(7)의 일부 혹은 전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 유로부(7)가 투명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중앙 유로 부(7)에 개구홀(13)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13)에 별도의 투명부재(12)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중앙 유로부(7)에 개구홀(13)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13)에 투명부재(12)가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투명부재(12)는 접착재 등의 접착수단이나 체결볼트나 후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중앙 유로부(7)에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공기 흡입부(4)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하부 흡입구 패널(14)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흡입구 패널(14)을 회전시키기 위한 전면 하부 모터가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20)은 상기 베이스(10)의 후방부 상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10)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전면 패널(30′)은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30)과, 상기 상부 패널(3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패널(70)(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30)은 좌,우 양측부가 전면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면부가 전면부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30)은 좌측부에 좌측 공기 토출구(31)가 형성되고, 우측부에 우측 공기 토출구(32)가 형성되며, 상면부에 상면 공기 토출구(3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30)의 좌측부에는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31)를 개폐하기 위한 좌측 토출구 패널(34)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좌측 토출구 패널(34)을 회전시키기 위한 좌측 상부 모터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 패널(30)의 우측부에는 상기 우측 공기 토출구(32)를 개폐하기 위한 우측 토출구 패널(35)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우측 토출구 패널(35)을 회전시키기 위한 우측 상부 모터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 패널(30)의 상면부에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33)를 개폐하기 위한 상측 토출구 패널(36)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상측 토출구 패널(36)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면 모터가 장착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는 실외기와 냉매배관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40)의 하측에는 실내의 공기를 상기 본체(2) 내부로 흡입시켜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를 통하도록 한 후 상기 공기 토출구(31)(32)(33)를 통해 토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기(42)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42)는 상면에 공기 토출홀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팬 하우징(43)과, 상기 팬 하우징(43)의 전면에 장착되고 공기 흡입홀이 형성된 오리피스(44)와, 상기 팬 하우징(43)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송풍팬(45)과, 상기 송풍팬(45)이 축결합된 모터(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50)는 상기 베이스(10)의 공기 흡입부(4) 상측에 설치된 필터 유닛(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유닛(52)은 상기 베이스(10)의 공기 흡입부(4)에 안내된 공기가 상측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고 전면이 개방된 필터 프레임(53)과, 상기 필터 프레임(53)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착탈되는 필터(54)(55)(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54)(55)(56)는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와, 나노 카본 필터, 나노 구리 필터와, 나노 은 필터 등의 각종 필터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둘 이상이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50)는 상기 송풍기(42)의 공기 흡입측 즉, 상기 오리피스(44)의 공기 흡입홀 전방에 설치된 전기 집진기(57)와, 상기 전기 집진기(58)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기 집진기(57)는 공기가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전면 및 배면이 개방된 정화기 프레임과, 상기 정화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먼지를 방전에 의해 전리시킴과 아울러 광에너지를 조사하는 전리부와, 상기 전리부에서 전리된 먼지가 포집되는 포집부로 구성된다.
상기 정화기 프레임은 전면에 그릴(57a)이 형성되고 상기 전리부가 설치된 전면 프레임(57b)과, 상기 전면 프레임(57b)에 후크 결합되고 상기 포집부가 설치된 후면 프레임(57c)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리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접지전극을 이루는 방전 대응극(57d)과, 상기 방전 대응극(57d) 사이에 공기의 유동 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되고 고전압을 인가받아 +극을 형성하여 상기 방전 대응극(57d)과의 사이에 이온화선을 형성하는 와이어 형상의 방전극(57e)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전리부에서 전리된 먼지가 흡착되는 포집 전극(57f)과, 상기 전리부에서 전리된 먼지를 상기 포집 전극(57f)으로 가속시키고 표면에 절연필름이 코팅된 가속 전극(57g)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 집진기(57)는 냄세 입자가 포집되고 상기 전리부에서 조사되는 광에너지에 의해 포집된 냄세 입자가 분해되는 광촉매 필터(5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램프(60)는 단일 색상의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색상 변경이 가능한 램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램프(60)는 살균 장치로서, 사람의 눈에 피해를 주지 않는 살균 램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램프(60)는 상기 공기 흡입부(4)의 후방 특히, 상기 중앙 유로부(7)의 후방에 상기 투명부재(12)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흡입 패널(70)(80)은 상기 상부 패널(30)의 좌측 하단과 상기 베이스(2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좌측 흡입 패널(70)과, 상기 상부 패널(30)의 우측 하단과 상기 베이스(2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우측 흡입 패널(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공기 흡입 패널(70)에는 실내 공기가 상기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좌측 흡입구(71)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흡입구(71)를 개폐하기 위한 좌측 흡입구 패널(72)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좌측 흡입구 패널(72)을 회전시키기 위한 좌측 하부 모터가 장착된다.
