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273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273B1
KR100762273B1 KR1020060104549A KR20060104549A KR100762273B1 KR 100762273 B1 KR100762273 B1 KR 100762273B1 KR 1020060104549 A KR1020060104549 A KR 1020060104549A KR 20060104549 A KR20060104549 A KR 20060104549A KR 100762273 B1 KR100762273 B1 KR 100762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on generator
discharge port
screen me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토출되는 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크린부재가 설치된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스크린부재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의 사이에서 이온발생기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이온발생기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크린부재로 인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이온발생장기와 스크린부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스크린부재의 후면 장착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스크린부재의 전면 장착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베이스
12 : 캐비닛 13 : 하부패널
15 : 토출구 16 : 패널 조립체
19 : 제2패널 21 : 송풍장치
23 : 열교환기 25 : 공기조화장치
40 : 이온발생기 45 : 이온발생기 홀더
50 : 스크린부재 51 : 제1부재
52 : 제2부재 53 : 중앙부재
56 : 후면돌기 57 : 전면돌기
59 : 통공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갖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실내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거나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의 조화를 위한 열교환기, 공기의 송풍을 위한 송풍장치, 실내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청정기 및 청정된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토출구를 통해 이온을 배출하기 위한 이온발생기를 구비한다. 이때, 이온발생기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두 개의 전극부와, 이 전극부에 고전압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부가 마련된다.
한편, 종래의 공기조화기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토출구 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가 사용자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 즉, 스크린부재가 토출구의 전체 면적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때, 스크린부재는 토출구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스크류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토출구에 결합되는 스크린부 재로 인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출구에 마련되는 스크린부재가 사용자에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 스크린부재가 토출구의 전체 면적에 거쳐 설치됨으로써 이 스크린부재를 설치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온발생기에 접촉되는 막기 위해 마련된 스크린부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 송풍장치, 공기정화장치가 내장된 본체와, 조화공기의 토출을 위해 상기 본체 마련된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 및 상기 이온발생기와 사용자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온발생기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서 상기 이온발생기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스크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저면을 이루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양측면과 후면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전면 하부를 이루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패널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조립체는 양 측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의 전방에 결합되며 그 후면에 상기 이온발생기가 장착되는 제2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패널과 함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제2패널의 후면에 상기 이온발생기의 상하부로부터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후면돌기에 고정되는 제 1부재와, 상기 제2패널의 전면에 상기 이온발생기의 상하부로부터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전면돌기에 고정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패널에는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2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돌기에 고정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 캐비닛(12), 패널 조립체(16) 및 하부패널(13)로 구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하부패널(13)과 패널 조립체(16)는 캐비닛(12)의 전방 하부와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면 및 측면을 형성한다. 하부패널(13)의 양 측면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4)가 형성되고, 패널 조립체(16)의 양 측면에는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5)가 형성된다.
이때, 본체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순환을 위한 송풍장치(21)와, 이 송풍장치(21)를 통해 순환되는 실내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2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송풍장치(21)는 원심형 송풍팬(21a), 송풍팬(21a)을 구동하는 모터(21b), 송풍되는 공기를 열교환기(23) 쪽으로 안내하는 팬 케이싱(21c)을 포함한다. 또 송풍장치(21)의 팬케이싱(21c) 입구 쪽에는 송풍장치(21)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 주기 위한 공기정화장치(25)가 설치된다.
열교환기(23)는 송풍장치(21)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마련되며, 본체(10)의 내측 상부공간을 구획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열교환기(23)를 거치면서 조화된 공기는 토출구(15)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조립체(16)는 제1패널(17)과, 제1패널(17)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2패널(18)과, 제2패널(18)의 전방에 결합되어 하부패널(13)과 함께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9)을 포함한다.
이때, 제1패널(17)의 양 측면에는 토출구(15)가 마련되고, 제2패널(18)의 양측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제1패널(17)과 제2패널(18)이 결합하더라도 토출구(15)는 개방되어 진다. 이러한 토출구(15)에는 폐쇄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고, 개방된 상태에서는 회동하며 토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토출블레이드(15a)가 설치된다.
그리고, 토출구(15)가 형성된 패널 조립체(16)에는 이 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기 위한 이온발생기(40)가 이온발생기 홀더(45)를 통해 장착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온발생기(40)가 장착되기 위하여 제2패널(18)에 형성된 장착공(18a)에 이온발생기 홀더(45)가 장착되고, 장착공(18a)을 통해 제2패널(18)에 장착된 이온발생기 홀더(45)의 내면에 이온발생기(40)가 안착된다.
