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060A - 노브 - Google Patents

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060A
KR20070064060A KR1020050124564A KR20050124564A KR20070064060A KR 20070064060 A KR20070064060 A KR 20070064060A KR 1020050124564 A KR1020050124564 A KR 1020050124564A KR 20050124564 A KR20050124564 A KR 20050124564A KR 20070064060 A KR20070064060 A KR 20070064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button
unit
knob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갈인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4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4060A/ko
Publication of KR2007006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브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누름부와 버튼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버튼부를 눌렀을 때 택트스위치가 미작동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버튼부에 조명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노브에 관한 것이다.
노브, 조명, 택트스위치

Description

노브{KNOB}
도 1은 종래의 노브 설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노브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노브 버튼부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노브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브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브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돌출부 120 : 누름부
121 : 누름편 122 : 연결부
130 : 버튼부 140 : 공간부
141 : 절개부
본 발명은 노브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누름부와 버튼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버튼부를 눌렀을 때 택트스위치가 미작동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버튼부에 조명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카오디오(car audio)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라디오를 청취하거나 카세트 테이프 또는 콤팩트 디스크에 수록된 음악 등을 재생하여 청취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오디오는 일반적으로 데크(Deck) 및 각종 제어부품 등이 장착되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외체를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부에는 사용자의 누름조작이나 또는 회전조작에 의해 기기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거나 음량 등을 조절하는 노브(knob)가 구비된다.
상기 노브의 설치 및 작동구조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050201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노브의 누름작용에 따라 피씨비에 고정된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눌러 카오디오를 작동시키는 택트 스위치 접속방식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택트 스위치 접속방식 보다 진보된 방식으로서, 공개특허 제1999-0027395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카오디오 컨트롤 패널의 프론트 피씨비의 패턴에 접촉하는 스위치를 배면에 압입하는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 피씨비에 설치한 램프를 압입하는 램프홈을 형성한 러버 패드를 제공함으로써 노브의 전면을 투과하는 램프 빛의 양을 증가시키고 컨트롤 패널을 조립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킨 고무패드 스위치 접속방식이 알려져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다양한 노브 중에서 카오디오의 작동과 더불어 볼륨 조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볼륨노브 구조가 공개실용신안 제1998-0031785호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볼륨노브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씨비(20)에는 볼륨노브(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2)는 볼륨노브(10)의 벽면을 형성하는 소정 형상의 돌출부(11)와 직접적으로 맞물려 있다.
사용자가 누르는 부분인 버튼부(13)에는 중심부에 조명 빛이 통과되는 표시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륨노브(10)의 돌출부(11)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11)의 길이에 걸쳐 상기 볼륨노브(10)의 중심을 향해 일정 폭을 갖도록 돌출된 누름부(12)가 편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12)는 버튼부(13) 배면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12)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피씨비(20) 전면에는 상기 누름부(12)에 의해 눌려지는 택트 스위치(30)가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노브는 구조상 표시부(13a)의 조명을 위해서 누름부(12) 및 택트 스위치(30)가 아래에 위치하여 작동되었다. 그러면서 노브의 위쪽을 눌렀을 때에는 미작동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누름부와 버튼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버튼부를 눌렀을 때 택트스위치가 미작동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버튼부에 조명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브는, 조명 빛이 통과되는 표시부가 형성된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 배면에 형성되며, 텍트스위치를 누르는 누름부가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버튼부를 눌렀을 때 택트스위치가 미작동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버튼부에 조명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돌출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노브를 사출성형할 때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기에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누름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편은 상기 버튼부 중심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버튼부를 눌렀을 때 택트 스위치에 그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택트 스위치가 미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버튼부 중심에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브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브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노브는, 조명 빛이 통과되는 표시부(13a)가 형성된 버튼부(130)와, 상기 버튼부(130) 배면에 형성되며, 텍트스위치를 누르는 누름부(120)가 형성된 돌출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튼부(130)은 원형의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되며, 어두운 차량 내부에서도 사용자가 잘 알아볼 수 있도록 중심부에는 내측에 배치되는 조명 빛이 통과되는 표시부(13a)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부(130)가 전원버튼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전원을 나타내는 형상으로 표시부(13a)가 형성된다.
돌출부(110)는 상기 지지부 내에 맞물려 지지되도록 버튼부(130) 배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10)의 내면 일측에는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누름부(120)가 형성된다.
누름부(120)와 상기 버튼부(130) 사이에는 공간부(140)가 형성되어, 누름부(120)는 버튼부(13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공간부(140)가 형성되어, 버튼부(130) 내측에 배치되는 조명으로부터의 빛이 공간부(140)를 통해 표시부(13a)로 전달된다.
따라서, 누름부(120)가 중심에 위치하더라도 조명 빛이 표시부(13a)에 잘 전달되게 된다.
누름부(120)는 상기 돌출부(110)에 연결되며 중심부를 향하는 연결부(122)와, 상기 연결부(122)에 수직하게 폭방향으로 형성된 누름편(1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누름부(120)는 전체적으로 연결부(122)와 누름편(121)이 'T'자 형상을 이룬다.
이로써, 사용자가 버튼부(130)를 누르게 되면 버튼부(130)는 돌출부(110)를 통해 힘을 연결부(122)로 전달하고 연결부(122)에 전달된 힘은 누름편(121)으로 전달되어 택트 스위치(30)를 누르게 된다.
상기 누름편(121)은 상기 버튼부(130) 중심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버튼부(130) 어디를 누르더라도 힘이 잘 전달되어 택트 스위치(30)가 미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간부(140)에 대응되도록 상기 돌출부(110)에는 절개부(141)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 사출성형시 절개부(141)에 슬라이드 코어를 삽입하여 공간부(140)가 누름부(120)와 상기 버튼부(130) 사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노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누름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의 형성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버튼부를 눌렀을 때 택트스위치가 미작동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버튼부에 조명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돌출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는 슬라이드 코어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노브를 사출성형할 때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기에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누름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편은 상기 버튼부 중심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버튼부를 눌렀을 때 택트 스위치에 그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택트 스위치가 미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조명 빛이 통과되는 표시부가 형성된 버튼부;
    상기 버튼부 배면에 형성되며, 텍트스위치를 누르는 누름부가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돌출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누름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편은 상기 버튼부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버튼부 중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KR1020050124564A 2005-12-16 2005-12-16 노브 KR20070064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564A KR20070064060A (ko) 2005-12-16 2005-12-16 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564A KR20070064060A (ko) 2005-12-16 2005-12-16 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060A true KR20070064060A (ko) 2007-06-20