상기 우측 공기 흡입 패널(80)에는 실내 공기가 상기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우측 흡입구(81)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흡입구(81)를 개폐하기 위한 우측 흡입구 패널(82)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우측 흡입구 패널(82)을 회 전시키기 위한 우측 하부 모터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2)는 상기 상부 패널(30)의 전면 상단과 상기 베이스(10)의 전면 상단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전면 도어(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램프(60)를 제어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60)가 색상 변경이 가능한 램프인 경우, 냉/난방 모드와 공기 정화 모드에 따라 조사되는 광의 색이 다르도록 상기 램프(6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램프(60)가 단일 색상의 램프인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냉/난방 모드일 때와 운전 정지일 때 상기 램프(60)를 오프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공기 정화 모드일 때만 온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냉/난방 모드일 때와 운전 정지일 때 상기 램프(60)를 오프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공기 정화 모드일 때만 온시키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참조 부호 11은 상기 램프(60)가 장착되고 상기 램프 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된 램프 연결 단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난방의 운전 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실외기의 압축기는 구동되고, 상기 전면 흡입구 패널(4)이 상기 공기 흡입부(4)의 전면을 개방하며, 상기 좌,우측 흡입구 패널(72)(82)이 상기 좌,우측 공기 흡입구(71)(81)의 각각을 개방하고, 상기 좌,우측 토출구 패널(34)(35)의 각각이 상기 좌,우측 공기 토출구(31)(32)의 각각을 개방하며, 상기 상면 토출구 패널(36)은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33)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기(42)의 모터(46)가 구동된다.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의 구동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40)에는 차가운 혹은 뜨거운 냉매가 통과하면서 주변을 냉각/가열시키고, 상기 모터(46)의 구동시 송풍팬(45)은 회전되며, 상기 본체(2) 외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4)와, 좌,우측 공기 흡입구(71,81)를 통해 상기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공기 흡입부(4)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베이스(2)의 상측으로 안내된 후 상기 필터 프레임(53)을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54)(55)(56)에 의해 정화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공기는 상기 좌,우측 공기 흡입구(71)(81)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합쳐져서 상기 전기 집진기(57)를 정화 작용 없이 전후 방향으로 통과하고, 상기 오리피스(44)와 팬 하우징(43)을 통과하여 상기 송풍기(42)의 상측으로 송풍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40)에 의해 가열/냉각된 후 상기 좌,우측 공기 토출구(31)(32)와 상면 토출구(33)를 통해 삼면으로 입체 토출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 정화의 운전 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상기 램프(60)는 온되고, 실외기의 압축기는 구동 정지이며, 상기 전면 흡입구 패널(4)이 상기 공기 흡입부(4)의 전면을 개방하고, 상기 좌,우측 흡입구 패널(72)(82)이 상기 좌,우측 공기 흡입구(71)(81)의 각각을 밀폐하며, 상기 좌,우측 토출구 패널(34)(35)의 각각이 상기 좌,우측 공기 토출구(31)(32)의 각각을 밀폐하고, 상기 상면 토출구 패널(36)은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33)를 개방하며, 상기 송풍기(42)의 모터(46)가 구동되고, 상기 전기 집진기(57)로는 고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램프(60)의 온시 상기 램프(60)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투명부(12)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되고, 사용자는 상기 투명부(12)를 통해 조사되는 광에 의해 상기 본체(2)가 현재 공기 정화모드로 작동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의 정지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는 주변을 냉각/가열시키지 않고, 상기 모터(46)의 구동시 송풍팬(45)은 회전되며, 상기 본체(2) 외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4)로 흡입된다.