이러한 이온발생기(40)를 설치할 때는 토출구(15)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는 이온발생기(40)의 동작과정에서 생기는 이온 구체적으로, 오존이 토출구(15) 쪽으로 곧바로 배출될 경우 불쾌한 냄새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이온발생기(40)는 이온발생 시 고전압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온발생기(40)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면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토출구(15)와 이온발생기(40)의 사이에서 이온발생기(40)에 인접하게 배치된 스크린부재(50)가 마련된다. 이때, 스크린부재(50)는 이온발생기(40)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제2패널(18)에 장착되며, 이 스크린부재(50)의 크기는 이온발생기(40)의 일측에서 이온발생기(40)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스크린부재(50)는 제2패널(18)의 후면에 이온발생기(40)의 상하부로부터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후면돌기(56)에 고정되는 제1부재(51)와, 제2패널(18)의 전면에 이온발생기(40)의 상하부로부터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전면돌기(57)에 고정되는 제2부재(52)와, 제1부재(51)와 제2부재(52)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부재(51)와 제2부재(52)가 각각 후면돌기(56)와 전면돌기(57)에 고정시 이 스크린부재(5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앙부재(53)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패널(18)에는 제2부재(52)가 이 제2패널(18)을 관통하여 전면돌기(57)에 고정되기 위하여 통공(59)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부재(50)가 토출구(15)의 상하단에 스크류 결합되는 종래와는 달리 토출구(15) 측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이온발생기(40)의 일측면에 배치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구(15)를 통해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부재(50)가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를 통해 제2패널(18)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이온발생기(4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 스크린부재(50)가 이온발생기(40)의 크기를 커버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50)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만큼 이 스크린부재(50)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 스크린부재(50)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이 스크린부재(50)로 인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에 인접한 이온발생기의 일측에 스크린부재가 설치되어 이 스크린부재가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열교환기, 송풍장치, 공기정화장치가 내장된 본체:
    조화공기의 토출을 위해 상기 본체 마련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 및
    상기 이온발생기와 사용자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온발생기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서 상기 이온발생기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스크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저면을 이루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양측면과 후면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전면 하부를 이루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패널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조립체는 양 측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의 전방에 결합되며 그 후면에 상기 이온발생기가 장착되는 제2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패널과 함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제2패널의 후면에 상기 이온발생기의 상하부로부터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후면돌기에 고정되는 제 1부재와, 상기 제2패널의 전면에 상기 이온발생기의 상하부로부터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전면돌기에 고정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에는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2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돌기에 고정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60104549A 2006-10-26 2006-10-26 공기조화기 KR100762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549A KR100762273B1 (ko) 2006-10-26 2006-10-26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549A KR100762273B1 (ko) 2006-10-26 2006-10-2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273B1 true KR100762273B1 (ko) 2007-10-01

Family

ID=3941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549A KR100762273B1 (ko) 2006-10-26 2006-10-2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2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395A (ko) 2003-06-19 2004-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음이온을 발생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44740A (ko) 2005-10-25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395A (ko) 2003-06-19 2004-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음이온을 발생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44740A (ko) 2005-10-25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24595A (ja) 遠心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1108974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WO2013061865A1 (ja) 発生ユニットを有する電気機器
KR20070044740A (ko) 공기조화기
KR20100051470A (ko) 공기조화기
CN100549597C (zh) 泡菜冰箱空气净化器
KR100762273B1 (ko) 공기조화기
EP2364418B1 (en) Air conditioner
JP2005221220A (ja) 空気調和機
KR10075895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9024936A (ja) 空気調和機
JP2009022882A (ja) 空気調和機
KR100797154B1 (ko) 냉장고용 공기청정기
KR1006882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67998B1 (ko) 공기조화기
JP2014020578A (ja) 空気調和機
CN219674431U (zh) 具有纳米水离子净化功能的装置
CN219125737U (zh) 一种柜子
KR20190026293A (ko)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JP5051316B1 (ja) 空気調和機
KR20060098284A (ko) 환기시스템
KR20050010581A (ko) 환기시스템
KR100593077B1 (ko) 공기청정기
KR20050083415A (ko) 공기조화기의 공기정화부 구조
KR100584300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