Family

ID=3836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564A KR20070064060A (ko) 2005-12-16 2005-12-16 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40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0537B2 (ja) スイッチ装置
ATE488850T1 (de) Druckknopfanordnung
JPH09320381A (ja) スイッチのノブ照明装置
JP2006134822A (ja) 照光プッシュスイッチユニット
JP2008192407A (ja) 操作スイッチ
JP2000260249A (ja) 照光式スイッチ装置
KR20070064060A (ko) 노브
JPH11154437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スイッチ装置
JP2000173379A (ja) 照光押釦スイッチ装置
JP2006100104A (ja) 照光式ボタンを持つ電子機器
JP2857314B2 (ja) 電子機器ケース構造
JP2004221078A (ja) Ledインジケータ付き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5209448B2 (ja) 車両用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KR100798330B1 (ko) 카 오디오 및 카 오디오용 프론트 피씨비 조립체
CN211208280U (zh) 一种带灯光效果的功放按键
KR1015785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100514081B1 (ko)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KR200443891Y1 (ko) 에이브이기기의 볼륨노브 조명 구조
JPS6238269Y2 (ko)
JP3144261B2 (ja) 電子機器用操作釦装置
KR100469060B1 (ko) 자동차용 버튼구조
JP2006179371A (ja) 操作パネルユニット
KR20070064035A (ko) 볼륨노브 설치구조
KR200157020Y1 (ko) 카오디오용 노브의 장착구조
KR100194335B1 (ko) 카 오디오용 보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