상기 공기 흡입부(4)에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4)에 안내되면서 상기 투명부(12)를 통해 조사된 광에 의해 살균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4)의 상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공기 흡입부(4)의 상측으로 안내된 살균된 공기는 상기 전기 집진기(72)를 전후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전기 집진기(72)에 이온화되어 포집되고, 상기 오리피스(44)와 팬 하우징(43)을 통과하여 상기 송풍기(42)의 상측으로 송풍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를 열교환 없이 통과한 후 상기 상면 토출구(33)를 통해 본체(2)의 상측으로 집중 토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부(4)에 램프(60)가 설치되고, 베이스(10)에는 상기 램프(60)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램프(60)의 광이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메쉬부재(16)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 흡입부(4)에는 상기 램프(60)가 수납될 수 있는 램프 수납홈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메쉬부재(16)는 상기 램프 수납홈부(15)를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램프(60)는 상기 공기 흡입부(4)의 좌측 유로부(5)와 우측 유로부(6)와 중앙 유로부(7)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이하, 상기 중앙 유로부(7)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메쉬부재(16)는 상기 중앙 유로부(7)와 동일 면상에 설치된다.
상기 메쉬부재(16)는 접착재 등의 접착수단이나 체결볼트나 후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 흡입부(4) 특히 중앙 유로부(7)에 장착된다.
상기 흡입 안내부(4)와 램프 수납홈부(9)와 메쉬부재(16)와 램프(6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4)로 안내되는 실내 공기가 상기 메쉬부재(16) 및 중앙 유로부(7)와, 좌측 유로부(4)와, 우측 유로부(5)에 안내되어 상기 본체(2)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램프(60)의 온시 상기 램 프(6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메쉬부재(16)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되면서 상기 공기 흡입부(4)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살균하고, 사용자는 상기 메쉬부재(16)를 통해 나오는 광을 통해 상기 본체(2)가 현재 공기 정화 모드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의 공기 흡입부에 램프가 설치되어, 공기 정화 모드시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공기 정화중임 외부로 알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램프는 색상 변경이 가능한 램프로 이루어져, 냉/난방 모드와 공기 정화모드에 따라 상기 램프가 다른 색상을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냉/난방 모드와 공기 정화 모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램프는 베이스의 공기 흡입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에는 상기 램프의 광이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의 유로 저항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램프는 상기 공기 흡입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램프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램프의 광이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메쉬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램프의 설치가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로 상기 램프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가 하부 양측과 중앙을 통해 흡 입되어 열교환된 후 상부 양측과 상면을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되므로, 냉/난방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가 전면측 하부를 통해 흡입되어 정화된 후 상면을 통해 실내로 집중 토출되므로, 다량의 공기가 신속하게 정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9)

  1. 실내 공기가 흡입 안내되면서 통과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에 개구홀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부의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도록 상기 개구홀의 후방에 설치된 살균 램프와;
    상기 공기 흡입부의 개구홀에 배치된 투명부재와;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의 상측에 설치된 필터 유닛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상기 공기 흡입부와 동일 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8. 실내 공기가 흡입 안내되면서 통과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부의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살균 램프와;
    상기 살균 램프를 보호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메쉬 부재와;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의 상측에 설치된 필터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에는 상기 살균 램프가 수납되는 램프 수납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부재는 상기 공기 흡입부와 동일 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1. 실내 공기가 흡입 안내되면서 통과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부의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살균 램프와;
    상기 살균 램프를 보호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메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부는 실내 공기가 베이스의 전면으로 흡입되어 상면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전면 좌,우 양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좌측 유로부 및 우측 유로부와, 상기 좌측 유로부와 우측 유로부 사이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중앙 유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실내 공기가 흡입 안내되면서 통과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고 좌,우측부에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좌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좌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우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우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전면 상단과 상기 베이스의 전면 상단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전면 도어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살균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패널은 상면에 상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6. 실내 공기가 흡입 안내되면서 통과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고 좌,우측부에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좌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좌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우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우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전면 상단과 상기 베이스의 전면 상단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전면 도어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살균 램프와;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의 상측에 설치된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7. 삭제
  28. 실내 공기가 흡입 안내되면서 통과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고 좌,우측부에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좌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좌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우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우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전면 상단과 상기 베이스의 전면 상단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전면 도어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색상이 변경이 가능한 살균 램프와;
    냉/난방 모드와 공기 정화 모드에 따라 조사되는 광의 색이 다르도록 상기 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9. 실내 공기가 흡입 안내되면서 통과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고 좌,우측부에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좌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좌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우측부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우측 흡입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전면 상단과 상기 베이스의 전면 상단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전면 도어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살균 램프와;
    냉/난방 모드이거나 운전 정지이면 상기 램프를 오프시키고, 공기 정화 모드일 때 상기 램프를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50001632A 2005-01-07 2005-01-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8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632A KR100758953B1 (ko) 2005-01-07 2005-01-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632A KR100758953B1 (ko) 2005-01-07 2005-01-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168A KR20060081168A (ko) 2006-07-12
KR100758953B1 true KR100758953B1 (ko) 2007-09-14

Family

ID=3717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632A KR100758953B1 (ko) 2005-01-07 2005-01-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8001A (zh) * 2021-05-07 2021-08-0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240027493A (ko) * 2022-08-23 202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 장치
WO2024045902A1 (zh) * 2022-08-31 2024-03-0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5741A (ja) 1986-04-30 1987-11-07 Hitachi Ltd 消臭防菌装置付空気調和機
KR20010011806A (ko) * 1999-07-30 2001-02-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필터장치
KR20030000061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케이.알 다방향 충격 진동 마운트
KR20030000338A (ko) * 2001-06-23 2003-01-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충격저감용 차량의 시트레그구조
JP2003088571A (ja) 2001-09-20 2003-03-25 Hitachi Metals Ltd 空気清浄機
KR20030087315A (ko) * 2002-05-08 2003-11-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오 방향 토출형 에어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5741A (ja) 1986-04-30 1987-11-07 Hitachi Ltd 消臭防菌装置付空気調和機
KR20010011806A (ko) * 1999-07-30 2001-02-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필터장치
KR20030000061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케이.알 다방향 충격 진동 마운트
KR20030000338A (ko) * 2001-06-23 2003-01-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충격저감용 차량의 시트레그구조
JP2003088571A (ja) 2001-09-20 2003-03-25 Hitachi Metals Ltd 空気清浄機
KR20030087315A (ko) * 2002-05-08 2003-11-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오 방향 토출형 에어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168A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16004A (ko) 공기조화기
KR10072746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895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198650B2 (ja) 空気調和機
KR20070044740A (ko) 공기조화기
KR20000056583A (ko) 공기 조화기
KR2006002070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4445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9131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8816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376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2331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67998B1 (ko) 공기조화기
KR100788811B1 (ko) 공기조화기
KR100732043B1 (ko) 공기조화기
KR1005913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2480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9060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8959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83415A (ko) 공기조화기의 공기정화부 구조
CN211177136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073204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0916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81483A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고정 구조
KR100762273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